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030B1 - 음료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030B1
KR930002030B1 KR1019900004200A KR900004200A KR930002030B1 KR 930002030 B1 KR930002030 B1 KR 930002030B1 KR 1019900004200 A KR1019900004200 A KR 1019900004200A KR 900004200 A KR900004200 A KR 900004200A KR 930002030 B1 KR930002030 B1 KR 930002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hot water
raw material
material contain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041A (ko
Inventor
꼬지 고가
와꾸이 사또시
끼요시 사까이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5739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521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5039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42233U/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001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14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56250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3514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64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by means of bayonet-type eng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2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ai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료 추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음료추출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음료추출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음료추출장치를 편성한 음료추출기의 외관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음료추출기의 내부를 표시한 측면도.
제5도는 음료추출기에 있어서의 호울더를 고정구를 분리하여 꽂이는 상태를 일부단면으로 표시하는 정면도.
제6도는 호울더를 고정구에 끼워 맛추는 조작 초기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호울더를 가세부재에 대항해서 고정구에 끼워 맞워 부착을 끝낸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8도는 호울더를 세트한 상태에서의 온수 공급장치를 포시하는 평면도.
제9도는 복수의 분사공을 가진 온수 공급장치와 고정구와의 관계를 표시한 저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세부제를 사용하여 호울더를 고정구에 부착하는 조작초기때 및 고정때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온수 탱크의 구성도.
제13도는 온수 탱크에 있어서의 상한 스위치가 작동한 상태의 구성도.
제14도는 하한 스위치가 작동한 상태의 구성도.
제15도는 거품흡입 방지판이 설치되고 있는 부분의 횡.단면도.
제16도는 음료추출장치의 제어회로도.
제17도는 제어회로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아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페리스터 펌프 1R : 로울러
1A : 회전체 1B : 가요성의 튜우브
2 : 온수탱크 2 : 온스탱크본체
3 : 흡입관로 4 : 공기 흡입관로
5 : 공기 흡입구 6 : 전자 밸브
7 : 사이폰 튜우브 8 : 가세용 히이터
8 : 대용량 히이터 8 : 소용량 히이터
9 : 급수구 10 : 보조 탱크
11 : 거품 흡입 방지판 11A : 연통공
12 : 토출관로 13 : 온수 도입구
14 : 모자형 근방향밸브 15 : 패킹
16 : 원료용기 17 : 필터
18 : 호울더 18A : 핸들부
18B : 둥근 고리부 19 : 컵
20 : 분기관로 21 : 공기탱크
22 : 제 1 의 근방향밸브 23 : 제2의 근방향 밸브
25 : 본체 26 : 트래이
27 : 프런트부 28 : 추출개시 스위치
29 : 급수램프 30 : 판매전 램프
31 : 판매중 램프 32 : 전원 스위치
33 : 형광등 스위치 34 : 비등 방지용 더어모스트태드
35 : 공분(空焚)더어모스트태드
36 : 플로우트 37 : 적당한 온도 더어모스트 스위치
37a, 38a : 감은부 38 : 온도조절 더어모스위치
39 : 호울더 안내부재 40, 41 : 관류관
42 : 저류실 43 : 분사공
44 : 간막이판 45 : 고정구
45B : 중공부 46 : 돌기
47 : 홈부 48A, 48B : 걸림구
49 : 도피부 50 : 스프링
51 : 압축스프링 52 : 축받이
53 : 축 54A : 상한 스위치
54B : 하한 스위치 55 : 저수량 검출장치
60,61 : 과류 구멍 62 : 실리콘튜우브
63 : 파이프
본 발명은 코오피나 홍차등의 추출원료가 필터를 구비한 분말 받이부에 수용되며, 이 분말받이부에 온수를 주입하여 여과된 추출음료를 얻는 음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오피 분말등의 분말원료에 온수를 주입하여, 분말원료와 온수와의 혼합액체가 자중에 의해 종이등으로 형성된 필터를 통과해서 여과되어 추출 음료를 얻는 방식의 음료추출장치는 구성이 간단하며, 저렴한 것이기 때문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류의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는 종이등으로 형성된 필터를 분말 원료와 온수와의 혼합액체가 자중에 의해 통과해서 여과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예로 컵 한잔분의 추출 음료를 여과하기 위해 약 3분간의 시간을 요하며, 음료추출에 시간이 과하게 걸려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자동판매기에서 음료를 이 종류방식으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고객에 장시간 대기를 무리하게 요하는 것으로 되며, 서어비스성 및 판매 효율을 저하시켜서 보다 심각하게 된다. 그래서 자동판매기에 탑재되는 음료추출장치로서는 이 종래의 자중 여과식 방법을 개량해서 보다 단시간으로 추출을 완료하는 장치가 제안되 가고 있다.
그 개량된 종래 기술을 기재하는 것으로서 예로 실개소 60-57885호 공보가 있다. 동일 공보에 개시하는 음료추출장치는 신선한 코오피 추출장치라고 칭하는 것으로 필터블록의 위에 피스톤 부착실린더를 대가며, 이 실린더 내에 정류 코오피의 분말과 온수를 공급한 상태에서 피스톤을 가압 조작해서 코오피를 여과하는 시간을 빠르게 하고 있다.
또, 특개소 61-149112호 공보에 개시되는 추출장치에 있어서는 에어 펌프에 의해 추출실에 가압공기를 송출하며, 이 가압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말 원료와 온수와의 혼합액체가 필터를 통과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을 사용하든지 에어 펌프를 사용하던지 하며 분말 원료와 더운물과의 혼합액체가 필터에 대해 실린더의 가압된 온수물 혹은 가압공기에 의해 압력이 가해져서 필터로의 여과를 빠르게하며, 음료추출시간을 대폭으로 단축시키고 있다.
그러나 전자에 있어서는 피스톤이나 그것의 상하 동작구조, 그리고 다시 추출 완료후에 필터 상면에 잔류된 추출 찌꺼기를 제외하는 장치도 필요로 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게 되며,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 후자에 있어서도 공기를 가압해서 송급하는 에어 펌프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동일하게 복잡한 구성 및 원가적으로 고가로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실공평 1-8539호 공보에는 필터를 구비한 원료 용기내의 원료를 온수로 추출해서 공급하는 것이 개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 종류의 원료용기는 일반적으로 카아드리지 형상으로 이루어 음료의 추출때에는 이 원료 용기를 세트한 호울더를 온수 공급장치의 아래 방향에 위치하도록 패킹에 의해 본체에 밀착시켜서 부착한 후 원료 용기에 온수를 공급하며, 추출 종료후에는 본체로부터 호울더를 분리하여 원료 용기를 교환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음료추출때에 배관내에 온수가 통과하면, 추출 직후는 배관내부의 공기는 따뜻해져 있으나 시간의 경과와 동시에 배관내의 공기는 냉각되어 온다. 그리고, 온도가 내려가면 압력된 내려가며, 그때문에 배관 내부가 부압으로 되면 원료 용기가 패킹에 부착하며, 호울더를 본체로부터 분리하여도 원료 용기가 호울더와 함께 나오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다.
또, 카아드리지 형상의 원료용기에 온수를 주입할 경우 일반적으로 온수는 펌프를 사용해서 토출관로에의해 공급된다.
그런데 카아드리지 형상의 원료 용기 상면의 면적은 통상로출 관로의 단면적 보다 크기 때문에 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온도는 원료 용기 중앙부에 집중하여 주입되기 매문에 원료용기의 추출 원료가 균일하게 추출되기 곤란하다는 과제가 존재한다.
