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607B1 - 엔진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607B1
KR950004607B1 KR1019920010198A KR920010198A KR950004607B1 KR 950004607 B1 KR950004607 B1 KR 950004607B1 KR 1019920010198 A KR1019920010198 A KR 1019920010198A KR 920010198 A KR920010198 A KR 920010198A KR 950004607 B1 KR950004607 B1 KR 950004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hift
speed
vehicle speed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814A (ko
Inventor
미쯔토시 아베
세이지 야시기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0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02D31/007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fuel supply
    • F02D31/009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fuel supply for maximum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13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generating shift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16H2061/166Preventing or initiating shifts for preventing stall or overspeed of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74Inputs being a function of engine parameters
    • F16H59/78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엔진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엔진의 제어장치의 개념구조를 도시한 블록다이어램.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엔진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자동차엔진을 도시한 개략에시도.
제3(a)도는 연료중단영역을 엔진부하 및 엔진속도에 의해 표시한 다이어그램.
제3(b)도는 2-3시프트-업 속도제어라인 및 그 변경된 제어라인을, 예를들어, 도시한 다이어그램.
제4도는 엔진의 과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2도에 도시한 제어유닛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위한 연료중단제어루틴을 예시한 를로우챠아트.
제5도는 자동변속기의 시프트-업 속도제어라인변경 제어루우틴을 예시한 플로우챠아트.
제6도는 자동변속기의 시프트-업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루우틴을 예시한 플로우챠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자동변속기
3 : 제어유닛 4 : 드로틀밸브
5 : 드로틀개도센서 9 : 온도센서
19 : 전자연료분사기
본 발명은, 드로틀밸브가 열린 통상의 부하운전시에 연료공급중단등에 의해 과회전제한속도이상으로 속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차량용의 엔진, 특히,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엔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이 정격회전속도를 넘는 회전속도에서 작동하는 특정엔진작동상태에서 작동엔진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차엔진의 상임계속도를 설정하여, 본 명세서에서 과회전제한속도라 불리우는 상임계속도를 넘는 원치않는 회전속도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원치않는 속도상승의 제한은 엔진에의 연료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연료점화를 제어함으로써, 또는 흡기량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과전회전방지특징을 가진 엔진제어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59-194,550호로 알려져 있다. 한편, 엔진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엔진윤활이 질적으로 저하한다는 관점에서, 엔진온도의 감소에 의존하는 과회전제한속도를 강회시켜, 허용엔진속도이상에서 신뢰할 수 있는 엔진윤활을 실현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자동차엔진은 낮은 엔진온도에서의 엔진윤활성능의 저항에 대해 보호하기 위하여 낮은 엔진온도에 대해 과회저제한속도를 강하하도록 변화시키는 속도에저(이하, 과회전방지제어라 한다)를 할 필요가 있지만, 그런데 낮은 엔진 온도에서 과회전방지제어를 행하는 것은 급가속이 필요할때 자동변속기의 업-시프트의 부족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엔진의 과회전방지제어장치는, 한편, 엔진을 오랫동안 너무 낮은 속도로 작동시켜, 급가속시킬 필요가 생기더라도 업-시프트되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이것은, 보통 엔진이 낮은 온도에서 작동할때 높은 속도로 강제로 유지시켜, 업-시프트차속을 높이도록하며, 그에 의해 엔진의 가열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업-시프트차속이 높아지더라도 낮은 엔진온도에 대해 설정된 과회저제한속도는 아직 낮기 때문에, 엔진이 드로틀전개(全開)상태에서 작동하더라도 자동변속기의 업-시프트는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보호를 위한 과회전제한속도제어와 가속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업-시프트차속제어를 행해야 한다는 2가지의 다소 상충되는 요구조건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엔진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 목적은, 엔진의 보호를 위해 엔진이 과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의 시프트스케줄에 따라 시프트업하는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엔진의 엔진제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엔진제어장치는 과회전 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 과회전방지수단은 과회전에 대해 임계속도이며, 과회전제한속도라 불리우는 소정엔진속도에서 작동하여, 예를들면, 엔진에의 연료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엔진출력을 감소시키며, 그에 의해 엔진이 과회전제한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과속되는 것을 방지한다. 과회전제한속도는 적어도 엔진온도가 같은 엔진작동상탱 따라 변결된다. 동시에, 과회저제한속도의 변경에 따라, 드로틀개도에 의해 자동변속기의 시프트-업 작동의 발생에 대해 시프트제어라인형태로 이상적으로 설계된 정상시프트-업 차속은 엔진온도에 의해 변속된다.
