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956B1 - 아줄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줄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956B1
KR920000956B1 KR1019840005107A KR840005107A KR920000956B1 KR 920000956 B1 KR920000956 B1 KR 920000956B1 KR 1019840005107 A KR1019840005107 A KR 1019840005107A KR 840005107 A KR840005107 A KR 840005107A KR 920000956 B1 KR920000956 B1 KR 920000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compound
azulene
sulfonate
isoprop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731A (ko
Inventor
가헤이 다까세
마사뿌미 야수나미
쑤요시 도미야마
아끼라 도미야마
다까시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고또부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쑤요시 도미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3187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489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4028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58160A/ja
Application filed by 고또부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쑤요시 도미야마 filed Critical 고또부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01Sulfonic acids
    • C07C309/28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309/45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309/47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having at least one of the sulf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eing part of a condensed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5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sulfoxy acids or sulfur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줄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치료특성이 유효한 신규의 화학적 화합물인 일반식(I)의 아줄렌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저급 알킬,
Figure kpo00002
(여기서, R5, R6및 R7은 각각 수소 또는 저급 알칼이다) 또는 벤질이고, R2및 R3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며, R4는 수소 또는 알킬옥시 그룹이고, X는 Na 또는 Al(OH)2이다.
아줄렌 유도체는 위궤양치료, 위염치료 및 소염활성을 갖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유도체는 빛과 열에 불안정하므로 안정성과 효능을 개선시킨 유도체를 오랫동안 갈망해왔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약제학적 특성이 바람직한 신규 화합물을 합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위궤양 치료제로서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합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중요한 목적은 소염제로서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합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아줄렌 유도체의 나트륨 설포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목적은 하기의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강력한 위궤양 치료 활성과 위염치료 활성을 갖고 있어서 치료학적으로 유용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금까지 나트륨 구아이아줄렌-3-설포네이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종래의 화합물보다 더욱 강력하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일반식(I)에서 R1, R2, R3, R4, R5, R6및 R7로 나타낸 저급 알킬그룹은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알킬그룹 또는 측쇄 알킬그룹을 의미한다.
R3및 R4의 치환체 위치가 일반식(I)의 7원환 상의 4, 6 또는 7위치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하기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특히 중요하다.
1) 나트륨 3-메틸-아줄렌 설포네이트, 2) 나트륨 3-에틸-아줄렌 설포네이트, 3) 나트륨 3-에틸-7-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 4) 나트륨 3-에틸-6-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 5) 나트륨 3-(1′-R, S-1 ; 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 6) 나트륨 3-n-부틸-아줄렌 설포네이트, 7) 나트륨 3-메틸-2-에틸-아줄렌 설포네이트, 8) 나트륨 3-(1′-S-1′, 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 9) 나트륨 3-(1′-R-1′, 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 10) 나트륨 3-1′-S-1′, 5′-디메틸-4′-헥센)-7-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 11) 나트륨 3-(1′-R-1′, 5′-디메틸-4′-헥센)-7-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 12) 나트륨 3-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 13) 나트륨 3-메틸-7-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 14) 나트륨 3-n-부틸-아줄렌 설포네이트, 15) 나트륨 3-n-펜틸-아줄렌 설포네이트, 16) 나트륨 5-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 17) 나트륨 7-이소프로필-3-n-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 18) 나트륨 7-이소프로필-3-n-부틸-아줄렌 설포네이트, 19) 나트륨 7-이소프로필-3-n-펜틸-아줄렌 설포네이트, 20) 나트륨 7-이소프로필-3-(1′-R, S-1′, 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 21) 나트륨 7-이소프로필-3-(R′-R-1′, 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 22) 나트륨 7-이소프로필-3-(1′-S-1′, 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 23) 나트륨 7-이소프로필-3-벤질-아줄렌 설포네이트, 24) 나트륨 4-메톡시-3-메틸-아줄렌 설포네이트, 25) 나트륨 4-메톡시-3-에틸-아줄렌 설포네이트, 26) 나트륨 4-메톡시-3-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 27) 나트륨 4-메톡시-3-부틸-아줄렌 설포네이트, 28) 나트륨 4-메톡시-3-펜틸-아줄렌 설포네이트, 29) 나트륨 4-메톡시-3-헥실-아줄렌 설포네이트, 30) 나트륨 7-이소프로필-4-메톡시-3-메틸-아줄렌 설포네이트, 31) 나트륨 7-이소프로필-4-메톡시-3-에틸-아줄렌 설포네이트, 32) 나트륨 7-이소프로필-4-메톡시-3-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 33) 나트륨 7-이소프로필-4-메톡시-3-부틸-아줄렌 설포네이트, 34) 나트륨 7-이소프로필-4-메톡시-3-펜틸-아줄렌 설포네이트, 35) 3-메틸-아줄렌 설폰산 알루미늄염, 36) 3-에틸-아줄렌 설폰산 알루미늄염, 37) 7-이소프로필-3-메틸-아줄렌 설폰산 알루미늄염 및 38) 7-이소프로필-3-에틸-아줄렌 설폰산 알루미늄염.
