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357B1 - 회전식 사출 성형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사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357B1
KR920002357B1 KR1019850003521A KR850003521A KR920002357B1 KR 920002357 B1 KR920002357 B1 KR 920002357B1 KR 1019850003521 A KR1019850003521 A KR 1019850003521A KR 850003521 A KR850003521 A KR 850003521A KR 920002357 B1 KR920002357 B1 KR 920002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ing
molding machine
movable member
mol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286A (ko
Inventor
가따시 아오끼
Original Assignee
아오끼 시게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10345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475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0198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59863A/ja
Application filed by 아오끼 시게또 filed Critical 아오끼 시게또
Publication of KR850008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6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mounted on a turntable, i.e. on a rotating support having a rotating axis parallel to the 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8Means disposed outside the mould for unscrewing threaded articles, e.g. chuck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6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mounted on a turntable, i.e. on a rotating support having a rotating axis parallel to the 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irection
    • B29C45/062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mounted on a turntable, i.e. on a rotating support having a rotating axis parallel to the 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irection carrying mould halves co-operating with fixed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식 사출 성형기
제1도는 주요부에 대한 횡단 평면도.
제2도는 금형이 열릴 때 성형부의 횡단 평면도.
제3도는 분리장치의 일부를 절단 제거한 측면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코아(core)로부터 성형품을 분리하는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쳐크장치(chuck device)의 종단 측면도.
제7도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장치의 후퇴위치에서의 주요부를 나타낸 종단 측면도.
제8도는 분리장치의 전진위치에서의 주요부를 나타낸 종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대 5 : 회전대
20 : 분리장치 13 : 클램핑장치
14 : 사출기 A : 성형부
B : 분리부 3 : 기대
18 : 런너판 11 : 런너통로
12 : 코아금형 19a : 클램핑 램
16 : 클램핑대 6 : 구동장치
15a : 피스톤로드 22 : 가동부재
25 : 쳐크장치 24 : 기어박스
31 : 개폐부재 33 : 원통형커버
35 : 미끄럼방지부재 27 : 전기모우터
42 : 내부케이싱 47 : 외부케이싱
50 : 웨이트 4 : 타이바
본 발명은 다수의 금형이 회전대(回轉坮)위에 설치된, 합성수지 성형용 회전식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대와 함께 클리핑(clamping)이 행해져 사출성형에 영향을 미치고, 회전대와 함께 금형을 다른 위치로 이송함으로써 성형품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회전대가 기대(machine bed)의 상면이나 기대위에 설치된 고정대(fixed table)내측에 설치되어 , 복수조(組)의 분할금형의 하나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되고, 다른 분할금형들이 회전대 반대편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핑장치의 클램핑대 위에 설치되어, 회전대의 여러정지 위치에서 사출성형과 성형품의 분리가 행해지는 회전식 사출 성형기는 이미 알려져 있다.
분할금형의 하나가 회전대 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앞에서 말한 회전식 사출성형기내의 금형내로 수지를 주입하는 것은 금형의 측면으로부터 다시말해, 클램핑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부터 행해진다. 특히, 다수의 캐비티(cavity)를 갖고 있는 금형내에서는, 이 캐비티에 수지를 분배하기 위해 런너통로(runner passage)가 필요하다. 런너판(runner plate)과 금형은 겹쳐서 놓여야 하며 런너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회전대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것을 설치함에 있어서 성형품과 런너가 다같이 제거될 수 있는 분리위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즉 금형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비용을 상승시키며 런너판과 각 금형용 분리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금형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또한, 회전대의 부피가 증가하여 회전과 정지에 큰힘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다.