과회전제한속도 및 시프트-업차속은, 적어도 엔진이 고부하상태에서 작동할때 엔진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감소되도록 변경된다. 정상 시프트-업 차속의 변속 또는 변경은, 엔진온도의 여러레인지에 의해 시프트계수에 의해 실행되며, 그렇지 않으면 드로틀개도의 가아드(guard)제한에 의해 실행된다.
본 발명의 특정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의 드로틀밸브가 개방되는 부하상태에서 작동하는 동안에 과회전제한속도에 도달될 때, 과회전방지수단은 엔진에의 연료공급이 중단되도록 하며, 그에 의해 엔진속도의 증가가 억제된다.
엔진속도가 드로틀밸브가 개방되는 과회전제한속도에 도달할때, 과회전방지수단은 엔진의 과회전이 방지되도록 작동된다. 과회전속도는, 엔진온도의 감소와 같은 엔진작동상태에 의해 감소하도록 변경되어, 엔진속도을 제한적으로 증가시키므로, 엔진온도의 감소에 의한 엔진윤활에 대한 나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동시에, 과회전제한속도의 감속돠 더불어, 자동변속기의 시프트-업작동이 발생하는 시프트업차속은, 적어도 엔진이 고엔진부하레인지에서 작동할때 감소되도록 변경되어, 엔진온도가 아직 낮은 동안 급가속이 필요할때, 자동변속기의 급시프트-업작동을 유도하게 된다.
내연기관 및 자동변속기는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요소 또는 그것과 협력하는 요소에 관하여만 아래에 설명한다.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거나 설명하지 않은 요소를 자동차 기술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제2도에 도시한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엔진의 엔진 속도 제어장치의 작동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개념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도를 설명한다. 자동변속기(2)에 연결된 엔진(1)을 제어하는 엔진속도제어장치는, 엔진작동상태 검출수단(41), 과회전방지수단(42), 과회전제한속도변경수단(43), 그리고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44)를 포함하고 있다. 과회전방지수단(42)은 과회전제한속도에서 작동되어, 엔진(1)이 부하상태에서 작동할때 엔진(1)의 과회전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엔진작동상태의 각 소정레인지를 위해 설정된 과회전제한속도는, 엔진작동상태 검출수단(41)에 의해 검출된 엔진작동상태에 대해 과회전제한속도변경수단(43)에 의해 변속된다. 과회전제한속도의 변속에 수반해서,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44)은 시프트-업 차속을 변경시킨다.
과회전방지수단(42)은, 엔진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과회전제한속도변경수단(43)에 의해 그 작동속도, 즉 과회전제한속도를 감소하도록 변경시킨다. 과회전제한속도의 감속변속의 경우에 있어서,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44)은, 적어도 또는 엔진이 고엔진부하레인지에서 작동할때만 과회전제한속도의 감소에 따라 시프트-업차속을 감소되도록 변경시킨다. 그렇지 않으면,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44)은, 엔진이 중 및 저엔진 부하에서 작동할 때 시프트-업차속을 증가되도록 변경시킨다.
적어도 엔진이 과회전제한속도의 감속에 따라 고엔진부하레인지에서 작동할때 시프트-업 차속을 감소하도록 변경시키기 위해서, 고엔진부하레인지에서의 엔진작동시에 과회전제한속도의 제한에 따라 시프트-업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드로틀개도를 제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단이 엔진속도제어장치내에 내장되어 있다.
