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944B1 -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 - Google Patents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944B1
KR950001944B1 KR1019910700331A KR910700331A KR950001944B1 KR 950001944 B1 KR950001944 B1 KR 950001944B1 KR 1019910700331 A KR1019910700331 A KR 1019910700331A KR 910700331 A KR910700331 A KR 910700331A KR 950001944 B1 KR950001944 B1 KR 950001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line
display area
reference lin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924A (ko
Inventor
히로가즈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히로가즈 요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가즈 요시다 filed Critical 히로가즈 요시다
Publication of KR92070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43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locating of the code in an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1Details
    • G06K7/015Aligning or centering of the sens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56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the optical code with respect to the reader and correcting theref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haracter Input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Fax Reproduc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특허청구범위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나타내는 제1 내지 제4발명에 대한 블럭도.
제2도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를 판독할때 데이타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3도는 제1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설명도.
제4도는 제2발명에 의해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를 판독할때 데이타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5도는 제3발명에 의해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를 판독할때 데이타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6도는 데이타영역의 개략도.
제7도는 제4발명에 의해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를 판독할때 데이타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8도는 특허청구범위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나타내는 제5발명에 대한 블럭도.
제9도는 제5발명에 의해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를 판독할때 데이타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10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시키는데 사용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평면도.
제15도 및 제16도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설명도.
제17도는 2진 코드표시의 설명도.
제18도는 2진 코드표시에 대한 기록상태를 나타내는 제17도의 구별코드용지의 부분설명도.
제19도는 디스플레이 영역내에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0도는 보조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설명도.
제21도는 X-축 기준라인과 Y-축 기준라인이 직교되지 않을때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내는 설명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를 사용하는 디지탈 데이타 통신에 이용되는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2진형태의 2n2진 데이타(즉, 중국어 문자를 나타내는 24JIS 코드로 구성된 2진 데이타)로 이루어진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판독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와 이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에 대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미 공고된 일본 특허출원 번호 소 62-173352(1987)의 "인식코드용지"와 일본특허출원 공개 번호 소 64-76176(1989)의 "인식코드판독기"를 발명하였다.
상기 언급된 발명에서, 2진형태로 4개 이상의 2진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중국어 문자에 관련된 JIS 코드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할수 있는 기술적인 개념이 언급되어 있으며, 동시에, 표시영역에 2진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해 표시영역을 분할표시로 결정하므로써 디지탈 데이타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인 개념이 언급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일본 특허출원 번호 헤이 1-51971(1989)의 "디지탈 데이타 통신의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 및 통신방법"을 발명하였다. 이 발명에는 기록용지를 사용한 서면통신(FAX 전송)에 의한 원거리 통신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표시영역은 분할표시에 의해 결정되며 2진 데이타가 이 표시영역에 기록된다.
상기 공고된 발명에서, 용지의 팽창 및 축소에 기인한 표시영역의 변동에 의해 야기되는 에러발생과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우송 및 FAX 전송에서 야기되는 용지공급속도 변화등과 같은 문제점이 종래 발명에 의해 해결될수 있다 해도, 동일한 종류의 신호인 경우에, 분할표시부가 용지의 팽창 및 축소에 의해 원래의 디스플레이 위치로 부터 이탈되거나 용지공급속도에 변화가 생겼을때, 표시영역내에 표시된 2진신호표시와의 구별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중 제1 내지 제4발명의 목적은 분할표시부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변형에 응답하는 것이다.
본 발명중 제5발명의 목적은 분할표시부의 구별혼돈을 없애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제1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내의 X-축 기준라인에 대한 Y-축 기준라인과 Y-축 외부라인의 경사각도를 비교하여 Y-축 내부라인과 X-축 기준라인에 대한 경사각도의 불일치를 교정하고, X-축 기준라인상에서 시작점이 결정되는 다수의 Y-축 내부라인을 계산하기 위한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과, 디스플레이 영역내의 Y-축 기준라인에 대한 X-축 기준라인과 X-축 외부라인의 경사각도를 비교하여 X-축 내부라인과 Y-축 기준라인에 대한 경사각도를 불일치를 교정하고, Y-축 기준라인상에서 시작점이 결정되는 다수의 X-축 내부라인을 계산하기 위한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과, Y-축 내부라인과 X-축 내부라인의 교차점을 계산하여 표시영역 기준점을 얻기 위한 표시영역 기준점 검출수단과, 표시영역 기준점 검출수단에 의해 계산된 표시영역 기준점에 응답하여 표시영역을 계산하는 표시영역 계산수단과, 표시영역 계산수단에 의해 결정된 표시영역의 2진신호표시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타 판독수단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가 제공된다.
