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182B1 - 다기능 제어 비디오헤드 선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제어 비디오헤드 선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182B1
KR910010182B1 KR1019880018086A KR880018086A KR910010182B1 KR 910010182 B1 KR910010182 B1 KR 910010182B1 KR 1019880018086 A KR1019880018086 A KR 1019880018086A KR 880018086 A KR880018086 A KR 880018086A KR 910010182 B1 KR910010182 B1 KR 91001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ignal
amplifier
phas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696A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10182B1/ko
Priority to JP1182352A priority patent/JP2540212B2/ja
Priority to JP1185817A priority patent/JP2790859B2/ja
Priority to US07/384,753 priority patent/US5291342A/en
Priority to GB8920489A priority patent/GB2226686B/en
Publication of KR900010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 H04N9/8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the recorded signal showing a feature, which is different in adjacent track parts, e.g. different phase or frequen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4Masking or switching periodically, e.g. of rotating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기능 제어 비디오헤드 선택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대한 모드별 동작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W1-SW3 : 제1-3스위치 100 : 마이콤
101,102 : 제1,2증폭기 103 : 비교기
104 : 서보제어부
본 발명은 다기능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Video Tape Recorder:이하 VTR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수재생시 필요한 헤드의 선택과 선택된 헤드에 따라 발생되는 헤드의 위상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기능 VTR은 테이프를 정상적으로 재생하는 정상재생 기능을 비롯하여 정지화면 재생 및 느린화면 재생, 고속재생, 2배속재생 등과 같은 특수한 재생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더블아지무스헤드 방식에 따라서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헤드 쌍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두 종류의 헤드쌍 중 하나의 헤드쌍은 스탠다드(standard) 플레이 헤드로 구성되고, 다른 헤드쌍은 롱 플레이(Long Play:이하 LP라 함) 헤드나 또는 슈퍼롱플레이(Super Long Play 이하 SLP라 함) 헤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더블아지무스 헤드방식을 구성하는 각 헤드들은 일반 헤드의 동작시점에 비교하여 일정각도를 앞서거나 뒤지게 된다. 그러므로 다기능 VTR은 운용자가 지정하는 기능에 따라 재생헤드를 선택하고 또한 선택되는 헤드의 헤드위상을 조절하여야 하는데 상기 헤드선택 및 헤드위상을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회로는 제1도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마이콤(100)은 운용자가 지정하는 재생기능에 대한 기능제어 데이터를 발생하여 서보제어부(104) 및 다기능 제어부(105)로 인가한다.
상기 마이콤(100)으로부터 버스라인(1)을 통해 인가되는 기능제어 데이터에 의해 서보제어부(104)는 드럼모터(M1) 및 캡스턴모터(M2)의 속도를 각각의 라인(2,3)을 통해 제어하는 한편 라인(4)을 통해 헤드채널 선택신호를 제1,2스위치(SW1,SW2)의 스위칭 작동을 제어하며 다기능 제어부(105)에 헤드선택 상태를 알린다.
그러면 다기능 제어부(105)는 버스라인(1)을 통해 인가되는 기능제어 데이터 및 라인(4)을 통해 인가되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비교기(103)로부터 라인(5)을 통해 인가되는 비교신호에 의해 라인(6)을 통해 증폭기 선택신호를 출력하고 라인(7)을 통해서는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1-3스위치는 (SW1-SW3)은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증폭기 선택신호에 따라 재생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정상재생을 설명하면 스탠다드 플레이시와 슈퍼롱 플레이시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고 또한 다른 특수재생도 스탠다드 플레이시와 슈퍼롱 플레이시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번째로 스탠다드 플레이의 정상재생일 경우 제1스위치(SW1)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에 의해 제1,2헤드(SP1,SP2)가 독출한 비디오 신호를 번갈아 제1증폭기(101)로 전송하며, 제1스위치(SW1)를 통해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제1증폭기(101)는 일정 증폭율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제3스위치(SW3)로 출력하고, 제3스위치(SW3)는 증폭기 선택신호에 의해 제1증폭기(101)의 출력을 라인(8)을 통해 송출하게 된다.
