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275B1 -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 Google Patents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275B1
KR920002275B1 KR1019850007658A KR850007658A KR920002275B1 KR 920002275 B1 KR920002275 B1 KR 920002275B1 KR 1019850007658 A KR1019850007658 A KR 1019850007658A KR 850007658 A KR850007658 A KR 850007658A KR 920002275 B1 KR920002275 B1 KR 920002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ubstrate
chassis
mount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757A (ko
Inventor
히데끼 아사노
슈우지 에구찌
세이끼찌 단노
요시아끼 오까베
노리아끼 다께다니
마사노리 네모또
쯔네오 나루사와
요시미쯔 미하라
유끼히꼬 다까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6000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4Combinations of two or mor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84Details of three-dimensional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4Optical details, e.g. printed circuits comprising integral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5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 H05K1/056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the metal substrate being covered by an organic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45Locally raised area or protrusion of insula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118Mould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3Moulding and encapsulation; Deposition techniques; Protective layers
    • H05K2203/1305Moulding and encapsulation
    • H05K2203/1327Moulding over PCB locally or complete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제1도, 6도, 7도 및 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의 평면 개략도.
제2도, 3도, 8도, 12도, 13도, 14도, 15도 및 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의 단면 개략도.
제4도는 제3도에 전기부품을 조합시킨 단면 개략도.
제5도는 종래의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의 평면 개략도.
제9도는 제8도에 전기부품을 조합시킨 단면 개략도.
제10도는 수지 성분의 글래스(glass)전이 온도와 경시 변형과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11도 및 제1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의 성협 법을 나타내는 금형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 2 : 테이프 안내용 구멍
5 : 주행용 캡스턴 모우터 설치 위치 6 : 테이프 안내용 구멍 주위
7 : 전기배선 8 : 절연 보호막
9 : 수지 구조부품 11 : 전선
13 : 수광 소자 14 : 발광 소자
15 : 전기회로 16 : 광원
17, 27 : 광회로 18 : 접속 단자부
19 : 프린트 회로판 20, 21 : 관통구멍
25 : 칼라부 28 : 필름
29 : 코어 31 : 금속기판
32 : 가요성 프린트 기판
본 발명은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전제품, OA기기등의 민생용 전기제품에서 각종 기구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기판으로서 적합한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는 미국특허 제 4, 445, 159호와 일본국 특허공개 소 제82-9, 934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기구부품 탑재용 기판으로써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의 전기배선용 전선이나 조명 장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품내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이 제품내의 공간을 점유하고 있다. 또 조명수단으로써 발광소자나 소형 램프등의 광신호를 이용하는 부분에 수반되는 전기회로, 전선등이 있게 되므로 소형화 및 경량화에 커다란 장애가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용 제품의 부품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는 기판과 이 기판에 매설 및/또는 기판 표면에 배선된 회로로써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회로는 전기회로 및 광회로 또는 이들의 복합회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는 전기회로를 배열하고 도통 관통구멍과 부품 고정구멍을 뚫은 프린트회로판과, 부품 고정구멍을 통하여 프린트 회로판의 양면에 형성된 수지 구조부품을 구비하고, 이 수지구조부품은 기구부품과 기구부품 탑재용 부품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는 전기회로와 광회로를 배열하고 연결 관통구멍과 부품 고정구멍을 뚫은 프린트회로판과, 부품 고정구멍을 통하여 프린트 회로판의 양측에 형성된 수지 구조부품을 구비하고, 이 수지구조부품은 기구부품부분과 기구부품 탑재용 부품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는 자기기록장치용 샤시이다. 즉 본 발명은 자기 기록매체, 이 매체의 주행 구동용 기구부품 및 이 매체에의 신호기록과 이 기록된 신호의 독출을 행하는 자기헤드 주사기구부품을 탑재하는 기판에 각 기구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전기회로 및 이 회로와 광회로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부설하고 또한 제어패널, 표시패널 및 각 기구부품에의 조명수단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부설하여 이루어진 자기기록장치에 있어서, 전기회로 및/또는 광회로 및 조명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광회로로 이루어진 회로군의 적어도 일부가 기판에 매설 및/또는 기판 표면에 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결국 기구부품을 탑재하는 기판위에 회로를 일체화시킨 것이지만 제품내의 회로 전체를 일체화시킬 필요는 없으며 단지 회로의 일부분만 본 발명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되고, 또 이 샤시 자체가 몇장으로 분할되어 있거나 또는 여러장의 샤시를 결합하여도 지장이 없다.
