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586B1 - 스티어일 휘일 코어 - Google Patents

스티어일 휘일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586B1
KR930003586B1 KR1019880015047A KR880015047A KR930003586B1 KR 930003586 B1 KR930003586 B1 KR 930003586B1 KR 1019880015047 A KR1019880015047 A KR 1019880015047A KR 880015047 A KR880015047 A KR 880015047A KR 930003586 B1 KR930003586 B1 KR 93000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poke
coating layer
steering wheel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922A (ko
Inventor
가쯔노부 사까네
미끼오 고자까이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기가이샤
네모또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기가이샤, 네모또 마사오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6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834Hand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834Hand wheels
    • Y10T74/2087Rim grips and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티어일 휘일 코어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스티어링 휘일 코어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II-II 부위를 도시하는 동 실시예의 요부 확대 평면도.
제 3 도는 후방측의 스포크부 코어와 링부 코어의 연결 부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4 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스티어링 휘일 코어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휘일 코어 2 : 보스
3a,3b : 스포크부 코어 5 : 연결부
5b : 스포크부 코어측 부위 6 : 리브
7 : 링부 코어 8 : 피복층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휘일 코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티어일 휘일에서는, 보스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스포크부 코어와 링부 코어 연결부부위의 스포크부 코어측 주이에는 링부 코어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연결부 부위의 스포크부 코어측 상면에서는 스포크부 코어가 링부 코어측으로부터 보스에 걸쳐서 하방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으며, 또 보스 상방에 배치되는 패드 상면과의 일체감을 얻기 위해 그 부위의 피복층이 상면을 대략 수평으로 하여 보스측으로 향해감에 따라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그 연결부 부위의 스포크부 코어측 상면의 피복층이 두껍게 되기 때문에, 성형후에 그 피복층에 수축 변형이나 웰드 마크 등이 생기기 쉬우며, 이들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는 일본국 실공소 58-44056호 공보나 실공소 60-27723호 공보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연결부 부위에 미리 합성수지제의 인서트를 셋팅하고, 피복층 자체의 얇게 하여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성형전에 인서트를 연결부 부위에 하나하나 셋트하여 피복층을 성형하고 있어서는 공수가 걸리며,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비추어 발명된 것으로써, 스포크부 마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어와 링부 코어의 연결부 부위의 스포크부 코어측 상면에 두꺼운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이 형성되게 되어도, 수고를 끼치지 않고 또한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여 그 피복층에 수축 변형이나 웰드 스티어링 휘일 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한 스티어링 휘일 코어는, 보스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스포크부 코어와 링부코어의 연결부 부위의 스포크부 코어측 상면에, 상기 링부 코어 표면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보스측으로 향해감에 따라 두꺼워지는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이 배치되는 스티어링 휘일 코어에 있어서, 상기 보스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스티어링 휘일 코어 단부에 다이캐스트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부 코어를 둘러싸서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에 있어서의 스포크부 코어측 상면에 스포크부 코어 형성방향을 따라 또한 상기 연결부와 일체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리브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한 스티어링 휘일 코어에서는 스포크부 코어와 링부 코어의 연결부 부위에 있어서의 스포크부 코어측 상면에 스포크부 코어 형성방향을 따른 복수의 리브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리브에 의해 연결부 부위에 있어서의 스포크부 코어측 상면에 형성되는 합성수지제의 피복층 성형 후의 수축이 규제되고, 그 피복층의 수축 변형이나 웰드 마크 등의 발생이 억제되게 된다.