더욱이 회전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캐비티 게이트가 캐비티 금형에 설치되어 런너의 분리가 쉽게하고, 성형품의 내측에서 수지가 주입되는 소위 내부게이트에 대해서는 특별한 금형구조가 채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회전식 사출성형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일조의 금형이 갖고 있는 캐비티의 숫자가 많고 이들 캐비티에 수지를 분배하는 런너통로가 설치될 필요가 있을때라도, 수지의 주입이 종래의 사출성형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클램핑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행해질 수 있는 새로운 회전식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런너판과 분리장치가 각 금형에 설치될 필요가 없고, 런너판이 성형위치내에 위치한 코아금형위에 회전대를 통해 설치될 수 있고, 런너판이 성형이 완료된후 회전대의 외측으로 움직일 수 있어 회전대의 회전대의 중량이 감소하고 금형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는 새로운 회전식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부에 나사 너트(screw nut)나 너트 나사(nut screw)가 설치된 실린더와 같은 나사를 갖는 제품을 사출성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성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코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금형은 나사 캡(screw cap)을 성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코아는 주변에 나사를 갖고 클램핑장치와 금형파지대에 설치된 회전장치에 연결되고, 금형이 열릴 때 성형품을 밀어내기 위해 회전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배치 때문에 나사캡을 만들기 위한 성형기는 금형기와 클램핑장치의 구조가 종래 성형기에 비해 복잡하게 되고 성형품의 분리에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앞에서 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캡등의 성형에서 조차 금형과 클램핑장치가 보통의 물품을 성형할 경우와 같은 구조를 갖고, 성형품이 분리될 때, 코아가 회전될 필요가 없고 성형위치에서 분리위치까지 회전대에 의해 이송된 성형품이 분리장치에 의해 회전되어 코아로부터 성형품이 매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나사가 난 성형품의 성형에 쓰이는 회전식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회전식 사출성형기에는 회전대가 기대의 반대측에 설치된 고정테이블의 내부에 설치되고, 분리금형의 코아금형이 회전대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캐비티 금형이 회전대의 반대측에 설치된 클램핑장치의 클램핑대 위에 설치되어 있고, 사출성형과 성형품의 분리가 회전대의 매 정지단계의 다른 위치에서 행해지며, 회전대내에 형성된 호울(hole)을 통해 고정대의 내부에 설치된 오목부내로 이송된 런너판이 성형위치내에 위치한 코아금형위에 설치되고, 고정대의 측면에 있는 유압장치에 연결되고, 사출기 노즐이 접촉하는 런너판의 게이트와 코아금형의 내부에 설치된 수지통로를 연결하는 런너통로가 런너판과 코아금형 사이의 경계에 형성되어 있으며, 런너를 제거하기 위한 호울이 상기 고정대의 분리부내에 위치한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시된 실시예는, 다수의 나사캡들이 성형될 때 사용된 회전식 사출성형기를 나타내고 있다. 참고번호 1,2는 소정간격으로 기대 반대편에 설치된 다수의 타이바(tie bar:4,4)에 연결된 고정대를 나타낸다.
하나의 고정대내에는 회전대(5)가 그 주변을 부재(5a)에 파지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회전대(5)는 그 중앙에 그곳에 연결된 회전축(7)을 갖고 있으며, 회전축(7)은 고정대(1)를 관통하여 뻗어 있으며 고정대(1)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장치(6)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장치(6)는 유압이나 전기에 의해 180°각을 왕복운동하는 요동모우터 (swinging motor)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대(5)는 구동장치(6)의 작동에 따라 고정대(1)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왕복 회전한다.
후술한 런너판이 위치하고 있는 소정크기의 호울(10,10)들이 회전대(5)와 수평 대칭위치에 형성되며, 그안에 런너판을 마련하기 위한 오목부(8)와 런너를 제거하기 위한 호울(9)들이 이 호울(10,10)들과 겹치는 고정대(1)의 측벽의 2개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코아(12a,12a)를 가지며 그 외주변에 나사가 형성된 코아금형(12,12)들이 그 이면이 호울(10,10)에 향하고 있는 회전대(5)의 호울(10,10)부에 설치되어 있다. 각 코아(12a)의 중앙에는 코아금형(12)의 이면에서 코아끝까지 구멍이 뚫려져 있는 수지로(路)(12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지로(12b)는 코아금형(12)과 코아금형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는 런너판(18)사이의 경계내에 형성된 런너통로(11)에 연결되어 있다.
다수의 코아금형(12,12)의 정지위치에는 클램핑장치(13)와 분리장치(20)들이 회전판(1)위에 대향 설치되고, 사출기(14)는 클램핑장치 반대편에 있는 고정대(1)의 외측에 배설되어 있다. 기대(3)의 한편은 성형부(A)를 다른편은 분리부(B)를 형성한다.
