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468B1 - 대용량 저장장치 입출력 정합방법 - Google Patents

대용량 저장장치 입출력 정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468B1
KR930007468B1 KR1019900022879A KR900022879A KR930007468B1 KR 930007468 B1 KR930007468 B1 KR 930007468B1 KR 1019900022879 A KR1019900022879 A KR 1019900022879A KR 900022879 A KR900022879 A KR 900022879A KR 930007468 B1 KR930007468 B1 KR 930007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mass storage
mpma
storage device
ms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036A (ko
Inventor
김재명
조주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0002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468B1/ko
Publication of KR920014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용량 저장장치 입출력 정합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MPMA내의 메모리 구조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처리 및 메모리 관리 보드(MPMA) 2 : 외부 메모리 보드(MECA)
3 :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MSIA) 4 : 시스템 버스(MPSB)
5 : MSIA와 장치 콘트롤러 연결버스(SCSIB) 6 : 장치콘트롤러
10 : DPRAM
본 발명은 대용량 전전자 교환 시스템에서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 보드(이하, MSIA라함)와 주처리 및 메모리 관리 보드(이하, MPMA라함)간의 입출력의 고속화를 구현하기 위한 정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조 기억 장치 입출력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MSIA가 장치 컨트롤러(device controller)로 전달하는 실제의 명령어 부분(이하, SCSI명령어라함)과 MSIA와 MPMA의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가진 블록(이하, CPB라함)으로 구성된 블록에 처리하고자 하는 일을 MPMA에서 외부 메모리 보드(이하, MECA라함)의 메모리 영역 혹은 MSIA가 시스템 버스를 통해서만 접근 가능한 영역에 기록하고 MSIA가 주기적으로 MPMA와 통신하기 위한 메모리 영역(이하, RCB라함)에 명령어 시행 요구를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대용량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은 고속의 입출력(read/write)을 요할 뿐 아니라 주변 보조 기억 장치들의 유지 보수(예를 들면, 장치들이 현재 접근 가능한가, 디스크의 용량은 어느 정도인가)등의 명령어가 실시간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유지보수가 원활히 처리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의 정합 방법은 CPB의 구성이 MECA의 영역 혹은 시스템 버스를 통해서만 접근 가능한 영역에 되어 있어서 CPB의 내용을 접근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 CPB를 가져와서 처리해야 되고 상당한 오버헤드가 가해질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도 전부 시스템 버스를 접근하지 않고서는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조 기억 장치의 입출력을 하기 위한 CPB를 시스템 버스를 통하지 않고 MSIA와 MPMA가 둘다 접근 가능한 MPMA내의 메모리(이하, DPRAM라함)에 구성하여 MSIA와 통신을 하게함으로서 고속 입출력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스템 버스(MTSB) 연결된 주처리 및 메모리 관리 보드(MPMA)와, 외부 메모리 보드(MECA)와, 입출력을 정합하는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MPMA)와, 상기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에 SCSI버스(SCSIB)로 연결된 장치 콘트롤러로 구성되어 대용량저장장치의 입출력과의 정합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메로리에 주처리 및 메모리 관리 보드와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간의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명령 시행 요구가 들어오면 주처리 및 메모리 관리 보드내의 DPRAM의 CPB영역에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복사하는 제1단계, 읽기/쓰기 명령인가를 구분하여 그 결과를 얻을 데이터 포인터를 DPRA 또는 외부메모리에 설정하는 제2단계,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로 명령어 시행을 요구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명령어 시행 완료 플래그를 계속 점검하든지 상기 대용량 저장 장치 정합 보드로부터 시행결과를 인터럽트로 수신하여 종료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저장장치 입출력 정합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중앙연산 장치와, 메모리를 구비하여 메모리 정합 및 외부 시그널을 처리하는 주처리 및 메모리 관리 보드(1 : MPMA), 외부 메모리 보드(2 : MECA), 입출력을 정합하는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3 : MSIA), MPMA와 MSIA간에 물리적인 통로인 시스템버스(4 : MPSB), MSIA에 접속되어 장치 컨트롤러(6)와의 물리적인 통로인 SCSI버스(5 : SCSIB)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도는 MPMA(1)내의 메모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MPMA(1)와 MSIA(2) 둘다 접근하여 사용하는 DPRAM(10)에 RCB(11)영역, CPB(12)영역, 데이터영역(13)이 있고 기타(14)는 외부 메모리 영역이 있음을 도시하였다.
MPMA에서 DPRAM(10)의 명령어 파라미터 영역(12 : CPB)에 요구하는 명령어를 기록하고 명령어 요구 블럭(11 : RCB)에 명령어 시행 요구를 하면, MSIA(3)가 RCB(11)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다가 요구를 감지하여 CPB(12)에 있는 장치 명령어 정보를 장치콘트롤러에 전송하고 장치 컨트롤러에서 시행이 끝나면 MSIA(3)가 그 결과를 DPRAM(10) 혹은 MECA(2)의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인터럽트 혹은 폴링으로 명령어가 수행 완료 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CPB(12)에 필요한 정보를 DPRAM(10)에 생성하기 위해 외부 메모리 영역에 MSIA와의 통신 정보인 프로토콜 정보를 생성(20)하고 MSIA(3)와 실제 통신 영역인 RCB(11) 영역과 CPB(12)를 확보한 후 RCB(11)에서 DPRAM(10)에 설정된 CPB(12)를 지시하도록 한다(12). 사용자의 요구가 있게 되면(22), 외부 메모리의 CPB(12)정보를 DPRAM(10)의 CPB(12)에 복사한 후(23), 사용자의 명령어가 읽기/쓰기 명령어 인지를 점검하여(24), 읽기/쓰기 명령어이면 CPB(12)의 데이타 포인터를 외부 메모리에 설정하고(25), 아니면 데이타 포인터를 DPRAM(10)에 구성하여(26), MSIA(3)로 시행 요구를 하게 되며(27), 사용자가 요구에 따라 RCB(11)의 명령어 시행 완료 플래그를 계속 점검하든지(28), MSIA(3)의 시행 결과를 인터럽트로 받아 종료한다(29). 시행의 결과는 명령어의 종류에 따라 DPRAM(10) 혹은 외부 메모리로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통신정보블럭(CPB)을 CPRAM(10)에 구성하고 읽기/쓰기 아닌 유지보수 명령어의 데이터 포인터를 DPRAM(10)에 설정함으로서 보조 기억 장치의 고속 접근이 가능할 뿐 아니라 유지 보수 기능 수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시스템 버스(4)(MTSB) 연결된 주처리 및 메모리 관리 보드(1)(MPMA)와, 외부 메모리 보드(2)(MECA)와, 입출력을 정합하는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3)(MSIA)와, 상기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3)에 SCSI버스(5)(SCSIB)로 연결된 장치콘트롤러로 구성되어 대용량저장장치의 입출력과의 정합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에 주처리 및 메모리 관리 보드(1)와 대용량 저장장치 정합보드간의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명령시행 요구가 들어오면 주처리 및 메모리 관리보드 내의 DPRAM(10)의 CPB(12)영역에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복사하는 제1단계에, 읽기/쓰기 명령인가를 구분하여 그 결과를 얻을 데이타 포인터를 DPRAM(10) 또는 외부메모리에 설정하는 제2단계, 대용량 저장 장치 정합보드(3)로 명령어 시행을 요구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명령어 시행 완료 플래그를 계속 점검하든지 상기 대용량 저장 장치 정합 보드로부터 시행결과를 인터럽트로 수신하여 종료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저장장치 입출력 장합 방법.
KR1019900022879A 1990-12-31 1990-12-31 대용량 저장장치 입출력 정합방법 KR930007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79A KR930007468B1 (ko) 1990-12-31 1990-12-31 대용량 저장장치 입출력 정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79A KR930007468B1 (ko) 1990-12-31 1990-12-31 대용량 저장장치 입출력 정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036A KR920014036A (ko) 1992-07-30
KR930007468B1 true KR930007468B1 (ko) 1993-08-11

