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270B1 - 차창 조정기 - Google Patents

차창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270B1
KR940003270B1 KR1019900012431A KR900012431A KR940003270B1 KR 940003270 B1 KR940003270 B1 KR 940003270B1 KR 1019900012431 A KR1019900012431 A KR 1019900012431A KR 900012431 A KR900012431 A KR 900012431A KR 940003270 B1 KR940003270 B1 KR 940003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ble
drive
windshield
adj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583A (ko
Inventor
타케시 토오시마
타케시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스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스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1001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cable tens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6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one cable connection to the window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Deflector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72Tensioners, tens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창 조정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창 조정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차창 조정기의 부분적으로 절단된 배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차창 조정기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차창 조정기의 주요부분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선 V-V를 따라 도시된 확대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선 VI-VI를 따라 도시된 확대단면도.
제7도는 구동케이블과 지지부재의 연결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
제8도는 부분절단된 케이블 가이드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창 조정기 2 : 지지판
2a : (지지판의)한쪽면 2b : (지지판의)다른쪽면
3a,3b : (지지판의)돌출부 4 : 장착판
5,7 : 볼트 6 : 보스(boss)
8 : 중간풀리(고정식 방향전환 안내부재)
8a : (중간풀리의)원주홈부 9 : 지지축
10 : 케이블 가이드(가동식 방향전환 안내부재)
11 : (케이블 가이드의)홈부 12 : (케이블 가이드의)돌출단편
13 : (케이블 가이드의)보어 14 : 안내개방부
14a : 카운터 보어 15 : (케이블 가이드의)돌출부
16 : (지지판의)안내개방부 17 : 플랜지(안내벽)
18 : 구멍 19 : 인접벽
20 : 안내핀 20a : (안내핀의)중간부분
20b : (안내핀의)메꿈부 20c : (안내핀의)헤드부분
21 : 스프링 22 : 안내레일
23 : (안내레일의) 기저부 24 : (안내레일의)측면부
25 : (안내레일의)결합부 26 : (안내레일의)틈새
27 : (안내레일의)안내공간부 28 : 정지단편
29 : (지지판의)안내벽 30 : 장착용 부재
31 : 구동릴 32 : 나선형 홈
33 : 축 34 : 구동부재
35 : 케이싱 36 : 직류모터
36a : 회전축 37 : 워엄기어
38 : 워엄힐 39 : 구동케이블
39' : (구동케이블의)단부 40 : 브라켓
41 : (브라켓의) 주요부재 42 : (브라켓의)구멍
43 : (브라켓의)절단부 44 : 안내블록
45 : (안내블록의)원판형 부분 46 : 원통형 기저부
47 : 연결블록 48 : (연결블록의)수용홈
49 : (연결블록의)홈부 50 : 끼움블록
본 발명은 차창 조정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의 차창을 상, 하강시키기에 적합한 차창 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형태의 차창 조정기들이 만들어져 왔었고, 이러한 차창 조정기들중 한 형태는 피동부재와 구동모터를 연결하는 구동 케이블을 구비한 소위 케이블형 차창 조정기이다.
이러한 케이블형 차창 조정기에 있어서, 구동케이블은 다수의 꼬여진 미세강선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중에 길게 늘어난다. 케이블은 신장되었을때 권선 드럼과 같은 풀리로부터 이탈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서 관련된 부재의 매끄러운 상승 움직임이 얻어질 수 없고, 소음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결과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케이블형 차장 조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ㆍ하단부에 각각 방향전환 안내부재들을 갖추고 있으며, 상하로 연장된 지지부재, 2개의 방향전환 안내부재들 사이로 연장하여서 피동부재에 연결되는 구동케이블 및 구동케이블을 움직이기 위한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차창 조정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동식 방향전환 안내부재가 이들 방향전환 안내부재들 사이의 거리가 변환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고정식 방향전화 안내부재로 부터 가동식 방향전환 안내부재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바이어스 수단이 제공되어서, 사용중에 발생하는 구동케이블의 늘어짐을 유효하게 흡수함으로써 항상 양호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자동차의 차창을 상ㆍ하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창 조정기(1)이다.
