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050B1 - 제습 및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제습 및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050B1
KR950009050B1 KR1019920003573A KR920003573A KR950009050B1 KR 950009050 B1 KR950009050 B1 KR 950009050B1 KR 1019920003573 A KR1019920003573 A KR 1019920003573A KR 920003573 A KR920003573 A KR 920003573A KR 950009050 B1 KR950009050 B1 KR 950009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dsorbent
dehumidification
dampe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417A (ko
Inventor
요시후미 모리야
토시야 후지토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383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04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3831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04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831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32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4474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0493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0Control of humidity
    • G05D22/02Control of humidity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습 및 가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습 및 가습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습 및 가습장치 제어블록도.
제3도∼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습 및 가습장치의 단면도로서, 각 공정에 의한 통풍로의 차이를 표시한 도면.
제6도는 종래예에 의한 가습장치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습운전, 환기기능부착제습운전, 가습운전, 환기 기능부착가습운전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실내흡기구
(3) : 실내흡기통로 (4) : 실외흡기구
(5) : 실외흡기통로 (6) : 실내토출구
(7) : 실내토출통로 (8) : 실외토출구
(9) : 실외토출통로 (10a) : 흡기구댐퍼
(10b) : 흡기구용 구동모우터(펄스모우터) (11a) : 토출구댐퍼
(11b) : 토출구용 구동모두터(펄스모우터) (12) : 제어부
(13a), (13b) : 흡착재 (14) : 전기히이터
(15) : 대전필터 (16) : 송풍기
(17) : 온도센서 (18) : 습도센서
(19) : 산소센서 (20) : 전원
(21) : 조작스위치 (22) : 흡기구댐퍼 구동수단
(23) : 토출구댐퍼 구동수단 (31) : 고체흡착재
(32) : 히이터 (33) : 송풍기
(34) : 풍로전환부 (35) : 실내흡기구
(36) : 실내토출구 (37) : 실외흡기구
(38) : 실외토출구 (101) : 외벽
(102) : 실내 (103) : 실외
본 발명은 제습, 가습 및 환기기능을 가진 제습 및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수 및 배수처리가 불필요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습 또는 가습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3-286634호를 들 수 있다. 이 장치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체흡착재(31)과 히이터(32), 송풍기(33), 풍로전환부(34)로 구성되어 있다. 히이터(32)는, 풍로중에 있어서의 고체흡착재(31)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가습을 행할 때는, 풍로전환부(34)를 점선의 위치로 전환해서 실내흡기구(35) 및 실내토출구(36)을 닫고, 실외흡기구(37)로부터 실외공기를 고체흡착재(37)로 통과시킨 후, 실외토출구(38)을 통해서, 다시 실외로 되돌아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때, 실외 흡기구(37)로부터 흡기되는 실외공기에 함유되는 수분은, 고체흡착재(31)에 흡착된다. 이 흡착공정을 거친후, 풍로전환부(34)를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전환하여, 실내공기를 실내흡기구(35)로부터 흡입해서 고체흡착재(31)를 통과후, 실내토출구(36)에서부터 다시 실내로 되돌아가도록 해서 고체흡착재(31)의 재생을 행한다. 이때, 실내공기가 히이터(32)에 의해서 가열되고, 고체흡착재(31)을 통과할 때에, 고체흡착재(31)을 동공기가 가열하여, 흡착되어 있는 수분을 이탈시킨다. 이 수분이, 동공기와 함께 실내로 공급되므로서, 가습을 행한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이하의 문제가 있었다.
① 재생공정시, 실내흡기구로부터 흡입되어 고체흡착재에 공급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흡착공정시의 실외공기의 온도보다 높게 해서, 고체흡착재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을 이탈시키는 TAS(Thermal Swing Adsorption)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재생공정시, 실내공기를 가열원에 의해 승온할 때의 열교환손실, 온풍이 풍로를 통과할 때의 방열손실, 온풍이 고체흡착재를 가열할 때의 열손실 등이 있다. 이 때문에, 재생시의 에너지소비가 많아지며, 러닝코스트가 높게 되는 것이었다. 또, 고체흡착재를 온풍에 의해 가열하기 때문에, 재생시간이 길어지고, 이 대문에, 흡착-재생공정을 교호로 행할 경우, 가습능력이 재생시간에 좌우되고, 재생시간이 짧은 경우는, 충분히 가습능력을 발휘할 수 없고,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가습능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체흡착재의 체적을 많게 할 필요가 있다.
② 실내외로 연통하는 덕트를 설치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실내공기의 가습기능만으로, 환기를 행할 수 없었다.
