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700385A - 공중사격표적 - Google Patents

공중사격표적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700385A
KR920700385A KR1019900702656A KR900702656A KR920700385A KR 920700385 A KR920700385 A KR 920700385A KR 1019900702656 A KR1019900702656 A KR 1019900702656A KR 900702656 A KR900702656 A KR 900702656A KR 920700385 A KR920700385 A KR 920700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p
target
air
outlet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381B1 (ko
Inventor
케이. 러트렐 클라이드
티. 무어 도날드
Original Assignee
케이. 러트렐 클라이드
텔레다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 러트렐 클라이드, 텔레다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 러트렐 클라이드
Publication of KR920700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08Airborne targets, e.g. drones, kites, balloons
    • F41J9/10Airborne targets, e.g. drones, kites, balloons tow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중사격표적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예인항공기에 의해 견인되는 종래의 공중사격표적의 측면도,
제2도는 예인항공기에 의해 견인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사격표적의 일실시예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사격표적의 일실시예의 측면도.

Claims (62)

  1. 전방체 어셈블리와, 뜨개질방법에 의해 교차점에서 서로 결합되는 상호연결된 스트랜드를 구비하는 그물망으로 형성되는 유시계 오그멘터와,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를 상기 전방체 어셈블리에 부착시키는 부착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는, 전개될 때, 원통형의 개방전방단부와 부분적으로 폐쇄된 후미단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된 스트랜드가 서로 교차하여 다이아몬드형 개구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된 스트랜드가 다수의 짜여진 실로 형성되고, 하나의 상호연결된 스트랜드의 짜여진 실을 또다른 상호연결된 스트랜드의 짜여진 실에 엮음으로써 교차점에서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된 스트랜드가, 저장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약 1.22 내지 1.28인치의 정점 대 정점길이를 갖는 다이아몬드형 개구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된 스트랜드가, 저장상태에서 측면으로 약1/3인치의 정점 대 정점길이를 갖는 다이아몬드형 개구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짜여진 실이 나일론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8. 유시계 오그멘터와,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를 견인장치에 고정부착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착수단은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는 후프간에 연장되는 유연한 코넥터로 인해 상호 길이방향으로 변위되는 제1 및 제2 후프를 구비하며, 상기 제2후프는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의 전방단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코넥터는 공기 배출구가 인접판넬간에 형성되도록 상기 후프간에 배열되는 직물재료로 된 판넬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프는, 인장상태에서 각각의 판넬이 유입공기에 대해 약 15도의 공격각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후프보다 그 직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프의 직경이 상기 제2후프의 직경보다 약 1.087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이 비닐과 나일론이 적층된 천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은 상기 각각의 후프와 부착된 전방 및 후방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전방 가장자리의 폭은 후방 가장자리의 폭의 약 두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14. 제11항에 있어서, 인장상태일때 각각의 판넬은 상기 제1 및 제2후프 사이에서 약 5인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15. 전방체 어셈블리와,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후프와 상기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후프를 상호연결하는 수단을 갖춘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와,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에 부착된 전방부를 갖춘 유시계 오그멘터와, 상기 전방체 어셈블리에 고정부착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공통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랜치를 구비하여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를 상기 전방체 어셈블리에 부착하는 부착수단과,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브랜치의 자유단부에 부착되는 상승기와, 다수의 현수라인을 포함하며, 각 세트의 현수라인은 각각의 상기 상승기에 부착되고, 상기 현수라인은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에 연결하기 위해 외부로 분기연장되는 다수의 세트로 된 현수라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후프를 상호연결하는 상기 수단이 상기 전방 및 후방후프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유연한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판넬은 다수의 공기 배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후프를 중심으로 상호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현수라인은 각각 인접하는 판넬간에 상기 전방후프에 부착된 후방단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기, 현수라인 및 후프가 비금속 재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기의 길이가 약 5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라인의 길이가 약 5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20. 