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348B1 - 조습장치 및 조습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습장치 및 조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348B1
KR100707348B1 KR1020050031836A KR20050031836A KR100707348B1 KR 100707348 B1 KR100707348 B1 KR 100707348B1 KR 1020050031836 A KR1020050031836 A KR 1020050031836A KR 20050031836 A KR20050031836 A KR 20050031836A KR 100707348 B1 KR100707348 B1 KR 100707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ir
blower
humidity contro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088A (ko
Inventor
시게오 아오야마
아키라 타쿠시마
에이지 와키사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6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습윤부재를 구비하는 조습장치에 있어서, 기체의 조습을 효율성 있게 행하도록 한다. 조습장치(1)는, 제1 유로(8)와 제2 유로(9)를 구비하여, 데시칸트 로터(11)가 각 유로(8, 9)에서 흡착영역(11A), 가습영역(11M)으로서 기능한다. 데시칸트 로터(11)의 하류측에는, 제1 송풍기(20)와 제2 송풍기(27)가 각 유로(8, 9)마다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송풍기(20, 27)는, 동축 모터(22)의 회전축(23)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송풍기(20, 27)의 배기덕트(24, 29)에는, 유량조정수단으로서의 댐퍼(25, 30)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조습장치 및 조습시스템{A humidity controlling apparatus and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습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은, 조습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4는, 조습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습장치 5, 6: 배기공
8: 제1 유로 9: 제2 유로
11: 데시칸트 로터(조습부재) 20: 제1 송풍기
21, 28: 구동축 22: 동축 모터
23: 회전축 27: 제2 송풍기
25, 30, 62: 댐퍼(유량조정수단)
본 발명은, 조습부재를 구비하는 조습장치, 및 조습장치를 포함하는 조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제습이나, 가습, 환기를 행하는데 있어서, 조습장치나, 조습장치를 포함하는 조습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조습장치에는, 회전형 조습부재인 데시칸트 로터를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켜, 이 데시칸트 로터를 건조기능부분과, 가습기능부분과, 열회수기능부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 11-241837호 공보 참조).
이런 종류의 조습장치에서는, 케이스에 데시칸트 로터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칸막이판을 장착하여,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나누고, 실외측에는 외기를 데시칸트 로터의 건조기능부분으로 통류시키는 제1 통기로를 형성하고, 실내측에는 외기를 데시칸트 로터의 열회수기능부분으로 통류시키는 제2 통기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11-241837호 공보에서, 제2 통기로는, 열회수기능부분을 통류한 후, U턴하여 가습기능부분을 통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통기로에서는, 데시칸트 로터의 한쪽 면에 흡입형 송풍기가 배치되고, 제2 통기로에서는, 데시칸트 로터의 다른 쪽 면에 흡입형 송풍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1 통기로를 통류하는 공기의 방향과, 제2 통기로의 가습기능부분을 통류하는 공기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습장치에서는, 각 유로에, 구동수단인 모터를 포함하는 송풍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송풍기의 크기에 따라 유로 스페이스가 작아져, 유로저항이 증대하고, 압력손실이 컸다. 그렇기 때문에, 충분한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한, 제1 통기로와 제2 통기로 각각을 통류하는 공기가 대향류가 되기 때문 에, 칸막이판을 사이에 둔 각 통기로 사이의 정압차가 커지고, 이 정압차에 의해서, 공기가 데시칸트 로터와 칸막이판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고압측 통기로로부터 저압측 통기로를 향해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공기의 유입이 발생하면, 제2 유로의 데시칸트 로터의 하류측에, 제1 유로로부터 가습되지 않은 공기가 유입되어, 데시칸트 로터에 흡착되는 수분량이 감소되므로, 가습능력의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공기 등의 기체의 조습을 효율성 있게 행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공기를 통류할 수 있는 제1 유로와 제2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로를 통류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조습부재에 흡착시키는 한편, 상기 제2 유로를 통류하는 공기 중에 상기 조습부재의 수분을 탈착시키는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에 공기를 통류시키는 제1 송풍기가 상기 조습부재의 하류에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유로에 공기를 통류시키는 제2 송풍기가 상기 조습부재의 하류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이들 송풍기의 구동원으로서 1개의 동축 모터를 갖고, 상기 동축 모터의 회전축의 각 단부에 상기 제1송풍기의 구동축과 상기 제2 송풍기의 구동축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2송풍기는 상기 제1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방향과 상기 제2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방향이 동일해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이다.