제2도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엔진속도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변속기(2)가 장착된 V-형식의 엔진(1)이 도시되어 있다. 엔진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위해서 주로 마이크로컴퓨우터로 구성되는 제어유닛(3)에 전기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 및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2개의 실리더뱅크중 하나의 일렬의 실린더를 위한 개별흡기통로(12)내에는 드로틀밸브(4)의 개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드로틀개도센서(5)가 설치되어 있다. 동 개별흡기통로(12)내에는 드로틀밸브(4)를 통과하는 흠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드로틀밸브(4)의 하류에 온도센서(13)이 설치되어 있다. 점화장치의 분배기(6)내에는 크랭크각을 엔진회전속도로서, 공지된 방식으로 검출하기 위해서 크랭크각센서(7)가 장착되어 있다. 개별흡기통로(12)와 에어클리이너(10)사이의 통합흡기통로(8)내에는 에어클리이너(10)를 통해서 도입된 흡기의 혼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온도센서(9)가 배치되어 있다. 통합흡기통로내에는 에어클리이너(10)를 통해서 도입된 흡기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온도센서(9)의 하류에 에어플로우센서(11)가 또한 설치되어 있다. 엔진의 실린더뱅크(14)의 하나에는, 엔진(1)내에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서 온도센서(15)가 부착되어 있다. 배기통로(16)의 통합부에는, 배기가스의 산소량을 검출해서, 소망의 공기-연료혼합물을 유지하고, 그에 의해 산소를 적당한 레벨로 유지하는 산소센서(18)가 설치되어 있다. 산소센서(18)는, 배기통로(16)의 통합부에 설치된 촉매변환장치앞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유닛(3)은, 이들 센서에 의해 제공된 이들 신호에 의거하여 펄스폭을 연산하며, 주어진 전자연료분사기(19)에 의해 각 실린더(14a)에 공급된 연료량은 이 펄스폭에 의해 연산된다. 통합흡기통로(8)에서 갈라지고, 개별흡기통로(12)와 결합하는 흡기바이패스통로(20)에 설치된 아이들속도제어(ISC)밸브(21)는 제어유닛(3)에 의해 제어되며, 흡기가 드로틀밸브(4)를 바이패스하도록 한다.
자동변속기(12)는, 차속센서(22), 토오크센서(23), 터어빈센서(24), 그리고 오일압력센서(25)와 같은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차속센서(22)는 자동변속기(2)의 출력축(도시생략)의 속도를 차속으로 검출한다. 토오크센서(23)는 자동변속기(2)의 출력토오크를 검출한다. 토오크변환기(2b)내에 특별히 내장된 터이빈센서(24)는 토오크변환기의 터어빈속도를 검출한다. 오일압력센서(25)는 각종 솔레노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몸체(2a)에 가해지는 오일압력을 검출한다. 이들 솔레노이드, 즉 록업솔레노이드(34), 록업해제솔레노이드(35), 시프트솔레노이드(36), (37) 및 (38) 그리고 라인압솔레노이드(39)는, 제어유닛(3)에 의해 스위치(26) 내지 (33)에 의해 제공된 신호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작동 및 비작동되어, 자동변속기(2)의 변속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계기패널내에 설치된 파우어모우드스위치(26)는 동력-구동패턴을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자동변속기(2)의 시프트레버(도시생략)내에 내장된 호울드모우드스위치(27)는 선택된 구동패턴의 호울드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자동변곡기(2)와 시동트레버(도시생략)내에 내장된 인히비터스위치(28)는 시프트레버위치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엔진스타아트스위치(29)는 엔진점화를 검출한다. 스위치(30)-(33은 각각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을 검출하는 스톱램프스위치, 파우어스티어링장치의 작동을 검출하는 파우어스티어링 스위치, 에어컨디셔닝장차기 작동상테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에어컨지셔닝스위치, 그리고 전기램프등의 각종 전기장치가 작동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전기로드스위치를 표시한다. 이들 모든 스위치(30)-(33)은 각각 제어유닛에 신호를 제공한다.
제어유닛(3)은 전자연료분사기(19)에 연료중단신호를 제공하며, 한편으로는, 엔진이 소정속도보다 높은 속도에서 작동하고 또한 드로틀밸브가 전폐(이하, 감속연료종단이라 한다)되었을때의 감속시에 전자연료분사기(19)에의 연료공급을 중단하고, 또 한편으로는, 드로틀밸브(4)가 전폐(이하, 비-과(非-過)회전연료중단이라 한다)될때를 제외하고, 엔진(1)이 소정속도 예를들면 엔진부하상태에서 약 7000rpm에 도달할때 엔진(1)의 과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연료분사기(19)에의 연료공급을 중단시킨다.
