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092B1 -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4092B1 KR940004092B1 KR1019910700264A KR910700264A KR940004092B1 KR 940004092 B1 KR940004092 B1 KR 940004092B1 KR 1019910700264 A KR1019910700264 A KR 1019910700264A KR 910700264 A KR910700264 A KR 910700264A KR 940004092 B1 KR940004092 B1 KR 9400040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propylene resin
- weight
- resin composition
- parts
- composition accord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7—Cyclic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투명성이 우수하며, 살균을 위해 방사선으로 조사한 폴리프로필렌의 열수추출촉진 시험에 있어서, 추출액의 pH저하가 매우 적은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폴리프로필렌수지는 기계적성질,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할 뿐만아니라 위생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식기류등의 식품용기, 냉동용기, 쟁반, 즉석식품용기류 및 마가린용기등과 주사기, 스피츠관, 주입용기, 실린더등의 의료기구와 같은 각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식품용기 및 의료기구로서의 수지의 용도에 있어서, 용기의 내용물이 먼지 또는 기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용기에 내용물을 장입하였을 경우 내용물 고유의 색조가 변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이유로해서, 이들 용도에 있어서는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사용이 요망되고 있었다.
폴리프로필렌수지의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결정핵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널리 채택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런 결정핵제로서 소르비톨유도체 또는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을 첨가하고 있다.
이들 소르비톨유도체중에서, 폴리프로필렌수지의 투명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것들로서는 1.3,2.4-디벤질리덴소르비톨, 1.3,2.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및 1·3, 2·4-디-(에틸벤질리덴)소르비톨이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1·3, 2·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또는 1·3, 2·4-디-(에틸벤질리덴)소르비톨을 첨가한 것은 투명성은 양호하나, 수지조성물을 열수중에 침지시키면 소르비톨 유도체가 열수중에 용출하거나 소실되고 냉각후 추출액중에 부유물이 발생하여 안전위생상의 문제로 된다.
반면,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에 1·3, 2·4-디벤질리덴소르비톨을 첨가한 것은 열수중에 침지시킨후 얻은 추출액을 냉각시켰을 경우 부유물은 형성되지 않으나 이들의 투명성은 여전히 불충분하다.
디아릴포스페이트금속염중에서, 폴리프로필렌수지의 투명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들로서는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나트륨,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리튬, 디-[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 칼슘,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닐)인산 나트륨 및 2.2'-메틸렌 비스(4-에틸-6-t-부틸페닐)인산 나트륨이 있다.
이들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을 첨가한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은 열수중에 침지한후 얻은 추출액을 냉각시켰을 경우 전술한 부유물은 형성되지 않아 투명성은 양호하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을 살균하기 위해 방사선으로 조사하였을 경우, 열수추출촉진 시험에 있어 방사선으로 조사하기 전과후 사이의 pH값이 차이나며 pH는 방사선 조사한후 대폭적으로 저하함을 보여준다. 이런 이유로해서, 살균을 위해 방사선으로 조사하고 수용액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투명성이 우수하며 수용되는 내용물을 손상시키지 않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제안된 바가 없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이 우수하며, 살균을 위해 방사선으로 조사한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액에 불활성인 용기를 제작하는데 적합한, 즉, 살균을 위해 방사선으로 조사한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열수추출촉진 시험에 있어서 얻어진 추출액의 pH저하가 매우 적은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정핵제를 첨가한것과 관련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바, 알카리금속, 알카리토금속 또는 알루미늄족 원소의 수산화물을 폴리프로필렌수지와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폴리프로필렌수지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일본특개 소 61-53344) 또는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과 주기율표의 1족 원소의 금속염 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일본특개 소 63-69853)를 첨가한 것은 알려져 있으나,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을 첨가하고 방사선으로 조사한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열수추출촉진 시험에 있어서 얻어진 추출액의 pH값이 대폭적인 저하를 알카리금속, 알키리토금속 또는 알루늄족 원소와 수산화물을 첨가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없다. 즉, 상기의 발견을 근간으로 하여, 투명성이 우수하며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변질시키지 않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것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전혀 예기되지 못했던 것이다.
(식중, R1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며, M은 알카리금속 또는 알카리토금속이고, n은 1 또는 2, A는 알킬리덴기를 표시한다)로 표현되는 디아릴포스페이트금속염 0.01∼1.0중량부 및 알카리금속, 알카리토금속 또는 알루미늄족 원소의 수산화물 0.001∼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선의 실시형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수지는 프로필렌단일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특히, 본 발명의 효과를 최적으로 보장하는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수지는 에틸렌 함유량이 2∼6중량%인 프로필렌-에틸렌랜덤공중합체이다.