③ 가습시, 흡착재는 실외공기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이 수분을 실내로 공급하므로서, 실내의 가습을 실현한다. 이때 흡착재는 N1도 동시에 흡착한다(흡착하는 N2의 양은, 흡착재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다). 따라서 가습시, 흡착재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과 N2가 실내로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의 습도는 증가하나, O2농도는 감소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습, 가습 및 환기를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급수 및 배수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보수불요의 제습 및 가습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수분을 흡착한 고체흡착재의 재생시의 에너지소비를 낮게 억제하여, 러닝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흡착재로서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등 콜게이트 또는 허니컴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한다. 가열원은, 분할한 상기 흡착재의 틈새에 결합되어 있다. 송풍기는, 상기 흡착재의 상류쪽에, 필터는 상기 송풍기보다 상류쪽에 설치되어 있다.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은, 장치의 배면에 형성된 실외흡기구와 실외토출구와, 장치의 앞면에 형성되어 있는 실내흡기구와 실내토출구로 이루어진다. 실내 및 실외흡기구 근방에 형성된 흡기구댐퍼는, 흡기를 실내쪽으로부터인지, 실외쪽으로부터인지를 선택한다. 또, 실내 및 실외토출구의 근방에 형성된 토출구댐퍼는, 공기의 토출을 실내쪽이나 실외쪽으로 배분한다. 제어부는 가열원의 ON-OFF제어, 송풍기의 운전, 각 댐퍼의 풍로전환을 제어한다. 이들 구성에 의해, 경계적인 보수불요의 제습, 가습 및 혼기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실내의 외벽(101)에 의해서 실내(102)와 실외(103)이 간막이 되어 있고, 이 외벽(101)의 실내쪽에 제습 및 가습장치의 케이싱(1)이 장착되어 있다. 케이싱(1)의 상부에는 실내흡기구(2)를 가진 실내흡기통로(3) 및 실외흡기구(4)을 가진 실외흡기통로(5)가 형성되고, 실외흡기통로(5)는 외벽(101)을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싱(1)의 하부에는,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토출구(6)를 가진 실내 토출통로(7) 및 실외(103)으로 향하는 실외토출구(8)을 가진 실외토출통로(9)를 가지고, 실외토출통로(9)의 적어도 외벽(101)이 관통부분은 실외흡기통로(5)의 내부에 위치하고, 실외흡기통로(5)와 실외토출통로(9)는 2중 관구조로 되어 있다. 또, 케이싱(1)의 실내흡기통로(3)과 실외흡기통로(5)의 분기로에는, 흡기를 실내 흡기구(2)나 실외흡기구(4)로 선택하는 흡기로에는, 공기의 토출을 실내토출구(6)이나 실외토출구(8)로 선택하는 토출구댐퍼(11a)이 회동자재하게 형성되고, 흡기구댐퍼(10a) 및 토출구댐퍼(11a)은, 제어부(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구동되는 펄스모우터 등 (10b), (11b)으로 이루어진 댐퍼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실내흡기구(2)와 실내토출구(6) 사이의 통로에는, 공지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가열에 의해 흡착되어 있는 수분을 이탈시키는 흡착재(13a), (13b)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분할 배치되어 있다. 이 흡착재(13a), (13b)는 제올라이트 또는 실리카겔을 콜 게이트 또는 허니컴형상으로 형성해서 이루어지고, 통풍로의 상류쪽에 위치하는 흡착재(13a)는 하류쪽에 위치하는 흡착재(13b)에 비해 그 체적을 작게하고 있다. 이 흡착재(13a)와 흡착재(13b)와의 사이에는 가열원인 전기히이터(14)가 설치되고, 제습개시시 또는 가습시동에 통전되어, 흡착재(13a), (13b)에 흡착하고 있는 수분을 이탈시킨다. 그리고, 흡착재(13a), (13b)의 상류쪽에 공기 정화용의 대전필터(15)를 개재해서 송풍기(16)이 설치되어, 흡착재(13a), (13b)에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강재통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대전필터(15)의 근방에서 실내흡기통로(3) 및 실외흡기통로(5)에 연통하는 위치에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7),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18)(도시생략), 공기중의 성분농도를 검출하는 산소센서(19)(도시생략)가 배치되어, 제어부(12)에 그 상태 신호를 출력해서 흡기구댐퍼(10a), 토출구댐퍼(11a), 전기히이터(14), 송풍기(16)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 및 가습장치의 제어블록도로서, (20)은 전원, (21)은 조작스위치, (22)는 흡기구댐퍼(10a)을 구동하는 펄스모우터로 이루어진 흡기구댐퍼 구동수단, (23)은 토출구댐퍼(11a)을 구동하는 펄스모우터로 이루어진 토출구댐퍼 구동수단이다. 온도센서(17), 습도센서(18) 및 산소센서(19)로부터의 정보는, 제어부(12)에 입력되고, 동제어부(12)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 습도 및 산소치와 비교된다. 제어부(12)는, 비교의 결과에 따라서 송풍기(16), 히이터(14), 흡기구댐퍼 구동수단(22), 및 토출구댐퍼 구동수단(23)의 운전을 제어한다. 또 양 댐퍼(10a), (11a)의 위치정보는 항상 제어부(12)에 피이드백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의거해서, 본 발명에 의한 제습 및 가습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스위치(21)을 폐쇄하여 운전상태로 하면, 흡기구 댐퍼(10a) 및 토출구댐퍼(11a)은, 실외흡기구통로(5) 및 실외토출통로(9)를 폐쇄한다. 