다시 추출때마다 컵 한잔분씩의 온수가 소비되므로 이 종류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는 온수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온수탱크는 실개소 59-165081호 공보에 개시하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즉 과류 구멍을 구비하고 과잉으로 급출되면 이 부분을 탱크 바깥에 배출되도록 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온수 탱크에 있어서 탱크내의 물이 비등하면 열팽창에 의해 물의 부피가 증가하든지 혹은 비등에 의한 수위의 흩어짐으로부터 과류 구멍에서 뜨거운 물이 분출해서 위험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제1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추출시간의 단축과 추출찌꺼기의 용이한 제거를 행하도록한 음료주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원료 용기를 호울더에 의해 본체의 온수 공급구에 부착할때에는 밀착 간직시켜지며, 분리할때에는 호울더축에 완전히 분리되어서 원료 용기의 교환을 용이하케 이루도록 구성한 음료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분말 받이 용기로부터의 균일한 추출을 가능하게 하여 추출 효율을 높인 구성의 음료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비등물의 쏟어져 나오지 않는 안전하며, 또한 온수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온수 탱크를 구비시킨 음료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필터를 구비하는 동시에 내부에 추출 원료가 충전되어 있는 원료용기에 온수를 주입하는 것으로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전기 원료 용기가 세트되는 호울더와 온수 탱크와 그 온수탱크로부터 흡인 관로에 의해 흡압한 온수를 토출관로에 의해 전기 원료 용기에 토출하는 펌프와 그 흡인관로에 연통된 공기 흡입구와 밸브가 열릴때에는 그 공기 흡입구를 대기에 해방하는 개폐밸브와 소정의 추출 개시 스위치의 조작에 응답해서 전기 펌프를 구동하는 동시에 그 펌프의 구동기간 중에 있어서 제1모우드로는 전기 개폐밸브를 닫아지는 것으로 제어해서 전기 온수 탱크에서 원료 용기에 온수를 토출하며, 제1모우드로 계속하는 제2모우드로는 그 개폐 밸브를 열리는 것으로 해서 전기 공기흡입구에서 흡인한 공기를 원료 용기에 토출시키게 하는 제어장치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온수 탱크와 펌프와의 사이에 흡인 관로에 연통되는 공기 흡입구를 개폐밸브로 폐색, 개방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밸브가 닫아진때에는 이 펌프는 흡입관로에 의해 온수 탱크를 흡인하며, 다시 토출관에 의해 원료 용기에로 온수를 토출해서 그 가운데의 분말원료에 온수를 주입하는 액체 펌프로서의 작동을 하며 펌프 압력을 받아 힘있게 나가는 온수로 필터에서의 여과는 빨라진다.
그리고 온수를 주입한 후 밸브가 열리면 펌프는 공기 흡입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 펌프의 작동을 하며, 흡인된 공기는 노출관로에 의해 원료 용기에 토출된다. 이 때문에 원료 용기내부의 배출찌꺼기는 압숭된 공기에 의해 건조되며, 장시간에 걸쳐 필터로부더 물방울 형상으로 추출 음료가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서 추출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울더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고정구는 간직하는 구조에 의해 전기호울더를 고정시키게 하면 좋다.
이와 같이 고정구에 간직하는 구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원료용기를 세트한 호울더는 확실하게 본체의 온수 주입구에 간직, 고정할 수 있도록 된다.
또, 간직하는 구조는, 호울더의 외주부에 형성한 한조의 걸림구와 전기 고정구에 그 호울더를 편성한때에 전기 걸림구를 걸리게 하도록 그 고정구의 내주면에 형성한 홈부와로부터 구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호울더 측의 한조의 걸림구와 구정구측의 내주면의 홈과가 끼워 맞춰 걸리게 한다는 간단한 간직하는 구조로 할 수 있으며, 더구나 이것에 의해 호울더의 고정은 확실하게 이루워 진다.
다시 고정구의 하부에는 걸림구의 한편을 전기 홈부에 꼬질때에 호울더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설치하며, 이 걸림구의 한편을 홈부에 걸리게 한때에 그 호울더를 고정구에 편성하여 내주면으로 따라가서 회동시키는 것으로 다른편의 걸림구도 홈부에 걸려서 고정이 완성되게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호울더를 안내부재에 따르게하여 한편의 걸림구가 고정구의 내주면 홈부에 걸리도록 위치를 맞춘후 회동하는 것으로 쌍방의 걸림구를 홈부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울더를 고정구에 장착이탈하는 것에 있어서 회동걸림이라는 대단히 간단한 방법으로 행하며, 우수한 조작성과 편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고정구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것이며, 전기 펌프로부터의 노출관로에 연통되어 있는 온수입구를 구비한 뚜껑체와 그 고정구에 전기 호울더를 고정시킨때 그 호울더의 상부 주연부와 전기 뚜껑체의 하부 주연부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과 전기 고정구와 호울더와를 고정시킨 상태로 전기 원료 용기를 전기 패킹으로부터 분리하는 바와 같은 방향에서 가세하는 가세부재와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것에 의해 원료 용기를 세트한 호울더를 가세부재에 의한 가세에 대항해서 고정구에 끼워 맞추며, 그리고 간직하는 구조에 의해 그 끼워 맞춤을 간직할 수 있다. 이때 호울더는 그 상부 주연이 패킹에 의해 뚜껑체의 하부주연과 밀착하기 때문에 호울더와 고정구와의 끼워 맞춤이 완성되며, 이 상태에서 온수공급장치에 의해 원료 용기에 온수를 압송하는 것으로 음료를 추출하게 되며, 패킹으로부터의 음료추출, 누출등도 없으며, 순조롭게 추출할 수 있다.
추출이 종료되면 원료 용기를 교환하는때에 간직하는 구조에 의한 간직을 해제하여 호울더를 고정구로부터 분리하는 바 이때 원료 용기는 가세부재에 가세되어서 패킹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에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원료용기는 호울더와 동시에 용이하게 본체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원료 용기의 원활한 교환을 할 수 있다.
또 뚜껑체는 전기 펌프로 압송된 온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실과 여러 저류실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복수의 분사구가 개구된 간막이판과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펌프로부터 압송되는 온수를 원료 용기 위방향으로 배설된 저류실에 일시적으로 저류 가능하게하며, 다시 그 저류실의 하면을 분사공이 복수 뚫여 설치된 간막이판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저류실에 일시적으로 저류된 온수를 그 분사공으로부터 원료 용기에로 분사하며, 그 원료 용기의 상면 전역에 걸쳐 빠짐없이 온수를 주입하며, 원료 용기의 내부의 추출 원료를 균일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원료 용기내의 추출원료를 고르게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판매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한편 온수탱크는 히이터를 구비한 탱크 본체와 그 댕크 본체의 수위와 동일한 스위를 표시하도록 그 탱크본체와 연통시킨 보조탱크와 그 보조탱크에 있어 전기 탱크 본체의 표준 가득찬 수위에서 위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한 제1과류구멍과 전기탱크 본체에 있어 전기 과류 구멍에서 위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게2과류구멍을 포함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주로 온수를 저류하고 있는 온수탱크 본체와는 별도로 열원을 갖지 않는 보조탱크를 설치하여 양자를 연통시키며, 비등때에는 보조탱크로부터 과류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비동에 의한 넘쳐 쏟아지는 물은 뜨거운 물이 아니며, 보조 탱크내부의 온도가 낮은 물을 흐르게 하므로 위험성은 경감되며, 안전한 온수탱크로 된다.
