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031Y1 -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031Y1
KR950009031Y1 KR2019910019902U KR910019902U KR950009031Y1 KR 950009031 Y1 KR950009031 Y1 KR 950009031Y1 KR 2019910019902 U KR2019910019902 U KR 2019910019902U KR 910019902 U KR910019902 U KR 910019902U KR 950009031 Y1 KR950009031 Y1 KR 9500090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front side
vehicle
reinforcement membe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419U (ko
Inventor
아쯔시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9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0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2 도는 상기 차체구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앞 보강부재 및 뒤 보강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4 도는 앞 사이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제 5 도는 앞 충돌시에 있어서의 앞 사이드 프레임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앞 사이드 프래임 6 : 휠 에이프런
7 : 휠 에이프런 뒤 8 : 토오크 박스
9 : 상부 링크부재(휠 에이프런 보강부재) 17 : 앞 보강부재
18 : 뒤 보강부재 19 : 간격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앞 충돌시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55-25583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같이, 앞부분 차체의 좌우 양 옆 방향부분에는, 차체의 앞뒤 방향으로 뻗는 폐단면 형상의 앞 사이드 프레임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앞 사이드 프레임은, 차체 앞부분의 기본구조를 이루는 것이며, 그 중앙부분, 즉 차실의 앞쪽부분에 위치하는 부분의 강성이 앞끝부분에 비하여 높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앞 충돌시에 상기 앞 사이드 프레임의 앞끝부분이 찌그리지는 것에 의해 앞 충돌시의 충격하중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앞부분 차체구조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앞 사이드 프레임의 앞끝부분이 집중적으로 찌그리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앞충돌시의 충돌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에는, 앞 사이드 프레임의 앞끝부분을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앞부분 차체가 길게 되는 것을 피하지 않으면 안되어, 차체를 설계함에 커다란 제약을 받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차체 설계상의 제약을 받지않고, 앞 사이드프레임의 하중 흡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앞부분 좌우에 설치된 토오크 박스 및 휠 에이프런 보강부재와, 차체의 앞뒤 방향으로 뻗는 앞 사이드 프레임을 갖춘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앞 사이드 프레임에, 앞 보강부재와 뒤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양 보강부재 사이에 파괴 공간으로 되는 간격을 설치하고, 상기 뒤 보강부재를, 상기한 토오크 박스 및 휠 에이프런 보강부재의 설치부분에 인접시켜서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앞 충돌시에 작용하는 충격 하중에 따라서, 앞 사이드 프레임이 앞 보강부재와, 뒤 보강부재 사이에 설치된 파괴공간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변형하고, 이 부분에 있어서 상기한 충격 하중이 효과적으로 흡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뒤 보강부재가 설치된 앞 사이드 프레임의 뒷부분은, 토오크 박스 및 휠 에이프런 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된 차실의 앞쪽부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지지강성이 충분히 확보되게 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고안에 관한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는, 앞 사이드 프레임(1)과 No. 1의 크로스부재(2)와, 덮개 상부부재(3)와, 덮개패널(4)과, 덮개 옆 패널(5)과, 휠 에이프런(6)과, 휠 에이프런 뒤(7)와, 토오크 박스(8)와, 휠 에이프런 보강부재로 이루어진 상부링크부재(9)와, 카울패널(10)과, 카울 앞패널(11)과, 대쉬 상부 패널(12)과, 차실의 앞벽부분을 구성하는 대쉬 하부 패널(13)과, 카울판 상부 내부(14)와, 카울 옆 보강부재(15)를 갖추고 있다.
상기한 앞 가이드 프레임(1)은, 앞부분 차체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고, 차체의 앞뒤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패널(1a)과, 외부패널(1b)을 갖추고 있다.
