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396B1 -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및 그의 장치 - Google Patents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및 그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396B1
KR930009396B1 KR1019880001919A KR880001919A KR930009396B1 KR 930009396 B1 KR930009396 B1 KR 930009396B1 KR 1019880001919 A KR1019880001919 A KR 1019880001919A KR 880001919 A KR880001919 A KR 880001919A KR 930009396 B1 KR930009396 B1 KR 930009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aterial
opening
plastic
plastic food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572A (ko
Inventor
마사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마사오 고바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오 고바야시 filed Critical 마사오 고바야시
Publication of KR880009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23P30/25Co-extrusion of different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Confectioner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및 그의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전체적으로 표시한 기구설명도이다.
제 2 도~제 8 도는 제 1 실시예에의 장치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구체적인 제조예를 표시한 공정설명도이다.
제 9 도는 제 1 실시예의 장치를 사용해서 2가지의 고체 형상 식품재료가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되는 최종공정을 표시한 설명도이다.
제 10 도는 절단부위가 뾰족하게 되도록 절단되는 상태를 표시한 최종 공정의 설명도이다.
제 11 도는 가소성 식품재료만 사용하며,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넣지않고 성형하는 상태를 표시한 최종 공정도이다.
제 12 도는 각형 블록 형상의 고체 형상 식품재료가 가소성 색품재료로 피복되는 최종 공정을 표시한 설명도이다.
제 13 도는 압출성형기로부터 캐비티로 가소성 식품재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기구부분의 종단면도이다.
제 14 도는 제 13 도에서의 A-A 선을 따르는 수평단면도이다.
제 15 도는 개폐게이트의 개방상태에서의 개폐작동기구의 설명도이다.
제 16 도는 제 15 도의 개폐기이트의 닫힌 상태에서의 개폐작동기구의 설명도이다.
제 17 도는 개폐게이트의 다른 기구예를 표시한 주요 부분의 평면도이다.
제 18 도는 제 17 도에서의 주요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 19 도는 가소성 식품재료의 압송수단의 한 변형예를 설치한 전체의 기구설명도이다.
제 20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전체적으로 표시한 기구설명도이다.
제 21 도는 개폐게이트와 셔터부분을 확대해서 표시한 단면도이다.
제 21a 도는 제 21 도에서의 정면도이다.
제 21b 도는 제 21 도에서의 측면도이다.
제 22 도는 제 21a 도의 A-A 선을 따르는 횡단면도이다.
제 23 도는 셔터와 레버의 사시도이다.
제 24 도는 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제 25 도는 셔터가 닫힌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제 26~33 도는 제 2 실시예의 장치를 사용한 제조공정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출성형시 3 : 개폐게이트
4 : 고체 형상물 공급기 5 : 압출기
P : 가소성 식품재료 Q : 제 2의 가소성 식품재료
S : 고체 형상 식품재료 23 : 캐비티
본 발명은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 모양의 피복한 식품의 제조법 및 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루반죽(dough), 말랑말랑한 찰쌀떡 구비양지(求肥養地), 팥소, 다져서 으깬 어육, 기계로 간 고기, 메시포테이터(mash Potato)와 같은 가소성 식품재료를 덩어리 모양으로 성형하면서, 그 속에 밤, 딸기, 호두, 견과(堅果), 삶은 계란, 모나게 자른 고기 등과 같이 고체 형상 식품 재료를 한개 또는 복수개를 동시에 봉입하고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및 그렇게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제과업계나 가공식품업계로서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밤을 과자의 기본으로 하여 피복한 밤만두나 딸기를 젤리에 피복한 딸기젤리, 혹은 삶은 계란을 다져서 으깬 어육으로 피복하여 마치 "폭탄"과 같이 고체 형상물을 내포한 피복과자나 피복가공식물은, 종래 이것을 기계적으로 연속생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나 장치가 없었으며, 오로지 수공에 의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제조하고 있었던 것이 실정이며, 생산성의 면에서도, 또 위생상의 면에서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일찌기 본 발명자는, 가소성 식품재료를 압축다이를 이용하여 튜브 형상으로 압출하며, 압출다이의 중심에는 압출다이의 내경보다 작은 고체 형상물 안내관을 설치하고 압출된 튜브 형상의 가소성 식품재료의 중공부에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하며, 고체 형상 식품재료가 삽입된 튜브 형상의 가소성 식품재료를 중공부위에서 절단하여 비벼주므로써, 덩어리모양의 피복된 식품을 제조하는 구형(求形)의 절단장치를 제안하였으며(미국 특허 제4,398,881), 종래의 수작업으로만 제조할 수 있었던 고체 형상물을 함유하는 덩어리 모양의 피복식품을 기계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개척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형의 절단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처리되는 가소성 식품재료의 물성(物性)에 의해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내포하면서 공기도 함께 내포될 수 있으며, 또, 이 공기가 빠지지 않기 때문에 내포된 고체 형상 식품재료와 가소성 식품재료가 밀착되지 않고 벗겨져 떨어지기 쉬우므로, 상품가치를 저하시킨다고 하는 난처한 문제가 발생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첫째의 목적은, 내포된 고체 형상 식품재료와 이것을 감싸는 가소성 식품재료를 극히 양호하게 말착시켜서 벗겨져 떨어질 염려가 없는 덩어리모양의 피복식품을 성형할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그렇게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가 전혀 내포되지 않는 상태로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해서 덩어리모양의 피복식품으로 성형할 수 있는 제조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체 형상 식품재료 및 가소성 식품재료에 대해서 어떤 경우라도 손을 사용하는 일이 없이, 자동적으로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함유한 덩어리모양의 피복식품을 제조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2개 층의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의 피복식품을 제조하는 방법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과 장점은 본 발명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분명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의 피복식품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닫혀진 게이트의 윗 쪽에 1종 또는 2종의 가소성 식품재료를 압송수단을 이용하여 압송하며 층상(層狀)으로 배치하고, 층상으로 배치된 가소성 식품재료의 위에 송급수단을 이용하여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송급하여 올려놓는다. 그후, 게이트를 개방하는 동시에 압출수단을 이용하여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와 함께 게이트가 개방된 곳으로부터 아래 쪽으로 압출하면서, 고체 형상 식품재료의 외주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하여, 덩어리 상태로 성형한다. 마지막으로 게이트 닫고, 가소성 식품재료를 절단하므로써 덩어리 상태의 피복식품을 얻게 된다.