상기 일반식(I)로 표현한 디아릴포스페이트금속염의 R1및 R2가 알킬기를 나타낼 경우 이들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ert-부틸, 이소부틸, 아밀 tert-아밀, 헥실, 옥틸 및 tert-옥틸기가 있으며 A로 표현된 알킬리덴기의 예로는 메틸리덴, 에틸리덴, 부틸리덴 및 이소프로필리덴기가 있다.
M으로 표현된 금속의 예로는 나트륨, 칼륨, 리튬, 칼슘, 마그네슘 및 바륨원자가 있다.
일반식(I)로 표현된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은 폴리프로필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5중량부의 양으로 수지 조성물에 첨가하며,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의 양이 0.01중량부 이하이면 얻어진 성형품의 투명성은 전혀 향상되지 않으며, 1.0중량부 이상이면 첨가효과는 더 이상 크게 증가하지 않고 반대로 제조비용만 증가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카리금속, 알카리토금속 또는 알루미늄족원소의 수산화물의 예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슘, 바륨 및 알루미늄의 수산화물이 있으며, 이들 알카리금속, 알카리토금속 또는 알루미늄족 원소의 수산화물양은 폴리프로필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0.1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1∼0.5중량부이다. 이 때문에, 이들 수산화물의 양이 0.001중량부 이하이면, 방사선조사후 수지의 열수추출촉진 시험에 있어서 얻어진 추출액의 pH저하는 억제하는 효과를 보장할 수 없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더 이상의 효과증대를 기대할 수 없을 뿐아니라 얻어지는 조성물의 투명도 또한 저하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식(I)로 표현된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에 대하여 수산화물을 3∼50중량%의 양으로 사용함으로써 용기를 방사선으로 조사한 후에도 그 안에 장입되는 내용액을 변질시키지 않는 우수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필요할 경우,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안료, 분산제 및 중화제등의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산화방지제의 예로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2,6-디-t-부틸-p-메틸페놀, n-옥타데실-3-(4-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펜타에 리스톨-테트라키스(β-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및 디라우릴 티오프로피오네이트가 있다.
대표적인 광안정제 및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는,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벤조에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및 2-(2'-히도록-3,3-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이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정물의 용융흐름지수를 제어하기 위해 과산화물을 첨가하여 조성물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된 과산화물의 예로는 2,5-디메틸-2,5-비스(t-부틸포옥시) 헥산, 디-t-부틸포프탈레이트 및 벤조일퍼옥시드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폴리프로필렌수지, 일반식(I)로 표현된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 및 알카리금속, 알카리토금속 또는 알루미늄족 원소의 수산화물과 중화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과산화물등의 폴리프로필렌수지에 첨가되는 공지의 첨가제를 헨셸믹서 또는 다른 혼합기에 이들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한 다음 용융하여 얻어진 혼련물을 압출기에 의해 펠릿으로 압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은 열수추출한후 얻어진 추출액을 냉각하였을 경우 어떠한 부유물질도 발생하지 않으며, 수지조성물을 방사선으로 조사한후의 열수추출촉진 시험에 있어서도 추출액의 pH저하를 일으키지 않으며 투명성이 우수하므로, 안전위생상의 문제발생없이 의료기구 및 식품포장등의 각종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프로필렌-에틸렌랜덤공중합체(하중 2.16kg 및 230℃에서 측정한 용융흐름 지수 : 8g/10min ; 에틸렌함량 ; 4.0중량%)분말 100중량부에,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 나트륨 0.2중량부, 수산화 마그네슘 0.03중량부, 산화방지제로서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 0.1중량부, 자외선흡수제로서 디메틸숙신에이트, 2-(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딜)에탄올 축합물 0.04중량부를 첨가하고 헨셸믹서에서 혼합한후 통상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압출온도 240℃에서 펠릿으로 압출한다.
펠릿을 r-선으로 2.5Mrad 조사하여 샘플을 제조한다.
r-선으로 조사하기 전과후의 각각의 펠릿10g을 가지 형프라크내 100CC의 순수에 담그고 30분간 끊인후 여과제거하여 샘플용액을 제조한다. 별도로, 다른 용기내에서 순수를 30분간 끊이고 상기 얻어진 샘플용액에 첨가하여 100CC의 샘플용액을 제조한다. 여액을 실온에서 3시간 방치하고, 용액의 pH를 pH메타로 측정하여 대조샘플로서 끊인 순수의 pH를 동시에 측정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요약해 놓았다.
r선으로 조사하기전에 30g의 펠릿을 압력솥내 300CC의 순수에 담그고 121℃에서 3시간 방치한다음 추출물을 압력솥에서 뽑아내고 여과하여 펠릿을 제거하며, 여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부유물이 여액내에 존재하는지를 시험한다.