또, 온수탱크의 과류 구멍으로부터는 비등상태의 고온의 증기가 나오기 때문에 비등하고 있는 것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온수 탱크의 히이터를 중단하는 등 온수 온도의 조절도 완벽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필터를 구비하는 동시에 내부에 추출원료가 충전되고 있는 원료 용기에 온수를 주입하는것으로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전기 원료용기가 세트되는 호울더와 온수 탱크와 그 온수탱크로부터 흡인된 온수가 통과하는 흡인관로에 설치한 공기 흡입구와 밸브가 열린때에는 그 공기흡입구를 대기에 해방하는 개폐밸브와 흡입측이 전기 흡인관로에 접속되는 동시에 토출측이 전기 원료 용기에 연통되고있는 토출관로에 접속되는 펌프와 그 토출관로에 분기관로에 의해 접속되는 공기탱크와 전기토출관로가 전기공기탱크에 연통되고 있는 제1상태와 전기토출관로가 전기원료용기에 연통되고 있는 제2상태와 공기탱크와 전기원료 용기와가 그 토출과로에 의해 연통되는 제3상태와에 대체가능한 대체수단과, 제1모우드에 있어서는 전기 개폐밸브를 개방시키는 동시에 전기 대체수단을 제1상태로 제어하며, 소정의 추출개시스위치의 조작에 응답해서 시작하는 제2모우드로는 전기펌프를 구동하여 전기 개폐 밸브를 닫는 것에 제어하는 동시에 전기 대체수단을 제2상태로 제어하며, 추출 종료에 시작하는 제3모우드로는 전기 대체수단을 제3상태로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로부터 이루며, 전기 공기탱크는 전기 대체 수단이 제1상태에 있을때는 전기토출관로에 토출되는 공기를 분기 관로에 의해 넣어 압착한 상태로 수용하며, 그 대체 수단이 제3상태에 있을때는 압착 공기를 전기원료 용기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추출대기때에 개폐밸브를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펌프를 구동시켜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인관로에 의해 공기를 흡인하며, 다시 토출 관로에로 토출하면 제2상태에 있는 대체수단은 토출되는 공기를 분기 관로에 의해 공기 탱크에로 송출해서 이 공기를 공기탱크에 압착한 상태로 저장하며, 추출 동작때에는, 개페밸브를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펌프를 구동시켜서 온수 탱크로부터 흡인관로에 의해 온수를 흡인하며, 다시 토출관로에 토출하면 제1의 상태로 대체한 대체수단은 이 온수를 분말 받이부에로 인도하고, 계속 펌프를 정지시키며, 대체수단은 제3의 상태로 대체하면, 미리 공기 탱크내부에 저장된 압착된 공기는 원료용기에로 인도되며 원료용기내의 추출 찌꺼기를 건조시켜서 장시간에 걸쳐 필터로부터 물방울 형상의 추출음료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체수단과 공기탱크를 새로히 가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음료추출 대기때에 공기 탱크에 압착된 공기를 보충하며, 음료추출때에는 분말 받이부에 온수를 주입한 후에 미리 공기 탱크에 압착해서 수용되고 있는 공기를 분말받이부에 인도할 수 있기 때문에 분말받이부에 온수를 주입한 후에 분말 받이부에 송출하는 공기를 순간적으로 효율좋게 송출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음료추출시간을 더 한층 단축하는 것을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실시예와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제1도를 사용하여 제1의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페리스터 펌프(Peristal Pump)(1)의 입구측과 온수를 저류한 온수탱크(2)와의 사이에는 흡인관로(3)가 배관되고 있으며, 그 흡인관로(3)는 공기흡인관로(4)에 의해 공기흡입구(5)에 연통되고 있다. 또, 그 공기 흡입구(5)는 개폐 밸브로서의 전자밸브(6)에 의해 개폐되며, 그 전자밸브(6)의 밸브가 열린때에는 전기 공기흡입구(5)는 대기에 개방된다.
또, 전자 밸브(6)의 밸브가 닫아진때에는 온수탱크(2)의 온수를 사이폰 튜우브(Siphon tube)(7)흡인관로(3)에 의해 페리스터펌프(1)가 흡인하게 된다. 온수 탱크(2)에는, 그 내측 저부에 대용량 히이터(8a)와 소용량 히이터(8b)와로 이루는 가세용의 히이터(8)가 배설되고 있는 동시에 측부에는 온수가 감소된때에 물을 보급하기 위한 급수구(9)를 상단에 가지는 보조탱크(10)가 설치되고 있다. 이 보조탱크(10)를 구비하는 온수탱크(9)의 구성등에 대해서는 위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 비등상태에 있는 온수에 있어 발생하는 거품이 사이폰튜우브(7)에 흡입되지 않도록 온수 탱크 내부에는 거품 흡입방지판(11)이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페리스터 펌프(1)는 양단에 로울러(1R)를 가지는 회전체(1A)를 구비하며, 이 회전체(1A)의 회전에 의해 로울러(1R)가 가요성의 튜우브(lB)를 압연하는 것으로 그 튜우브내의 액체를 누르도록 되고 있다. 그리고, 페이스터 펌프(1)의 토출측에는 토출관로(12)가 접속되며, 그 선단에는 온수도입구(13)가 정부에 개구하고 있는 모자형상의 뚜껑체(14)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 뚜껑체(14)의 하면 주면에 패킹(15)에 의해 원료 용기(16)의 외주연이 밀착하도록 부착된다. 원료용기(16)중에는 코오피 분말등의 추출원료가 수용되며, 또 아래 저면에 필터(17)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17)로 여과된 추출음료는 컵(19)에 받아진다. 그리고, 이 원료 용기(16)는 카아트리지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교환가능하게 호울더(18)에 세트되며, 그 호울더(18)가 뒤에 설명하는 고정구에 부착 간직된다.
그런데, 전자 밸브(6)의 개폐에 의해 페리스터 펌프(1)는 흡인관로(3)에 의해 온수 탱크(2)와 연통 혹은 외기와 연통하도록 된다.
이 때문에 전기전자 밸브(6)의 밸브가 닫아진때에 전기 페이스터펌프(1)가 구동하면 전기온수탱크(2)의 온수는 전기 흡인 관로(3)에 의해 전기 페리스터 펌프(1)에로 흡인되면 한편, 전기전자밸브(6)의 밸브가 열린때에 전기 페리스터 펌프(1)가 구동하면 전기 공기 흡입구(5)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페리스터 펌프(1)는 전기 공구흡입구(5)로부터 전기 공기흡입관로(4) 및 전기 흡인관로(3)에 의해 공기를 흡인하게 되며, 페리스터펌프(1)에 흡인된 온수 및 공기는 토출관로(12)에 의해 원료용기(16)에로 토출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음료추출때에는 전자밸브(6)를 밸브가 닫아진 상태에서 페리스터 펌프(1)가 온수탱크(2)의 온수를 사이폰튜우브(7) 흡인관로(3)에 의해 흡입하며, 다시 토출관로(12)에 의해 뚜껑체(14)의 온수도입구(13)로부터 원료용기(16) 내부에로 이온수를 토출한다.
이것에 의해 원료 용기(16) 내부에 수용된 추출원료로서의 분말형상의 코오피 원두와의 혼합액체는 필터(17)로 여과되며, 추출 찌꺼기와 추출 음료로서의 코오피로 분리된다. 또, 이 추출찌꺼기는 필터(17) 위에 잔류되며, 한편 코오피는 컵(19)에로 인도된다.
그리고, 페리스터 펌프(1)가 그 컵(19) 한잔분의 코오피의 추출에 필요한 량의 온수까지 흡인한 싯점에서 전자 밸브(6)를 밸브가 열리게하면 그 페리스터 펌프(1)는 공기흡입구(5)로부터 공기 흡입관로(4) 및 흡입관로(3)에 의해 공기를 흡인하며, 다시 토출관로(12)에 의해 원료 용기(16)에로 공기를 토출한다.
이 원료 용기(16)에로 토출된 공기는 그 원료 용기(16) 내부의 추출찌꺼기에 붙여지며, 이 추출찌꺼기에 부착한 수분을 건조시킨다. 그리고, 미리 축정에 의해 구해진 필터(l7)로부터 물방울 형상의 코오피가 떨어지지 않게 되는데에 필요한 기간에 걸쳐서 전술한 공기의 토출을 계속한 후 페이스터 펌프(1)를 정지시켜 공기의 노출을 완료시킨다.
이 싯점에서 컵(19) 한잔분의 음료추출 동작은 완료된다. 다시 다음 차레의 음료추출 동작을 행할 때에는 카아드리지 형상의 원료용기(16)를 새로운 원료용기(16)로 교환해서 이하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이 제1도에 표시하는 제1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음료추출장치의 동작의 설명이다.
