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315B1 - 무단 변속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단 변속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315B1
KR950004315B1 KR1019900014670A KR900014670A KR950004315B1 KR 950004315 B1 KR950004315 B1 KR 950004315B1 KR 1019900014670 A KR1019900014670 A KR 1019900014670A KR 900014670 A KR900014670 A KR 900014670A KR 950004315 B1 KR950004315 B1 KR 950004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engine
speed
detection signal
vehicl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065A (ko
Inventor
사다유끼 히라노
요시노리 야마시다
다꾸미 다쓰미
히로아끼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스즈끼 가부시끼가이샤
우찌야마 히사오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끼 가부시끼가이샤, 우찌야마 히사오,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스즈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01Infinitely variable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61/6625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ontrolling of shifting being influenced by a signal derived from the engine and the main coupling
    • F16H61/66259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ontrolling of shifting being influenced by a signal derived from the engine and the main coupling 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al sensing or control mea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단 변속기 제어장치
제1도는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l실시예를 나타내며,
제1도는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의 엔진회전제어용 흐름도,
제2도는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의 엔진회전제어 설명도,
제3도는 제1엔진회전수와 드로틀(throttie) 개도(開度)와의 관계표시도,
제4도는 제2엔진회전수와 차속과의 괸계표시도,
제5도는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의 블록도,
제6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제6도는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의 엔진회전제어용 흐름도,
제7도는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의 엔진회전제어 설명도,
제8도는 제1엔진회전수와 드로틀 개도와의 관계표시도,
제9도는 제2엔진회전수와 타속과의 관계표시도,
제10도는 목표엔진회전수와 시간과의 관계도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 2A : 벨트
4 : 구동측풀리 10 : 피구동측풀리
30 : 제 1 오일통로 32 : 제 2 오일통로
34 : 제 1압제어밸브 36 : 제 3 오일통로
38 : 정압제어밸브 40 : 제 4 오일통로
42 : 제 1 삼방향전자밸브 44 : 라인압제어밸브
46 : 제 5 오일통로 48 : 제 6 오일통로
50 : 제 2 삼방향전자밸브 52 : 클러치압제어밸브
54 : 제 7 오일통로 56 : 제 8 오일통로
58 : 제 3 삼방향전자밸브 60 : 제 9 오일통로
62 : 유압발진클러치 64 : 제 10 오일통로
66 : 제 11 오일통로 68 : 압력센서
72 : 제 1 회전검출기 76 : 제 2 회전검출기
80 : 제 3 회전검출기 82 : 제어부
84 : 옵션스위치
본 발명은 무단 변속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소검출신호에 따른 운전특성을 얻음과 동시에 목표엔진회전수로 설정함에 있어서 응답성을 변화시키고 운전자의 요구 운전특성으로 할 수 있는 무단 변속기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 내연기관과 구동차륜간에 변속장치를 개재하고 있다. 이 변속장치는 광범위하게 변화되는 차량의 주행조건에 합치시켜서 구동차륜의 구동력과 주행속도를 변경하고, 내연기관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고 있다. 변속장치에는 회전축에 고정된 고정풀리부재와 이 고정풀리부재에 접리가능하게 회전축에 장착된 가동풀리부재를 갖는 풀리의 양 풀리부재간에 형성되는 홈부의 폭을 증감시킴으로써 풀리에 감아걸린 벨트의 회전반경을 증감시켜서 동력을 전달하고, 변속비(벨트비 : belt ratio)를 바꾸는 무단 변속기가 있다. 이 무단 변속기로서는 가령 일본국 특개소 57-786656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59-43249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59-77159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61-23325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 본원의 출원인은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와 차속검출신호와 시프트 위치에 있어서의 회전수 한정지령등을 제어부에 입력하고 최적목표엔진회전수를 결정하여 변속제어를 행하는 무단 변속기 제어방법의 출원을 이미 완료하고 있다(일본국 특개소 64-44346호).
그런데, 종래의 무단 변속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변속제어의 목표치 설정을 행함에 있어서, 드로틀 개도와 차속, 그리고 D, L1, L2등의 시프트 위치 및 파워모드옵션신호에 의해 상하한치를 설정하고 있으나 운전자가 요구하는 주행상태, 즉 산간로나 시가지, 고속 시내등이 합치되는 주행상태로 할 수 없고, 차량의 경제성이나 정숙성, 가속응답성, 혹은 엔진 브레이크 효과등의 각종 특성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폐단이 있다.