제2발명에서,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은, 시작점이 내부라인 위치표시검출위치가 되는 Y-축 내부라인 사이에서 내부라인 위치 표시부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X-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결정되는 Y-축 내부라인 뿐만아니라 Y-축 내부라인으로서, X-축 내부라인상의 시작점이 동작에 의해 결정되는 하나이상의 Y-축 내부라인을 계산하며,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은, 시작점이 내부라인 위치표시 검출위치가 되는 X-축 내부라인 사이에서 내부라인 위치표시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Y-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결정되는 X-축 내부라인 뿐만 아니라 X-축 내부라인으로서, Y-축 라인상의 시작점이 정보영역의 정보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동작에 의해 결정되는 하나이상의 X-축 내부라인을 계산한다.
제3발명에서, 표시영역 계산수단은 표시영역내로의 동작에 의해 표시영역 기준점 주위의 선정된 영역을 계산한다.
제1발명내의 제4발명에서 표시영역 계산수단은 4개의 표시영역 기준점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X-축 기준라인상의 Y-축 내부라인의 두개의 시작점과 이들 시작점과 마주하는 두개의 표시영역 기준점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및 Y-축 기준라인상의 X-축 내부라인의 두개의 시작점과 이들 시작점과 마주하는 두개의 표시영역 기준점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표시영역으로 계산한다.
제5발명에서,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에 의해 계산된 Y-축 내부라인과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에 의해 계산된 X-축 내부라인과 관련하여, 분할표시 검출수단은 두개의 내부라인 교차점상의 분할표시부를 검출하며, 표시영역 계산수단은 상기 분할표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분할표시부에 응답하여 표시영역을 계산하며, 데이타 판독수단은 표시영역의 2진신호표시를 판독하며,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표시영역내의 2진신호 데이타와 분할표시부가 구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가장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일본특허출원 공개 번호 소 64-86289(1989)(인식코드용지)와 일본 특허출원 공개 번호 소 64-76176(1989)(인식코드판독기)에 언급된 디지탈 코드 기록용지(인식코드용지)가 사용된다.
제15도에 도시된 디지탈 코드 기록용지는 X-축 기본라인(2)에 의해 조정되는 적당한 형태의 4변형 디스플레이 영역(b)과 X-축 기준라인, Y-축 기준라인(1) 및 부가적인 표시부(5)로 규정되는 영역을 갖는 코드 디스플레이면(B)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영역(b)은 24=16개 이상이 표시영역(작은 분할)으로 분할된다(제16도에서, 16개의 표시영역 P1,P2,P3,…P16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각의 표시영역(A)에서 2진신호표시(K)를 기록하므로써,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b)내에 16개의 2진코드가 기록되며, 24×4개의 숫자(즉, 24개의 0,1,2,…F로부터 4개를 결합하므로써)가 JIS 중국어 문자코드에 대응된다. 이렇게 하므로써, 한개의 적당한 중국어 문자가 한개의 디스플레이 영역(b)에 의해 기록되며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각의 표시영역(A)내에 디지탈 데이타(2진코드)를 기록하고 디스플레이하는 2진신호표시(K)와 같이 표시영역(A)은 제1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완전하게 인쇄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제17b, c, d도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 인쇄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제17b도에서의 원형, 제17c도에서의 별모양, 제17d도에서의 삼각형 및 제17e도에서의 4개의 작은 원형등 여러가지 형태의 표시가 그려질 수 있다. 2진신호(K)는 임의의 형태를 갖는 다수의 작은표시(K)를 배열시키므로써 형성된다. 또한, 표시영역(A)의 2진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상술된 표시방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구멍을 내거나 자기잉크를 사용하여 표시를 하는 방법도 효율적이 될수 있으며, 특별한 형광페인트, 자기잉크와 같은 두가지 형태의 신호표시가 표현될 수 있다.
제18도는 제15도의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가 24도트 개인용 컴퓨터 프린터에 의해 프린트 출력되는 경우를 도시하는데,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에 2개의 도트가 할당되며, 분할표시부(3)의 4개의 도트, 분할표시부(3)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영역(A)내에 디스플레이된 2진 신호표시(K)에 9개의 도트가 할당되며 9개의 도트가 부가표시부(5)에 할당된다.