이 조습장치에서는, 동축 모터를 회전시키면, 제1 유로에 배치된 제1 송풍기와, 제2 유로에 배치된 제2 송풍기가 함께 회전구동하고, 각 유로에서 공기의 흡입 이 시작된다. 그 결과, 제1 유로를 공기가 통류할 때, 조습부재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수분을 흡착한 부분은, 조습부재의 회전에 따라 제2 유로 내로 들어가, 이 곳을 통류하는 공기를 가습한다.
또한, 이 조습장치에서는, 제1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방향과 제2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방향이 동일하고, 대략 평행하므로, 조습부재의 상류측에 있어서의 각 유로간의 압력차가 감소된다. 마찬가지로, 조습부재의 하류측에 있어서의 각 유로간의 압력차가 감소된다.
삭제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기와 상기 제2 송풍기는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배기덕트와 송기덕트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송기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그 송풍기를 흐르는 공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조습장치에서, 유량조정수단은, 제1 송풍기 및 제2 송풍기로 흐르는 공기의 풍량에 차이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유로와, 제2 유로의 풍량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로측에 유량조정수단을 마련하고, 제2 송풍기의 풍량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면, 제2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풍량이 제1 유로에 비해 작아진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한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정수단은, 유량면적을 변화시키는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조습장치에서, 댐퍼의 회전각도를 변화시켜서 유로면적을 변화시키면, 댐퍼가 마련된 유로의 풍량이 변화된다. 예를 들어, 댐퍼에 의해 제2 송풍기의 유로면적을 작게 하면, 제2 유로의 풍량이 제1 유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서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조습장치와, 상기 조습장치의 상기 제1 유로 또는 제2 유로의 배출공에 접속된 송풍용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용 덕트에 풍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시스템이다.
이 조습시스템에서, 송풍용 덕트에 유량조정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제2 유로의 풍량과 제1 유로의 풍량 사이에 상대적인 차이를 형성시킨다. 제1 유로의 배출공에 송풍용 덕트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습된 공기를 실내 등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의 배출공에 송풍용 덕트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습된 공기를 실내 등에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의한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로 중 어느 한 쪽에는 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가 구비되는 유로에는 그 유로와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흡기공 근방에서 상기 히터 근방까지 연장되되 상기 조습부재의 외주측 일부분이 들어가는 칸막이판이 구비되며, 상기 조습부재는 상기 칸막이판에 의해 상기 흡기공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바로 통과하는 퍼지영역과,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는 가습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개략 구성을 도시한 바와 같이, 조습장치(1)에는, 케이스(2)의 한 쪽 측부(2a)에 2개의 흡기공(3, 4)이 형성되어 있고, 한 쪽 측부(2a)에 대향하는 다른 쪽 측부(2b)에는 2개의 배기공(이하, 배기공(5)과, 급기공(6)이라고 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 내에는, 양측부(2a, 2b)를 연결하는 칸막이판(7)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칸막이판(7)에 의해, 흡기공(3)에서 배기공(5)으로 공 기를 통류시키는 제1 유로(8)와, 제1 유로(8)에 평행하고, 흡기공(4)에서 급기공(6)으로 공기를 통류시키는 제2 유로(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칸막이판(7)에는, 케이스(2)의 한 쪽 측부(2a)와 다른 쪽 측부(2b) 사이에 절결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조습부재인 데시칸트 로터(11)가 삽입되어 있다.
