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726A - 고속 동작으로 출력체의 변경을 가능케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고속 동작으로 출력체의 변경을 가능케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726A
KR930006726A KR1019920017206A KR920017206A KR930006726A KR 930006726 A KR930006726 A KR 930006726A KR 1019920017206 A KR1019920017206 A KR 1019920017206A KR 920017206 A KR920017206 A KR 920017206A KR 930006726 A KR930006726 A KR 93000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rimary
sense amplifiers
memory cel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787B1 (en
Inventor
요시노리 오까지마
요시히데 사또
신노스께 가마따
Original Assignee
세끼사와 요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끼사와 요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세끼사와 요시
Publication of KR93000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출력조합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는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메모리셀 배열 부위(10내지 13)데이타를 전이하기위한 다수의 데이타 버스(DB0 내지 DB3,/DB0내지 /DB3), 메모리셀 배열 부위(10내지 13)의 선택된 메모리셀의 데이타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 증폭기(270내지 273, 280내지 283; 390내지 393, 400내지 403)및 감지 증폭기 (270내지 273, 280내지 283, 390내지 393, 400내지 403)를 갖는다. 최소한 두개의 감지 증폭기(270내지 273, 280내지 283, 390내지 393, 400내지 403)가 데이타 버스(DB0 내지 DB3, /DB0내지/DB3)를 통해 각각의 메모리셀 배열 부위(10내지 13)에 각각 연결된다. 감지 증폭기(270 내지 273, 280내지 283, 390내지 393, 400내지 403)의 선택은 제어신호(R, Q)에 의해 동작되거나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로인해 출력조합이 변경된다. 그러므로, 데이타 전송의 지연이 제거될 수 있어 고속 동작이 실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속 동작으로 출력체의 변경을 가능케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 부분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기억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기본 부분을 나타내는 회로도.

Claims (9)

  1. 출력조합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에 있어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메모리셀을 가지는 다수의 메모리셀 배열 부위(10내지 13),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 증폭기(270내지 273, 280내지 283, 390내지 393, 400내지 403), 상기 메모리 셀 배열 부위(10내지 13)의 선택된 메모리셀의 데이타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 증폭기(270내지 273, 280내지 283, 390내지 393, 400내지 403), 그 안에 최소한 두개의 상기 감지 증폭기(270내지 273, 280내지 283, 390내지 393, 400내지 403)는 상기 데이타 버스(DB0 내지 DB3, /DB0내지 /DB3)를 통해 각각의 상기 메모리셀 배열 부위(10내지 13)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감지 증폭기(270내지 273, 280내지 283, 390내지 393, 400내지 403)에 연결된 다수의 출력 게이트(250내지 253)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증폭기(270내지 273, 280내지 283, 390내지 393, 400내지 403)는 제어신호(R, Q)에 의해 동작되거나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되어 출력조합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동작으로 출력조합의 변경을 가능케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증폭기 (270내지 273, 280내지 283)는 상기 상응하는 출력 게이트(250내지 253)에 연결된 다수의 1차 감지 증폭기(280내지 283)와 1비트 출력 조합 데이타 버스(DB5, /DB5)를 통해 상기 출력게니트(250내지 253)의 하나의 출력 게이트에 연결된 다수의 2차 감지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반도체 기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n비트 출력조합이 선택되고 동작이 되도록 상기 1차 감지증폭기(280내지 283)를 선택하므로서 상기 출력게이트(250내지 253)를 통해 촐력되며, 1비트 출력 조합이 선택되고 동작되도록 상기 2차 감지 증폭기(270내지 273)를 선택하므로서 하나의 상기 출력 게이트(25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반도체 기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4개의 출력 게이트(250내지 253)가 이용되고, 상기 n비트 출력 조합은 4비트 출력조합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상기의 반도체 기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증폭기(390내지 393, 400내지 403)는 