전방체 어셈블리와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후프와 상기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후프를 상호연결하는 상호연결 수단을 갖춘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와,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에 부착된 유시계 오그멘터와,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를 상기 전방체 어셈블리에 부착하는 부착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전방체 어셈블리에 고정부착되는 연결장치와, 상기 연결장치에 부착되는 전방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상승기와, 다수의 현수라인을 포함하며, 각 세트의 현수라인은 각각의 상기 상승기에 부착되고, 상기 현수라인은 상기 상승기의 후방단부에서 외부로 분기되어 연장되며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에 연결되는 다수의 세트로 된 현수라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수단이 상기 전방 및 후방후프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유연한 판넬을 구비하며, 상기 판넬은 다수의 공기 배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후프를 중심으로 상호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현수라인은 인접하는 판넬간에 상기 전방후프에 부착되는 후방단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후방후프는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장치가 상기 전방체 어셈블리의 후방단부에 연결되는 전당단부와 상기 전방체와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간의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장치에 부착되는 후방단부를 구비하는 드래그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가 선회 코넥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24. 전방체 어셈블리와, 유시계 오그멘터와,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와 상기 전방체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전방후프, 후방후프 및 상기 전방후프에 고정부차되는 전방단부와 상기 후방후프에 고정되는 후방단부를 구비하고 그들간에 공기 배출구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후프를 중심으로 직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유연한 판넬을 구비하는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후프의 직경이 상기 후방후프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후프의 직경이 상기 후방후프의 직경보다 약 1.087배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후프 사이에 인장상태가 형성될 때, 상기 유연한 판넬은 각각 유압공기에 대해 약12도 내지 18도의 공격각도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공격각도가 약 1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이 비닐재료로 형성됨으로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이 비닐로 된 두개의 외층과 나일론 직물로 된 내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를 상기 전방체 어셈블리에 연결하는 부착수단을 추가로 구성하며, 상기 부착수단의 길이가 10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가, 전개시 원통형 형상을 취하고 다이아몬드형 그물 개구부를 구비하는 그물망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33. 개방전방단부와 개방후미단부를 구비하고 그물망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스트랜드를 또다른 스트랜드에 엮음으로써 그 교차점에서 상호연결되는 다수의 교차 스트랜드로 형성되는 신장 가시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에 사용되는 유시계 오그멘터.
  34. 제33항에 있어서, 개방후미부는 당김코드를 포함하는 조정수단에 의해 그 크기가 변동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된 스트랜드가 서로 교차하여, 저장상태에서 상기 신장체의 방향으로 약 1.22 내지 약 1.28인치의 범위내에서 연장되는 정점 대 정점길이를 갖는 다이아몬드형 개구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된 스트랜드가 다수의 짜여진실로 형성되고, 상기 상호 연결된 스트랜트가 하나의 상호연결된 스트랜트의 짜여진 실을 또다른 상호연결된 스트랜드의 짜여진 실에 엮음으로써 교차점에서 함께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37. 서로 길이방향으로 변위되는 제1 및 제2후프와 상기 후프간에 연장되는 유연한 코넥터를 구비하는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와,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에 연결되는 유시계 오그멘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용 유시계 오그멘터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코넥터가 상기 후프간에 배열된 유연한 재료로 된 판넬로 형성되어 공기 배출구가 인접하는 판넬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각각의 판넬이, 인장상태에서, 유입공기에 대해 약 15도의 공격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후프의 직경이 상기 제2후프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시스템.
  40. 제38항에 있어서,각각의 판넬이, 인장상태에서, 유입공기에 대해 약 15도의 공격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후프의 직경이 상기 제2후프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후프가 유연한 비닐재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시스템.
  42. 제40항에 있어서, 각각의 판넬이, 인장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후프로 사이에서 약 5인치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시스템.