부유물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시각적으로 측정하고 다음의 측정기준에 평가한다.
O : 부유물이 관찰되지 않음
△ : 부유물이 약간 관찰됨
× : 부유물이 관찰된다.
×× : 다량의 부유물이 관찰된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요약해 놓았다.
또한 펠릿을 r-선으로 조사하기전에 사출성형기로 210℃에서 크기 160×80×2mm인 플레이트로 사출성형하고 얻어진 플레이트의 헤이즈를 헤이즈메타로 측정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2,2'-매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나트륨의 양을 0.3중량부로 변화시키는 이외에 실시예1에서 사용된 동일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고, 실시예1에서 사용된 동일방법으로 제품의 특성을 마찬가지로 평가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2,2'-매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나트륨의 양을 0.4중량부로 변화시키는 이외에 실시예1에서 사용된 동일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고, 실시예1에서 사용된 동일 방법으로 제품의 특성을 마찬가지로 평가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2에서 사용된 수산화마그네슘 0.03중량부 대신에 수산화알루미늄 0.03중량부를 사용하는 이외에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고, 실시예1에서 사용된 동일방법으로 제품의 특성을 마찬가지로 평가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2에서 사용된 2,2'-매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나트륨의 0.3중량부 대신에 2,2'-매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리튬 0.3중량부를 사용하는 이외에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 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고, 실시예1에서 사용된 동일방법으로 제품의 특성을 마찬가지로 평가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2에 사용된 동일방법으로 얻은 펠릿을 사출성형법에 따라 크기 160×80×2mm인 플레이트로 형성한다. 사출성형공정은 성형온도 260℃, 금형온도 50℃인 조건하에 실행하여, 플레이트를 r-선으로 2.5Mrad 조사하여 샘플을 제조한다.
r선으로 조사하기전과 후에 각각 얻어진 플레이트 형상의 샘플을 대략 5mm 평방크기의 조각편으로 절단하여 이들 조각편의 10g을 측정용 샘플로 사용한다.
실시예1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방법으로 얻은 펠릿을 사출성형법에 따라 내용적 50CC의 주사기로 형성한다. 사출성형공정은 성형온도 260℃ 및 금형온도 15℃인 조건하에 실행한다. 주사기를 r선으로 2.5Mrad 조사하여 샘플를 제조한다.
주사기를 r선으로 조사하기전과 후에 얻은 각각의 샘플을 대략 5mm 평방크기의 조각편으로 절단하고 이들 조각편의 10g을 측정용샘플로 사용한다.
실시예1에서 실행산 동일평가를 수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2,2'-메틸렌비스(4,6-t-부틸페닐)인산나트륨의 양을 0.005중량부로 변화시키는 이외는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 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는다.
실시예1에서 실행한 동일평가를 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플레이트의 투명도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얻은것 보다 낮다.
[비교예 2]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나트륨의 양을 1.5중량부로 변화시키는 이외는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 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는다.
실시예1에서 실행한 동일평가를 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펠릿의 투명성, 열수추출성, 방사선조사후의 펠릿의 열수추출액의 pH저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얻은 것과 동일하며, 이것은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나트륨을 본 비교예에서 사용한 것과 같이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3]
수산화마그네슘의 첨가량을 0.0005중량부로 변화시키는 이외에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는다. 실시예1에서 행한 동일평가를 수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방사선 조사한 후 열수추출하여 얻어진 펠릿의 추출액의 pH저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얻은 것보다 크다.
[비교예 4]
수산화마그네슘의 첨가량을 1.5중량부로 변화시키는 이외에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고, 실시예1에서 행한 동일평가를 수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본 비교예의 조성물의 투명성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얻은것보다 낮다.
[비교예 5]
실시예2에서 사용된 수산화마그네슘 0.03중량부 대신에 스테아린산칼슘 0.07중량부를 사용하는 이외에 실시예2에서 사용한 동일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고, 실시예1에서 행한 동일평가를 수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방사선 조사한후 펠릿의 열수추출액의 pH저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비하여 크다.
[비교예 6]
실시예2에 있어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나트륨 0.3중량부를 첨가하지 않고, 수산화마그네슘 0.03중량부 대신에 스테아린산 칼슘 0.07중량부를 사용하는 이외에 실시예2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는다.