상기 상응하는 출력 게이트(250내지 253)에 연결된 다수의 1차 감지 증폭기(400내지 403), 상기 상응하는 출력 게이트(250내지 253)를 제외한 다른 출력 게이트(251, 250, 253, 252)에 연결된 다수의 2차 감지 증폭기(390, 391, 392, 3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반도체 기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n비트 출력조합이 선택되고 동작되도록 상기 1차 감지 증폭기(400내지 403)만을 선택하므로서 상기 출력게이트(250내지 253)를 통해 출력되며, 상보 m비트 출력조합은 선택되고 동작되도록 상기 1차 및 2차 감지 증폭기(400내지 403, 390내지 393)의 부분을 선택하므로서 상기 출력 게이트(250내지 253)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반도체 기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4개의 출력 게이트(250내지 253)가 이용되며, 상기 n비트 출력조합은 4비트 출력조합이고, 상기 상보 m비트 출력조합은 상보 2비트 출력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반도체 기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배열 부위는 최소한 1차 및 2차 메모리셀 부위 (10, 11)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 버스는 최소한 상기 메모리셀 배열 부위(10, 11)에 상응하는 1차 및 2차 데이타버스(DB0, /DB0, DB1,/DB1),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게이트는 상기 메모리셀 배열 부위 (10, 11)에 상응하는 최소한 1차 및 2차 출력게이트(250, 251)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증폭기는 상기 메모리 셀 배열 부위(10, 11)에 상응하는 최소한 1차, 2차 3차 및 4차 증폭기(270, 280, 271, 281)를 포함하며 상기 1차및 2차 감지 증폭기(270, 280)는 상기 1차 데이타버스(DB0, /DB0)에 연결되고 상기 3차 및 4차 감지증폭기(271)은 상기 2차 데이타 버스 (DB1, /DB1)에 연결되며, 상기 1차 및 3차 감지증폭기(270, 271)의 출력단자(330, 340, 331, 341)는 공통으로 상기 1차 출력 게이트(250)에 연결되고, 상기2차 및 4차 감지 증폭기(280, 281)는 상기 1차 및 2차 출력 게이트(250, 251)에 연결되며, 출력데이타의 상기 출력 조합의 1차 모드는 상기 1차 감지증폭기(270)를 동작시키고 반면에 상기 2차, 3차 및 4차 감지 증폭기(280, 271, 281)를 동작시키지 않거나 상기 3차 감지 증폭기(271)를 동작시키고 반면에 상기 1차, 2차 및 4차 감지 증폭기(270, 280, 281)를 동작시키지 않으므로서 이루어질 수 있고, 출력데이타의 상기 출력조합의 2차 모드는 상기 1차 및 3차 감지 증폭기(270, 271)를 동작시키지 않고 반면에 상기 2차 및 4차 감지증폭기(280, 281)를 동작시키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셀 배열 부위는 최소한 1차 및 2차 메모리셀 배열부위(10, 11)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 버스는 상기 메모리셀 배열부위(10,11)에 상응하는 최소한 1차 2차 데이타 버스(DB0, /DB0;DB1, /DB1)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게이트는 상기 메모리셀 배열부위(10,11)에 상응하는 최소한 1차 및 2차 출력 게이트(250,251)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증폭기는 상기 메모리셀 배열부위(10,11)에 상응하는 최소한 1차, 2차, 3차, 및 4차 증폭기(390, 400, 391, 401)를 포함하며, 상기 1차 및 2차 감지 증폭기(390, 400)는 상기 1차 데이타 버스에 연결되고 상기 3차 및 4차 감지 증폭기(391,401)는 상기 2차 데이타 버스(DB1, /DB1)에 연결되며, 상기 2차 감지 증폭기(400)의 양위상 및 음위상 신호 출력단자(470, 480)는 상기 1차 출력 게이트(250)의 양위상 및 음위상 신호 입력단자(370, 380)에 연결되고, 상기 3차 감지 증폭기(391)의 양위상 및 음위상신호 출력단자(451, 461)는 상기 1차 출력게이트(250)의 움위상 및 양위상 신호 입력단자(380, 370)에 연결되며, 상기 4차 감지 증폭기(401)의 양위상 및 음위상 신호 출력단자(471, 481)는 상기 2차 게이트(251)의 양위상 및 음위상 신호 입력단자(371, 381)에 연결되고, 상기 1차 감지 증폭기(390)의 양위상 및 음위상 신호 출력단자(450, 460)는 상기 2차 출력 게이트(251)의 음위상 및 양위상신호 입력단자(381, 371)에 연결되며, 출력 데이타의 상기 출력 데이타 1차 모드는 상기 1차 및 2차 감지 증폭기(390, 400)를 동작시키고 반면에 상기 3차 및 4차 증폭기(391, 401)를 동작시키지 않으므로서 또는 상기 1차 및 2차 감지 증폭기(390, 400)를 동작시키므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데이타의 상기 조합2차 모드는 상기 1차 및 3차 감지 증폭기(390, 391)를 동작시키지 않고 반면에 상기 2차 및 4차 감지증폭기(400, 401)를 동작시키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반도체 기억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92017206A 1991-09-20 1992-09-21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output organization KR9600017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41043 1991-09-20
JP3241043A JP2743653B2 (ja) 1991-09-20 1991-09-20 半導体記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726A true KR930006726A (ko) 1993-04-21
KR960001787B1 KR960001787B1 (en) 1996-02-05

Family