  43. 신장체와 개방전방 및 후미단부를 구비하는 유시계 오그멘터와,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의 전방단부에 부착되고, 제1 및 제2연결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연결수단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판넬을 포함하는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로 구성되며, 상기 판넬은 상기 판넬간에 공기 배출구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연한 지지수단을 중심으로 간격을 두개 배치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판넬을 경사지게 둘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수단이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의 최전방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링형상 후프이고, 상기 전방후프는 그 내경이 상기 후방 후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후프가 약 1.087배 만큼 상기 후미 후프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시스템.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후프의 내경이 약 32.6인치이고 상기 후미후프의 내경이 약 30.0인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미후프는 약 3/16인치 내지 1/4인치의 직경을 갖는 유연한 나일론 케이블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이 절두삼각형 형태이고 비닐로 피복된 나일론 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49.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갖춘 유시계 오그멘터와,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를 견인 장치에 고정부착하는 고정부착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변위되는 전방후프 및 후방후프와 상기 후프간에 연장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후프는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의 전방단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후프간에 배열되는 다수의 유연한 코넥터를 포함함으로써 공기 배출구가 인접하는 유연한 코넥터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후프의 직경이 상기 후방후프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유연한 코넥터가 판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52.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구비하는 유시계 오그멘터와,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의 전방단부에 연결된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를 견인장치에 고정부착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고 그 안에 형성되는 다수의 공기 배출구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의 전방단부가 인장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가 유입공기에 대해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53. 현수라인과, 서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방연결수단과 후방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및 후방연결수단간에 연장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연결수단에 고정부착되고 상기 현수라인 각각에 부착되는 부착부재를 또한 포함하는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와, 상기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에 고정부착되는 유시계 오그멘터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연결수단은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연결수단의 직경은, 상기 부착부재가 경사져서 상기 전방 및 후방연결수단간에 연장되도록 상기 후방연결수단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가 상기 전방연결수단에 고정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가 개방전방 및 후미단부를 갖춘 원통형 그물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주사격표적.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연결수단이 원형으로 된 제1띠부재와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에 부착되고 상기 제1띠부재의 일측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원형비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연결수단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띠부재 아래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띠부재로 또한 구성되고,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가 상기 제1 및 제2띠부재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띠부재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띠부재간에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띠부재간에 부가되며, 상기 부착부재가 상기 비드를 중심으로 고리를 이루고 상기 제1띠부재로부터 상기 제2띠부재의 측부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연결수단을 유입공기가 상기 원형스트랩 부재내에서 외측으로 인장을 생성할수 있도록 경사진 편평한 내부표면을 갖는 스트랩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가 유연한 재료로 된 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사격표적.
  61. 유시계 오그멘터와, 상기 유시계 오그멘터에 부착되며, 원형웨브와 상기 원형웨브에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원형웨브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 띠부재와 제1단부, 몸체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스트랩 부재로 구성되는 배출구가 있는 팽창기구로 구성되며, 상기 원형웨브는 상기 스트랩 부재의 몸체부에 부착되고, 상기 스트랩 부재는 상기 웨브와 상기 띠부재간에 경사져서 연장되며, 상기 띠부재는 상기 스트랩 부재의 제2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스트랩 부재의 제1단부는 상기 웨브와 상기 띠 부재로부터 밖으로 연장되는 루프섹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시계 오그멘터 시스템.