즉, 양 댐퍼(10a), (11a)은, 제1도의 실선의 위치로 된다. 다음에 송풍기(16)이 운전되어 실내공기가 온도센서(17) 및 습도센서(18)을 통과하면, 온도센서(17) 및 습도센서(18)은, 실내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한다. 이 온도 및 습도의 정보는, 제어부(12)에 이송된다. 습도센서(17)에 의해 검출된 실내공기의 상대습도가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습운전을 행한다. 실내공기의 상대습도가 60%를 초과하고 또 산소센서(19)가 검출한 실내의 산소농도가 소정치 이하, 예를 들면 20% 이하인 경우에는 환기기능부착제습운전을 행한다. 또한, 실내공기의 상대습도가 40% 이하인 경우에는 가습운전을 행한다. 한편, 실내공기의 상대습도가 40% 이하이고 또 실내의 산소농도가 소정치이하, 예를 들면 20% 이하인 경우는 환기기능부착가습운전을 행한다. 실내의 제습운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2)는 먼저 흡착재(13a), (13b)에 흡착하고 있는 수분을 이탈시키는 재생공정부터 스타아트를 지시한다. 이는 제습운전을 개시하기 전부터, 확산에 의해 공기중의 수분이 흡착재(13a), (13b)에 반드시 흡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수분을 최초에 이탈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최초에, 흡기구댐퍼(10a) 및 토출구댐퍼(11a)을 작동해서, 실내흡기통로(3)과 실내토출통로(7)을 폐쇄한다(제1도의 점선의 위치). 양 댐퍼(10a), (11a)은 펄스모우터로 이루어진 구동수단(22), (23)에 의해, 실선의 위치에서부터 점선의 위치로 회동해서 정지한다. 다음에, 제어부(12)는 송풍기(16)과 전기히이터(14)를 운전시키면, 실외흡기구(4)에서부터 흡입된 실외공기는, 전기히이터(14)에 의해서, 가열되어 고온풍으로 되어, 흡착재(13b)를 가열한다. 또, 전기히이터(14)의 복사열에 의해서, 흡착재(13a)는 직접 가열된다. 전기히이터(14)는, 흡착재(13a) 및 (13b)에 끼워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히이터(14)로부터의 열이 흡착재(13a), (13b) 이외로 확산하는 일은 없다. 고온풍 및 복사열에 의해, 똑같이 가열된 흡착재(13a), (13b)는 즉시 수분이 이탈하기 시작한다. 이탈된 수분은, 실외토출구(8)로부터 배출된다. 전기히이터(14)에 퉁전해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이 시점에서 흡착재(13a), (13b)의 수분이 없어진다), 제어부(12)는, 전기히이터(14)에의 통전을 끊고, 송풍기(16)만 운전시킨다. 송풍기(16)의 운전은 흡착재(13a), (13b)의 온도가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저하할 때까지 계속된다. 계속해서, 제어부(12)는, 흡착 공정으로 이행하기 위하여, 송풍기(16)의 운전을 중지하고, 흡기구댐퍼(10a) 및 토출구댐퍼(11a)을 작동해서, 실회흡기통로(5)와 실외토출통로(9)를 폐색시킨다(제1도의 실선의 상태). 그런 연후에, 동제어부(12)는 송풍기(16)를 운전시킨다. 실내공기는 실내흡기구(2)에서부터 들어가고, 대전필터(15)에 먼지·부유입자 등이 흡착되면서, 흡착재(13a), (13b)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청정한 건조공기로서 실내통출구(6)에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의 재생-흡착공정을 반복하므로서, 물의 처리가 필요없는 제습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기히이터(14)가 흡착재(13a), (13b)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열손실이 극히 적은 에너지절약의 제습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희망하는 실내습도를 빨리 도달하기 위해서는, 실내온도가 설정치로 되기까지, 최대능력으로 제습한다.
그를 위해서는, 재생공정시, 전기히이터(14)의 능력을 최대로해서 재생능력을 높이고, 흡착공정시는, 송풍기(16)의 능력을 최대로 하여, 흡착능력을 높인다. 그리고 설정치에 도달한 다음의 실내습도의 작은 변동에 대해서는, 제습능력을 떨어뜨려서 운전한다. 이를 위해서는 재생공정시, 전기히이터(14)의 능력을 최소로 해서 재생능력을 낮게 하고, 흡착공정시는, 송풍기(16)의 능력을 최소로 하여, 흡착능력을 낮게 한다. 이에 의해, 실내습도의 약간의 변동에 대해서도 경제적으로 추종성 있게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온도센서(17), 습도센서(19)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제습과 함께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2)는 환기기능부착제습운전을 지시한다. 환기기능부착제습은, 실내의 습도를 떨어뜨리면서, 실내공기의 혼기를 행하는 운전모우드이며, 흡착공정시, 흡기구댐퍼(10a)이 실내흡기통로(3)을 폐색하여, 토출구댐퍼(11)이 실외토출통로(9)를 폐색한다(제3도에 있어서, 실선의 위치로 된다). 이에 의해, 실외의 신선공기중의 수분은 제거되어, 건조한 신선 공기로서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의 습도를 저하할 수 있다. 재생공정은, 흡기구댐퍼(10a)이 실외흡기통로(5)를 폐색하여, 토출구댐퍼(11a)이 실내토출통로(7)를 폐색한다(제3도에 있어서, 점선의 위치로 된다). 이에 의해, 흡착재(13a), (13b)는 흡착하고 있는 수분이 이탈해서 재생된다. 이상의 흡착, 재생공정을 반복하므로서, 환기기능부착제습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습을 행하면서 환기에 의해 실내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환기 기능부착제습시의 흡착공정, 재생공정에 있어서의 전기히이터(14), 송풍기(16)에의 통전제어는, 상기의 제습뿐일 때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가습에 대해서 설명한다. 온도센서(17) 및 습도센서(18)이, 실내의 상대습도가 40%이하라고 검지되면, 제어부(12)는, 흡착재(13a), (13b)의 흡착공정부터 개시하도록 지시를 낸다(흡착재(13a), (13b)에는, 확산에 의해 흡착된 수분이 있으나, 포화흡착량 부근까지 흡착시키기 때문에 우선 흡착공정부터 개시한다. 따라서 제1회째의 흡착공정시간은, 그 이후의 흡착공정시간보다 짧게하여도 된다).
