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547B1 -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547B1
KR930000547B1 KR1019890701501A KR890701501A KR930000547B1 KR 930000547 B1 KR930000547 B1 KR 930000547B1 KR 1019890701501 A KR1019890701501 A KR 1019890701501A KR 890701501 A KR890701501 A KR 890701501A KR 930000547 B1 KR930000547 B1 KR 930000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lifting
loading base
lev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006A (ko
Inventor
세이죠 미요시
유끼오 모리오까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 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나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 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나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쓰시다 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701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메카니즘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메카니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수평 구동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매거진의 록과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6도는 로딩베이스의 수직 구동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매의 디스크를 수납할 수 있고 또 그 수납된 임의의 디스크를 순차 선택하여 연속된 연주가 가능한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근년,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가 각종 발매되고, 그 이용량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6 내지 10매의 디스크를 차례로 연속 연주할 수 있는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가 각종개발되었다. 이 멀티 디스크플레이어로서는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신호를 독해하는 광픽업블록 전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연속 연주하는 형태의 것이 많으며, 무거운 광픽업블럭을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이것을 구동하는 메카니즘이 복잡하고 고가인 것으로 되어 있었다.
이하에 상술한 종래의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종래의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를 나타낸다. 제8도에 있어서, 트레이(101)의 디스크 담지부 (101a)에 재치된 디스크(102)는 매거진(103)의 6단에 형성된 선반(103a)에 차례로 배열, 수납되어 있고, 각각 인출하여 수납 자유롭게 되어 있다.
104는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메카니즘 본체이고, 매거진을 수납하기 위해
Figure kpo00001
자상으로 형성된 매거진 베이스(105)에는 상시, 상기 매거진(103)이 정위치에 수납되어 있다.
106은 매거진 압출레버이고, 상시 매거진(103)의 삽입에 의하여 ″가″방향으로 압압되어 있으나 인장스프링(107)에 의하여 ″나″방향으로 압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08은 매거진을 록하기 위한 매거진 록레버로서, 인장스프링(109)에 의하여 매거진(103)의 측벽에 형성된 요부(103b)와 계합하여 매거진(103)의 ″나″방향으로의 압출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10은 플랜저이고, 매거진(103)을 취출할 때 통전에 의하여 록레버(108)와 매거진(103)의 측벽에 형성된 오부(103b)의 계합을 해제하고, 매거진(103)은 매거진 압출레버(106)에 의하여 압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111은 매거진의 압출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제어장치이고, 매거진 압출레버(106)에 압접하여, 매거진(103)의 압출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12는 트레이훅으로서, 트레이(101)를 연주개시 위치까지 공급하기 위한 로딩베이스(113)에 설치된 가이드축(114)에 안내되어 ″가″-″나″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15는 로딩베이스 상에 설치된 트레이이훅 구동모터이고, 풀리(116)와 벨트(117)에 의하여 트레이훅(112)을 ″가″-″나″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트레이(101)에 설치된 요부(101b)가 상기 트레이훅(112)과 계합하여 배거진(103)으로 부터 트레이(101)를 인출하고,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18은 로딩베이스(113)에 설치되고, 트레이(101)를 광픽업블럭(119)의 턴테이블(120)상에 안내하여 디스크(102)의 연주를 개시시키기 위한 트레이 가이드이다.
121은 스크류나사로서, 로딩베이스(113)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해, 로딩베이스(113)의 주위에 3개소 설치된 암나사부(112)와 감합하여, 로딩베이스(113)를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123은 3본의 스크류나사(121)의 하부에 설치된 소치차(124)와 맞물려 3본의 스크류나사를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벨트로서, 승강구동모터(125)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하여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한다.
6매의 디스크(102)와 트레이(101)가 수납된 매거진(103)을 매거진 베이스 (105)에 삽입하면, 매거진 압출레버(106)의 되돌려 보내는 힘과 매거진 록레버(108)에 의하여 정위치에 록된다. 다음에 로딩베이스(113)가 승강구동모터 (125)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하고, 트레이훅(112)과 트레이(101)의 요부(101b)가 계합하는 높이에서 정지한다.