  62.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702656A 1989-04-26 1990-04-25 공중사격표적 KR940010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43,438 US5026073A (en) 1989-04-26 1989-04-26 Aerial gunnery target
US343,438 1989-04-26
US343438 1989-04-26
PCT/US1990/002241 WO1990012996A1 (en) 1989-04-26 1990-04-25 Aerial gunnery targ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385A true KR920700385A (ko) 1992-02-19
KR940010381B1 KR940010381B1 (ko) 1994-10-22

Family

ID=2334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656A KR940010381B1 (ko) 1989-04-26 1990-04-25 공중사격표적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026073A (ko)
EP (1) EP0422207B1 (ko)
JP (1) JP2562518B2 (ko)
KR (1) KR940010381B1 (ko)
AU (1) AU5632190A (ko)
CA (1) CA2031521C (ko)
DE (1) DE69007581T2 (ko)
ES (1) ES2023098A4 (ko)
WO (1) WO1990012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8406A (en) * 1989-04-26 1992-01-07 Teledyne Industries, Inc. Aerial gunnery target
US5102145A (en) * 1991-04-16 1992-04-07 Teledyne Industries, Inc. Aerial gunnery target system
US5365685A (en) * 1993-04-09 1994-11-22 Shank Lynn D Aerial advertising wind tube
DE4420206A1 (de) * 1994-06-10 1995-12-14 Dornier Gmbh Auslaß von Sichtbarkeitshilfen aus luftgestützten, harten Schleppkörpern
US10260844B2 (en) * 2008-03-17 2019-04-16 Israel Aerospace Industries, Ltd. Method for performing exo-atmospheric missile's interception trial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61830A (ko) *
FR496230A (fr) * 1918-02-13 1919-10-30 Haeberlin Emilie Manche objectif pour tirs aériens
FR523054A (fr) * 1920-08-25 1921-08-11 Cie Ind De Mecanique Et D Elec Machine à bobiner
US1901885A (en) * 1930-07-08 1933-03-21 Natural Gas Hydrogen Corp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industrial hydrogen
US1860982A (en) * 1931-03-27 1932-05-31 John A Binnie Aerial device
US2153924A (en) * 1932-05-31 1939-04-11 Pacific Giro Sales Co Aerial advertising device
US2035038A (en) * 1933-05-11 1936-03-24 Kellett Autogiro Corp Streamer adapted for towing by aircraft
US2153562A (en) * 1933-11-22 1939-04-11 Kellett Autogiro Corp Aerial advertising banner
GB435393A (en) * 1934-03-15 1935-09-16 Arthur William John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owed flexible surfaces
FR783489A (fr) * 1934-03-19 1935-07-12 Marechal Freres Perfectionnements aux manches à air de remorquage pour tirs aériens
US1974039A (en) * 1934-04-21 1934-09-18 William A Bohannon Aerial banner
US2011202A (en) * 1934-05-31 1935-08-13 Kellett Autogiro Corp Apparatus for towing a sign
GB456076A (en) * 1935-06-21 1936-11-03 Air Publicity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erial posters
US2095350A (en) * 1935-07-16 1937-10-12 Fred W Soule Aircraft advertising banner
US2122766A (en) * 1937-07-21 1938-07-05 Edward G Wiemer Aerial banner
US2238876A (en) * 1939-08-14 1941-04-15 Frank G Manson Aerial trailer
US2238875A (en) * 1939-08-14 1941-04-15 Frank G Manson Aerial trailer
FR865970A (fr) * 1940-02-21 1941-06-11 Mademoiselle Marguerite Cible aérienne remorquée pour avions
FR865109A (fr) * 1940-04-23 1941-05-14 Perfectionnements aux panneaux-cible pour tir d'avion
US2270884A (en) * 1940-11-12 1942-01-27 Frank G Manson Aerial trailer
US2342651A (en) * 1942-05-22 1944-02-29 Arnold D Dircksen Illuminated tow target
US2402156A (en) * 1944-05-27 1946-06-18 John W Griesinger Astern attack tow target
US2419549A (en) * 1944-08-24 1947-04-29 John W Griesinger Radio reflecting and low drag tow target
US2486999A (en) * 1945-07-25 1949-11-01 North Carolina Navigation Comp Paying out device for aircraft towing targets, picking up objects, etc.
US3000634A (en) * 1946-03-26 1961-09-19 Frank C South Target sleeve
US2538719A (en) * 1947-12-04 1951-01-16 Curtiss Wright Corp Aircraft tow target carrier
US2523738A (en) * 1949-03-21 1950-09-26 Clem G Trimbach Tow target carrier
US2731046A (en) * 1951-10-01 1956-01-17 Firestone Tire & Rubber Co Tow target
US2751167A (en) * 1954-09-02 1956-06-19 Del Mar Engineering Lab Inc Reel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ow cable from an aircraft
US2807287A (en) * 1955-12-23 1957-09-24 Massillon Cleveland Akron Sign Co Tow target construction
US2907095A (en) * 1956-07-31 1959-10-06 Massillon Cleveland Akron Sign Co Tow target construction
US3135511A (en) * 1961-02-27 1964-06-02 Hayes Corp Towed target
FR1570025A (ko) * 1968-04-24 1969-06-06
ES205583Y (es) * 1973-11-28 1976-06-01 Dornier System G. M. B. H. Construccion portante.
