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784A -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 Google Patents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784A
KR20040110784A KR1020030040242A KR20030040242A KR20040110784A KR 20040110784 A KR20040110784 A KR 20040110784A KR 1020030040242 A KR1020030040242 A KR 1020030040242A KR 20030040242 A KR20030040242 A KR 20030040242A KR 20040110784 A KR20040110784 A KR 20040110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signal
precharge signal
amplifier
sense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560B1 (ko
Inventor
이창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4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560B1/ko
Priority to US10/670,579 priority patent/US7009899B2/en
Publication of KR2004011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트라인에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감소시킨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를 구비하는 메모리 장치에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는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제 1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복수개의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와 복수개의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는 교대로 위치하며, 각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는 인접하여 있는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 각각에 제 2 신호를 인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를 사용하는 경우, 1) 짧은 시간내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2) 불필요한 신호 라인을 줄일 수 있으며, 3) 따라서 전체 레이 아웃 면적을 감소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Bit line precharge signal generator for a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트라인에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감소시킨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RAM, SDRAM, DDR DRAM 등과 같은 메모리 장치는 리딩 동작시에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타를 비트라인으로 전달하고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에서 그 데이타를 감지 증폭한 다음, 데이타 라인을 통하여 전달한 후, 비트라인을 프리차지시켜 다음 동작을 준비한다.
마찬가지로, 메모리 장치는 라이트 동작시에 데이타 버스를 통하여 데이타를 비트라인에 전달된 후,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에서 증폭한 다음 그 데이타를 메모리 셀에 저장한 후, 비트라인을 프리차지시켜 다음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여기서,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기 위한 신호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로부터 발생된다.
도 1a 는 종래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140)로부터 발생한 프리차지 신호(blp, bleqd, blequ)가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100, 110, 120, 130)에 인가되는 경로를 블록도로 간단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140)로부터 출력된 신호(blp, bleqd, blequ)는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100, 110, 120, 130)에 인가된다. 참고로, 각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는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신호 blp 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를 나타내고, 신호 bleqd 는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다운 신호(bitline equalize down signal)를 나타내고, 신호 blequ 는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업 신호(bitline equalize down signal)를 나타낸다. 참고로,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의 양쪽으로는 메모리 셀 어레이가 위치하며, 신호 blequ 와 신호 bleqd 는 각각 상부와 하부의셀 어레이에 위치한 비트라인을 제어하는 신호이다(도 1c 참조).
도 1b 는 도 1a 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140)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b 에서, 입력신호(bsx_u)는 출력신호(blequ)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나타내고, 입력신호(bsx_d)는 출력신호(bleqd)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나타낸다.
도 1c 는 일반적인 비트 라인 감지 증폭기(도 1a 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에 포함되어 있음)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는 증폭부와, 증폭부 위쪽에 배치된 제 1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N1)와, 증폭부 위쪽에 배치된 제 1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N11, N12)와, 증폭부 아래쪽에 위치한 제 2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N21, N22)와, 증폭부 아래쪽에 위치한 제 2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N2)와, 증폭부와 제 2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N21, N22)사이에 배치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트랜지스터(N3, N4)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N1)는 신호 blequ 에 의하여 구동되며, 제 2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N2)는 신호 bleqd 에 의하여 구동되며, 비트라인 프리차지 트랜지스터(N3, N4)는 신호 blp 에 의하여 구동된다.
도 1c 에서, 제어신호(C1, C2)는 비트라인(BL, /BL)과 증폭부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예컨대, 리드 동작시, 비트라인에 실린 데이타는 감지 증폭기에 전달되어 증폭되며, 라이트 동작시, 증폭부로 전달된 데이터는 비트라인으로 전달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같이, 신호 blequ 와 신호 bleqd 는 각각 상부와 하부의셀 어레이에 위치한 비트라인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하이 레벨의 신호(blp)가 인가되는 경우, 증폭부가 위치하는 비트라인의 전압은 제어 전압(vblp)에 의하여 이퀄라이즈된다.
도 1c 에 도시된 감지 증폭기의 기능은 메모리 장치를 연구하는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이 개시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도 1a, 1b 에 도시된 종래의 비트라인 발생기와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는 동작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된 복수개의 비트라인 신호(blp, bleqd, blequ)를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에 전달하므로, 신호 라인의 길이가 길어지고 그 때문에 라인 저항이 커지며, 또한 레이아웃에 어려움이 있다.