다음에 제2도를 사용하여 제2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음료추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 있어서의 제1도와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물건 또는 동등한 물건을 표시하는 물건으로하며, 제2도에 표시하는 음료추출장치에서는 제1도에 표시하는 음료추출장치의 구성에 가하여 토출관로(12)에서 분기한 분기관로(20)와 그 분기관로(20)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를 압착상태로 수용하는 공기탱크(21)와 대체수단을 구성하는 제1의 2방향 밸브(22) 및 제2의 2방향밸브(23)와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음료추출대기때에는 전자 밸브(6)를 밸브가 열리게 하며, 공기 흡입구(5)를 대기에 개방시킨 상태로 페리스터 펌프(1)를 구동시키면 그 페리스터펌프(1)는 공기 흡입관로(4) 및 흡인관로(3)에 의해 전기공기 흡입구(5)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며, 다시 이 공기를 토출관로(12) 및 분기관로(20)에 의해 공기탱크(21)에로 토출한다. 또한 이때 제1의 2방향 밸브(22)는 달아질 밸브상태이며, 한펀 제2의 2방향 밸브(23)는 열린 밸브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페리스터 펌프(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 탱크(21)에로 인도되어 그 공기탱크(21)에 압착된 상태로 수용된다. 그리고, 공기탱크(21)의 내부의 압력이 소정치에 도달한 것을 도시하지 않은 압력센서가 검지한 싯점에서 페리스터 펌프(1)는 정지하며, 공기탱크(21)에의 공기의 압송을 종료한다.
또, 음료추출동작때에는 전자밸브(6)를 밸브가 열리게 하며, 공기 흡입구(5)를 대기로부터 차폐한 상태에서 페리스터펌프(1)를 구동시키면 그 페리스터펌프(1)가 온수탱크(2)의 온수를 흡인관로(3)에 의해 흡인하여, 다시 토출관로(12)에 의해 원료용기(16)과 이 온수를 토출하는 것에 의해 그 원료 용기(l6) 내부에 수용된 분말형상의 코오피 원두에 온수가 주입되며, 다시 온수와 분말 형상의 코오피 원두와의 혼합액체는 필터(17)로 여과되며, 추출 찌꺼기와 코오피로 분리된다.
또, 이 추출 찌꺼기는 필터(17)위에 잔류되며, 한편 코오피는 컵(19)에로 인도된다. 또한 이때 제1의 2방향 밸브(22)는 밸브가 열린 상태에 있으며, 제2의 2방향 밸브(23)는 밸브가 닫아진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페리스터 펌프(1)로부터 토출되는 온수는 원료 용기(16)에로 인도된다.
그리고, 페리스터 펌프(1)가 컵(19) 한잔분의 코오피 추출하는 것에 필요한 온수량을 원료 용기(16)에로 압송하면 전자밸브(6)는 밸브가 열려서 흡인관로(3) 내부의 온수를 온수탱크(2)에 되돌리며 다시 페리스더 펌프(1)는 정지한다.
계속해서 제1의 2방향 밸브(22) 및 제2의 2방향 밸브(23)의 양편을 밸브가 열리게 되면 공기탱크(21)에 압착 상태로 수납되고서 있던 공기는 원료용기(16)에로 인도되어서 필터(17) 위에 있는 분말형상의 코오피원두와 온수와의 혼합물을 가압하여 여과를 빠르게 하며, 다시 추출 찌꺼기에 붙여져 이 추출찌꺼기에 부착된 수분을 건조시킨다. 그리고, 미리 측정에 의해 구해진 추출찌꺼기의 건조에 필요한 시간에 걸쳐 제1의 2방향 밸브(22) 및 제2의 2방향밸브(23)를 밸브가 열리게 한다.
또한 공기탱크(2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페리스터펌프(1)가 정지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페리스터 펌프(1)측으로 역류하지 않고 전체 원료 용기(16)측으로 인도된다. 이 싯점에서 컵(19) 한잔분의 음료추출동작은 완료된다. 다시 다음차례의 음료추출 동작을 행할때에는 카아드리지 형상의 원료용기(16)를 새로운 원료용기(16)로 교환하여 이하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음료추출대기대의 공기탱크(21)에 의해 공기의 보충은 공기탱크(21)의 용량에 따라 1회의 음료추출마다 행해도 좋으며, 수회의 음료추출마다 행해도 좋다.
또, 펌프는 페리스터펌프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와 온수의 양편을 압력 이송할 수 있는 것이면 벨로우즈펌프(Bellows Pump) 또는 전자 펌프 등으로도 지장 없으며, 다시 대체수단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둘방향밸브를 2개 사용하고 있었으나 분기관로(20)와 토출관로(12)의 분기부에 3방향 밸브 또는 3방향 회전콕율을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술한 음료 공급장착을 편성한 코오피 써어비스등의 음료 공급기는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본체(25)는 그 뒤방향내부에 온수 탱크(2)를 구비하는 동시에 앞부분 아래 방향에는 추출 음료가 공급되는 컵(19)을 재치하기 위한 트래이(26)를 설치하고 있다. 또 트래이(26)와 대향하는 프런트부(27)에는 페리스터 펌프(1)가 내장되고 있는 동시에 프런트부(27)에는 추출개시 스위치(28) 급수램프(29) 판매전램프(30) 추출중 램프(3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런트부(27)의 축부에는 전원스위치(32)와 형광등 스위치(33)와가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프런트부(27)의 하면에는 원료용기(16)를 세트한 호울더(18)를 본체(25)에 부착할때의 호울더 안내부재(39)가 설치되고 있다. 한펀 온수탱크(2)에는 급수때에 여분으로 급수된 물이 넘쳐 쏟아지는 과류관(40)과 비등때의 증기 배출용의 과류관(41)과를 설치하며, 후자의 과류관(41)에는 비등 방지용의 더어모스태드(34)가 설치되고 있다. 또, 온수탱크(2) 내부의 적당한 높이 위치에는 공분 방지용의 더어모스태트(35)기 배설되어서 전기 비등 방지용의 더어모스태트(34)와 함께 안전장치를 형성하고 있다. 온수탱크(2) 내부에 삽입한 플로우트(36)는, 그 상하 작동에 있어서 도시 하지 않는 탱크 하한 스위치와 탱크 상한스위치를 작동해서 히이터(8)의 통전 제어 및 급수램프(29)의 점등제어를 한다. 다시 감온부(感溫音)를 온수탱크(2) 내부에 배치하여 온수온도를 검출하며, 물이 보급된 직후의 온수온도가 낮은 때등에는 대용량의 히이터(8a)로 대체 접속시키는 적당한 온도 더어모스위치(37)와 감은 부가 증기 배출용의 과류관(41)의 표면에 부착되어서 소용량의 히이터(8b)을 온.오프하는 온도 조절 더어모스위치(38)와가 설치되고 있다. 또, 본체(25)의 위 방향부 내에 온수 배출 전자밸브(58)가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제5도 내지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에 대해 착탈이 자재로운 호울더(18)는 핸들부(18A)와 둥근고리부(18B)와로 이루며(제5도) 둥근고리부(18B)의 중공부분에는 원료용기(16)가 세트된다.
이 원료용기(16)는 둥근 고리부(18B)에 세트되기 용이하도록 카아드리지 형상을 이루며, 저면에 필터(17)를 구비하고서 내부에 추출 원료를 수납하고 있다. 호울더(18)는 원료용기(16)가 세트된 상태로 본체(25)에 고착되고 있는 고정구(45)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고정구(45)의 상부개구를 페색하는 뚜껑체(14)에는 전기페리스터 펌프(1)로부터 토출되는 온수를 일시적으로 저류가능한 저류실(42)이 설치되며, 그 저류실(42)의 하면은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분사공(43)···(43)이 뚫여 설치된 간막이판(44)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저류실(42)을 설치하며, 그리고 그 하면은 다수의 분사공(43)···(43)을 뚫어 설치한 간막이판(44)으로 구분하면 페리스터 펌프(1)로부터 토출관로(12)에 토출된 온수는 뚜껑체(14)의 온수도입구(13)에서 전류실(42)에 압송되어서 그것에 일시적으로 저류되며, 그후 분사공(43)(43)으로부터 원룡요기(16)의 상면의 전역에 걸쳐 완전히 분사되게 된다.
이 때문에 페리스터 펌프(1)가 맥류(脈流)를 이르커도 원료용기(16)에는 대략 일정한 유량으로 주입되며, 다시 원료용기(16)내의 분말형상의 코오피 원두에 빠짐없이 온수가주입된다.
