KR950010015B1 - 전자사진감광체 - Google Patents

전자사진감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015B1
KR950010015B1 KR1019870002328A KR870002328A KR950010015B1 KR 950010015 B1 KR950010015 B1 KR 950010015B1 KR 1019870002328 A KR1019870002328 A KR 1019870002328A KR 870002328 A KR870002328 A KR 870002328A KR 950010015 B1 KR950010015 B1 KR 950010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member
layer
charge transfer
resin
modified poly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262A (ko
Inventor
시게노리 오오쓰까
히로시 우라베
마사히로 누꾸이
마모루 노조미
세쓰꼬 사사까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미우라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5668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72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9618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0739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미우라 아끼라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8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 G03G5/0557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ed bonds
    • G03G5/0564Polycarbonat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사진감광체
본 발명은 전자사진감광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특정한 결합체 수지를 함유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전자사진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사진 기술은 즉시성 및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하는 거의 특성으로 인해 복사기 뿐만 아니라 각종 유형의 프린트 기기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전자사진 기술의 요체인 감광체로서는 통상적으로 셀레늄, 비소-셀레늄 합금, 황화카드뮴, 산화아연 등과 같은 무기계 광도전체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들어 경량성, 우수한 막-형성 특성 및 용이한 제조성과 같은 이점들을 갖는 유기계 광도전재료를 사용하는 감광체의 개발이 연구되어 왔다.
상기 유기계 감광체로서는 광도전성 미세분말을 결합체 수지내에 분산시킨 분산형 감광체 및 도전성 지지체상에 전하발생층 및 전하이동층을 갖는 적층형 감광체가 공지되어 있다. 이들 중 후자의 유형이 고감도 및 내구성 면에서 보다 우수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기계 적층형 감광체가 감도 및 대전성면에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세전부재에 의한 마찰과 같은 부하에 의하여서도 쉽게 기계적 마모 및 표면손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그러한 감광체의 표면마모 및 손상은 복사 또는 인쇄화상의 변질을 유발한다. 따라서, 이들을 복사기 또는 프린터에 실제 사용할 경우 극히 제한된 내구성을 갖는다.
종래, 전하이동층용 결합제 수지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수지, 메타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스티렌수지, 실리콘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 각종 경화성 수지들이 사용되어왔다. 통상적으로, 전하이동층은 결합제 수지의 고용체(solid solution)와 전하이동제로 이루어지며, 이때 전하이동제의 도우프량이 상대적으로 훨씬 더 많다.
그로인해 전하이동층은 충분한 표면강도를 갖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블레이드 클리닝 방식(blade cleaning method)을 이용하는 공정에 사용할 경우, 수천∼약 수만에 정도의 복사후 표면의 마모 및 손상으로 인해 화질이 훼손되어 감광체의 교환이 불가피하게 된다.
상술한 결합제 수지들중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수지가 비교적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으므로, 내구성이 비교적 양호하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결정질이므로 용액 안정성이 불량하다. 따라서, 초기단계에는 균일한 용액을 형성하나, 서서히 결정화가 진행되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겔화분량이 증가한다. 상기 용액을 사용하여 감광층 제조용으로 도포할 경우, 균일한 막을 수득하기가 어려우며, 결과적으로 감광막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그 외에도, 시판중인 폴리카르보네이트수지를 결합제로 함유하는 감광체들은 기계적 내구성 측면에서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내구성을 지닌 감광층을 갖는 감광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며, 동시에 그의 결점들이 극히 경미한 감광층을 갖는 감광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감광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결합제수지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가 충분한 용액 안정성 및 우수한 기계적 특성들을 갖는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연구를 기초로 하여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도전성 지지체상에 감광층을 갖는 전자사진감광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감광층이 결합제 수지로서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반복 구조단위를 갖는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식기식중, R1및 R2는 수소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며, R1및 R2중 최소한 1개는 알킬기이고, 및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3의 알킬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는 도전성 지지체 위에 형성된다. 도전성 지지체로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구리, 니켈 등의 금속 재료, 및 표면에 알루미늄, 구리, 팔라듐, 산화주석, 산화인듐 등의 도전성층을 피복시킨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종이의 절연성 지지체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지지체상에 분산형 또는 적층형 감광층이 형성되며, 필요하다면 적층형 감광층이 층들사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장벽층(barrier layer)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장벽층은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산화물 및,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및 카제인과 같은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분산형 감광체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광도전재료로는 셀레늄 및 그의 합금, 황화카드뮴 및 기타 다른 무기계 광도전체, 및 프탈로시아닌 안료, 아조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인디고 안료, 페릴렌 안료, 다중고리퀴논 안료 및 벤즈이미다졸 안료와 같은 유기안료를 들 수 있다.