(2) 주지된 바와같이,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된 비트라인 신호(blp, bleqd, blequ)는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내에 있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예를들어, 도 1c 에서, 신호 blp 를 수신하는 트랜지스터(N3, N4), 신호 bleqd 을 수신하는 트랜지스터(N2), 신호 blequ 을 수신하는 트랜지스터(N1))에 인가되어 한 쌍의 비트라인을 스위칭 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위칭 역할을 하는 트랜지스터는 한 쌍의 비트라인사이에 위치한다. 즉, 비트라인 신호(blp, bleqd, blequ)들 각각은 그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인가되며, 각 신호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를 턴온/오프시키며,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는 경우 한 쌍의 비트라인은 일정 전압으로 이퀄라이징된다. 도 1a 에 있어서, 하나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는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로 이루어지며, 비트라인 신호들은 그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N1, N2, N3, N4)에 인가된다. 그런데, 비트라인 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커패시터 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트라인의 신호 라인의 저항 성분과 비트라인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에 존재하는 커패시터 성분에 의하여 RC 시간 지연이 초래된다.
특히, 도 1 의 경우, 복수개의 감지 증폭기 어레이가 병렬로 각각의 비트라인 신호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커패시터 성분이 증대되어 RC 시간 지연이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경우, (1) 신호라인이 길어 저항이 커진다는 문제점과, (2)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가 신호 라인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커패시터 성분이 커지고, 그에 따라 비트라인 신호 인가시에 시간 지연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1) 비트라인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라인의 길이를 단축시켜 신호 라인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2) RC 시간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비트라인 신호 발생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 라인 및 신호의 개수를 줄이기 위하여, 복수개의 비트라인 신호(blp, bleqd, blequ)를 하나의 비트라인 신호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비트라인 신호 발생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a 는 종래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프리차지 신호가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에 인가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1b 는 도 1a 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도 1c 는 일반적인 비트 라인 감지 증폭기의 일예.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의 실시예.
도 2b 는 제어신호 발생부의 일예.
도 3 은 도 2a 에 도시된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 각각은 복수개의 비트 라인 감지 증폭기로 이루어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의 일예.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를 구비하는 메모리 장치에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는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제 1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복수개의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와 복수개의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는 교대로 위치하며, 각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는 인접하여 있는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 각각에 제 2 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각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는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를 포함하며, 제 2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각각에 인가된다.
여기서, 제 2 신호는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에 필요한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각각은 증폭부와, 증폭부 위쪽에 배치된 제 1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N1)와, 증폭부 위쪽에 배치된 제 1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N11, N12)와, 증폭부 아래쪽에 위치한 제 2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N21, N22)와, 증폭부 아래쪽에 위치한 제 2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N2)와, 증폭부와 제 2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사이에 배치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트랜지스터(N3, N4)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트랜지스터는 하나의 신호(blp)에 의하여 구동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인에이블 신호(blp_en)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330)와, 제어신호 발생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blp_en)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되는 복수개의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320, 322, 324, 326)를 구비한다.
먼저, 제어신호 발생부(330)의 구성의 일예는 도 2b 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신호(bsx_u, bsx_d)가 모두 하이 레벨인 경우, 제어신호 발생부(330)은 로우 레벨의 신호(blp_en)를 출력한다.
다음,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320, 322, 324, 326) 각각은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310, 312, 314, 316)사이에 교대로 위치한다. 즉,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드라이버(320)의 우측에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310)가 인접하여 위치하고,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310)의 우측에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드라이버(322)가 인접하여 위치하며,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드라이버(322)의 우측에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312)가 인접하여 위치하는 방식으로 나머지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드라이버와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도 동일한 방식으로 교대로 위치한다.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320, 322, 324, 326) 각각은 인접한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310, 312, 314, 316)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를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복수개의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320, 322, 324, 326)는 제어신호 발생부(330)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제어신호 발생부(33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blp_en)에 의하여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320, 322, 324, 326)가 인에이블되면,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320, 322, 324, 326) 각각은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310, 312, 314, 316)로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를 인가한다.
