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403B1 -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403B1
KR900002403B1 KR1019850004656A KR850004656A KR900002403B1 KR 900002403 B1 KR900002403 B1 KR 900002403B1 KR 1019850004656 A KR1019850004656 A KR 1019850004656A KR 850004656 A KR850004656 A KR 850004656A KR 900002403 B1 KR900002403 B1 KR 90000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reinforcement
belt line
edge
quar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143A (ko
Inventor
요시히꼬 가다야마
도시하루 이께다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겐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겐이찌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 1 도 및 제 2 도는 각각의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에 있어서 차체의 측판을 떼어낸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
제 3 도는 자동차의 개략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옆문개구 4 : 중심지주
5 : 4분의판부재 7 : 뒷바퀴하우징
8 : 4분의창문개구 10 : 후부지주
11 : 벨트라인보강재 12 : 후부서스펜션보강재
13 : 간극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관하여 특히 차실의 측벽을 구성하는 4분의판부재의 보강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쿠우페(coupe) 형등의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는 차실측벽을 구성하는 4분의판부재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공소 56-24145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4분의판부재에 형성된 4분의창문개구의 하단 가장자리에 따라서 벨트라인보강재를 4분의판부재에 접합하여 후부지주까지 차체 전후방향에 뻗은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4분의판부재의 하부에는 뒷바퀴하우징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 뒷바퀴하우징에 후부서스펜션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는 후부서스펜션보강재를 통하여 후부지주측에 전달하여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부서스펜션보강재는 4분의판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동시에 하단이 뒷바퀴하우징의 상면에 접합되어 상부가 지주내에 뻗어서 차체 상하방향으로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고, 이 후부서스펜션보강재에는 상기 벨트라인보강재의 후부가 교차상태로 연결이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후부차체구조에서는 후부 충돌시에 후부지주측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이 벨트라인보강재를 통하여 그대로 중심지주에 전달되기 때문에, 이 중심지주가 크게 변형이 생겨서 차실에로의 영향이 크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바는 특히 상술한 바와같은 4분의판부재에 각각 접합되는 벨트라인보강재와 후부서스펜션 보강재와의 상호 위치관계에 대하여 개량을 가하여 후부충돌시에 후부지주측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이 중심지주측에까지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 중심지주의 변형을 작게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로서 차실 측벽을 구성하는 4분의판부재와 옆문개구의 후단면을 구성하는 중심지주와 상기 판부재에 형성된 4분의창문개구의 하단가장자리에 따라서 이 4분의판부재에 접합되어서 차체 전후방향에 폐단면을 형성하여 전부가 상기 중심지주내 접합된 벨트라인보강재와 상기 4분의판부재에 접합되어 하단이 뒷바퀴하우징의 상면에 접합되어 상부가 상기 4분의창문개구의 후단가장자리를 구성하는 후부지주내에 뻗어서 차체 상하방향으로 폐단면을 형성하는 후부서스펜션보강재를 갖추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와같은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벨트라인보강재와 후부서스펜션보강재를 연결하지 않고 벨트라인보강재의 후단과 후부서스펜션의 전측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소정간격의 간극부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벨트라인보강재의 후단과 후부서스펜션보강재의 후단과 후부서스펜션보강재의 전측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소정간격의 간극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서 후부 충돌시에 후부지주 내지 후부서스펜션보강재에 충격 하중이 작용한 경우 이 충격하중에 대하여는 상기 간극부가 완충간격(crushing space)으로서 작용하므로서 이에 따라 충격하중이 벨트라인보강재를 통하여 중심지주측까지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있어서, 부호(1)는 차체, 부호(2)는 차체(1)의 측면에 설치된 옆문개구로서 이 개구(2)에는 옆문(3)이 개폐자유로이 부착되어 있다.
부호(4)는 상기 옆문개구(2)의 후단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중심지주이며 이 중심지주(4) 후방의 차실 측벽은 4분의판부재(5)에 의하여 구성되어서 또 중심지주(4) 후방의 차체(1) 외측면은 4분의펜더판부재(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4분의판부재(5) 및 4분의펜더판부재(6)의 하부에는 뒷바퀴 하우징(7)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부에는 4분의창문개구(8)가 형성되어, 이 개구(8)에는 4분의창문유리(9)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4분의창문개구(8)의 후단가장자리에는 후부지주(1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부호(11)는 상기 4분의판부재(5)의 4분의창문개구(8)의 하단가장자리에 따라서 이 4분의판부재(5)의 내면에 접합되어서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어 폐단면을 형성하는 벨트라인보강재로서 이 벨트라인보강재(11)의 전부는 상기 중심지주(4)의 내부판부재(4a)에 접합되어 있다.
부호(12)는 상기 뒷바퀴하우징(17)에 대응하여 상기 4분의판부재(5)의 내면에 접합된 후부서스펜션보강재로서 이 후부서스펜션 보강재(12)는 그의 하단이 뒷바퀴하우징(7)의 상면에 접합되어 상부가 상기 후부지주(10)내의 4분의창문개구(8) 후단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부위에까지 뻗으며 또한 이 후부지주(10)의 내부판부재(10a)에 접합되어서 차체 상하방향으로 페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부호(14)는 후부서스펜션보강재(12)에 형성된 작업구멍이다. 그리고 상기 벨트라인보강재(11)의 후단과 후부서스펜션보강재(12)의 전측가장자리와의 사이에는 소정간격의 간극부(13)가 설치되어 있고 벨트라인보강재(11) 후단은 4분의판부재(5)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4분의판부재(5)에 각각 접합된 벨트라인보강재(11)와 후부서스펜션보강재(12)와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벨트라인보강재(11)의 후단과 후부서스펜션보강재(12)의 전측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소정간격의 간극부(1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부충돌시에 후부지주(10) 및 이 후부 지주(10)내에 상부가 연장된 후부서스펜션보강재(12)에 충격하중이 작용한 경우, 이 충격하중에 대하여는 상기 간극부(13)가 완충간격으로서 작용하므로 충격하중이 벨트라인보강재(11)를 통하여 중심지주(4) 측에까지 전달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결과 후부충돌시에 있어서 중심지주(4)의 변형을 억제하여 차실로의 영향을 적게할 수가 있으며 승차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고 구조자체는 단지 벨트라인보강재(11)의 후단과 후부서스펜션보강재(12)의 전측가장자리와의 사이에 간극부(13)를 설치한 간단한 것이며 또 상기 간극부(13)에 의하여 4분의판부재(5)의 강성저하를 초래하는 일없이 실시하는 점에서 대단히 유리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간극부(13)의 간격 치수로서는 이 간극부(13)로서 후부 충돌시의 완충간격을 확보하는 점에서 충분한 치수로 하고 또한 간극부(13)에 의해 4분의판부재(5)의 강성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의하면 4분의판부재에 각각 접합된 벨트라인보강재의 후단과 후부서스펜션보강재의 전측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소정간격의 간극부를 설치한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후부충돌시의 충격하중이 벨트라인보강재를 통하여 중심지주에까지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으므로 중심지주의 변형에 의한 차실로의 영향을 적게할 수가 있으며 승차원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대단히 유효하다.