이어서, 트레이훅 구동모터(115)가 정회전하여, 트레이훅(112)이 트레이(101 )를 ″가″방향으로 인출하고 디스크(102)의 중심이 턴테이블(120)의 중심장에 오면 정지하여 연주가 개시된다.
연주가 종료되면 트레이훅 구동모터(115)가 역회전하여 트레이훅(112)이 트레이(101)를 화살표 ″나″방향으로 되돌려 매거진(103)내에 수납한다.
플랜저(110)가 통전하면, 매거진 록레버(108)와 매거진(103)의 요부(103b)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매거진(103)은 매거진 압출레버(106)에 의하여 ″나″방향으로 압출되어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 본체(104)로 부터 취출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무거운 광픽업블럭(119), 트레이훅 구동모터 등을 조합한 로딩베이스(113)를 3본의 스크류나사(121)에 의하여 승강시키기 때문에 강한 승강구조를 필요로 하는 외에도, 구조 전체로서도 복잡하게 되어 고가인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 로딩베이스(113) 전체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승강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무거운 광픽업블럭, 트레이훅, 트레이훅 구동모터등을 본체측에 구성하고, 로딩베이스 전체를 가볍게 하여 승강속도의 고속화와 승강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는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는, 복수의 디스크를 동심으로 쌓아 올려 수납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 대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여 저장된 임의의 디스크를 선택하는 로딩베이스와; 상기 로딩베이스의 일부에 설치된 승강랙을 포함하고, 상기 로딩베이스의 일부에 승강구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로딩베이스의 승강구동부와;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메카니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랙을 구동하는 승강캠과; 메카니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캠을 회전시켜 상기 로딩베이스가 상기 매거진의 하나의 선반에 간헐적으로 상하로 승강하게 하는 상기 승강캠의 구동원과; 일단이 상기 로딩베이스에 축지되고, 타단이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메카니즘 본체에 섭동 가능하게 축지된 승강레버와; 일단이 상기 메카니즘 본체에 축지되고, 타단이 상기 로딩베이스에 섭동 가능하게 축지된 보조승강레버와; 상기 승강레버나 상기 보조승강레버중의 하나의 대략 중심에 설치되는 편과; 상기 승강레버나 상기 보조승강레버중의 다른 하나의 대략 중심에 설치되는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레버가 상기 핀과 상기 긴 구멍에 의해 상기 보조승강레버와 계합되어 대략 X자 형상으로 교차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딩베이스가 상기 두개의 레버에 의해 수평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로딩베이스의 일부에 설치된 승강랙과, 상기 승강랙을 구동하는 상기 메카니즘 본체에 설치된 승강캠과, 승강캠의 구동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원으로 부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승강캠을 회전함으로써 상기 승강랙을 상하 방항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로딩베이스의 일단에 설치된 1개의 승강랙을 메카니즘 본체측에 설치된 1개의 승강캠에 의하여 상하로 구동시키고, 로딩베이스의 측부에 설치된 승강레버 및 보조승강레버로 이루어지는 로딩베이스의 수평 유지구조를 구동하고, 로딩베이스의 수평도를 유지하면서 로딩베이스 전체를 상하로 구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결과 1개의 승강랙과 승강캠만으로 상하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승강 구동부하가 가볍고, 고속으로 상하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트레이의 디스크담지부(1a)에 재치된 디스크(2)는 매거진(3)의 6단에 형성된 선반(3a)에 차례로 배열, 수납되어 있고, 각각 인출하여 수납 자유롭게 되어 있다.
4는 본 발명의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메카니즘 본체이고, 매거진을 수납하기 위해 그자형으로 형성된 매거진 베이스(5)에는 상시, 상기 매거진(3)이 매거진 베이스(5)에 형성된 스토퍼(5a)에 당접하는 위치까지 삽입되고 있다.
6은 매거진 베이스(5)에 삽입된 매거진(3)의 튀어나옴을 방지하기 위한 매거진 록레버이고, 매거진 베이스(5)의 하부에 설치된 매거진 베이스기판(7)상의 설치축(8)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9는 매거진 록레버(6)를 회동시키기 위한 록레버 인장스프링이고, 매거진 록레버(6)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 걸림핀(6a)과, 매거진 베이스기판(7)에 설치된 스프링 걸림부(7a)와의 사이에 부세되어 있다.