기판에는 강성이 요구되므로 금속판, 금속판과 수지의 복합 성형품(소위 아우트서어트 성형품), 수지판, 수지판중에 금속편을 매설한 것(즉 인서어트 성형품), 세라믹판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우트서어트 성형품이나 수지판, 인서어트 성형품이 실용적이다. 또한 이 기판은 프린트회로판이나 광도파로 그 자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강성을 고려하여 기판의 재료와 형상(주로 두께)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이들 회로판을 다른 기판으로 보강(적층 혹은 삽입)시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 샤시의 개념은 제품의 케이스 자체(그 내측이 샤시 가능을 구비함)를 의미한다.
회로는 전기회로와 광회로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회로를 기판에 부설하는 수단은 예를들면 전선이나 광섬유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지제 기판중에 매설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회로가 프린트회로나 광도파로의 타입이라면 상기한 바와 같이 기판자체를 이들 회로판에 겸용시키거나 또는 기판표면에 이들 회로판을 적층(즉, 회로겸용 기판을 다른 판형 부재의 적층으로 보강)하여도 된다.
프린트회로판의 경우 회로부분은 연결(도통) 관통구멍과 프린트회로로 이루어진다. 이 회로는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방법으로 예를들면 패턴화학 도금법, 풀-어디티이브(full-additive)법, 패널화학 도금법, 전기도금법, 화학·전기 도금병용법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광도파로나 광섬유의 재질 자체는 요컨대 광통로가 투명하면 좋고, 특히 성형 및 강도상으로는 수지제가 좋다. 더욱이 전기 및 광의 양 회로는 동일면내에 형성하거나 또는 적층하여도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전기 회로위에 필름 형상의 광회로를 적층하는 것이 특히 간편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전기회로의 일부를 광회로화 하는 것도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광섬유로서는 유리, 석영 또는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및 3실시예에서의 수지 구성부품은 광통로가 되는 투명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 광통로 부분과, 기구부품 및 기구부품 탑재용 부품부분이 투명한 수지로서 일체로 성형되거나, 혹은 광통로 부분과 기구부품 및 기구부품 탑재용 부품부분이 각각 다른 종류의 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부품은 구멍의 직경보다 더 큰 크기의 칼라를 설치하여서 기판면내의 부품 장착(고정)구멍을 통하여 고정하는 것이 간편하다.
기판이 수지제인 경우 이 수지는 글래스 전이온도가 80℃이상의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한 것,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고분자재료 또는 이것에 무기물을 배합한 복합재료가 좋다.
프린트회로판을 기판으로 이용하는 경우나 아우트서어트 성형 이용인 경우의 수지구조 부품용의 수지도 글래스 전이온도가 80℃이상의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 폴리설폰,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용 샤시의 평면 개략도이다. 샤시(1)는 수지제이다. 이 샤시(1)에는 2개의 테이프 안내용구멍(2)과 비디오 헤드 설치구멍(3) 및 주행용 캡스턴 모터 부착용 구멍(4)이 뚫려 있다. 5는 주행용 캡스턴 모터 부착 위치이고, 이 부분은 샤시(1)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안내용구멍(2)의 주위(6)도 마찬가지로 샤시(1)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샤시(1)의 표면에는 전기배선(7)이 배열되어 있다. 전기배선(7)이 이와같이 샤시표면위에 나와 있을 경우에는 제2도와 같이 절연 보호막(8)으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용 샤시의 단면개략도이다. 이 예에서는 전기배선(7)의 각각이 절연보호막(8)으로 피복되어 있다. 9는 수지구조 부품의 일예이다.
제3도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용 샤시의 다른 실시예이고, 이 예에 있어서는 전기배선(7)이 수지제의 샤시(1)내에 매설되어 있다.