적측형 감광체에 있어서, 전하발생층은 상술한 각종 유형의 광도전성 재료를 사용하여 균일한 층으로, 또는 각종 결합제 수지,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비닐부티랄, 페녹시 수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에테르, 우레탄 수지 및 에폭시 수지와 함께 결착된 상태의 미립자 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층은 통상적으로 0.1-1μm, 바람직하기로는 0.15∼0.6μm의 두께를 갖는다.
전하이동층 내의 전하이동 재료로서는 2,4,7-트리니트로플루오레논 및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과 같은 전자-유인성 화합물 ; 및 카르바졸, 인돌, 이미다졸, 옥사졸, 티아졸, 옥사디아졸, 피라졸, 피라졸린 및 티아디아졸과 같은 헤테로고리 화합물, 아닐린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히드라존, 및 이들 화합물들을 주쇄 또는 측쇄기로 갖는 중합체와 같은 전자-공여성 화합물이 사용가능하다.
상술한 것들중, 하기 일반식(2) 및 (3)으로 나타내어지는 히드라존 화합물들 :
Figure kpo00002
[상기 식중 R5는 알킬기, 치환된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 R6는 알킬기, 알릴기, 치환된 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며 ; 및 Z1는 수소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참고 : 일본국 특허공개 제54-150128)], 및
Figure kpo00003
(상기식중, X1,Y1및 Z2는 각각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페녹시기 또는 아릴알콕시기를 나타내고 ; R7은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알릴기, 페닐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며 ; m 및 l은 1또는 2이고 ; 및 p는 0 또는 1이다.)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하이동층은 막-형성성질, 가요성(flexibility)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가소제, 및 잔류전위의 축적을 억제하기 위한 첨가제와 같은 공지의 첨가물들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한 바 있는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반복 구조단위를 갖으며, 또한 하기 일반식(4)로 나타내어지는 반복구조단위를 갖을 수도 있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중, R3및 R4는 상기 일반식(1)에 대하여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반복구조단위(1)과 반복 구조단위(4)의 비율은 최소한 20 : 80이도록 하고, 최소한 30 : 70이 바람직하다.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통상적으로 약 10,000∼50,000의 점도-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상기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상술한 감광층의 결합제 수지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감광층이 적층형인 경우, 결합제로서 전하발생층 또는 전하이동층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전하이동층을 결합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5) 및 (6)으로 나타내어지는 페놀성 화합물들중 2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합성할 수도 있다.
Figure kpo00005
(상기식중, R1, R2, R3및 R4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및 R1및 R2중 최소한 1개는 알킬기이다.), 및
Figure kpo00006
(상기식중, R3및 R4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상술한, 제조하고자 하는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식(5)로 나타내어지는 페놀성 화합물과 일반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페놀성 화합물의 비율은 최소한 20 : 80, 바람직하기로는 최소한 30 : 70이도록 한다.
상기 일반식(5)로 나타내어지는 페놀성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ㅡ(4-히드록시-3-클로로-5-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에탄 1,1-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에탄과 같은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류를 들 수 있다.
일반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페놀성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과 같은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 염화메틸렌 또는 1,2-디클로로에탄과 같은 비활성 용매 존재하에 상술한 페놀성 화합물에 산수용체로서 알칼리 수용액 또는 피리딘 등을 부가하고, 이어서 포스겐을 도입하여 그들을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산수용제로서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할 경우, 촉매로서 트리메틸아민 및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3급 아민류,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벤질 트리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와 같은 4급 암모늄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반응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분자량 조절제로서 페놀 및 p-t-부틸페놀과 같은 1가 페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촉매는 반응시초에 도입하거나, 또는 올리고머가 형성된 후 가하여 상기 올리고머를 중합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종 이상의 페놀성 화합물들을 공중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들 :
(a) 2종 이상의 페놀성 화합물들을 동시에 반응시초부터 포스겐과 반응시켜 공중합하는 방법 ; (b) 1종의 페놀성 화합물을 먼저 포스겐과 반응시키고, 반응이 어느정도 진행된 후, 다른 종류의 페놀성 화합물을 도입하여 중합하는 방법 ; 또는 (c) 페놀성 화합물들을 개별적으로 포스겐과 반응시켜 올리고머를 수득한 후, 상기 올리고머들을 서로 반응시켜 목적하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등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유기용매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며, 또한 에틸 아세테이트, 1,4-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비할로겐계 용매들에 대하여도 고도의 용해성을 나타낸다. 이들 용매들을 사용하여 도포액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안전 위생상의 문제점을 수반하지 않는다.