제19도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에 디지탈 데이타(2진 코드 데이타)를 기록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9a도에서, 디스플레이 영역(B)은 P1,P2,…P16으로 각각 주소지정되며, 4개의 어드레스가 한 그룹이되어 중간분할영역 Q1,Q9,Q3,Q4로 나뉘어지는 24=16개의 표시영역(A)으로 분할된다. 제19b도는 JIS 중국어 문자 코드 4267인 "大"가 기록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20도는 이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에서, 제19a도의 P1,…P16로 분할된 데이타영역(B1)(제13도에서의 16개의 표시영역(A)과 제14도에서의 25개의 표시영역(A))의 외부에 보조영역(B2)이 제공된다. 또한,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부가정보(판독방향,국명,페이지,패리티,체크코드 등)가 보조영역내에 표시된다. 제13도를 참조하면, 데이타영역(B1)에서 표시영역(A)의 수(Z)는 다음 방정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Z=MBX×MBY
여기에서, MBX=X-축 방향에 있는 표시영역(A)의 수[데이타영역(B1)의 X-축 방향에 위치한 내부라인 위치표시부-1]이며, MBY=Y-축 방향에 있는 표시영역(A)의 수[데이타영역(B1)의 Y-축 방향에 위치한 내부라인 위치표시부-1]이다.
데이타(Z)의 수에 의해, 데이타영역(B1)에 의해 표현가능한 비트수는 다음예에서 처럼 결정된다.
데이타의 수=2Z, Z=MBX×MBY
예 1) 문자, 코드 : MBX=4, MBY=4
비트의 수=216=65,536(24도트 프린트)
예 2) 음악 등등 : MBX=5, MBY=4
비트의 수=220=1,048,576(32도트 프린트)
예 3) 칼라 영상 : MBX=6, MBY=4
비트의 수=224=16,777,210(32도트 프린트)
제14도는 보조-분할표시부(4)(내부라인 위치표시로서의 기능을 포함), X-축 기준라인(2)과 분할표시부(3), Y-축 기준라인(1)등을 이용하므로써 표시영역(A)이 결정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X-축 방향의 표시영역(A)의 수 MBX와 Y-축 방향의 표시영역(A)의 수 MBY'는 다음과 같다.
MBX'=데이타영역(B1)의 X-축방향으로의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의 수
MBY'=데이타영역(B1)의 Y-축방향으로의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의 수
분할 표시부(3)가 제5의 발명을 수행시키는데 필요하다해도 제1발명부터 제4발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제11도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생략될 수 있으며,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분할표시부(3)와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가 데이타를 판독하는데 필요하지 않다해도 이들은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상에 데이타를 프린트하고 기록위치를 확인할 목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 분할표시부(3)와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는 칼라잉크로 인쇄되어 X-축 기준라인(2), Y-축 기준라인(1), 부가표시부(5) 및 2진 신호표시(K)와 구별되므로써 데이타판독으로부터 배제된다.
유사하게, 표시영역(A)을 디스플레이하는 X-축 내부라인(2A)과 Y-축 내부라인(1A)은 표시영역(A)이 외견상 확인될 수 있도록 판독불가능한 잉크로 인쇄한다. 또한 X-축 내부라인(2A)과 Y-축 내부라인과 함께 X-축 기준라인(2), Y-축 기준라인(1), 부가표시부(5) 및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도 판독불가능한 잉크로 인쇄되며, 그위의 기록용지는 데이타 기록 및 인쇄시에 표시영역(A)의 외견상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게 사용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서 제1발명이 설명된다.
감지기(라인감지기)(8)를 이동시키는 마이크로컴퓨터(10)는 판독신호를 입력하며, 디스플레이 및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9)로 출력시키기 위한 JIS 중국어 문자코드, 다른 디시플레이 및 2진신호를 출력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1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 결정수단(11),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2),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3), 표시영역 기준점 검출수단(14), 표시영역 계산수단(15), 데이타 판별수단(16), 2진코드변환수단(17) 및 출력장치(18)용 코드변환수단등과 같은 기능들이 마이크로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세트된다.
디스플레이 영역 결정수단(11)은 X-축 기준라인(2), Y-축 기준라인(1) 및 부가표시부(5)를 검출하며, 마이크로컴퓨터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B)를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즉, 종래의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소 64-76176(1989)에 언급되어 있다).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2)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X-축 기준라인(2)과 Y-축 기준라인(1)의 교차각(θO)과 X-축 기준라인(2)과 Y-축 외부라인(1B)의 교차각(θX) 사이의 차를 계산하고, X-축 기준라인(2)에 대한 교차각(θXn)을 다음식과 같이 계산하고, X-축 기준라인상의 Y-축 기준라인(1) 시작점을 계산하므로써 Y-축 내부라인(1A)을 계산한다.