한편 헤드위상 조절신호는 제1,2헤드(SP1,SP2)가 번갈아 선택될 때마다 선택된 헤드에 대한 위상을 조절하게 되는데 제1헤드(SP1)가 선택될 경우엔 +6° 그리고 제2헤드(SP2)가 선택된 경우엔 -6°의 위상 조절한다.
두번째로 SLP의 정상재생일 경우 제2스위치(SW2)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에 의해 제3,4혜드(SLP1,SLP2)가 독출한 비디오 신호를 번갈아 제2증폭기(102)로 전송하며, 제2증폭기(102)는 제2스위치(SW2)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일정 증폭율로 증폭하여 제3스위치(SW3)로 출력하고, 제3스위치(SW3)는 증폭기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제2증폭기(102)의 출력을 라인(8)을 통해 전송한다. 이때 헤드위상 조절신호는 제3,4헤드(SLP1,SLP2)가 선택될 때마다 선택된 헤드에 대한 위상차를 조절하게 되는데 제3헤드(SLP1)가 선택된 경우엔 +6° 그리고 제4헤드(SLP2)가 선택된 경우에는 -6°의 위상차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특수기능 즉 다기능 재생일 경우는 정상재생속도에 비하여 테이프가 다른 속도로 주행하기 때문에 테이프로부터 올바른 비디오 신호를 독출할 수 없다. 즉 헤드채널 선택의 1구간 내에 다수의 비디오트랙이 이동하기 때문에 제1-4헤드(SP1,SP2,SLP1,SLP2)가 동시에 또는 각각 동작하기 때문에 비교기(103)의 출력인 비교신호에 동기되어 선택되기도 하고 1구간내의 적절한 헤드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독출하기 위해 헤드채널 선택신호에 동기되게 헤드를 선택하기도 하는데 다기능에 대하여 헤드의 선택은 하기의 표 1-1과 같이 되고 이때의 증폭기 선택신호 및 헤드위상 조절신호의 타이밍도는 제2도와 같이 된다.
그리고 헤드채널 선택신호 및 증폭기 선택신호에 대해 선택되는 헤드 및 증폭기가 헤드위상 조절회로에 따라 조절되는 위상각에 대한 상태는 하기의 표1-2와 같이 된다.
[표 1-1]
Figure kpo00001
[표 1-2]
Figure kpo00002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헤드선택 및 헤드위상 조절회로는 다기능 제어부(105)에 의해 증폭기 선택 및 헤드의 위상을 조절함으로 복잡한 회로구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더블아지무스 헤드방식의 4개의 헤드를 구비한 다기능 VTR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헤드를 선택하고 헤드에 대한 위상을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제어시 헤드선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서, 테이프에 기록된 비디오 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스탠다드 플레이용 제1,2헤드(SP1,SP2)와, 상기 제1,2헤드(SP1,SP2)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인가되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제2스위치(SW1)와, 상기 제1스위치(SW1)의 출력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 증폭율로 증폭 출력하기 위한 제1증폭기(101)와, 테이프에 기록된 비디오 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슈퍼롱 플레이용 제3,4헤드(SLP1,SLP2)와, 상기 제3,4헤드(SLP1,SLP2)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인가되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제2스위치(SW2)와, 상기 제2스위치(SW2)의 출력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 증폭율로 증폭 출력하기 위한 제2증폭기(102)와, 상기 제1,2증폭기(101,10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증폭기(101)나 제2증폭기(102)의 출력을 인가되는 증폭기 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라인(8)을 통해 출력하는 제3스위치(SW3)와, 드럼모터(M1) 및 캡스턴모터(M2)를 제어하고 또 한편으로 상기 제1,2스위치(SW1,SW2)로 스위칭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를 인가하는 서보제어부(104)와, 상기 제1,2증폭기(101,102)의 출력을 서로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103)와, 상기 서보제어부(104)의 작동을 제어하고 한편으로 상기 서보제어부(104)의 출력인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상기 비교기(103)의 출력인 비교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3스위치(SW3)로 스위칭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증폭기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헤드의 위상차를 조절하기 위한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여 라인(7)을 통해 출력하는 마이콤(100)으로 구성되고, 제4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로서,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운용자가 