따라서 추출이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한편 추출후 페리스터 펌프(1)에 의해 흡인되며, 뚜껑체(14)에로 압송되는 공기도 이 분사공(43)…(43)으로부터 완전히 분사되어서 원료용기(16)의 필터(17) 위에 수분을 포함하여 잔류되고 있는 추출 찌꺼기의 건조하는 시간도 빨라지며, 필터(17)로부터 코오피의 물방울이 언제까지라도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서 추출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호울더(18)는 고정구(45)에 대해 그 외주부가 고정구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바와 같은 관계로 끼워맞추며, 또한 그 상부 주연이 간막이판(44)의 주연부에 배설한 패킹(15)과 밀착하는 바 그 구성 및 이것의 끼워 맞춤을 간직하는 구조를 다음에 설명한다.
고정구(45)는 호을더(18)의 둥근고리부(18B)의 외주와 대략 합치하는 중공부(45B)의 외주부와 대향하게 되는 내주면에는 이것의 내주면에 따라가는 동기(46)를 설치하는 것으로 홈부(47)를 형성하고 있다. 홈부(47)에는 호울더(18)의 둥근 고리부(18B)의 외주부에 설치한 한조의 걸림구(48A)(48B)가 걷여진다. 걸림구(48A)(48B)는 호울더(18)를 본체(1)에 꼬지는 화살표 방향 a에 따라가서 중공부분을 끼워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걸림구(48A)와 핸들부(18A)와는 동일한 축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46)에는 호울더(18)를 고정구(45)에 화살표 방향 a에 꼬진때 걸림구(48A)와 대향하는 부분을 절개하여 호울더(18)를 고정구(45)에 끼워 맞춘때의 걸림구(48A)의 도피부(49)(제9도)를 형성하고 있다. 또, 고정구(45)의 하부에는 호울더(18)를 꼬진때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39)를 설치하고 있다. 안내부재(39)는 호울더(18)의 하면과 접촉하는 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면은 호울더(18)를 화살표 방향 a에 꼬지는 때에 걸림구(48B)가 홈부(47)와 걸리도록 어느 경사로써 고정구(45)에 부착되고 있다.
또 호울더(18)와 고정구(45)와의 끼워 맞출때에 그 호울더(18)에 세트되고 있는 원료용기(16)를 아래방향에 가세하는 부재로서 스프링(50)을 뚜껑체(13)의 칸막이판(44)에 부착하고 있다.
이 스프링(50)에 의해 추출종료후 호울더(18)를 고정구(45)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의 탄발력을 받아서 원료용기(16)는 호울더(18)와 동시에 용이하게 본체(25)로부터 분리된다.
호울더(18)를 고정구(39)에 부착하는데에는 먼저 호울더(18)를 안내부재(31) 위에 재치(제5도)하여 화살표방향 a에 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호울더(18)는 안내부재(39)의 경사면에 따라가 이동하며, 걸림구(48B)가 홈부(47)에 걸린다(제6도). 그리고 이 걸림을 지점으로서 스프링(50)이 원료용기(16)를 가세하는 힘에 대향해서 호울더(18)를 위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걸림구(48A)가 도피부(49)를 통해서 고정구(45)의 중공부(45B)에 들어가며, 고정구(45)에 호울더(18)가 끼워 맞춰진다(제7도). 그후 핸들부(18A)를 화살표방향 b에 회동시키면(제8도) 걸림구(48A)도 홈부(47)에 들어가 고정구(45)와 호울더(18)와의 끼워맞춤이 완성된다.
이 상태는 걸림구(48A)(48B)가 동시에 돌기(46)에 지지되어서 홈부(47)에 걸려 있으며, 패킹(15)으로 완전하게 시일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예에 있어서는 홈부(47)과 걸림구(48A)(48B)와로 또 스프링(50)에 의한 가세에 대항해서 호울더(18)와 고정구(45)와의 끼워맞춤을 간직하는 간직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호울더(l8)를 본체(25)에 부착한 상태에서 추출스위치(28)가 조작되면 페리스터펌프(1)가 구동해서 온수탱크(2)의 온수가 사이폰 튜우브(7) 및 흡인관로(3)에 의해 흡인되며, 다시 토출관로(12)를 통해서 뚜껑체(14)의 온수도입구(13)로부터 원료용기(16)에 압송된다. 이 페이스터멈프(1)는 회전체(lA)의 회전에 의해 가요성의 튜우브(1B)를 압연하는 것으로 그 튜우브내의 액체를 밀어내는 구성이다. 이것에 의해 원료용기(16)내에 압송된 온수는 추출원료와 혼합되며, 그리고 필터(17)를 통과해 추출음료로서 컵(19)에 공급된다.
음료추출후 원료 용기(16)의 교환때문에 호울더(18)를 분리하는 데에는 이것까지와 반대의 동작을 행하는바 홈부(47)와 걸림구(48A)(48B)와의 걸림을 해제해서 고정구(45)로부터 호울더(18)를 분리한때 이것에 맞추워서 원료 용기(16)는 스프링(50)의 가세력으로 패킹(15)에서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호울더(18)의 분리할때에 배관내부가 부압으로 되고 있어도 원료용기(16)는 호울더(18)에 세트된 상태에서 확실하게 고정구(45)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제10도 및 제11도는 가세부재로서 압축 스프링(51)을 사용한 예를 표시하고 있으며, 하단을 뚜껑체(14)에 설치한 축받이(52)에 소정의 스트로우크(Stroke)로써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는 축(53)을 호울더(18)와 고정구(45)와의 끼워 맞출때에는 압축스프링(51)으로 원료용기(16)를 아래 방향에 가세하도록 되어있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가세부 재로서는 호울더(18)에 쿠션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호울더(18)를 본체(25)로부터 분리할때에 원료용기(16)를 아래바향에 밀어내는 스프링(50) 또는 압축 스프링(51)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원료용기(16)도 호울더(18)와 동시에 분리할 수 있으며, 원료용기(16)의 교환이 용이하게 행해져서 조작성의 우수한 것으로 된다.
다음에 온수탱크(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2도 내지 제1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히이터(8a)(8b)를 구비하는 온수 탱크 본체(2A) 내부의 온수를 사이폰튜우브(7)에 의해 전술한 페이스터펌프(1)에서 흡인된다. 또, 온수탱크본체(2A) 내부에는 물이 공급에 적당한 소정 온도로 된것을 검출하기 위한 적당한 온도 더어모스위치(37)의 감은부(37a)가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플로우트(36)를 구비한 저수량 검출장치(55)는 온수탱크 본체(2A) 내부의 수위의 상하에 연동해서 각각 온.오프하는 상한 스위치(54A) 및 하한스위치(54B)를 포함하고 있다. 이 상한 스위치(54A)는 온수탱크 본체(2A)의 저류수가 결핍해서 급수를 지시하는 경보신호를 발하도록 되고 있다.
또 하한 스위치(54B)는 히이터(8a)(8b)의 통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온수탱크 본체(2A) 내부의 수위가 제13도에 표시하는 단계로부터 다시 하회해서 히이터(8a)(8b)나 고온 더어모스위치(37)의 감은부(37a)가 노출하는 수위에 약간의 여유분을 가한 제14도에 표시하는 단계로 되면 히이터(8a)(8b)의 통전을 중단하도록 되고 있다.
그리고, 온수탱크본체(2A)의 일측상부에는 과류구멍(60)이 설치되며, 이 과류구멍(60)에는, 실리콘튜우브(62)에 의해 파이프(63)가 접속되고 있으며, 파이프(63)에는 온수탱크 본체(2A) 내부의 비등을 방지하도록 히이터(8a)(8b)의 통전을 제어하는 비등방지용 더어모스태프(34)가 설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더어모스태르(34)는 대략 50℃-70℃인 범위내의 비추력(比推力)에 의해 히이터(8a)(8b)의 통전을 제어하도록 되고 있다. 또 이 파이프(63)의 표면에는 온도 조절 더어모스위치(38)의 감은부(38a)를 부착하고 있다. 한편 온수 탱크본체(2A)와 동일한 수위로 되도록 저부에서 연통해 있는 보조 탱크(10)가 설치되며, 그 상부는 급수구(9)로 되어 있다. 또한 온수탱크본체(2A) 내부의 거품 흡입방지판(11)은 제1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연통공(11A)가 뚫어 설치되며, 이 연통공(11A)을 통해 온수가 들어가고 나가고 한다.