데시칸트 로터(11)는, 그 외형이 대략 원주형상을 갖고, 예를 들어, 허니콤 구조 등, 통기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표면 또는 내부에 데시칸트(흡습재)가 마련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데시칸트 로터(11)는, 원형의 전면(12) 및 후면(13)이 각 유로(8, 9)와 직교하도록, 또한 각 유로(8, 9)에의 노출량이 균등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데시칸트 로터(11)의 외주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브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드라이브 모터의 회전에 따라, 각 유로(8, 9)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축선 둘레로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데시칸트 로터(11)에 있어서, 제1 유로(8) 내에 있는 부분이 흡착 영역(11A)으로서 기능하고, 제2 유로(9) 내에 있는 부분이 가습영역(11M)으로서 기능한다. 각 영역(11A, 11M)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유로(8)에는, 데시칸트 로터(11)의 하류측에 제1 송풍기(20)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송풍기(20)는, 그 내부에 날개차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흡입형 팬이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송풍기(20)의 구동원은 동축 모터(22)이며, 동축 모터(22)의 회전축(23)의 일단부에는, 제1 송풍기(20)의 날개차의 구동축(21)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송풍기(20)의 배기덕트(24)는, 배기공(5)에 접속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덕트(24) 내에는, 유량조정수단으로서의 댐퍼(25)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댐퍼(25)는, 배기공(5)으로부터의 배기량이 소정량이 되도록 회전각도가 미리 조정되어 있다.
제2 유로(9)에는, 데시칸트 로터(11)의 상류측에 히터(26)가 배치되어 있다. 이 히터(26)는, 전기나, 온수, 증기 등을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원이다. 또한, 데시칸트 로터(11)의 하류에는, 흡입형 팬인 제2 송풍기(27)가 배치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송풍기(27)의 구동원은 동축 모터(22)이며, 동축 모터(22)의 회전축(23)의 타단부에는, 제2 송풍기(27)의 날개차의 구동축(28)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송풍기(27)의 송기덕트(29)는, 급기공(6)에 접속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기덕트(29) 내에는, 유량조정수단으로서의 댐퍼(3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댐퍼(30)는, 배기량이 소정량이 되는 회전각도, 예를 들어, 상기한 제1 송풍기(20)측의 댐퍼(25)보다도 유로면적이 작아지는 회전각도로 미리 조정되어 있다.
또한, 동축 모터(22)는, 칸막이판(7)을 관통하도록 케이스(2)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가능한 로터를 갖고, 로터의 회전축(23)의 양단부를 제1 유로(8)측과, 제2 유로(9)측 각각에 돌출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가 드라이브 모터에 의해 데시칸트 로터(11)의 회전을 시작시켜 동축 모터(22)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각 송풍기(20, 27)는,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한다. 제1 유로(8)에는, 흡기공(3)으로부터 소정유량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 공기는, 데시칸트 로터(11)의 흡착 영역(11A)을 통류하여 제1 송 풍기(20)로 흡입되는데, 그 도중에,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흡착 영역(11A)의 데시칸트에 흡착되어 건조한 제습공기가 된다. 이 제습공기는, 제1 송풍기(20)의 배기덕트(24)를 통과하여 배기공(5)으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이 경로상에 있는 댐퍼(25)에 의해 제1 유로(8)의 풍량이 조절된다.
