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798Y1 -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798Y1
KR910002798Y1 KR2019850007936U KR850007936U KR910002798Y1 KR 910002798 Y1 KR910002798 Y1 KR 910002798Y1 KR 2019850007936 U KR2019850007936 U KR 2019850007936U KR 850007936 U KR850007936 U KR 850007936U KR 910002798 Y1 KR910002798 Y1 KR 910002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einforcing member
airrun
vehic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596U (ko
Inventor
요시가쭈 이데
마꼬도 도꾸다
요시히또 나까모도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겐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겐이찌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5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5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앞쪽차체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휠에이프런보강부재와 앞쪽힌지기둥이 연결되는 부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에 대한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는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상자형 보강부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설치실 3 : 휠에이프런(wheel apron)
4 : 써스펜션타워부 8 : 앞쪽힌지기둥
10 : 휠에이프런보강부재 12 : 상자형보강부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에이프런에 보강부재가 접합시켜져 큰 충격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에 있어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59-89772호에 게재된 바와같이, 엔진설치실의 측벽을 구성하는 휠에이프런(wheel apron)의 상부에 휠에이프런보강부재가 접합되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이어지는 폐쇄단면이 형성되어, 휠에이프런의 강성을 높여줌과 더불어 정면출돌시에 상기 폐쇄단면구조가 찌그러지게 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본 고안자들이 실제로 정면충돌실험을 하여본 즉, 상기와 같은 폐쇄단면구조는 그 길이방향(차체의 전후방향)전체에 걸쳐 균일한 찌그러짐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앞바퀴의 후퇴 및 이 앞바퀴가 써스펜션타워부의 지주로부터 튕겨올려짐으로서, 휠에이프런의 써스펜타원부와 뒷끝쪽의 앞쪽힌지기둥과 사이에서만 엔진 설치실쪽으로자형상으로 굽혀져 찌그러지게 되어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 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전면유리가 파손되어 탑승자를 다치게 위험이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는 휠에어프런 보강부재의 접합부에 있어 강도가 높은 써스펜션타워부와 앞쪽힌지기둥은 강성이 높지만, 그 사이의 접합부는 써스펜션타워부와 앞쪽힌지기둥에 비해서 낮기 때문인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실험결과로 나타난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와 같은 폐쇄단면구조에서의 휠에어프런의 써스펜션타워부와 앞쪽힌지기둥 사이를 효과저으로 보강시켜 줌으로써, 정면충돌시에 상기부위만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폐쇄단면구조체 전체가 균일하게 찌그러지도록 해서, 충격흡수효과를 높임과 더불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자동차의 앞쪽 차체구조는, 엔진설치실의 측벽을 구성하면서 엔진설치실쪽으로 튀어나온 써스펜션타워부를 갖는 휠에어프런과, 이 휠에어프런의 상부에 접합되어 차체전후방향으로 폐쇄단면을 형성하는 휠에어프런보강부재 및, 상기 휠에어프런의 뒷끝에 이어진 앞쪽힌지기둥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휠에어퍼런상부의 폐쇄단면 내에서의 휠에어프런의 써스펜션타워부와 앞쪽힌지기둥과의 사이에 설치된 상자형보강부재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자형보강부재의 개구부쪽이 휠에어프런보강부재에 접합시켜져 상기 폐쇄단면내에 2중의 폐쇄단면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휠에어프런상부의 폐쇄단면이 휠에어프런의 써스펜션타워부와 앞쪽힌지기둥 사이의 상자형보강부재에 의해 2중으로 폐쇄단면구조를 이룸으로써 그 부위의 강성이 효과적으로 높혀지게되고, 휠에어프런과 휠에어프런 보강부재 사이의 형성된 폐쇄단면 구조의 강성이 균일하게 되어, 자동차가 정면충돌시에 상기 부위에서만 폐쇄단면구조가 찌그러지지 않고 폐쇄단면구조가 그 길이 방향전체에 걸쳐 거의 균일하게 그러지도록 지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보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의 앞쪽 차체구조를 도시해 높은 것으로, 참조부호1은 엔진설치실이고 2은 엔진설치실(1)과 승차실(도시안됨)을 칸막이하는 계지부착판넬, 3은 엔진설치실(1)의 측벽을 구성하는 휠에어프런인 바, 이 휠에어프런(3) 상부에는 엔진설치실(1)쪽으로 볼룩 튀어나온 써스펜션타워부(4) 및 타이어하우스부(5)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는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은 사이드프레임(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휠에어프런(3)의 뒷끝에는 승차실의 앞쪽 부분측벽을 구성하는 카울측벽판넬(7)을 매개로 앞쪽힌지기둥(8)이 연결되어져 있는바, 이 앞쪽힌지기둥(8)은 도어개구부의 앞쪽가장자리를 구성하면서 이 도어개구부에 설치되는 사이드도어(도시안됨)를 지지함과 더불어, 전면창개구부(9)의 옆가장자리를 구성하면서 이 전면창개구부(9)에 장착되는 전면유리(도시안됨)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휠에어프런(3)의 윗끝부위에는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은 휠에어프런보강부재(10)가 접합되어 있는데, 이는 외부부재(10a)와 내부부재(10b)에 의해 폐쇄단면형상을 이루면서 그 뒷끝치 상기 앞쪽힌지기둥(8)에 연결되어져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으로서는, 상기 휠에어프런보강부재(10)의 폐쇄단면(11)내에 휠에어프런(3)의 써스펜션타워부(4)와 앞쪽힌지기둥(8) 사이에대응하는 부위에 상자형보강부재(12)가 설치된다는 점으로서, 이 상자형 보강부재(12)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측면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되면서, 이 개구분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 접합플랜지(12a, 12a....)기 형성되어, 이들 접합플랜지(12a, 12a....)