상기의 세가지 예는 샤시(1)에 부착된 전기부품(제4도에서는 비디오헤드(10))와 전기배선(7)과를 접속하는 전선(11)이 짧아도 되므로 이러한 점에 의해서도 경량화와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선(11)을 최단 길이로 할 수 있으므로 전선이 각종 기구 부품의 동작의 장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전선(11)을 묶어 고정하고 전기회로판에 도입하기 위한 공간이 절감된다.
제5도는 종래의 자기기록장치에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패널 내측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장치에는 복수의 소형전구(12)를 포함한 점등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13은 수광소자이고 14는 발광소자로 모두 자기기록매체의 주행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신호 발생수단이다. 여기서 소형전구(12), 수광소자(13), 발광소자(14)는 한 제품내에 각각 복수개 채용된 것이고, 이에 따라 전기회로(15)도 복수조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종래 구성은 조명관계부분도 상당한 공간을 점유한다.
제6도는 상기 결점을 해소하는 본 발명의 한 형식에 의한 샤시(자기기록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의 일예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시(1)의 표면위에 광회로(17)가 배치되어 있다. 16은 광원이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광원은 한 개로 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전기회로계나 소형전구가 필요없게 된다. 이 예에 있어서는 광원등의 삭감으로 사용 전력이 절감된다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제7도는 전선(1)으로 형성되는 전기회로를 접속단자부(18)만을 노출시킨 상태로 내부에 매설되도록 수지와 일체로 성형시킨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제8도는 그 단면도이다. 이것은 금형에 전선(11)을 고정한 상태로 용융수지를 압입하여 성형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전기회로가 동시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전선(11)에 의해 강화되므로 기판의 강도와 강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전선의 열팽창율은 수지보다 작기 때문에 온도에 의한 치수변동도 개선된다. 이 경우 제9도와 같이 전선의 일부를 전기부품(비디오헤드)의 근처에 노출시켜 짧은 접속용 전선(11)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전선(11)의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광섬유를 매설하면 광신호의 전송이나 전기신호와 광신호의 쌍방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광섬유로서는 유리, 석영계의 것을 사용하면 상기 전선의 경우와 같은 강화 효과를 얻는다.
자기기록장치의 경우 장치구동시 내부온도가 약 60℃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고, 또 기록 및 트래킹시에는 70℃까지 상승하게 되므로 수지의 주성분인 고분자의 글래스 전이온도가 그 이하이면, 고무와 같이 탄성상태가 되고 기판의 치수 정밀도가 저하된다. 그러므로 상승온도가 최대가 되었으나 경우를 고려하면 약 10℃의 여유가 필요하게 된다. 즉 글래스 전이온도 80℃이상의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래스 전이온도가 높은 것을 사용할수록 치수안정성은 더 양호해진다.
제10도는 수지의 주성분이 되는 고분자의 글래스 전이온도(Tg)와 경시변화δ)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경시변화는 길이 100㎜, 폭 50㎜, 두께 3㎜의 판을 사출성형하여 이 판을 70℃로 960시간 연속 가열한 후의 평면도와 가열전의 평면도의 차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글래스 전이온도(Tg) 70℃ 이하의 것은 경기 변화가 크고, Tg가 7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중 각점의 영문기호는 재료의 종류를 나타낸다. A는 나일론 6, B는 폴리아세탈, C는 폴리프로필렌, D는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E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 F는 폴리스티렌, G는 폴리카보네이트, H는 폴리설폰, I는 폴리알릴레이트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유리섬유를 배합하지 않는 것과 유리섬유를 30wt% 배합한 것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알릴레이트의 경시변화가 특히 작고, 유리섬유를 배합하면 경시변화가 더 작아진다. 또한 도면중에서 ○표시는 유리섬유를 배합하지 않은 것을, ●표시는 배합한 것을 나타낸다.