6b는 매거진 록레버(6)의 선단부에 형성된 훅부이고, 매거진 베이스(5)에 설치된 개구부(5b)를 관통하여 매거진(3)의 측벽에 형성된 요부(3b)와 계합하고, 매거진 (3)의 튀어나옴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0은 트레이훅이고, 매거진(3)에 수납된 트레이(1)의 요부(1b)에 계합하여 트레이(1)를 인출하는 것이고, 양단에 트레이(1)를 안내하는 트레이 가이드(11)가 설치된 로딩베이스(12)의 벤딩부(12a)에 따라 ″가″-″나″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레이훅블럭(13)에 설치되어 있다.
14는 트레이(1)를 ″가″-″나″방향으로 구동시켜 매거진(3)으로 부터 취출 수납하기 위하여 트레이훅블럭(13)을 ″가″-″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랙이고,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부(14a, 14b)가 메카니즘 본체(4)의 벤딩부(4a)와 맞물려 ″가″-″나″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14c는 상기 구동랙(14)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방향으로 향하는 단면 요상의 주부(柱部)이고, 트레이훅블럭(13)의 철부(13a)가 감합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분해도이고, 15는 메카니즘 본체(4)상에 설치된 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구동랙의 톱니(14c)와 맞물려 구동력을 ″가″-″나″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기어이다.
17은 구동기어(15) 및 구동풀리(18)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감속을 행하기 위한 중간기어로서, 축(19)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0은 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구동풀리(18)와, 모터(22)의 상부에 설치된 풀리(2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22)의 회전을 구동풀리(18)에 전달하기 위한 벨트이다.
24는 기어세트 레버이며, 축(2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일단의 요부(24a)와 메카니즘 본체(4)에 설치된 스프링 걸림부(4b)와의 사이에 기어세트 스프링(26)이 부세되고 있다.
24b는 기어세트 레버(24)의 타단에 설치된 철부이고, 제3도 a와 같이 구동랙 (14)이 구동기어(15)에 의하여 ″나″방향으로 보내졌을 때 구동랙(14)의 철부(14d )의 경사면(14e)을 더욱 ″나″방향으로 누르고, 구동랙(14)의 결치(缺齒)(14b)와 구동기어(15)를 떨어뜨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위치에 있어서 트레이훅(10)은 매거진(3)에 수납된 트레이(1)의 요부(1b)에 일정한 틈으로, 감합하고 있어 ″다″-″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7은 매거진(3)을 ″나″방향으로 압출하는 차동랙으로 구동랙(14)의 하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고, 구동기어(15)와 감합하여 ″가″-″나″방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구동랙(14)의 톱내(14g)의 중심선과 차동랙(27)의 톱니(27a)의 중심선은 평면으로 동일선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27b는 구동랙(14)의 긴구멍(14h)의 표면상측에 돌출된 매거진(3)을 압출하는 압출부이고, 인장스프링(28)에 의하여 상시 구동랙(14)의 긴구멍 단부(14h')까지 끌어당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구동랙(14)의 톱니(14g)와 차동랙(27)의 톱니(27a)는 산, 곡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도 a는 트레이훅(10)이 트레이(1)를 매거진(3)중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메카니즘 본체(4)상에 설치된 스위치(29)는 차동랙(27)에 설치된 스위치 압압부(27c)에 의하여 압압되어 ON상태가 되고, 스위치(30)는 OFF 상태가 되는 위치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기어(15)가 제3도의 b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차동랙(27)을 ″가″방향으로 구동하고, 다음에 구동랙(14)과 동시에 차동랙(27)이 구동기어(15)와 맞물려 ″나″방향으로 진행하여 차동랙(27)과의 맞물림이 종료하여 구동랙(14)이 다시 ″가″방향으로 구동되면, 차동랙(27)의 단부(27d)가 메카니즘 본체(4)의 스토퍼부(4c)에 당접하여 고정되고, 또 구동랙(14)이 ″가″방향으로 진행하면 차동랙(27)은 구동랙(14)상을 슬라이드하고, 제3도 b의 상태가 되면, 트레이훅(10)이 트레이(1)를 매거진(3)으로 부터 ″나″방향으로 인출하여, 트레이(1)에 재치된 디스크(2)의 중심이, 제2도와 같이 메카니즘 본체(4)에 설치된 이미 알려진 광픽업블럭(31)의 턴테이블(32)의 중심에서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스위치(29)는 OFF 상태가 되고, 스위치(30)는 구동랙(14)의 철부(14d)에 압압되어 ON상태가 되는 위치관계로 구성된다.