제 1 도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의한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의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1)은 기어펌프기구(11, 11)가 내장된 압출성형기이며, 상부에는 스크류날개(12)가 내장된 호퍼(13)가 설치되어 있고, 인버터모터(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등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상기한 기어펌프기구 및 스크류날개(12)를 소정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시켜서, 투입된 가소성 식품재료(P)를 급송로(14)로 압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압출성형기(1)의 압송수단으로는, 상기한 기어펌프기구 대신에, 제 19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기구(11a, 11b, 11c)를 채택할 수도 있고, 또 스크류컨베이어기구(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을 채택할수도 있다.
다음에, 참조부호(2)는 하부에 배출통로(21)가 있는 간헐압출 성형기이다.
도면에 표시된 예에서는, 간헐압출 성형기(2)의 중심부에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삽입하기 위한 원통형 챔버(22)와 이 챔버(22)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한 가소성 식품재료(P)가 압송되어서 오는 급송로(14)와 연통하고 있는 캐비티(2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간헐압출 성형기(2)의 배출통로(21)는 후술하는 개폐게이트(3)의 개방동작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개방된다. 참조부호(25)는 급송로(14)로부터 압송되는 가소성 식품재료(P)의 흐름을 조정하는 조정노브이며, 캐비티(23) 내에 가소성 식품재료(P)가 충만되어 있을때에 이 조정노브(25)를 정역회전시키면, 급송로(14)와 개비티(23)가 연통하는 통로 근처에 설치된 조절판(26)이 진퇴이동하여 가소성 식품재료(P)의 흐름을 규재해서 캐비티(23) 내로 구석구석까지 가소성 식품재료(P)가 고루 보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참조부호(3)은 개폐게이트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개폐게이트(3)는 제 15 도와 제 16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핀(31a, 31b, 31c, 31d)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핀이 지지되어 있으며, 작동하는 끝의 가장자리 측에는 상기한 배출통로(21)와 대략 동형의 게이트 출구(32)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에 따라 이들 게이트 출구(32, 32, 32, 32, 32)가 겹쳐져서 게이트가 개방되거나 분리되어 게이트를 폐쇄하도록 배치된 4개의 게이트 플레이트(31, 31, 31, 31)와 이들 게이트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한 지지판(31a, 31b, 31c, 31d)과 마주보고 각각 4절링크기루를 구성하는 4개의 링크(33, 33, 33, 33)와, 이들 링크 중의 한개의 링크에 고정된 연접핀(33a)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진퇴운동하여 이들 링크 및 게이트 플레이트가 4절링크운동을 하도록 하는 구동바아(bar)(34)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4)가 표시하는 것은 고체 형상물 공급기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고체 형상물 공급기(4)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수용하는 고체 형상물 호퍼(41)와, 이 호퍼(41)의 밑부분에서 소정치수의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한개 또는 복수개씩 계량하여 감싸는 바닥없는 틀(42a, 42a)이 수평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일정한 피치씩 간헐적으로 회전시켜서 상기한 호퍼(41)에 설치된 송출공(41b)으로부터 바닥없는 틀(42a)의 안에서 감싸져 있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아래 쪽으로 떨어뜨리는 계량 턴프레임(turn frame)(42)과, 상기한 송출공(41b)과 연통하며 상기한 원통형 챔버(22)와도 연통하는 고체 형상물 압송로(4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송출공(41b)으로부터 고체 형상 식품재료(S)가 떨어졌을때, 이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원통형 챔버(22)로 강제로 압출하는 피스톤(43b)이 내장된 고체 형상물 압송기구(43)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5)가 표시하는 것은 압출기이며, 상기한 간헐압출 성형기(2)의 원통형 챔버(22)내에서 승강작동이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있고, 챔버(22) 내에 공급된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배출통로(21)로 압출하는 압출피스톤(51)과 이 압출피스톤(51)을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승강작동시키는 승강로드(52)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된 제 1~제 3 실시예에서, 상기한 압출피스톤(51)의 선단에는 가소성 식품재료(P)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접착성 수지(실리콘 고무, 불소수지)를 성형해서 만들어진 커버(51a)가 부착되어 있다.