제11도는 회로를 샤시에 일체화시키는 제조방법을 금형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전기회로와 샤시를 일체로 형성하는 데는 예를들면 전기회로를 형성한 프린트 회로판(19)에 전기회로를 절단하지 않도록 구멍(20) 이외의 관통구멍(21)을 형성시킨다. 우선 프린트 회로판(19)을 금형(22)에 고정시키고 게이트(23)로 런더(runner)(24)를 통하여 수지를 압입하고, 관통구멍(21)을 거쳐 프린트 회로판(19)의 양면에서 수지 구조부품(9)을 형성한다. 이 수지 구조부품(9)에는 각각 칼라부(25)가 있고, 이 칼라부(25)는 관통구멍(21)의 직경보다도 치수가 크다. 이 칼라부(25)에 의해 각 수지 구조부품(9)은 프린트 회로판(19)에 고정된다. 또한, 제11도는 수지가 금형에 유입되는 중간 상태를 나타내고, 공동(空胴)(26)에는 수지가 아직 완전히 유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예에서는 전기회로가 샤시 표면에 노출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막으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로에 따라 런너(24)를 넓게 퍼지도록 하는 것도 유익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프린트 회로판(19)에 있는 구멍내에 금속도금하여 도전성을 부여한 구멍(20)에 전기부품으로부터 돌출된 접속용 전선(11)을 납땜하여 도전성 페이스트등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프린트 회로판(19)으로서는 다층 프린트 회로판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의 각 예에 있어서 샤시위의 전기부품(예를들면 모터, 솔레노이드등)과 전기회로가 서로 근접하고 있으므로 사용되는 전선은 최소로 작게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크기와 중량이 감소되므로 소형화와 경량화가 달성된다. 또한 제12도 내지 1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명한 수지를 사용하면 단순한 수지 구조부품이 아니라 프리즘, 렌즈등을 겸용하는 것이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각 도면에 있어서 27은 프리즘, 렌즈를 구비한 광회로이다.
각 도면의 예에 따르면 전기회로와 광회로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면의 파선과 화살표는 광의 투과 방향을 나타낸다. 더욱이 수지 구조 부품을 불투명한 수지로 성형한 후, 광회로부를 투명한 수지로 성형하는 것도, 또 그 역의 수순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지구조부품(9)은 강도와 강성이 요구되며, 광회로(27)는 투광성이 요구되므로, 각각의 목적에 따라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어느 수지도 상술한 바와같이 글래스 전이온도 80℃ 이상의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투명한 수지로서는 글래스 전이온도가 80℃ 이상의 것은 제10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코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나, 특히 물리적 변호의 면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아클릴로니트릴-스티렌토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5도 및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린트회로판(19)위에 광회로를 형성한 필름(28)을 적층하고, 전기회로와 광회로를 절단하지 않도록 관통구멍(21)을 뚫은 모양이 있다. 이 경우도 제11도와 마찬가지로 수지 구조부품(9)과 칼라부(25)가 형성된다. 필름(28)은 광이 투과하는 코어(29)와 그것 이외의 클래드(clad)(30)로써 이루어진다.
이상의 각 예에서 금속 코어를 삽입한 것을 사용하면 종이 페놀기판 및 글래스-에폭시 기판만의 것보다도 강도와 강성이 좋은 샤시를 얻을 수 있다.
제15도 및 16도의 예에 있어서도 수지 구조 부품(9)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서는 글래스 전이온도가 80℃ 이상의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적합한 것은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7도는 또 다른 실시예이고, 이 실시예는 금속기판(31)위에 플랙시블 프린트기관(32) 및 광회로 필름(28)을 순차로 적층하고, 관통구멍(21) 및 칼라부(25)에 의해 수지구조 부품을 고정시킨 것이다. 이예에서 런너(24)는 제거되어 있고, 각 수지구조 부품(9)은 관통구멍(21)의 중심축 위에서 거이 대칭이다. 이예에 의한 것은 런너(24)가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성형의 잔류 열응력에 의한 기판 변형이 작고, 따라서 샤시의 박형화가 더욱 가능해진다.
그 제조방법은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금속기판(31)에 플래시블 프린트판(32)과 광회로 필름(28)을 순차로 적층하고 이것을 가이드핀(33)으로 고정한 후, 수지를 유입시키면 된다.