차창 조정기(1)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지지판(2)이 제공되어 있다. 지지판(2)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하게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그 한쪽면(2a)은 상하방향으로 볼때 중간부분이 밖으로 볼록하게 나와있고, 다른쪽면(2b)은 상하방향으로 볼때 중간부분이 안으로 들어가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의 상ㆍ하 양단부에 한쪽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a, 3b)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지지판(2)의 상ㆍ하 양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면, 지지판(2)의 상단부에는 윗쪽으로 돌출된 장착판(4)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3도에 도시된 측면도에서 볼때 장착판(4)은 지지판(2)의 다른쪽면(2b)으로 약간 돌출된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4)은 그 양쪽 단부가 설치용 볼트(5)로 고정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의 하단부 근처에 있는 다른쪽면(2b)에는 장착용 보스(6)가 설치용 볼트(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2)은 이들 설치용 볼트(5, 7)에 의해서 자동차의 문 구조체(도시 안됨)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그 지지판(2)의 한쪽면(2a)에 고정된 중간폴리(8)는 돌출부(3a)에 인접한 지지축(9)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동케이블(39)을 수용 및 안내하기 위한 중간폴리(8)의 원주홈부(8a)는 이 중간폴리(8)의 외부 원주상에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중간폴리(8)가 지지판(2)의 상부에서 고정식 방향전환 안내부재를 구성한다.
정면도(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반원 형태로 구성된 케이블 가이드(10)가 지지판(2)의 하단에 제공된 돌출부(3b)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4도에서 도시된 홈부(11)는, 구동케이블(39)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케이블 가이드(10)의 반원형 원주면에 형성된 것이다. 제4도에서, 돌출단편(12)은 케이블 가이드(10)의 한쪽면상에서 형성되어서 케이블 가이드(10)의 다른쪽 면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으며,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1)상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이들 돌출단편(12)은 구동케이블(39)이 홈부(11)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가이드(10)는 지지판(2)의 하부에서 가동식 방향전환 안내부재를 구성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1)를 가지지 않는 케이블 가이드(10)의 외주면 또는 케이블 가이드(10)의 상부면은 대체로 단이 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케이블 가이드(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보어(13)(제4도 참조)는 아래로 연장하여 있다. 또한, 제4도에서 카운터 보어(14a)를 갖추고 있으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안내개방부(14)는, 케이블 가이드(1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하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돌출부(15)가 케이블 가이드(10)의 후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한 안내개방부(16)가 지지판(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벽 또는 플랜지(17)는 안내개방부(16)의 상하로 연장된 한쪽 측면 모서리를 따라서 뒷쪽으로 절단 및 굽힘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용 구멍(18)은 지지판(2)에 있는 안내개방부(16)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벽(19)은 안내개방부(16)에 인접하게 안내개방부(16)의 위쪽으로 지지판(2)을 절단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지지판(2)상에 형성된 것이다.
제4도의 안내핀(20)은 원통형 중간부분(20a), 이 중간부분(20a)보다 작은 지름으로 중간부분(20a)의 후면으로 부터 돌출된 메꿈부(20b) 및 중간부분(20a)의 정면으로 부터 돌출하여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헤드부분(20c)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핀(20)의 헤드부분(20c)은 케이블 가이드(10)에 있는 안내개방부(14)의 카운터 보어(14a)안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안내핀(20)의 중간부분(20a)은 안내개방부(14) 안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메꿈부(20b)는 지지판(2)에 있는 구멍(18)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이에 따라서 고정된다. 그러므로, 케이블 가이드(10)가 지지판(2)의 하단부에 상에서 지지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4도에는, 중간풀리(8)로 부터 아래방향으로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케이블 가이드(10)를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21)이 제공되어 있다. 스프링(21)의 한쪽 단부는 케이블 가이드(10)에 형성되어 있는 보어(13)안에 수용되고, 스프링(21)의 다른쪽 단부 또는 상단부는 지지판(2)의 인접벽(19)으로 밀착되어 있다.