단, 이 커버(51a)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압출피스톤(51)의 선단에 불소수지를 코팅하여도 가소성 식품재료(예컨대, 점착질의 찹쌀떡 재료)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압출성형기(1), 개폐게이트(3), 고체 형상물 공급기(4) 및 압출기(5)는 서로 연관되어 간헐적으로 작동되며, 이들 각 수단은 같은 동기기구(73, 74, 75, 76)에 의해 적당한 시기에 서로 관련되어 작동된다. 동기기구(73, 74, 75, 76)는 캠, 타펫트(cam, tappet)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압출성형기(1)는, 캠(73a)과 미끄럼접촉하며 요동하는 요동레버(73b)로 구성된 캠, 타펫트(73)가 개폐게이트(3)의 구동바아(34)를 진퇴작동시킬 때 기어펌프기구(11, 11), (61, 61)와 스크류날개(12, 16)를 구동시키는 인버터모터(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의 스위치를 온, 오프하여 개폐게이트(3)의 폐색시에는 인버터모터를 정지시키고 개방작동시에는 구동시켜서 가소성 식품재료(P)를 압송한다. 또, 고체 형상물 공급기(4)는 캠(74a)과 미끄럼짐접촉하면서 요동하는 요동레버(74b), 이 요동레버(74b)의 요동에 따라서 진퇴운동하는 송급용 바아(74c) 및 송급용 바아(74a)의 진퇴운동에 따라서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여 상기한 계량 턴프레임(42)을 1피치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며, 그때, 바닥없는 틀(42a)의 안에서 감싸져 있던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송출공(41b)으로부터 고체 형상물 압송로(43a)로 떨어뜨리는 래칫기구(74b) 등에 의해 적당한 시기에 구동된다. 이렇게 하여, 고체 형상물 압송로(43a)에 떨어진 고체 형상 식품재료(S)는 캠(76a) 및 이 캠(76a)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요동하는 요동레버(76b)의 작동으로 진퇴운동하는 상기한 고체 형상물 압송피스톤(43b)에 의해 압출되어 상기한 원통형 챔버(22)의 내부에 강제로 투입된다.
또, 압출기(5)는 캠(75a) 및 이 캠(75a)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요동하여 압출기(5)의 승강로드(52)를 승강 작동시키는 요동레버(75b)에 의해 구동되며,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가소성 식품재료(P)로 감싸져 있는 원통형 챔버(22) 속으로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삽입할 때, 상기한 배출통로(21)의 개폐게이트(3)의 개방작동과 동기하여 상기한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개폐게이트(3)쪽으로 압출하여 배출통로(2)로부터 배출시키며, 또 이때, 이 고체 형상 식품재료(S)의 주변 전체를 가소성 식품재료(P)로 피복한다. 상기한 배출통로(21)의 하부에는 반송면이 승강작동하는 벨트컨베이어(8)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출통로(21)를 통과하여 개폐게이트(3)에서 절단된 덩어리 모양의 피복식품(P)을 받아서 소정의 위치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81)는 컨베이어 반송면(8a)을 승강작동시키는 승강기이며, 상기한 캠, 타펫트(73)와 연결되어, 개폐게이트(3)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된 예에서는, 개폐게이트(3)가 개방될 때에 계전기 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검출하며, 계전기로 부터의 신호를 릴레이 접점(81a)에서 받아 브레이크모터(82)를 구동시켜서 캠(81b)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벨트컨베이어(8)도 동일한 구조로 구동되는 것이고, 개폐게이트(3)가 개방될 때의 상기한 계전기로부터의 신호를 릴레이접점(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서 받아 컨베이어구동 브레이크모터(83)를 구동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고,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며, 예컨대, 가소성 식품재료(P)를 공급하는 압출성형기(1)의 내부 기구를 종래의 압출성형기나 사출성형기에서 일반화 되어 있는 공지의 압송기구로 대체하거나, 고체 형상물 공급기(4)를 종래로부터 알려진 구체 급송기구(feeding boll mechanism)로 대체하거나, 압출기(5)를 에어실린더로 대체하거나, 또는 동기기구(73, 74, 75)를 공지의 마이크로 컴퓨터로 제어되는 기구로 대체하거나 하는 것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또 개폐게이트(3)에 대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제 17 도 및 제 18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출구(32)가 있는 2장의 게이트 플레이트(31)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서로 교차시켜서 진퇴작동시키는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가소성 식품재료(P)로, 흰 팥소에 달걀 노른자위를 섞고, 또, 찹쌀 미싯가루를 첨가하여 제조된 과자를 사용하며, 고체 형상 식품재료(S)로는 매실을 설탕에 절인 식품을 사용하여, 매실이 들어간 과자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압출성형기(1)의 호퍼(13) 안에 본바탕이 되는 과자를 가소성 식품재료(P)로서 투입하는 한편, 고체 형상물 호퍼(41)에는 설탕에 절인 다수의 매실을 고체 형상 식품재료(S)로서 투입한다. 이때, 개폐게이트(3)는 폐색되어 있다. 