ID=1706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7206A KR960001787B1 (en) 1991-09-20 1992-09-21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output organization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80456A (ko)
EP (1) EP0533578B1 (ko)
JP (1) JP2743653B2 (ko)
KR (1) KR960001787B1 (ko)
DE (1) DE6922495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3778A (ja) * 1995-09-01 1997-03-18 Texas Instr Japan Ltd アドレスアクセスパスのコントロール回路
US5715197A (en) 1996-07-29 1998-02-03 Xilinx, Inc. Multiport RAM with programmable data port configuration
KR100388225B1 (ko) * 1996-11-12 2003-10-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센서앰프 출력 조정회로
JP4112729B2 (ja) 1999-02-16 2008-07-0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KR100490657B1 (ko) * 2000-12-30 2005-05-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 출력능력의 가변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0179A (en) * 1979-05-04 1980-11-21 Fujitsu Ltd Semiconductor memory unit
JPS61992A (ja) * 1984-06-14 1986-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メモリ
JPS629586A (ja) * 1985-07-08 1987-01-17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装置
JPH087998B2 (ja) * 1985-11-21 1996-01-29 ソニー株式会社 メモリ−回路
JPH0697560B2 (ja) * 1987-11-19 1994-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H02168496A (ja) * 1988-09-14 1990-06-28 Kawasaki Steel Corp 半導体メモリ回路
EP0608967A3 (en) * 1989-02-18 1994-08-24 Sony Corporation Memory devices
DE69020384T2 (de) * 1989-02-27 1996-03-21 Nec Corp Integrierte Halbleiterspeicherschaltung mit Möglichkeit zum Maskieren des Schreibens im Speicher.
JPH02282990A (ja) * 1989-04-25 1990-11-20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JP2603145B2 (ja) * 1990-03-09 1997-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33578B1 (en) 1998-04-01
JP2743653B2 (ja) 1998-04-22
JPH0581865A (ja) 1993-04-02
EP0533578A3 (ko) 1995-04-12
DE69224951D1 (de) 1998-05-07
DE69224951T2 (de) 1998-07-30
KR960001787B1 (en) 1996-02-05
EP0533578A2 (en) 1993-03-24
US5280456A (en) 199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134B1 (ko) 메모리장치 및 직.병렬 데이터 변환회로
KR920020495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70051296A (ko) 다수의 뱅크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30001226A (ko) 고속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센스 앰프
KR880013168A (ko) 반도체 기억장치
JPH0310195B2 (ko)
US5901110A (en) Synchronous memory with dual sensing output path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latch circuit
US5307323A (en) Dual-port memory
KR930006726A (ko) 고속 동작으로 출력체의 변경을 가능케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KR930006722A (ko) 반도체 기억장치 및 그 출력제어 방법
JPH0158591B2 (ko)
KR920010621A (ko) 데이타 레지스터 및 포인터와 감지 증폭기 유닛을 공유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00019036A (ko) 반도체기억장치
KR100304084B1 (ko) 멀티뱅크 구성의 반도체 메모리장치
KR91001905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60003591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US5777938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multi-bit data using a reduced number of sense amplifiers
KR20040110784A (ko)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KR880011656A (ko) 레지스터 회로
JPH0447920B2 (ko)
EP0170912A2 (en) Integrated circuit having a common input terminal
JPH06231576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285031B1 (ko) 공급전압차에 의해 데이타를 증폭 및 유지하기 위한 회로배열
KR970012692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반도체 데이터 처리장치
US6028796A (en) Read-out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