이하에는, 참고예 및 실시예들을 기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단 본 발명이 이들 참고예 및 실시예들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이하의 참고예 및 실시예들 내에 기재하는 용어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참고예 1]
(a) 폴리카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100부
수산화나트륨 50부
물 870부
염화메틸렌 530부
p-t-부틸페놀 2.0부
상술한 성분들의 혼합물을 교반기를 장치한 반응기내에 도입하고, 800rpm 으로 교반한다. 이어서 포스겐 70부를 2시간에 걸쳐 취입(吹入)하여 계면중합반응을 진행시킨다. 반응이 완결된 후, 생성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염화메틸렌용액만을 수거한다. 수거한 올리고머의 염화메틸렌 용액을 분석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
올리고머의 농도(1)24.0중량%
말단 클로로포르메이트기의 농도(2)0.56N
말단 페놀성히드록시기의 농도(3)0.13N
주 : (1) 증발 건조시킨 후의 고형성분을 측정하였음.
(2) 아닐린과 반응시켜 수득된 아닐린 염산염을 0.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적정하여 측정하였음.
(3) 사염화티탄과 아세트산의 용액에 용해시킨 후, 546mm에서 비색정량하여 측정하였음.
상술한 방법으로 수득한 올리고머의 용액을 이하에서는 “올리고머 용액-A”로 약칭한다.
(b) 폴리카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비스페놀 A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내에 용해시켜 제조한
비스페놀 A 나트륨염의 16.6% 수용액 100부
p-t-부틸페놀 0.23부
염화메틸렌 40부
포스겐 7부
상술한 조성을 갖는 혼합물을 정량적으로 파이프(pipe) 반응기내에 도입하고 계면중합반응을 진행시킨다. 반응 혼합물 용액을 분리하여, 생성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염화메틸렌 용액만을 수거한다.
수득된 올리고머의 염화메틸렌 용액을 분석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
올리고머의 농도 24.5중량%
말단 클로로포르메이트기의 농도 1.3N
말단 페놀성히드록시기의 농도 0.3N
상술한 방법으로 수득한 올리고머 용액을 이하에서는 "올리고머 용액-B"로 약칭한다.
[참고예 2]
(a)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수지의 제조
올리고머 용액-A 80부
올리고머 용액-B 180부
염화메틸렌 100부
p-t-부틸페놀 0.3부
상기 성분들을 교반기를 장치한 반응기내에 도입하고, 500rpm으로 교반한다. 이어서, 하기 조성을 갖는 수용액을 도입하고 3시간 동안 계면중합반응을 진행시킨다 :
수산화나트륨 14부
트리에틸아민 0.07부
물 80부
반응혼합물을 분리하여, 생성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염화메틸렌 용액을 수거한 후, 상기 용액을 물, 염산용액 및 물로 차례대로 세정한다. 최종적으로, 염화메틸렌을 증발시켜 수지를 분리한다. 상기 수지(수지 C호)는 평균분자량 15,500을 갖는다.
이어서, NMR 분석한 결과 비스페놀 A의 함량은 70.8중량%으로 나타난다.
상기 평균 분자량은 하기 공식(1) 및 (2)에 따라 계산하여 수득한 값이며, 공식(1)내의 ηsp는 폴리머 6.0g/l를 함유하는 염화메틸렌 용액을 20℃에서 측정하여 결정된다.