[여기에서, MBX는 X-축 방향으로의 표시영역수이다]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3)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X-축 기준라인(2)과 Y-축 기준라인(1)의 교차각(θO)과 X-축 기준라인(2)과 Y-축 외부라인(2A)의 교차각(θY)을 검출해서, Y-축 기준라인(1)에 대한 교차각(θYn)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고, X-축 기준라인상의 Y-축 기준라인(1) 시작점을 계산하므로써 X-축 내부라인(1A)을 계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MBY는 Y-축 방향으로의 표시영역수이다]
X-축 기준라인상의 Y-축 기준라인(1)과 시작점과 Y-축 기준라인상의 X-축 내부라인(2A) 시작점을 계산할 때, 각 시작점은 제2도에 도시된 제1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3도에 도시된 제1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동작에 의해 결정되는데, 시작점은 Y-축 내부라인(1A)이 X-축 기준라인(2)과 인접하는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를 통과할때, 그리고, X-축 내부라인(2A)이 Y-축 기준라인(1)과 인접되는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를 통과할때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2)과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3)에 의해 각각 계산된다.
표시영역 기준점 검출수단(13)은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2)과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3)에 의해 각각 계산된 Y-축 내부라인(1A)과 X-축 내부라인(2A)에 대해, 두개의 내부라인 교차점을 계산하므로써 표시영역 기준점(D)을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영역 계산수단(15)은 표시영역 기준점 검출수단(14)에 의해 계산된 표시영역 기준점(D)에 응답하여 표시영역(A)을 계산하는 기능을 한다.
데이타 판별수단(16)은 각각의 표시영역(A)에 대해 영상처리를 수행하며, 각 표시영역(A)의 크기에 비례하여 입력된 2진 신호표시(K)값이 소정 크기영역내에 존재할 때(즉, 제18도의 실시예에서, 통합된 값은 4 내지 9개의 도트에 대응한다) 2진 신호표시(K)의 존재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진코드 변환수단(17)은 각각의 표시영역내의 2진신호표시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므로써 24(n4)의 2진코드값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로컴퓨터(10)에 상기 언급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유니트(CPU)와 메모리수단(21)뿐만 아니라 입력용 인터페이스(데이타 입력처리수단)(22)과 출력용 인터페이스(출력장치용 데이타 변환수단)(23)가 부가된다.
제1발명에 의한 데이타 판독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제10도에 도시된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가 FAX 및 우편전송과 같은 원거리 통신에 의해 입력되어, 판독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에 부착된 판독곱셈코드와 같은 여러가지 데이타 입력 수단으로 사용된다 해도, 용지의 팽창 및 축소에 의한 판독 감지기의 레이저 빔의 입사방향 및 용지 공급방향에 있어서의 오차와 X-축 기준라인(2)과 Y-축 기준라인(1)의 사선각도의 변동이 발생하며, X-축 기준라인(2)과 Y-축 기준라인(1)의 바깥선단과 부가표시부(5)를 연결시키는 Y-축 외부라인(2)과 Y-축 기준라인(1)이 평행상태로 되지 않게 되어 디스플레이 영역(B)이 불규칙한 4변형이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 언급된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래의 디스플레이 영역(B)을 계산하므로써 정확하게 신호표시를 판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아래에서, 신호표시 구별방법의 예가 설명될 것이다.
원래의 디지탈 기록용지에 대해 제10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기준라인(2), Y-축 기준라인(1) 및 부가표시부(5)는 일정하게 인쇄되며, 실시예에서, 직각 평행사변형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X-축 기준라인(2), Y-축 기준라인(1) 및 부가표시부(5)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기록용지상에 미친 압력과 용지공급속도 또는 다른 이유에 기인하여 용지가 팽창되었을 때, 비례적으로, 아래에 언급될 θXn, θYn의 방정식에 적응되도록 일정한 양만큼 변형이 발생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0)의 디스플레이 영역 검출수단(11)은 X-축 기준라인(2), Y-축 기준라인(1) 및 부가표시부(5)에 의해 둘러싸인 디스플레이 영역(B)을 검출하며, Y-축 외부라인(1B)과 X-축 외부라인(2B)을 계산한다.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2)은 X-축 기준라인(2)과 Y-축 기준라인(1)의 교차각(θO)와 X-축 기준라인(2)과 Y-축 외부라인(1B)의 교차각(θX) 사이의 차를 계산하고, Y-축 내부라인(1A1,1A2,1A3,…,1An)을 X-축 기준라인(2)에 대한 교차각(θXn)으로 계산하기 위해 X-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을 계산한다(제3도의 실시예에서, 시작점은 X-축 기준라인(2)을 인접하는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에 의해 계산된다).
