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514B1 - 방향족 비닐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족 비닐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514B1
KR950008514B1 KR1019880007049A KR880007049A KR950008514B1 KR 950008514 B1 KR950008514 B1 KR 950008514B1 KR 1019880007049 A KR1019880007049 A KR 1019880007049A KR 880007049 A KR880007049 A KR 880007049A KR 950008514 B1 KR950008514 B1 KR 950008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aromatic vinyl
mold
maleimide
polymerization init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531A (ko
Inventor
마사히꼬 모리따니
다까노리 후지따
마사히로 니와노
가즈히로 요꼬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니시자와 요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니시자와 요시히꼬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0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2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4Anhydrides, e.g. cyclic anhydr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향족 비닐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빠르고 고생산성으로 주형 중합화 공정에 의해 소복굴절 및 고굴절률을 갖는 수지의 광성형품(예, 각종 렌즈, 프리즘 등)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렌즈 및 프리즘과 같은 광학 요소가 주로 유리로부터 제조되어 왔지만, 유리는 무겁고 깨지기 쉬운 단점을 갖으므로, 최근에는 유리 대신 플라스틱류를 사용하는 경향이 주목할만 하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디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상품명 : CR 39)와 같은 공지된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이 있지만, 이 플라스틱 물질은 투명도 및 명도가 우수한 반면에 유리보다 굴절률이 작다는 단점을 여전히 갖는다.
또한, 고굴절률을 갖는 수지는 매우 얇은 두께의 렌즈 등으로 성형할 수 있는데, 성형품을 밀집하게 만들수 있다는 잇점이 공지되어 있다. 성형품은 또한 구면 수차 등에서 잇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연구가들은 고굴절률을 갖는 수지에 관해 활발히 연구해왔다.
고굴절률을 갖는 공지된 수지의 대표적인 예는 폴리스티렌(굴절률=1.59)이다. 그러나, 고굴절률의 관점에서, 폴리스티렌은 좀처럼 사출성형에 의해 우수한 광학 성질을 갖는 광학 요소로 성형되지 않는다.
한편, 보통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카르브네이트 수지에 적용되는 주형 중합화 공정에 따르면, 더 적은 복굴절을 갖는 광학 요소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중합화 공정은 고중합화 속도로 중합될 수 있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단량체, 또는 그의 중합화 동안에 가교반응이 수반되는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와 같은 단량체에는 단지 적용할 수 있지만, 더 낮은 중합화 속도로 중합화되는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에는 거의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중합화 공정은 이러한 방향족 비닐 단량체에 대해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아 왔다.
문헌(L.E. Coleman et al, Journal of Polymer Science, Vo. 38, 241, 1959)에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예, 스티렌 등) 및 말레이미드 단량체가 1 : 1의 교차 공중합성을 갖는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93091/1979 및 162616/1983호에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말레이미드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그것을 간헐적으로 또는 계속해서 첨가하는 말레이미드 단량체와 반응시켜 균질 성분을 갖는 공중합체를 수득함으로써 제조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166807/1986호에는 유리섬유-강화 공액 생성물용 매트릭스(matrix)물질로서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말레이미드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 무수물의 공중합체 제조방법이 기재되어있다.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7910/1984호에는 열가소성 수지용 난연성 부가제로서 사용되는 브로모스티렌 및 브로모페닐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171708/1986호에는 광학 요소용 수지로서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7850/1986호에는 광학 디스크 기재용 수지로서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복굴절 및 고굴절률을 갖는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래 저중합화 속도를 갖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빠른 중합화에 의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장점은 하기 서술에서 당방면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1몰당 말레이미드 단량체 0.1∼1.5몰 및 전체 단량체 혼합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다작용성 단량체 1∼30중량%를 라디칼 중합화 개시제 존재하에서 공중합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 중합화 공정에 의해 방향족 비닐 수지의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생성된 수지에 목적하는 고굴절률을 부여하는데 효과적인 방향족 고리에 직접 결합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적당한 예로는 스티렌류(예,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모노메톡시스티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트리클로로스티렌, 모노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트리브로모스티렌, 요오도스티렌, p-(트리메틸실릴옥시)스티렌 등) ; 폴리사이클 탄화수소 방향족 비닐 화합물(예, 비닐나프탈렌, 비닐안트라센 등) ; 헤테로사이클 비닐화합물(예, N-비닐카르바졸, 비닐푸란, 비닐피리딘 등) ; 등이 있다. 그중에서, 취급이 더 용이하고, 정제가 더 쉽다는 관점에서 볼 때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이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한가지만으로 또한 그의 두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35∼95중량%, 바람직하게는 45∼90중량%의 양으로 공중합화 시킨다.