제3(a)도에 의하면, 여기서 가로좌표 및 세로좌표는 각각 엔진속도(Ne) 및 엔진부하(Ce)를 표시하며, (A) 및 (B)는 각각 드로틀밸브(4)의 전폐상태를 표시하는 특정엔진부하(Ceo) 밑으로 구획되는 감속연료중단영역 및 특정엔진부하(Ceo) 및 특정엔진속도(NFC)위로 구획되는 비-과회전연료중단영역을 나타내며, 여기서 특정엔진속도(NFC)는 임계엔진속도, 즉 과회전방지를 위한 과회전제한속도를 나타낸다. 과회전제한속도(NFC)는 엔진(1)가열시 엔진온도를 표시하는 수온에 의해 다른 과회전제한속도(NFC')로 낮게 변경되어, 통상온도의 비-과회전연료중단영역(B)을 낮은 엔진온도의 비-과회전연료중단영역(B')으로 확대시킨다.
제3(b)도에 의하면, 일예로서, 차속(NV) 및 드로틀밸브개도(TVO)에 의해 규정된, 미리 설정된 2-3(2속에서 3속)시프트-업 스케줄 또는 시프트-업 제어라인을 도시하고 있으며, 비-과회전연료중단영역(B)내의 엔진속도에 대해 설정되고 또한 변속제어맵내에 포함된 2-3 시프트-업 제어라인(S)은, 영역(B)에서 영역(B')으로의 비-과회전연료중단영역의 확대에 따라 저온 2-3시프트-업 제어라인(SL)로 변형된다. 특히, 2-3시프트-업 제어라인(S)은, 고엔진부하레인지에서는 저차속측을 향해, 그리고 저 및 종엔진부하에서는 고차속측을 향해 변경된다.
제2도에 표시된 엔진속도제어장치의 작동은 제4도 내지 6도를 개관함으로써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제어유닛(3)의 마이크로컴퓨우터를 위한 각종 제어루우틴을 예시하는 플로우챠아트이다. 컴퓨우터프로그래밍은 종래에 잘 알려진 기술이다. 다음 설명은, 종래의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프로그래머가 마이크로컴퓨우터의 적절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쓰여졌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의 상세는 물론 선택된 특정 컴퓨우터의 구조에 의존한다.
비-과회전연료중단 제어루우틴의 플루우차아트인 제4도에 의하면, 스텝 S1에서의 제1스텝은 수온센서(15)에 의해 검출된 엔진냉각수온(THW)과 크랭크각센서(7)에 의해 검출된 엔진속도(Ne)를 판독하는 것이다. 스텝 S2에서, 제어유닛(3)의 마이크로컴퓨우터의 메모리내에 기억된 과회전제한속도(NFC)의 데이터테이블로부터의 엔진냉각수온에 의거하여, 소망과회전제한속도(NFC)가 연산된다. 과회전제한속도(NFC)는 섭씨 -30, 0, 30, 80 및 130도등의 여러온도에 대해 단계적으로 설정된다. 각 인접한 주어진 온도사이의 온도에 대해, 과회전제한속도(NFC)가 보간법으로 연산된다. 그후, 스텝 S3에서 엔진속도(Ne)가 과회전제한속도(NFC)에 도달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 판정에 대한 응답이 "NO"라면, 이것은 엔진속도(Ne)가 과회전제한속도(NFC)보다 낮다는 것을 표시하며, 따라서 어떠한 연료의 공급도 중단할 필요가 없으며, 다음, 전자연료분사기(19)가 통전되는 펄스폭(PW)이, 흡기체적등에 의거하여 스텝 S4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산된다. 전자 연료분사기(19)는 스텝 S5에서 펄스폭(PW)에 의해 실제적으로 통전되어, 소망연료량을 분사한다.