[여기에서, MBX는 X-축 방향으로의 표시영역수이다].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3)은 X-축 기준라인(2)과 Y-축 기준라인(1)의 교차각(θO)과 X-축 외부라인(1B)과 Y-축 기준라인(1)의 교차각(θr) 사이의 차를 계산하고, X-축 내부라인(2A1,2A2,2A3,…,2An)을 Y-축 기준라인(2)에 대한 교차각(θrn으로 계산하기 위해 Y-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을 계산한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 시작점은 Y-축 기준라인(1)을 결합하는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에 의해 계산된다)
[여기에서 MBr는 Y-축 방향으로의 표시영역수이다].
Y-축 내부라인(1An)과 X-축 내부라인(2An)에 대한 상기 실시예에서, 교차각의 차가 동일하게 교정된다해도, X-축 기준라인(2)에서 X-축 외부라인(2B)까지 또는 Y-축 기준라인(1)에서 Y-축 외부라인(1B)까지 점진적으로 교정양을 증가시키거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간격을 이룬 점으로부터 3차원적으로 교정시키는 방법 등이 적용된다.
다음에, 표시영역 기준점 검출수단(14)은 상술된 Y-축 내부라인(1A1,1A2,1A3,…,1An)과 X-축 내부라인(2A1,2A2,2A3,…,2An)의 교차점(표시영역 기준점)(을 계산한다.
표시영역 계산수단(15)은 상기 표시영역 기준점 검출수단(14)에 의해 계산된 표시영역 기준점(D)에 응답하여 표시영역(A)을 계산한다.
데이타 판별수단(16)은 Low, High 상태를 ON, OFF로 대응시키는 2진 신호 또는 2진 데이타를 출력시키는데, 2진 신호표시(K)가 표시영역(A) 내에 존재할때는 ON으로 2진 신호표시(K)가 표시영역(A)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OFF로 나타낸다.
제2발명에서,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2)은 Y-축 내부라인(1A)으로서, 시작점이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의 검출위치가 되는 Y-축 내부라인(1A') 사이에서, X-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 각각의 모든 위치를 검출하도록 결정되는 Y-축 내부라인(1A')뿐만 아니라 X-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동작에 의해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Y-축 내부라인(1A")을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13)은 X-축 내부라인(2A)으로서, 시작점이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의 검출위치가 되는 X-축 내부라인(1A') 사이에서, Y-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내부라인 위치표시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X-축 내부라인(1A")을 계산한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개 이상의 Y-축 내부라인(1A")은 시작점이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인 Y-축 내부라인(1A')사이에서 계산되며, 한개 이상의 X-축 내부라인(2A")은 시작점이 내부라인 위치표시부(4)인 X-축 내부라인(2A') 사이에서 계산된다. 결과적으로, 표시영역(A)은 물론 표시영역 기준점(D)의 수는 순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표시영역 계산수단은 표시영역(A) 내로의 동작에 의해 표시영역 기준점(D)에 관한 소정영역을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 발명의 분할표시 대신에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영역(A)은 표시영역 기준점(D)에 응답하여 결정되며,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된다.
제3발명에서, 표시영역 계산수단(15)은 4개의 표시영역 기준점(D)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표시영역(A)으로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X-축 기준라인상의 Y-축 내부라인(1A)의 두개의 시작점과 이 시작점과 마주하는 두개의 표시영역 기준점(D)으로 둘러싸인 영역과, Y-축 기준라인상의 X-축 내부라인(2A)의 두개의 시작점과 이 시작점과 마주하는 두개의 표시영역 기준점(D)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표시영역(A)으로 계산됨) 즉, 표시영역 기준점(D)은 종래 발명의 분할표시부와 동일하게 표시영역(A)의 주변을 조정한다.
제8도를 참조하면, 제5발명에서는, 상술된 발명의 표시영역 기준점 검출수단(14)을 대신해서,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에 의해 계산된 Y-축 내부라인(1A)과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에 의해 계산된 X-축 내부라인(2A)에 대해, 두개의 내부라인 교차점에서, 분할표시부(3)만이 효율적으로 되는 분할표시검출수단(14a)이 사용되며, 표시영역 계산수단(15a)은 분할표시 검출수단(14a)에 의해 검출된 분할표시부(3)에 응답하여 표시영역(A)을 계산한다.
제5발명에 의해 데이타를 판독할 때, 제9도를 참조하면, 분할표시 검출수단(14a)은 Y-축 내부라인(1A1,1A2,1A3,…,1An)의 교차점과 X-축 내부라인(2A1,2A2,2A3,…,2An)의 교차점을 계산하여 교차점에 대해 일정한 공차(C) 내에 위치하는 분할표시부(3)를 검출한다.