그리고, 이들 리브는 스포크부 코어 단부에서 링부 코어를 둘러싸서 링부 코어를 연결시키는 다이캐스트 금속으로된 연결부로부터 일체 성형되어 돌출 설치되는 것이며, 피복층 성형시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스티어링 휘일 코어 자체의 제조시에 동시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이들 리브는 스포크부 코어의 형성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의 다이캐스트 성형시, 그 용융된 다이캐스트 금속이 그 성형을 금형의 리브 형성용 오목뷰내에서 흐르기 쉽고, 기공 등을 발생시킴이 없이 지장없게 형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한 스티어링 휘일 코어에서는 스포크부 코어와 링부 코어의 연결부 부위의 스포크부 코어측 상면에 두꺼운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이 형성되게 되어도, 수고를 끼침이 없이 또한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여 그 피복층에 수축 변형이나 웰드 마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 코어(1)는 강제의 보스(2)와 강관제의 링부 코어(7) 사이에 배치되는 4개의 스포크부 코어(3a,3b)가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다이캐스트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스포크부 코어(3a,3b)는 기저부측에서 보스(2)를 둘러싸서 일체로 되는 연결부(4)를 구비함과 동시에, 선단측에서 각각 링부 코어(7) 외주를 둘러싸는 연결부(5)를 구비하고 있다. 도, 각 스포크부 코어(3a,3b)는 링부 코어(7)측으로부터 보스(2)측에 걸쳐 하방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티어링 휘일 코어(1)에서는 연질 우레탄 연질 PVC 등의 연질 합성수지제의 피복층(8)이 링부 코어(7) 표면으로부터 연장하여 연결부(5)의 스포크부 코어측 부위(5b)까지 피복되게 한다. 이 피복층(8)에 있어서의 스포크부 코어측 부위(5b) 상방의 피복층(8b)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보스(2) 상방에 배치되는 패드(9) 상면과의 일체감을 얻기 위해, 상면을 대략 수평으로 하여 보스(2)측으로 향해감에 따라 두껍게 형성되게 된다(제 2 도 참조).
그리고, 각 연결부(5)의 스포크부 코어측 부위(5b) 상면에는 전방측의 스포크부 코어(3a)에 2개의 리브(6), 후방측의 스포크부 코어(3b)에 3개의 리브(6,6b)가 각각 스포크부 코어(3a,3b)의 형성방향을 따라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리브(6,6b)는 스포크부 코어(3a,3b) 및 연결부(4,5)의 다이캐스트 성형시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들 리브(6,6b)는 연결부(5)의 링부 코어측(5a)의 피복측(8a)의 두께와, 리브(6)에 있어서의 연결부(5)의 스포크부 코어측 부위(5b)의 피복층(8b)의 두께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각각 상면을 대략 수평방향으로 하고 있다(제 2 도, 제 3 도 참조).
또한, 이들 리브(6,6b)는 실시예의 경우, 두께를 약 3.5mm로하고, 리브(6,6b)사이에 간극을 전방측에서 약 5mm, 후방측에서 리브(6,6a,6b) 사이의 간격을 약 5mm와 8mm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스터어일 휘일 코어(1)를 사용하여 피복층(8)을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연결부(5)의 스포크부 코어측 부위(5b) 상면의 피복층(8b)이 성형후에 수축하려고 해도 각각의 리브(6,6b)에 의해 그 수축이 규제되기 때문에, 그 피복층(8b)에 수축 변형이나 웰드 마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 이 스티어링 휘일 코어(1)에서는 피복층(8b)의 수축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리브(6,6b)가 스티어링 휘일 코어(1)를 제조할 때에 성형되는 다이캐스트 금속으로 된 연결부(5)와 일체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수고를 끼침이 없이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리브(6)가 스포크부 코어(3a,3b)의 형성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4,5)를 포함한 스포크부 코어(3a,3b)의 다이캐스트 성형시, 용융한 다이캐스트 금속이 그 성형을 금형의 리브 형성용 오목부내에서 흐리기 쉽고, 기공 등을 발생시킴이 없이 리브(6)를 형성할 수 있으며, 스티어링 휘일 코어 자체의 제조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도 없다.
이와 관련하여, 후방측의 스포크부 코어(3b)에 있어서의 각각의 연결부(5) 내측의 리브(6b)에 대해서는, 스포크부 코어(3b)로부터 약간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된 다이캐스트 금속의 흐름이 다른 리브(6)보다도 조금 나빠지는 것처럼 생각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각형의 보강용 리브(6a)가 스포크부 코어(3b)로 향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보강용 리브(6b)를 거쳐 내측의 리브(6b)로 용융한 다이캐스트 금속이 지장없이 흘러, 보강용 리브(6a)와 함께 내측의 리브(6b)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더욱이,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 코어(1)에서는 연질 합성수지제의 피복층(8)을 배치시킨 후에 있어서, 리브(6,6b) 상방의 피복층(8b)의 두께와 링부 코어측 부위(5a)의 피복층(8a)의 두께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피복층(8)이 배치되어 있는 각 부분을 잡았을 때의 감촉이 대략 균일하게 되며, 스티어링 조작시의 느낌을 향상사킬 수 가 있다.