그리고 보조탱크(9) 측에도 과류구멍(61)이 설치되며, 이 과류구멍(61)은 온수탱크 본체(2A)의 표준 수위보다 위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수탱크 본체(2A)측의 과류 구멍(60)은 과류구멍(61)의 위치에서 더한층 위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이 표준 가득찬 수위는 온도의 상승에 의해 수위가 증가하여도 온수가 보조탱크(10)측의 과류구멍(61)으로부터 넘쳐쏟아지는 일이 없는 것 같은 단계에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온수탱크본체(2A)의 저류수가 감소된것으로 상한 스위치(54A)가 전기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이것에 의해 램프가 검등되든지 또는 경보음향이 발성하는 등하여 관리자가 저류수가 부족하고 있는 것을 알아 미리 정해진량의 물을 급수구(9)에서 보급하면 온수탱크본체(2A) 내부의 수위는 대략 표준 가득찬 위치까지 회복하도록 되고 있다.
상기의 온수탱크는 온수탱크본체(2A) 내부의 수위가 표준가득찬 수위에 있으면 비등에 의해 수위가 상승되어도 어떤것의 과류구멍(60)(61)으로부터도 뜨거운 물이 넘쳐 나오는 일이 없다.
그리고 비등에 의한 고온의 증기가 과류구멍(60)에 흘러 들어가면 더어모스태트(34)의 작동에 의해 히이터(8a)(8b)의 통전이 정지되어서 계속하여 비등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표준 가득찬 수위를 상회해서 급수되면 비등때의 열팽창으로 수위가 과류구멍(6l)의 단계를 넘는일이 있다. 그런데 보조탱크(10)에는 히이터가 배설되고 있지 않기때문에 온수탱크본체(2A)가 비등하여도 과류구멍(61)으로부터 유출하는 오수는 기껏 50℃-60℃ 정도이기 때문에 위험은 적다. 이때 과류구멍(60)은 과류구머(61)보다 위방향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부터 뜨거운물이 유출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과류거멍(60)에서부터는 고온의 증기만이 배출되기때문에 비등 방지더어모스태드(34)가 작동해서 히이터(2)의 통전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물온도의 상승에 수반하는 체적등가나 비등에 의해 수위가 홑어지는 것에 의해 넘치는 물은 과류구멍(61)으로부터 배출하며, 비등에 의한 고온의 증기는 과류구멍(60)으로부터 배기하는 것으로 과류구멍(60)(61)의 역활을 분리시키고 있다.
따라서 증기의 온도에 의해 히이터(8a)(8b)의 통전을 제어하는 더어모스태드(34)를 과류구멍(60)에 연통하는 파이프(63)에 배치하여도 과류구멍(60)으로부터 온수가 넘쳐 쏟아져 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증기 온도에 의한 제어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는 온수탱크에 의해 비등에 의한 넘치는 물은 뜨거운 물이 아닌 온수의 상태에서 보조 탱크측의 과류 구멍으로부터 유출하기 때문에 안전한 온수탱크게 제공된다. 그리고 온수탱크본체측의 과류 구멍으로부터 비등상태의 고온의 증기가 나오기 패문에 비등하고 있는 것을 정확하게 검출할수 있다.
다음에 제어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제1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라인 Ll, L2사이에는 제어장치 C가 접속되고 있는 동시에 탱크 상한스위치(54A)에 의해 급수램프(29)를 접속하고 있으며, 급수램프(29)는 탱크내의 수위가 상한단계를 나누어 탱크상한스위치(54A)가 온 한때에 통전되어서 구동하도록 되고 있다. 그 급수램프(29)가 점등되면 오페레이터는 보조탱크(10)에 필요한 부분의 급수를 행한다.
또, 전원라인 Ll, L2사이에는 탱크하한 스위치(54B) 비등방지용의 더어모스태트(34), 공분(空焚) 방지용의 더어모스태프(35) 및 적당한 온도 더어모스위치(37)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적당한 온도 더어모스위치(37)는 센서부(37a)를 온수탱크(2) 내부에 배치하고 있으며, 온수의 온도가 약 98℃ 이상으로 되면 H접점으로부터 L접점으로 전환하도록 되고 있다. 그리고, 1kw의 히이터(8a)는 적당한 온도 더어모스위치(37)의 H접점에 의해 전원라인 Ll, L2에 접속되고 있으며, 온수탱크(2) 내부의 수위가 하한 단계 이상에 있어 탱크하한 스위치(84B)가 온하고 있어 비등방지 더어모(34) 및 공분(空焚) 방지더어모(35)가 각각 정상으로 또한 온수 탱크(2) 내부의 온수온도가 약 98℃ 미만이면 통전의 수위가 하한 단계이상에 있어 탱크하한 스위치(54B)가 온하고 있으며, 더어모스태드(34) 및 더어모스태드(35)가 각각 정상인것이며 또한 온수탱크(2) 내부가 비등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통전된다.
그리고 통전에 의해 온수탱크(2) 내부가 비등하면 온도 조절 더어모스위치(38)가 오프하며 400W의 히이터(8b)는 통전이 정지된다.
추출 스위치(38) 및 추출중 램프(31)는 탱크 하한 스위치(54B)에 의해 전원라인 Ll, L2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있으며, 온수 탱크(2) 내부의 수위가 하한 단계 이상의 상태로 추출개시 스위치(28)를 조작하면 추출중 램프(31)가 구동하도록 되고 있다. 또, 추출개시 스위치(28)는 제어장치에도 접속되고 있으며 제어장치는 이 추출 개시스위치(28)의 온에 응답해서 추출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고 있다.
제어장치는 단자 ① ④로 전원라인 Ll, L2에 적속되는 동시에 단자 ②에는 추출스위치(28)가 접속되며, 단자 ③ ⑥에는 온수 빼는 전자밸브(58)가 접속되며, 단자 ⑤에는 펌프모우터 1M가 접속되고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는 구체적으로는 타이머로 구성되고 있으며, 추출 개시스위치(28)의 조작에 응답해서 펌프모우터 1M 및 온수빼는 전자밸브(58)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16도는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아트이며, 이 차아트에 의거 추출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장치는 추출 개시스위치(28)가 온된 것에 의한 신호가 단자 ①에 입력되면 단자 ⑤로부터 펌프모우터1M에 25초 동안 구동신호를 부여한다. 한편 제어장치는 추출 개시스위치(28)의 온으로 부터의 12초 동안이며, 이 모우드에서는 펌프모우터 1M가 구동하여 온수빼는 전자밸브(58)가 닫고 있기때문에 원료공급에 온수가 공급된다. 제2모우드는 추출스위치(28)의 온으로부터 12초가 경과하고부터 시작해서 펌프모우터 1M가 정지할때까지의 기간이며, 이 모우드로는 온수 빼는 전자밸브(58)가 개방하기 때문에 배관 내부에는 공기가 도입되고서 에어 흐름이 행해진다.
그리고 펌프 모우터 1M의 정지에 의해 추출 동작이 종료되는 바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계속 온수빼는 전자밸브(58)를 8분동안에 걸쳐 개방한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즉, 추출동작이 행해지면, 관료는 온수의 통과에 의해 따뜻해져 있으나, 이때 추출동작의 종료에서 온수빼는 전자밸브(58)를 즉시 닫으면 닫은 후 시간이 경과되어 관로가 식어지는 것에 따라서 관내부의 압력이 저하된다. 그리고 이 부압은 온수탱크의 온수를 횹인관로(3)에 흡인하고 하는바 이것에 의해 관로에 남은 온수가 식어지면 다음에 추출 동작을 행한때 더운 온수를 원료 용기(16)에 공급하고마는 나쁜 형편이 발생한다. 따라서 추출 동작의 종료후도 계속 온수빼는 전자밸브(58)를 개방하도록 제어장치를 계획하는 것으로 추출후 관로가 식어져도 관내부의 압력은 대기에 개방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온수의 흡입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장치는 추출동작의 종료후 온수빼는 전자밸브(58)를 개방시키고 있는 기간에서 추출개시스위치(28)가 조작된때는 즉시 온수빼는 전자밸브(58)를 닫아서 추출 동작의 제어를 개시하도록 계획되고 있다.