지시번호(22)에 도시한 것은, 판재로 형성된 안내레일이다(제1, 3, 5도 및 제6도). 안내레일(22)은 기저부(23), 기저부(23)의 양측면 가장자리에서 돌출하는 2개의 측면부(24) 및 측면부(24)의 돌출 가장자리로 부터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양쪽의 결합부(25)를 포함한다. 양쪽의 결합부(25) 사이에 수직 방향 틈새(26)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레일(22)은 상하로 연장하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안내공간부(27)를 형성한다. 측면부(24)의 상하단부상에 일체로 형성된 정지단편(28)(제1도 참조)이 안내공간부(27)안으로 돌출한다. 그러므로, 안내레일(22)의 기저부(23)는 지지판(2)의 한쪽면(2a)을 따라서 완만하게 굽혀져 있고, 안내공간부(27) 또한 굽혀져 있다.
안내레일(22)은 지지판(2)의 한쪽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점용접과 같은 공정으로 지지판(2)의 한쪽면(2a)에 고정되는 기저부(23)에 의해서 지지판(2)상에 고정된다.
지지판(2)의 다른쪽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한쪽면(2a)에서 돌출된 안내벽(29)은 돌출부(3a,3b) 사이의 중간부에 형성된 것이다. 이 안내벽(29)은 안내레일(22)의 측면부(24)에 인접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측면부(24)로 부터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장착용 부재(30)가 지지판(2)의 다른쪽면(2b)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이 중앙부에서 약간 아래쪽으로 위치한 지지판(2)의 다른쪽면(25b)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릴(31)은 장착용 부재(30)의 한쪽 표면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외주부에 나선형 홈(32)을 가진다. 축(33)의 한쪽 단부는 구동릴(31)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다른쪽 단부는 장착용 부재(30)를 관통하여서, 후기하는 구동부재(34)의 워엄힐(38)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구동부재(34)는 장착용 부재(30)에 고정되는 케이싱(35), 직류모터(36), 이 모터(36)의 회전축(36a)에 고정되는 워엄기어(37) 및 워엄기어(37)와 함께 맞물려 결합하는 워엄힐(38)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모터(36)가 회전될때, 회전력이 워엄기어(37), 워엄힐(38) 및 회전축(36a)을 통하여 구동릴(31)에 전달된다.
구동케이블(39)은 지지판(2)의 상ㆍ하단부에 각각 지지된 중간풀리(8)와 케이블 가이드(10) 사이에서, 이들 부재의 둘레로 제공되어 있다. 구동케이블(39)의 양단부(39', 39')는 구동릴(3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홈(31a)(단지 한개가 제1도에 도시됨)안으로 유지되도록 나선형 홈(32)을 따라서 감겨져 있다.
자동차의 차창과 같이 상ㆍ하강되는 피동부재를 지지하게 브라켓(40)이 설치되어 있다. 브라켓(40)의 주요부재(41)는 금속판재로 형성되며,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용 구멍(42) 및 다른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부(43)를 갖추고 있다.
안내공간부(27)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원판형 부분(45)을 가지는 안내블록(44)과, 원판형 부분(45)과 일체로 형성되어 안내레일(22)의 틈새(26)를 관통하는 원통형 기저부(46)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40)의 주요부재(41)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브라켓(40)은 안내레일(22)의 안내공간부(27)를 따라서 움직이도록 지지판(2)상에서 지지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연결블록(47) 또한 브라켓(4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연결블록(47)의 한쪽 측면부(47a)는 지지판(2)의 안내벽(29)과 평행하게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제1도에 도시됨).
연결블록(47)의 중앙부에는 수용홈(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블록(47)에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된 홈부(49)가 수용홈(48)과 연결되어 있다.