상기한 1 내지 38번의 화합물 이하에서 각각 화합물 1, 화합물 2, …, 화합물 38로 나타내기로 한다.
신규한 일반식(I)의 아줄렌 유도체는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설폰화하여 나트륨 또는 알루미늄염으로 전환시켜 수득한다.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1, R2, R3및 R4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II)의 예비설폰화된 화합물은 하기의 몇가지 방법으로 제조한다.
i) R1및 R3이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2가 수소인 화합물은 엘.티.스콧트(L.T.Scott)의 방법[참조 ; J.Am.Chem.Soc.102 6311 p1980] 또는 본 발명의 발명자 중의 한 사람인 엠.야스나미(M. Yasunami)의 방법[참조 ; Chemistry Letters 579p 1980]으로 수득한다.
ii) R1
Figure kpo00004
또는 벤질인 경우, 목적 화합물은 2H-사이클로헵타 (b) 푸란-2-온을 엠. 야스나미의 방법[참조 ; Chem. Lett. 579p 1980]에 따라 일반식 R1-CH2CHO의 상응하는 알데하이드로 부터 수득한 엔아민과 반응시켜 수득한다.
iii) R1및 R2가 모두 저급 알칼인 화합물은 알데하이드(R1-CH2CHO)대신 케톤체
Figure kpo00005
로 부터 수득한 엔아민을 사용하여 (ii)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수득하는데, 반응 (ii)에서 출발물질인 알데하이드가 입체특이적 이성체, 예를 들면, R1이 d- 또는 ℓ-시트로넬랄 및 d- 또는 ℓ-리모넨인 입체특이적 이성체를 함유하더라도 반응생성물은 그 자체의 입체특이성을 유지한다.
iv) 기타의 화합물들로 또한 엠. 야스나미의 방법[참조 ; Chem. Lett. 579p 1980]에 따라 제조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수득한 화합물을 감압하에 증류시키거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한 다음, 설폰화시킨다. 설폰화는 통상적으로 아세트산 무수물 속에서, 냉각상태에서 황산을 가하여 수행하는데, 다른 경우에는 황산 무수물-피리딘 복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생성된 설폰화된 화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용액 또는 나트륨 에틸레이트를 사용하여 이의 나트륨염으로 전환시킨 다음, 알코올로부터 재결정화한다.
알루미늄염을 수득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염 용액, 예를 들면 Al(OH)3, AlCl3또는 알루미늄 프로폭사이드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나트륨 설포네이트를 전환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빛과 열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었고 이들 화합물 중의 몇몇은 우수한 소화성 궤양 치료 활성 및 위궤양 치료 활성을 지니고 있어서 치료학적 용도로 사용될 것이다. 하기 실시예들은 표준 약물로서 나트륨 구아이아줄렌-3-설포네이트(GAS)와 비교한 생물학적활성, 본 발명의 대표적 조성물의 제조 및 이들의 합성방법을 나타낸다. (약리학적 데이타 1)
화합물의 항소화성 활성은 기질로서 소 혈청 알부민 및 시판되는 펩신을 사용하여, 브이.케이.티에머(V.K. Thiemer) [참조 ; Arznei-Forsch 22(6), pp. 1086, 1972]에 따라 시험관 내에서 시험한다.