Family

ID=1930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879A KR930007468B1 (ko) 1990-12-31 1990-12-31 대용량 저장장치 입출력 정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4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036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2819A (en) Inter-subsystem direct transfer system
KR850001574A (ko) 이중 연산처리 장치 구비형 데이타 처리 시스템
KR900005287A (ko) 데이타 제어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시스템
KR930007468B1 (ko) 대용량 저장장치 입출력 정합방법
EP05873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sharing between multiple controllers
US5561818A (en) Microprocessor and data processing system for data transfer using a register file
JPH02128250A (ja) 情報処理装置のアクセス制御回路
KR100575608B1 (ko) 버스 제어회로
JP2837698B2 (ja) ダイレクト・メモリ・アクセス制御装置
KR100252084B1 (ko) 멀티 프로세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라이트/리드 방법 및 데이터엑세스 장치
JPS6041766B2 (ja) マイクロプログラム制御装置
JPH03184150A (ja) 情報転送装置
JPH0675793A (ja) 仮想計算機間データ送受信処理方法
JPH06266630A (ja) トレース機能付き入出力制御装置
JPS63300346A (ja) Dma制御方式
JPS6168665A (ja) 電子計算機における入出力制御装置
JPS6227846A (ja) 入出力チヤネル
JPH0642227B2 (ja) デ−タ転送装置
JPS5920030A (ja) 入出力命令制御方式
JPH053018B2 (ko)
JPH05324541A (ja) バス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S59226933A (ja) 通信制御装置
JPS63217444A (ja) 多重ポ−トメモリ
JPS622343B2 (ko)
JPH02210565A (ja) 入出力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