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799B1 -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799B1
KR930005799B1 KR1019900009327A KR900009327A KR930005799B1 KR 930005799 B1 KR930005799 B1 KR 930005799B1 KR 1019900009327 A KR1019900009327 A KR 1019900009327A KR 900009327 A KR900009327 A KR 900009327A KR 930005799 B1 KR930005799 B1 KR 930005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mputer
state
microprocesso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515A (ko
Inventor
노부유키 난노
카즈누 아가시
히로미 세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622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7911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622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74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6223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74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62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7416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0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2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being of the push-push ki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가진 공급전원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 및 제4a,b도는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전원스위치를 온ㆍ오프할 때 전원을 제어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제5a도는 본 발명이 사용되는 컴퓨터시스템의 사시평면도.
제5b도는 컴퓨터시스템의 푸시버튼 전원스위치에 대한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LED의 레이아웃(layout)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컴퓨터시스템 11 : CPU
12 : 리드온리메모리(ROM) 13 : 리드액세스메모리
14 : 직접메모리 액세스 제어기 15 : 프로그래머블인터럽트제어기
16 : 프로그래머블인터벌타이머 18 : 확장RAM
21 : 프린터제어기 23 : 키보드제어기
24 : 표시제어기 33 : 외부FDD
34 : 프린터 35 : RS-232C인터페이스유닛
36 : 키보드 38 : CRT표시부
40 : 확정접속장치 301 : 공급전원제어회로
본 발명은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로 동작되는 휴대형 컴퓨터와 공급전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형 컴퓨터의 공급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최근의 컴퓨터들은 운반에 편리하게 발달되고 있다. 이들 형태의 컴퓨터들은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두가지 주요한 방법을 사용하는데, 그중 한가지 방법은 교류(AC)어댑터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이고, 나머지 한가지 방법은 내부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이다. 전술한 2가지의 전원공급방법을 사용하는 컴퓨터에 있어서는 항시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함)가 외부공급전원의 상태 및 내부배터리의 충전레벨을 검증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는 컴퓨터에 있어서는 CPU가 외부공급전원 및 내부 배터리들의 전압을 제어해야 함으로 CPU에 무리한 부담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CPU를 이용하여 공급전원을 제어하는 종래의 방법 및 시스템은 효과적이지 못하며, 또한 공지된 시스템은 전원 오프여부에 대한 전압 또는 공급전원상태를 조작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임의의 수단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AC어댑터로부터 내부배터리로 일정하게 흐르는 전류 및 변경가능한 공급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휴대형컴퓨터의 공급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전원오프여부에 대한 휴대형컴퓨터의 공급전원의 상태를 컴퓨터 조작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목적은 변경가능한 배터리 또는 교류어댑터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따라 동작이 가능하며, 중앙처리장치(CPU)를 가진 컴퓨터용 공급전원제어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이 공급전원제어시스템은 AC어댑터로부터 변경가능한 배터리로 공급된 공급전원을 제어하는 위해 어댑터와 배터리사이에 결합된 충전회로수단과, CPU와 독립적으로 상기 충전회로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결합되며, 상기 어댑터, 배터리 또는 충전회로수단의 복수의 조건에 대응하여 상태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검출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상태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해서 상기 충전회로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면에 따르면 컴퓨터시스템에서의 전류 및 전압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공급전원제어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 공급전원제어시스템은 AC어댑터 및 적어도 하나의 변경가능한 배터리로부터의 전압과 적어도 하나의 전류검출기로부터 흐르는 전류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검출된 전압 및 전류를 기준전압 및 전류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과, 복수의 표시소자에 결합되며 상기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즉시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검출된 전압이 기준전압이하일 때, 즉 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전압상태일 때 표시소자가 낮은 배터리상태를 나타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이외의 목적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특정실시예들 단지 예시할 목적에 지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자에 의해서 본 발명의 영역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수정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전원제어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가진 공급전원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블록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시스템(1)은 다음과 같이 다수의 컴퓨터구성 부품을 포함한다.
CPU(11)는 프로그램된 리드온리메모리(ROM)내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시스템을 동작시킨다. ROM(12)은 내부에 기본 입력 또는 출력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랜덤 액세스메모리(RAM,13)는 조작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직접 메모리액세스제어기(DMAC,14)는 입/출력장치, 예컨대 CPU(11)로 부터 이격된 HDD 및 FDD등과 RAM사이에 직접 몇몇 데이터를 제어 및 송출한다. 프로그램머블 인터럽터제어기(PIC,15), 프로그래머블 인터벌타이머(PIC,16) 및 전원으로부터 제공된 백업전압(이후 VBK+5VPC라함)을 가진 타이머 모듈공급부를 구비한 실제타이머클록(RTC,17)이 얻어진다. 특정한 카드슬롯을 이용한 확장 RAM(18)은 VBK(도시생략)를 제공하며, 내부에 표시데이터를 갖는 백업 RAM(19)은 현 진행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을 포함한다. 다수의 레지스터 및 메모리와 I/O 상태에 따라 전원이 투입될 경우 일시중단된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팩(20)은 0.25인치 하드디스크구동기(HDD,20A) 및 하드디스크제어기(HDC)를 포함하는 특정한 카드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플로피 디스크제어기(FDC,20F)는 여기에 접속된 플로피디스크 구동기(FDD,32)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프린터 제어기(PRT-CONT,21)는 케이블에 의해 접속된 프린터(34)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인 비동기수신기/송신시(UART,22)는 VPH(+12VDC) 및 VMH(+8VDC)를 제공하는 직렬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키보드제어기(KBC,23)는 여기에 접속된 키보드(36)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제어기(DISP-CONT,24)는 LCD장치상에서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비데오랜덤 액세스메모리(VRAM,25)는 VBK를 제공하는 CRT(38) 또는 LCD(37)상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리프레시메모리이다. 간지(Kanji) ROM(26)은 간지특성 코드에 의해 액세스되며 간지 특성패턴을 저장한다. 공급전원회로(PF-IF)의 인터페이스제어부(28)는 제2도에 도시한 시스템버스(10)를 통해 CPU(11)에 접속된다. AC어댑터(290)는 AC전압(+120V)을 DC전압(+12VDC)으로 변환하며 DC-인(iN)12V팩을 통해 휴대형 컴퓨터에 접속된다. 서브배터리(S-BATT)뿐만아니라 메인배터리(M-BATT,31A)는 DC+7[V]를 +8V를 제공하는 변경가능한 배터리(즉, 니켈-카드늄배터리)를 포함하며 제거가능한 팩에 집중된다. 외부플로피디스크 구동부(33)는 케이블에 의해 FDC(20F)에 접속 될 수 있다. RS-232C인터페이스는 케이블에 의해 입ㆍ출력인터페이스(22)에 접속될 수 있다. LCD(37)는 VLD(-22DVC)를 제공하는 DIDP-CONT(34)에 접속될 수 있으며, 또 확장 코넥터(40)는 케이블에 의해 확장장치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그들로부터 여러가지 선택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전원제어회로(30)는 도시바사에서 시판하는 모듈 TMP47C440AT인 4비트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306)를 갖는다.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PC-마이크로프로세서 306)에는 항상 M-배터리(도시생략)의 공급전원이 제공된다. 전술한 컴퓨터시스템과 같은 PC-마이크로프로세서(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는 또한 CPU,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RAM 및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을 포함한다. 추가로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는 충전장치(311)로부터 M-BATT(31A) 및 DC-DC변환기(315)로 흐르는 전류상태에 따라 컴퓨터부품의 각각에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M-BATT(31A) 및 DC-DC변환기(315)는 전류 검출기(312,314)에 의해 검출되며, 스위치 온ㆍ오프상태는 전원스위치(301)에 의해 변경된다. 레세트스위치(302), 디스플레이스위치(303) 및 모드스위치(304)가 제공된다. 병렬 I/O(PIO) 인터페이스(305)는 전원스위치(301)에 접속되며 컴퓨터부품을 초기화하기 위한 리세트 스위치(302)를 포함한다. 또한, 공급전원을 LCD(37)에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303) 및 확장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모드를 세팅하기 위한 모드스위치(304)가 제공한다. 병렬 I/O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스위치들의 온ㆍ오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5)는 내부버스(307) 또는 DC-DC변환기(315)를 통하여 직접 전술한 상태를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송출한다.