활성은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대조수치(억제제를 전혀 가하지 않음)에 대한 억제%로 나타낸다. 또한, ID50(50% 억제량)이 그래프적으로 수득된다.
[표 1]
Figure kpo00006
ID50: 50% 억제량
(약리학적 데이타 2)
시험관 내에서 궤양치료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샤이의 래트(Shay′s rat) [참조 ; Gastro enterology 26, p. 906]를 선택한다. 래트를 48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광성 마취하에 유문 결찰을 실시한다. 약물을 경구투여한다. 결찰한지 16시간 후에 래트를 죽이고 위를 제거한다. 유도된 미란의 면적을 측정하여 궤양지수(U. I)로 기록한다. 데이타는 하기 방정식으로부터 대조수치에 대한 억제 %로 나타낸다.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독성)
SD 래트를 사용하여 릿치필드 앤드 윌콕손 방법(Litchfield & Wilcoxon method)으로 화합물 3의 급성 독성을 측정한다. 화합물의 LD50치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9
화합물의 3의 안정성은 근래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나트륨 구아이아줄렌 설포네이트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다.
나트륨 구아이아줄렌 설포네이트의 불안정성이 이의 약제학적 용도를 제한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향상된 안정성은 본 화합물의 또하나의 장점이 될 것이다.
하기 데이타는 본 화합물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데이타는 각 상태에서 보관한 후, 원래 화합물의 잔류 %로 나타낸다.
Figure kpo00010
약제학적 목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통상적인 용량단위 조성물, 즉 필수적으로 하나의 불활성 약제학적 담체 및 하나의 활성 성분의 유효용량단위로 구성되는 용량단위 형태의 조성물(예 : 정제, 과립, 캅셀, 현탁액 등) 중의 활성 성분으로서 동물 및 사람에게 경구, 비경구 또는 직장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따라, 화합물 하나의 유효용량 단위는 2㎎ 내지 60㎎이고, 성인은 1일 3회 투여한다.
하기 실시예는 활성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표적인 약제학적 용량단위 조성물을 설명하고, 본 발명을 실제로 사용하는 양식으로 나타낸다.
(약제학적 실시예 1)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
Figure kpo00011
[제조]
각 성분들을 긴밀하게 혼합하고 혼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과립화한다.
(약제학적 실시예 2)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
Figure kpo00012
(약제학적 실시예 3)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
Figure kpo00013
(약제학적 실시예 4)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
Figure kpo00014
(약제학적 실시예 5)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
Figure kpo00015
(약제학적 실시예 6)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
Figure kpo00016
(약제학적 실시예 7)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
Figure kpo00017
(약제학적 실시예 8)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
Figure kpo00018
(약제학적 실시예 9)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
Figure kpo00019
일반식(I)에 포함되는 다른 어떤 화합물이라도 상기한 약제학적 실시예 1 내지 9중의 특정한 활성성분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약제학적 실시예의 활성 성분의 양은 상기에서 나타낸 용량단위 범위를 성취하도록 변경할 수 있고, 불활성 약제학적 담체성분의 양과 특성은 특별한 요구에 부응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어떤 특정한 실시양태의 도움을 빌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들 특정 실시양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 또는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과 수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쉽게 알 것이다.
[실시예 1]
나트륨 1-메틸-아줄렌-3-설포네이트.
출발화합물인 1-메틸아줄렌은 야스나미 등[참조 ; Chemistry Letters, pp 579-582, 1980]에 따라 하기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20
(공정 1) 1-메틸-3-카복시메틸 아줄렌(B).