흡기구댐퍼(10a) 및 토출구댐퍼(11a)은, 실내흡기통로(3) 및 실내토출통로(7)을 폐색한다(제4도에 있어서, 양댐퍼(10a), (11a)은 실선의 위치로 된다). 송풍기(16)은 운전을 개시하여, 흡착재(13a), (13b)에 실외공기를 공급하여, 수분을 흡착시킨다. 건조한 실외공기는 실외토출구(8)에서부터 배출된다. 흡착재(13a), (13b)가 파과상태(破過狀態)(파과상태의 검출은, 일정시간 흡착공정에서 행하는 방식과, 급기공기의 습도를 검출해서 흡착재(13a), (13b)가 항상 일정량의 흡착을 할 수 있게 시간조정을 행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가 되면, 제어부(12)는 송풍기(16)의 운전을 정지하고, 흡기구댐퍼(10a) 및 토출구댐퍼(11a)은, 실외 흡기통로(5)와 실외토출통로(9)를 폐색하도록 위치제어한다(제4도에 있어서, 양댐퍼(10a), (11a)은 점선의 위치로 된다). 그런 연후에, 제어부(12)는 전기히이터(14) 및 송풍기(16)을 작동시키고, 상기의 제습운전과 동일하게 연손실없이, 흡착재(13a), (13b)를 가열시킨다. 실내공기는, 재생온도까지 도달해서 수분이 이탈되기 시작한 흡착재(13a), (13b)를 지나, 수분을 수취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이상의 흡착, 재생행정을 반복하므로서, 효율이 양호하게 급수가 필요하지 않는 가습이 구성된다.
다음에 온도센서(17), 습도센서(18) 및 산소센서(19)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가습과 함께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2)는 환기기능부착가습운전을 지시한다. 동운전은, 환기를 행하면서, 실내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운전이다. 흡착공정은, 흡기구댐퍼(10a)이 실외흡기통로(5)를 폐색하여, 토출구댐퍼(11a)이 실내토출통로(7)을 폐색한다(제5도에 있어서, 흡기구댐퍼(10a), 토출구 댐퍼(11a)은 실선의 위치로 된다). 송풍기(16)에 의해 이송된 실내공기는, 수분이 흡착재(13a), (13b)에 흡착된 후, 실외로 방출된다. 한편, 재생공정은, 흡기구댐퍼(10a)이 실내흡기통로(3)을 폐색하고, 토출구댐퍼(11a)이 실외토출통로(9)를 폐색하는 것으로부터 이루어진다(제5도에 있어서, 흡기구댐퍼(10a), 토출구댐퍼(11a)은 점선의 위치로 된다).
이 재생공정에서는, 흡착재(13a), (13b)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이 가열에 의해 이탈되어, 실외공기와 함께 실내로 방출된다. 이른바 단순한 환기운전에서는, 실외 공기의 습도가 낮은 경우, 환기에 의해 실내의 습도는 저하해 버린다. 그러나, 환기기능부착 가습이라면, 환기를 행하면서, 실내의 습도유지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습·가습을 실내의 온습도, 공기질성분농도를 검출해서, 제습, 가습, 환기부착제습, 환기부착가습등의 운전모우드를 선택하므로서, 항상 최적한 실내공기질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내공기질상태량의 검출로부터, 제습 또는 가습부하를 산출하고, 흡착 및 재생공정시의 흡기풍량, 전기히이터(14)의 능력 및 운전시간을 제어하므로서, 효율적인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운전종료시, 제어부(12)는 흡기구댐퍼(10a), 토출구댐퍼(11a)이 실외쪽이 폐색되도록 위치제어(제1도에 있어서, 양댐퍼(10a), (11a)은 실선의 위치로 된다)하여, 운전하지 않을 때의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7도는 본 발명자의 제습 및 가습장치에 있어서의 제습운전, 환기기능부착제습운전, 가습운전 및 환기기능부착가습운전의 풀로우챠트이다.
스텝 101에 있어서, 실내의 온도, 습도 및 산소농도가 검출된다. 스텝 102에 있어서, 검출된 상대습도가 60%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되고, 60% 이상이면 스텝 103으로 나아간다. 스텝 103에서는 실내의 산소농도가 소정치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산소농도가 소정치이상이면 상술한 제습운전을 행하고, 소정치이하이면 환기기능부착제습온도를 행한다.