백-라이트 제어기(308)가 가변레지스터세트에 따라 LCD(37)로 공급되도록 공급전원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의 방사강도가 변경되어 질 수 있다. LED구동기(309)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1)의 작동속도 및 전원스위치(301)의 온ㆍ오프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LED(1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원의 용량을 나타내기 위한 LED(12) 또는 AC어댑터(29)가 프리세트 상태인가를 나타내기 위한 LED(13)이 제공된다. LED표시부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녹색 또는 적황색의 3가지 다른색을 나타낼 수 있다. LED(L1)에 녹색빛이 점등되는 경우 CPU(11)가 고속클럭 10㎒으로 작동된다. LED(L1)에 적색빛이 LED(L2)에 점등되는 경우 CPU(11)저속클록 8㎒로 작동된다. 적황색빛이 LED(12)에 점등되는 경우 배터리(31A,31B)가 급속히 충전된다. LED(L2)에 적색빛이 깜빡거리는 경우 M배터리(31A)의 전압이 낮음을 알 수 있다. LED(L2)에 녹색빛이 점등되는 경우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LED(L3)에 적색빛이 점등되는 경우 AC어댑터(29)가 사용중이거나 충전중임을 알 수 있다. 적색빛이 깜빡거리는 경우 AC어댑터(20)의 입력전압이 비정상적인거나, 또는 전원투입시간의 출력전압 또는 공급전압의 자체태스트가 비정상적임을 알 수 있다. 디지탈 대 아날로그(D/A)변환기(310)는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의 출력을 아날로그신호, 즉 제어신호로 변환시켜, 그 변환원신호를 충전장치(311)로 송출한다. 충전장치(311)는 256비트 DC-DC변환기를 포함하며 D/A변환기(310)으로부터 송출된 충전-제어신호에 따라 M배터리(31A)를 충전할 수 있다. 전류검출기(312)는 M베터리 및 DC-DC변환기(315)로 흐르는 전체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전류검출기(314)는 DC-DC변환기(315)로 흐르는 직류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DC-DC변환기(315)는 AC어댑터(29) M배터리(31A)로부터 공급되는 DC전압(+2DVC)을 컴퓨터시스템(1)에 공급되는 +5V, +12V, -9V, -15V, +5V 및 +12V의 공급전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아날로그대 디지탈변환기(316)는 전류검출기의 전류값인 아날로그 압력전압, M배터리(31A)의 출력전압 및 개개의 전원의 공급전압을 디지탈 전압으로 변환시켜 그 변환된 값을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송출한다. A/D변환기(316)는 8채널 아날로그 입력단자를 가지므로 균등히 입력 아날로그전압을 255색션으로 분할 할 수 있다. 직렬 I/O인터페이스(SIO,317)는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와 메인 CPU(11)사이에 송출된 명령과 교류할 수 있다. 충전장치(318)는 DC-DC변환기(315)뿐만 아니라 S-배터리(318), DC-DC변환기(319)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장치(318)의 전압으로 그리고 RAM(13), 확장 RAM(18), 백업 RAM(19) 및 VRAM(25)에 공급되도록 변환시킬 수 있다. 제3도 및 제4도 각각은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순서의 프로우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제5도는 휴대형 컴퓨터(1)의 표시커버가 클리어될 때를 나타내는 컴퓨터시스템의 사시평면도이다. 제5b도는 문자 A로 도시한 전원스위치(301a)의 확대사시도이다.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스위치(301a)의 연부를 따라 이후에 보호벽(Protectwell)으로 지칭될 벽이 형성된다. 이 보호벽은 푸시버튼스위치(301a)를 포함한다. 이 보호벽은 컴퓨터시스템(1)을 들고다니는 동안 부주의하게 조작자가 푸시버튼스위치(301a)를 누르는 것은 방지한다. 또한 조작자가 임의 시간에 푸시버튼스위치(301a)를 의식적으로 루르는 것도 가능하다. L1, L2 및 L3의 LED표시부는 각각 후반상부면(IC) 및 평편한 연부면에서 장방형으로 컴퓨터본체의 코너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쉽게 LED의 표시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LED의 표시상태는 디스플레이커버(401)가 개방 또는 폐쇄에 관계없이 전술한 성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제3도 및 제4도의 플로우차트는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가 공급전원을 제어하는 처리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공급제어회로(30)에서의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는 항시 전원스위치(301)의 온/오프상태를 검출한다. 따라서,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는 전원스위치(301)가 오프된 경우 제3도의 전원 오프루틴을 실행한다. 전원스위치(301)가 온된 경우, 전원스위치(301)의 온상태가 PIO인터페이스(305)에 유지되어 상태신호가 PIO인터페이스(305)를 통해 PC-마이크로프로세서(301)로 송출한다. 이때 PC-마이크로프로세서(301)은 전원이 단계(A13)에서 온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단계(A14,A15)에서, 전원스위치상태가 온되었다는 사실을 PC-마이크로프로세서(301)가 확인하는 경우, 이하 CTR로 지칭될 카운터(도시생략)가, 조작자에 의해 전원스위치(306)를 누르는 시간을 검출한 후 +1값을 합산하며, 제3도에서 단계(A1) 내지 A15에서의 처리는 차운터값이 특정값을 얻을때까지 반복된다.