다음에 제3도 c의 화살표와 같이 구동기어(15)가 역회전하면 구동랙(14)은 ″나″방향으로 구동되고, 차동랙(27)의 압출부(27b)가 인장스프링(28)에 의해 인장되어 구동랙(14)의 긴구멍 단부(14i)에 당접한다.
또 구동랙(14)이 ″나″방향으로 구동되면 차동랙(27)과 구동랙(14)은 모두 구동기어(15)와 맞물려 제3도 a와 같이 구동기어(15)와 구동랙(14)의 걸어맞춤이 이탈되고, 기어세트 레버(24)에 의하여 구동랙(14)이 다시 ″나″방향으로 압압되면 구동랙(14)의 단부(14j)가 메카니즘 본체(4)의 스토퍼부(4d)에 당접하여 고정된다.
또 구동기어(15)가 제3도 c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동랙(27)만이 ″나″방향으로 구동되고, 제4도와 같이 압출부(27b)의 한쪽에 경사면을 형성한 압압부 (27b)가, 메카니즘 록레버(6)의 하측에 형성된 완곡한 리브부(6c)를 압압하고, 매거진 록레버(6)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 매거진(3)의 측벽에 형성된 요부(3b)로 부터 매거진 록레버(6)의 선단부에 형성된 혹부(6b)의 록을 해제하고, 또 차동랙(27)이 ″나″방향으로 구동되면, 매거진 베이스기판(7)에 설치된 이젝트레버(33)의 압압부 (33a)가 차동랙(27)의 압압부(27b)에 압압되어 ″나″방향으로 매거진(3)을 압출하므로 제3도 c의 상태가 된다.
이젝트레버(33)는 매거진 베이스기판(7)에 설치된 축(34)과 긴구멍(33b)이 감압하여 일정량 ″가″-″나″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일단의 벤딩부(33c)가 매거진(3)의 하부를 압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스위치(29)는 차동랙(27)의 스위치 압압부(27e)에 의해 ON상태가 되고, 스위치(30)는 차동랙(27)의 스위치 압압부(27b)에 의해 ON상태가 되는 위치관계로 구성된다.
제3도 d 및 제5도와 같이 매거진(3)을 매거진 베이스(5)에 삽입하면, 매거진 록레버(6)는 인장스프링(9)에 의하여 화살표 ″마″방향으로 회동하고, 매거진(3)의 측벽에 설치된 요부(3b)에 훅부(6b)가 계합하여 매거진(3)이 ″나″방향으로 나오지 않도록 록된다.
이젝트레버(33)는 ″가″방향으로 압압되어 차동랙(27)의 압출부(27b)를 ″가″방향으로 구동한다. 이때 스위치(30)는 차동랙(27)의 스위치 압압부(27b)로 부터 떨어져 OFF가 되고, 스위치(29)도 차동랙(27)의 스위치 압압부(27e)로 부터 떨어져 OFF가 되며, 모터(22)가 회전하여 구동기어(15)를 제3도 d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차동랙(27)만이 ″가″방향으로 구동되어 제3도 a의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차동랙(27)이 모터(22)에 의하여 구동되어 ″가″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5도와 같이 경사면을 형성한 압압부(27b')의 사면에서 매거진 록레버(6)의 리브부(6c)를 ″사″방향으로 밀어 올려 통과한다.
또한 매거진 룩레버(6)는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스프링성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고, 박육에 형성한 스프링부(6d)가 상기 리브부(6c)를 ″사″방향으로 밀어올릴 때, 벤딩되어 상기 압압부(27b')가 매거진 룩레버(6)의 리브부(6c)를 통과하면 다시 상기 리브부(6c)는 ″아″방향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5는 승강용 모터이고, 상부에 설치된 풀리(36)와, 메카니즘 본체(4)에 설치된 축(3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풀리기어(38)의 사이에 벨트(39)가 설치되어 있다.