클램핑장치는 다른 고정대(2)위에 설치된 유압작동 클램핑 실린더(15)와 클램핑 랩(clamping ram ; 15a)의 끝에 연결되고, 타이바(4)에 의해 유도될 때 움직이도록 채택된 클램핑대(16)로 구성되어 있고, 코아(12a)의 수와 같은 수의 캐비티를 갖는 캐비티금형(17)은 클램핑대(16)위에 설치되어 있다.
사출기(14)는 고정대(1)의 오목부(8)내에 끼워진 단부가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선단의 노즐은 런너판(18)의 게이트를 갖는 노즐터치내에 있다.
런너판(18)은 고정대(1)를 관통해 고정대(1)의 외측으로 설치된 2기(基)의 유압실린더(19,19)로부터 오목부내에 돌출되어 있는 피스톤로드(19a,19a)에 연결되어 있으며 피스톤로드(19a,19a)가 신축 작동함에 따라 런너판(18)이 사출기(14)와 함께 전후로 움직인다. 회전대(5)가 회전할 때 상기 장치는 제3도에서 보듯 호울(10)로부터 오목부(8)로 후퇴한다.
분리장치(20)는 기대(3)위에 설치된 고정부재(21)와, 그 안에 나사축(23)을 틀어 넣어서 고정부재(21)에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가동부재(22)와, 가동부재(22)위에 설치된 기어박스(24), 상기 기어박스(24) 전면에 설치된, 코아(12a)와 같은수의 쳐크장치(25)들로 구성된다. 이 쳐크장치(25)는 기어박스(24) 후면에 설치된 전기모우터(26)에 의해 작동된다.
코아금형(12)에 대한 쳐크장치(25)의 전진·후퇴 이동은 가동부재(22)위에 설치된 가변속 전기모우터(27)에 의해 작동되는 나사축(23)의 회전에 의해 행하여 진다. 상기 쳐크장치(25)는, 기어박스(24)의 전벽에 돌출된 원통형부(24a)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박스내에 전동기어(28a)와 맞물려 있는 기어(28)를 그 후단에 갖고 있는 실린더(29)와 실린더에서 돌출된 피스톤로드(30)의 선단에 연결되고 테이퍼면(taper surface ; 31a)을 갖는 개폐부재(31)와, 상기 개폐부재(31)의 양측에 위치하고 피스톤로드(30)와 개폐부재(31)의 측면에 접촉하는 후단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캠(32a)을 갖는 한쌍의 쳐크부재(32)와, 실린더 선단에서 이 쳐크부재(32,32)를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커버(33)와, 이 커버(33)의 내측에 설치되고 이 쳐크부재(32, 32)후단과 커버(33)에 걸쳐 설치된 스프링부재(34)로 구성되고 쳐크부재(32)의 선단 내측에는 미끄럼방지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성형기에서는 사출성형되는 나사 코아 주위의 성형품(36)과 코아의 배면에 있는 런너(37)는 금형이 열린후 회전대(5)를 180°회전함으로써 나사 금형(12)과 함께 쳐크장치와 대향하고 있는 위치까지 이송될 수 있다.
쳐크부재(32,32)들이 열린 상태에서 분리장치(20)는 나사축(23)의 회전에 의해 전진 이동하여 제5도에 나타난 상태로 커버(33)내에 성형품(36)을 수용하고, 제6도에 나타나듯 피스톤로드(30)을 후진시킨다. 그리고 쳐크부재(32,32)에 의해 성형품 (36)을 협지한후 실린더(29)와 함께 쳐크부재(32,32)를 회전하면서 가변속 모우터 (27)에 의해 나사 빼는 속도와 일치시켜 분리장치(20)가 원위치로 후퇴 이동된다(제7도).
이와 함께, 코아금형(12)의 코아(12a)가 고정될때조차도 성형품(36)의 분리는 행하여질 수 있다.
회전대(5)의 호울(10)에 노출되어 있는 런너(37)의 분리가 런너(27)를 꺼내기 위해 고정대(1)외측으로부터 호울(9,10)로 취출기(removing unit)를 삽입함으로써 쉽게 행해질 수 있다.
성형과 분리가 완료된 후 코아금형(12,12)들은 회전대(5)의 180°회전에 의해 성형부(A)와 분리부(B)가 서로 위치 교환되며, 회전대(5)가 정지된 후, 유압실린더 (19)의 작동에 의해 오목부(8)의 후퇴 위치로 움직인 런너판(18)이 제1도의 상태로 코아금형(12)의 배면으로 밀어부쳐지고 유압에 클램핑대(16)가 앞으로 움직여 클램핑이 완료된다.