Claims (8)

  1. 필터(17)를 구비하는 동시에 내부에 추출원료가 충전되고 있는 원료 용기(16)에 온수를 주입하는 것으로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전기 원료용기(16)가 세트되는 호울더(18)와 온수탱크(2)와 그 온수탱크(2)로부터 흡인관로(3)에 의해 흡인한 온수를 토출관로(12)에 의해 전기원료용기(16)에 토출하는 펌프(1)와 그 흡인관로(3)에 연통된 공기홉입구(5)와 그 공기흡입구(5)를 대기에 해방하는 개폐밸브와 추출개시스위치(28)의 조작에 응답해서 전기펌프(1)를 구동하는 동시에 그 펌프(1)의 구동기간 중에 있어서 제1모우드로는 전기개폐밸브(6)를 닫는 것으로 제어하여 전기 온수탱크에서 원료용기(16)에 온수를 토출하며, 그 제1모우드에 계속하는 제2모우드로는 그 개폐밸브(6)를 열리는 것으로 제어하여 전기공기 흡입구(5)에서 흡인한 공기를 원료용기(16)에 토출시키는 제어장치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호울더(18)를 간직하는 구조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4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음료추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 간직하는 구조는 전기호울더(18)의 외주부에 형성한 한조의 걸림구(48A)(48B)와 전기 고정구(45)에 그 호울더(18)를 편성한때에 전기 걸림구(48A)(48B)를 걸리도록 그 고정구(45)의 내부면에 형성한 홈부(47)와로부터 이룬것을 특징으로 한 음료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다시 전기 고정구(45)의 하부에는 전기 걸림구(48A)(48B)의 한편을 전기 홈부(47)에 꽂일때에 전기 호울더(18)의 이동을 안내하기위한 안내부재(39)를 설치하며, 그 걸림구(48A)(48B)의 한편을 전기홈부(47)에 걸리게 한 때에 그 호울더(18)를 전기 고정구(45)에 편성하며, 전기내주면에 따라가서 회동시키는 것으로 다른편 걸림구도 전기홈부(47)에 걸려서 고정이 환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음료추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전기 고정구(45)의 상부개구를 폐색하는 것으로 전기펌프(1)로부터의 토출관로(12)에 연통되고 있는 온수 도입구(13)를 구비한 뚜껑체(l4)와 그 고정구(45)에 전기호울더(18)를 고정시킨 때 그 호울더(18)의 상부 주연부와 전기뚜껑체(14)의 하부 주연부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15)과 전기 고정구(45)와 전기호울더(18)와를 고정시킨 상태로 전기 원료용기(16)를 전기 패킹(15)으로부터 분리하는 바와같은 방향에서 가세하는 가세부재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음료추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 뚜껑체(14)는 전기펌프(1)로 압송된 온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실(42)과 그 저류실(42)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복수의 분사공(43)이 개구된 칸막이 판(44)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음료추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온수탱크(2)는 히이터를 구비한 탱크본체(2A)와 그 탱크 본체(2A)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표시하도록 그 탱크본체(2A)와 연통시킨 보조탱크(10)와 그 보조탱크(10)에 있어 전기탱크본체(2A)의 표준 가득찬 수위보다 위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제1과류구멍(60)과, 전기탱크본체(2A)에 있어 전기 과류 구멍(60)보다 위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제2과류구멍(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음료추출장치.
  8. 필더를(17) 구비하는 동시에 내부에 추출원료가 충전되고 있는 원료 용기(16)에 온수를 주입하는 것으로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장치에 있어서, 전기원료용기(16)가 세트되는 호울더(18)와 온수탱크(2)와, 그 온수탱크(2)로부터 흡인된 온수가 통과하는 흡인관로(3)에 설치한 공기흡입구(5)와 밸브가 열린때에는 그 공기 흡입구(5)를 대기에 해방하는 개폐밸브와 흡입측이 전기 흡인관로(3)에 접속되는 동시에 토출측이 전기 원료용기(16)에 연통되고 있는 토출관로(12)에 접속되는 공기탱크(21)와 전기토출관로(12)가 전기공기탱크(21)에 연통되고 있는 제1상태와 전기토출관로(12)가 전기원료 용기(16)에 연통되고 있는 제2상태와 공기탱크(21)와 전기원료용기(16)와가 그 토출관로(12)에 의해 연통되는 제3상태와에 대체 가능한 대체 수단과, 제1모우드에 있어서는, 전기 개폐 밸브를 개방시키는 동시에 전기 대체수단을 제1상태로 제어하며,소정의 추출 개시 스위치(28)의 조작에 응답해서 시작하는 제2모우드로는 전기 펌프를 구동하며, 전기 개페밸브를 닫는 것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전기 대체수단을 제2상태로 제어하며, 추출 종료에 시작하는 제3모우드로는 전기 대체수단을 제3상태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며, 전기공기 탱크(21)는 전기대체수단이 제1상태에 있을때는 전기토출관로(12)에 토출되는 공기를 분기관로(20)에 의해 넣어 압축한 상태로 수용하며, 그 대체 수단이 제3상태에 있을때는 압착공기(歷搾空氣)를 전기 원료용기(16)에 도입하는 것을 특정으로 한 음료추출장치.
KR1019900004200A 1989-03-27 1990-03-27 음료 추출장치 KR930002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5739? 1989-03-27
JP89-75739 1989-03-27
JP7573989A JP2752140B2 (ja) 1989-03-27 1989-03-27 飲料抽出装置
JP89-50396 1989-04-28
JP???1-50396? 1989-04-28
JP1989050396U JPH02142233U (ko) 1989-04-28 1989-04-28
JP1110012A JPH0671453B2 (ja) 1989-04-28 1989-04-28 飲料抽出装置
JP???1-110012? 1989-04-28
JP89-110012 1989-04-28
JP???1-156250? 1989-06-19
JP15625089A JPH06103514B2 (ja) 1989-06-19 1989-06-19 温水タンク
JP89-156250 1989-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041A KR900015041A (ko) 1990-10-25
KR930002030B1 true KR930002030B1 (ko) 1993-03-22

Family

ID=2746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200A KR930002030B1 (ko) 1989-03-27 1990-03-27 음료 추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83504A (ko)
EP (1) EP0392254B1 (ko)
KR (1) KR930002030B1 (ko)
AU (1) AU630438B2 (ko)
CA (1) CA2013149C (ko)
DE (1) DE6901171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61106A1 (en) * 1992-02-12 1993-08-13 Rodney Lewis Baxter Beverage preparing assemblies
IT1255166B (it) * 1992-06-24 1995-10-20 Macchina per caffe' espresso con valvola di controllo del flusso d'acqua
US5297472A (en) * 1992-09-29 1994-03-29 Vki Technologies, Inc. Beverage extraction device
JPH09327387A (ja) * 1996-06-11 1997-12-22 Sanden Corp コーヒー抽出装置
US6079315A (en) * 1999-01-19 2000-06-27 Keurig, Inc.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US6082247A (en) * 1999-01-19 2000-07-04 Keurig, Inc. Apparatus for consecutively dispensing an equal volume of liquid
EP1123676A1 (en) * 2000-02-08 2001-08-16 Sanden Corporation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open receptacle interposed between a hot water tank and a hot water pump
ATE366072T1 (de) 2001-03-16 2007-07-15 Procter & Gamble Aufbrühgeräte zur herstellung von sahnigen getränken
WO2003030696A1 (en) * 2001-10-05 2003-04-17 Hp Intellectual Corp. Coffee maker
JP4410102B2 (ja) * 2002-07-09 2010-02-03 ザ・コカ−コーラ・カンパニー 熱い飲料用のフォームミルク及びスチームミルクを作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A2492634A1 (en) * 2002-07-15 2004-01-22 Bunn-O-Matic Corporation Heated substance reservoir baffle
FR2855734B1 (fr) * 2003-06-06 2005-07-08 Seb Sa Cafetiere filtre avec distribution d'eau chaude dans le couvercle.