지정한 재생기능이 정상재생 기능인지 정지화면 재생기능 또는 2배속 재생기능인지 그렇지 않으면 느린 화면 재생기능인지 고속재생인지를 기 입력된 키 데이터에 의해 검사하는 제1과정(200-205)과, 상기 제1과정(200-205)에서 정상재생 기능일시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지 판단하는 제2과정(206)과, 상기 제1과정(200-205)에서 정지화면 기능이나 2배속 재생기능일시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지 판단하는 제3과정(209)과, 상기 제1과정(200-205)에서 고속재생 기능일시 비교신호를 입력한 후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지 검사하는 제4과정(212-213)과, 상기 제1과정(200-205)에서 느린 화면 재생기능일시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지 판단하는 제5과정(215)과, 상기 제5과정(215)에서 SP모드일시 테이프의 이동구간인가 검사하는 제6과정(216)과, 상기 제5과정(215)에서 SP모드가 아닐시 테이프의 이동구간인가 검사하는 제7과정(217)과, 상기 제2과정(206)에서 SP모드일시 제1증폭기(101)를 선택하고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역위상의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8과정(207)과, 상기 제2과정(206)에서 SP모드가 아닐시 제2증폭기(102)를 선택하고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동위상의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9과정(208)과, 상기 제3과정(209)에서 SP모드이거나 상기 제7과정(217)에서 이동구간이 아닐시 제1,2증폭기(101,102)를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동위상이 되도록 교번선택하고 일정각도 뒤지게 하는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10과정(211)과, 상기 제3과정(209)에서 SP모드가 아니거나 제6과정(216)에서 이동구간이 아닐시 제1,2증폭기(101,102)를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역위상이 되도록 역위상이 되도록 교번 선택하는 제11과정(210)과, 상기 제4과정(212-213)에서 SP모드이거나 제6과정(216)에서 이동구간일시 제1,2증폭기(101,102)를 상기 비교신호와 동위상이 되도록 교번 선택하는 한편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일정 논리상태이면 비교신호와 역위상이 되도록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기저 논리상태이면 비교신호와 동위상이 되도록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12과정(214)과, 상기 제4과정(212-213)에서 SP모드가 아니거나 제7과정(217)에서 이동구간일시 제2증폭기(102)를 선택하고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동위상의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13과정(218)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제3-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를 설명하면, 제1스위치(SW1)는 라인(4)을 통해 인가되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스위칭 작동을 함으로 제1헤드(SP1)의 출력을 제1증폭기(101)로 전송하거나 제2헤드(SP2)의 출력을 제1증폭기(102)로 전송한다.
제2스위치(SW2)도 라인(4)을 통해 인가되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스위칭 작동을 함으로 제3헤드(SLP1)의 출력을 제2증폭기(102)로 전송하거나 제4헤드(SLP2)의 출력을 제2증폭기(102)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3스위치(SW3)는 라인(6)을 통해 인가되는 증폭기 선택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제1증폭기(101)의 출력을 라인(8)을 통해 전송하거나 제2증폭기(102)의 출력을 라인(8)을 통해 전송한다.
비교기(103)는 상기 제1,2증폭기(101,102)의 출력을 비교하여 비교된 비교신호를 라인(5)을 통해 마이콤(100)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서보제어부(104)는 라인(2,3)을 통해 드럼모터(M1) 및 캡스턴모터(M2)의 속도를 제어하는 한편 라인(4)을 통해 헤드채널 선택신호를 상기 제1,2스위치(SW1,SW2)와 마이콤(100)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마이콤(100)은 버스라인(1)을 통해 상기 서보제어부(104)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서보제어부(104)로부터 라인(4)을 통해 인가되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상기 비교기(103)로부터 라인(5)을 통해 인가되는 비교신호와 운용자가 지정한 재생기능에 따라 증폭기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라인(6)을 통해 제3스위치(SW3)로 인가함으로 제3스위치(SW3)로 하여금 증폭기를 선택하게 하고 라인(7)을 통해서는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출력한다.