사출기(14)로부터 런너통로(10) 및 수지로(12b)를 통해 캐비티내로 수지가 주입되고, 분리상태(B)에서 상술한 것과 같은 공정하에서 런너(37)로부터 성형품(36)의 분리가 행해진다.
제7도 및 제8도는 상술한 쳐크장치(25)의 전진이동이 나사축(23)의 회전에 의해 행해지나 후진이동은 상기 가동부재(22)의 후단에 부과된 하중에 의해 행해지는 분리장치(4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가동부재(22)와 기어박스(24)와 함께 쳐크장치(25)를 코아금형(12)쪽으로 전진 이동하기 위한 전기모우터(41)가 가동부재(22)의 후방에 있는 기대(3)위에 설치된 고정부재(21)에 설치되어 있다. 본 전기모우터(41)는 나사축(23)이 직접으로 연결되어 있는 종래의 모우터형이다. 나사축(23)의 주위에는 내부케이싱(42)과 외부케이싱(47)이 놓여있다.
관련된 도형이 도시되어있지는 않으나, 나사축(23)과 맞물려 있는 내부케이싱은 노출되어 있어 외부케이싱위에 만들어져 있는 직선홈과 내부케이싱 위의 핀의 결합에 의해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선단은 캠부재(44)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후단은 플랜지(45)와 간직판(retaining plate; 46)을 통하여 가동부재(22)에 연결되어 있다. 내부케이싱(42)의 선단내에서, 캠부재(14)을 흡착하도록 외부케이싱(47)의 선단에 설치된 영구자석(48)이 프라스틱부재(49)내에 묻혀있다.
나사축(23)은 이중케이싱과 함께 가동부재(22)를 통해 삽입되어 있으며, 가동부재(22) 후단에는 와이어(51)에 의해 웨이트(50)가 연계되어 있다. 참고번호 52는 로울러를 나타내고 53은 와이어 휠(wire wheed)을 나타낸다.
상기 구조의 분리장치(40)에서는, 모우터(41)에 의해 나사축(23)이 회전될 때, 내부케이싱(42)이 외부케이싱(47)과 함께 이동하여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동부재(22)를 전진 이동한다.
제6도에서 보듯 쳐크장치(25)의 작동에 따라 쳐크부재(32,32)가 성형품(36)을 파지한후 나사축(23)이 역회전할 때, 오직 내부케이싱(42)만이 그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고 반면 외부케이싱(47)은 가동부재(22)와 쳐크장치(25)와 함께 그 위치에 머무른다.
내부케이싱(42)의 후진운동 도중이나 후진운동후에 상기 쳐크장치(25)가 회전될 때, 웨이트(50)의 하중이 가동부재(22)위에 항상 가하여 지기 때문에, 쳐크장치 (25)는 가동부재(22)와 함께 상기 코아(12a)의 나사피치(pitch)만큼 후퇴 이동하여 성형품(36)을 코아(12a)로부터 분리한다.
이 성형품이 분리될 때, 이 가동부재를 전진위치에서 구속하는 어떠한 것도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가동부재(22)는 웨이트(50)의 하중에 의해 쳐크장치(25)와 함께 원래의 위치로 당겨져 되돌아간다. 그 결과 가변속 전기모우터를 사용하여 나사축(23)을 회전하지 않고 분리속도를 코아주위의 나사피치에 맞출 수 있다.

Claims (8)

  1. 기대에 마주보고 설치된 한쌍의 고정대와 하나의 상기 고정대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파지되고 이 고정대 외측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180°회전하는 회전대를 구비하고, 이 회전대의 대칭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코아의 정지위치에 클램핑장치와 분리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장치와 대향하여 상기 고정대 측면위에 사출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코어금형의 하나와 클램핑장치 측면의 캐비티 금형 사이의 닫힘에 의해서 형성된 캐비티에 사출성형을 행하는 성형부와 다른 코아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떼어내는 분리부가 기대위에 설치되어져 있는 회전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에 형성된 호울을 통해 고정대 내측에 설치된 오목부내로 이동하는 상기 성형부에 위치한 코아금형위에 설치된 런너판이 고정대의 측면에 있는 유압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이 런너판과 코아금형과의 경계에, 코아금형내부에 설치한 수지로와 상기 사출기가 노즐터취된 런너판의 게이트를 접속하는 런너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대의 분리금형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런너취출용 호울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사출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가 다른 고정대 위에 설치된 유압작동 클램핑실린더와 한쌍의 고정대 위에 설치된 타이바에 의해 유도될 때 이동하는 클램핑대에 연결된 클램핑 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사출성형기.