ηsp/C=[η](1+K'ηsp)……………………………(1)
[η]=KMa………………………………………………(2)
식중, C : 중합체 농도(g/ι)
[η] : 고유점도
K'=0.28
K=1.23×10-5
α=0.83
M=평균 분자량
(b) 변성 폴리카르보테이트의 수지의 제조
올리고머 용액-A 260부
염화메틸렌 100부
p-t-부틸페놀 0.3부
상기 성분들을 교반기를 장치한 반응기내로 도입하고 550rpm으로 교반한다. 이어서, 하기 조성을 갖는 수용액을 도입하고 3시간 동안 계면중합반응을 진행시킨다 :
수산화나트륨 14부
트리에틸아민 0.07부
물 80부
반응 혼합물을 분리하여 생성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염화메틸렌 용액을 수거한 후, 물, 염산용액 및 이어서 물로 차례대로 세정한다. 최종적으로, 염화메틸렌을 증발시켜 수지를 분리한다. 상기 수지(수지 F호)는 점도-평균분자량 44,200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이하의 표 1에 나타낸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들과 시판 폴리카르보네이트[유필론 에스-1000(IUPILONS-1000), 미쓰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의 용액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을 테트라히드로푸란내에 용해시킨 10% 용액으로 제조하여 상온에서 1달동안 방치한 후, 이들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로서, 시판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액은 10일 경과후 완전히 백색으로 뿌옇게 되었으며, 이는 겔화가 진행되었음을 나타낸다.
반면, 본 발명의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들(A-E)은 1개월이 경과한 후에도 백색으로 탁해지지 않았으며, 또한 용액의 점도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표 1]
Figure kpo00007
[실시예 2]
이하의 표 2에 나타낸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들과 시판 폴리카르보네이트(유필론 S-1000, 미쓰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에 대하여 용액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을 테트라히드로푸란내에 용해시킨 10% 용액으로 제조하여 상온에서 1달동안 방치한 후,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로서, 시판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액은 10일 경과후 완전히 백색으로 탁해졌으며, 이는 겔화가 일어났음을 나타낸다. 반면, 본 발명의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들(F-H)은 1개월이 경과한 후에도 백색으로 탁해지지 않았으므로 겔화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고, 또한 용액의 점도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표 2]
Figure kpo00008
[실시예 3]
이하의 나타낸 구조를 갖는 비스아조 화합물 10부, 페녹시수지(유니온 카아바이드사제 PKHH) 5부 및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세끼스이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제 BH-3) 5부를 4-메톡시-4-메틸펜타논-2 100부와 혼합하고, 이어서 센드 그라인드밀 (sand grind mill)을 이용하여 파쇄분산처리를 수행한다.
생성된 분산액을 100μm-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증착시킨 알루미늄 증착층상에 필름 도포기를 이용하여 건조후만 두께 0.4g/㎡으로 도포한 후, 건조시킨다.
Figure kpo00009
이어서, 수득된 전하발생층상에 N-메틸카르바졸-3-알데히드디페닐히드라존, 90부, 표 1에 나타낸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 100부 및 하기 구조식을 갖는 시아노 화합물 4.5부 :
Figure kpo00010
를, 1,4-디옥산 900부 내에 용해시킨 용액을 건조후의 막두께 17μm로 도포하여 전하이동층을 형성시킴으로서 적층형 감광체 2-A가 제조되었다.
제조된 감광체의 특성을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빛의 차단하에 감광체에 유입되는 전류가 22A이도록 코로나 방전을 수행하고, 일정속도(150 mm/sec)로 감광체를 통과시켜 대저시킨 후, 그의 대전압을 측정하여 초기 대전압 Vo를 구한다. 이어서 5룩스 조도의 백색광을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전위가 초기 대전압의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광조사량(E1/2)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이하의 표 3에 나타난다.
[실시예 4∼7]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 수행하되, 실시예 3에서 사용한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대신 표 1에 나타낸 변성 폴라카르보네이트 수지 B,C,D 및 E를 사용하여 감광체 3-B, 4-C, 5-D 및 6-E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하게 이들의 특성들을 측정한 결과를 이하의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3에 기술한 방법으로 반복수행하되, 실시예 3에서 사용한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대신 시판 폴리카르보네이트(유필론 에스-1000, 미쓰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를 사용하여 감광체 1-I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감광체의 특성들을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하게 측정한 결과를 이하의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kpo00011
상기 표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광체는 시판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감광체와 비교하여 전기적 특성면에서 월등히 우수하다.
[실시예 8∼10]
실시예 3에 기술한 방법으로 반복수행하되 실시예 3에서 사용한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대신 표2에 나타낸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F,G 및 H를 사용하여 감광체 7-F, 8-G 및 9-H를 제조하였다. 결과는 이하의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kpo00012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광체는 시판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감광체에 비해 전기적 특성면에서 월등히 우수하다.