EtOH 120㎎중의 옥사줄렌 (A) 6g, 프로피온알데하이드 5.22g 및 모르폴린 7.84g 용액을 4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한다. 잔사를 벤젠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다.
벤젠을 제거한 후, 용출액으로서 벤젠을 사용하여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고체상태의 생성물을 5.9g 수득한다.
수율 : 5.9g(98.5%) 융점 : 69 내지 71℃
ir : 2950, 1690, 1450, 1440, 1421, 1202, 1027, 774, 736(㎝-1)
1H-NMR : (CDCl3)2.58(3H, S, Me), 3.92(3H, S, OMe), 7.28(1H, dd, J=9.6, 9.6, H-5), 7.37(1H, dd, J=9.6, 9.6, H-7), 7.67(1H, dd, J=9.6, 9.6, H-6), 8.14(1H, S, H-2), 8.24(1H, dd, J=9.6, 1.4, H-4), 9.49(1H, dd, J=9.6, 1.4, H-8).
(공정 2) 1-메틸 아줄렌(C)
화합물 B 5.91g을 인산 60㎖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수욕 상에서 15분 동안 가열(90 내지 95℃)한다.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빙수 300㎖에 부어넣고, n-헥산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무수 나트륨 설포네이트로 건조시키고, 용출액으로 벤젠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별하여 목적 화합물을 3.72g(90.1%) 수득한다.
ir : 3012, 2930, 1577, 1455, 1396, 947, 880(㎝-1)
1H-NMR : (CDCl3)2.58(3H, S, Me), 3.92(3H, S, OMe), 7.28(1H, dd, J=9.6, 9.6, H-5), 7.37(1H, dd, J=9.6, 9.6, H-7), 7.67(1H, dd, J=9.6, 9.6, H-6), 8.14(1H, S, H-2), 8.24(1H, dd, J=9.6, 1.4, H-4), 9.49(1H, dd, J=9.6, 1.4, H-8).
(공정 3) 나트륨 3-메틸-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1)
아세트산 무수물 10㎖를 1-메틸-아줄렌 1.0g에 빙수로 냉각시키면서 가하고, 황산 3.4g을 적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40%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여 pH 8 내지 9로 알칼리화 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수집하여 건조시킨다. 생성물을 95%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목적 화합물을 1.1g 수득한다.
융점 : 35 내지 38℃
ir : 1630, 1420, 1220, 750(㎝-1)
문헌[참조 ; M. Yasunami, Chem. lett., p579, 1980]에 나타난 상응하는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상기 공정 3과 동일한 설폰화 공정에 따라 화합물 2 내지 34를 수득한다.
[실시예 2]
나트륨 3-에틸-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2)
실시예 1의 공정 1에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대신에 n-부틸알데하이드를 사용하여 화합물 2를 수득한다.
융점 : 28 내지 30℃
ir :1630, 1425, 1400, 1220, 850(㎝-1)
[실시예 3]
나트륨 3-에틸-7-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3)
옥사졸렌(A) 대신에 출발물질로 5-이소프로필-치환된 옥사줄렌 유도체를,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대신에 n-부틸알데하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에 1의 방법에 따라 화합물 3을 제조한다. 설폰화는 실시예 1의 공정 3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융점 : 85 내지 88℃
ir : 1650, 1640, 1565, 1418, 1180, 1050(㎝-1)
1H-NMR(DMSO) : 1.30(3H, t, J=7.4, CH3), 1.33(6H, d, J=6.6, (CH3)2 -), 3.00(2H, q, J=7.4, CH2), 3.50(1H, sept, J=6.6, -CH-(CH3)2), 4.10(1H, bs, H2O), 7.20(1H, d, J=10, H-7), 7.90(1H, S, H-2), 8.23(1H, d, J=10, H-4), 9.17(1H, s, H-8)
[실시예 4]
나트륨 3-에틸-6-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4)
융점 : 55 내지 58℃
ir : 1640, 1580, 1410, 1190, 1060(㎝-1)
1H-NMR(DMSO) : 1.27(3H, t, J=7.4, CH3), 1.30(6H, d, J=6.6, (CH3)2 -), 2.96(2H, sept, J=6.6, 이소프로필), 3.02(2H, q, J=7.4, CH2), 7.17(2H, d, J=10, H-5.7), 7.70(1H, S, H-2), 8.20(1H, d, J=10, H-8), 8.90(1H, d, J=10, H-4)
[실시예 5]
나트륨 3-(1′-R, S-1′-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5)
화합물 5는 실시에 1에서 프로피온 알데하이드 대신에 d, ℓ-시트로넬랄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다.