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중간기어(41)는 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승강캠(43)의 기어부(43a) 및 상기 풀리기어(38)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6도에 있어서, 44는 로딩베이스(12)의 하부에 설치된 승강랙이고, 상기 승강캠(43)과 맞물려 로딩베이스(44)를 ″다″-″라″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43b는 승강캠(43)의 하부에 링형상으로 형성된 센서 벽부이고, 슬릿부(43b')가 형성되어 있다.
45는 광전식 스위치이고, 상기 승강캠의 회전수를 슬릿부(43b')의 통과에 의하여 카운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랙(44)의 톱니와 톱니 사이에 간격은 매거진(3)의 선반(3a)의 선반과 선반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승강캠(43)의 1회전에 의하여 1톱니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46은 리미트 스위치로서 승강랙(44)이 ″라″방향으로 승강하고, 트레이훅 (10)이 매거진(3)의 최하단의 선반위치 이하로 내려갔을 때 승강랙(44)에 형성된 철부(44a)가 리미트 스위치(46)을 ON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47은 로딩베이스(12)의 경사를 방지하기 위한 타이밍 기어이고, 로딩베이스 (12)의 양측면에 설치된 구멍(12b)에 관통된 기어축(48)의 양단에 고정된다.
5b는 매거진 베이스(5)의 양단에 설치된 톱니부로서, 상기 타이밍기어(47)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어축(48)의 양단에 타이밍기어(47)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안내부(48a)는 매거진 베이스(5)의 양단에 형성된 안내홈(5c)에 감압하여 타이밍기어(47)가 매거진 베이스의 톱니부(5b)로 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49,50은 로딩베이스(12)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레버 및 보조승강레버이고, 로딩베이스(12)의 좌우에 각 1쌍씩 설치되어 있다.
승강레버(49)의 일단에 설치된 구멍(49a)에 로딩베이스(12)에 설치된 축(51)을 감합시켜 축지함과 동시에 승강레버(49)의 중앙부에 설치된 축(52)을 보조승강레버(50)의 중앙부에 설치된 긴구멍(50a)에 감합시켜, 승강레버(49)의 타단에 설치된 축(53)을 메카니즘 본체(4)에 설치된 설치부(54,54')의 긴구멍(54a,54a')에 삽입하고, 보조승강레버(50)의 일단에 설치된 구멍(50b)에 메카니즘 본체(4)에 설치된 지지부(55,55')의 축(55a,55a')을 삽입하여 축지하고, 보조승강레버(50)의 타단에 설치된 긴구멍(50c)에 로딩베이스(12)에 설치된 축(56)을 삽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축(51)이 ″다″방향으로 구동될 때 승강레버(49)의 축(52)이 보조승강레버(50)의 긴구멍(50a)의 상부를 들어올려 축(51)이 ″다″방향으로 구동된 양만 보조승강레버 (50)의 긴구멍(50c)이 로딩베이스(12)에 설치된 축(56)을 ″다″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로딩베이스(12)를 수평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고, 플레이어 하우징(57)의 프론트패널(58)에는 플레이어 하우징(57)내에 디스크를 수납하기 위한 매거진(3)의 정착용 개구부(58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패널(58)상에는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보턴군(59)과 표시부(60)가 설치되어 있다.
4는 본 발명의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메카니즘 본체이고, 플레이어 하우징 (57)내에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하여 이하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7도에 나타내는 조작보턴군(59)이 조작됨으로써, 연주되도록 디스크가 지정되면, 승강용 모터(35)에 구동전압이 공급되고, 승강캠(43)과 승강캠(44)의 구동에 의하여 로딩베이스(12)가 ″다″방향으로 상승하여 지정된 디스크의 위치에 고정된다. 이 위치는 광전식 스위치(45)의 카운트수에 따라 이미 알려진 마이크로컴퓨터와의 조합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어서, 모터(22)에 구동전압이 공급되고, 구동랙(14) 및 차동랙(27)이 구동기어(15)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가″방향으로 구동되므로 제3도 b의 상태에서 스위치(30)가 ON하여 정지한다.