  3. 제1항에 있어서, 코아금형이 코아주위에 나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사출성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가 유압작동식 혹은 전기작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사출성형기.
  5. 제1항에 있어서, 런너판이 고정대의 외측에 유압실린더를 고정한 유압장치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사출성형기.
  6. 제1항에 있어서, 분리장치가 기대상의 고정부재, 이 고정부재에 나사축을 틀어넣음으로써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된 가동부재, 이 가동부재위에 설치된 기어박스와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전진 후퇴 운동을 하는 쳐크장치, 상기 가동부재에 고정된 나사축을 회전하기 위한 모우터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사출성형기.
  7. 제1항에 있어서, 분리장치의 쳐크장치가 가동부재위에 설치된 기어박스, 기어박스내에서 기어와 맞물려 있는 기어박스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소정수의 실린더들, 각 실린더에서 돌출된 피스톤로드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퍼 된 네크(tapered neck)를 갖는 쳐크의 개폐부재, 이 쳐크 개폐부재를 둘러싸고 있는 실린더 선단에 있는 원통형 커버, 이 원통형 커버 내측의 축에 설치되고 스피링압에 의해 피스톤로드의 측면과 항상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그 후단의 내측에 위치한 캠을 갖고 그 선단 내측에 위치한 미끄럼 방지부재를 갖는 쳐크부재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사출성형기.
  8. 제1항에 있어서, 분리장치가 가동부재 후단에 설치된 고정부재위의 종래의 전기모우터, 상기 모우터에 직접 연결된 나사축, 나사축과 맞물려 있는 내부케이싱과 이 내부케이싱과 접촉을 하며 가동부재에 연결된 후단과 닫혀진 선단을 갖는 외부케이싱으로 구성된 나사축 주위의 이중케이싱, 가동부재를 당겨 항상 뒤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해 가동부재 후단에 연결된 웨이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사출성형기.
KR1019850003521A 1984-05-22 1985-05-22 회전식 사출 성형기 KR920002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03457 1984-05-22
JP59103457A JPS60247519A (ja) 1984-05-22 1984-05-22 ねじ物成形機
JP60101988A JPS61259863A (ja) 1985-05-14 1985-05-14 ねじ成形品の離型装置
JP60-101988 1985-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286A KR850008286A (ko) 1985-12-16
KR920002357B1 true KR920002357B1 (ko) 1992-03-23

Family

ID=2644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521A KR920002357B1 (ko) 1984-05-22 1985-05-22 회전식 사출 성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52227A (ko)
EP (1) EP0179191B1 (ko)
KR (1) KR920002357B1 (ko)
AU (1) AU584616B2 (ko)
CA (1) CA1250113A (ko)
DE (1) DE358819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3553U1 (ko) * 1991-03-22 1991-07-04 G.B. Boucherie N.V., Izegem, Be
US5435715A (en) * 1992-10-26 1995-07-25 Campbell; Gerald D. Multi-statio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5565223A (en) * 1993-09-27 1996-10-1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pparatus for forming molded article
US5798074A (en) * 1993-09-27 1998-08-2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Process for forming a threaded molded plastic article
US5383780A (en) * 1993-09-27 1995-01-24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pparatus for forming threaded molded article
US5421717A (en) * 1994-05-31 1995-06-06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pparatus for forming threaded molded articles
NL9401007A (nl) * 1994-06-20 1996-02-01 Inter Tooling Services Bv Spuitgietmachine voor het vervaardigen van holle kunststof voorwerpen.