실시예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본 비교예의 조성물의 투명성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비하여 낮다.
[비교예 7]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나트륨 0.3중량부를 첨가하지 않는 이외에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고, 실시예1에서 행한 동일평가를 수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본 비교예의 조성물의 투명성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비하여 열세하다.
[비교예 8]
실시예2에 있어,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나트륨 0.3중량부 대신 1·3, 2·4-디벤질리덴소르비톨 0.3중량부를 사용하고, 수산화마그네슘 0.03중량부 대신 스테아린산 칼슘 0.07중량부를 사용하는 이외에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고, 실시예1에서 행한 동일평가를 수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본 비교예에서 조성물의 투명성은 본 발명조성물에 비하여 열세하며, 본 비교에의 조성물은 열수추출시에 부유물이 약간 발생한다.
[비교예 9
실시예2에 있어,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인산나트륨 0.3중량부 대신 1·3, 2·4-디(에틸벤질리덴)소르비톨 0.3중량부를 사용하고 수산화마그네슘 0.03중량부 대신 스테아린산칼슘 0.07중량부를 사용하는 이외에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고, 실시예1에서 행한 동일평가를 수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본 비교예의 조성물은 열수추출시 다량의 부유물을 발생시킨다.
[비교예 10]
수산화마그네슘 0.03중량부 대신에 하이드로탈사이트(상표명 DHT 4A, Kyowa Chemical Industry Ci., Ltd.) 0.05중량부를 사용하는 이외에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고 실시예1에서 행한 동일 평가를 수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방사선 조사한 후 펠릿의 열수추출액의 pH저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비하여 크다.
[비교예 11]
수산화마그네슘 0.03중량부 대신에 스테아린산 나트륨 0.03중량부를 사용하는 이외에 실시예2에서 사용된 동일 공정을 반복하여 펠릿을 얻고, 실시예1에서 행한 동일 평가를 행한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방사선 조사한 후 펠릿의 열수추출액의 pH저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비하여 크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열수추출촉진 시험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를 방사선으로 조사한 후 열수추출한 후 얻은 추출액의 pH저하가 낮으므로, 의료기구, 식품용기등의 사용에 매우 적합하다.
[표 1]
[표 2]
Claims (10)
- 폴리프로필렌수지 100중량부, 일반식(I)(식중, R1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 M은 알카리금속 또는 알카리토금속; n은 1 또는 2의정수; A는 알킬리덴기를 표시한다.)로 표현되는 디아릴포스페이트금속염 0.01∼1.0중량부 및 알카리금속, 알카리토금속 또는 알루미늄족 원소의 수산화물 0.001∼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수산화물의 함량은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 함량의 3∼50중량%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는 프로필렌단일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는 에틸렌 함량에 2∼6중량%인 프로필렌-에틸렌랜덤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아릴포스페이트 금속염을 0.05∼0.5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물을 0.01∼0.5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로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안료, 분산제, 중화제 및 과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 제1항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 제1항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의료기구.
- 제1항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77024A JPH0343437A (ja) | 1989-07-11 | 1989-07-11 |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
JP1-177024 | 1989-07-11 | ||
PCT/JP1990/000891 WO1991000891A1 (fr) | 1989-07-11 | 1990-07-11 | Composition de resine de polypropyle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701342A KR920701342A (ko) | 1992-08-11 |
KR940004092B1 true KR940004092B1 (ko) | 1994-05-13 |
Family
ID=1602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700264A KR940004092B1 (ko) | 1989-07-11 | 1990-07-11 |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5328950A (ko) |
EP (1) | EP0446358B1 (ko) |
JP (1) | JPH0343437A (ko) |
KR (1) | KR940004092B1 (ko) |
CA (1) | CA2035035A1 (ko) |
DE (1) | DE69023117T2 (ko) |
WO (1) | WO199100089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95434B2 (ja) * | 1991-09-10 | 2001-08-06 | 第一製薬株式会社 | 薬液充填シリンジ製剤 |
JP3046428B2 (ja) * | 1991-12-05 | 2000-05-29 | 旭電化工業株式会社 | 結晶性合成樹脂組成物 |
AU661422B1 (en) * | 1994-02-01 | 1995-07-20 |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 Medicated syringe preparation |
JPH0959458A (ja) * | 1995-08-23 | 1997-03-04 | Tonen Chem Corp | プロピレン/エチレンランダム共重合体樹脂組成物 |
US5889094A (en) * | 1995-08-23 | 1999-03-30 | Tonen Chemical Corporation | Resin composition of propylene-ethylene random copolymer |
JPH0959453A (ja) * | 1995-08-23 | 1997-03-04 | Tonen Chem Corp |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