상술한 스텝 102에서 상대습도가 60% 이하라고 판단되면, 스텝 104에서 상대습도가 40 이하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상대습도가 40% 이하이면 스텝 105에 있어서, 산소농도가 소정치와 비교되고, 산소농도가 소정치이상이면 상술한 가습운전을 행하고, 산소농도가 소정치 이하이면 상술한 환기기능부착가습운전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검출된 실내의 환경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환경모드가 선택한다.

Claims (19)

  1. 통풍로에 배치되고, 공기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재(13a), (13b)와, 상기 흡착재를 가열하고, 흡착재에 흡착된 수분을 이탈시키는 가열원(14)과, 상기 흡착재에 실내 또는 실외공기를 강제적으로 송풍하는 송풍기(16)와, 상기 흡착재의 상류쪽으로 형성한 실내흡기구 및 실외흡기구를 운전모우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기구댐퍼(10a)와, 상기 흡착재의 하류쪽으로 형성한 실내토출구 및 실외토출구를 운전모우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구댐퍼(11a)와, 상기 가열원 및 송풍기의 ON-OFF 및 상기 흡기구댐퍼 및 토출구댐퍼의 전환을 운전모우드에 따라서 제어하는 제어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를 상기 흡착재를 통해서 동공기중의 수분을 흡착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하는 흡착공정 및 상기 가열원을 ON시켜, 상기 흡착재에 실외공기를 보내고, 상기 흡착재에 흡착한 수분을 이탈시킨 후에 실외로 토출하는 재생공정으로 이루어진 제습운전모우드와, 실외공기를 상기 흡착재를 통해서 동공기중의 수분을 흡착시킨 후에 실외로 토출하는 흡착공정 및 상기 가열원을 ON시켜, 상기 흡착재에 실내공기를 보내고, 상기 흡착재에 흡착한 수분을 이탈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하는 재생공정으로 이루어진 가습운전모우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실내의 온도, 습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7) 및 습도센서(18)를 가지고,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12)는, 제습 운전모드와 가습 운전모우드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온도센서(17) 및 습도센서(18)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12)는, 흡착공정시 재생공정의 송풍기의 회전수 및 운전시간을 제어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습운전모우드는, 재생공정으로부터 운전을 개시하고, 가습운전모우드는, 흡착공정으로부터 운전을 개시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흡기구댐퍼(10a) 및 토출구댐퍼(11a)는, 운전종료시, 실외흡기구(4) 및 실외토출구(8)를 폐쇄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송풍기의 상류쪽으로 필터(15)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흡착재(13a), (13b)는 상류쪽과 하류쪽을 2분할해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흡착재를 가열하는 가열원(14)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류쪽에 위치하는 흡착재(13a)는, 하류쪽에 위치하는 흡착재(13b)에 비해 그 체적을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온도센서(17) 및 습도센서(18)로부터의 정보에 의해서, 제어회로는 현 실내습도와 설정습도와의 차이를 산출하고, 그 차이의 대소에 따라서, 재생 공정시에 가열원으로의 입력을 최대로 하고, 흡착공정시에 송풍기에의 입력을 최대로 하는 운전과, 재생공정시에 가열원으로의 입력을 최소로 하고, 흡착공정시에 송풍기에의 입력을 최소로 하는 운전을 지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10. 통풍로에 배치되고, 공기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재(13a), (13b)와, 상기 흡착재를 가열하여, 흡착재에 흡착된 수분을 이탈시키는 가열원(14)과, 상기 흡착재에 실내 또는 실외공기를 강제적으로 송풍하는 송풍기(16)와, 상기 흡착재의 상류쪽으로 형성한 실내흡기구 및 실외흡기구를 운전모우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기구댐퍼(10a)와, 상기 흡착재의 하류쪽으로 형성한 실내토출구 및 실외토출구를 운전모우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구댐퍼(11a)와, 상기 가열원 및 송풍기의 ON-OFF 및 상기 흡기구댐퍼 및 토출구댐퍼의 전환을 운전모우드에 따라서 제어하는 제어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를 상기 흡착재를 통해서 동공기중의 수분을 흡착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하는 흡착공정, 및 상기 가열원을 ON시켜, 상기 흡착재에 실외공기를 보내고, 상기 흡착재에 흡착한 수분을 이탈시킨 후에 실외로 토출하는 재생공정으로 이루어진 제스분전모우드와, 실외공기를 상기 흡착재를 통해서 동공기중의 수분을 흡착시킨 후에 실외로 토출하는 흡착공정 및 상기 가열원을 ON시켜, 상기 흡착재에 실내공기를 보내고, 상기 흡착재에 흡착한 수분을 이탈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하는 재생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가습운전모우드, 실외공기를 상기 흡착재를 통해서 동공기중의 수분을 흡착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하는 흡착공정 및 상기 가열원을 ON시켜, 상기 흡착재에 실내공기를 보내고, 상기 흡착재에 흡착한 수분을 이탈시킨 후에 실외로 토출하는 재생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환기부착 제습운전모우드와, 실내공기를 상기 흡착재를 통해서 동공기중의 수분을 흡착시킨 후에 실외로 토출하는 흡착공정 및 상기 가열원을 ON시켜, 상기 흡착재에 실외공기를 보내고, 상기 흡착재에 흡착한 수분을 이탈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하는 재생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환기부착가습운전모우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실내의 온도, 습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7) 및 습도센서(18) 및 실내의 공기성분 농도(19)를 검출하는 검지소자를 가지고, 상기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공기성분농도를 검출하는 검지소자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는, 제습운전모우드, 가습운전모우드, 환기부착제습운전모우드 및 환기부착가습운전모우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온도센서(17) 및 습도센서(18)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12)는 흡착공정시 및 