융점 : 78 내지 81℃
ir : 1630, 1560, 1420, 1400, 1190, 1120, 1050, 750(㎝-1)
[실시예 6]
나트륨 3-n-부틸-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6)
융점 : 83 내지 85℃
ir : 1630, 1420, 1400, 1220, 750(㎝-1)
[실시예 7]
나트륨 3-메틸-2-에틸-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7)
화합물 7은 실시예 1의 공정 1에서 프로피온 알데하이드 및 모르폴린 대신에 3-(1-피롤리디닐)-2-펜텐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다.
융점 : 280 내지 283℃
ir : 1640, 1560, 1420, 1190, 1040, 740(㎝-1)
[실시예 8]
나트륨 3-(1′-S-1′, 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8)
화합물 8은 실시예 1의 공정 1에서 프로피온 알데하이드 대신에 d-시트로넬랄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다.
융점 : 78 내지 81℃
ir : 1630, 1560, 1420, 1400, 1190, 1120, 1050, 750(㎝-1)
[실시예 9]
나트륨 3-(1′-R-1′, 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9)
화합물 9는 실시예 1의 공정 1에서 프로피온 알데하이드 대신에 ℓ-시트로넬랄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다.
융점 : 78 내지 81℃
ir : 1630, 1560, 1420, 1400, 1190, 1120, 1050, 750(㎝-1)
[실시예 10]
나트륨 3-(1′-S-1′, 5′-디메틸-4′-헥센)-7-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10)
융점 : 108 내지 110℃
ir : 1630, 1560, 1420, 1220, 1050(㎝-1)
[실시예 11]
나트륨 3-(1′-R-1′, 5′-디메틸-4′-헥센)-7-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11)
융점 : 108 내지 110℃
ir : 1630, 1560, 1420, 1220, 1050(㎝-1)
[실시예 12]
나트륨 3-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12)
융점 : 210 내지 215℃(분해점)
ir : 3400, 2940, 2850, 1580, 1420, 1400, 1200, 1090, 1020, 960, 880, 750, 740, 670(㎝-1)
[실시예 13]
나트륨 3-메틸-7-이소프로필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13)
융점 : 91 내지 93℃
ir : 3450, 2950, 1640, 1250, 1070, 1010, 790(㎝-1)
[실시예 14]
나트륨 3-n-부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14)
융점 : 215 내지 220℃(분해점)
ir : 3450, 2900, 1570, 1390, 1190(㎝-1)
[실시예 15]
나트륨 3-n-펜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15)
융점 : 217 내지 220℃(분해점)
ir : 3450, 2900, 1570, 1390, 1190(㎝-1)
[실시예 16]
나트륨 5-이소프로필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16)
융점 : 214 내지 248℃
ir : 3450, 2950, 1640, 1200, 1050(㎝-1)
[실시예 17]
나트륨 7-이소프로필-3-n-프로필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17)
융점 : 138 내지 143℃
ir : 3450, 2950, 1630, 1575, 1470, 1415, 1390, 1220, 1050, 930(㎝-1)
[실시예 18]
나트륨 7-이소프로필-3-n-부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18)
융점 : 150 내지 152℃
ir : 3450, 2950, 1640, 1575, 1465(㎝-1)
[실시예 19]
나트륨 7-이소프로필-3-n-펜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19)
융점 : 168 내지 170℃
ir : 3400, 2950, 2930, 2860, 1620, 1580, 1470, 1440, 1390, 1190, 1060(㎝-1)