도 3 은 도 2a 에 도시된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 각각은 복수개의 비트 라인 감지 증폭기로 이루어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도 2a 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312)는 인접한 2 개의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322, 324)로부터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 신호를 수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a 에 도시된 종래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는 3 개의 신호(blp, bleqd, blequ)를 발생하여 각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에 인가하고 있다. 그러나, 도 2a 와 도 4 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드라이버는 하나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를 출력하며, 이 신호(blp)는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에 필요한 3 개의 신호(blp, bleqd, blequ)에 공통적으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3 개의 신호(blp, bleqd, blequ)는 동시에 하이 레벨 또는 동시에 로우 레벨 상태를 가지며, 이는 종래의 기술과 상이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의 구성은 도 1c 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지만, 그에 인가되는 신호는 상이하다. 본 발명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는 증폭부와, 증폭부 위쪽에 배치된 제 1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N1)와, 증폭부 위쪽에 배치된 제 1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N11, N12)와, 증폭부 아래쪽에 위치한 제 2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N21, N22)와, 증폭부 아래쪽에 위치한 제 2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N2)와, 증폭부와 제 2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사이에 배치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트랜지스터(N3, N4)를 구비하지만,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트랜지스터는 하나의 신호(blp)에 의하여 구동된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프리차지 동작시(도 1c 참조)에는 신호 blp, blequ, bleqd, C1, C2 가 모두 하이 레벨을 유지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상부 비트라인(BL, /BL)을 증폭하는 액티브 동작시, 신호 blequ 신호는 로우 레벨, 신호 bleqd 신호는 하이 레벨, 신호 blp 는 로우 레벨, 신호 C1 은 하이 레벨, 신호 C2 는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여기서, 상부 비트라인의 증폭시에도 신호 bleqd 가 하이 레벨로 동작하는 이유는 신호 C2 가 로우 레벨이기 때문에 하부 비트라인(BL, /BL)는 상부 비트라인 및 증폭부와 절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호 bleqd 신호의 상태가 하이 레벨이든 로우 레벨이든 감지 증폭기의 동작에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종래 기술의 경우, 상부 비트라인의 증폭동작시, 신호 bleqd 를 하이 레벨로 두었던 이유는 프리차지 동작시에 하이 레벨이었던 신호 bleqd 를 굳이 로우 레벨로 변화시킬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도 1a 에서와같이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와 관련된 신호는 3 개(blp, blequ, bleqd)이었다. 따라서, 만일 본 발명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드라이버가 상기 3 개의신호를 모두 사용한다면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드라이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개수는 6 개가 된다. 일반적으로,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영역에 인가되는 신호 라인의 수는 메모리 장치의 수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드라이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개수가 증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에서 개별적으로 동작하던 3 개의 신호(blp, blequ, bleqd)를 하나의 신호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하였다.
도 4 는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는 PMOS 트랜지스터(P1)와 NMOS 트랜지스터(N1)로 이루어지는 CMOS 인버터 형태이며, 하이 레벨의 제어신호(bip_en)가 인가되는 경우 로우 레벨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가 출력되고, 로우 레벨의 제어신호(bip_en)가 인가되는 경우 하이 레벨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가 출력된다.
도 2a 내지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간 지연은 비트라인 인에이블 신호(blp_en)가 전달되는 라인의 저항과 도 4 에 도시된 복수개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드라이버의 입력단에 형성되는 게이트 용량과의 곱과, 각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드라이버의 출력 신호 라인의 저항과 그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의 용량과의 곱을 합하면, 그 결과는 전체 RC 시간 지연을 나타내며, 이는 도 1a 에 도시된 종래의 전체 지연 시간보다 작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를 사용하는 경우, 1) 짧은 시간내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2) 불필요한 신호 라인을 줄일 수 있으며, 3) 따라서 전체 레이 아웃 면적을 감소 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를 구비하는 메모리 장치에 사용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에 있어서,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복수개의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를 구비하며,
    상기 각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는 인접하여 있는 상기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 각각에 제 2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와 상기 복수개의 비트라인 프라차지 신호 드라이버는 교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어레이는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각각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에 필요한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각각은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 위쪽에 배치된 제 1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와,
    상기 증폭부 위쪽에 배치된 제 1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와,
    상기 증폭부 아래쪽에 위치한 제 2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와,
    상기 증폭부 아래쪽에 위치한 제 2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와,
    상기 증폭부와 상기 제 2 비트라인 격리 트랜지스터사이에 배치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이퀄라이징 트랜지스터와 상기 비트라인 프리차지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KR1020030040242A 2003-06-20 2003-06-20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KR100548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242A KR100548560B1 (ko) 2003-06-20 2003-06-20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US10/670,579 US7009899B2 (en) 2003-06-20 2003-09-25 Bit line precharge signal generator f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242A KR100548560B1 (ko) 2003-06-20 2003-06-20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784A true KR20040110784A (ko) 2004-12-31