가 휠에어프런보강부재(10)의 외부부재(10a)에 접합되어 휠에어프런보강부재(10)의 폐쇄단면(11)내에 2중의 폐쇄단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휠에어프런보강부재(10)의 폐쇄단면(11)구조가, 휠에어프런(3)의 써스펜션타워부(4)와 앞쪽 힌지기둥(8)사이에서 상자형보강부재(12)에 의해 2중 폐쇄단면구조로 되어, 그 부위에서의 강성이 효과적으로 높혀지게 됨으로서, 자동차가 정면충돌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상기 부위에서만 폐쇄단면(11) 구조가 찌그러들지 않고, 폐쇄단면(11)구조가 그 길이방향(차체의 전후방향) 전체가 걸쳐 거의 균일하게 찌그러지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상자형 보강부재(12)를 갖추기 않은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앞쪽차체구조가 자동차가 정면 충돌했을 경우, 휠에어프런의 써스펜션타워부와 앞쪽힌지기둥 사이에서만 엔진설치실쪽으로 찌그러져 전면유리가 파손되면서 탑승자가 상해를 입게 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상자형 보강부재(12)가 휠에어프런보강부재(10)의 폐쇄단면(11)내에 접합됨으로서 차체길이 전후방향전체에 걸쳐 거의 균일하게 찌그러지게 되어, 충격흡수가 효과적으로 증대시켜질 수 있게 되고, 또 폐쇄단면(11) 구조의 찌그러짐에 수반되는 앞쪽힌지기둥(8)의 기울어짐이 억제되어 전면유리의 파손이 것을 방지될 수 있게 됨으로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휠에어프런(3) 상부의 폐쇄단면(11)이 휠에어프런보강부재(10)의 구성부재인 외부부재(10A)와 내부부재(10B)에 의해 형성되어 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휠에어프런보강부재(10)가 휠에어프런(3)의 상부에 접합되어 이 휠에어프런(3)과 함께 폐쇄단면(1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적용될 수가 있는 바, 이 경우에는 또한 마찬가지 작용과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에 의하면, 휠에어프런보강부재(10)에 의해 형성되어진 휠에어프런(3) 상부의 폐쇄단면(11)이, 휠에어프런(3) 써스펜션타워부(4)와 앞쪽힌지기둥(8) 사이에서 상자형 보강부재(12)에 의해 2중 폐쇄단면구조를 이루도록 되어 있어서, 그 부위의 강성이 효과적으로 높혀지게 되고, 흴에어프런(3)과 흴에어프런보강부재(10)사이의 폐쇄단면(11) 구조가 균일한 강성을 가짐으로서, 정면충돌시 상기 부위에서만 찌그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폐쇄단면(11) 구조의 전체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찌그러지게 됨으로서 충격흡수효과가 높혀지게 됨과 더불어, 전면유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어 탑승객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설치실(1)의 측됨과을 구성하면서 엔진설치실(1)쪽으로 튀어나온 써스펜션타워부(4)를 갖는 휠에어프런(3)과, 이 휠에어프(3) 상부에 접합되어 차체전후방향으로 폐쇄단면(11)을 형성하는 휠에어프런보강부재(10) 및, 상기 휠에어프런(3)의 뒷 끝에 이어진 앞쪽힌지기둥(8)을 갖춘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휠에어프런(3)상부의 폐쇄단면(11)내에 흴에어프런(3)의 써스펜션타워부(4)와 앞쪽힌지기둥(8) 사이에 상자형보강부재(12)가 구비되면서, 이 상자형보강부재(12)가 그 개구부쪽이 휠에어프런보강부재(10)에 접합되어 상기 폐쇄단면(11)내에 2중의 폐쇄단면을 형성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
KR2019850007936U 1985-06-04 1985-06-28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 KR91000279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084098U JPH0134939Y2 (ko) 1985-06-04 1985-06-04
JP60-84098 1985-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596U KR870000596U (ko) 1987-02-20
KR910002798Y1 true KR910002798Y1 (ko) 1991-05-02

Family

ID=3063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936U KR910002798Y1 (ko) 1985-06-04 1985-06-28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34939Y2 (ko)
KR (1) KR9100027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508B1 (ko) * 1999-12-09 2002-05-30 류정열 승용차용 이중 샷건 차체구조
JP5256657B2 (ja) * 2007-07-30 2013-08-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6504063B2 (ja) * 2016-01-20 2019-04-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64B2 (ja) * 1973-12-28 1983-01-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サンカギンデンチ
JPS58664U (ja) * 1981-06-24 1983-01-05 株式会社東芝 全閉形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99480U (ko) 1986-12-13
KR870000596U (ko) 1987-02-20
JPH0134939Y2 (ko) 198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1194A (en) Body structure for motor vehicle
JP4617681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4669777A (en) Front body structure for front engine type motor vehicle
KR910002798Y1 (ko)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
KR0140763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 강성 보강구조
JPS6113407Y2 (ko)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US3080190A (en) Frame construction for motor vehicles
KR0137532B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벨트와 사쉬 취부구조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33768B1 (ko) 자동차 전면기둥의 하부구조
KR0162153B1 (ko) 차량의 센터 필러 보강구조
KR100263965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JP2955689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0140292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100368398B1 (ko) 자동차의 플로워패널 보강구조
KR970002214Y1 (ko) 자동차용 센터필라의 내부설치구조
JPH11255149A (ja) 車輌のルーフサイドレール
KR200255873Y1 (ko) 자동차 윈드시일드 글라스의 체결구조
JPH0624310Y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20014982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31440U (ko)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KR19980038158A (ko) 자동차의 실 사이드부 강성구조
JPH07205838A (ja) 前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13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