말레이미드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함께 사용하여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중합화를 개선시킬 목적으로 사용한다.
말레이미드 단량체의 적당한 예로는, 말레이미드, 지방족 모노말레이미드(예,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등), 알리사이클 모노말레이미드(예, N-사이클로헥실말레미이드, N-사이클로펜틸말레이미드 등), 방향족 모노말레이미드(예, N-페닐말레이미드, N-(2-메틸페닐)말레이미드, N-(4-메틸페닐)말레이미드, N-(2-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2-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N-크실릴말레이미드, N-(2,4,6-트리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등), 방향족 고리를 갖지 않는 비스말레이미드(예, N,N'-설폰비스말레이미드, N,N'-에테르비스말레이미드 등), 방향족 고리 비스말레이미드(예, m-톨릴렌비스말레이미드, N,N'-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N,N'-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등) 등이 있다. 이 말레이미드중에서, 다른 단량체에 대한 우수한 용해도, 수지에 고굴절률의 부여 및 고중합화 속도의 관점에서 볼 때, 방향족 모노말레이미드 및 알리사이클 모노말레이미드가 바람직하다. 특히 수지의 착색이 없다는 관점에서 볼 때, N-(2-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2-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등과 같은 2-치환 페닐말레이미드 및 알리사이클 모노말레이미드가 더 바람직하다. 이 말레이미드 단량체는 한가지만으로 또는 그중 두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말레이미드 단량체는, 목적하는 수지의 우수한 강도 및 굴절률의 관점에서 볼 때, 1몰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당 0.1∼1.5몰, 바람직하게는 0.2∼1.0몰의 양으로 사용한다. 말레이미드 단량체의 양이 1.5몰을 초과하면, 단량체 혼합물이 실온에서 때때로 균질 액체가 되지 않고 원치않는 깨지기 쉬운 수지가 얻어진다. 한편, 말레이미드 단량체의 양이 0.1몰 미만이면, 중합화 반응은 바람직하지 않게 낮은 속도로 진행된다.
다작용성 단량체는 수지의 강도 강화에 효과적인데 이것에는 분자내에 둘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비닐 또는 비닐리덴기가 포함된다.
다작용성 단량체의 적당한 예로는 프탈산 유도체(예, 비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레이트, 비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테트라브로모프탈레이트 등), 지방족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예,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예, 에틸렌 글리콜 디메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노나에틸렌 글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노나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 비스페놀 A유도체(예,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로일옥시페닐)프로판, 2,2-비스[4-(2-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3-메타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2-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등), 이소시아누르산-트리스)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중에서,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2,2-비스[4-(3-메타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과 같이 분자내에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시 기를 갖는 화합물이 수지의 강도 강화에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작용성 단량체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다작용성 단량체의 양이 1중량% 미만이거나 30중량% 초과이면, 수지의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목적하는 효과가 바람직하지 않게 약화된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말레이미드 단량체 및 다작용성 단량체에 더하여, 공중합성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를 또한 배합시킬 수 있다.