따라서, 단계(A1)에서는 M배터리가 소정의 레벨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M배터리의 전압값은 단계(A1)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 A/D변환기(316)를 통하여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 전송된다. 이때 PC-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L2)에 적색빛이 깜빡거리는 신호를 송출한다. LED구동기(309)는 PIO(305)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것을 전송하고 단계(A1)으로 복귀한다.
단계(A1)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에는 AC어댑터(29)가 사용중인지를 판정한다 단계(A3). 따라서, A/D변환기(316)을 통해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 전송된 전압값은 0.4VDC 및 10VDC 사이일 수 있다. PC-마이크로프로세서(310)가 AC어댑터(29)가 사용중임을 판정하는 경우 단계(A12)로 점프한다.
단계(A3)에서 어댑터(28)가 제공되었음을 판정하는 경우 AC어댑터(29)로부터 공급된 전압값이 11VDC와 16VDC중 임의의 값인지가 판정된다. 판정값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단계(A4)로 점프한다. 판정값이 소정범위내에 있는 경우 단계(A5)로 진행한다. 단계(A5)에서는,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가 P10(305)를 통하여 LED구동기(309)로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이것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L3)에 적색빛이 온되었음을 의미한다. 단계(A6)에서는, 충전장치(311)에 의해 M배터리(31A)에 공급된 충전전류의 값이 소정값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충전값이 소정값이상인 경우, 점 C에서 전류검출기(312)에 의해 검출된 변경가능한 전류는 A/D변환기(316)을 통하여 PC-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송된다. 단계(A6)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A7)에서의 LED(L2)의 적황색빛은 검출된 충전전류가 소정값으로 유지될때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 P10(305)를 통해 LED구동기(309)로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또 단계(A7)에서의 LED(L2)의 녹색빛은 M배터리(31A)의 충전용량이 적당할때 구동된다. 2색으로 구성된 LED들을 구동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상태가 완전히 종료되어 표시커버가 폐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단계(A6)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장치(311)의 전압값이 5VDC와 10.5VDC 사이에 존재하는지가 판정된다. 단계(A8)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단계(A2)로 복귀된다. 단계(A8)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에는 충전장치(311)의 전류값이 소정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느 단계(A9)로 진행한다. 단계(A9)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충전장치(311)가 단계상승을 수행하는 단계(A11)로 진행한다.
이것은 충전장치(311)로부터 출력된 3.0VDC 및 11.0VDC 사이의 전압값이 D/A변환기(310)를 통한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256으로 분할되어 M배터리(31A)를 충전하는 값에 추가됨을 의미한다. 한편, 단계(A9)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 충전장치(311)는 한단계 아래의 것을 수행한다. 이것은 M배터리(31A)를 충전하는 전압값이 D/A변환기(310)를 통해서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한단계 아래로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단계(10) 또는 단계(A11)의 처리후, 진행과정은 스위치(303)의 온/오프상태를 나타내는 스위치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커버(401)가 폐쇄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A12)로 진행한다. 이것은 P10인터페이스(305)를 통하여 전송된다.
다음은 스위치(303)의 온.오프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스위치(303)를 P10(305)에 접속하는 라인은 하이레벨"1"로 세트되는데, 이때 디스플레이 커버(401)가 폐쇄하는 경우 스위치(303)이 턴온되고, 라인이 접지되므로 "1"로부터 "0"으로의 라인논리레벨이 충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위치(303)의 온.오프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A12)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 단계(A1)로 스킵된다.
한편 단계(A12)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단계(A13)로 진행한다.
전술한 단계(A1)으로부터 단계(A15)로의 전원 오프루틴의 조작자가 전원스위치(301)를 누를때까지 반복된다. CRT이 소정의 값까지, 예컨대, 아니오 또는 특정수까지 카운트하는 경우, 전원 온루틴이 수행된다.
전원 온루틴의 단계(B1)에서는 DC-DC변환제어기(326,328)을 제어하기 위해 P10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출하며, DC-DC변환기(326,328)는 스위치(322,324)가 OVDC에서 턴온될때 DC-DC변환기(315,319)를 제어하고, 공급전원이 도시생략된 컴퓨터 부품의 각각에 공급되기 시작한다.
다음 단계(B2)에서는 확장장치(40)가 접속되어, 그 전원스위치가 P10(305)를 통해 전송되는 모드스위치(304)의 온.오프상태를 나타낸는 스위치신호에 따라 턴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B2)에서의 판정이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 단계(B2)가 반복된다. 한편, 모드스위치(304)의 상태가 온인지의 여부가 판정되는 경우 단계(B3)로 진행하는데, 이 단계(B3)에서는 그 공급전원의 전압이 A/D변환기(316)를 통해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 송출되는 컴퓨터의 성분에 DC-DC변환기(315)가 +5VDC, +12VDC, -9VDC, -22VDC를 공급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B3)에서의 판정이 아니오 (No)인 경우,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가 P10인터페이스(305)를 통하여 LED구동기(30)로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B26)로 진행한다. 이것은 LED(L3)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빛을 깜빡거리고 있음을 의미한다. 단계(B3)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에는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가 P10(305)를 통하여 시스템 리세트 제어회로(330)에 시스템리세트신호를 출력한 다음, 이 시스템 리세트제어회로(330)가 메인 CPU(11)에 리세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B4)로 진행한다. 메인 CPU(11)가 리세트 신호를 수신한 후에는 메인 CPU(11)가 컴퓨터 부품을 세트업한다.
단계(B3) 뿐만 아니라 단계(B5)에서는 DC-DC변환기(315)가 컴퓨터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B5)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 단계(B26)로 스킵한다. 단계(B5)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 단계(B6)로 진행하는데 여기서는 메인 CPU(11)가 PS-IF(28) 및 S10(317) 통하여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명령을 송출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B6)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에는 그 명령이 메인 CPU(11)로부터의 시스템 전원오프 명령인지를 판정한다. 단계(B7)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 시스템 전원오프처리가 수행되는 단계(B27)로 스킵한다. 이러한 처리과정은 이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다. 단계(B7)에서 아니오(No)로 판정되는 경우, 명령이 백라이트 온/오프요구인지를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가 판정하는 단계(B8)로 진행한다. 단계(B8)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에는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가 턴 오프신호를 P10(305)를 통하여 백라이트제어기(308)에 송출하며, 이 백라이트제어기(308)는 턴 오프신호를 수신한 후 단계(B9)에서 백라이트를 턴 오프하고 단계(B11)로 진행한다. 단계(B8)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AC어댑터(29)가 단계(B10)에서 사용중인지를 판정하며, 어댑터가 제공된 경우 단계(B10)에서의 LED(L3)에 적색빛 또는 적색 명멸빛이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으로부터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또한,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가 M배터리(31A)에 남아있는 에너지의 양을 계산한다. 남아있는 에너지의 양을 계산하는 방법은 참조로 고려되는 종래출원 제07,134,370에 기재되어 있다. 단계(B6)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단계(B11)로 진행한다.