재생공정시의 송풍기의 회전수 및 운전시간을 제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제습운전모우드 및 환기부착제습운전모우드는, 재생공정으로부터 운전을 개시하고, 가습운전모우드 및 환기부착가습운전모우드는, 흡착공정으로부터 운전을 개시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흡기구댐퍼(10a) 및 토출구댐퍼(11a)는, 운전종료시, 실외흡기구(4) 및 실외토출구(8)를 폐쇄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송풍기(16)의 상류쪽으로 필터(15)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흡착재(13a), (13b)는, 상류쪽과 하류쪽으로 2분할해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흡착재를 가열하는 가열원(14)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류쪽에 위치하는 흡착재(13a)는, 하류쪽에 위치하는 흡착재(13b)에 비해 그 체적을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온도센서(17) 및 습도센서(18)로부터의 정보에 의해서, 제어회로는 현실내습도와 설정습도와의 차이를 검출하고, 그 차이의 대소에 따라서 재생 공정시에 가열원으로의 입력을 최대로 하고, 흡착공정시에 송풍기에의 입력을 최대로 하는 운전과, 재생공정시에 가열원으로의 입력을 최소로 하고, 흡착공정에 송풍기에의 입력을 최소로 하는 운전을 지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19. 통풍로에 배치되고, 공기중의 수분으로 흡착하는 흡착재(13a), (13b)와, 상기 흡착재를 가열하고, 흡착재에 흡착된 수분을 이탈시키는 가열원(14)과, 상기 흡착재에 실내 또는 실외공기를 강제적으로 송풍하는 송풍기(16)와, 상기 흡착재의 상류쪽으로 형성한 실내흡기구 및 실외흡기구를 운전모우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기구댐퍼(10a)와, 상기 흡착재의 하류쪽으로 형성한 실내토출구 및 실외토출구를 운전모우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구댐퍼(11a)와, 상기 가열원 및 송풍기의 ON-OFF 및 상기 흡기구댐퍼 및 토출구댐퍼의 전환을 운전모우드에 따라서 제어하는 제어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흡기구 및 실내토출구가 열리도록 흡기구댐퍼 및 토출구댐퍼를 개폐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송풍기를 구동시켜서 실내공기를 상기 흡착재를 통해서 동공기중의 수분을 흡착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하는 흡착공정 및 상기 실내흡기구 및 실내토출구가 닫히도록 상기 흡기구댐퍼 및 토출구댐퍼를 전환하는 동시에 상기 가열원을 ON시켜, 상기 흡착재에 실외공기를 보내고, 상기 흡착재에 흡착한 수분을 이탈시킨 후에 실외로 토출하는 재생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습운전모우드와, 상기 실외흡기구 및 실외토출구가 열리도록 흡기구댐퍼 및 토출구댐퍼를 개폐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송풍기를 구동시켜서 실외공기를 상기 흡착재를 통해서 동공기중의 수분을 흡착시킨 후에 실외로 토출하는 흡착공정 및 상기 실외흡기구 및 실외토출구가 닫히도록 상기 흡기구댐퍼 및 토출구댐퍼를 전환하는 동시에 상기 가열원을 ON시켜, 상기 흡착재에 실내공기를 보내고, 상기 흡착재에 흡착한 수분을 이탈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하는 재생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가스운전모우드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
KR1019920003573A 1991-03-05 1992-03-04 제습 및 가습장치 KR950009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38313A JP2830489B2 (ja) 1991-03-05 1991-03-05 乾式加湿装置
JP91-38317 1991-03-05
JP3038315A JP2830490B2 (ja) 1991-03-05 1991-03-05 乾式除加湿装置
JP3831791A JP2833237B2 (ja) 1991-03-05 1991-03-05 乾式除加湿装置
JP91-38315 1991-03-05
JP91-38313 1991-03-05
JP3044741A JP2830493B2 (ja) 1991-03-11 1991-03-11 乾式除加湿装置
JP91-44741 1991-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417A KR920018417A (ko) 1992-10-22
KR950009050B1 true KR950009050B1 (ko) 1995-08-14

Family

ID=2746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573A KR950009050B1 (ko) 1991-03-05 1992-03-04 제습 및 가습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30466A (ko)
KR (1) KR950009050B1 (ko)
AU (1) AU641083B2 (ko)
CA (1) CA2062306C (ko)
DE (1) DE4206973C2 (ko)
GB (1) GB225347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448B1 (ko) * 2005-03-22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707348B1 (ko) * 2004-12-14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습장치 및 조습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4643B1 (de) * 1991-03-19 1997-06-25 Behr GmbH & Co.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Kühlen und/oder Heizen einer Kabine
DE4304076C2 (de) * 1993-02-11 1996-03-07 Behr Gmbh & Co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Heizen des Fahrgastraumes eines Kraftfahrzeuges
US5428964A (en) * 1994-01-10 1995-07-04 Tec-Way Air Quality Products Inc. Control for air quality machine
DE4414595A1 (de) * 1994-04-27 1995-11-02 Behr Gmbh & Co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izen eines Fahrgastraums in einem Kraftfahrzeug
US5733451A (en) * 1994-05-20 1998-03-31 Englehard/Icc Core for interacting with a fluid media flowing therethroug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572799A (en) * 1994-07-22 1996-11-12 Sanyo Electric Co., Ltd. Ventilator/dryer assembly for adsorbing wet air in a room
DE4430704A1 (de) * 1994-08-30 1996-03-07 Kulmbacher Klimageraete Lüftungs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Betreiben