끼움블록(50)이 구동케이블(39)의 한쪽부분(39a)에 고정되어서 연결블록(47)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48)안에 끼워지게 된다. 구동케이블(39)의 한쪽 부분(39a)과 끼움블록(50)의 상하단부는 연결블록(47)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49)안에 각각 끼워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장 조정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자동차의 차창 등과 같은 피동부재는 구멍(42)에 장착된 나사(도시 안됨)에 의해서 지지되는데, 이러한 나사(도시 안됨)는 브라켓(40)의 주요부재(41)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부(43)상에 장착된다.
직류모터(36)가 회전될때, 구동케이블(39)의 한쪽 부분(39a)은 직류모터(36)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움직이며, 이에 따라서 구동케이블(39)에 연결된 브라켓(40)이 안내레일(22)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공간부(27)를 따라서 상ㆍ하강된다.
구동케이블(39)이 사용중에 길게 늘려지거나 또는 늘어났을때, 케이블 가이드(10)는 구동케이블(39)의 어떠한 느슨함도 흡수하는 스프링(21)의 스프링 장력에 의하여 아랫쪽으로 움직인다. 구동케이블(39)은 차창 조정기(1)의 확실한 작동을 보장하는 적절한 인장력을 가지도록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초기상태에서 구동케이블(39)의 길이는 최상부 위치 또는 그에 인접해 있는 케이블 가이드(10)에 따라서 조절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차장 조정기는 상ㆍ하단부상에 각각 중간풀리(8)과 케이블 가이드(10)의 형태로 구성된 고정 및 가동식 방향전환 안내부재들을 갖춘 상하로 연장된 지지판(2) 형태의 지지부재, 이들 2개의 방향전환 안내부재 사이로 연장하며 피동부재에 연결되는 구동케이블 및 이 구동케이블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로 구성되고, 2개의 방향전환 안내부재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들 안내부재들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고정식 방향전환 안내부재로 부터 가동식 방향전환 안내부재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스프링, 즉 바이어스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동케이블(39)이 사용중에 길게 늘어날때, 가동식 방향전환 안내부재 또는 케이블 가이드가 구동케이블의 어떠한 느슨함도 흡수하는 스프링의 스프링 장력에 의하여 고정식 방향전환 안내부재 또는 중간풀리(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구동케이블은 차창조정기의 확실한 작동을 보장하는 소정의 인장력을 가지도록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변화 또는 변경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중간풀리(8)은 케이블 가이드(10)로 부터 용이하게 접근 또는 분리되도록 지지판(2)상에 적절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의 그러한 모든 변화 또는 변경을 보호하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규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상ㆍ하단부에 각각 방향전환 안내부재들을 갖추고 있으며 상하로 연장된 지지부재와, 상기 2개의 방향전환 안내부재들 사이로 연장하여서 피동부재에 연결되는 구동케이블과, 그리고 상기 구동케이블을 움직이기 위한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차창 조정기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안내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방향전환 안내부재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안내부재가 상기 구동케이블을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외주부에 형성된 홈부를 갖추고 있는 반원형상의 케이블 가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블 가이드가 그 한쪽 측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반대편 측면까지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돌출단편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상기 케이블 가이드가 수직방향의 기다란 안내개방부 및 상기 안내개방부와 평행하게 뻗어 있는 보어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케이블 가이드의 외주부에 형성된 홈부가 단이져 있고,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된 핀이 상기 케이블 가이드의 상기 안내개방부 안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 안내부재를 상기 다른 방향전환 안내부재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바이어스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바이어스 수단이 상기 보어내에 그 일단부가 수용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조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방향전환 안내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중간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조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케이블이 상기 2개의 방향전환 안내부재들 사이로 연장하여 있으며, 상기 구동케이블의 양단부가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조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가 가역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릴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릴이 상기 구동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외주부에 나선형 홈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구동케이블의 양단부가 상기 구동릴상에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조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창 조정기에 의하여 상·하강되는 피동부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상에 지지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자동차의 차창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조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이 상기 지지부재상에 형성된 안내레일안에 보유되는 롤러와, 상기 구동 케이블에 연결된 연결단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창 조정기.