[실시예 20]
나트륨 7-이소프로필-3-(1′-R, S-1′, 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20)
융점 : 113 내지 116℃
ir : 3450, 2950, 1640, 1380, 1240, 1180(㎝-1)
[실시예 21]
나트륨 7-이소프로필-3-(1′-R-1′, 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21)
융점 : 114 내지 117℃
ir : 3450, 2950, 1640, 1380, 1240, 1180(㎝-1)
[실시예 22]
나트륨 7-이소프로필-3-(1′-S-1′, 5′-디메틸-4′-헥센)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22)
융점 : 115 내지 118℃
ir : 3450, 2950, 1640, 1380, 1240, 1180(㎝-1)
[실시예 23]
나트륨 7-이소프로필-3-벤질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23)
융점 : 250℃(분해점)
ir : 3450, 2950, 1640, 1560, 1530, 14690, 1420(㎝-1)
[실시예 24]
나트륨 4-메톡시-3-메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24)
융점 : 186 내지 188℃(분해점)
ir : 3400, 1600, 1570, 1540, 1460, 1370, 1270(㎝-1)
[실시예 25]
나트륨 4-메톡시-3-에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25)
융점 : 60℃
ir : 3400, 2950, 1600, 1570, 1540, 1450, 1370, 1270(㎝-1)
[실시예 26]
나트륨 4-메톡시-3-프로필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26)
융점 : 108 내지 110℃
ir : 3450, 2910, 2850, 1600, 1570, 1530(㎝-1)
[실시예 27]
나트륨 4-메톡시-3-부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27)
융점 : 188 내지 190℃(분해점)
ir : 3450, 2950, 1600, 1570, 1530, 1460(㎝-1)
[실시예 28]
나트륨 4-메톡시-3-펜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28)
융점 : 189 내지 192℃(분해점)
ir : 3450, 2950, 1600, 1560, 1530, 1450(㎝-1)
[실시예 29]
나트륨 4-메톡시-3-헥실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29)
융점 : 225 내지 228℃(분해점)
ir : 3450, 2900, 1650, 1560, 1520, 1460(㎝-1)
[실시예 30]
나트륨 7-이소프로필-4-메톡시-3-메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30)
융점 : 95 내지 97℃
ir : 3450, 2950, 1650, 1540, 1280, 1180(㎝-1)
[실시예 31]
나투륨 7-이소프로필-4-메톡시-3-에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31)
융점 : 108 내지 110℃
ir : 3450, 2950, 1650, 1540, 1260, 1180(㎝-1)
[실시예 32]
나트륨 7-이소프로필-4-메톡시-3-프로필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32)
융점 : 188 내지 190℃
ir : 3450, 2950, 1640, 1560, 1530(㎝-1)
[실시예 33]
나트륨 7-이소프로필-4-메톡시-3-부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33)
융점 : 166 내지 168℃
ir : 3450, 2950, 1640, 1560, 1530, 1470(㎝-1)
[실시예 34]
나트륨 7-이소프로필-4-메톡시-3-펜틸 아줄렌 설포네이트(화합물 34)
융점 : 123 내지 125℃
ir : 3450, 2950, 1650, 1520, 1260, 1010(㎝-1)
[실시예 35]
3-메틸 아줄렌 설폰산 알루미늄염(화합물 35)
나트륨 3-메틸 아줄렌 설포네이트 5g을 물에 용해시킨다. 잔사를 여과한 다음, 물 40㎖중의 AlCl32.73g을 이 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10% NaOH를 가하여 pH 4 내지 4.5가 되도록 조절한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다.