또, 운전 개시에 앞서서 예비적으로 기어펌프기구(11, 11) 및 스크류날개(13)를 구동시켜, 캐비티(23)를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재료를 차례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격적으로 운전되면서 고체 형상물 호퍼(41)에 투입된 고체 형상 식품재료(S)(이하, 편의상 "매실"로 약칭한다)는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개량 턴프레임(42)이 회전하기 때문에 바닥없이 틀(42a) 안에 있는 매실(S)이 송출공(41b)으로부터 고체 형상물 압송로(43a)로 떨어진다. 이때, 매실의 낙하와 동기하여 피스톤(43b)이 돌출작동하면서 이 매실(S)을 강제적으로 압출하여, 이것을 원통형 챔버(22) 속으로 투하시킨다. 원통형 챔버(22) 안으로 매실(S)이 투하되면 윗 쪽으로부터 압출피스톤(51)이 하강하는 한편, 개폐게이트(3)가 서서히 개방되며, 또, 압출성형기(1)가 구동하여 그 압송력에 의해 배출통로(21)로부터 가소성 식품재료(P)가 압축된 상태로 배출된다. 그리고, 개폐게이트(3)가 더욱 개방되면, 압출피스톤(51)이 매실(S)을 밀어내려서 배출통로(21)로 부터의 매실(S)의 통과를 돕게된다. 이런 상태에서, 매실(S)의 외주면은 가소성 식품재료(P)로 거의 피복되는 상태로 된다(제 4 도~제 5 도 참조). 이렇게 하여, 피복식품(P)이 대부분이 제 6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출통로(21)로부터 노출되면 곧 개폐게이트(3)는 폐색동작을 개시하면서 수축작동을 하며, 이 수축작동에 의해 피복식품을 대략 공 형상으로 형성한 후 절단한다.(제 7 도, 제 8 도 참조).
또,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해서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넣지않고 성형하면, 제 11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속이 비어 있는 성형식품도 제조할 수 있다.
본 제 1 실시예의 장치에 의한 피복식품 제조의 1사이클(cycle)은 대략 상기한 바와 같은데,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상기한 제조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제 9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고체 형상 식품재료(예컨대 아몬드)를 가소성 식품재료(P)로 피복하건, 제 10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출통로(21)에 원통형 교축포(絞縮布)(21a)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피복식품(P)의 절단부위가 뾰족하게 되도록 성형하는 것도, 또, 제 1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형으로 절단한 양갱을 봉입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당연히 속한다.
고체 형상물을 함유한 덩어리상태의 피복식품을 놀라운 정도로 확실하고, 또한 높은 품위로 연속생산할수 있는 장치이며, 가루반죽, 말랑말랑한 찹쌀떡, 팥소, 다져서 으깬 어육, 기계로 간 고기, 매시포테이토와 같은 각종 가소성 식품재료를 덩어리상태로 성형하면서 그 속에 밤, 딸기, 호두, 견과, 삶은 계란, 모나게 자른 고기 등 여러가지의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동시에 봉입하여 연속적으로 양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그 생산성과 제품의 마무리는 본 발명자가 먼저 제안한 미국 특허 제4,398,881호 발명을 훨씬 능가하여, 가소성 식품재료와 고체 형상 식품재료가 분리되는 등의 결함도 발생되지 않으며, 과자 제조분야는 물론, 그밖의 가공식품 제조분야에서의 고체 형상물 피복식품의 생산성 향상 및 식품위생의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이다.
제 20 도~제 33 도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S)의 외주를 2종류의 가소성 식품재료(P) 및 (Q)로 피복하여 덩어리모양의 피복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방법 및 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통형 챔버(22)와 캐비티(23)와의 사이에 제 2 캐비티(2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 2 캐비티(24)에 대해서 제 2 압출성형기(6)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압출성형기(6)로부터 성출된다.
제 2의 가소성 식품재료(Q)가 제 2 캐비티(24)에 도입되어서 고체 형상 식품재료(S)와 제 1의 가소성 식품재료(P)층과의 사이에 제 2의 가소성 식품재료(Q)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압출성형기(6)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압출성형기(1)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기어펌프기구(61)가 내장되어 있고, 상부에는 스크류날개(62)가 내장된 호퍼(6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버터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기어펌프기구 및 스크류날개(62)를 소정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시켜서, 투입된 가소성 식품재료(Q)를 급송로(64)로 압송한다.
제 1의 가소성 식품재료(P)와 제 2의 가소성 식품재료(Q)의 사이에는 서로를 분리하여 캐폐하는 대략 반원호 형상의 셔터(35)가 설치된다. 이 셔터(35)는 상기한 원통형 챔버(22)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레버(36)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레버(36)의 상부는 고정핀(37)에 의해 제 2 캐비티(24)의 외벽에 고정되어 있다. 레버(36)의 상부 측면은 개폐용 캠면(38)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캠면(38)과 결합되는 캠면(39)이 원통형 챔버(22)에 고정된다.