JP3202920B2 (ja) * 1996-07-03 2001-08-2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状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合成樹脂製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US6179605B1 (en) * 1998-11-12 2001-01-30 C & L Plastics, Inc. Rotary injection mold
US6517757B1 (en) 1999-12-03 2003-02-11 The Plastic Moldings Corporation Methods for molding a part around an insert
US6523907B1 (en) 2000-02-01 2003-02-25 Moll Indust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rushware by injection molding
JP3961797B2 (ja) * 2001-08-28 2007-08-2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光軸調整装置
US7694702B2 (en) * 2005-08-09 2010-04-13 Adcor Industries, Inc. Beverage machine assembly having a modular support
US20070063382A1 (en) * 2005-09-16 2007-03-22 Larry Cole Mold quick disconnect apparatus
US7828541B2 (en) * 2007-05-22 2010-11-09 Coeur, Inc. Motor driven mold
JP4352278B2 (ja) * 2007-07-23 2009-10-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横型射出成形機
WO2012048902A2 (de) * 2010-10-15 2012-04-19 Otto Männer Innovation GmbH Spritzgiessmaschine
JP5509256B2 (ja) * 2012-05-16 2014-06-04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装置
CN108437385A (zh) * 2018-03-05 2018-08-24 温州市奔隆机械有限公司 鞋底成型设备
CN109333938A (zh) * 2018-09-30 2019-02-15 嘉兴学院 一种内螺纹抽芯装置
CN112548064A (zh) * 2020-12-07 2021-03-26 苏州广型模具有限公司 一种抽芯定位模块
CN116277714B (zh) * 2023-02-17 2023-09-01 宁波力松注塑科技有限公司 一种高端精密注塑机
CN117564258B (zh) * 2024-01-16 2024-03-29 卡耐夫集团(山西)管道系统有限公司 一种管件生产用浇铸设备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8630A (en) * 1943-10-21 1946-10-01 Lee B Green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 material
US2894284A (en) * 1954-09-09 1959-07-14 Owens Illinois Glass Co Injection molding machines
US3156008A (en) * 1964-01-13 1964-11-10 Gen Electric Release mechanism for automatic molding machine
US3767063A (en) * 1971-06-23 1973-10-23 Chicago Rawhide Mfg Co Apparatus for removing parts from molding cavities
US4155698A (en) * 1975-04-08 1979-05-22 Albert Obrist Ag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of plastic closures
US4009983A (en) * 1976-01-16 1977-03-01 Arthur William Jacobs Hydraulic mold clamping mechanism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DE2634152C3 (de) * 1976-07-29 1979-04-19 Johannes 8641 Neuses Wuendsch Gießform für Gußstücke mit einem auszuformenden Gewinde
JPS57128519A (en) * 1981-02-03 1982-08-10 Katashi Aoki Injection blow mol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79191B1 (en) 1998-08-26
CA1250113A (en) 1989-02-21
EP0179191A2 (en) 1986-04-30
AU4275785A (en) 1985-11-28
DE3588194T2 (de) 1999-05-06
DE3588194D1 (de) 1998-10-01
AU584616B2 (en) 1989-06-01
EP0179191A3 (en) 1988-03-30
KR850008286A (ko) 1985-12-16
US4652227A (en) 198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357B1 (ko) 회전식 사출 성형기
GB2052353A (en) Composite moulding apparatus
JP3553544B2 (ja) 異材質樹脂の複合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機
US3914081A (en)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two-colored products
KR920002360B1 (ko)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 장치
US7220118B2 (en) Horizontal multi-material molding machine
WO2002074513A1 (en) An injection mold
SU75335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лить под давлением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US2558026A (en) Method of molding articles
US4240498A (en) Die casting machine for forming internally-threaded articles
US3788794A (en) Clamping unit with a turning plate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H08258095A (ja) 内ねじキャップの成形用金型装置
JPS61106221A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駆動装置
JP2003170467A (ja) インサート成形方法及び金型装置
JP2808247B2 (ja) 成形条件を異にする複数成形品の同時射出成形方法及び成形機
KR102261980B1 (ko) 나사 캡 사출 금형 장치
GB132955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ulding
CN219114666U (zh) 一种模具
JPS6129515A (ja) 回転式射出成形機
JP3783201B2 (ja) 異材質樹脂による複合製品の射出成形方法及び金型装置
JPS60247519A (ja) ねじ物成形機
KR20200101002A (ko) 내측 언더컷 처리를 위한 회전작동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JP2585102B2 (ja) 射出成形における多色成形方法
JP2004050523A (ja) 射出成形用金型
JPS61162312A (ja) 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6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