한편, 스텝 S3에서 판정에 대한 응답이 "YES"라면, 이것은 엔진속도(Ne)가 과회전제한속도(NFC)에 도달했다는 것을 표시하며, 따라서 연료중단이 강하게 요구되며, 다음, 스텝 S6에서 연료중단제어가 공지된 방식으로 실행되어, 엔진(1)의 과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시프트-업 제어라인시프트 제어루우틴을 예시하는 플로우챠아트인 제5도에 의하면, 스텝 P1에서 엔진냉각수온(THw), 차속(Nv) 및 드로틀밸브개도(TVO)가 판독된 후, 스텝 P2에서 자동변속기(2)가 제1속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 판정에 대한 응답이 "YES"라면, 즉, 자동변속기(2)가 실제로 제1속에 있다면, 다음, 스텝 P3에서, 1-2시프트-업차속(NVUP)는 드로틀밸브개도(TVO) 및 수온(THW)에 의해 규정된 1-2 시프트-업 제어라인으로부터 결정된다.
1-2 시프트-업차속(NVUP)가 결정된 후, 시프트계수 K가 수온(THW)에 대해 호출된다. 시프트계수(K)는 여러가지 온도, 예를들면, 섭씨 -30, 0, 30, 80 및 130도에 대해 단계적으로 설정된다. 각 시프트계수 K는 그 대응하는 온도이하의 모든 온도에 대해 부여된다. 모든 시프트-업차속 NVUP를 시프트계수 K로 곱하는 것은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업 제어라인(S)를 저온시프트-업제어라인 SL로 변경시킨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스텝 P5에서, 차속(NV)가 저온 1-2시프트-업차속 KXNVUP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 응답이 "YES"라면, 이것은 차량이 자동변속기(2)의 1속에서 2속으로 시프트업하기 위해서 충분히 가속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며, 다음, 스텝 P6에서 자동변속기(2)의 1속에서 2속에로의 업-시프트작동이 실행된다. 그 판정에 대한 응답이 "NO"라면, 루우틴은 어떠한 시프트-업작동도 실행하지 않고 귀환명령을 내린다.
스텝 P2에서 1속과 관련된 판정에 대한 응답이 "NO"라면, 스텝 P7에서 자동변속기(2)가 2속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판정에 대한 응답이 "YES", 즉, 자동변속기(2)가 실제로 2속에 있다면, 다음, 스텝 P8에서 2-3시프트-업차속(NVUP)은 드로틀밸브개도(TVO) 및 수온(THW)에 의해 규정된 2-3시프트-업제어라인으로부터 결정된다. 그후, 같은 과정이 스텝 P5 및 P6에서 일어난다. 즉, 스텝 P5에서, 차속(NV)가 저온 2-3시프트-업차속 KXNVUP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 응답이 "YES"라면, 이것은 차량이 자동변속기(2)를 2속에서 3속으로 시프트업하기 위해서 충분히 가속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며, 다음, 단계 P6에서 자동변속기(2)의 2속에서 3속으로의 업-시프트작동이 실행된다.
스텝 P7에서 2속과 관련된 판정된 응답이 "NO"라면, 스텝 P9에서 자동변속기(2)가 제3속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 판정에 대한 응답이 "YES"라면, 즉, 자동변속기(2)가 실제로 제3속에 있다면, 다음, 스텝 P10에서, 3-4시프트-업차속(NVUP)이 드로틀밸브개도(TVO) 및 수온(THW)에 의해 규정된 3-4시프트-업 제어라인으로부터 결정된다. 그후, 동일한 과정이 스텝 P5 및 P6에서 일어난다. 즉, 스텝 P5, 차속(NV)이 3-4시프트-업차속 KXNVUP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 응답이 "YES"라면, 이것은 차량이 자동변속기(2)를 3속으로 4속으로 시프트업하기 위해서 충분히 가속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며, 다음, 스텝 P6에서 자동변속기(2)의 3속의 4속에로의 업-시프트작동이 실행된다. 스텝 P9에서 그 판정에 대한 응답이 "NO"라면, 루우틴은 어떠한 업-시프트작동도 실행하지 않고 귀환명령을 내린다.