공중합성,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에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레이트(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 2,3-디브로모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4, 모노브로모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디브로모페닐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브로모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등), 아크릴레이트(예,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등), 불포화산(예,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등), 불포화산 무수물(예, 말레무수물, 시트라콘 무수물 등) 등이 포함된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에는 공지된 각종 개시제가 포함된다. 적당한 예로는 아조 중합화 개시제(예,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 퍼옥시드 중합화 개시제(예, 라우로일 퍼옥시드, 벤조일 퍼옥시드, 디쿠밀퍼옥시드, 디-t-부틸 퍼옥시드,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t-부틸 히드로퍼옥시드, 메틸 에틸 케톤 퍼옥시드 등)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각각의 라디칼 중합화 개시제를 한가지만 사용할지라도, 중합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지만, 중합화를 더 빨리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퍼옥시드 중합화 개시제와 환원제 화합물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산화 환원 중합화 개시제, 또는 상기 퍼옥시드 중합화 개시제와 중합화 촉진제로서 유효한 금속 이온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파옥시드/금속 이온 중합화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산화환원 중합화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산화 환원 개시제용 퍼옥시드 중합화 개시제의 조합에 사용되는 환원제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3차 아민(예, N,N-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p-톨루이딘 등), 알데히드(예,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등), 포스파이트(예, 트리메틸포스파이트, 트리에틸포스파이트 등)과 같은 삼가의 인 화합물, 설핀산 또는 그의 유도체(예, p-톨루엔설핀산, p-톨루엔설피산 에스테르 등). 티오우레이류(예, 테트라메틸티오우레아, 디부틸티오우레아 등), 메르캅탄류(예, 라우릴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2-에틸헥실 티오글리콜레이트, 옥틸메르캅탄, n-부틸메르캅탄,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티오글리콜레이트, 글리콜 디메르캅토아세테이트, 글리콜 디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2-메르캅토에탄올 및 그의 에스테르, β-메르캅토프로피온산 및 그의 에스테르 등) 등과 같이 단량체 혼합물에 용해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퍼옥시드 중합화 개시제 및 환원제 화합물은 퍼옥시드 개시제 1당량에 대해 환원제 물질 0.05∼5당량의 비로 사용되는데, 여기서 당량은 산화-환원 당량을 의미한다. 비가 0.05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라디칼의 목적하는 빠른 생성은 불리하게 비효과적으로 된다.
환원제 화합물에 더하여, 아민, 할로겐화 수소산 아민염, 4차 암모늄 할로겐화물, 금속-함유 화합물 등과 같은 기타 통상적인 중합화 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시약은 중합화 반응을 더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라디칼 중합화 개시제는 보통, 전체 단량체 혼합물에 기초하여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또한 고굴절률을 갖는 수지 성형품의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통상적인 자외선 흡광제, 산화 방지제 등과 같은 기타 통상적인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더군다나, 주형 중합화 동안에 주형으로부터의 이탈로 인한 성형품의 원치않는 거친 표면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인 이탈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형 중합화는 유리, 금속 및 기타 다른 물질로 만들어지고 용도에 따라 고안된 판-형, 렌즈-형, 원통형, 구형과 같이 각종 형태를 갖는 주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중합화는 단량체 혼합물 및 라디칼 중합화 개시제를 함유하는 출발 혼합물을 주형에 붓고 임의적으로 가열 및/또는 가압하에서 중합화 반응시킴으로써, 중합체 성형품을 직접 제조하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공정에서, 라디칼 중합화 개시제를 첨가하면, 중합화 반응이 시작된다. 따라서, 라디칼 중합회 개시제를 단량체와 혼합할 때, 혼합물을 가능한 빨리 주형에 부어야 한다.
혼합 및 붓는 방법으로 보통 하기 방법으로 수행한다.