또 현상의 변속제어시스템에 있어서는 시프트 위치의 검출신호만으로 주행상태를 선택하고 있음으로써 운전자가 만족하는 변속특성을 얻을 수 없고, 또 선택도를 넓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불편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불편을 제거하기 위하여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와 차속검출신호를 입력하지 않고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에 의한 제 1 목표엔진회전수와 차속 검출신호에 의한 제 2 목표엔진회전수에 의해 최적목표엔진회전수를 결정하고, 최적목표엔진회전수의 상하한치를 소정조건에 의해 설정하여 최종목표엔진회전수를 구하여 주행상태에 합치하는 요구운전특성을 화보하게끔 변속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설치함으로써 소정 조건에 의해 요구운전특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경제성이나 가속성, 그리고 엔진 브레이크 효과등의 운전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무단 변속기 제어장치를 실현함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며은 고정풀리부재와, 고정풀리부재에 대하여 원근 이동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지지되는 가동풀리부재와, 상기 고정ㆍ가동풀리부재의 사이에 구획되는 홈(溝)으로서, 상기 고정ㆍ가동풀리부재의 폭이 확대축소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고정ㆍ고정풀리부재의 양 부재의 사이의 상기 홈의 안에 감아걸리는 벨트의 회전 반경을 확경축경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홈과, 벨트비가 선택치로 변하도록 변속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단 변속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제어유니트를 구비함과 함께 이 제어유니트가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와 차속검출신호와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와 피선택벨트비에 근거해서 제1목표엔진회전속도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차속검출신호와 피선택벨트비에 근거하여 제2목표엔진회전속도를 판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 제2목표엔진회전속도판정수단의 내의 적어도 한쪽이 제1 벨트비의 선택에 상응해서 이것에 수반한 목표엔진회전속도를 제1 속도치에 설정함과 함께 제2벨트비의 선택에 상응해서 이것에 따른 목표엔진회전속도를 상기 제1 속도치와 다른 제2속도치로 설정하는 속도설정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이 속도설정수단이 상기 제1, 제2속도치의 사이의 제 3속도치에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비례배분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제1, 제2목표엔진회전속도 판정수단과,상기 제1, 제2목표엔진회전속도에서 최적인 목표엔진회전속도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최적인 목표엔진회전속도의 상한치와 하한치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최적인 목표엔진회전속도에서 최종목표엔진회전속도를 얻는 수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차량의 주행상태에 적합한 소요의 작동특성을 확보하도록 변속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구동동작에 있어서는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와 차속검출신호를 제어부에 입력시켜 최적목표엔진회전수를 결정하고, 최적목표엔진회전수의 상하한치를 소정조건에 의해 설정하여 최종목표엔진회전수를 구하고, 주행상태에 합치하는 요구운전특성을 확보하게끔 변속제어를 행하고 경제성이나 가속성, 그리고 엔진 브레이크 효과등의 운전성을 자유로히 선택하고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5도에 있어서, 2는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 2A는 벨트, 4는 구동측 풀리, 6은 구동측풀리부재 8은 구동측가동풀리부재, 10은 피구동측풀리, 12는 피구동측고정풀리부재, 14는 피구동측가동풀리부재이다. 상기 구동측풀리(4)는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16)에 고정되는 구동축 고정풀리부재(6)와, 회전축(16)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 또 회전불가능하게 상기 회전축(16)에 장착된 구동측가동풀리부재(8)를 갖는다. 또, 상기 피구동측풀리(10)도 상기 구농측풀리(4)와 마찬가지로 피구동측고정풀리부재(12)와 피구동측 가동풀리부재(14)를 갖는다.
상기 구동측가동풀리부재(8)와 피구동측가동풀리부재(14)에는 제1, 제2 하우징(18,20)이 각각 장착되고, 제1, 제2유압실(22,24)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피구동측의 제2유압실(24)내에는 이 제2유압실(24)의 확대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을 가압하는 스프링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압수단(26)을 설치한다.