SE387737B (sv) * 1975-01-22 1976-09-13 Bulow Olle Ab Flygmal av typ mjukmal
DE2602432A1 (de) * 1976-01-23 1977-07-28 Autoflug Gmbh Gefechtsziel-luftschleppsack
DE2603061A1 (de) * 1976-01-28 1977-08-11 Elektro Mechanischer Fluggerae Luftschleppzielanordnung
CH590448A5 (en) * 1976-02-04 1977-08-15 Buelow Olle Ab Flexible aerial towing target sack - has rear trailing edge with flow separator profile reducing air resistance
DE2604929A1 (de) * 1976-02-09 1977-08-11 Gfh Ges Fuer Flugtechnik Mbh Luftzielschleppsack, der als schleppkoerper hinter einem luftfahrzeug zur simulation eines flugkoerpers fuer radargelenkte oder radargestuetzte luftabwehrwaffen gezogen wird
DE2613953C3 (de) * 1976-04-01 1981-12-10 Dornier Gmbh, 7990 Friedrichshafen Einrichtung zur Höhensteuerung von Schleppzielen
DE2637083C3 (de) * 1976-08-18 1980-10-02 Dornier Gmbh, 7990 Friedrichshafen Bergungseinrichtung für Luftzielschleppsysteme
US4205848A (en) * 1978-04-10 1980-06-03 Prototype Development Associates, Inc. Aerial gunnery target
DE2850171A1 (de) * 1978-11-18 1980-05-22 Dornier Gmbh Einrichtung zum nachschleppen an fluggeraeten
DE2850217A1 (de) * 1978-11-20 1980-06-04 Elektro Mechanischer Fluggerae Schleppzielkoerper
DE3005611A1 (de) * 1980-02-15 1981-08-20 Elektro-Mechanischer Fluggerätebau GmbH, 2000 Hamburg Schleppzielkoerper
DE3373532D1 (en) * 1982-05-26 1987-10-15 Gq Defence Equip Ltd Towed aerial target
DE3312820A1 (de) * 1983-04-09 1984-10-18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Gefechtsziel-luftschleppsack
US4496159A (en) * 1983-05-24 1985-01-29 Dugan Elmo A Aerial gunnery target deployment system
EP0183866A1 (en) * 1984-12-04 1986-06-11 Marquardt Co. Improved aerial gunnery target deployment system
US4624648A (en) * 1985-06-21 1986-11-25 Catch The Wind Kite Shops, Inc. Aerial t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381B1 (ko) 1994-10-22
DE69007581D1 (de) 1994-04-28
ES2023098A4 (es) 1992-01-01
CA2031521C (en) 1994-10-18
AU5632190A (en) 1990-11-16
EP0422207A4 (en) 1991-11-27
EP0422207A1 (en) 1991-04-17
DE69007581T2 (de) 1994-10-06
CA2031521A1 (en) 1990-10-27
US5026073A (en) 1991-06-25
JPH03505626A (ja) 1991-12-05
WO1990012996A1 (en) 1990-11-01
JP2562518B2 (ja) 1996-12-11
EP0422207B1 (en) 1994-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6012928A1 (en) Aerial deployment of an explosive array
KR920700385A (ko) 공중사격표적
US4205848A (en) Aerial gunnery target
JP2683451B2 (ja) 水中土壌保持構造
US2238876A (en) Aerial trailer
DE2602432A1 (de) Gefechtsziel-luftschleppsack
US5078406A (en) Aerial gunnery target
RU2004126233A (ru) Сеть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на устройстве для замет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A2203642A1 (en) Improved stitch for elastic netting
CA1235716A (en) Aerial towed battle target
US3035366A (en) Trawl net panel assembly
US2361164A (en) Field mat
US3018581A (en) Trawl lines
US3132433A (en) Connector for trawl net bar-cut edges
US29675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eeping a mine
DE7729105U1 (de) Ausloesemechanismus fuer abwerfbare lasten
US2360674A (en) Portable mat
US3308567A (en) Casings for trawl lines
US2269469A (en) Aerial trailer
US3127693A (en) Expander ring for trawl nets
US3058248A (en) Elastic tickler for bottom trawl nets
CN208899892U (zh) 一种便于收合的挡雨遮阳网
US3132434A (en) Expander ring and trap for trawl nets
US3121967A (en) Connector for trawl net point-cut edges
USRE25748E (en) Trawl net pane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