제4도는 제3도 중 마이콤(100)이 수행하는 본 발명의 흐름도로서, 마이콤(100)은 200단계에서 서보제어부(104)로부터 라인(4)을 통해 헤드채널 선택신호를 입력한 다음 제201단계에서부터 제205단계를 통해 기 입력된 키 데이터를 검사함으로 정상 재생기능 지정인가 또는 정지화면 재생지정인가, 고속재생기능 지정인가, 느린 화면 재생기능 지정인가, 2배속 재생기능 지정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제201단계-제205단계 중에서 정상 재생기능 지정일시 마이콤(100)은 서보제어부(104)를 통해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가를 검사한다. (제206단계)
상기 제206단계에서 SP모드일시 마이콤(100)은 증폭기 선택신호를 ″H″로 하면 제1증폭기(101)가 선택되어 제1,2헤드(SP1,SP2)를 선택하게 된다. 이 경우 헤드위상 조절신호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의 반대위상으로 동작하며 위상을 맞춘다. 즉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LOW″일 때에는 제1헤드(SP1)가 동작하며, 제1헤드(SP1)의 위상은 +6°이므로 헤드위상 조절신호는 ″H″가 되어야 한다.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H″일 때는 제2헤드(SP2)가 동작하며 제2헤드(SP2)의 위상은 -6°이므로 헤드위상 조절신호는 ″L″로 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의 역위상으로 동작한다. (제207단계)
상기 제206단계에서 SP모드가 아닐 경우 마이콤(100)은 증폭기 선택신호를 ″L″로 하여 제2증폭기(102)가 선택되게 하고 헤드위상 조절신호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의 동위상으로 동작한다. 즉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H″이면 제3헤드(SLP1)가 동작하며 제3헤드(SLP1)의 위상은 +6°이므로 헤드위상맞춤도 ″H″로 된다.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L″이면 제4헤드(SLP2)가 동작하고 제4헤드(SLP2)의 위상은 -6°이므로 헤드위상선택을 ″L″로 해야한다. (제208단계)
상기 제201단계-제205단계에서 정지화면 재생기능 지정이나 2배속 재생기능 지정일시 마이콤(100)은 서보제어부(104)를 통해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가를 판단한다. (제209단계)
상기 제209단계에서, SP모드일시 마이콤(100)은 증폭기 선택신호를 헤드채널 선택신호의 동위상으로 동작하게 한다. 즉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H″이면 제2헤드(SP2) 또는 제3헤드(SLP1)헤드가 동작하고 증폭기 선택신호가 ″H″이면 제2헤드(SP2)가 선택된다. 또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L″이고 증폭기 선택신호가 ″L″이면 제4헤드(SLP2)가 동작한다. 따라서 제2,4헤드(SP2,SLP4)가 동작하게 되며 2헤드의 위상은 -6°이므로 위상 조절신호는 ″L″로 된다. (제210단계) 상기 제209단계에서 SP모드가 아닐시 SLP모드로 인지하는 마이콤(100)은 증폭기 선택신호를 헤드채널 선택신호의 역위상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 동작하는 헤드는 제1,3헤드(SP1,SLP1)가 동작하게 된다. 2개의 헤드의 위상은 모두 +6°이므로 헤드위상 조절신호는 ″H″로 한다. (제210단계)
상기 제201단계-제205단계 중에서 고속재생기능 지정일시 마이콤(100)은 비교기(103)로부터 비교신호를 라인(5)을 통해 입력한 다음(제212단계)서보제어부(104)를 통해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가를 판단한다. (제213단계)
상기 제213단계에서 SP모드일시 마이콤(100)은 증폭기 선택신호와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상기 비교신호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데 비교신호는 ″H″일 때는 SP측의 헤드가 동작하고 ″L″일 때는 SLP측의 헤드가 동작한다. 따라서 증폭기 선택신호는 비교신호에 따라 동위상으로 동작하게 한다.