원통형 챔버(22)의 상하 캠에 의해 레버(36)를 매개체로 하여 셔터(35)가 개폐되어 제 2의 가소성 식품재료(Q)가 단속적으로 배출된다. 원통형 챔버(22)의 내부에서 상하작동하는 압출피스톤(51)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 공급원(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접속된 공기통로(53)가 선단부까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거나 또는 분출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부분 이외의 압출성형기(1), 간헐압출 성형기(2), 개폐게이트(3), 고체 형상물 공급기(4), 압출기(5), 동기기구 등은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제 26 도~제 33 도를 참조하면서, 제 2 실시예의 장치에 의한 제조공정을 다음에 설명한다.
제 26 도는 준비단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셔터(35)는 닫혀있고, 이 셔터(35)로 분리되는 상하의 공간으로 압출성형기(1), (6)에 의해서 제 1, 제 2 가소성 식품재료(P), (Q)가 서로 혼합되지 않고 층상으로 공급되며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피복하기 위해 준비된다. 또, 압출피스톤(51)은 적어도 고체 형상물 압송로(43a)에서 윗 쪽으로 후퇴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체 형상물 공급기(4)에 의해 원통형 챔버(22)의 내부에 고체 형상 식품재료(S)가 공급되어, 준비된 가소성 식품재료(Q)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원통형 챔버(22)는 상승을 개시하고, 셔터(35) 및 개폐게이트(3)가 개방되기 시작한다(제 27 도).
다음에, 압출피스톤(51)이 하강하여 고체 형상 식품재료(S)가 아래 쪽으로 압출되면서 완전히 개방된 셔터(35) 및 개폐게이트(3)로부터 제 1, 제 2 가소성 식품재료(P), (Q)와 함께 아래 쪽으로 압출되기 시작한다(제 28 도). 이러한 압출작동은 제 29 도와 제 30 도에 표시된 상태까지 계속되며, 원통형 챔버(22)의 하강이 시작된다. 고체 형상 식품재료(S)와 이것을 피복한 제 1, 제 2 가소성 식품재료(P), (Q)가 개폐게이트(3)로부터 완전히 아래 쪽으로 압출되며 개폐게이트(3) 및 셔터(35)가 닫히기 시작한다(제 31 도). 그리고, 개폐게이트(3) 및 셔터(35)가 닫히기 시작할때, 압출피스톤(5)의 공기통로(53)에 의해 고체 형상 식품재료(S)와 가소성 식품재료(Q)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흡인, 제거되어 양쪽 재료(S), (Q)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한다.
개폐게이트(3)와 셔터(35)의 닫혀있는 상태는 계속되며, 제 33 도에 표시된 최종 공정에서, 고체 형상 식품재료(S)가 봉입되어 있으며, 제 1, 제 2의 가소성 식품재료(P), (Q)의 2개 층으로 피복된 덩어리모양의 피복식품이 제조된다.
그리고, 이 공정에서 완전히 닫혀진 셔터(35)에 의해서, 제 1, 제 2 가소성 식품재료(P), (Q)는 층상으로 분리되어 제 26 도의 준비공정으로 된다.
또, 개폐게이트(3) 및 셔터(35)가 완전히 닫히기 전의 공정(제 32 도)에서, 압출피스톤(51)이 약간 상승되면서 동시에 공기통로(53)로부터 공기가 분출되어 공기통로(53)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그곳을 막고 있던 가소성 식품재료가 제거된다.
이 제 2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2가지 종류의 가소성 식품재료(P), (Q)로 피복하여 덩어리모양의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를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0)

  1. 닫혀진 개폐게이트(3)의 윗 쪽으로 가소성 식품재료(P)를 충상으로 준비하는 공정, 층상으로 준비된 가소성 식품재료(P)의 위에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올려놓는 공정, 개폐게이트(3)를 개방시켜서 개폐게이트(3)의 개방부로부터 고체 형상 식품재료(S)의 외주를 가소성 식품재료(P)로 피복하면서 아래 쪽으로 압출하여 덩어리모양으로 성형하는 공정 및 개폐게이트(3)를 닫고 가소성 식품재료(P)를 절단하여 덩어리 상태의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닫혀진 개폐게이트(3)의 윗쪽에서 층상으로 적층된 2가지 종류의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준비하고, 그 위에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올려놓고, 개폐게이트(3)의 개방부로부터 압출하여 고체 형상 식품재료(S)의 외주를 2개 층의 가소성 식품재료(P), (Q)로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압출공정 중에 가소성 식품재료(P)와 고체 형상 식품재료(S)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인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 제조법.