제5도에 도시한 시프트-업 제어라인시프트 제어루우틴은 제6도에 도시한 플로우챠아트에 예시된 시프트-업 제어라인시프트루우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제6도에 의하면, 수온(THW) 드로트밸브개도(TVO), 및 자속(NV)의 판독후, 스텝 Q2에서 수온(THW)이 소정임계온도(THWA)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판정에 대한 응답이 "YES"라면, 이것은 시프트-업 제어라인이 변경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다음 스텝 Q3에서 드로틀밸브개도(TVO)가 가아드(guard)개도로서의 기능을 하는 소정의 최대개도(TVOMAX)이상인지의 여부의 다른판정이 내려진다. 드로틀밸브개도(TVO)가 최대치(TVOMAX)이상이라면, 드로트밸브개도(TVO)는 스텝 Q4에서 최대개도(TVOMAX)로 대체된다. 그후, 시프트-업 제어라인 S는 최대개도(TVOMAX)에 의해 변속제어맵으로부터 검색되며, 소망 시프트-업차속(NVUP)은 스텝 Q=에서 결정된다. 그러나, 수온(THW)에 관한 판정에 대한 응답이 "NO"라면, 그리고 수온(THW)에 관한 판정에 대한 응답이 "YES"이더라도, 드로틀밸브개도(TVO)에 관한 판정에 대한 응답이 "NO"라면, 다음, 스텝 Q5에서 시프트-업 제어라인 S는 드로트밸브개도(TVO) 및 소망 시프트-업차속(NVUP)에 의해 변속제어맵으로부터 검색된다.
시프트-업 제어라인 S에 의거하여, 스텝 Q6에서 차속(NV)이 시프트-업차속(NVUP)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 판정에 대한 응답이 "YES"라면, 이것은 차량이 자동변속기(2)를 시프트업하기 위해서 충분히 가속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며, 다음, 스텝 Q7에서 자동변속기(2)의 업-시프트작동이 실행된다. 그러나, 스텝 Q6에서 그 판정에 대한 응답이 "NO"라면, 다음, 루우틴은 어떠한 업-시프트작동도 실행하지 않고 귀환명령을 내린다.
시프트-업제어러인시프트 루우틴에 의하면, 엔진냉각수온(THW)에 낮을때, 엔진속도제어장치는 변속제어맵으로부터 최대개도 또는 가아드개도(TVOMAX)로 호출된 드로틀밸브개도를 제한하여, 시프트-업차속(NVUP)이 드로틀밸브개도(TVO)가 점점더 커짐에 따라 상승한다는 시프트-업제어라인의 특성때문에, 시프트-업차속(NVUP)은 실질적으로 강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과회전방지는 점화타이밍제어 및 연료공급의 중단은 물론 흡기량을 제어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에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 다른 실시예 및 변형이 종래의 기술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이와같은 다른 실시예 및 변형은 다른 청구범위에 의해 커버될 것이다.

Claims (16)

  1.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자동차엔진의 엔진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부하상태에서 작동할때, 소정의 엔진속도에서 작동되어, 엔진출력을 감소시켜, 상기 엔진이 과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회전방지수단과 ; 적어도 엔진드로틀밸브의 도로틀개도를 포함하는, 상기 엔진의 엔진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엔진작동상태 검출수단과 ; 상기 엔진작동상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엔진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소정엔진속도를 변경시키는 속도변경수단과 ; 그리고 상기 엔진작동상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엔진드로틀밸브의 드로틀개도에 의해, 상기 자동변속기가 시프트업되는 정상시프트-업차속을 결정하고, 상기 소정엔진속도의 변경에 따라 상기 정상 시프트-업차속을 변경시키는 시프트-업차속 변경수단을 구비한 엔진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엔진에의 연료공급을 중단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엔진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시프트-업차속은, 적어도 상기 엔진드로틀밸브의 드로틀개도에 의해 설정되는, 엔진의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작동상태 검출수단은 엔진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속도변경수단은, 상기 엔진작동상태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가 낮아짐에 다라 상기 소정엔진속도가 감속되도록 변경시키는, 엔진의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업차속 변경수단은, 상기 엔진작동상태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엔진온도에 의한 시프트계수에 의해 상기 정상시프트-업 차속을 변경시키는, 엔진의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업차속 변경수단은, 적어도 상기 엔진이 고엔진부하에서 작동할때 상기 소정엔진속도의 감속에 따라 상기 정상 시프트-업차속을 감소하도록 변경시키는 엔진의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업차속 변경수단은, 상기 엔진의 고엔진부하에 작동할때만 상기 소정엔진속도의 감속에 따라 상기 정상시프트-업차속을 감소하도록 변경시키는 엔진의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은, 상기 엔진이 중 및 저엔진부하에서 작동할때, 상기 소정엔진속도의 중속에 따라 상기 정상 시프트-업차속을 증가하도록 변경시키는 엔진의 제어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은, 소정가아드개도(guard opening)를 구비하는 상기 엔진작동상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엔진드로틀밸브의 드로틀개도를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엔진의 제어장치.