융점 : 250℃ 이상
ir : 3400, 1630, 1580, 1395, 1140, 1040, 740(㎝-1)
Al 함량 : 13.96%
하기 화합물들(화합물 36 내지 38)은 상응하는 나트륨 설포네이트 유도체로부터 실시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36]
3-에틸 아줄렌 설폰산 알루미늄(화합물 36)
융점 : 250℃ 이상
ir : 3400, 2950, 1580, 1400, 1150, 1050, 750(㎝-1)
Al 함량 : 13.00%
[실시예 37]
7-이소프로필-3-메틸 아줄렌 설폰산 알루미늄염(화합물 37)
융점 : 250℃ 이상
ir : 3400, 2950, 1420, 1150, 1040(㎝-1)
Al 함량 : 9.46%
[실시예 38]
7-이소프로필-3-에틸 아줄렌 설폰산 알루미늄염(화합물 38)
융점 : 250℃ 이상
ir : 3400, 2950, 1580, 1420, 1390, 1150(㎝-1)
Al 함량 : 10.58%

Claims (11)

  1.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설폰화제와 반응시키고, 생성된 설폰산을 이의 나트륨염 또는 알루미늄염으로 전환시키는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저급 알킬,
    Figure kpo00023
    또는 벤질(여기서, R5, R6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n은 1 또는 2의 정수이다)이고, R2및 R3은 각각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며, R4는 알콕시그룹 또는 수소이고, X는 Na 또는 Al(OH)2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저급 알킬그룹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R1
    Figure kpo00024
    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R4가 알콕시그룹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X가 Na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X가 Al(OH)2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나트륨 3-에틸-7-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포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3-에틸-7-이소프로필-아줄렌 설폰산 알루미늄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설폰화제가 황산 또는 황산 무수물-피리딘 복합체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응하는 나트륨 설포네이트를 알루미늄염 용액과 반응시켜 아줄렌 유도체의 설폰산 알루미늄염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알루미늄염 용액이 Al(OH)3또는 AlCl3의 수용액인 방법.
KR1019840005107A 1983-08-24 1984-08-23 아줄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20000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53187 1983-08-24
JP15318783A JPS6048960A (ja) 1983-08-24 1983-08-24 アズレン誘導体及びその製法並びにこの化合物を有効成分とする抗潰瘍剤
JP1402884A JPS60158160A (ja) 1984-01-28 1984-01-28 アズレン誘導体スルホン酸塩、抗潰瘍、抗炎症剤及びその製法
JP59-014028 1984-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731A KR850001731A (ko) 1985-04-01
KR920000956B1 true KR920000956B1 (ko) 1992-01-31

Family

ID=2634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107A KR920000956B1 (ko) 1983-08-24 1984-08-23 아줄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595694A (ko)
EP (1) EP0147915B1 (ko)
KR (1) KR920000956B1 (ko)
AR (1) AR240554A1 (ko)
AU (1) AU571554B2 (ko)
CA (1) CA1228862A (ko)
DE (1) DE3463502D1 (ko)
DK (1) DK169870B1 (ko)
ES (1) ES8506607A1 (ko)
HU (1) HU195478B (ko)
NO (1) NO158673C (ko)
PT (1) PT79119B (ko)
SU (1) SU1311618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152A (en) * 1989-07-05 1992-01-14 Kotobuki Seiyaku Co., Ltd. Azulene derivatives as thromboxane a2 and prostaglandin endoperoxide receptor antagonist
EP0887077A1 (de) * 1997-06-27 1998-12-30 Roche Diagnostics GmbH Verwendung von Azulenderivaten als Metalloproteaseinhibitoren
US6420435B1 (en) 1999-11-01 2002-07-16 Joe S. Wilkins, Jr. Method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EP1554572B1 (en) 2001-07-25 2009-10-14 Raptor Pharmaceutical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blood-brain barrier transport
US7041706B2 (en) * 2002-04-19 2006-05-09 Wilkins Jr Joe S Method for treating crohn's disease
EP3827747A1 (en) 2005-04-28 2021-06-02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harma-informatics system