상기한 내부패널(1a)의 앞끝부분에서 중앙부분에 걸친 부분은, 차폭 방향의 바깥쪽면 부분이 열려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뒤쪽 부분은, 위끝면 부분 및 차폭 방향의 바깥쪽면 부분이 열려진 ""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외부패널(1b)은, 옆에서 보았을때 상기한 내부 패널(1a)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 형상의 부재로 되며, 이 외부패널(1b)과 상기한 내부패널(1a)이 접합되는 것에 의해, 그 내부에 차체의 앞뒤 방향으로 얻는 내부공간(1c)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앞끝부분에서 중앙 부분에 걸친 부분은, 상기한 내부 패널(1a)의 "" 형상 단면부분과, 그 바깥면에 접합된 외부패널(1b)에 의해 폐단면 구조에 형성되는 동시에, 그 뒤쪽부분은, 내부패널(1a)의 "L" 형상 단면과, 그 바깥면에 접합된 내부패널(1b)에 의해 위 면이 열리진 "" 형상 단면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휠 에이프런뒤(7)는, 그 앞쪽에 설치된 휠 에이프런(6)과 동시에, 앞 타이어의 수용 공간을 구성하는 판재로 되며, 위쪽 부분이 바깥쪽으로 만곡하도록 여러곳에서 굽혀지며, 그 안쪽끝부분 아래면이 상기한 앞사이드 프레임(1)의 외부패널(1b)의 위 가장자리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오크 박스(8)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된 토오크 박스 하부(8b)와, 그 위면에 접합되는 토오크 박스 상부(8a)로 이루어지며, 이 양 부재에 의해 토오크 박스공간(8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토오크 박스 상부(8a)의 앞끝부분과, 토오크 박스 하부(8b)의 앞끝부분 사이에는, 차실의 앞벽부분을 구성하는 대쉬 하부패널(13)의 아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토오스 박스(8)는, 그 안쪽면 부분이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외부패널(1b)의 바깥쪽면에 접합되는 동시에, 바깥쪽 부분이 차실의 좌우 양쪽끝 부분의 아래 가장자리쪽 부분에 따라서 차체의 앞뒤 방향으로 뻗는 옆턱(16)의 양옆면에 접합되는 것에 의해, 차실 앞부분의 바닥패널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상부링크 부재(9)는,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그 바깥둘레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휠 에이프런 뒤(7)의 아래면에 접합되는 동시에, 안쪽둘레 가장자리 부분이 토오크박스 하부(8b) 및 대쉬하부패널(13)의 앞면에 접합되는 것에 의해, 휠 에이프런 뒤(7)의 형상에 따른 페단면을 형성하여, 이것에 의해 차실의 앞끝부분에 있어서 상기 휠 에이프런(6)의 뒤 가장자리 부분을 보강하는 휠 에이프런 보강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닥 옆 프레임(1)의 내부공간(1c)에는, 앞 보강부재(17)와, 뒤 보강부재(18)가 마주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앞 보강부재(17)는, 내부공간(1c)의 폐단면부분, 즉,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앞끝부분에서 중앙부분에 걸친 부분에 설치되며, 이 부분의 형상에 대응한 크기로 외측면 부분이 열린 ""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앞 보강부재(17)에는, 그 뒤끝부분을 밀페하는 뒤벽(17a)과, 이 뒤벽(17a)의 바깥쪽 끝부분에서 차체의 뒤방향쪽으로 돌출 설치된 접속플랜지(17b)가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한 뒤 보강부재(18)는, 위끝면 부분이 열린 ""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좌우의 옆멱(18a),(18b)의 높이가 뒤쪽 부분으로 이르면서 차차로 낮게 되도록 형성되며, 앞끝부분이 위쪽으로 뻗는 킥업(Kick up)보강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뒤 보강부재(18)의 옆벽(18a),(18b)의 앞끝 부분에는, 앞 보강부재(17)의 접속플랜지(17b)에 대향하는 일어선부분(18a),(18b)이 형성되고, 그중의 차폭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일어선 부분(18c)에 상기한 앞 보강부재(17)의 접속플랜지(17b)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뒤 보강부재(18)의 차폭방향의 안쪽에 위치하는 옆벽(18b)의 일어선 부분(18d)과, 상기한 앞 보강부재(17)의 뒤벽(17a) 사이에는, 소정 치수의 틈(19)이 형성되고, 이 간격(19)의 형성부분, 즉 상기한 앞 보강부재(17)와, 뒤 보강부재(18)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차폭방향의 안쪽부분에, 앞 사이드 프레임(1)의 강성이 국부적으로 낮게 된 파괴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다시, 상기한 보강부재(17)의 뒤끝부분에는, 그 위벽부분 및 바닥벽 부분의 바깥쪽 가장자리 부분을 원호형상으로 절결하여 이룬 절결부분(20)이 형성되고, 이 절결부분(20)의 형성부분, 즉, 앞 사이드 보강부재(17)의 뒤끝부분에 위치하는 차폭방향의 바깥쪽 부분에 앞 사이드 프레임(1)의 강성이 국부적으로 낮게된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한 앞 사이드 프레임(1)은, 그 중앙부분에 있어서, 차폭 방향의 안쪽부분의 강성이 낮게 된 부분과, 차폭 방향의 바깥쪽 부분의 강성이 낮게된 부분이 서로 앞뒤로 하여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뒤 보강부재(18)가 설치된 앞 사이드 프레임(1)의 뒤부분, 즉, 차실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부분은, 폐단면 구조의 상기한 토오크 박스(8)를 거쳐서 옆턱(16)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한 상부 링크부재(9)에 의해 형성된 폐단면 부분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자동차의 앞 충돌시에는,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앞끝부분에서 입력되는 충격 하중에 따라서, 우선 도시를 생략한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앞끝부분이 찌그러지는 것에 의해, 어느정도 상기한 충격하중이 흡수된다.