Claims (1)

  1. 차실측벽을 구성하는 4분의판부재(5)와 옆문개구의 후단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중심지주(4)와 상기 4분의판부재(5)에 형성된 4분의창문개구(8)의 하단가장자리를 따라서 이 4분의판부재에 접합되어서 차체전후방향에 페단면을 형성하고 앞부분이 상기 중심지주에 접합된 벨트라인보강재(11)와 상기 4분의판부재에 접합되어, 하단이 뒷바퀴하우징(7)의 전후방향 중앙부의 윗면에 접합되고 그 접합부로 부터 윗쪽을 향하여 경사져서 상부가 상기 4분의창문개구의 후단연을 구성하는 후부지주(10)내에 뻗어서 차체상하방향으로 폐단면을 형성하는 후부서스펜션보강재(12)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벨트라인보강재(11)의 후단과 후부서스펜션보강재(12)의 전측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소정간격의 간극부(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KR1019850004656A 1985-06-08 1985-06-29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KR900002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24579 1985-06-08
JP60124579A JPS61282172A (ja) 1985-06-08 1985-06-08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124579 1985-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143A KR870000143A (ko) 1987-02-16
KR900002403B1 true KR900002403B1 (ko) 1990-04-14

Family

ID=1488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656A KR900002403B1 (ko) 1985-06-08 1985-06-29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282172A (ko)
KR (1) KR900002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733A (en) * 1987-03-10 1989-10-24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US5022704A (en) * 1988-05-10 1991-06-11 Mazda Motor Corporation Structure of an automobile body in the vicinity of a roof panel, a rear fender panel and a quarter panel and including a reinforcement member
KR20040029793A (ko) * 2002-10-02 200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리어바디의 연결구조
JP4645546B2 (ja) * 2006-07-21 2011-03-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KR101273185B1 (ko) 2011-08-12 2013-06-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리어도어가 없는 차량의 센터필러와 쿼터멤버의 연결구조
JP5920328B2 (ja) 2013-12-13 2016-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US9296431B1 (en) 2014-12-18 2016-03-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upper body structural bra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8214A (ko) * 1973-08-15 1975-04-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282172A (ja) 1986-12-12
KR870000143A (ko) 1987-02-16
JPH0138711B2 (ko) 198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2277A (en) Front portion of vehicle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KR960005858B1 (ko)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KR950009031Y1 (ko)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JP2003170861A (ja) 自動車フロントピラーの補強構造
US4669777A (en) Front body structure for front engine type motor vehicle
KR900002403B1 (ko)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JP3140511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H0139393B2 (ko)
JPH0577767A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960005406Y1 (ko) 자동차의 카울부구조
KR910002798Y1 (ko)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
KR0115602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판넬과 쿼터판넬의 연결구조
JPH05294257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960010528B1 (ko) 차량의 앞부분 차체구조
JPH01186481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0127070B1 (ko) 충돌대응 자동차의 도어부 구조
JP2964494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0137532B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벨트와 사쉬 취부구조
KR970000614Y1 (ko) 자동차의 앞차체 보강구조
KR200210036Y1 (ko) 차량용 사이드 실 패널 어셈블리
JPH0514947Y2 (ko)
KR0129214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모듈캐리어
KR100262165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0114628Y1 (ko) 차량의 측부 보강판 설치구조
KR100262167B1 (ko) 자동차 도어부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