단계(B11)에서는 전류검출기(312)에 의해 검출되는 충전장치(311)로부터 흐르는 충전전류값 및 M배터리로부터 DC-DC변환기(315)로 흐르며 전류검출기(314)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값이 A/D변환기(316)를 통하여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 전송된다. 검출된 양전류값이 소정범위내에 있지않는 경우에는 단계(B12)로 진행하는데, 여기서는 M배터리로부터 흐르는 전류값이 비정상적인 값인지를 판정한다. 단계(B12)에서의 판정값이 예(Yes)인 경우에는 단계(B12)로 스킵하는데, 여기서는 LED(L2)의 적색명멸빛이 구동된다. 단계(B12) 판정값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충전장치(B11)가 전술한 동일한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단계(B11)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에는 단계(B14)로 스킵한다.
단계(B14)에서는 M배터리(31A)의 나머지 용량이 로우인지가 판정된다. 배터리 용량상태가 낮음을 검출하는 것을 이제부터 설명하겠다.
종래출원 제07,134,370호를 참조하면, PC-마이크로프로세서(305)는 M배터리(31A)로부터 흐르는 전류에 따라 낮은 배터리 용량을 검출하기 위해 전압값을 변경시킴으로 낮은 배터리의 용량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단계(B14)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단계(B17)로 스킵한다.
한편, 단계(B14)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에는 단계(B15)로 진행하는데, 여기서는 M배터리(31A)로부터 DC-DC변환기(315)로 공급되는 전압값이 단계(B14)에서의 M배터리(31A)의 낮은 배터리 상태의 검출에 따라 소정전압값이하로 감소되었는지를 마이크로프로세서(305)가 판정한다. 단계(B15)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12)의 적색빛의 명멸이 PC-마이크로프로세서(306)으로부터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이 다음에는 단계(B17)로 진행하는데, 여기서는 AC어댑터(29)가 사용중인지가 검출된다. 단계(B17)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단계(V20)로 스킵한다. 한편, 단계(B17)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에는 단계(B18)로 진행하는데, 여기서는 AC어댑터(29)로부터 공급된 공급전압이 100VDC인지 또는 OVDC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B18)에서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단계(B26)로 점프한다. 한편, 단계(B18)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에는 단계(B19)로 진행하는데, 여기에서는 LED(L3)에 적색빛이 PC-마이크로프로세서(305)로부터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단계(B20)에서는 리세트스위치(302)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검출하여 P10(305)를 통하여 전송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B20)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단계(B22)로 진행한다. 단계(B22)에서는 스위치(303)의 온 또는 오프상태가 검출되었는지가 판정되는데, 즉 디스플레이 커버(401)가 개방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B22)에서의 판정이 예(Yes)인 경우에는 단계(B3)로 복귀한다.
단계(B22)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단계(B3)로 복귀한다. 단계(B22)에서이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단계(B23)로 진행하는데, 여기에서는 PC마이크로프로세서(305)가 전원스위치(301)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판정한다. P10(305)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가 논리레벨 "1"인 경우에는 단계(B3)로 복귀한다. 한편, 신호가 논리레벨 "0"인 경우에는 단계(B24)로 진행하는데, 여기서는 전원스위치상태가 온인지의 사실을 PC-마이크로프로세서(301)가 확인할 수 있으며, CRT은 (+1)만큼 증가된다. 단계(B25)에서는 CRT이 소정값, 예컨대, M번까지 카운트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B25)에서의 판정이 아니오(No)인 경우에는 단계(B3)로 복귀된다.
스텝 B15 또는 스텝 B20 또는 B25에서, YES로 판단되면, 스텝 B21로 그리고 나서 스텝 B27로 진행하여 PC-마이크로프로세서는 "시스템 전원 오프 요구"를 컴퓨터 시스템(1)으로 송신한다. 이는 SIO(317) 및 PS-IF(28)를 통해서 전송되며, 이때 PC-마이크로프로세서는 메인 CPU(11)로부터 송신되는 "ACK"신호를 기다린다. 이러한 요구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CPU(11)는 "ACK"를 PC-마이크로프로세서로 복귀시킨다.
"ACK"신호가 PC-마이크로프로세서로 복귀하지 않았을때 그 PC-마이크로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역위와 같은 소정의 이상 상태가 컴퓨터 시스템 한쪽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판별하고 HDD(20)를 보호하기 위해 HDD(20)전원 오프를 수행한다. "ACK"신호의 수신에 의해 PC-마이크로프로세서는 1분간 (저배터리의 경우에는 5분)메인 CPU(11)로부터의 "시스템 전원오프 요구"를 기다린다.
PC-마이크로프로세서로 "시스템 전원 오프요구"를 수신하여 "ACK"신호를 복귀할때, 메인 CPU(11)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인터럽트하고 메모리(13,18)의 내용, I/O상태, 레지스터의 내용등을 백-업RAM(19)(예로써 16K바이트의 기억용량을 가진)으로 저장한다. 이는 그 컴퓨터의 한쪽에 제공된다. 이때, FDD(32) 또는 HDD(20A)가 액세스되고 있으면 세이브 동작은 액세스가 종료된 후에 수행된다.
PC-마이크로프로세서가 메인 CPU(11)로부터 "시스템 전원 오프 명령"을 아직 수신하지 못하고 1분(또는 5분)간 대기하고 있을때 "타임 아웃 전원 오프명령"을 메인 CPU(11)로 송신한다.
"타임 아웃 전원 오프 명령"의 수신에 따라, 메인 CPU(11)는 PC-마이크로프로세서로 "ACK"신호를 복귀하고 전원이 턴-오프될 때까지 세이브 동작을 수행한다. 세이브 동작이 완료되면 메인 CPU(11)는 PC-마이크로프로세서로 "시스템 전원 오프 명령"을 복귀시키고 정지(HLT)모드로 엔터한다.