JP3232908B2 (ja) * 1994-09-20 2001-1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装置
DE19507284C2 (de) * 1995-03-02 1997-03-06 Herbert Scheel Vorrichtung zum Verhindern von Kondenswasserbildung
US5570740A (en) * 1995-03-03 1996-11-05 Dsc Communications Corporation Built-in cooling system for an enclosure
JP3152609B2 (ja) * 1996-02-26 2001-04-03 三洋電機株式会社 除湿乾燥装置
TW343264B (en) * 1996-07-30 1998-10-21 Sharp Kk Air conditioner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WO1999061845A1 (en) * 1998-05-28 1999-1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door air treatment device
US6170271B1 (en) * 1998-07-17 2001-01-09 American Standard Inc. Sizing and control of fresh air dehumidification unit
US6036746A (en) * 1998-09-23 2000-03-14 University Technology Corporation Condenser system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reatable air in a closed environment
US6161765A (en) * 1999-09-30 2000-12-19 Lucent Technologies, Inc. Outdoor enclosure with heated desiccant
US6360550B2 (en) * 2000-01-31 2002-03-2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GB2370610B (en) * 2000-11-02 2005-01-12 George Page Fan assembly and storage chamber utilising a fan assembly
JP2003161465A (ja) * 2001-11-26 2003-06-06 Daikin Ind Ltd 調湿装置
AU2003221045A1 (en) * 2002-03-19 2003-09-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ir conditioning seat device
DE10222438B4 (de) * 2002-05-22 2008-10-16 Sartorius Ag Verfahren zur Einstellung oder Regelung der Gasfeuchte in nahez abgeschlossenen Räumen
CN100559090C (zh) * 2002-08-05 2009-11-11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
US6860430B2 (en) * 2002-12-24 2005-03-01 Lipidex Corporation Space heating and cooling
CN100488344C (zh) * 2003-03-05 2009-05-13 日本电气株式会社 使用具有除湿功能的过滤器的冷却装置
JP3624912B2 (ja) * 2003-06-11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US7028914B1 (en) * 2003-09-29 2006-04-18 Dampp-Chaser Electronics Corporation Piano humidistat
US7258280B2 (en) * 2004-04-13 2007-08-21 Tuckernuck Technologies Llc Damper control in space heating and cooling
US7264649B1 (en) * 2004-07-23 2007-09-04 Advanced Design Consulting Usa, Inc. System for allergen reduction through indoor humidity control
US20060054712A1 (en) * 2004-09-13 2006-03-16 Guolian Wu Vertical dehumidifier
US20060053810A1 (en) * 2004-09-15 2006-03-16 Cressy Charles S Automatic humidity control
US7360395B2 (en) * 2005-04-04 2008-04-22 Honda Motor Co., Ltd. Gas sensor
JP3864982B2 (ja) 2005-05-30 2007-0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US20060286918A1 (en) * 2005-06-16 2006-12-21 Vargas George A Self-powered automated air vent
DE102005029463B4 (de) * 2005-06-24 2015-10-29 Senvion Gmbh Turmentfeuchtung einer Windenergieanlage
JP4598622B2 (ja) * 2005-08-01 2010-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ガスセンサ
US7493193B2 (en) * 2005-08-04 2009-0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nitoring and real-time heat load control based upon server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US20070057078A1 (en) * 2005-09-13 2007-03-15 Martin William J Closed air handling system with integrated damper for whole-building ventilation
US20070145160A1 (en) * 2005-09-13 2007-06-28 Martin William J Closed air handling system with integrated damper for whole-building ventilation
US7640753B2 (en) * 2006-01-10 2010-01-05 Delphi Technologies, Inc. Control method for thermal regulation of a vehicle seat
US9228338B2 (en) * 2006-10-18 2016-01-05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Wide back flange hanger
EP2148146B1 (en) 2007-05-15 2021-08-11 Espec Corp. Humidity control apparatus, environment test apparatus and temperature/humidity control apparatus
JP2009022879A (ja) * 2007-07-19 2009-02-05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09109088A (ja) * 2007-10-31 2009-05-21 Daikin Ind Ltd 調湿装置
US7954335B2 (en) 2008-03-25 2011-06-07 Water Generating Systems LLC Atmospheric water harvesters with variable pre-cooling
US8627673B2 (en) * 2008-03-25 2014-01-14 Water Generating Systems LLC Atmospheric water harvesters
US20090321435A1 (en) * 2008-06-30 2009-12-31 Max Michael D Water Handling System