그리고, 상기한 충격 하중이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앞끝부분에서 뒤쪽으로 전달되면. 강성이 낮은 상기한 간격(19)의 형성부분 및 절결부분(20)의 형성부분에 응력집중이 발생하고, 이 부분을 중심으로 앞 사이드 프레임(l)이 변형하게 된다.
즉, 앞 사이드 프레임(1)은, 그 중앙부분에 상기한 절결부분(20) 및 간격(19)으로 된 강성이 낮은 부분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 뒤부분이 상기한 토오크 박스(8) 및 상부링크부재(9)에 의해 보강되어서 그 강성이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결부분(20)의 형성부분에 있어서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차복방향의 바깥쪽 끝부분이 파괴되는 동시에 그 앞쪽부분(A)이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차체의 바깥쪽으로 변화하도록 절곡된다.
또한, 상기한 간격(19)의 형성부분에 있어서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차폭 방향의 안쪽끝 부분이 찌그러지는 동시에, 그 앞쪽부분(B)이 차체의 바깥쪽에 변화하도록 절곡되게된다.
이와같이, 상기한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중앙부분에 상기한 간격(19)으로 이루어진 파괴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앞쪽의 근접한 위치에 절결부분(20)을 형성하여, 상기한 간격(19)의 설치부분과, 절결부분(20)의 설치부분을 서로 역방향으로 변형시키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한 중앙부분에 있어서, 앞 사이드 프레임(1)을 적극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앞끝부분과, 상기한 중앙부분과의 2곳에 하중흡수 기능이 발휘되고, 앞 사이드 프레임(1) 전체의 하중 흡수성능이 큰폭으로 향상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토오크 박스(8) 및 상부 링크부재(9)에 의해 차실의 앞부분을 보강하는 동시에, 이 부분에 인접하는 위치에 뒤 보강부재(18)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한 간격(19) 및 절결부분(20)이 형성된 앞 사이드프레임(1)의 중앙부분의 뒤쪽으로 위치하는 부분의 지지강성이 충분히 확보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중앙부분에 전달된 앞충돌시의 충격 하중을 상기한 간격(19) 및 절결부본(20)의 형성부분에 집중시켜서 이 부분을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 변형의 영향이 차실의 앞 부분에 미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뒤 보강부재(18)의 차폭 방향의 안쪽부분에 위치하는 옆벽(18b)의 일어선 부분(18d)과, 상기 앞 보강부재(17)의 뒤벽(17a)의 사이에, 소정 치수의 간격(19)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안쪽부분의 강성을 저하시키도록 한 파괴공간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 파괴공간의 구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한 틈의 형성 및 크기 등을 적당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하중 흡수 성능을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뒤 보강부재(18)의 차폭 방향의 바깥쪽 부분에 위치하는 옆벽(18a)의 일어선 부분(18c)과, 상기 앞 보강부재(17)의 뒤벽(17a)과의 사이에, 앞 사이드 프레임(1)의 바깥쪽 부분의 강성을 저하시키는 등을 설치한 구조로서도 좋다.