헤드위상 조절신호는 4개의 헤드가 동작할 때 위상을 맞추어야 하므로 비교신호와 헤드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즉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H″일 때는 비교신호와 역위상으로 동작하고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L″일 때는 비교신호와 동위상으로 동작한다. (제214단계)
상기 제213단계에서 SP모드가 아닐시 SLP모드로 인지하는 마이콤(100)은 상기 제208단계와 동일하게 증폭기 선택신호와 헤드위상 조절신호 발생한다. (제218단계)
상기 제201단계-제205단계 중에서 느린 화면 재생이 지정일시 마이콤(100)은 서보제어부(104)를 통해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가를 판단한다. (제215단계)
상기 제215단계에서 SP모드일시 마이콤(100)은 테이프가 정지구간에 있는가 이동구간에 있는가를 서보제어부(104)를 통해 검사한다. (제216단계)
느린 화면 재생기능은 정지화면재생과 정상재생을 반복하게 되어 있으므로 테이프의 정지상태에서는 제2헤드(SP2)와 제4헤드(SLP2)가 선택되고 테이프가 이동구간에 있을 때는 제2헤드(SP2)와 제1헤드(SP1)가 선택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16단계에서 이동구간일 경우 마이콤(100)은 제214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216단계에서 이동구간이 아닐 경우 정지구간으로 인지하는 마이콤(100)은 제210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제215단계에서 SP모드가 아닐시 SLP모드로 인지하는 마이콤(100)은 테이프가 정지 중에 있는가 이동 중에 있는가를 서보제어부(104)를 통해 검사한다. (제217단계)
상기 제217단계에서 테이프가 이동 중 일시 마이콤(100)은 제218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17단계에서 테이프가 정지중일시 마이콤(100)은 제211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선택 및 헤드위상을 조절을 종래와 같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마이콤(100)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하여 종래의 다기능 제어부와 같은 복잡한 회로를 제거함으로 회로를 간소화 할 수 있는 이점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느린 화면 재생기능중 이동구간에 있어서 고속재생 기능과 같이 수행하게 함으로 헤드선택시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테이프에 기록된 비디오 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스탠다드 플레이용 제1,2헤드(SP1,SP2)와, 상기 제1,2헤드(SP1,SP2)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인가되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제1스위치(SW1)와, 상기 제1스위치(SW1)의 출력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 증폭율로 증폭 출력하기 위한 제1증폭기(101)와, 테이프에 기록된 비디오 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슈퍼롱 플레이용 제3,4헤드(SLP1,SLP2)와, 상기 제3,4헤드(SLP1,SLP2)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인가되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제2스위치(SW2)와, 상기 제2스위치(SW2)의 출력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 증폭율로 증폭 출력하기 위한 제2증폭기(102)와, 상기 제1,2증폭기(101,10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증폭기(101)나 제2증폭기(102)의 출력을 인가되는 증폭기 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라인(8)을 통해 출력하는 제3스위치(SW3)와, 드럼모터(M1) 및 캡스턴모터(M2)를 제어하고 또 한편으로 상기 제1,2스위치(SW1,SW2)로 스위칭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를 인가하는 서보제어부(104)와, 상기 제1,2증폭기(101,102)의 출력을 서로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103)와, 상기 서보제어부(104)의 작동을 제어하고 한편으로 상기 서보제어부(104)의 출력인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상기 비교기(103)의 출력인 비교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3스위치(SW3)로 스위칭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증폭기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헤드의 위상차를 조절하기 위한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여 라인(7)을 통해 출력하는 마이콤(1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제어 헤드 선택장치.