"시스템 전원 오프 명령"의 수신에 따라, PC-마이크로프로세서는 메인 CPU(11)로 "ACL"신호를 복귀시키고, 컴퓨터 소자로의 공급전원을 차단하고, 전원-오프루틴으로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PC마이크로프로세서(305)는 컴퓨터 소자에 공급전원을 중단할때 전원오프루틴을 수행하고, 전원을 공급할 때는 전원 온 루틴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이제까지 기술된 바와 다른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44)

  1. 중앙처리장치(CPU ; 11)를 가지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31B) 또는 교류 어댑터(29)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컴퓨터용 공급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배터리(31A,31B)를 충전하기 위해 어댑터(29)와 배터리(31A,31B) 사이에 결합된 충전회로수단(311,310)과 ; CPU(11)와는 독립적으로 충전회로수단(311)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와 ; 어댑터(29), 배터리(31A,31B) 또는 충전회로수단(311,31)의 여러 상태에 따라 상태 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결합된 검출수단(312,314)을 구비하는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6)는 상기 충전회로수단(311,31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해 사이 상태신호들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공급정원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소정기능의 동작을 각각 갖는 복수의 스위치(301,302,303,30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스위치(301,302,303,304) 각각의 온/오프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대응하는 온/오프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입/출력회로수단(305)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공급전원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를 갖는 디스플레이커버(401)와, 상기 컴퓨터에 선택적 접속을 위해 제공되는 확장 유닛(40)과, 공급전원의 온/오프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전원스위치(301), 시스템 초기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리세트스위치(302), 상기 디스플레이커버(401)가 폐쇄되었는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위치(303) 및 상기 컴퓨터로 상기 확장유닛(40)의 접속을 지시하기 위한 모드스위치(304)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위치(301,302,303,3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공급전원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백-업 RAM(19), 비디오 RAM(25) 및 타이머 모듈(17)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31B)는 그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31A)와, 그 컴퓨터내의 백-업 RAM(19), 비디오 RAM(25) 및 타이머 모듈(17)에 백-업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서브배터리(3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공급전원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수단은 상기 교류 어댑터(29)로부터 상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로 전압을 제어가힉 위한 충전유닛(311)과, 사이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충전유닛(311)에 결합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3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충전유닛(311)으로부터 상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312)와, 상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 및 교류 어댑터(29)로부터의 전압치 및 제1 및 제2전류검출기(312,314)에 의해 검출된 전류치를 디지탈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3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
  7. 컴퓨터시스템에서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오퍼레이터에게 지시하기 위한 전원절약 시스템에 있어서, 교류어댑터(29) 및 복수의 충전가능 배터리(31A,31B)로부터의 전압과, 최소한 전류검출기(312,314)로 흐르는 전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검출된 전압 및 전류치에 따라 기준전압 및 전류치를 충전하기 위한 수단(312,314)과 ; 검출된 전압 및 전류치를 기준 전압 및 전류치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308)과 ;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L1,L2,L3)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현재의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309)을 구비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소자(L2)는 검출된 전압치가 기준전압치 보다 낮으면 저 배터리 상태를, 전압이상이 발생할때는 전압이상 상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약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들(L1,L2,L3)은 두가지 색으로 구성된 LED이며, 디스플레이 수단(309)에 따라 세가지 상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약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9)은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305)를 통해 비교수단(308)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압 및 전류의 상태를 지시하는 LED(L1,L2,L3)를 제어하기 위한 LED드라이버(30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약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312,314)으로부터 전원 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 그리고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 충전회로수단(311,310)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내부버스(307)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약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버스(307)는 전원 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와, 병렬데이타를 직렬데이타로 변경하기 위한 직렬 입/출력인터페이스(317)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직렬 입/출력 인터페이스(317)는 시스템버스(10)를 통해 메인 CPU(11)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는 메인 CPU(11)의 클록속도에 의해 제어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약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데이타 처리를 위해 컴퓨터를 갖는 컴퓨터본체(402)와 ; 상기 컴퓨터 본체(402)상에서 회전가능한 디스플레이 커버(401)와 ; 상기 컴퓨터 본체(402)상의 키보드(31)와 ;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401)의 회전 상태에 따라 교환가능한 스위치(403)를 구비하는데, 상기 키보드(31) 및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컴퓨터 본체(402)에 접속되어 있으며 ; 상기 컴퓨터 본체(402)의 장방형 모서리부분에서 그 컴퓨터시스템에 작동된 소자들의 상태를 지시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동작 가시 인디시아(L1,L2,L3)를 또한 구비하는데, 이는 그 컴퓨터 본체(402)상의 후위상면(1c)과 플랫단면(1d)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약 시스템.
  13. 오퍼레이터가 컴퓨터시스템을 휴대시에 푸시버튼스위치(301)를 누르는 것으로부터 오퍼레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벽에 있어서, 컴퓨터 본체(402)상의 어느 한 측면(405) 또는 후위(1c) 면에서 누르며, 그 측면상에서 연속적으로 접속되지 않으며, 공급전원의 온/오프를 설정하기 위한 푸시버튼 스위치(301)와 ; 상기 푸시버튼 스위치(301)의 단부둘레에 형성되며, 푸시버튼 스위치(301)의 상면 및 컴퓨터 본체(402)상의 표면(405,1c) 보다도 측면으로 보호된 벽(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벽.
  14. 중앙처리장치(11)와 ; 상기 중앙처리장치(1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타 처리결과를 적재하기 위한 프로그램 적재수단(12,13)과 ; 세이브 동작시에 저장되는 데이타를 적재하기 위한 백업메모리(19)와 ; 데이타 및 명령등을 입력시키기 위한 키보드(36)와 ; 적어도 하나의 가시적 인디시아(L1,L2,L3)를 포함하며 컴퓨터시스템내의 각 소자들로 공급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와, 수행된 중앙처리장치(11)에 의해 처리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24)과 ; 교류 어댑터(29)를 포함하는 데이타 처리조립체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충전가능한 배터리(31A,31B)와 ; 교류 어댑터(29)에 결합되며, 그 교류 어댑터(29)로부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로 공급된 공급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충전회로수단(311,310)과 ; 충전가능한 배터리(31A) 및 충전회로수단(311,310)으로부터 그 컴퓨터시스템의 각 소자들로 공급하는 다수의 공급전원을 발생하기 위한 공급 전원회로수단(315,322,326)과 ; 컴퓨터 시스템내 중앙처리장치(11)를 제외하고 충전회로수단(311,310)을 제어하기 위해, 프로그램 적재수단(12,13) 내의 프로그램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의 각각의 컴퓨터 소자들을 동작하며, 직렬 전송 경로를 통해서 충전회로수단(311,310) 및 컴퓨터 시스템에 결합된 하나의 특정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와 ;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결합되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 및 충전회로 수단(311,310)으로부터 공급하는 전류상태의 신호를 공급전원회로(315,322,326)로 전송하기 위한 검출수단(312,314)과 ; 전류상태의 신호를 인식하고, 그 인식수단(306)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충전회로수단으로 공급전원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갖는 전원 제어마이크로프로세서(306)를 포함하는 공급전원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
  15. 전원 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 내의 각 소자들로 공급된 공급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그 컴퓨터 시스템내의 소자들로 공급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312,14)과 ; 전원 스위치(30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306)과 ; 그 판정결과에 따라 소정치까지 계수하기 위한 수단(306)과 ; 그 계수된 결과에 따라 공급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30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의해 전원 스위치(301)의 논리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306)과, 그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305)를 통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 전원스위치(301)의 논리상태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305)과, 그 전송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의해서 논리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3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수단은 마이크로프로세서(306)를 포함하며, 최대치까지 계수하기 위한 캐리 카운터(3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장치.