상기한 앞 보강부재(17)에 설치된 절결부분(20)의 형상, 위치 및 크기도 다양하에 변경할 수 있으며, 이 절결부분(20)을 생략한 구조로서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양 보강부재(17),(18)를 앞 사이드 프레임(1)의 내부공간(1c)안에 수용하고 있지만, 이들을 앞 사이드 프레임(1)의 외부패널(1b)의 바깥쪽면 등에 접합한 구조로서도 충다.
상기한 설명에서 본 고안은, 앞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한 앞 보강부재와, 뒤 보강부재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앞 사이드 프레임의 중앙부분에 파괴 공간을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자동차의 앞충돌시에, 앞 사이드 프레임 중앙부분을 적극적으로 변형시키도록 구성한 때문에, 앞 사이드 프레임의 앞끝부분에 더하여, 상기한 중앙부분에 있어서도 앞 충돌시의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앞사이드 프레임 전체의 하중 흡수성능을 큰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결국, 앞 사이드 프래임의 앞끝부분을 길게하지 않고, 앞충돌시의 충격 하중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한 앞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하여 차체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앞부분 좌우에 설치된 토오크 박스 및 휠 에이프런 보강부재에 의해 차실의 앞부분을 보강하는 동시에, 이 부분에 인접하는 위치에 뒤 보강부재를 설치한 때문에, 상기한 파괴 공간이 형성된 앞 사이드 프레임의 중앙부분의 뒤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지지강성이 충분히 확보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한 앞 사이드 프레임의 중앙부분에 전달된 앞충돌시의 충격 하중을 파괴공간의 설치부분에 집중시켜서 이 부분을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 변형의 영향이 차실의 앞부분에 미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앞부분 좌우에 설치된 토오크박스(8) 및 휠 에이프런 보강부재(9)와, 차체의 앞뒤 방향으로 뻗는 앞 사이드 프레임(1)을 갖춘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앞 사이드 프레임(1) 사이에, 앞 보강부재(17)와, 뒤 보강부재(18)를 설치한 동시에, 이 양 보강부재(17), (18)의 사이에, 파괴 공간으로 되는 간격(19)을 설치하고, 상기한 뒤 보강부재(18)를, 상기한 토오크박스(8) 및 휠 에이프런 보강부재(9)의 설치부분에 인접시켜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KR2019910019902U 1990-11-29 1991-11-20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KR95000903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27893 1990-11-29
JP12789390 1990-11-29
JP91-082758 1991-10-11
JP1991082758U JP2563632Y2 (ja) 1990-11-29 1991-10-11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19U KR920009419U (ko) 1992-06-16
KR950009031Y1 true KR950009031Y1 (ko) 1995-10-19

Family

ID=2642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902U KR950009031Y1 (ko) 1990-11-29 1991-11-20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84868A (ko)
JP (1) JP2563632Y2 (ko)
KR (1) KR950009031Y1 (ko)
DE (1) DE4139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9308A (ja) * 1992-05-14 1993-12-0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DE19600460C2 (de) * 1996-01-09 2000-08-10 Opel Adam Ag Karosserievorderbau für ein Kraftfahrzeug
JP3528408B2 (ja) * 1996-03-19 2004-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体構造
DE29615364U1 (de) * 1996-09-04 1996-11-07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Kraftfahrzeugkarosserie
US5951097A (en) * 1997-04-17 1999-09-14 Chrysler Corporation Impact reinforcement for curved rails in motor vehicles
US6007099A (en) * 1997-12-01 1999-12-2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intrusion energy management frame element
US6429846B2 (en)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US6193273B1 (en) 1998-08-03 2001-02-27 Aluminum Company Of America Automotive vehicle cast frame components
CA2280440C (en) * 1998-08-17 2005-01-18 Masayoshi Okamoto Automotive vehicle body structure demonstrating a controlled reaction load
US6822635B2 (en) 2000-01-19 2004-11-2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interface for laptop computers and other portable devices
DE10061848A1 (de) * 2000-12-12 2002-06-13 Daimler Chrysler Ag Tragstruktur einer selbsttragenden Karosserie
DE10151006A1 (de) * 2001-10-16 2003-04-17 Volkswagen Ag Träger an Kraftfahrzeugen
US8059088B2 (en) * 2002-12-08 2011-11-15 Immersio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haptic messaging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GB2414319A (en) * 2002-12-08 2005-11-23 Immersion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haptic messaging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8830161B2 (en) 2002-12-08 2014-09-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virtual touch haptic effect to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P1440867B1 (en) * 2003-01-24 200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tructural design component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527119B1 (ko) * 2003-04-15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펜더에이프론의 프론트엔드모듈 결합부 강성증대구조