상기 회전축(16)에 오일펌프(28)를 설치하고, 이 오일펌프(28)를 상기 제1,제2유압실(22,24)에 제1, 제2 오일통로(30,32)에 의해 각각 연통함과 동시에 제 1 오일통로(30) 도중에는 입력축 시브압인 제 1 압을 제어하는 변속제어밸브인 제1압 제어밸브(34)를 개설한다. 또, 제1압 제어밸브(34)에서 오일펌프(28)측의 제1 오일통로(30)에는 제 3오일통로(36)에 의해 라인압(일반적으로 5- 25kg/cm2)을 일정압(3~4kg/cm2)으로 제어하는 정압제어밸브(38)를 연통하고, 상기 제1압 제어밸브(34)에서 제 4 오일통로(40)에 의해 제1압력제어용 제1삼방향 전자밸브(42)를 연통한다.
또 상기 제2오일통로(32) 도중에는 펌프압인 라인압을 제어하는 도피밸브기능을 갖는 라인압 제어밸브(44)를 제 5 오일통로(46)에 의해 연통하고, 이 라인압 제어밸브(44)에 제 6 오일통로(48)에 의해 라인압력제어용 제 2 삼방향전자밸브(50)를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라인압 제어밸브(44)의 연통하는 부위보다도 제 2 유압실(24)측의 제 2 오일통로(32) 도중에는 클러치압 제어밸브(52)를 제7오일통로(54)에 의해 연통하고 이 클러치압 제어밸브(52)에 제8오일통로(56)에 의해 클러치압 제어용 제3삼방향 전자밸브(58)를 연통한다.
또, 상기 제 1압 제어밸브(34) 및 제1압력제어용 제1삼방향 전자밸브(42) 정압제어밸브(38), 제6 오일통로(48), 라인압력제어용 제 2삼방향 전자밸브(50), 그리고 클러치압제어밸브(52)를 제 9 오일통로(60)에 의해 각각 연통한다.
상기 클러치압 제어밸브(52)를 유압발진클러치(62)에 제 10오일통로(64)에 의해 연통함과 동시에 이 제10 오일통로(64) 도중에는 제 11 오일통로(66)에 의해 압력센서(68)를 연통한다. 이 압력센서(68)는 홀드 및 스타모드등의 클러치압을 제어할 때에 적접유압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유압을 목표클러치압으로 하도록 지령할 때에 기여한다. 또, 드라이브 모드시에는 크러치압이 랑인압과 같아지므로 라인압 제어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18) 외측에 입력축 회전검출기어(70)를 설치하고, 이 입력측 회전검출기어(70)의 외주부위 근방에 입력축측의 제1회전검출기(72)를 설치한다. 또, 상기 제2하우징(20) 외측에 출력축 회전검출기어(74)를 설치하고, 이 출력측 회전 검출기어(74)의 외주부위 근방에 출력축측의 제2 회전검출기어(7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회전검출기(72)와 제 2 회전검출기(76)와의 검추신호를 후기하는 제어부(82)에 출력하고, 엔진회전수와 벨트비를 파지하는 것이다.
상기 유입발진클러치(62)에는 출력전달용 기어(78)를 설치하고, 이 기어(78) 외주부위 근방에 최종출력측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3회전검출기(80)를 설치한다. 즉, 이 제3회전검출기(80)는 감속기어 및 차동기, 구동축, 타이어에 직결하는 최종출력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이고, 차속의 검출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2회전검출기(76)와 제3회전검출기(80)에 의해 유압발진 클러치(62) 전후의 회전검출도 가능하고 클러치 슬립량의 검출에 기여한다.