  4. 제 2 항에 있어서, 닫혀진 개폐게이트(3)의 윗 쪽에 준비된 2개 층의 가소성 식품재료(P), (Q)의 층사이에서 셔터(35)를 매개체로 하여 압출공정의 전까지 2가지 종류의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서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5. 제 1 항에, 제 2 항,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퍼(13), (63)와 연결된 압송수단(11), (61)에 의해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호퍼(41)로부터 개폐게이트(3)의 윗쪽으로 압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호퍼(41)와 연결된 분배수단(41b), (42)과 압출기(5)에 의해 고체 형상 식품재료(S)가 분배되어, 닫혀진 개폐게이트(3)의 윗 쪽에서 층상으로 준비되어 있는 가소성 식품재료(P), (S)의 위로 송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7. 압출성형기(1)로부터 송출되는 가소성 식품재료(P)를, 간헐압출 성형기(2)의 배출통로(21)의 개폐게이트(3)가 닫혀진 상태에서 간헐압출 성형기(2)의 캐비티(23) 내부로 도입하여, 가소성 식품재료(P)를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며, 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가소성 식품재료(P)로 감싸져 있는 원통형 챔버(22)의 내부에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삽입한 후, 상기한 배출통로(21)의 개폐게이트(3)를 개방작동시켜서 삽입된 상기한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개폐게이트(3) 방향으로 밀어서 배출통로(21)로부터 압출하며, 이때, 이 고체 형상 식품재료(S)의 전체주의를 가소성 식품재료(P)로 피복시키고, 개폐게이트(3) 근처에서 가소성 식품재료(S)를 교축, 절단하여, 덩어리모양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8. 준비기간 동안에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그 윗 쪽에서 지지하며, 개방부로부터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아래 쪽으로 압출할 수 있고, 압출된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절단할 수 있으며, 자위자재로 개폐되는 개폐게이트(3)의 윗쪽으로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압송하는 압출성형기(1), (6), 닫혀진 개폐게이트(3)의 윗 쪽에 층상으로 준비된 가소성 식품재료(P), (Q)의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송급하는 고체 형상물 공급기(4) 및 개폐게이트(3)의 개방에 따라서 가소성 식품재료(P), (Q)의 위에 올려놓여진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가소성 식품재료(P), (Q)와 함께 개폐게이트(3)의 개방부로부터 압출하는 압출기(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개폐게이트(3)가, 게이트 출구(32)가 있으며 미끄럼작동하는 복수의 게이트 플레이트(31)와, 이 게이트 플레이트(31)를 작동시키는 링크기구(33), (33a), (34)로 구성되며, 게이트 플레이트(31)의 미끄럼작동에 의해 게이트 플레이트(31)에 형성된 게이트 출구(32)가 일치 또는 분리되므로써, 개폐게이트(3)가 개폐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개폐게이트(3)가, 게이트 출구(32)가 형성되어 있고 미끄럼작동하는, 2장의 게이트 플레이트(31), (31)로 구성되며, 이들 게이트 플레이트(31), (31)의 상대적인 미끄럼작동에 의해 게이트 출구(32), (32)가 일치 또는 분리되므로써, 개폐게이트(3)가 개폐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압송하는 압출성형기(1), (6)가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수납분배하는 호퍼(13), (63)와 연결된 압송수단(11), (6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압송수단(11), (61)이 기어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압송수단(11)이 피스톤기구(11a), (11b), (11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고체 형상 식품재료(P), (Q)를 송급하는 고체 형상물 공급기(4)가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수납하는 호퍼(41), 이 호퍼(41)와 연결되어 있으며 호퍼(41)로부터의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개별적으로 분배하는 수단(41b), (42), 분해된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개폐게이트(3)의 윗 쪽에서 층상으로 준비되어 있는 가소성 식품재료(P), (Q)의 위로 도입하는 원통형 챔버(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압출기(5)가 수직방향으로 상하작동하는 압출피스톤(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시품의 제조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가소성 식품재료가 서로 다른 2가지 종류의 재료로 되며,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압송하는 압송수단(11), (61)이 각각의 재료마다 별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2가지 종류의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닫혀진 개폐게이트(3)의 윗 쪽에서 층상으로 분리하고, 개폐게이트(3)의 개폐와 동기하여 개폐작동하는 셔터(35)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18. 제 8 항에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압출기(5)가 공기통로(53)를 매개체로 하여 공기 공급원과 접속되어, 압출기(5)의 선단부에서 자유자재로 공기를 흡인 또는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19. 중심 부분에 고체 형상 식품재료(S)가 투입될 수 있는 원통형 챔버(22) 및 이 챔버(22)를 감싸는 주위에서 캐비티(23)가 있으며, 또, 이들 챔버(22) 및 캐비티(23)는 동축상에서 개방부가 있는 배출통로(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이 배출통로(21)는 개폐게이트(3)의 개방동작에 의해 간헐적으로 개방이 가능하며, 개폐게이트(3)가 닫힌 상태에서는 압출성형기(1)로부터 송출되는 가소성 식품재료(P)를, 도입하고, 도입된 가소성 식품재료(P)를 캐비티(23) 안에서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간헐압출 성형기(2)와, 이 간헐압출 성형기(2)의 캐비티(23) 안에서 가소성 식품재료(P)가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할 때, 원통형 챔버(22) 안에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공급하는 고체 형상물 공급기(4)와, 원통형 챔버(22) 안에 공급된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개폐게이트(3) 방향으로 압출하여,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성형된 가소성 식품재료(P)가 개폐게이트(3)의 개방동작시에 배출통로(21)로부터 배출될 때, 이 가소성 식품재료(P)속으로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삽입하는 압출기(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체 형상 식품재료(S)를 피복한 상태의 가소성 식품재료(P), (S)가 상기한 개폐게이트(3)를 통과할 때에 이 개폐게이트(3)가 가소성 식품재료(P), (Q)를 교축하여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원통형 챔버(22)와 캐비티(23)와의 사이에 제 2의 캐비티(24)가 있으며, 제 2 압출성형기(6)로부터 송출되는 제 2의 가소성 식품재료(Q)를 제 2 캐비티(24)로 도입하여, 고체 형상 식품재료(S)와 가소성 식품재료(P)층과의 사이에 제 2 가소성 식품재료(Q)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장치.