산화환원 개시제를 라디칼 중합화 개시제로 사용할 때는, 산화환원 중합화 개시제를 단량체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지만, 그러나 단량체 혼합물을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퍼옥시드를 일부분의 단량체 혼합물과 혼합하고 환원제 화합물을 나머지 부분의 단량체 혼합물과 혼합하거나, 또 한편으로는, 퍼옥시드를 하나 이상의 단량체와 혼합하고 환원제 화합물을 잔여 단량체(들)과 혼합하고, 두 혼합물을 주형에 붓기 바로전에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의 혼합에서, 말레이미드 단량체를 방향족 비닐 단량체에 첨가하면, 중합성이 강화된다. 특히, 두 단량체 모두를 대략 등몰량으로 사용하면 중합성이 상딩히 증가하여, 이러한 경우에, 각 단량체를 분리하여 유지하고, 중합화 개시제를 두 단량체중 어느 하나에 첨가하고, 두가지를 주형에 붓기 바로전에 혼합한다.
상기 혼합과정은 10분 이내와 같은 단 시간내에 5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 50℃ 이상에서 수행하면, 중합화 반응이 혼합 과정 동안에 원치않게 부분적으로 진행된다. 게다가, 혼합과정을 장시간 수행할 때에도, 중합화 반응이 역시 혼합 과정 동안에 원치않게 진행된다. 그러므로, 잘 혼합시키려면, 혼합 시간이 가능한 짧아야 한다.
소량의 작은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 배치(batch) 시스템으로 혼합과정을 수행할 수 있지만, 많은 주형으로 다량의 성형품 또는 큰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연속 시스템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연속 혼합은 충돌형 믹서, 다이나믹(dynmaic)믹서, 스태틱(static) 믹서, 등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혼합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주형 중합화는 실온에서 수행할 수 있지만 50∼15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화 반응은 중합화될 물질을 주형에 채우고 고정 온도로 가열하여 수행하거나, 또는 중합화될 물질을 고정 온도로 예열된 주형에 채워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중합화 반응은 대기압하에서 수행할 수 있지만, 그러나 중합화 수축으로 인한 원치않는 싱크 마크(sink marks) 또는 가공 또는 발열성 중합화 열로 원치 않는 거품을 막기 위해 가압하에서 임의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각종 광학 요소, 특히 각종 렌즈(예, 안결용 렌즈, 카메라용 렌즈, 픽업 렌즈, 프레스넬(Fresne) 렌즈 등) 및 각종 프리즘과 같이 고굴절률을 갖는 광학 요소를 제조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참고예에 의해 설명되지만 거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및 참고예에서, 각종 특성은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1) 복굴절(nD) 및 아베(Abbe) 수(νD) :
이것은 25℃에서 모노브로모나프탈렌을 접착액으로 사용하여 아베 굴절계(Abbe refractometer, 일본 Shimadzu Seisakusho 제품)로 측정한다.
(2) 총 광투과율(Tt) :
이것은 인터그레이팅 스피어-타입 연무측정기(integrating sphere type haze meter, SEP-H-2D형, 일본 Nippon Seimitsu Kogaku K.K.제품)를 사용하여 ASTM D-1003에 따라서 측정한다.
(3) 굴곡 강도 :
자동 기록기(일본 Shimadzu Seisakusho 제품)를 사용하여 ASTM D-79-에 따라서 츠겅한다.
(4) 비중 :
JIS K-6911에 따라서 시험 시료를 물에 넣고 측정한다.
(5) 복굴절 :
성형품을 편광 방향이 교차되게 장치된 두 편광 필름 사이에 놓는다. 결과는 하기에 제시된다.
나쁨 : 성형품이 북굴절 때문에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밝게 나타난다.
좋지 않음 : 성형품이 부분적으로 백색으로 밝게 나타난다.
좋음 : 성형품이 거의 백색으로 밝게 나타나지 않는다.
실시예 1
스티렌(630g),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270g), 2,2-비스[4-(3-메타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100g),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20g), 및 디메틸옥틸아민히드로클로라이드(1.2g)을 스테인레스 용기(2ℓ부피)에 채워 균질상 출발 액체(X)를 수득한다.