그리고, 차량의 도시하시 않는 기화기의 드로틀 개도나 상기 제1 내지 제3회전검출기(72,76,80)로부터의 엔진회전, 차속등의 각종 조건을 입력하여 듀티율(duty ratio)을 변화시키고, 변속제어를 행하는 제어부(82)를 설치하며, 이 제어부(82)에 의해 상기 제1압력제어용 제1삼방향 전자밸브(42) 및 라인압력 제어용 제2삼방향 전자밸브(50), 그리고 클러치압 제어용 제3삼방향 전자밸브(58)의 개폐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압력센서(68)도 제어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어부(82)에 입력되는 각종신호와 입력신호의 기능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①, 시프트레버위치의 검출신호
… … P,R,N,D,L1,L2등의 각 렌지신호에 의해 각 렌지에 요구되는 라인압이나 레이시느(rato) 클러치의 제어
②, 캐브레터 드로틀 개도의 검출신호
… … 미리 프로그램내에 입력한 메모리에서 엔진토크를 검지, 목표레이시오 혹는 목표엔진회전수 결정
③, 캐브레터 아이들 위치의 검출신호
… … 캐브레터 드로틀 개도 센서 보정과 제어에 있어서의 정밀도 향상
④, 액셀페달신호
… … 액셀페달의 밟는 상태에 의해 운전자의 의지를 검지하고, 주행시 혹은 발진시의 제어방향 결정
⑤,브레이크신호
… … 브레이크페달의 밟는 동작 유무를 검지하고, 클러치 절리 등 제어방향 결정
⑥ 파워모드옵션신호
… … 차량의 성능을 스포츠성(혹은 이코노미성)으로 하기 위한 옵션으로서 사용등이 있다.
또, 상기 제어부(82)는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와 차속검출신호를 입력시켜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에 의한 제1목표엔진회전수와 차속검출신호에 의한 제2목표엔진회전수에 의한 최적목표엔진회전수를 결정하고 이 최적목표엔진회전수의 상하한치를 소정 조건에 의해 설정하여 최종 목표엔진회전수를 구하여 주행상태에 합치하는 요구운전특성을확보하게끔 변속제어를 행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술하면, 소정조건을 시프트레버위치의 검출신호와 예컨대 운전석 근방에 설치되는 옵션스위치(84)로부터의 ONㆍOFF 신호로 하고, 이들 시프트레버위치의 검출신호와 옵션스위치(84)로부터의 ONㆍOFF 신호에 의해 최적목표엔진회전수의 상하한치를 설정하여 최종목표엔진회전수를 구하는 것이다.
또, 86은 상기 유압발진클러치(62)의 피스톤, 88은 원환상 스프링, 90은 제1압력 플레이트, 92는 마찰플레이트, 94는 제2압력플레이트, 96은 오길팬, 98은 오일필터이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2)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16)상에 위치하는 오일펌프(28)가 회전축(16)의 구동에 따라 작동하고, 그 오일은 변속기 저부의 오일팬(96)에서 오일필터(98)를 통하여 흡수되다. 이 펌프압인 라인압은 라인압제어밸브(44)로 제어되고, 이 라인압제어밸브(44)로부터의 누출량, 즉 라인압 제어밸브(44)의 방출량이 크면 라인압은 낮아지고, 반대로 적으면 라인압은 높아진다.
다음에 상기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2)의 전자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단 변속기(2)는 유압에저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어부(82)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벨트유지와 토크전달을 위한 적절한 라인압이나 변속비 변경을 위한 제1 압 및 클러치를 확실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클러치압이 각각 확보되어 있다.
제1도의 상기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2)의 엔진회전제어용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내연기관의 구동에 의해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2)의 엔진회전제어용 프로그램이 스타트(100)하고 시프트 위치가 D인지 아닌지의 판단(102)을 행한다.
그리고, 이 판단(102)이 YES의 경우에는 상기 옵션스위치(84)가 ON동작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104) 으로 이행하고, NO의 경우에는 시프트 위치가 L2인지 아닌지의 판단(106)으로 이행한다.
상기 판단(104)이 NO의 경우에는 D렌지맵(range map)인 제1테이블(200D)과 드로틀 개도와 D렌지맵인 제2테이블(202D)과 차속으로 상하한치를 산출(108)하고, 필터계수를 설정한다(110). 또, 판단(104)의 YES의 경우에는 제1테이블(202D)과 200L2와 2개의 맵에 작용하는 옵션스위치(84)에 의한 일정 비례배분과 드로틀 개도, 제2테이블(202D)과 200L2와, 2개의 맵에 작용하는 옵션스위치(84)에 의한 일정한 비례배분과 차속으로 상하한치를 산출(112)하고, 필터 계수를 설정한다(114).