게다가 또, 연질 합성수지제의 피복층(8)을 배치시킨 후, 다시 천연 피혁 등을 꿰매붙여, 가죽이 감긴 스티어링 휘일을 제조하는 바와같은 경우에는, 연결부(5)의 스포크부 코어측 부위(5b)를 피복하고 있는 피복층(8b)내에 리브(6,6b)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피복층(8b)이 어느 정도의 형상 유지성을 갖고, 꿰매붙임시에 피복층(8b)의 각부가 커다란 호면이 되는 바와같은 늘어짐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 코어(1)에서는 스포크부 코어(3a,3b)가 다이캐스트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제 4 도에 도시하는 스티어링 휘일 코어(11)와 같이 스포크부 코어(13)를 강판 혹은 알루미늄판 등으로 형성하고, 스포크부 코어(13)의 양단을 각각 다이캐스트 금속으로 된 연결부(14,15)를 이용하여 보스(12)나 링부 코어(17)와 연결시켜, 그 연결부(15)에 리브(16)를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 코어(1)에서는 리브(6,6b)의 두께를 약 3.5mm, 리브(6,6a,6b) 사이의 간격을 약 5mm와 8mm로 한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리브(6,6b)의 두께는 너무 얇아지면 강도적으로 약해지고, 너무 두꺼워지면 리브(6,6b)에 기공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약 2 내지 5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리브(6,6a,6b) 사이의 간격은 너무 넓어지면 피복층(8b)에 수축 변형 등이 발생하게 되며, 너무 좁아지면 성형시의 이형성이나 손으로 파지할 때의 느낌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약 4 내지 12mm 정도가 바람직하다.
게다가, 실시예에서는 피복층(8)이 연질 합성수지제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피복층(8)을 PP·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해도 좋다.

Claims (1)

  1. 보스(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스포크부 코어(3a,3b)와 링부 코어(7)의 연결부(5) 부위의 스포크부 코어(3a,3b)측 상면에, 상기 링부 코어(7) 표면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보스(2)측으로 향해감에 따라 두꺼워지는 합성수지제의 피복층(8)이 배치되는 스티어링 휘일 코어(1)에 있어서, 상기 보스(2)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포크부 코어(3a,3b) 단부에, 다이캐스트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부 코어(7)를 둘러싸며 연결되는 연결부(5)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5)에 있어서의 스포크부 코어(3a,3b)측 상면에, 스포크부 코어(3a,3b) 형성방향을 따라 또한 상기 연결부(5)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리브(6,6b)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코어.
KR1019880015047A 1988-04-26 1988-11-16 스티어일 휘일 코어 KR930003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162 1988-04-26
JP63103162A JPH01273767A (ja) 1988-04-26 1988-04-26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芯金
JP63-103162 1988-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922A KR890015922A (ko) 1989-11-27
KR930003586B1 true KR930003586B1 (ko) 1993-05-08

Family

ID=1434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047A KR930003586B1 (ko) 1988-04-26 1988-11-16 스티어일 휘일 코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70742A (ko)
JP (1) JPH01273767A (ko)
KR (1) KR9300035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472B1 (ko) * 2012-05-01 2013-12-05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차량용 스티어링휠 핸들커버의 커버링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3877A (en) * 1992-03-30 1993-09-14 Ryusaku Numata Steering wheel rim
WO1994016114A1 (en) * 1993-01-15 1994-07-21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Magnesium steering wheel
FR2712864B1 (fr) * 1993-11-25 1996-02-23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volant de direction, notamment de véhicule automobile et volant de direction obtenu selon ce procédé.