  10. 상기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은, 적어도 상기 엔진이 고엔진부하에서 작동할때, 상기 소정엔진속도의 감속에 따라 상기 정상 시프트-업차속을 감소하도록 변경시키는 엔진의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업차속 변경수단은, 상기 엔진이 고엔진부하에서 작동할때만 상기 소정엔진속도의 감속에 따라 상기 정상시프트-업차속을 감소하도록 변경시키는 엔진의 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은, 상기 엔진이 중 및 저엔진부하에서 작동할때 상기 소정엔진속도의 증속에 따라 상기 정상시프트-업차속을 감소하도록 변경시키는, 엔진의 제어장치.
  13. 적어도 드로틀개도에 의해 시프트-업차속에 시프트업시키는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자동차엔진의 엔진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부하상태에서 작동할때, 소정의 엔진속도에서 작동되어, 엔진출력을 감소시켜, 상기 엔진이 과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회전방지수단과 ; 상기 엔진의 엔진작동온도를 검출하는 엔진온도검출수단과 ; 상기 엔진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엔진온도의 감소에 따라 상기 소정엔진속도를 감소하도록 변경시키는 속도변경수단과 ; 그리고 적어도 상기 엔진이 고엔진부하에서 작동할때, 상기 소정엔진속도의 감속에 따라 상기 소정 시프트-업차속을 감소하도록 변경시키는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을 구비한, 엔진의 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은, 상기 엔진이 고엔진부하에서 작동할 때만 상기 소정엔진속도의 감속에 따라 상기 소정시프트-업 차속을 감소하도록 변경시키는, 엔진의 제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은 상기 엔진이 중 및 저엔진부하에서 작동할때 상기 소정엔진속도의 감속에 따라 상기 소정 시프트-업차속을 증가하도록 변경시키는, 엔진의 제어장치.
  16. 적어도 드로틀개도에 의해 시프트-업차속에서 시프트업시키는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자동차엔진의 엔진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부하상태에서 작동할 때, 소정의 엔진속도에서 작동되어, 엔진출력을 감소시켜, 상기 엔진이 과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회전방지수단과 ; 상기 엔진의 엔진작동온도를 검출하는 엔진온도검출수단과 ; 상기 엔진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엔진온도의 감소에 따라 상기 소정엔진속도를 감소하도록 변경시키는 속도변경수단과 ; 그리고 적어도 상기 엔진이 고엔진부하에서 상기 엔진작동온도에 의해 작동할 때, 소정 시프트-업 차속이 제한적으로 결정되는 소정가이드개도를 구비한 상기 엔진드로틀밸브의 드로틀개도를 제한하는 시프트-업 차속변경수단을 구비한, 엔진의 제어장치.
KR1019920010198A 1991-06-12 1992-06-12 엔진의 제어장치 KR950004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40411 1991-06-12
JP3140411A JP2992624B2 (ja) 1991-06-12 1991-06-12 エンジン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814A KR930000814A (ko) 1993-01-15
KR950004607B1 true KR950004607B1 (ko) 1995-05-03

Family

ID=1526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198A KR950004607B1 (ko) 1991-06-12 1992-06-12 엔진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15897A (ko)
JP (1) JP2992624B2 (ko)
KR (1) KR950004607B1 (ko)
DE (1) DE421936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0117C2 (de) * 1992-11-28 2003-09-2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schwindigkeitsbegrenzung von Fahrzeugen
JP3186420B2 (ja) * 1994-04-28 2001-07-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DE4441896B4 (de) * 1994-11-24 2009-10-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euerung für ein Kraftfahrzeug
JP3035185B2 (ja) * 1995-03-02 2000-04-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油圧作動式変速機の制御装置
DE19844375A1 (de) 1998-09-28 2000-04-0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selbsttätig schaltenden Getriebes
DE19932755A1 (de) * 1999-07-14 2001-02-01 Luk Lamellen & Kupplungsbau Steuerungsvorrichtung
JP2003083442A (ja) * 2001-09-07 2003-03-19 Jatco Ltd 自動変速機の車速センサ異常時変速制御装置
JP3846405B2 (ja) * 2002-11-11 2006-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制御装置
KR100784097B1 (ko) * 2003-07-11 2007-1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엔진 동력계 스케줄 운전 방법
GB2446958B (en) * 2005-02-11 2009-09-02 Agco Sa Multi ratio transmission
GB0502867D0 (en) * 2005-02-11 2005-03-16 Agco Sa Transmission controllers
JP4605256B2 (ja) 2008-06-10 2011-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DE102011014702B3 (de) 2011-03-22 2012-06-14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eines Automatikgetriebes
SE1150964A1 (sv) 2011-10-18 2013-04-19 Scania Cv Ab Styrenhet samt förfarande för undvikande av motorrusning