표시영역 계산수단(15)은 분할표시 검출수단(14)에 의해 검출된 분할표시부(3)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영역(A)으로 언급된 영역(또는 보조 분할표시(5), X-축 기준라인(2)과 Y-축 기준라인(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포함한다)을 검출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내에 분할표시부(3)를 위치시킬때 어느 정도의 허용공차를 인정하여(또는 특정한 위치의 불일치를 허용하도록)분할표시의 위치를 결정하고 구별하므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영역(B)이 변형되었을 경우에도, 표시영역(A)은 정확히 규정되어 정확한 2진 코드 데이타가 출력된다. 디스플레이 영역의 변형에 기인한 분할표시의 이동에 대한 카운터 측정으로서, 표시영역(A)의 분할표시부(3)와 2진 신호표시(K)가 동일형태의 신호일 때(즉, 동일색상을 갖는 잉크에 의해 인쇄될 때), 이들은 구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표시영역(A) 내의 2진 신호표시(K)를 분할표시부(4)로 잘못판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 발명의 판독기를 사용하여 서로다른 형태의 잉크(즉, 형광 잉크와 자기 잉크)를 사용하는 방법과 표시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2진 신호표시와 분할표시부를 구분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본 발명과 비교했을 때, 가격이 비싸며, 영상처리시간이 더 길며, 에러율이 높다는 단점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기준라인(2)과 Y-축 기준라인(1)이 대각선으로 교차하고 있다해도, 이들은 적절한 각도로 교차되며, 표시영역(A)은 사각형보다는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발명이 X-축 내부라인과 Y-축 내부라인의 변형 및 교정에 의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변형과 표시영역의 교정위치에 응답하기 때문에 기록용지의 데이타는 디지탈 데이타가 기록용지가 팽창되거나 축소되는 경우와 감지기의 판독방향이 변화(즉, 감지기 레이저 빔의 비방사방향에서의 에러) 되는 경우, 또한 부적절한 테스트위치와 부적절한 제품의 장착각도가 검출된 경우에도 정확하게 판독될 수 있다.
제2발명에서,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데이타 볼륨은 제1발명에서의 Y-축 내부라인과 X-축 내부라인을 증가시키므로써 증가될 수 있다.
제3발명에서, 표시영역은 제1발명에서의 표시영역 기준점에 응답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에 의해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4발명에서, 표시영역 기준점은 제1발명에서의 분할표시부와 동일한 표시영역의 주변을 조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제5발명에서, 표시영역이 상술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변형에 기인한 분할표시위치 이동을 교정하므로써 계산되기 때문에, 기록용지의 데이타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변형에 항상 대응하여 정확히 판독될 수 있다.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팽창 및 축소의 경우에 기록용지의 데이타를 판독하는데 수반되는 에러와 감지기의 판독방향변화(즉, 감지기 레이저 빔의 비방사방향에서의 에러) 및 검출된 부적절한 테스트위치와 부적절한 제품의 장착각도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산업적 응용]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는 용지의 팽창 및 축소에 의해 표시영역내에 발생한 변화 및 용지공급속도 변화에 기인한 에러발생문제를 해결하여, 우편전송, FAX 등에 의해 원거리로 전송한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하므로써,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에 의한 디지탈 데이타의 원거리 통신이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판독영역 및 판독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X-축 측을 결정하는 X-축 기준라인, Y-축 측을 결정하는 Y-축 기준라인 및 그 대각의 코너부를 결정하는 부가표시에 의해 2차원 코드데이타의 정보영역이 특정되어 있는 2차원 코드데이타의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내의 X-축 기준라인에 대한 Y-축 기준라인과, Y-축 외부라인과 경사각도를 비교하여, X-축 기준라인에 대한 경사각도의 차이를 교정하기 위한 부가표시와 X-축 기준라인의 단부를 연결함으로써 결정되는 Y-축 외부라인과 Y-축 내부라인 사이에 복수개의 소정간격으로 분할되는 복수개의 Y-축 내부라인을 계산하기 위한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 디스플레이 영역내의 Y-축 기준라인에 대한 X-축 기준라인과, X-축 외부라인과의 경사각도를 비교하여, Y-축 기준라인에 대한 경사각도의차이를 교정하기 위한 부가표시와 Y-축 기준라인의 단부를 연결함으로써 결정되는 X-축 외부라인과 X-축 기준라인 사이에서 복수개의 소정간격으로 분할되는 복수개의 X-축 내부라인을 계산하기 위한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 Y-축 외부라인과 X-축 내부라인의 교차점을 계산함으로써 표시영역기준점을 얻기 위한 표시영역기준점 검출수단, 표시영역기준점 검출수단에 의해 계산된 표시영역기준점에 응답하여 표시영역을 계산하기 위한 표시영역 계산수단과 표시영역 계산수단에 의해 결정된 표시영역의 2진 신호표시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타 판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은, X-축 기준라인에 대한 Y-축 외부라인의 경사각도와 Y-축 기준라인의 경사각도와의 차이를 Y-축 내부라인의 수 +1의 수로 나눗셈한 경사각도를 Y-축 기준라인의 경사각도에 순차 적산하여 Y-축 내부라인의 경사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은 Y-축 기준라인에 대한 X-축 외부라인의 경사각도와 X-축 기준라인의 경사각도와의 