US5544545A (en) * 1994-02-22 1996-08-13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Steering wheel with tapered hub sleeve
US5490435A (en) * 1994-08-25 1996-02-13 Chrysler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steering wheel
US5697420A (en) * 1996-01-31 1997-12-16 Toyoda Gose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 steering wheel metal core unit
CA2200820C (en) * 1996-03-25 2000-04-11 Grant Products Steering wheel overlay
DE19848604C2 (de) 1997-10-22 2001-11-22 Toyoda Gosei Kk Lenkrad
US5948347A (en) * 1998-06-01 1999-09-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steering hand wheel insert
EP0997368B1 (en) * 1998-10-30 2004-01-02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DE19856940C1 (de) * 1998-12-10 2000-07-20 Daimler Chrysler Ag Lenkradskelett
JP3578003B2 (ja) * 1999-08-03 2004-10-20 豊田合成株式会社 皮巻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786807B2 (ja) * 1999-12-14 2006-06-1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20040262805A1 (en) * 2003-06-30 2004-12-30 Bostick William E. Leather stylized steering wheel
DE202004003406U1 (de) * 2004-02-27 2004-05-13 Takata-Petri Ag Lenk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US20060230873A1 (en) * 2005-04-15 2006-10-19 Takata-Petri Inc. Steering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00381321C (zh) * 2005-07-11 2008-04-16 林楚华 管条骨架方向盘
KR100843068B1 (ko) 2007-03-28 2008-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향핸들의 가죽커버 감싸기 구조
FR2967936B1 (fr) * 2010-11-25 2014-05-09 Faurecia Bloc Avan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piece structurelle renforcee de vehicule automobile
JP6147643B2 (ja) * 2013-10-28 2017-06-1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0897A (en) * 1967-09-15 1969-04-29 Gen Motors Corp Energy absorbing steering wheel
US4118455A (en) * 1977-02-24 1978-10-03 Sheller-Globe Corporation Soft rubber steering wheel,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179950A (en) * 1978-05-31 1979-12-25 Valley James F Steering wheel cover
JPS5826673A (ja) * 1981-08-08 1983-02-17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S5844056A (ja) * 1981-09-10 1983-03-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保管箱
JPS5863573A (ja) * 1981-10-14 1983-04-15 Nippon Plast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
US4635500A (en) * 1982-12-10 1987-01-13 Shell Oil Company Epoxy steering wheel
US4598002A (en) * 1983-05-02 1986-07-01 Toyoda Gosei Co., Ltd. Core bar of steering wheel
JPS6027723A (ja) * 1983-07-26 1985-02-12 Nissan Motor Co Ltd 電動ラジエ−タフアンの車体支持構造
JPS6027723U (ja) * 1983-08-02 1985-02-25 中村 正志 弾性材付歯ブラシ
JPS60178276U (ja) * 1984-05-07 1985-11-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ル芯金
US4606240A (en) * 1984-06-11 1986-08-19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US4729416A (en) * 1984-09-07 1988-03-08 Miller Derek J Steering wheel cover
JPS62258859A (ja) * 1986-05-02 1987-11-11 Tokai Rika Co Ltd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ホイ−ル
US4876915A (en) * 1986-08-09 1989-10-31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JPS63181216A (ja) * 1987-01-21 1988-07-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ルのホ−ンスイツチ
US4872364A (en) * 1987-10-27 1989-10-10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472B1 (ko) * 2012-05-01 2013-12-05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차량용 스티어링휠 핸들커버의 커버링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922A (ko) 1989-11-27
JPH01273767A (ja) 1989-11-01
US5070742A (en) 199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586B1 (ko) 스티어일 휘일 코어
US594231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article having a high clarity icon and the product produced by the method
US5782140A (en) Steering wheel core metal unit
US6386064B1 (en) Leather-wound steering wheel
JP2634934B2 (ja) グラスラン一体型ガラスガイドの成形方法
JPH0120045B2 (ko)
US4874651A (en) End structure for synthetic resin member
JP352864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4874645A (en) Plastic structural member
JP2005212697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787936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芯金成形金型
JPS60228116A (ja) ホ−ンパツドの成形方法
JP2552475Y2 (ja) 樹脂製パネル
JP6959709B2 (ja) 樹脂パネ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71880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930003581B1 (ko) 스티어링 휘일 코어
JP4070872B2 (ja) 自動二輪車等のステップバー
KR0134882Y1 (ko) 자동 트림 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범퍼페시아 모울드 금형
JPH02289319A (ja) 二色成形品の製造方法
JP2518477B2 (ja) サンドイッチ成形品の成形方法
KR20020054788A (ko) 알루미늄 실린더 블록 주조방법
JP2008284955A (ja) 金型装置
JP2005280597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S6365005B2 (ko)
KR200151951Y1 (ko) 사출성형물의 런너 변형을 방지하는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