KR1019880001919A 1987-02-25 1988-02-24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및 그의 장치 KR930009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43629A JPH0748994B2 (ja) 1987-02-25 1987-02-25 固形食品材料を可塑性食品材料で被覆した団塊状被覆食品の製造装置
JP43629 1987-02-25
JP62-43629 1987-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572A KR880009572A (ko) 1988-10-04
KR930009396B1 true KR930009396B1 (ko) 1993-10-04

Family

ID=1266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919A KR930009396B1 (ko) 1987-02-25 1988-02-24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및 그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4854842A (ko)
EP (1) EP0280484B1 (ko)
JP (1) JPH0748994B2 (ko)
KR (1) KR930009396B1 (ko)
CN (1) CN1026749C (ko)
DE (2) DE388380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0692U (ko) * 1987-10-14 1989-04-18
US4949630A (en) * 1988-10-04 1990-08-21 Warner-Lambert Company Apparatus for forming a fold-over soft center-filled confection
ATE88327T1 (de) * 1988-12-15 1993-05-15 Frisco Findus Ag Formmaschine fuer speiseeis.
GB8901987D0 (en) * 1989-01-30 1989-03-22 Matthews Bernard Plc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of food stuffs
JP2522591Y2 (ja) * 1991-05-13 1997-01-1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被切断装置における固形物供給機構
US5820890A (en) * 1992-01-30 1998-10-13 Kobird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plastic bar-shaped food
DE69328155T2 (de) * 1992-05-26 2000-09-14 Kobird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lastischen nahrungsmitteln
GB2268903A (en) * 1992-07-23 1994-01-26 Robert Ou Young Food processing apparatus
IN181843B (ko) 1995-04-28 1998-10-03 Nestle Sa
US5686128A (en) * 1995-08-31 1997-11-11 Nabisco Technology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iple co-extruding a snack product
US5755152A (en) * 1996-12-19 1998-05-26 Hunt-Wesson, Inc. Popcorn cake machine
US5843503A (en) * 1997-02-24 1998-12-01 General Mil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multiple patterned extrudates
JP2934206B2 (ja) * 1997-05-19 1999-08-1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材料接合吐出装置、及び食品成形機
US6251452B1 (en) 1999-04-23 2001-06-26 General Mill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multiple, complexly patterned extrudates
TWI249988B (en) * 2001-04-09 2006-03-01 Kobird Co Ltd Apparatus for shaping food
DE20301908U1 (de) * 2003-02-07 2004-06-09 Vemag Maschinenbau Gmbh Portioniervorrichtung für Nahrungsmittel
US7306449B2 (en) * 2003-08-18 2007-12-11 Lien-Fu Huang Food shaping device for forming three-layered foods
TW589150B (en) * 2003-10-02 2004-06-01 Yu Ouyang Food forming device with multilayered assembly
ITMI20070230A1 (it) * 2007-02-08 2008-08-09 Nestec Sa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prodotti alimentari ripieni
US20090047390A1 (en) * 2007-07-27 2009-02-19 John Cassel Chicken noodle bites
FR2936683B1 (fr) * 2008-10-06 2011-01-14 Clextral Dispositif de fabrication en continu par cuisson extrusion d'un produit alimentaire contenant des morceaux entiers et solides et machine d'extrusion equipee d'un tel dispositif
US20100209580A1 (en) * 2009-01-23 2010-08-19 Emine Unlu Product shap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10088530A1 (en) * 2009-10-17 2011-04-21 Arbaugh Ii William C Cheese/food extrusion cutting die blade, process of use and process of production
US9277753B2 (en) 2010-08-20 2016-03-08 Frito-Lay North America, Inc. Synchronized cutting and injection system and method
CN102805417A (zh) * 2012-08-13 2012-12-05 广东复兴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多色汤圆机
CN103948156B (zh) * 2014-05-16 2016-05-18 赵薇薇 一种双色或双料膨化机
CN106235364B (zh) * 2016-07-26 2019-04-19 佛山市奥楷机械科技有限公司 包芯丸机
CN105994567B (zh) * 2016-07-26 2019-07-16 佛山市奥楷机械科技有限公司 用于包芯丸机的定量供料装置
WO2019093029A1 (ja) * 2017-11-09 2019-05-1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材料吐出装置
CN108812742B (zh) * 2018-08-30 2021-07-16 石家庄市汉普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馄饨包合装置及馄饨机
CN110961004A (zh) * 2019-11-25 2020-04-07 湖南和美园食品有限公司 一种果冻凝胶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1503A (en) * 1963-08-21 1966-03-22 Schafer Leonhard Concentric pastry die
US3541946A (en) * 1968-05-13 1970-11-24 Quaker Oats Co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ducing a center filled puffed cereal product
US3572259A (en) * 1969-07-08 1971-03-23 Torahiko Hayashi Apparatus for molding elastic dough materials from bar shapes into spherical shapes
BE787773A (fr) * 1971-08-24 1973-02-19 Unilever Nv Moulage de produits alimentaires
US4028024A (en) * 1974-10-31 1977-06-07 Moreland Stephen T Manufacture of filled capsules or the like
JPS51104082A (en) * 1975-03-10 1976-09-14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Tasokijino seizosochioyobihoho
JPS5254072A (en) * 1975-10-29 1977-05-02 Nozawa Seisakusho Kk High speed core wpapping and spherically shaping machine
NL7613131A (nl) * 1976-11-25 1978-05-29 Henrikus Antonius Jacobus Mari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suikergoedlolly's.