WO2010051815A2 (en) * 2008-11-07 2010-05-14 Vestas Wind Systems A/S A device and a method for improved dehumidification of a wind power plant
US8543244B2 (en) * 2008-12-19 2013-09-24 Oliver Joe Keeling Heating and cooling control methods and systems
US20100198411A1 (en) * 2009-01-30 2010-08-05 Jason Wolfson Ventilation system
US20100269521A1 (en) * 2009-04-28 2010-10-28 Steven Clay Moore Air-conditioning with dehumidification
US20100307181A1 (en) * 2009-06-09 2010-12-09 Max Michael D Atmospheric moisture harvesting
US8727843B2 (en) * 2010-07-02 2014-05-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f-powered fluid control apparatus
US9322568B2 (en) 2010-10-07 2016-04-26 Field Controls, Llc Whole house ventilation system
CN103221752B (zh) * 2010-12-22 2016-06-29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系统和调湿装置
DE102011013944A1 (de) * 2011-03-14 2012-09-20 Stiebel Eltron Gmbh & Co. Kg Lüftungsgerät mit taupunktgesteuerter Zwangslüftung
EP2568169B2 (en) 2011-09-09 2021-11-10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Deutschland GmbH Wind turbine with tower climatisation system using outside air
EP2772696B1 (en) * 2011-10-28 2020-07-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device
CN103472863B (zh) * 2012-06-07 2015-09-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除湿机和一种除湿方法
WO2014024332A1 (ja) * 2012-08-05 2014-02-13 株式会社横浜熱利用技術研究所 乗物用除湿装置
WO2016150663A1 (en) * 2015-03-24 2016-09-29 Danfoss A/S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handling unit
CN106895498A (zh) * 2017-03-12 2017-06-27 深圳市上羽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专用的中心四恒处理空调
CN107237740A (zh) * 2017-08-06 2017-10-10 黄田 一种高效性吸潮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1560A (en) * 1944-01-31 1946-06-04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DE1164061B (de) * 1958-12-31 1964-02-27 Brinkmann Ag 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regeln und Konstanthalten der Luftfeuchtigkeit in Schraenken oder kleinen Lager- und Vorratsbehaeltern, insbesondere in Vorratsschraenken fuer Tabakwaren
US3269715A (en) * 1964-04-02 1966-08-30 Jr Walker L Wellford Kiln furnace controller
DE2728466A1 (de) * 1977-06-24 1979-01-11 Willi Schaerf Gmbh & Co Kg Vorrichtung zur ueberwachung der atmosphaere in zumindest teilweise geschlossenen raeumen
US4744409A (en) * 1985-08-01 1988-05-17 Erling Berner Valve assembly for air treatment apparatus
US4711097A (en) * 1986-10-24 1987-12-08 Ferdinand Besik Apparatus for sorption dehumidification and cooling of moist air
JPS63286634A (ja) * 1987-05-19 1988-11-24 Kobe Steel Ltd 乾式加湿方法および乾式加湿装置
JPS63306341A (ja) * 1987-06-03 1988-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湿度調整装置
JPH0684821B2 (ja) * 1988-05-19 1994-10-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バッチ式湿度調整装置
JPH02203139A (ja) * 1989-02-02 1990-08-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扇
JPH0331637A (ja) * 1989-06-29 1991-02-12 Omron Corp 室内環境維持装置
AU620227B2 (en) * 1989-07-31 1992-02-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48B1 (ko) * 2004-12-14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습장치 및 조습시스템
KR100707448B1 (ko) * 2005-03-22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204029D0 (en) 1992-04-08
DE4206973A1 (de) 1992-09-17
GB2253478A (en) 1992-09-09
AU1101992A (en) 1992-09-24
KR920018417A (ko) 1992-10-22
GB2253478B (en) 1995-01-04
US5230466A (en) 1993-07-27
DE4206973C2 (de) 1995-08-10
CA2062306C (en) 1995-07-25
AU641083B2 (en) 199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050B1 (ko) 제습 및 가습장치
KR100675802B1 (ko) 제가습 장치
KR100610671B1 (ko) 제가습장치 및 환기시스템
JP2003210929A (ja) 除湿装置
JPH09296948A (ja) 空気調和装置
JP3099590B2 (ja) 除加湿装置
JP3099589B2 (ja) 除加湿装置
KR20020001137A (ko) 환기 및 자동습도조절 장치
JPH04283332A (ja) 乾式除加湿装置
JPH11190542A (ja) 住宅の換気システム
JPH08210664A (ja) 乾式除加湿装置
JPH09145093A (ja) 無給水除加湿装置
JP3588691B2 (ja) 除・加湿装置
JP2833241B2 (ja) 乾式除加湿装置
JPH0727366A (ja) 空質調節機
JP3003352B2 (ja) 除加湿機
JP2001162128A (ja) 調湿機
JP4300983B2 (ja) 除湿装置
KR200207468Y1 (ko) 환기 및 자동습도조절 장치
JP2830493B2 (ja) 乾式除加湿装置
JP2002181352A (ja) 加湿機能付き空気調和機
JP2833237B2 (ja) 乾式除加湿装置
JPH1194317A (ja) 除・加湿装置
JP3099588B2 (ja) 除加湿装置
JP2830490B2 (ja) 乾式除加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