  18. 컴퓨터시스템에 적어도 하나의 가시적 인디시아(L1,L2,L3) 및 스위치(301,302,303,304)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충전가능한 배터리(31A,31B) 및 AC어댑터(29)로부터 각 소자들에 공급된 공급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C어댑터(29)로부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로 흐르는 충전가능전류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A6)와 ; 그 판정결과에 따라 AC어댑터(29)로부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단계(A8~A11)와 ; 전원스위치(301)의 동작상태를 판정하는 단계(A13)와 ; 전원 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가 그 동작 상태를 인식할때까지 계수하는 단계(A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AC어댑터(29)로부터 상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로의 공급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충전유닛(311)의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A8)와 ; 그 전압치를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단계(A8)와 ; 그 비교결과에 따라 충전유닛(311)의 전압상태를 지시하는 단계(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검출된 전류를 기준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A9)와 ; 그 검출된 전류가 기준전류보다 낮으면 충전유닛(311)의 전압치를 강하시키는 단계(A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검출된 전류를 기준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A9)와 ; 그 검출된 전류가 기준 전류치보다 높으면 충전유닛(311)의 전압치를 상승시키는 단계(A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충전유닛(311)으로부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로 흐르는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단계(A8)와 ; 검출된 전류를 기준전류와 비교하는 단계(A6)와 ; 검출된 전류가 기준전류 사이에 있으면 충전가능 전류의 상태를 지시하는 단계(A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충전가능한 배터리(31A)에서의 전압용량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A1)와 ; 그 배터리(31A)의 전압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A1)와 ; 그 검출된 용량을 기준 용량과 비교하는 단계(A3)와 ; 그 비교결과에 따라 충전가능한 배터리(31A)의 상태를 지시하는 단계(A2)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AC어댑터(29)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단계(A49와 ; 검출된 입력전압을 기준 입력전압과 비교하는 단계(A4)와 ; 그 비교결과에 따라 AC어댑터(29)의 입력전압 상태를 지시하는 단계(A2,A5)를 추가롤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25. 제19항, 제22항,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단계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며,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305)를 통해서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 가시적 인디시아(L2,L3)로 하나의 광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A2,A5,A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인디시아(L2,L3)는 적어도 두가지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30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된 수와 기준수를 비교하는 단계(A15)와 ; 비교결과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1)내의 소자들에 공급전원을 공급하는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B1)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28. 컴퓨터 시스템내에 적어도 하나의 가시적 인디시아(L1,L2,L3) 및 스위치(301,302,303,304)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충전가능한 배터리(31A,31B) 및 AC어댑터(29)로부터 각각의 소자들로 공급된 공급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1)으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 명령들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B6~B10)와 ; 적어도 하나의 충전가능한 배터리(31A,31B)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B11~B15)와 ; 전원 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가 동작상태를 인식할 때까지 계수하는 단계(B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전원을 오프하는 시스템 전원 오프명령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B7)와 ; 백-라이트 오프를 턴하는 명령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B8)와 ; 그 판정 결과에 따라 백 라이트 오프신호를 발생하는 단계(B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는, 그 배터리(31A)를 충전하기 위해 전류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B11)와 ; 그 판정결과에 따라 AC어댑터(29)로부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로 흐르는 충전가능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B13)와 ; 배터리(31A)로부터 컴퓨터 시스템(1)내의 소자들로 흐르는 방전가능 전류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B12)와 ; 판정결과에 따라 방전가능 전류의 상태를 지시하는 단계(B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제어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가능한 배터리(31A)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는 그 배터리(31A)의 전압용량을 검출하는 단계(B14)와 ; 검출된 결과를 기준 용량과 비교하는 단계(B14,B15)와 ; 그 비교결과에 따라 그 배터리(31A)가 저 배터리(31A)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B14,B15)와 ; 그 판정결과에 따라 저 배터리(31A)상태를 지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단계는, 검출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 메인 CPU(11)로 전원-오프-요구-신호를 전송하는 단계(B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33. 제28항에 있어서, AC어댑터(29)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단계(B17)와 ; 검출된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B17,B18)와 ; 그 비교결과에 따라 입력전압의 상태를 지시하는 단계(B19,B26)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34. 제30항, 제31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단계는, 컴퓨터시스템(1)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며,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305)를 통해서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 가시적 인디시아(L2,L3)로 하나의 광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인디시아(L2,L3)는 적어도 두가지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36. 제28항에 있어서, 소정치까지 계수한 후에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 메인 CPU(11)로 전원-오프-요구-신호를 전송하는 단계(B21)와 ; 메인 CPU(11)에 의해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인터럽트하는 단계(B27)와 ; 상기 메인 CPU(11)에 의해 인터럽트된 프로그램을 계속 실행하는데 필요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B27)와 ; 상기 정보를 저장한 후에 메인 CPU(11)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 전원-오프-명령신호를 전송하는 단계(B27)와 ; 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의해 공급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B27)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37.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의해 컴퓨터시스템(1) 내의 각 소자들에 공급된 공급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그 컴퓨터 시스템(1) 내의 소자들로 공급전원의 공급상태를 검출하는 단계(B3,B5)와 ; 전원 스위치(30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B23)와 ; 그 판정결과에 따라 소정수까지 계수하는 단계(B24)와 ; 그 계수된 결과에 따라 공급전원의 공급상태를 변경하는 단계(B21,B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단계는,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의해 전원 스위치(301)의 논리상태를 검출하는 단계(B23)와 ; 그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305)를 통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 전원 스위치(301)의 논리상태를 전송하는 단계(B23)와 ; 그 전송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의해 논리상태를 판정하는 단계(B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 제어방법.