US4229484A (en) * 1978-04-11 1980-10-21 Baker Perkins Holdings Limit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enter-filled bars of confectionery
US4251201A (en) * 1978-09-18 1981-02-17 Krysiak Janusz D Extrusion apparatus
JPS5831180B2 (ja) * 1980-01-16 1983-07-04 株式会社 ハイト 包あん方法及び包あん機
DE3011863C2 (de) * 1980-03-27 1985-10-24 Kemper, Kate, Küsnacht, Zürich Vorrichtung zum Portionieren von Teig für Brötchen oder Kleinbrote
US4343603A (en) * 1980-07-16 1982-08-10 Roger Pavlow Machine for encapsulating food in dough
GB2101924B (en) * 1981-05-13 1985-06-05 Masao Kobayashi Apparatus for forming soft food material into globular shape
DE3247621C2 (de) * 1982-12-23 1986-03-20 Kemper, Kate, Küsnacht, Zürich Vorrichtung zum gleichmäßigen Portionieren von Teigteilen für Semmeln oder Kleinbrote
DE3319666C2 (de) * 1983-05-31 1985-04-11 Fr. Winkler KG Spezialfabrik für Bäckereimaschinen und Backöfen, 7730 Villingen-Schwenningen Automatische Teigteil- und Wirkmaschine
US4469475A (en) * 1983-07-01 1984-09-04 Krysiak Dobroslaw J Machinery for making encrusted food products
US4689236A (en) * 1983-10-11 1987-08-25 Nabisco Brands Method for forming edible products having an inner portion enveloped by a dissimilar outer portion
US4589833A (en) * 1984-02-27 1986-05-20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Device for forming balls of plastic material
EP0169919B1 (en) * 1984-07-30 1987-05-06 Frisco-Findus Ag Manufacture of a food product
US4648821A (en) * 1984-08-31 1987-03-10 Nabisco Brands, Inc. Apparatus for co-extrusion of a dough mass having dissimilar inner and outer portions
JPS61199743A (ja) * 1985-03-02 1986-09-04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材料の計量射出方法及び装置
US4715803A (en) * 1985-04-17 1987-12-29 Nabisco Brands, Inc. Triple co-extruder
AU592081B2 (en) * 1985-04-17 1990-01-04 Nabisco Brands Incorporated Triple co-extruder
US4643904A (en) * 1985-06-25 1987-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discrete morsels contained within a baked food product
US4734024A (en) * 1986-01-16 1988-03-29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shaping a spherical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48994B2 (ja) 1995-05-31
CN1026749C (zh) 1994-11-30
EP0280484A2 (en) 1988-08-31
US5004619A (en) 1991-04-02
DE3883806T2 (de) 1994-01-13
US4854842A (en) 1989-08-08
CN88101679A (zh) 1988-11-23
EP0280484A3 (en) 1989-10-04
EP0280484B1 (en) 1993-09-08
DE3883806D1 (de) 1993-10-14
KR880009572A (ko) 1988-10-04
JPS63209574A (ja) 1988-08-31
DE280484T1 (de) 1989-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396B1 (ko)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및 그의 장치
US6528102B1 (en) Fruit snacks with varied center filling
JPS63119653A (ja) 成形菓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EP06011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lastic foods
KR101674423B1 (ko) 제과용 디포지터
JPS6016549A (ja) 充填方法と充填装置
JP2011062102A (ja) ドーナツ状食品成形装置及び方法
CN102905547A (zh) 可食饼干产品及其生产方法
JP2007082461A (ja) 食品素材の押し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EP0707795B1 (en) Apparatus for extruding food material
KR20100135997A (ko) 떡볶이 떡의 제조장치
JPH01247073A (ja) 固形食品材料を可塑性食品材料で被層状態に被覆した団塊状被覆食品の製造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装置
JP2641028B2 (ja) 固形食品材料を可塑性食品材料で被層状態に被覆した団塊状被覆食品の製造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装置
AU2004231657B2 (en) Pancake die
JP2003235457A (ja) 食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3948667B2 (ja) 流動性を有する食品生地の包あん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009673B2 (ja) 可食性容器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CN115884681B (zh) 含有粒状物的组合食品的成形方法
KR101234956B1 (ko) 호떡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20180168181A1 (en) Deposited hard shell and soft chewy center candy and method of making
CN113768104B (zh) 一种肉类速冻食品的生产工艺及其装置
JPH0646311Y2 (ja) マーブル模様フィリングの吐出装置
JP2767578B2 (ja) シュ−クリ−ムなどの菓子の製造方法
JPS60210970A (ja) 食品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910001091Y1 (ko) 내용물이 충진된 성형식품 제조장치의 내용물 공급 및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