EP2063905B1 (en) 2006-09-18 2014-07-30 Raptor Pharmaceutical Inc Treatment of liver disorders by administration of receptor-associated protein (rap)-conjugates
NZ616673A (en) 2009-02-20 2014-08-29 To Bbb Holding B V Glutathione-based drug delivery system
ES2942923T3 (es) 2009-05-06 2023-06-07 Laboratory Skin Care Inc Composiciones de administración dérmica que comprenden complejos de agente activo-partículas de fosfato de calcio y métodos de uso de las mismas
US20120077778A1 (en) 2010-09-29 2012-03-29 Andrea Bourdelais Ladder-Frame Polyether Conjugat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27896B (de) * 1965-12-02 1966-11-03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loeslicher stabiler Salze von Azulensulfonsaeureamiden
US3816612A (en) * 1967-03-23 1974-06-11 Deguss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asically reacting pharmaceuticals
US3974299A (en) * 1974-07-08 1976-08-10 Dynapol Ionic sweetener
US4224240A (en) * 1979-04-13 1980-09-23 Scm Corporation Preparation of para-menth-1-ene-7-sulfonate salts and corresponding acids
US4283347A (en) * 1979-04-13 1981-08-11 Scm Corporation Para-menth-1-ene-7-sulfonic acid and salt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158673C (no) 1988-10-19
AU571554B2 (en) 1988-04-21
PT79119A (en) 1984-09-01
NO843377L (no) 1985-02-25
DK377984A (da) 1985-02-25
ES535381A0 (es) 1985-07-16
HU195478B (en) 1988-05-30
US4595694A (en) 1986-06-17
ES8506607A1 (es) 1985-07-16
EP0147915B1 (en) 1987-05-06
DE3463502D1 (en) 1987-06-11
NO158673B (no) 1988-07-11
HUT37393A (en) 1985-12-28
DK377984D0 (da) 1984-08-03
SU1311618A3 (ru) 1987-05-15
EP0147915A1 (en) 1985-07-10
AR240554A1 (es) 1990-05-31
KR850001731A (ko) 1985-04-01
PT79119B (en) 1986-07-17
CA1228862A (en) 1987-11-03
DK169870B1 (da) 1995-03-20
AU3139684A (en) 198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0337A (en) Triazolobenzodiazepines
FI64357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ya terapeutiskt anvaendbara ftalazin-4-ylaettiksyraderivat
Yanagisawa et al. Synthesis and anti-ulcer activities of sodium alkylazulene sulfonates
JPS582936B2 (ja) 5↓−アロイルピロ−ル酢酸およびその塩類の製法
US3682976A (en) Phenyl benzofuran acetic acid compounds
KR920000956B1 (ko) 아줄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314315B2 (ko)
US2665275A (en) 2, 4-diamino-7, 8-disubstituted pteridines
US4111962A (en) Certain substituted 2-phenylnaphtho[1,2-b]furane and -[2,1-b]furane
KR870001537B1 (ko) 페닐지방성 카복실린산유도체의 제조방법
JPS5849369A (ja) 新規のイミダゾール化合物
US3892774A (en) Cyclo pentathiophene derivatives
US4496568A (en) Antiinflammatory thieno [2,3-c]pyridine derivatives
CH628014A5 (en) Gamma-aryl-gamma-oxoisovaleric acids having antiphlogistic and antalgic properties
US3450698A (en) Phenthiazine derivatives
Lange et al. Bromination of 2, 2, 6-trialkyl-1, 3-dioxan-4-ones. Application of the deuterium isotope effect to the synthesis of a chiral trialkyldioxinone
US3244725A (en) 4, 5-diacyl-3-hydroxy-3-pyrrolin-2-ones
US4454136A (en) Substituted benzopyranotriazoles and antiallergic use
Gilman et al. 5-and 7-Trifluoromethylquinolines
US5936120A (en) Deoxygossylic compounds
JPH0149259B2 (ko)
JPS59176234A (ja) p‐ニトロフエニル3−ブロモ−2,2−ジエトキシ−プロピオネート
JPS61180761A (ja) 6−置換アズレン誘導体スルホン酸塩,抗潰瘍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3962342A (en) Bromination process
KR850000430B1 (ko) 6-치환 피라논 화합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