DE102014013286A1 (de) * 2014-09-12 2016-03-17 Man Truck & Bus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Schaltvorgangs eines automatischen Schaltgetriebes und Steuergerät
US10393261B2 (en) 2017-12-06 2019-08-27 Cnh Industrial America Llc High ambient temperature propulsion speed control of a self-propelled agricultural product applicator
DE102018222510A1 (de) 2018-12-20 2020-06-25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entsprechende Brennkraftmaschine
DE102019129364A1 (de) * 2019-10-30 2021-05-06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entsprechende Brennkraft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2316A (en) * 1977-04-07 1978-07-25 Caterpillar Tractor Co. Hydromechanical shutoff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531669A (en) * 1978-08-30 1980-03-06 Toyota Motor Corp Speed change timing instructor for vehicle speed change gear
DE3224233A1 (de) * 1982-06-29 1983-12-29 Linde Ag, 6200 Wiesbaden Regelverfahren fuer ein antriebsaggregat
JPS59194550A (ja) * 1983-04-19 1984-11-05 Nec Corp 回線アダプタの試験回路
US4474155A (en) * 1983-05-09 1984-10-02 Mikuni Kogyo Kabushiki Kaisha Governing contro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9194550U (ja) * 1983-06-10 1984-12-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回転速度制御装置
DE3404667C2 (de) * 1984-02-10 1986-07-24 Hans Jürgen Kellner Drehzahlbegrenzung bei noch nicht betriebswarmen Vergasermotoren
JPS6166839A (ja) * 1984-09-07 1986-04-0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過回転防止燃料カツト制御装置
JPS63201346A (ja) * 1987-02-18 1988-08-19 Fuj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装置
JPH0730834B2 (ja) * 1989-09-29 1995-04-10 マツダ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3124924A (ja) * 1989-10-10 1991-05-28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付車両用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0436053A (ja) * 1990-05-30 1992-02-06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吸入空気制御装置
JP3155027B2 (ja) * 1991-05-20 2001-04-09 ジヤトコ・トラン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15897A (en) 1994-05-31
KR930000814A (ko) 1993-01-15
DE4219362B4 (de) 2006-05-18
DE4219362A1 (de) 1992-12-24
JP2992624B2 (ja) 1999-12-20
JPH04365643A (ja) 199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607B1 (ko) 엔진의 제어장치
US5431139A (en) Air induction control system for variable displacement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951627A (en) Engine idling speed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807497A (en) System for integrally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and engine
US5701867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n engine
JPH03157560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S62184935A (ja) 自動変速機及びエンジンの一体制御装置
KR100494907B1 (ko) 차량의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JPH0719332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アップ制御装置
JPH0921337A (ja) 自動変速機付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H02291434A (ja) 自動変速機及びエンジンの一体制御装置
KR100305792B1 (ko) 토크컨버터부하에따른엔진공기량조절장치및그방법
JPH0310755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0405686B1 (ko) 자동차의 워터펌프 제어방법
JPH05248528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790972B2 (ja) 内燃機関の補助空気量制御方法
JPH10252482A (ja) 内燃機関の可変吸気制御装置
JPS62251553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S62149525A (ja) 自動変速機及びエンジンの一体制御装置
JPS6343836A (ja) 自動変速機及びエンジンの一体制御装置
JP2906931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01147130A (ja) エンジン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JPH01203637A (ja)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JPH10252481A (ja) 内燃機関の可変吸気制御装置
JPH0914424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