이때, 트레이훅블럭(13)은 철부(13a)와 구동랙(14)의 주부와의 감합에 의하여 모두 ″가″방향으로 구동되고, 광픽업블럭(31)은 턴테이블(32)의 중심과 트레이(1)상의 디스크(2)의 중심이 대략 일치할 때까지 트레이훅(10)이 트레이(1)를 인출한다.
다음에 승강용 모터(35)에 역회전 전압이 공급되면, 로딩베이스(12)가 ″라″방향으로 강하하여 리미트 스위치(46)를 누르기 때문에 일정량으로 더욱 강화하여 정지하다. 이 강하 위치는 광전식 스위치(45)의 카운트수에 의하여 기지의 마이크로컴퓨터와의 조합에 따라 행해진다.
이때 디스크(2)는 광픽업블럭(31)의 턴테이블(32)상에 공급되어, 디스크(2)와 트레이(1)와의 사이에 일정량의 틈을 유지하여 연주가 개시된다.
연주가 종료되면, 기지의 종단검출수단과 마이크로컴퓨터의 조합에 의하여 승강용 모터(35)에 구동전압이 공급되므로, 로딩베이스(12)는 ″다″방향으로 상승하여 컴퓨터에 기억되어 있는 최초로 취출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다음에 모터(22)에 역회전 전압이 공급되면 구동랙(14) 및 차동랙(27)은 ″나″방향으로 구동되고, 제3도 a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스위치(29)가 ON한다. 이때 트레이(1) 및 디스크(2)는 매거진(3)에 수납된다.
이어서, 승강용 모터(35)에 역회전 전압이 공급되면 로딩베이스(12)는 ″라″방향으로 강하하고, 리미트 스위치(46)를 ON시켜 정지하여 동작한다. 또한 조작보턴군(59)의 지정에 의하여 매거진내의 6매의 디스크를 차례로 연속 연주하거나, 원하는 디스크만의 프로그램 연주나 1디스크의 반복연주등도 기지의 마이크로컴퓨터와의 조합에 의하여 행할 수가 있다.
매거진(3)을 플레이어 하우징(57)으로 부터 취출할 때 제7도에 나타낸 조작보턴군(59)의 이젝트보턴을 조작하면, 제3도 c와 같이 차동랙(27)만이 ″나″방향으로 구동되고, 이어서 매거진 록레버(6)와 매거진(3)의 록이 해제된 후 이젝트레버(33)가 ″나″방향으로 압압되어 매거진(3)을 ″나″방향으로 압출하여 취출할수 가 있다. 이때 스위치(29,30)는 모두 ON상태가 된다.
매거진(3)을 플레이어 하우징(57)에 삽입할 때 제3도 d와 같이 매거진(3)이 이젝트레버(33)를 ″가″방향으로 압압하고, 이젝트레버(33)가 차동랙(27)을 ″가″방향으로 누르면 스위치(30)는 차동랙(27)의 스위치 압압부(27b)로부터 이탈되어 OFF가 되고, 제3도 a와 같이 스위치(29)가 차동랙(27)의 스위치 압압부(27c)에 의하여 ON될 때까지 차동랙(27)은 ″가″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로딩베이스의 일단에 설치된 1개의 승강랙을 메카니즘 본체측에 설치된 1개의 승강캠에 의하여 상하로 구동시켜, 로딩베이스의 측부에 설치된 승강레버 및 보조승강레버로 이루어진다. 로딩베이스의 수평유지구조를 구동하고, 로딩베이스의 수평도를 유지하면서 로딩베이스 전체를 상하로 구동하는 구조를 위해 승강구동부하가 경량이며, 고속으로 상하 구동을 행할 수 있는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할 수가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크 중 임의의 디스크를 순차 선택하여 디스크 연주부로 공급하기 위한 로딩베이스 전체를 가볍게 하여 승강속도의 고속화와 승강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디스크를 연주부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복수의 디스크를 동심으로 쌓아 올려 수납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 대향햐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여 저장된 임의의 디스크를 선택하는 로딩베이스와; 상기 로딩베이스의 일부에 설치된 승강랙을 포함하고, 상기 로딩베이스의 일부에 승강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로딩베이스의 승강구동부와;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메카니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랙을 구동하는 승강캠과; 메카니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캠을 회전시켜 상기 로딩베이스가 상기 매거진의 하나의 선반에 간헐적으로 상하로 승강하게 하는 상기 승강캠의 구동원과; 일단이 상기 로딩베이스에 축지되고, 타단이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메카니즘 본체에 섭동 가능하게 축지된 승강레버와 ; 일단이 상기 메카니즘 본체에 축지되고, 타단이 상기 로딩베이스에 섭동 가능하게 축지된 보조승강레버와; 상기 승강레버나 상기 보조승강레버중의 하나의 대략 중심에 설치되는 핀과; 상기 승강레버나 상기 보조승강레버중의 다른 하나의 대략 중심에 설치되는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레버가 상기 핀과 상기 긴 구멍에 의해 상기 보조승강레버와 계합되어 대략 X자 형상으로 교차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딩베이스가 상기 두개의 레버에 의해 수평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된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
KR1019890701501A 1987-12-09 1988-12-07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 KR930000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11502A JPH01151058A (ja) 1987-12-09 1987-12-09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ー
JP87-311502 1988-12-07
PCT/JP1988/001231 WO1989005508A1 (en) 1987-12-09 1988-12-07 Multi-disc p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006A KR900701006A (ko) 1990-08-17