KR1019900012431A 1990-01-08 1990-08-13 차창 조정기 KR940003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86 1990-01-08
JP2001286A JPH03209042A (ja) 1990-01-08 1990-01-08 昇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583A KR910014583A (ko) 1991-08-31
KR940003270B1 true KR940003270B1 (ko) 1994-04-16

Family

ID=1149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431A KR940003270B1 (ko) 1990-01-08 1990-08-13 차창 조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74077A (ko)
JP (1) JPH03209042A (ko)
KR (1) KR940003270B1 (ko)
DE (1) DE401577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95958A1 (en) * 1992-05-11 1993-11-12 Robert A. Gorrell Window sash actuating mechanism
FR2693569B1 (fr) * 1992-07-10 1994-10-07 Rockwell Abs France Dispositif de sécurité pour lève-vitre électriques de véhicule du type à câble coulissant le long d'un rail de guidage.
FR2693535B1 (fr) * 1992-07-10 1994-09-30 Rockwell Abs France Dispositif de sécurité pour lève-vitre électriques de véhicule à câble.
DE4416979C2 (de) * 1993-06-04 2002-07-04 Brose Fahrzeugteile Seiltrommel für Seilfensterheber
EP0706603B1 (de) * 1993-06-30 1997-06-04 KÜSTER & Co. GmbH Seilzug-fensterheber
US5855093A (en) * 1993-06-30 1999-01-05 Kuster & Co. Cable-driven window lift
ES2089950B1 (es) * 1993-11-12 1998-08-16 Dispositivos Acces Puertas Sa Elevalunas a cable de cadena cinematica simplificada y accionamiento electrico o manual.
EP0748914A1 (de) * 1995-06-12 1996-12-18 KÜSTER & Co. GmbH Seilzug-Fensterheber mit motorischem Antrieb
US5657580A (en) * 1995-09-29 1997-08-19 Excel Industries, Inc. Window regulator with spring actuated direct cable tensioning
US5623785A (en) * 1995-09-29 1997-04-29 Excel Industries, Inc. Window regulator with torsion spring actuated direct cable tensioning
US5617675A (en) * 1995-10-31 1997-04-08 Excel Industries, Inc. Collapsible cable window regulator
US5613322A (en) * 1995-10-31 1997-03-25 Excel Industries, Inc. Edge drive cable window regulator assembly
US5749174A (en) * 1996-03-11 1998-05-12 Excel Industries, Inc. Window regulator with spring retainer
WO1997037099A2 (en) * 1996-03-29 1997-10-09 Excel Industries, Inc. Window regulator with improved glider assembly
DE19618853C1 (de) * 1996-05-10 1997-08-14 Brose Fahrzeugteile Motorisch angetriebener Fensterheber mit elektronischem Einklemmschutz für ein Kraftfahrzeug
US5782038A (en) * 1996-07-29 1998-07-21 Hi-Lex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US5832667A (en) * 1996-11-13 1998-11-10 Excel Industries, Inc. Self aligning window regulator
US5784832A (en) * 1996-11-18 1998-07-28 Excel Industries, Inc. Self aligning window regulator
FR2758850B1 (fr) * 1997-01-24 1999-03-19 Mecaplast Sam Cassette leve-vitre de porte de vehicule
DE19705054C2 (de) 1997-01-30 2003-02-27 Brose Fahrzeugteile Führungsschiene für Kraftfahrzeugfensterheber
US6141910A (en) * 1997-05-28 2000-11-07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Door module having a windowpane which includes brackets for attaching the windowpane to the door module and for moving the windowpane
JPH11270222A (ja) * 1998-03-23 1999-10-05 Koito Mfg Co Ltd マニュアル式ウインド装置
US6256929B1 (en) 1998-07-30 2001-07-10 Grupo Antolin-Ingenieria S.A. Simplified window-raiser
US6397524B1 (en) * 1999-06-16 2002-06-04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Door glass raising and falling apparatus
JP2001041299A (ja) * 1999-07-30 2001-02-13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ドライブ用ガイド
DE50011518D1 (de) * 1999-09-07 2005-12-08 Kuester Automotive Door Sys Verfahren zum befestigen von führungsschienen von seilzug-fensterhebern
US6553718B2 (en) * 2000-06-22 2003-04-29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Cable tensioning device
FR2815664B1 (fr) * 2000-10-24 2003-08-01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ispositif d'entrainement electrique d'un leve-vitre a cable
EP1243733A1 (en) * 2001-03-19 2002-09-25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Vehicle window lifter with cable tensioning device
US7234274B2 (en) * 2001-07-10 2007-06-26 Kabushikikaisha Ansei Vehicle door
US6550185B2 (en) 2001-08-02 2003-04-22 Meritor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Vehicle door and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driving a window in a helical path
US6643979B2 (en) 2002-02-11 2003-11-11 Meriton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Tensioning device for drum and cable window regulator assembly
FR2837459B1 (fr) * 2002-03-19 2004-07-09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Procede d'assemblage de portiere
JP3912744B2 (ja) * 2002-07-03 2007-05-0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JP2004322662A (ja) * 2003-04-21 2004-11-18 Imasen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ドア
ES1057714Y (es) * 2004-06-08 2004-12-16 Castellon Melchor Daumal Dispositivo de polea para elevalunas de vehiculos.