KR100548560B1 KR100548560B1 (ko) 2006-02-02

Family

ID=3351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242A KR100548560B1 (ko) 2003-06-20 2003-06-20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09899B2 (ko)
KR (1) KR100548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871B1 (ko) * 2005-07-15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결된 비트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쉬프팅 방법
KR100838379B1 (ko) 2006-09-29 2008-06-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522461B2 (en) * 2006-11-06 2009-04-21 Infineon Technologies Flash Gmbh & Co. Kg Memory device architecture and method for improved bitline pre-charge and wordline timing
US20080123448A1 (en) * 2006-11-07 2008-05-29 Marco Goetz Memory device architecture and method for high-speed bitline pre-charging
KR100853486B1 (ko) * 2007-04-06 2008-08-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트라인 쌍의 프리차지 제어를 위한 반도체메모리소자
US7800959B2 (en) * 2008-09-19 2010-09-2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mory having self-timed bit line boost circuit and method therefor
KR20100042072A (ko) * 2008-10-15 2010-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174918B2 (en) * 2010-09-23 2012-05-08 Apple Inc. Passgate for dynamic circuitr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6640A (en) * 1976-03-05 1977-09-07 Hitachi Ltd Memory peripheral circuit
JP2739802B2 (ja) * 1992-12-01 1998-04-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ダイナミックram装置
JP3100849B2 (ja) * 1994-11-11 2000-10-2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US5594691A (en) * 1995-02-15 1997-01-14 Intel Corporation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sensing interface for flash memory having multi-bit cells
JPH0955088A (ja) * 1995-08-11 1997-02-25 Nec Corp 半導体メモリ
KR0172382B1 (ko) * 1995-12-21 1999-03-30 김광호 메모리셀 어레이 블럭의 재배치가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10106264A (ja) * 1996-09-26 1998-04-24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5745422A (en) * 1996-11-12 1998-04-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oss-coupled bitline segments for generalized data propagation
KR100565941B1 (ko) * 1997-06-16 2006-03-3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반도체집적회로장치
AU1075599A (en) * 1997-10-10 1999-05-03 Rambus Incorporated Dram core refresh with reduced spike current
JPH11144454A (ja) * 1997-11-10 1999-05-28 Texas Instr Japan Ltd 半導体記憶装置
JP2000195268A (ja) * 1998-10-19 2000-07-14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6061285A (en) * 1999-11-10 2000-05-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executing earlier command operation in test mode
JP3948183B2 (ja) * 2000-02-24 2007-07-25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4492897B2 (ja) * 2000-06-15 2010-06-3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0403348B1 (ko) * 2001-10-08 2003-11-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계층적 구조를 갖는 비트라인 선택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57895A1 (en) 2004-12-23
US7009899B2 (en) 2006-03-07
KR100548560B1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5394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input/output line pairs and precharge circuits and related memory devices
JPH04370596A (ja) 高速センシング動作を実行するセンスアンプ
KR20170143125A (ko) 기준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20000016862A (ko) 분리제어라인의큰부하에의한스피드손실을방지할수있는반도체메모리장치
KR100546188B1 (ko) 감지증폭수단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감지증폭수단을 오버드라이브 하는 방법
KR950009718A (ko) 고속 감지 증폭기
KR100548560B1 (ko) 메모리 장치용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 발생기
JP4397166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01005901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구조
KR100322541B1 (ko) 입출력 라인쌍 등화회로 및 이를 구비한 메모리 장치
KR20060046850A (ko) 뱅크 선택신호 제어회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뱅크 선택신호 제어방법
US20070070756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aring sense amplifier
KR19990041459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셀 어레이 제어장치
KR100668512B1 (ko) 공유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구조를 가진 반도체 메모리 소자및 그 구동방법
US20090219768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hared bit line sense amplifier sche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203142B1 (ko) 디램
KR0145859B1 (ko) 승압전압이 사용되는 컬럼선택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US6108258A (en) Sense amplifier for high-speed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
KR100336783B1 (ko)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라인 제어 장치
US6529419B2 (en) Apparatus for varying data input/output path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38672B1 (ko) 센스앰프의 센싱 속도 향상을 위한 반도체 장치
KR20160001097A (ko) 반도체 장치
KR20010048139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 라인 센스 증폭기 제어방법
KR20010094720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486239B1 (ko) 등화 속도가 향상된 반도체 메모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