그리고 상기한 상하한치의 산출(112)과 후기하는 상하한치의 산출(120)의 방책으로서는 D렌지의 경우에 D와 L2와의 각 맵을 사용함과 동시에 L2렌지의 경우에 L2와 L1과의 각 멥을 사용하여 각각 일정한 비례 베분으로 설정하는 방법이외에도 시프트 위치와 옵션맵을 사용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상기 시프트 위치가 L2인지 아닌지의 판다(106)이 YES일 경우에는 옵션스위치(84)가 ON 동작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116)으로 이행하고, NO의 경우에는 시프트 위치가 L1인지 아닌지이 판단(118)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옵션 스위치(84)가 ON 동작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116)이 NO의 경우에는 L2렌지맵인 제1테이블(200L2)과 드로틀 개도, L2렌지맵인 제 2테이블(202L2)과 차속으로 상하한치를 산출(120)하고, 필터계수를 설정한다(l22). 또, 판단(116)이 YES의 경우에는, 제1테이블(200L2)과 200L1과 2개의 맵이 제1테이블(200L2)에 작용하는 옵션 스위치(84)에 의한 일정한 비례배합과 드로틀 개도와 차속, 제2테이블(202L2)과 202L1과 2개의 맵에 작용하는 옵션스위치에 의한 일정한 비례배분으로 상하한치를 산술(124)하고, 필터계수를 설정한다(126).
또, 상기 시프트 위치가 L2인지 아닌지의 판단(106)이 NO일 경우에는 시프트 위치가 L1인지 아닌지의 판단(118)을 행하고, 이 판단(118)이 YES일 경우에는 L1렌지맵인 제1테이블(200L1)과 드로틀 개도, L1렌지맵인 제 2 테이블(202L1)과 차속으로 상하한치를 산출(128)하고, 필터계수를 설정한다(130).
그리고 각 필터계수를 설정(110,114,122,126,130)후에 제1, 제2 엔진회전수와 차속으로 목표엔진회전수를 설정(134)하며, 각 설정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1차 지연으로 하게끔 필터처리(143)하여 최종목표엔진회전수를 구한 후에 레이시오 콘트롤 루프 연산처리(136)를 행하고, 레이시오 콘트롤 솔레노이드 구동용 신호를 출력(138)하여 상기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2)의 엔진회전제어를 행하여 프로그램을 리턴(140)시킨다.
또, 상기 시프트 위치가 L1인지 아닌지의 판단(118)이 NO의 경우에 프로그램의 리턴(140)으로 이행시킨다.
제2도에 따라 상기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2)의 엔진회전제어를 설명한다.
우선, 캐브레이터의 드로틀 개도(
Figure kpo00002
)의 검출신호에 의해 시프트위치(D, L2, L1)에 상응한 제 1 테이블(202D, 202L2, 202L1)에서 제 2 목표엔진회전수를 구한다(제4도 참조).
다음에 상기 제 1 목표엔진회전수와 제 2 목표엔진회전수와의 어느 한쪽, 혹은 쌍방의 엔진회전수에서 적정한 엔진회전수를 산출하고, 이것을 최적목표엔진회전수로 한다.
그리고, 이 최적목표엔진회전수의 상하한치를 설정(204)하고, 그후, 최적목표엔진회전수에 시프트 위치에 상응한 1차 지연정수를 작용시켜서 최적목표엔진회전수를 결정한다(206). 또, 1차 지연 정수판, 최종목표엔진회전수가 최적목표엔진회전수가지 도달하기 까지의 시간을 시프트위치에 상응하여 변화시키는 것이고, D렌지 위치에 있어서의 도달시간이 가장 늦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 1 목표엔진회전수와 제 2 목표엔진회전수판, 상기 옵션스위치(84)로 부터의 ON 신호 입력시에 제 1 테이블(200D, 200L2)에 작용하는 일정한 비율배분에 의해 설정된다. 즉, 옵션스위치(84)의 ON 신호 입력시에는 현상의 시프트 위치보다 낮은 기어측에 엔진회전수가 설정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시프트 위치, 가령 D, L2, L1위치와 옵션스위치(84)의 ONㆍOFF 동작신호에 상응하여 운전성이나 경제성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고, 가속성능이나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효율좋게 발취시킬 수 있어 운전특성(변속특성)을 낳을 수 있어 실용상 유리하다.