  2. 테이프에 기록된 비디오 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스탠다드 플레이용 제1,2헤드(SP1,SP2)와, 상기 제1,2헤드(SP1,SP2)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인가되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칭 하여 출력하는 제1스위치(SW1)와, 상기 제1스위치(SW1)의 출력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 증폭율로 증폭 출력하기 위한 제1증폭기(101)와, 테이프에 기록된 비디오 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슈퍼롱 플레이용 제3,4헤드(SLP1,SLP2)와, 상기 제3,4헤드(SLP1,SLP2)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인가되는 헤드채널 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제2스위치(SW2)와, 상기 제2스위치(SW2)의 출력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 증폭율로 증폭 출력하기 위한 제2증폭기(102)와, 상기 제1,2증폭기(101,10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증폭기(101)나 제2증폭기(102)의 출력을 인가되는 증폭기 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라인(8)을 통해 출력하는 제3스위치(SW3)와, 드럼모터(M1) 및 캡스턴모터(M2)를 제어하고 또 한편으로 상기 제1,2스위치(SW1,SW2)로 스위칭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를 인가하는 서보제어부(104)와, 상기 제1,2증폭기(101,102)의 출력을 서로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103)와, 상기 서보제어부(104)의 작동을 제어하고 한편으로 상기 서보제어부(104)의 출력인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상기 비교기(103)의 출력인 비교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3스위치(SW3)로 스위칭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증폭기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헤드의 위상차를 조절하기 위한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여 라인(7)을 통해 출력하는 마이콤(100)을 구비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다기능 제어 헤드 선택방법에 있어서,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운용자가 지정한 재생기능이 정상재생 기능인지 정지화면 재생기능 또는 2배속 재생기능인지 그렇지 않으면 느린 화면 재생기능인지 고속재생인지를 기 입력된 키 데이터에 의해 검사하는 제1과정(200-205)과, 상기 제1과정(200-205)에서 정상재생 기능일시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지 판단하는 제2과정(206)과, 상기 제1과정(200-205)에서 정지화면 기능이나 2배속 재생기능일시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지 판단하는 제3과정(209)과, 상기 제1과정(200-205)에서 고속재생 기능일시 비교신호를 입력한 후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지 검사하는 제4과정(212-213)과, 상기 제1과정(200-205)에서 느린 화면 재생기능일시 테이프의 주행속도를 검사하여 SP모드인지 판단하는 제5과정(215)과, 상기 제5과정(215)에서 SP모드일시 테이프의 이동구간인가 검사하는 제6과정(216)과, 상기 제5과정(215)에서 SP모드가 아닐시 테이프의 이동구간인가 검사하는 제7과정(217)과, 상기 제2과정(206)에서 SP모드일시 제1증폭기(101)를 선택하고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역위상의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8과정(207)과, 상기 제2과정(206)에서 SP모드가 아닐시 제2증폭기(102)를 선택하고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동위상의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9과정(208)과, 상기 제3과정(209)에서 SP모드이거나 상기 제7과정(217)에서 이동구간이 아닐시 제1,2증폭기(101,102)를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동위상이 되도록 교번선택하고 일정각도 뒤지게 하는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10과정(211)과, 상기 제3과정(209)에서 SP모드가 아니거나 제6과정(216)에서 이동구간이 아닐시 제1,2증폭기(101,102)를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역위상이 되도록 역위상이 교번 선택하는 제11과정(210)과, 상기 제4과정(212-213)에서 SP모드이거나 제6과정(216)에서 이동구간일시 제1,2증폭기(101,102)를 상기 비교신호와 동위상이 되도록 교번 선택하는 한편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가 일정 논리상태이면 비교신호와 역위상이 되도록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기저 논리상태이면 비교신호와 동위상이 되도록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12과정(214)과, 상기 제4과정(212-213)에서 SP모드가 아니거나 제7과정(217)에서 이동구간일시 제2증폭기(102)를 선택하고 상기 헤드채널 선택신호와 동위상의 헤드위상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13과정(218)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제어 비디오 헤드 선택방법.