스티렌(630g),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280g), 2,2-비스[4-(3-메타크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100g), 글리콜디메르캅로아세테이트(12g) 및 나프텐산 구리(구리함량 : 10중량%, 0.008g)를 다른 스테인레스 용기에 채워 균질상 출발 액체(Y)를 수득한다.
출발 액체(X)(약 250g) 및 출발 액체(Y)(약 250g)을 펌프가 달린 다이나믹 믹서에 채우고 약 30초의 평균 보유시간으로 거기서 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85℃로 유지된 스테인레스 프레임(350×350×3mm)에 붓는다.
완전히 붓고 난지 2분 후에, 프레임내의 온도가 최고로 된다. 온도가 85℃로 낮아진후, 성형품을 프레임에서 떼어낸다. 이렇게 수득된 성형품은 광투과율(Tt) : 86%, 복굴절(nD) : 1.567, 아베수(νD) : 34, 굴곡강도 : 870kg/㎠, 비중 : 1.12를 나타내고, 우수한 복굴절과 우수한 표면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2 내지 13 및 참고예 1 내지 3
표 1에 제시된 성분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화 반응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2에 제시된다.
실시예 14
스티렌(63g),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27g) 및 2,2-비스[4-3-메타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10g)을 스테인레스 용기(200ml 부피)에 채워 균질상 액체를 수득한다. 액체에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0.15g)을 가하여 균질상 출발 액체를 수득한다.
출발 액체를 85℃로 유지된 스테인레스 프레임(160×160×3mm)에 부은 후 온중탕 상에서 85℃에서 중합화 반응을 시킨다.
중합화 반응 개시 약 9분 후에, 프레임내의 온도가 최대로 된다. 온도가 85℃로 내려간 후, 성형품을 프레임에서 떼어낸다. 이렇게 수득된 성형품은 광투과율(Tt) : 90%, 복굴절(nD) : 1.573, 아베수(νD) : 34, 굴곡강도 : 810kg/㎠, 비중 : 1.11을 나타내고, 우수한 복굴절 및 우수한 표면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15 및 참고예 4
표 1에 제시된 성분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4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화 반응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2에 제시된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주(표 1)]
표 1의 약자는 하기와 같은 의미이다 :
St : 스티렌
Clst : p-클로로스티렌
EPMI : N-(2,6-디에틸페닐)말레이미드
CHMI :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CPMI : N-(2-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4G :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9G : 노나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BisG : 2,2-비스[4-(3-메타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
GMR :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HD : 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NGP :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MMA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개시제 :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1.0 0.6 0.3
글리콜 디메르캅토아세테이트 0.6 0.36 0.18
디메틸옥틸아민 HCl 0.06 0.06 0.06
나프텐산 구리 0.0004, 0.0004, 0.0004
(숫자들은 전체 단량체 100중량부당 중량부를 의미하다.)
개시제 B :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5
표 2의 최고 시간은 출발 액체를 프레임에 부은 때부터 프레임내에 최고 온도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강도를 갖는 목적 성형품을 고굴절률을 갖는 방향족 비닐 수지로부터 빠르고 고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고굴절률을 갖는 수지의 성형품은 비중이 약 1.10∼1.25이므로 유리(비중 : 약 2.5)보다 가볍고, 더군다나 성형품은 저복굴절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성형품은 렌즈, 프리즘 등과 같은 각종 광학요소를 제조하는데 적당한 우수한 성질을 갖는다.