또한, 제2 유로(9)에는, 흡기공(4)으로부터 소정유량의 공기가 흡입되며, 히터(26)에 의해 가열된다. 히터(26)에 의해 가열된 따뜻한 공기는, 데시칸트 로터(11)의 가습영역(11M)을 통류하여 제2 송풍기(27)로 흡입된다. 여기서, 데시칸트 로터(11)는, 제1 유로(8)에서 흡착 영역(11A)으로서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제2 유로(9)로 이동하여, 가습영역(11M)이 되고, 따뜻한 공기에 의해 데시칸트가 보유하고 있는 수분을 탈착한다. 그 결과, 제2 송풍기(27)에 흡입된 공기는, 가습된 습윤공기가 된다. 이 습윤공기는, 제2 송풍기(27)의 송기덕트(29) 내의 댐퍼(30)에 의해 유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급기공(6)으로부터 실내 등으로 급기된다. 또한, 제2 유로(9) 내에서 수분을 방출한 데시칸트는, 데시칸트 로터(11)의 회전에 따라 제1 유로(8)로 이동하고, 흡착영역(11A)으로서 기능하여 다시 수분을 흡착시킨다. 이 습윤공기는 제2 송풍기(27)로부터 송기 덕트(29)를 통과하여, 급기공(6)으로부터 실내 등으로 급기된다. 이 경로상에 있는 댐퍼(30)에 의해 제1 유로(8)의 풍량이 조절된다. 또한, 제2 유로(9) 내에서 수분을 방출한 데시칸트는, 데시칸트 로터(11)의 회전에 따라 제1 유로(8)로 이동하여, 흡착영역(11A)이 되어 다시 수분을 흡착한다.
여기서, 도2를 참고로 하여, 이 조습장치(1)에 있어서, 데시칸트 로터(11)의 전후에 있어서의 정압을 비교하면, 제1 유로(8)에서는, 데시칸트 로터(11)의 상류측 정압(P1)은 대략 대기압이며, 하류측의 정압(P2)(부압)보다도 커진다. 마찬가지로, 제2 유로(9)에서는, 데시칸트 로터(11)의 상류측 정압(P3)은 대략 대기압이며, 하류측 정압(P4)(부압)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데시칸트 로터(11)의 상류측 정압(P1)과 정압(P3)의 차이는, 종래와 같은 대향류의 경우에 비해 작아지므로, 데시칸트 로터(11)의 전면(12)과 칸막이판(7) 사이의 틈에서 누설되는 공기의 양은 적어진다. 마찬가지로, 데시칸트 로터(11)의 하류측 정압(P2)과 정압(P4)의 차이는, 종래와 같은 대향류의 경우에 비해 작아지므로, 데시칸트 로터(11)의 후면(13)과 칸막이판(7) 사이의 틈으로부터 누설되는 공기의 양은 적어진다. 따라서, 유로(8, 9)사이에서의 공기의 누설이 억제되므로, 흡착 손실이나 가습 손실이 저감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유로(8, 9)에 공기를 통류시키는 각 송풍기(20, 27)를 같이 데시칸트 로터(11)의 하류측에 배치했으므로, 데시칸트 로터(11)의 상류에 있어서의 정압(P1, P3)의 차이, 및 하류에 있어서의 정압(P2, P3)의 차이를 각각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데시칸트 로터(11)와 칸막이판(7) 사이에서의 공기의 누설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안정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송풍기(20, 27)의 구동원으로서 단일한 동축 모터(22)를 공용하도록 했으므로, 송풍기(20, 27)를 별도로 설치한 경우에 비해,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로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풍량이 커지고, 효율성 있게 공기를 가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로면적을 크게 하는 대신에 장치를 작 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각 송풍기(20, 27)는,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는데, 각 송풍기(20, 27)의 각 덕트(24, 29)의 댐퍼(25, 30)의 회전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각 유로(8, 9)의 풍량을 상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조습장치(1)의 사용예로서는, 도3에 도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도3은, 건물(40)의 지붕 안쪽 등에 조습장치(1)를 설치하고, 외장형 덕트를 장착한 조습시스템의 평면도이다. 건물(40)은, 가옥이나, 오피스, 공장 등이며, 4개의 방(41, 42, 43, 44)을 갖고 있으나, 방수(구획수)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습시스템은, 조습장치(1)의 제1 유로(8)의 흡기공(3)에 흡기용 덕트(50)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흡기용 덕트(50)는, 옥외에 흡기구(5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유로(8)의 배기공(5)에는 배기용 덕트(52)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배기용 덕트(52)는, 옥외에 배기구(5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유로(9)의 흡기공(4)에는 흡기용 덕트(54)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흡기용 덕트(54)는, 옥외에 개구부(55)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유로(9)의 급기공(6)에는, 습윤공기의 배출 및 공급을 행하는 송풍용 덕트(56)가 접속되어 있으며, 송풍용 덕트(56)는, 분배기(57)에 의해 송풍용 덕트(58)와 송풍용 덕트(59)로 분기되어 있다. 