[실시예 11]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안료분산액내에 표면 거울처리를 한 알루미늄 실린더를 침지시켜 건조후의 막두께가 0.4μm가 되도록 전하발생층을 도포한다. 이어서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전하이동제 및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A를 함유하는 1,4-디옥산 용액내에 침지시켜 건조 후의 막두께 20μm가 되도록 전하이동층을 도포한다.
수득된 원통(drum)형 감광체를 10-A를 명명하였다. 상기 감광체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감광체를 블레이드 클리닝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판 복사기에 장치하고 복사 테스트를 행하였다. 결과로서, 40,000매 복사한 이후에도 감광체 표면에서 심각한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복사된 화상에 감광체의 손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흑색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양호한 복사화상이 수득되었다. 또한, 이하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도로 안정된 전위특성들을 갖으므로, 충분히 만족스러운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 5]
Figure kpo00013
[실시예 12]
표면-거울처리를 한 알루미늄 실린더를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안료분사액내에 침지시켜 건조후의 막두께 0.4μm가 되도록 전하발생층을 도포한다. 이어서 실시예 8에서 사용한, 전하이동제 및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F를 함유하는 1,4-디옥산용액내에 침지시켜 전하이동층을 건조후의 막두께 20μm가 되도록 도포한다.
수득된 원통형 감광체를 11-F로 명명한다. 상기 감광체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블레이드 클리닝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판 복사기에 상기 감광제를 장치하고 복사 테스트를 행하였다.
결과로서, 40,000매 복사한 이후에도, 감광체의 표면상에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한 마모 및 심각한 손상이 실제적으로 관찰되지 않았으며, 복사된 화상에서 감광체의 손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흑색 줄무늬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양호한 복사화상이 수득되었으며, 그로부터 본 발명의 감광체가 우수한 기계적 특성들을 갖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하의 표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도로 안정된 전위 특성들을 갖으므로 충분히 만족스러운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 6]
Figure kpo00014
상기 표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전자사진감광체용 결합제 수지로서 우수한 특성들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탁월한 용해성 및 용액안정성을 갖으므로, 그의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극히 경미한 도포 결점만을 갖는 감광체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감광체를 반복 사용할 경우에도 민감성 및 대전성이 거의 변질되지 않으므로 고도로 우수한 내구성을 만족시킨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감광체는 전자사진 복사기 분야 뿐만 아니라 레이저, LED, LCD, CRT 등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프린트 기기 분야에서 광범위한 각종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도전성 지지체상에 감광층을 갖는 전자사진 감광체로서, 상기 감광층이 결합제 수지로서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반복 구조단위를 갖는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수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Figure kpo00015
    (상기 식에서, R1, R2는 수소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며, R1및 R2중 최소한 1개는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가 하기 일반식(1) 및 (2)로 나타내어지는 반복구조단위들을 가지면서, 일반식(1)의 반복구조단위 대 일반식(2)의 반복구조단위의 비율이 최소한 20:8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Figure kpo00016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수소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며, R1및 R2중 최소한 1개는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평균 분자량이 10,000-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술한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평균 분자량이 10,000-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감광체가 전하발생층 및 이러한 전하발생층상에 놓여있는 전하 이동층으로 구성되며, 상술한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가 결합체 수지로서 상기 전하이동층내에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술한 감광체가 전하발생층 및 이러한 전하발생층상에 놓여 있는 전하 이동층으로 구성되며, 상술한 변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가 결합체 수지로서 상기 전하이동층내에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감광층이 전하 이동물질과 이러한 전하이동 물질이 분산되어 있는 결합제 수지를 함유하는 매트릭스 상(matrix phase)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술한 감광층이 전하 이동물질과 이러한 전하이동 물질이 분산되어 있는 결합제 수지를 함유하는 매트릭스 상(matrix phase)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KR1019870002328A 1986-03-14 1987-03-14 전자사진감광체 KR950010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56684A JPH0727223B2 (ja) 1986-03-14 1986-03-14 電子写真感光体
JP56684 1986-03-14
JP61-56684 1986-03-14
JP61-296184 1986-12-12
JP61296184A JPH0820739B2 (ja) 1986-12-12 1986-12-12 電子写真感光体
JP296184 1986-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262A KR870009262A (ko) 1987-10-24
KR950010015B1 true KR950010015B1 (ko) 1995-09-04

Family

ID=2639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328A KR950010015B1 (ko) 1986-03-14 1987-03-14 전자사진감광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56256A (ko)
EP (1) EP0237953B1 (ko)
KR (1) KR950010015B1 (ko)
CA (1) CA1293639C (ko)
DE (1) DE375192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1372A (en) * 1987-10-30 1990-06-05 Konica Corporation Polycarbonate-containing photoreceptors containing a hindered phenol compound
JPH01319751A (ja) * 1988-06-21 1989-12-26 Fuji Electric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US5145759A (en) * 1989-04-21 1992-09-08 Agfa-Gevaert, N.V.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material