또, 차속검출신호에 의해 시프트 위치에 상응하여 제어응답성을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시프트 위치에 상응하여 스포츠성이나 정숙성, 혹은 경제성 등의 각종 특성이 선택폭을 가질수 있고, 운전자의 요구 운전특성에 합치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6~10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기능을 하는 부위에는 동일부호를 달고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최적목표엔진회전수를 구하는 소정조건을 가변저항기(302)에 의한 임의의 설정신호로 한 점에 있다.
즉,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캐브레터의 드로틀 개도(
Figure kpo00003
)의 검출신호와 가변 저항기(302)에 의한 임의의 설정신호에 의해 제 1 테이블(304)에서 제 1 목표엔진회전수를 구함과(제 8도 참조) 동시에 제 3 회전검출기(80)로부터의 차속검출신호와 가변 저항기(302)에 의한 임의의 설정신호에 의해 제 2 테이블(306)에서 제 2 목표엔진회전수를 구한다(제 9도 참조).
이대, 상기 가변 저항기(302)는 임의로 설정되는 목표엔진회전수의 전압레벨을 A/D변환부(308)에 의해 변환하고, 그후 시프트 위치가 D에 있는 검출신호를 거두어들이는 설정신호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제 1 목표엔진회전수와 제 2 목표엔진회전수와의 어느 한쪽, 혹은 쌍방의 엔진회전수에서 적정한 엔진회전수를 선출하고, 이것을 최적목표엔진회전수로 한다. 그리고 이 최적목표엔진회전수의 상하한치를 설정(310)하고, 그후 최적 목표엔진회전수를 가변 저항기(302)에 의한 임의의 설정신호에 따른 1차 지연 정수를 작용시켜서 최적 목표엔진회전수를 결정한다(312). 제 10도와 같이 이상적인 최적목표엔진회전수(a)에 1차 지연정수가 상이한 목표엔진수(b,c)가 최종적으로 가까와진다.
제 6도의 상기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2)의 엔진회전제어용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내연기관의 구동에 의해 벨트구동식 무단 변소기(2)의 엔진회전제어용 프로그램이 스타트(400)하고, 시프트 위치가 D인지 아닌지의 판단(402)을 행한다.
그리고, 이 판단(402)이 YES일 경우에는 상기 가변 저항기(302)에 의한 시프트 위치검출신호의 디지탈화를 행하고(404), NO이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리턴(402)으로 이행시킨다.
그리고, 처리(404)후에 드로틀 개도와 시프트 검출신호에 의해 제 1 엔진회전수를 산출(406)함과 동시에 차속과 시프트 검출신호에 의해 제2 엔진회전수를 산출(408) 한다.
또 필터계수를 산출하여 설정(410), 제 1 엔진회전수와 제 2 엔진회전수로 최적목표 엔진회전수를 설정(412)한다.
그리고 필터처리(414)를 행하여 최종목표엔진회전수를 구한 후에 레이시오 콘트롤 루프연산처리(416)를 행하고, 레이시오 콘트롤 솔레노이드 구동용 신호를 출력(418)하여 상기 벨트구동식 무단 변속기(2)의 엔진회전제어를 행하여 프로그램을 리턴(420) 시킨다.
그러하면 상기 가변 저항기(302)의 임의의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운전성이나 경제성을 자유로히 선택할 수 있고, 가속성능이나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효율좋게 발휘시킬 수 있어 운전특성(변속특성)을 낳을 수 있어 실용상 유리하다.
또, 차속검축신호와 상기 가변 저항기(302)의 임의의 설정신호에 의해 시프트 위치에 상응하여 제어 응답성을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서 시프트 위치에 상응하여 스포츠성이나 정숙성, 혹은 경제성등의 각종 특성의 선택폭을 가질 수 있고, 운전자의 요구운전특성에 합치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 1, 제 2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응용개변이 가능하다.