각 송풍용 덕트(58, 59)는, 방(43, 44)의 각 천정면에 급기공(60, 6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송풍용 덕트(59)에는, 유량조정수단인 댐퍼(62)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댐퍼(62)에 의해 풍량을 조절할 경우에는, 조습장치(1)측의 댐퍼(25, 30)(도2 참조)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이 조습시스템에서는, 외기를 흡기용 덕트(50)로 흡입하여, 조습장치(1)의 제1 유로(8)로 통류시켜 데시칸트 로터(11)에 수분을 흡착시킨 후, 제1 송풍기(20)로부터 배기용 덕트(52)를 거쳐 옥외로 배출한다. 또한, 흡기용 덕트(54)에 의해 옥외로부터 외기를 거두어 들여 제2 유로(9)로 통류시키고, 히터(26)에 의해 가열하고, 데시칸트 로터(11)에 의해 가습한 후, 제2 송풍기(27)로부터 송풍용 덕트(56, 58, 59)를 거쳐 방(43, 44)으로 급기한다. 송풍용 덕트(59)의 길이는, 송풍용 덕트(58)에 비해 짧지만, 댐퍼(62)에 의해 유로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각 방(43, 44)에 소정의 풍량으로 습윤공기가 공급된다.
이러한 조습시스템에서는, 건물(40)에 습윤공기를 안정화시켜, 충분한 풍량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송풍용 덕트(59)에 유량조정수단으로서의 댐퍼(62)를 마련했으므로, 제2 유로(9)를 통류하는 풍량을 송풍용 덕트(59)측에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조습시스템에서는, 송기측의 덕트가 여러 개로 분기되어 있지만, 분기되지 않은 단일한 덕트이어도 좋고, 3개 이상으로 분기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3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용 덕트(50) 대신에, 2개의 방(41, 42)의 각 천정면에 흡기구를 갖는 흡기용 덕트를 흡기공(3)에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 방(41, 42) 내의 공기를 환기용으로서 제1 유로(8)로 흡입할 수 있게 되어, 실내 환기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의 흡기용 덕트의 수나 분기수는, 도3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송풍용 덕트(56)를 제1 유로(8)의 배기 공(5)에 접속하고, 제2 유로(10)의 배기공(6)에 배기용 덕트(52)를 접속해도 좋다. 이렇게 접속하면, 제습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널리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에 도시하는 조습장치(70)와 같이, 케이스(2)의 정면(2c)에 흡기공(4)을 마련하고, 제2 유로(71)를 흡기공(4)으로부터 히터(26) 근방에서 되돌려서, 데시칸트 로터(11)를 통과하여 제2 송풍기(27)로 이끌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제2 유로(71)의 형성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흡기공(4) 근방에서 연장되는 칸막이판(72)을 들 수 있다. 이 칸막이판(72)은, 데시칸트 로터(11)의 외주측의 일부분이 들어가도록 히터(26)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 데시칸트 로터(11)는, 외측의 퍼지영역(11P)과, 칸막이판(72)과 칸막이판(7)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인 가습영역(11M)으로 나누어진다. 퍼지영역(11P)에서는, 온도가 낮은 외기가 통류함으로써, 데시칸트 로터(11)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 조습장치(70)에서, 흡기공(4)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데시칸트 로터(11)의 퍼지영역(11P)을 통류한 후에, 히터(26)에 의해 가열되어, 가습영역(11M)에서 습윤공기가 되어 제2 송풍기(27)로 흡입된 후 급기공(6)으로부터 급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2,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량조정수단이, 댐퍼(25, 30, 62)인 경우, 댐퍼(25, 30, 62)는, 수동으로 회전각도를 변화할 수 있도록 해도 좋고, 댐퍼회전용 모터에 연결시켜도 좋다.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동으로 댐퍼(25, 30, 62)의 회전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급기공(6)이나, 송풍용 덕트 (56)에 풍량계를 마련하여, 댐퍼(25, 30, 62)의 회전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유량조정수단은, 댐퍼(25, 30, 62) 외에, 유로면적이 작은 영역을 적어도 일부 마련하여 유로저항을 크게 한 덕트나, 길게 하여 유로저항을 크게 한 덕트 등, 형상저항계수를 바꿔서 유량을 변경시키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좋다. 또한, 유량조정수단은, 각 송풍기(20, 27)의 흡기측에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조습장치(1)의 흡기공(3, 4)에 마련해도 좋고, 조습시스템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흡기용 덕트(44, 45, 48, 51)에 마련해도 좋다. 