JP2007056501A (ja) 2005-08-23 2007-03-08 Johnan Seisakusho Co Ltd ワイヤドラム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DE102005041636B4 (de) * 2005-08-26 2021-02-1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einrichtung zur Einstellung eines Kraftfahrzeugteiles
US7958676B2 (en) * 2005-09-12 2011-06-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Deflection device for an adjustment device of a motor vehicle
FR2896265B1 (fr) * 2006-01-13 2008-04-04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Leve-vitre et procede d'assemblage d'un leve-vitre.
US7770961B2 (en) * 2006-02-20 2010-08-10 Magna Closures Inc. Compact cable drive power sliding door mechanism
JP4649370B2 (ja) * 2006-05-26 2011-03-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ワイヤ式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2008149407A (ja) * 2006-12-18 2008-07-03 Mitsubishi Heavy Ind Ltd 製造設備
JP2010520497A (ja) * 2007-02-28 2010-06-10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ォトニック結晶ファイバ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EP2132054B1 (en) * 2007-03-13 2018-12-26 Inteva Products, LLC. Cable regulator rail and carrier with snap-in pulley
JP5507042B2 (ja) * 2007-08-10 2014-05-28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窓開閉装置
US20100293858A1 (en) * 2009-05-19 2010-11-25 Staser Brian H Single channel cable drive window lift system
CN102787775A (zh) * 2011-05-15 2012-11-21 天津华盛福汽车配件有限公司 挖掘机驾驶室弹簧平衡器
WO2013062060A1 (ja) * 2011-10-25 2013-05-02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9988839B2 (en) * 2012-05-15 2018-06-05 Geigtech East Bay Llc Assembly for mounting shades
CN107605311A (zh) * 2017-10-20 2018-01-19 江阴市蒋氏汽摩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玻璃升降的拉索
US11286705B1 (en) 2020-10-27 2022-03-29 Hi-Lex Controls, Inc. Cable guide assembly for a window regulator
US20220136298A1 (en) * 2020-10-30 2022-05-05 Inteva Products, Llc Window regulator with optimized motor configuration
CN115723531A (zh) * 2021-09-01 2023-03-03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支架、用于车辆的窗的窗调节器系统及其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7746A (en) * 1927-12-14 1931-10-20 A L Hansen Mfg Company Window regulator for vehicle bodies
GB831390A (en) * 1956-02-28 1960-03-30 Perkins F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hain tensioner devices
US2987937A (en) * 1958-06-10 1961-06-13 Eaton Mfg Co Window operating mechanism
FR1516936A (fr) * 1967-01-19 1968-02-05 Dba Sa Perfectionnements aux mécanismes de lève-glace
IT1073261B (it) * 1977-02-17 1985-04-13 Riv Skf Di Villar Perosa Spa Dispositivo alza cristallo a comando elettrico particolarmente per autoveicoli
FR2382351A1 (fr) * 1977-03-01 1978-09-29 Peugeot Aciers Et Outillage Mecanisme de leve-glace
DE2738672C2 (de) * 1977-08-26 1981-12-10 Metallwerk Max Brose Gmbh & Co, 8630 Coburg Fensterheber
US4468887A (en) * 1981-06-04 1984-09-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indow lifting mechanism,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US4440354A (en) * 1981-06-22 1984-04-03 Nippon Cable System Inc. Automatic tension-adjusting mechanism for window regulators
JPS5835577U (ja) * 1981-09-02 1983-03-08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自動車用ウインドレギユレ−タ
DE3136890C2 (de) * 1981-09-17 1986-06-12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5620 Velbert Motorbetätigter Fensterheber