가령,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 조건을 시프트 레버위치의 검출신호와 옵션 스위치로부터의 ONㆍOFF 신호로 하고,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변 저항기의 임의의 설정신호로 하였으나 시프트의 다단화나 옵션 스위치의 다극접점화, 혹은 러더 저항을 사용하여 다극 접점에서 선택된 전압레벨신호를 소정조건으로 하고, 이들 조건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최적목표엔진회전수의 산하한치를 설정하고, 주행상태에 합치되는 요구운전 특성을 확보하게끔 변속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와 차속검출 신호를 입력시키고,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에 의한 제 1 목표엔진회전수와 차속검출신호에 의한 제 2 목표엔진호전수에 의해 최적목표엔지회전수를 결정하고 최적목표엔진회전수의 상하한치를 소정조건에 의해 설정하여 최종목표엔진회전수를 구하고, 주행상태에 합치되는 요구운전특성을 확보하게끔 변속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소정 조건에 상응한 운저성이나 경제성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고, 가속성능이나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효율좋게 발휘시킬수 있고, 운전특성을 낳을 수 있다.
또 소정 조건에 의해 제어 응답성을 변화할 수 있음으로써 시프트 위치에 상응하여 스포츠성이나 정숙성, 혹은 경제성등의 각종 특성의 선택폭을 가질 수 있고, 운전자의 요구운전특성에 합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롤러부재와, 고정풀리부재에 대하여 원근이동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지지되는 가동풀리부재와, 상기 고정ㆍ가동풀리부재의 사이에 구획되는 홈으로서, 상기 고정ㆍ가동풀리부재의 폭이 확대축소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고정ㆍ가동풀리부재의 양부재의 사이의 상기 홈의 안에 감아걸리는 벨트의 회전반경을 확경축경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홈과, 벨트비가 선택치로 변하도록 변속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단 변속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제어유니트를 구비함과 함께 이 제어유니트가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와 차속검출신호와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드로틀 개도 검출신호와 피선택벨트비에 근거해서 제1목표엔진회전속도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차속검출신호와 피선택벨트비에 근거하여 제2목표엔진회전속도를 판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 제2목표엔진회전속도 판정수단의 내의 적어도 한쪽이 제1 벨트비의 선택에 상응해서 이것에 수반한 목표엔진회전속도를 제1속도치에 설정함과 함께 제2 벨트비의 선택에 상응해서 이것에 따른 목표엔진회전속도를 상기 제1속도치와 다른 제 2 속도치에 설정하는 속도설정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이 속도설정수단이 상기 제1, 제2속도치에 사이의 제3속도치에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비례배분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제1.제2목표엔진회전속판정수단과, 상기 제1,제2목표엔진회전속도에서 최적인 목표엔진회전속도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최적인 목표엔진회전속도의 상한치와 하한치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최적인 목표엔진회전속도에서 최종목표엔진회전속도를 얻는 수단과를 가지고 있고 이것에 의해 차량의 주행상태에 적합한 소요의 작동특성을 확보하도록 변속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단 변속기의 제어장치.
KR1019900014670A 1989-09-30 1990-09-17 무단 변속기 제어장치 KR950004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56338 1989-09-30
JP1256338A JPH0718483B2 (ja) 1989-09-30 1989-09-30 連続可変変速機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065A KR910006065A (ko) 1991-04-27
KR950004315B1 true KR950004315B1 (ko) 1995-04-28

Family

ID=1729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670A KR950004315B1 (ko) 1989-09-30 1990-09-17 무단 변속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14383A (ko)
EP (1) EP0421241B1 (ko)
JP (1) JPH0718483B2 (ko)
KR (1) KR950004315B1 (ko)
DE (1) DE6901453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4983A (en) * 1988-07-29 1993-06-0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ntrolling device for non-stage transmission for vehicle with fault detection
JP2752012B2 (ja) * 1991-06-14 1998-05-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DE4120546C2 (de) * 1991-06-21 1995-04-13 Porsche Ag Einrichtung zur Steuerung eines stufenlosen Kraftfahrzeuggetriebes
JP3077007B2 (ja) * 1992-09-02 2000-08-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DE4229585A1 (de) * 1992-09-04 1994-03-10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orrichtung zur Regelung des Übersetzungsverhältnisses eines stufenlosen Getriebes
US5310384A (en) * 1993-03-29 1994-05-10 Borg-Warner Automotive,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belt ratio measurement system
JPH08285022A (ja) * 1995-04-10 1996-11-01 Unisia Jecs Corp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DE19546651A1 (de) * 1995-12-14 1997-06-19 Fev Motorentech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mit stufenlos verstellbarem Getriebe
DE19602033C2 (de) * 1996-01-20 2000-06-21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r Regelung stufenlos verstellbarer Getriebe von Kraftfahrzeugen
DE19732369B4 (de) * 1997-07-28 2007-02-15 Volkswagen A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Automatikgetriebes und eine Schaltvorrichtung zur Auswahl der Fahrstrategien
DE19802075A1 (de) * 1998-01-21 1999-07-22 Volkswagen Ag Verfahren zur Übersetzungsregelung eines stufenlosen Automatikgetriebes (CVT-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DE60133587T2 (de) * 2000-02-08 2009-04-30 Fuji Jukogyo K.K. Arbeitende Ölfiltervorrichtung für ein stufenloses Getriebe