EP0402979A1 (en) * 1989-06-16 1990-12-19 Agfa-Gevaert N.V.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material
JP2689627B2 (ja) * 1989-08-01 1997-12-10 三菱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US5080987A (en) * 1990-07-02 1992-01-14 Xerox Corporation Photoconductive imaging members with polycarbonate binders
JPH0463476A (ja) * 1990-07-03 1992-02-28 Mitsubishi Kasei Corp 画像読み取り素子
US5166021A (en) * 1991-04-29 1992-11-24 Xerox Corporation Photoconductive imaging members with polycarbonate fluorosiloxane polymer overcoatings
US5418098A (en) * 1991-06-28 1995-05-23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device unit and facsimile machine having the photosensitive member
US5300392A (en) * 1992-06-29 1994-04-05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 with polycarbonate obtained from cyclic oligomers
US5382489A (en) * 1992-08-06 1995-01-17 Fuji Xerox Co.,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with polycarbonate resin mixture
US5424159A (en) * 1992-08-13 1995-06-13 Fuji Xerox Co.,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US5723241A (en) * 1992-12-28 1998-03-03 Minolta Co., Ltd. Photosensitive member comprising thick photosensitive layer formed on anodized aluminum layer
US5747208A (en) * 1992-12-28 1998-05-05 Minolta Co., Ltd. Method of using photosensitive member comprising thick photosensitive layer having a specified mobility
JP3277964B2 (ja) * 1993-09-14 2002-04-2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3147643B2 (ja) * 1994-03-02 2001-03-19 ミノルタ株式会社 感光体
NL1001611C2 (nl) * 1995-11-09 1997-05-13 Oce Nederland Bv Fotogeleidend element.
US6128462A (en) * 1998-04-02 2000-10-03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member,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leaning blade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attachable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7592111B2 (en) * 2004-11-05 2009-09-22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
US20090116874A1 (en) * 2005-05-24 2009-05-0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method for image formation using sai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US20100209136A1 (en) * 2007-02-07 2010-08-1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oating fluid for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53195A (en) * 1980-01-11 1983-09-06 Eastman Kodak Company Preparation of heterogeneous photoconductive composition containing a thiopyrilium dye in a blend of aggregating and non-aggregating polymers
JPS60172045A (ja) * 1984-02-16 1985-09-05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51927T2 (de) 1997-05-22
DE3751927D1 (de) 1996-11-28
EP0237953A3 (en) 1989-07-26
CA1293639C (en) 1991-12-31
US4956256A (en) 1990-09-11
KR870009262A (ko) 1987-10-24
EP0237953A2 (en) 1987-09-23
EP0237953B1 (en) 199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0015B1 (ko) 전자사진감광체
KR101599578B1 (ko) 전자 사진 감광체,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장치
KR101599580B1 (ko) 전자 사진 감광체,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장치, 및 이미드 화합물
US5283142A (en) Image-hold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pparatus unit, and facsimile machine employing the same
US20100209136A1 (en) Coating fluid for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cartridge
JPH0820739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2568352B2 (ja) 電子写真感光体、それを有する電子写真装置及び装置ユニット
JP3312179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2531890B2 (ja) 像保持部材、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装置ユニットおよびファクシミリ
JPH08160640A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
EP0852342B1 (en) Coating liquid composition for photosensitive member for electrophotograph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sensitive member for elelctrophotography using same
JPH0833658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2001206943A (ja) 電子写真感光体
US5418098A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device unit and facsimile machine having the photosensitive member
JP3160772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6105357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8328270A (ja)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感光層塗布用溶液並びに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JP2000284508A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7223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728255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437762A (ja) 電子写真感光体
JP3944028B2 (ja)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H0534944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1312548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8248646A (ja) 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