DE10334542A1 (de) * 2003-07-29 2005-02-17 Pav Patentverwertung Kg Brühvorrichtung mit elastischem Element zum Niederhalten des Kaffeepads
US7685932B2 (en) * 2003-11-07 2010-03-30 Bunn-O-Matic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water
US7523695B2 (en) * 2003-12-12 2009-04-28 Keurig, Incorporated System for dispensing metered volumes of heated water to the brew chamber of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DE102004004817A1 (de) * 2004-01-30 2005-08-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elektronische Steuereinrichtung zum Steuern von Heizvorgängen in einer Kaffeemaschine
ATE484223T1 (de) * 2004-02-06 2010-10-15 Bunn O Matic Corp Vorrichtung, system und verfahren zum rückhalten von getränkeaufgusssubstanz
US7503253B2 (en) * 2004-02-09 2009-03-17 Bunn-O-Matic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fusing a pre-packaged pod
US20050274738A1 (en) * 2004-05-26 2005-12-15 Tomsic Steven F System and method to heat and dispense water
US7337704B2 (en) * 2005-05-25 2008-03-04 Sunbeam Products, Inc. Single serve beverage maker with coordinated heating and pumping periods
US8387516B1 (en) * 2005-12-02 2013-03-05 D. Michael Reynolds Coffee maker
US7819284B2 (en) * 2006-02-09 2010-10-26 Robert Hale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in a beverage brewing machine
ITMI20060945A1 (it) * 2006-05-12 2007-11-13 Illycaffe Spa Procedimento di estrazione di caffe' espresso particolarmente da una cartuccia con setto generatore di crema e bevanda ottenibile dal procedimento.
KR101148249B1 (ko) * 2006-09-07 2012-05-21 큐릭, 인코포레이티드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ITBO20070302A1 (it) * 2007-04-24 2008-10-25 Gino Rapparini Perfezionamenti alle macchine per ottenere infusi tipo espresso
IT1393374B1 (it) * 2008-09-11 2012-04-20 Lancellotti Apparecchio per travasare aceto balsamico tradizionale ad alta densita'
CN102958409A (zh) 2010-07-08 2013-03-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牛奶起泡系统
DE102011077776B4 (de) * 2011-06-17 2013-11-14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Vorrichtung zum Erhitzen und Aufschäumen eines Getränkeprodukts
US20130140323A1 (en) * 2011-12-02 2013-06-06 Shanghai Kohler Electronics, Ltd. Liquid foaming soap dispenser
KR101897569B1 (ko) * 2013-12-04 2018-09-13 코웨이 주식회사 커피추출장치
JP6255535B2 (ja) * 2014-09-23 2017-12-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液体容積測定装置
US10874246B2 (en) * 2014-10-06 2020-12-29 Coffee Solutions, Llc Beverage brew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CN106136920B (zh) * 2015-03-30 2019-03-12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咖啡机的供液系统及其控制方法、咖啡机
US20170099983A1 (en) * 2015-10-07 2017-04-13 Hamilton Beach Brands, Inc. Single Reservoir Beverage Maker
CN106382750A (zh) * 2016-11-15 2017-02-08 芜湖艾尔达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加热水路排水结构
WO2020054488A1 (ja) * 2018-09-14 2020-03-19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CN109363509A (zh) * 2018-11-30 2019-02-22 浙江酷菲尔电器有限公司 一种气泵增压式胶囊咖啡机
IT202000016552A1 (it) * 2020-07-08 2022-01-08 Gruppo Cimbali Spa Macchina da caffè espress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77843B (de) * 1954-08-07 1960-03-17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Brueharmatur fuer Kaffeemaschin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3278087A (en) * 1964-07-01 1966-10-11 Stasse Roland Hot-drink dispensing machine
US3423209A (en) * 1965-11-23 1969-01-21 Robert L Weber Brewing selectable variable quantities of coffee
CH457761A (de) * 1967-05-22 1968-06-15 Eveco Trust Reg Dampf- und Wasseraufbereitungsmaschine,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Kaffee- und Teeaufgüssen, mit einer elektrischen Heizung
US3478670A (en) * 1968-06-28 1969-11-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Air operated single cup coffee brewer
US3570390A (en) * 1969-12-04 1971-03-16 Hans Jordan Coffee maker, or the like
AR206717A1 (es) * 1974-07-19 1976-08-13 Melitta Inc Dispositivo automatico para preparar cafe
AU531449B2 (en) * 1979-11-19 1983-08-25 Zip Heaters (Australia) Pty Limited A continuous water heating unit
IT1131540B (it) * 1980-06-10 1986-06-25 Illycaffe Spa Macchina da caffe' espresso che estrae il caffe' da cialde di caffe
US4402257A (en) * 1981-07-01 1983-09-06 Marotta Vincent G Electric coffee maker
DE3208623C1 (de) * 1982-03-10 1983-03-10 Patzner GmbH + Co., 6990 Bad Mergentheim Bruehtrichter fuer eine Kaffeemaschine
BE894192A (fr) * 1982-08-25 1983-02-25 Herstal Sa Cuiller a cafe pour machines type espresso
JPS59165081U (ja) * 1983-04-19 1984-11-06 富士電機株式会社 ホツトアンドコ−ルド式飲料自動販売機
DE3316158A1 (de) * 1983-05-03 1984-11-08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7340 Geislingen Kaffeemaschine zum wahlweisen bruehen von normalkaffee oder espresso
JPS6057885U (ja) * 1983-09-26 1985-04-22 富士電機株式会社 フレツシュプリュ−コ−ヒ−抽出装置
JPS61149112A (ja) * 1984-12-25 1986-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抽出装置
GB8611831D0 (en) * 1986-05-15 1986-06-25 Sankey Vending Ltd Supplying water for beverage brewing apparatus
JP2600177B2 (ja) * 1987-06-30 1997-04-16 ソニー株式会社 リール台の回転駆動装置
CH677070A5 (ko) * 1988-06-08 1991-04-15 Nestle Sa
IT1227631B (it) * 1988-11-29 1991-04-23 Micromax Spa Macchina automatica, ad uso domestico,per la preparazione di caffe' espresso o di infuso di caffe' alla tedes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83504A (en) 1992-01-28
KR900015041A (ko) 1990-10-25
DE69011717T2 (de) 1995-03-30
CA2013149C (en) 1997-03-11
AU630438B2 (en) 1992-10-29
EP0392254B1 (en) 1994-08-24
CA2013149A1 (en) 1990-09-27
AU5221090A (en) 1990-09-27
EP0392254A1 (en) 1990-10-17
DE69011717D1 (de) 199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030B1 (ko) 음료 추출장치
US7210401B1 (en) Single cup pod beverage brewer
BG65572B1 (bg) Устройство за приготвяне на напитка
KR880002105A (ko) 후혼합 자동음료판매기용 급수조
CN112789236B (zh) 用于分配水和风味饮料的液体分配器
EP3818915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beverage preparation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such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JP3649555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3155531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JP3567893B2 (ja) 電気湯沸かし器
JP2689554B2 (ja) スチームアイロン
CN212972710U (zh) 一种热饮机
JP4063427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装置
JPS6339806Y2 (ko)
JPH02195915A (ja) 電気湯沸かし器
JPS6225827Y2 (ko)
JPH109557A (ja) 石油燃焼装置
JP3531365B2 (ja) 石油燃焼装置
JPH071068Y2 (ja) 電気貯湯容器
JPH09117373A (ja) 飲料製造装置
JP2004317036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GB2024159A (en) Beverage dispenser
JPH0415098A (ja) アイロン装置
JPH0250726B2 (ko)
JP2001101518A (ja) 飲料抽出装置
JPH10169968A (ja) 石油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