또한, 제1 유로(8)측에는, 댐퍼(예를 들어, 댐퍼(25))를 마련하지 않고, 제2 유로(9)만을 마련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습부재를 회전시키면서 조습을 행하는데 있어서, 각 유로의 송풍기를 하나의 동축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시켰으므로, 종래에 비해 모터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로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장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습부재에 대해 동일한 측에 각 송풍기를 배치하면, 각 유로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이 동일한 방향이 되므로, 조습부재의 상류 또는 하류 각각에 있어서의 유로간의 압력차가 작아져서, 유로간의 공기누설이 적어진다. 따라서, 흡습 손실이나, 가습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정수단을 마련하면, 1개의 동축 모터를 구동원으로서 사용하면 서도, 유로마다 풍량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흡습 및 가습을 효율성 있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습시스템의 경우, 송풍용 덕트의 덕트 지름이나 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적절한 풍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공기를 통류할 수 있는 제1 유로와 제2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로를 통류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조습부재에 흡착시키는 한편, 상기 제2 유로를 통류하는 공기 중에 상기 조습부재의 수분을 탈착시키는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에 공기를 통류시키는 제1 송풍기가 상기 조습부재의 하류에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유로에 공기를 통류시키는 제2 송풍기가 상기 조습부재의 하류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이들 송풍기의 구동원으로서 1개의 동축 모터를 갖고, 상기 동축 모터의 회전축의 각 단부에 상기 제1 송풍기의 구동축과 상기 제2 송풍기의 구동축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 송풍기와 상기 제2 송풍기는 상기 제1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방향과 상기 제2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방향이 동일해지도록 배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로 중 어느 한 쪽에는 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가 구비되는 유로에는 그 유로와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흡기공 근방에서 상기 히터 근방까지 연장되되 상기 조습부재의 외주측 일부분이 들어가는 칸막이판이 구비되며, 상기 조습부재는 상기 칸막이판에 의해 상기 흡기공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바로 통과하는 퍼지영역과,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는 가습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KR1020050031836A 2004-12-14 2005-04-18 조습장치 및 조습시스템 KR100707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61504 2004-12-14
JP2004361504A JP2006170492A (ja) 2004-12-14 2004-12-14 調湿装置及び調湿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088A KR20060067088A (ko) 2006-06-19
KR100707348B1 true KR100707348B1 (ko) 2007-04-13

Family

ID=3667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836A KR100707348B1 (ko) 2004-12-14 2005-04-18 조습장치 및 조습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170492A (ko)
KR (1) KR100707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3944A (zh) * 2019-08-28 2021-03-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加湿装置的方法、加湿装置、空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4671B2 (ja) * 2011-07-19 2015-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除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849035B1 (ja) 2019-09-30 2021-03-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ユニット
JP6974771B2 (ja) 2020-03-16 2021-12-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ユニット