US4442632A (en) * 1981-12-03 1984-04-17 Iao Industrie Riunite S.P.A. Window regulator,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DE3201098C2 (de) * 1982-01-15 1986-10-0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Seil-Fensterheb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S58221053A (ja) * 1982-06-15 1983-12-22 Victor Co Of Japan Ltd 駆動装置
US4589227A (en) * 1984-04-26 1986-05-20 Ferro Manufacturing Corporation Side window glass regulator for quarter windows on convertibles
DE3432178C1 (de) * 1984-08-31 1986-01-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Bowdenzug-Fensterheber,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H0438063Y2 (ko) * 1984-09-14 1992-09-07
US4669222A (en) * 1984-11-24 1987-06-02 Nissan Motor Co., Ltd. Window regulator
JPS61146987A (ja) * 1984-12-20 1986-07-04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窓ガラスの昇降装置
JPS6228562A (ja) * 1985-07-29 1987-02-06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窓ガラスの昇降装置
US4660325A (en) * 1985-09-25 1987-04-28 Dura Corporation Flexible window regulator assembly
JPS6282187A (ja) * 1985-10-07 1987-04-15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ワイヤ駆動式ウインドレギユレ−タにおけるワイヤの伸び吸収装置
JPS62125184A (ja) * 1985-11-07 1987-06-06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ワイヤ駆動式ウインドレギユレ−タにおけるワイヤの張着方法
US4878391A (en) * 1987-02-16 1989-11-07 Koito Seisakusho Co., Ltd. Motion translating mechanism for use as a window regulator or the like
US4805346A (en) * 1987-09-04 1989-02-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glass attachment to cable drive window regulator mechanism
US4819377A (en) * 1988-06-22 1989-04-11 Dura Automotive Hardware Division Of Wickes Manufacturing Company Flush window regulator
GB2223797B (en) * 1988-09-01 1992-08-19 Kuester & Co Gmbh Window pane displac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583A (ko) 1991-08-31
DE4015774A1 (de) 1991-07-11
DE4015774C2 (de) 1998-07-02
JPH03209042A (ja) 1991-09-12
US5074077A (en) 199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270B1 (ko) 차창 조정기
KR930010047B1 (ko)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US6088965A (en) Door window regulator
US7617633B2 (en) Vehicular window regulator
US6758013B2 (en) Integrated roller cable assembly
US5657580A (en) Window regulator with spring actuated direct cable tensioning
US7905057B2 (en) Universal cable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vehicles
JPS62189282A (ja) 自動車用サツシユレスドアのウインドウレギユレ−タ
US4608778A (en) Door window regulator
US10577849B2 (en) Window regulator cable guide
US6427385B1 (en) Window lift mechanism
US10501978B2 (en) Window regulator cable guide
US4644694A (en) Winding device for cables
US4414779A (en) Window regulator for an automotive vehicle
US5195211A (en) Guide channel pivot for window regulator
US3925932A (en) Window regulator mechanism
JPH033790B2 (ko)
JP3298733B2 (ja) 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JP4263788B2 (ja) パワー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0162578B1 (ko)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JPH0318624Y2 (ko)
JPH0746693Y2 (ja) 昇降装置
JP3756420B2 (ja)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の正逆巻取駆動装置ユニット
JPH073138B2 (ja) 昇降装置
JPH03186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