종래에는 공간의 관계상 자기 기록매체의 위치 확인 및 제어를 위한 전기적 센서를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였으나, 광회로를 설치하면 수광소자만을 설치하므로서 상기의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장치의 기록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록밀도를 높일 수도 있게 된다.

Claims (32)

  1. 기판과;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기판과 일체로된 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과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기판상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2. 기판과;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기판과 일체로된 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과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기판상에 탑재되며, 상기 회로가 전기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3. 기판과;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기판과 일체로된 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과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기판상에 탑재되며, 상기 회로가 광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4. 기판과;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기판과 일체로된 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과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기판상에 탑재되며, 상기 회로가 광회로와 전기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5. 기판과;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기판과 일체로된 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과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기판상에 탑재되며, 상기 기판이 금속판과 수지의 복합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6. 기판과;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기판과 일체로된 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과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기판상에 탑재되며, 상기 기판이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7. 제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회로가 프린트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상기 프린트회로의 회로판이고 다른 판상부재에 의해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9.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기구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기판의 표면상에 벋어있고/있거나 상기 기판내에 매몰된 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10. 제9항에 있어서, 기구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비데오헤드를 탑재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11. 제9항에 있어서, 기구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구동캡스턴모터를 탑재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12. 제9항에 있어서, 기구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비데오헤드와 구동캡스턴모터를 탑재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전기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광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전기회로가 광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전기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광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전기회로와 광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전기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광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전기회로와 광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전기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광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전기회로와 광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25. 제9항에 있어서, 상기기판이 수지재료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상기회로의 일부가 상기기판내에 매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2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기판이 수지재료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상기 전기회로의 일부가 상기기판내에 매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기판이 수지재료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상기 광회로의 일부가 상기기판내에 매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기판이 수지재료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상기 전기회로 및/또는 상기 광회로의 일부가 상기기판내에 매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상기 기판의 표면상에 벋고/벋거나 상기 기판내에 매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30. 제2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상기 기판의 표면상에 벋고/벋거나 상기 기판내에 매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31. 제3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상기 기판의 표면상에 벋고/벋거나 상기 기판내에 매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32. 제4항에 있어서, 상기회로가 상기 기판의 표면상에 벋고/벋거나 상기 기판내에 매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KR1019850007658A 1984-10-19 1985-10-17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KR920002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18406A JPS6197996A (ja) 1984-10-19 1984-10-19 機構部品塔載用シヤ−シ
JP84-218406 1984-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757A KR860003757A (ko) 1986-05-28
KR920002275B1 true KR920002275B1 (ko) 1992-03-20

Family

ID=1671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658A KR920002275B1 (ko) 1984-10-19 1985-10-17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10048A (ko)
EP (1) EP0178579B1 (ko)
JP (1) JPS6197996A (ko)
KR (1) KR920002275B1 (ko)
DE (1) DE358710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5284A (en) * 1988-12-21 1990-06-19 Amp Incorporated Molded circuit board with buried circuit layer