차이를 X-축 내부라인의 수 +1의 수로 나눗셈한 경사각도를 X-축 기준라인의 경사각도에 순차 적산하며 X-축 내부라인의 경사각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X-축 내부라인은 Y-축 기준라인을 X-축 내부라인의 수 +1의 수로 선분화한 점을 시작점으로 하며, 상기 Y-축 내부라인은 X-축 기준라인을 Y-축 내부라인의 수 +1의 수로 선분화한 점을 시작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코드데이터의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에서는 Y-축 내부라인은 각각의 내부라인 위치표시의 검출위치마다 X-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결정되고,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에서는 X-축 내부라인은 각각의 내부라인 위치표시의 검출위치마다 Y-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코드데이타의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은 Y-축 내부라인으로서 각각의 내부라인 위치표시의 검출위치마다 X-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결정되어지는 Y-축 내부라인 뿐만아니라, 내부라인 위치표시의 검출위치를 시작점으로 하는 상기 Y-축 내부라인 사이에서 Y-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연산처리에 의해 결정되는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Y-축 내부라인을 계산하며, 상기 X-축 내부라인은 X-축 내부라인으로서 각각의 내부라인 위치표시의 검출위치마다 Y-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결정되어지는 X-축 내부라인 뿐만 아니라 내부라인 위치표시의 검출위치를 시작점으로 하는 상기 X-축 내부라인 사이에서 X-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연산처리에 의해 결정되는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X-축 내부라인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코드데이타의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표시영역 계산수단은 표시영역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범위를 연산처리로써 계산한 표시영역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코드데이타의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표시영역 계산수단은 상기 4개의 표시영역기준점에 의해 둘러쌓인 영역을 표시영역으로 각각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
  8. 판독영역 및 판독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X-축 측을 결정하는 X-축 기준라인, Y-축 측을 결정하는 Y-축 기준라인 및 그 대각의 코너부를 결정하는 부가표시에 의해 2차원 코드데이타의 정보영역이 특정되어 있는 2차원 코드데이타의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내의 X-축 기준라인의 단부와 X-축 기준라인에 대한 부가표시를 연결함으로써 결정되는 Y-축 외부라인과 Y-축 기준라인의 경사각도를 비교하여 X-축 기준라인에 대한 경사각도의 차이를 교정하며, Y-축 기준라인과 Y-축 외부라인 사이를 복수개의 소정간격으로 분할하기 위해 X-축 기준라인에 인접하는 내부라인 위치표시에 의해 X-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결정되는 복수개의 Y-축 내부라인을 계산하는 Y-축 내부라인 계산수단, 디스플레이 영역내의 Y-축 기준라인의 단부와 Y-축 기준라인에 대한 부가표시를 연결함으로써 결정되는 X-축 외부라인과 X-축 기준라인의 경사각도를 비교하여 Y-축 기준라인에 대한 경사각도의 차이를 교정하며, X-축 기준라인과 X-축 외부라인 사이를 복수개의 소정간격으로 분할하기 위해 Y-축 기준라인에 인접하는 내부라인 위치표시에 의해 Y-축 기준라인상의 시작점이 결정되는 복수개의 X-축 내부라인을 계산하는 X-축 내부라인 계산수단, Y-축 내부라인과 X-축 내부라인과의 교차점에 대해 허용공차내에 존재하는 분할표시를 유효한 구분표시로 하여 검출하는 분할표시 검출수단, 분할표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분할표시에 응답하여 표시영역을 계산하기 위한 표시영역 계산수단과, 표시영역 계산수단에 의해 결정된 표시영역 2진 신호표시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타 판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KR1019910700331A 1989-08-02 1990-07-31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 KR950001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00467 1989-08-02
JP20046789 1989-08-02
PCT/JP1990/000980 WO1991002327A1 (fr) 1989-08-02 1990-07-31 Lecteur de donnees numeriques pour feuille d'enregistrement de donnees numer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924A KR920701924A (ko) 1992-08-12
KR950001944B1 true KR950001944B1 (ko) 1995-03-07

Family

ID=1642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331A KR950001944B1 (ko) 1989-08-02 1990-07-31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437627B1 (ko)
JP (1) JP2742555B2 (ko)
KR (1) KR950001944B1 (ko)
AT (1) ATE143740T1 (ko)
AU (1) AU637127B2 (ko)
BR (1) BR9006870A (ko)
CA (1) CA2035891C (ko)
DE (1) DE69028762T2 (ko)
DK (1) DK0437627T3 (ko)
ES (1) ES2094756T3 (ko)
FI (1) FI99057C (ko)
NO (1) NO180606C (ko)