Claims (11)

  1. 라디칼 중합화 개시제 존재하에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1몰당 0.1∼1.5몰의 말레이미드 단량체 및 전체 단량체의 중량에 기초하여 1∼30중량%의 다작용성 단량체를 주형 중합화에 의해 공중합화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비닐 수지의 성형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전체 단량체 혼합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35∼95중량%의 양으로 중합화 시키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가 스티렌, 폴리 사이클 탄화수소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헤테로사이클 비닐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말레이미드 단량체가 말레이미드, 지방족 모노말레이미드, 알리사이클 모노말레이미드, 방향족 모노말레이미드, 방향족 고리를 갖지 않는 비스말레이미드 및 방향족 고리 비스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다작용성 단량체가 프탈산 유도체, 지방족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슬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비스페놀 A유도체, 이소시아누르산-트리(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가 스티렌 화합물이고, 말레이미드 단량체가 방향족 모노말레이미드 및 알리사이클 모노말레이미드에서 선택된 것이고, 다작용성 단량체가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2,2-비스[4-(3-메타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에서 선택된 것인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라디칼 중합화 개시제가 전체 단량체 혼합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0.001∼5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출발 단량체 혼합물 및 라디칼 중합화 개시제를 주형에 붓고 임의적으로 가열 및/또는 가입하에서 중합화 반응을 시킴으로써 주형 중합화를 수행하는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공중합화되는 단량체 및 중합화 개시제를 주형에 붓기 전에 혼합하는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라디칼 중합화 개시제가 퍼옥시드 중합화 개시제 및 환원제 화합물로 이루어진 산화환원 중합화 개시제인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퍼옥시드 개시제를 일부분의 단량체 혼합물과 혼합하고 환원제 화합물을 나머지 부분의 단량체 혼합물과 혼합한 후, 두 혼합물을 주형에 붓기 직전에 혼합하는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퍼옥시드 개시제를 어느 하나 이상의 단량체와 혼합하고 환원제 화합물을 잔류 단량체와 혼합한 후, 두 혼합물을 주형에 붓기 직전에 혼합하는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주형 중합화 반응을 50∼150℃의 온도 및 가압할 수 있는 조건하에서 수행하는 제조방법.
KR1019880007049A 1987-06-12 1988-06-11 방향족 비닐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KR950008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735387 1987-06-12
JP62-147353 1987-06-12
JP147353/87 1987-06-12
JP87548/88 1988-04-08
JP63-87548 1988-04-08
JP63087548A JP2600784B2 (ja) 1987-06-12 1988-04-08 芳香族ビニル系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531A KR890000531A (ko) 1989-03-15
KR950008514B1 true KR950008514B1 (ko) 1995-07-31

Family

ID=2642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049A KR950008514B1 (ko) 1987-06-12 1988-06-11 방향족 비닐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18152A (ko)
EP (1) EP0295012B1 (ko)
JP (1) JP2600784B2 (ko)
KR (1) KR950008514B1 (ko)
AU (1) AU605069B2 (ko)
CA (1) CA1306829C (ko)
DE (1) DE3872606T2 (ko)
DK (1) DK3184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17206B2 (en) * 1988-08-15 1991-11-21 Mitsubishi Rayon Company Limited Maleimide copolymer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073615A (en) * 1989-03-13 1991-12-17 Continental Polymers, Inc. High temperature heat resistant acrylics
US5132384A (en) * 1989-11-22 1992-07-21 Nippon Shokubai Co., Ltd. Optical material of low specific gravity and excellent impact resistance, optical molding product using the optical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171806A (en) * 1990-07-13 1992-12-15 Nippon Sheet Glass Co., Ltd. Optical material and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DE69117925T2 (de) * 1990-10-03 1996-08-01 Toray Industries Folienförmiges optisches material