JP2695921B2 (ja) * 1989-06-16 1998-0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伝送媒体をインサート成形した回路構造体
US5179601A (en) * 1989-06-16 1993-01-12 Hitachi, Ltd. Method of manufacturing circuit structure by insert molding of electric and/or optical transmission medium
US5264975A (en) * 1989-09-19 1993-1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 disk storage device with the base provided by an electronic module substrate
GB9016833D0 (en) * 1989-09-19 1990-09-12 Ibm Disk storage apparatus
US5414574A (en) * 1993-07-29 1995-05-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ybrid base for ultrathin disk drives
KR0169516B1 (ko) * 1993-09-28 1999-03-20 사또오 후미오 자기 기록 재생 장치용 샤시 및 그 제조 방법
JP3011944U (ja) * 1994-12-01 1995-06-06 船井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
US6748650B2 (en) 2001-06-27 2004-06-1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king a circuit assembly having an integral fram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3194A (en) * 1970-05-25 1972-05-16 Ibm Method for making monolithic opto-electronic structure
US3879756A (en) * 1973-03-13 1975-04-22 Economy Co Automatic drive stop control utilizing motor voltage transients
US4136366A (en) * 1976-09-08 1979-01-23 Hitachi, Ltd. Cassette tape record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4180608A (en) * 1977-01-07 1979-12-25 Del Joseph A Process for making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article resulting therefrom
ZA783270B (en) * 1977-07-06 1979-06-27 Motorola Inc Molded circuit board
US4249229A (en) * 1978-08-28 1981-02-03 Litton Systems, Inc. Transformer having novel multiple winding and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268113A (en) * 1979-04-16 1981-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gnal coupling element for substrate-mounted optical transducers
US4217624A (en) * 1979-06-28 1980-08-12 Inteq, Inc. Communications interface adapter
JPS5677037U (ko) * 1979-11-12 1981-06-23
JPS5714598A (en) * 1980-06-30 1982-01-25 Yamasa Shoyu Co Ltd 5-substituted-1-beta-d-arabinofuranosyluracil derivative and its preparation
JPS5749288A (en) * 1980-09-09 1982-03-23 Toshiba Corp Photo hybrid integrated circuit
KR880001670B1 (ko) * 1980-11-29 1988-09-05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비데오 테이프레코오더용 샤시의 제조방법
FR2524247A1 (fr) * 1982-03-23 1983-09-30 Thomson Csf Procede de fabrication de circuits imprimes avec support metallique rigide conducteur individuel
US4471898A (en) * 1982-04-28 1984-09-18 Pace Incorporated Universal modular power and air supply
JPS592008A (ja) * 1982-06-28 1984-01-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埋め込み型石英光導波路の製造方法
JPS5938867A (ja) * 1982-08-30 1984-03-02 Canon Inc 電子機器
US4452847A (en) * 1982-11-17 1984-06-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Sheet material impregnated with a highly cross linked thermally stable epoxy composition
JPS59180514A (ja) * 1983-03-31 1984-10-13 Toshiba Corp 光受信モジユ−ル
DE3324674A1 (de) * 1983-07-08 1985-01-17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tegrierten elektrooptischen bauelementes
US4584767A (en) * 1984-07-16 1986-04-29 Gregory Vernon C In-mold process for fabrication of molded plastic printed circuit bo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757A (ko) 1986-05-28
DE3587101D1 (de) 1993-03-25
JPS6197996A (ja) 1986-05-16
EP0178579B1 (en) 1993-02-17
EP0178579A2 (en) 1986-04-23
US4810048A (en) 1989-03-07
EP0178579A3 (en) 1988-03-23
DE3587101T2 (de) 199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275B1 (ko) 기구부품 탑재용 샤시
US5122703A (en) Integrally molded armature for swing-type actuator
US7665905B2 (en) Optical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17960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ircuit structure by insert molding of electric and/or optical transmission medium
US5071223A (en) Circuit structure formed by insert molding of electric and/or optical transmission medium
US5165090A (en) Swing-type actuator
KR20230078626A (ko) 성형품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S6179290A (ja) 光・電子プリント基板
JPH05281429A (ja) 光導体路を内装した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JPH02216896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を用いた電子部品のケース取付方法
KR0138510B1 (ko) 자기 헤드 및 헤드 장치
EP1111421B1 (en) Flip-chip mounting of optical module and alignment using grooves together with optical fibers
KR100861939B1 (ko) 집적화된 연성 광 인쇄회로기판
US11899255B2 (en) Optical printed circuit board and its fabricating method
JPH0983414A (ja) 無線電力伝送装置
JP2729143B2 (ja) 光センサの配線構造
JPS601614A (ja) 多素子磁気ヘツド装置の製法
KR880002218B1 (ko) 기판의 절연방법
TWM638485U (zh) 注塑模具及應用其製作的電路板注塑品
JP2000147270A (ja) 光配線機能を有するプリント配線板
JPS61214317A (ja) 光電スイツチ
JPH0888494A (ja) リモコン用受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34309A (ja) 複合成形品
JPH08197646A (ja) 多連装空芯コイル埋設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S62140490A (ja) 配線回路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