US7226121B2 (en) * 2004-08-06 2007-06-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Rail assembly for vehicles
KR100644942B1 (ko) * 2004-10-05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플로워의 하부 충돌 분산 구조
US7243981B2 (en) * 2005-06-03 2007-07-1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Vehicle body deformation control assembly
JP5163083B2 (ja) * 2007-12-05 2013-03-13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5163082B2 (ja) * 2007-12-05 2013-03-13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DE202010017554U1 (de) * 2010-05-20 2012-02-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derwagenstruktur einer Fahrzeugkarosserie
KR101534751B1 (ko) 2014-09-30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방 충돌 대응 차체보강구조
DE102015001919B4 (de) * 2015-02-13 2018-06-28 Audi Ag Karosserie für ein Kraftfahrzeug und zugehöriges Kraftfahrzeug
JP6546065B2 (ja) * 2015-10-26 2019-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US10967918B2 (en) * 2019-06-25 2021-04-06 Fca Us Llc Kick down area enabl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8886A (en) * 1972-10-05 1974-11-19 Ford Motor Co Body support and impact absorbing frame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3831997A (en) * 1973-03-22 1974-08-27 Ford Motor Co Controlled collapse vehicle front end structure
DE2636655A1 (de) * 1976-08-14 1978-02-16 Daimler Benz Ag Hohltraeger fuer fahrzeug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S5525583A (en) * 1978-08-14 1980-02-23 Kawasaki Heavy Ind Ltd Fuel weighing device for carburetor
JPS5889475A (ja) * 1981-11-20 1983-05-27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前後方向強度部材
JPS61287871A (ja) * 1985-06-17 1986-12-18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サイドメンバ
JPS6364883A (ja) * 1986-09-04 1988-03-2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フロントフレ−ム構造
JPH01309881A (ja) * 1988-06-08 1989-12-14 Mazda Motor Corp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H02189287A (ja) * 1989-01-13 1990-07-2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タワー部構造
JP2600382B2 (ja) * 1989-06-22 1997-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取付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19U (ko) 1992-06-16
DE4139466A1 (de) 1992-06-04
US5184868A (en) 1993-02-09
JPH0489479U (ko) 1992-08-05
JP2563632Y2 (ja) 1998-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031Y1 (ko)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US6250710B1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US4753475A (en) Arrangements for restraining hoods of vehicle bodies
JP2003170861A (ja) 自動車フロントピラーの補強構造
US3883171A (en) Crush resistant compartment for vehicles
KR900002403B1 (ko)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EP3889008B1 (en) Front vehicle-body structure for a vehicle,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JP3348481B2 (ja) 車両側部構造
JPH0858624A (ja) 自動車のフード構造
US6390540B1 (en) Side fram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vehicle
JP2000103360A (ja) 車両の車体構造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00309612B1 (ko) 고강성구조를가지는자동차의실사이드실
KR0137506Y1 (ko) 차량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KR200152954Y1 (ko) 자동차용 후방도어 임팩트바의 구조
KR200148462Y1 (ko) 테일 게이트 스트라이커 보강 장치
KR0183175B1 (ko) 자동차의 안전강화용 브래킷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200224109Y1 (ko) 차량용 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KR0120178Y1 (ko) 자동차 도어프레임의 프론트 오프닝 상단부 보강구조
KR0115602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판넬과 쿼터판넬의 연결구조
KR200210033Y1 (ko) 자동차의 차체 보강용 프레임 구조
KR200188458Y1 (ko) 충격흡수기능이 강화된 카울박스
KR970000614Y1 (ko) 자동차의 앞차체 보강구조
KR0123053B1 (ko) 자동차 플로어판넬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