KR100373027B1 (ko) * 2000-11-06 2003-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단 변속기의 변속비 제어방법
US7303505B2 (en) * 2005-12-16 2007-12-04 Chrysler Llc Method for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ratio in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059283B2 (ja) * 2006-08-25 2008-03-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ハイブリッド車両、車両の制御方法、車両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3814201B (zh) 2011-09-20 2016-03-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驱动力控制装置
US9630610B2 (en) 2011-09-27 2017-04-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riving force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9429235B2 (en) 2011-10-14 2016-08-30 Polaris Industries Inc. Primary clutch electronic CVT
US8534413B2 (en) * 2011-10-14 2013-09-17 Polaris Industries Inc. Primary clutch electronic CVT
US10648554B2 (en) 2014-09-02 2020-05-12 Polaris Industries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8318A (en) * 1981-04-24 1984-07-03 Borg-Warner Corporation Control arrangement for a variable pulley transmission
EP0093313B1 (en) * 1982-04-19 1988-02-03 Nissan Motor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reduction ratio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engine coolant temperature compensation
US4475416A (en) * 1982-07-27 1984-10-09 Borg-Warner Corporatio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own shift control
DE3370679D1 (en) * 1982-09-22 1987-05-07 Borg Warner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S6053262A (ja) * 1983-09-01 1985-03-26 Toyota Motor Corp 車両用無段変速機の速度比制御装置
JPS6053261A (ja) * 1983-09-01 1985-03-26 Toyota Motor Corp 車両用無段変速機の速度比制御装置
JPS6078150A (ja) * 1983-10-05 1985-05-02 Toyota Motor Corp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593432B2 (ja) * 1984-12-06 1997-03-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4718308A (en) * 1985-03-29 1988-01-12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4853858A (en) * 1986-02-13 1989-08-01 Nissan Motor Co., Ltd. Control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784919B2 (ja) * 1987-08-10 1998-08-13 スズキ株式会社 連続可変変速機制御方法
JP2697828B2 (ja) * 1987-08-28 1998-0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輌用自動変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14534T2 (de) 1995-05-04
EP0421241A3 (en) 1991-11-06
DE69014534D1 (de) 1995-01-12
EP0421241A2 (en) 1991-04-10
EP0421241B1 (en) 1994-11-30
JPH03121349A (ja) 1991-05-23
KR910006065A (ko) 1991-04-27
US5114383A (en) 1992-05-19
JPH0718483B2 (ja) 1995-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315B1 (ko) 무단 변속기 제어장치
US45890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duction ratio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acceleration compensation
US45663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duction ratio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engine coolant temperature compensation
US45905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duction ratio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accelerator pedal displacement speed compensation
US4466521A (en) Electric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 transmission
EP0879731B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ally-controlled engine and automatic steplessly variable transmission
EP1369625B1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P009462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45265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5074166A (en) Continuous speed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4569254A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ngine install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930003785B1 (ko) 연속가변변속기의 벨트비율제어장치
JP2722856B2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制御装置
US4753133A (en) Control system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 motor vehicle
KR950002934B1 (ko) 연속 가변 변속기 제어방법
US5069083A (en) Continuous speed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KR930010905B1 (ko) 연속가변변속기의 클러치압력 제어장치
JPH0328568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960015239B1 (ko) 연속 가변 변속기의 변속제어방법
KR930010898B1 (ko) 연속가변 변속기의 회전수 제어장치
JPS62255247A (ja) 車両用自動クラツチの制御装置
JPS6234982B2 (ko)
JP2929046B2 (ja) 連続可変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931861B2 (ja) 連続可変変速機制御装置
JP3059299B2 (ja) 連続可変変速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