  39. CPU(11), 충전가능한 배터리(31A,31B) 또는 교류 어댑터(29)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전원-온-스위치(301), 컴퓨터 본체(402)상에서 회전가능한 디스플레이 커버(401), 및 그 디스플레이 커버(401)의 회전상태의 따라 교환되는 디스플레이 스위치(303)를 갖는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 소자들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31A)에 결합된 공급전원 회로수단(315,322,326)과 ; CPU(11)와는 독립적으로 배터리(31A)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전원-온-스위치(301) 및 디스플레이 스위치(303)에 결합된 전원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306)와 ; 그 스위치(301,302,303,304)의 온/오프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제1수단과, 컴퓨터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판정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6)와 ; 상기 전송수단(306)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전원 회로수단(315,322,326)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306)에 결합된 수단(322,3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전원회로수단은 컴퓨터 소자들 각각에 공급된 여러 전원을 발생하기 위한 직류-직류변환기(3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정 수단은 그 컴퓨터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3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
  42. 컴퓨터 본체(402), 컴퓨터본체(402)에 접속된 전원-온-스위치(301), 컴퓨터 본체(402)상에서 회전가능한 디스플레이 커버(401), 디플레이 커버(401)의 회전상태에 따라 교환되는 디스플레이-스위치(303)를 포함하는 컴퓨터내의 컴퓨터 소자들에 공급된 공급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스위치(301,302,303,304)의 온/오프상태를 판정하는 단계(A13,B2,B20,B22,B23)와 ; 컴퓨터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B3,B5)와, 판정결과에 따라 컴퓨터 소자들에 공급된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B1,B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제어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컴퓨터가 전원-오프에 있고 디스플레이 커버(401)가 개방되어 있으며 전원-온 스위치(301)가 온 되었을때 전원 -온-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B1)와 ; 그 제어신호에 따라 컴퓨터를 전원-온으로 변경하는 단계(B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제어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컴퓨터가 전원-온에 있고 디스플레이 커버(401)가 개방되어 있으며 전원-온 스위치(301)가 온되었을때 전원-오프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B26)와 ; 그 제어신호에 따라 컴퓨터를 전원-오프로 변경하는 단계(B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전원제어방법.
KR1019900009327A 1989-06-23 1990-06-23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 KR930005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162234 1989-06-23
JP01-162229 1989-06-23
JP1162234A JP2791111B2 (ja) 1989-06-23 1989-06-23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01-162231 1989-06-23
JP1162229A JPH0327417A (ja) 1989-06-23 1989-06-23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1162231A JPH0327413A (ja) 1989-06-23 1989-06-23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1162228A JPH0327416A (ja) 1989-06-23 1989-06-23 電源制御装置
JP01-162228 1989-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515A KR910001515A (ko) 1991-01-31
KR930005799B1 true KR930005799B1 (ko) 1993-06-25

Family

ID=2747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327A KR930005799B1 (ko) 1989-06-23 1990-06-23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383140A (ko)
EP (2) EP0404588B1 (ko)
KR (1) KR930005799B1 (ko)
DE (2) DE69031251T2 (ko)
TW (1) TW1975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54B1 (ko) * 2006-02-01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076A (en) * 1988-05-03 1995-08-01 Perio Products, Ltd. Liqui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H05501992A (ja) * 1989-11-02 1993-04-15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少なくとも1つの再充電可能な電池から給電される記録装置の作動方法
EP0435317A3 (en) * 1989-12-28 1992-06-17 Kabushiki Kaisha Toshiba Personal computer for performing charge and switching control of different types of battery packs
US5251105A (en) * 1990-06-25 1993-10-05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battery pack with a mechanism for latching and an independent mechanism for temporarily preventing detachment
JPH04178122A (ja) * 1990-11-07 1992-06-25 Toshiba Corp 充電制御方式
US5230074A (en) * 1991-01-25 1993-07-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ttery operated computer power management system
US5230055A (en) * 1991-01-25 1993-07-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ttery operated computer operation suspension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sensor inputs
DE4230204A1 (de) * 1991-09-09 1993-03-11 Toshiba Kawasaki Kk Netzteilsteuersystem fuer ein elektronisches geraet und daran angeschlossene erweiterungseinheit
JP3437232B2 (ja) * 1992-12-21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リンタ装置における表示方法
US5914538A (en) * 1993-04-27 1999-06-22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ower supply device therefor
US5532524A (en) * 1994-05-11 1996-07-02 Apple Computer, Inc. Distributed power regulation in a portable computer to optimize heat dissipation and maximize battery run-time for various power modes
US5832281A (en) * 1994-10-19 1998-11-03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DE9419293U1 (de) * 1994-12-04 1995-02-16 Moebius Uwe Temperaturüberwachungsvorrichtung für Mikroprozessoren
JP3540848B2 (ja) 1994-12-26 2004-07-07 富士通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US5483437A (en) * 1995-03-27 1996-01-09 Chicony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arrangement for notebook computers
KR0157129B1 (ko) * 1995-03-28 1998-11-16 김광호 확장장치와 휴대용 컴퓨터간의 신호 연결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확장장치
JPH09146499A (ja) * 1995-11-22 1997-06-06 Toshiba Corp 情報機器
US6029119A (en) * 1996-01-16 2000-02-2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of computers
JPH09215220A (ja) * 1996-01-31 1997-08-15 Toshiba Corp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US5790873A (en) * 1996-07-23 1998-08-04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upply switching with logic integrity protection
JP2836600B2 (ja) * 1996-09-03 1998-12-1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6462976B1 (en) 1997-02-21 2002-10-08 University Of Arkansas Conversion of electrical energy from one form to another, and its management through multichip module structures
US6268845B1 (en) 1997-06-11 2001-07-3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Bezel button controls over USB
US6289466B1 (en) 1997-06-11 2001-09-1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Usage of monitor bezel buttons to control and indicate multimedia functions
JP3320350B2 (ja) * 1997-12-08 2002-09-0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待機時の電力削減可能なacアダプタ
US6092207A (en) * 1997-12-29 2000-07-18 Intel Corporation Computer having a dual mode power supply for implementing a power saving mode
US6098175A (en) * 1998-02-24 2000-08-01 Smartpower Corporation Energy-conserving power-supply system
WO1999053627A1 (en) 1998-04-10 1999-10-21 Chrimar Systems, Inc. Doing Business As Cms Technologies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electronic equipment on a network
US6222347B1 (en) * 1998-04-30 2001-04-24 Apple Computer, Inc. System for charging portable computer's battery using both the dynamically determined power available based on power consumed by sub-system devices and power limits from the battery
AT408037B (de) * 1998-12-22 2001-08-27 Siemens Ag Oesterreich Computermaus
US6191552B1 (en) 1999-01-25 2001-02-20 Dell Usa, L.P. External universal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US6523124B1 (en) * 1999-04-23 2003-02-18 Palm,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n accessory device connection status