WO (1) WO1991002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0197A (ja) * 1992-04-06 1993-11-05 Teiriyou Sangyo Kk 二次元コ−ドシンボルマ−クの解読方法
JP2000222517A (ja) 1998-11-27 2000-08-11 Denso Corp 2次元コ―ド読取方法、2次元コ―ド読取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4054529A (ja) 2002-07-18 2004-02-19 Sharp Corp 2次元コード読み取り方法,2次元コード読み取りプログラム,該2次元コード読み取り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及び2次元コード読み取り装置
JP4874706B2 (ja) * 2006-04-28 2012-02-15 シヤチハタ株式会社 Qrコード読取装置
US8101813B2 (en) 2008-10-30 2012-01-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raining progress indicator
US9220640B2 (en) 2010-12-30 2015-1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wo dimensional code made from an active graphic
DE102015219980A1 (de) * 2015-10-14 2017-04-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hält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s für flüssige Betriebsmittel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254A (en) * 1978-08-30 1980-03-08 Fujitsu Ltd Skew compensation circuit
JPS58168182A (ja) * 1982-03-29 1983-10-04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マ−ク読取方式
JPH0821054B2 (ja) * 1987-09-17 1996-03-04 帝菱産業株式会社 識別コード読取装置
JPH0198087A (ja) * 1987-10-09 1989-04-17 Yamatake Honeywell Co Ltd 田形コードの読取り方法
DE4231083A1 (de) * 1992-09-17 1994-03-24 Witco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stanna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9057C (fi) 1997-09-25
ES2094756T3 (es) 1997-02-01
DE69028762D1 (de) 1996-11-07
CA2035891C (en) 1996-10-22
BR9006870A (pt) 1991-08-27
NO180606C (no) 1997-05-14
FI911559A0 (fi) 1991-03-28
CA2035891A1 (en) 1991-02-03
AU6056690A (en) 1991-03-11
EP0437627A1 (en) 1991-07-24
JP2742555B2 (ja) 1998-04-22
EP0437627A4 (en) 1992-10-21
FI99057B (fi) 1997-06-13
WO1991002327A1 (fr) 1991-02-21
EP0437627B1 (en) 1996-10-02
AU637127B2 (en) 1993-05-20
JPH04143876A (ja) 1992-05-18
NO911256D0 (no) 1991-03-27
DK0437627T3 (da) 1996-11-18
KR920701924A (ko) 1992-08-12
ATE143740T1 (de) 1996-10-15
DE69028762T2 (de) 1997-03-06
NO180606B (no) 1997-02-03
NO911256L (no) 199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8543A (en) Digital data reader of digital data recording sheet
US5128526A (en) Identification code
US5204515A (en) Method of reading identification code sheets using borders to determine scan angle
US4661001A (en) Label printer with test pattern for price and bar codes
EP0472255B1 (en) Identification mark reading apparatus
US4546449A (en) Output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output format
KR950001944B1 (ko) 디지탈 데이타 기록용지의 디지탈 데이타 판독기
US4257711A (en) Proportional spacing impact printing apparatus
US5852745A (en) Graphical sheet technique for automatically changing the conditions of a printer/plotter
US5086481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outline data into dot data, having means for assuring continuity of visible representations reproduced by the dot data
HUT75820A (en) Method of stroke segmentation for handwritten input
JP2784502B2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紙の二次元データ記録読取方法およびその記録読取装置。
JPS5840789B2 (ja) 入力位置検出方式
JPH01287789A (ja) マークシート
JPS62551B2 (ko)
JPH0681209B2 (ja) フアクシミリ用マークシート
JPH0816917B2 (ja) 個別コード情報読取方法
JPH02231694A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紙およびデジタルデータ通信方法
JP3001318B2 (ja) 印字装置
JP2967343B2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紙
JPH0257373A (ja) プリンタ装置
JPH04286673A (ja) 印字文字の濃度検出方式
JPH07102755B2 (ja) 個別情報マークシート
JP2002279340A (ja) 取消機能付きマークシート読取装置及びその方法と、この方法を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S63233852A (ja) 文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