US5834541A (en) * | 1997-05-02 | 1998-11-10 | Montell North America Inc. | Olefin polymer composition having low smoke generation and fiber and film prepared therefrom |
DE19801050A1 (de) * | 1998-01-14 | 1999-07-15 | Bayer Ag | Polycarbonat-ABS-Formmassen |
WO2010024191A1 (ja) | 2008-08-28 | 2010-03-04 | 株式会社Adeka |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
JP6634008B2 (ja) * | 2014-03-10 | 2020-01-22 |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延伸容器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85243A (en) * | 1976-01-09 | 1977-07-15 | Hitachi Ltd |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
JPS581736A (ja) * | 1981-06-25 | 1983-01-07 | Adeka Argus Chem Co Ltd | 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
DE3322938A1 (de) * | 1983-06-25 | 1985-01-10 | Basf Ag, 6700 Ludwigshafen |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nwendungstechnisch besonders gut geeigneten homo- und copolymerisaten des propylens |
JPS60182952A (ja) * | 1984-02-29 | 1985-09-18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放射線殺菌包装用フイルム |
JPS6153344A (ja) * | 1984-08-22 | 1986-03-17 | Adeka Argus Chem Co Ltd | 耐放射線性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
JPS6369854A (ja) * | 1986-09-11 | 1988-03-29 | Sakai Chem Ind Co Ltd | 塩素含有樹脂組成物 |
JPS6369853A (ja) * | 1986-09-12 | 1988-03-29 | Mitsubishi Petrochem Co Ltd |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
JPS63210152A (ja) * | 1987-02-26 | 1988-08-31 | Chisso Corp | 高剛性高溶融粘弾性プロピレン単独重合体組成物 |
US4820772A (en) * | 1987-04-20 | 1989-04-11 | Chisso Corporation | Polyolefin composition |
-
1989
- 1989-07-11 JP JP1177024A patent/JPH0343437A/ja active Pending
-
1990
- 1990-07-11 EP EP90910929A patent/EP044635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7-11 DE DE69023117T patent/DE69023117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7-11 KR KR1019910700264A patent/KR9400040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07-11 WO PCT/JP1990/000891 patent/WO1991000891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0-07-11 CA CA002035035A patent/CA2035035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3
- 1993-02-26 US US08/024,858 patent/US5328950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446358A1 (en) | 1991-09-18 |
JPH0343437A (ja) | 1991-02-25 |
DE69023117D1 (de) | 1995-11-23 |
US5328950A (en) | 1994-07-12 |
EP0446358A4 (en) | 1992-06-17 |
CA2035035A1 (en) | 1991-01-12 |
KR920701342A (ko) | 1992-08-11 |
WO1991000891A1 (fr) | 1991-01-24 |
EP0446358B1 (en) | 1995-10-18 |
DE69023117T2 (de) | 1996-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66959A (en) | Radiation sterilizable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 |
US4460445A (en) | Radiation-stable polyolefin compositions containing benzaldehyde acetals | |
EP0407198B1 (en) | Food container | |
KR940004092B1 (ko) |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 |
KR19980086705A (ko) | 스모크 생성이 적은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필름 | |
KR870002104B1 (ko) | 방사선에 안정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
EP0814128B1 (en) | Embrittlement-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 and flexible articles therefrom | |
JPS62109840A (ja) |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 |
EP0426852B2 (en) | Use of a sealed vessel for coloured food | |
US5153249A (en) |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 |
JPH08325415A (ja) | 核剤組成物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 |
JP2813891B2 (ja) | 食品容器 | |
JPH0433811B2 (ko) | ||
JP2005314490A (ja) |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医療器具・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 |
JPH0513181B2 (ko) | ||
US3454523A (en) | Poly-alpha-olefins containing a stabilizer composition | |
JPH0410504B2 (ko) | ||
JP2580237B2 (ja) | 結晶性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 |
JPH06256602A (ja) |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 |
JPS62235344A (ja) | 放射線に安定な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 |
JP2971603B2 (ja) | ポリオレフィンの透明化剤および組成物 | |
JPH0349302B2 (ko) | ||
JPH0598075A (ja) | 耐放射線性1,2−ポリブタジエン組成物 | |
JPH0784544B2 (ja) | 放射線に対して安定な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 |
JPS6191237A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