DE19502200A1 (de) * 1995-01-25 1996-08-01 Bayer Ag Thermoplaste mit hoher Wärmeformbeständigkeit und verbesserter Thermostabilität
JPH1060214A (ja) * 1996-08-22 1998-03-03 Nippon Oil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用アクリル樹脂組成物
KR100653951B1 (ko) * 2005-05-04 2006-12-05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내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JP2020126229A (ja) * 2019-02-01 2020-08-20 小池 康博 光学ポリマー材料、光学フィルム、表示装置、光学ポリマー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4437274A (zh) * 2020-10-21 2022-05-0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苯乙烯-卤代苯基马来酰亚胺共聚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08628A1 (fr) * 1977-11-15 1979-06-08 Rhone Poulenc Ind Polymeres styreniques a proprietes thermiques ameliorees
JPS58162616A (ja) * 1982-03-24 1983-09-27 Toray Ind Inc マレイミド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
US4607081A (en) * 1983-04-28 1986-08-19 Atlantic Richfield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a matrix resin and an alternating copolymer of brominated styrene and N-brominated phenyl maleimide flame retarding additive
US4508883A (en) * 1983-04-28 1985-04-02 Atlantic Richfield Company Alternating copolymer of brominated styrene and N-brominated phenyl maleimide
US4683084A (en) * 1983-04-28 1987-07-28 Atlantic Richfield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a matrix resin, a flame retarding synergist, and an alternating copolymer of brominated styrene and N-brominated phenyl maleimide
JPS6176512A (ja) * 1984-09-21 1986-04-19 Toa Nenryo Kogyo Kk メチルスチレン共重合体
JPH0641493B2 (ja) * 1985-01-18 1994-06-01 住友ダウ株式会社 共重合体の製造法
JPS61246210A (ja) * 1985-04-25 1986-11-01 Toray Ind Inc 光デイスク基板
JPH0796580B2 (ja) * 1985-06-03 1995-10-18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透明耐熱性スチレン系共重合体
JPS6390515A (ja) * 1986-10-03 1988-04-21 Mitsubishi Monsanto Chem Co 耐熱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531A (ko) 1989-03-15
DK318488D0 (da) 1988-06-10
AU605069B2 (en) 1991-01-03
EP0295012A2 (en) 1988-12-14
DE3872606T2 (de) 1993-01-28
JP2600784B2 (ja) 1997-04-16
EP0295012B1 (en) 1992-07-08
DE3872606D1 (de) 1992-08-13
JPS6479208A (en) 1989-03-24
CA1306829C (en) 1992-08-25
AU1759988A (en) 1988-12-15
DK318488A (da) 1988-12-13
EP0295012A3 (en) 1989-02-15
US4918152A (en) 199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5837B2 (en) Method for in-mold polymerization of unsaturated compound
KR950008514B1 (ko) 방향족 비닐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JP3870670B2 (ja) 非複屈折性ピックアップレンズ用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ピックアップレンズ
JP2659773B2 (ja) メタクリル系共重合体
JP2004204208A (ja) 非複屈折性光学用樹脂組成物及び本樹脂組成物を用いた光学用素子
JPS61159408A (ja) 重合体の製造法
JP3870715B2 (ja) 非複屈折性ピックアップレンズ用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ピックアップレンズ
JP2547003B2 (ja) 高屈折率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H0848725A (ja) 耐熱性に優れた光学材料用高屈折率樹脂
JPH0853517A (ja) 耐熱性に優れた光学材料用高屈折率樹脂
JPH0476013A (ja) 光学用素子
JPS6090204A (ja) 重合体の製造法
JPH03170515A (ja) 光学用メタクリル樹脂
JPH0768311B2 (ja) 光学素子用メタクリル系樹脂
JPS61152708A (ja) 光学素子用樹脂の製造方法
JPH04225007A (ja) 高屈折率高強度光学用樹脂
JP2007327040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硬化性組成物
JPS63191812A (ja) 高屈折率樹脂の製造方法
JPH051116A (ja) 光学用樹脂
JPS63130606A (ja) 耐熱性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KR940003363B1 (ko) 불포화 화합물의 금형내 중합제법
JP2001131215A (ja) 光学用樹脂の製造法及びこの樹脂を用いた光学用素子
JPS63243109A (ja) 光学材料
JPH0762053B2 (ja) メタクリル系重合体、その製造法および光学素子
JPS6372707A (ja) 樹脂からなる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