KR930000547B1 true KR930000547B1 (ko) 1993-01-25

Family

ID=1801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501A KR930000547B1 (ko) 1987-12-09 1988-12-07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1151058A (ko)
KR (1) KR930000547B1 (ko)
WO (1) WO1989005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4307B2 (ja) * 1989-09-11 1998-09-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マガジン収納ディスクプレーヤ
JPH04221456A (ja) * 1990-12-22 1992-08-11 Sony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4302851A (ja) * 1991-03-29 1992-10-26 Sony Corp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プレーヤ
JP2815525B2 (ja) * 1992-08-19 1998-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7806A (en) * 1976-11-04 1978-05-25 Sanyo Electric Co Ltd Cassette mounting device of cassette type tape recorder
JPS5570968A (en) * 1978-11-24 1980-05-28 Berutetsuku Kk Record player
JPS5774802A (en) * 1980-10-24 1982-05-11 Canon Inc Cassette insertion device of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equipment
JPS5823358A (ja) * 1981-07-31 1983-02-12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936365A (ja) * 1982-08-23 1984-02-28 Marantz Japan Inc コンパクト・デイスク・オ−ト・プレ−ヤにおけるキヤリヤ
JPS59173156U (ja) * 1983-05-06 1984-11-1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円盤状情報記録媒体再生装置
JPS6082755U (ja) * 1983-11-11 1985-06-07 アイワ株式会社 デイスクチエンジヤ−装置
JPS60254450A (ja) * 1984-05-31 1985-12-16 Sony Corp デイスクチエンジヤ用デイスクパツク
JPS60194747U (ja) * 1984-11-08 1985-12-25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装着装置
JPS62109258A (ja) * 1985-11-07 1987-05-20 Kato Denki Kk 情報記録再生用デイスクの自動交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51058A (ja) 1989-06-13
KR900701006A (ko) 1990-08-17
WO1989005508A1 (en) 198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937B1 (ko) 디스크플레이어
US4755978A (en) Disc player
US5247500A (en) Elevating and lowering system in a multi-disk player
US5726967A (en) Disk playback apparatus for a disk player
KR930000547B1 (ko)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
JP2532556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
JP2679072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JP2553604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JP2532561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
KR100300375B1 (ko) 디스크장치
JP2563421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ー
JP2563422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ー
JP2548282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ー
JP2548276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JPH01151057A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ー
JPH01151059A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ー
JPH02276057A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JPH02201773A (ja) ディスクのオートチェンジャ装置
JPH07107770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ー
JP3570002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H01154360A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ー
JPH0636270B2 (ja) デイスクプレ−ヤのオ−トチエンジヤ−
JPH03263651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2216656A (ja) テーププレーヤのカセットチェンジャ
JPH07107769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