JP2021169902A (ja) * 2020-04-17 2021-10-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ユニット
KR102668298B1 (ko) * 2022-10-20 202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050B1 (ko) * 1991-03-05 1995-08-1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제습 및 가습장치
KR200192952Y1 (ko) * 2000-03-09 2000-08-16 주식회사유한프랜트 가습수단을 갖춘 열 회수 환기장치
KR200207468Y1 (ko) * 2000-06-26 2000-12-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환기 및 자동습도조절 장치
KR20040102703A (ko) 2003-05-29 2004-12-08 김용정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3927U (ja) * 1981-09-19 1983-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除湿機
JPS6066969U (ja) * 1983-10-14 1985-05-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全熱交換器
JPH04288422A (ja) * 1991-03-18 1992-10-13 Matsushita Seiko Co Ltd ダクト式空調機
JPH05346253A (ja) * 1992-06-12 1993-12-27 Aten:Kk 湿度調節型換気装置
JPH0682119A (ja) * 1992-09-02 1994-03-22 Toshiba Ave Corp 空気調和機
JP2524299B2 (ja) * 1993-04-30 1996-08-14 株式会社オーエム研究所 ソ―ラ―システムハウスのハンドリングボックス
JP3045146B2 (ja) * 1998-07-07 2000-05-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除湿装置
JP2001201106A (ja) * 2000-01-18 2001-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3567857B2 (ja) * 2000-06-13 2004-09-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2061912A (ja) * 2000-08-17 2002-02-28 Nishi Kensetsu:Kk 除湿及び加湿機能付き換気装置
JP2002066251A (ja) * 2000-08-28 2002-03-05 Tokyo Gas Co Ltd 除湿及び加湿装置
JP2003247732A (ja) * 2002-02-25 2003-09-05 Ohbayashi Corp デシカント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050B1 (ko) * 1991-03-05 1995-08-1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제습 및 가습장치
KR200192952Y1 (ko) * 2000-03-09 2000-08-16 주식회사유한프랜트 가습수단을 갖춘 열 회수 환기장치
KR200207468Y1 (ko) * 2000-06-26 2000-12-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환기 및 자동습도조절 장치
KR20040102703A (ko) 2003-05-29 2004-12-08 김용정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3944A (zh) * 2019-08-28 2021-03-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加湿装置的方法、加湿装置、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088A (ko) 2006-06-19
JP2006170492A (ja)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671B1 (ko) 제가습장치 및 환기시스템
KR100707448B1 (ko) 공기조화기
CN101688676B (zh) 湿度调节装置
KR100707348B1 (ko) 조습장치 및 조습시스템
JPH05346253A (ja) 湿度調節型換気装置
KR101398897B1 (ko) 환기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JP5547524B2 (ja) 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6970930B1 (ja) 空気調和機
KR100600773B1 (ko) 공기조화기
JP2008116060A (ja) 吸着体、調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7142248B2 (ja) 空気調和機
JP2835695B2 (ja) 全熱交換換気装置
JP3716089B2 (ja) 空気調和機
JP2022060874A (ja) 空気調和機
JP2022060876A (ja) 空気調和機
JP3595446B2 (ja) 加湿・換気・除湿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2779386B2 (ja) 全熱交換換気装置
CN206037317U (zh) 一种空调器及空气加湿装置
JPH1194316A (ja) 除・加湿装置
KR100624729B1 (ko) 공기조화기
KR100352430B1 (ko)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JP7065446B2 (ja) 空気調和機
JP5621535B2 (ja) 空気調和機
JP2002181352A (ja) 加湿機能付き空気調和機
KR101162165B1 (ko)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