US6425087B1 (en) * 1999-05-28 2002-07-23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residual energy in a battery-powered computer
KR100536589B1 (ko) 1999-07-27 200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전원의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US6510524B1 (en) 1999-08-23 2003-01-21 Palm, Inc. System for managing power of peripheral communications by automatically closing communications channel immediately after finishing a communication with a peripheral device
KR100427182B1 (ko) * 1999-08-31 200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 관리모드 설정장치 및 설정방법
DE19959027A1 (de) * 1999-12-08 2001-06-13 Merten Gmbh & Co Kg Stromversorgungsschaltung für ein batteriebetriebenes Mikrocomputergerät
US6687839B1 (en) 2000-05-31 2004-02-03 Palmone, Inc. Method and apparatus allowing a battery to regain charge in a handheld device without an applied external charge while still supplying power selected designated components
US6708280B1 (en) 2000-05-31 2004-03-16 Palmo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a battery to preserve charge in a handheld device without an supplying unregulated voltage to selected internal components
US6772366B2 (en) * 2001-03-09 2004-08-0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C removal
US20030156345A1 (en) * 2002-02-20 2003-08-21 Fayeulle Serge J. Data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spindle power control
US6901338B2 (en) * 2003-01-23 2005-05-31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of power control system for a PDA with a microprocessor
US7065664B2 (en) * 2003-03-18 2006-06-20 Inventec Appliances Corp. Power management for a PDA system
US7173613B2 (en) * 2003-09-30 2007-02-06 Lenovosingapore Pte Ltd Peripheral device inclu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computer system unit optionally attached to the peripheral device
US7166988B2 (en) * 2004-03-01 2007-01-23 Acer Incorporate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detachable system and expansion modules
TWI249728B (en) * 2004-11-10 2006-02-21 Tatung Co Ltd Flexible lighting method for an led on a portable device
US7363522B2 (en) * 2005-07-13 2008-04-22 Dell Products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th power supply device with variable output power
US7836216B2 (en) * 2005-08-23 2010-11-16 Palm, Inc. Connector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types of plug carrying accessory devices
US7349813B2 (en) * 2006-05-16 2008-03-25 Dresser, Inc. Fault tolerant power system architecture for fluid flow measurement systems
US7734841B2 (en) * 2006-06-30 2010-06-08 Palm,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ial bus connectivity
US7890822B2 (en) * 2006-09-29 2011-02-15 Teradyne, Inc. Tester input/output sharing
FI20065783A0 (sv) * 2006-12-08 2006-12-08 Nokia Corp Signalfördistorsion i radiosändare
JP5023694B2 (ja) * 2006-12-27 2012-09-1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アクセス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アクセスプログラム、情報アクセス方法、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090035121A1 (en) * 2007-07-31 2009-02-05 Dresser, Inc. Fluid Flow Modulation and Measurement
US7907003B2 (en) * 2009-01-14 2011-03-15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power-supply rejection
JP5523116B2 (ja) * 2009-01-28 2014-06-1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電源状態通知方法及び電源状態通知プログラム
US10037857B2 (en) 2012-09-19 2018-07-31 Duckychannel International Co, Ltd. Light emitting keyboard
TWM449994U (zh) * 2012-09-19 2013-04-01 Duckychannel Internat Co Ltd 發光鍵盤
TWI647087B (zh) * 2014-03-13 2019-01-11 玉晶光電股份有限公司 模具裝置及模具裝置的製造方法
US10069895B2 (en) * 2015-05-19 2018-09-04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Wireless content loader for entertainment system
CN105511581B (zh) * 2015-12-18 2018-06-29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一种基于国产飞腾处理器的电池状态控制方法
US11385694B1 (en) * 2021-08-17 2022-07-12 Beta Ai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emaining useful energy in an electric aircraf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5526A (ja) * 1982-09-24 1984-03-30 Sharp Corp インタ−フエ−ス回路
US4571456B1 (en) * 1982-10-18 1995-08-15 Grid Systems Corp Portable computer
JPH079618B2 (ja) * 1985-07-31 1995-02-01 株式会社東芝 携帯型コンピユ−タ
US4788658A (en) * 1986-07-03 1988-11-29 Hanebuth Charles E Apparatus for connecting computer components
US4769764A (en) * 1986-08-11 1988-09-06 Isaac Levanon Modular computer system with portable travel unit
JPH0833790B2 (ja) * 1986-12-26 1996-03-29 株式会社東芝 コンピユ−タにおける電源遮断装置
IT1213713B (it) * 1987-10-29 1989-12-29 Monteveglio Bo A Sistema di illuminazione autonoma di emergenza con autodiagnosi di funzionamento programmata,visualizzata ed eventualmente centralizzata unitamente alla alimentazione di carica elettrica
US4926365A (en) * 1988-08-26 1990-05-15 Great Electronics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system
JPH06113487A (ja) * 1992-09-29 1994-04-22 Tokyo Electric Co Ltd 非常用点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54B1 (ko) * 2006-02-01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83140A (en) 1995-01-17
EP0670538B1 (en) 1997-11-19
EP0404588B1 (en) 1997-08-13
DE69031744D1 (de) 1998-01-02
EP0404588A2 (en) 1990-12-27
DE69031251T2 (de) 1997-12-04
EP0404588A3 (en) 1992-09-09
DE69031251D1 (de) 1997-09-18
TW197541B (ko) 1993-01-01
EP0670538A2 (en) 1995-09-06
US5581772A (en) 1996-12-03
DE69031744T2 (de) 1998-04-09
KR910001515A (ko) 199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799B1 (ko) 컴퓨터용 공급전원 제어시스템
US5239495A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for a portable computer
US5218607A (en) Computer having a resume function and operable on an internal power source
US5553294A (en) Portable computer powered by rechargeable batteries
KR920008442B1 (ko) 레쥼기능을 가지며, 내부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컴퓨터
KR100395131B1 (ko) 스마트 배터리의 실제 잔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US5959368A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from a plurality of batteries to a plurality of loads,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power supply apparatus
KR0138350B1 (ko) 지능화된 밧데리 전원 시스템
US5818200A (en) Dual smart batter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computers
US5485073A (en) Personal computer for performing charge and switching control of different types of battery packs
EP048474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in a computer system
US20090322287A1 (en) Charging system
KR100683410B1 (ko) 전자기기 충전시스템, 충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6104163A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at charges
US55236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JPH09308131A (ja) 電子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6275162B1 (en) Method of displaying capacity using LEDs of the notebook computer system and the device of the same
JP2780701B2 (ja) ソフトウェア通知式バッテリ充電方式
JPH05181430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JPH10143295A (ja) 電子装置
JP2791111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940007804B1 (ko) 컴퓨터 제어시스템을 위한 정전방지 및 파워강하 검출회로
JPH01276322A (ja) 電子機器
JPH02181210A (ja) 電池駆動型情報処理装置、電池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池管理装置
JPH0327413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