KR1019880018086A 1988-12-31 1988-12-31 다기능 제어 비디오헤드 선택방법 및 장치 KR91001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8086A KR910010182B1 (ko) 1988-12-31 1988-12-31 다기능 제어 비디오헤드 선택방법 및 장치
JP1182352A JP2540212B2 (ja) 1988-12-31 1989-07-14 多機能制御ビデオヘッド選択装置及びその方法
JP1185817A JP2790859B2 (ja) 1988-12-31 1989-07-18 Osd機能を有するvtrシステムのロック方法
US07/384,753 US5291342A (en) 1988-12-31 1989-07-25 Multifunctional control type video head sel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GB8920489A GB2226686B (en) 1988-12-31 1989-09-11 Multifunctional control type video head sel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8086A KR910010182B1 (ko) 1988-12-31 1988-12-31 다기능 제어 비디오헤드 선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96A KR900010696A (ko) 1990-07-09
KR910010182B1 true KR910010182B1 (ko) 1991-12-20

Family

ID=1928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8086A KR910010182B1 (ko) 1988-12-31 1988-12-31 다기능 제어 비디오헤드 선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91342A (ko)
JP (2) JP2540212B2 (ko)
KR (1) KR910010182B1 (ko)
GB (1) GB22266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221B1 (ko) * 1992-02-15 1999-11-15 윤종용 자기 기록 재생장치
KR950006083B1 (ko) * 1993-03-05 1995-06-08 주식회사엘지전자 브이 씨 알(vcr)의 알 에프(rf)신호 레벨 자동 조절장치
JPH06338099A (ja) * 1993-05-26 1994-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US5661613A (en) * 1994-03-11 1997-08-26 Lg Electronics Inc. Rotary transformer circuit for multiple head video cassette recorder employing a single channel rotary head transformer
KR0155766B1 (ko) * 1994-07-27 1998-12-15 김광호 장시간 녹화 및 재생용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KR100191306B1 (ko) * 1995-07-05 1999-06-15 윤종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헤드스위칭신호 발생방법 및 그_장치
US6747828B2 (en) 2001-02-22 2004-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a recorded signal
US6753618B2 (en) * 2002-03-11 2004-06-22 Micron Technology, Inc. MIM capacitor with metal nitride electrode materials and method of 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2579A (en) * 1980-05-19 1981-12-14 Sanyo Electric Co Ltd Magnetic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JPS5883490A (ja) * 1981-11-11 1983-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録画再生装置
JPS59112778A (ja) * 1982-12-20 1984-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9216386A (ja) * 1983-05-24 1984-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テ−プレコ−ダ
JPS6069975A (ja) * 1983-09-26 1985-04-20 Victor Co Of Japan Ltd 変速再生時における回転ヘツドの再生信号切換回路
JPS629552A (ja) * 1985-07-08 1987-01-17 Canon Inc 信号再生装置
JPS63157832U (ko) * 1987-03-30 1988-10-17
JPS63291243A (ja) * 1987-05-23 1988-11-29 Sony Corp キ−操作装置
JPS63299698A (ja) * 1987-05-29 1988-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映像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95550A (ja) 1990-08-02
GB8920489D0 (en) 1989-10-25
GB2226686A (en) 1990-07-04
US5291342A (en) 1994-03-01
JP2540212B2 (ja) 1996-10-02
GB2226686B (en) 1993-04-21
JPH02196579A (ja) 1990-08-03
KR900010696A (ko) 1990-07-09
JP2790859B2 (ja) 199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0182B1 (ko) 다기능 제어 비디오헤드 선택방법 및 장치
US4611252A (en) Video tape recorder
JPH04195844A (ja) 記録装置
JP3063409B2 (ja) 信号記録再生装置
JPS6113169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336809B2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3261920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及び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S6338433Y2 (ko)
JPH05977Y2 (ko)
JP3312628B2 (ja) テープ速度調整方法
KR19980067070A (ko) Vcr의 저속제어장치
KR100212547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서보 제어 장치
JP2794658B2 (ja) 再生装置
JP2751638B2 (ja) トラッキングサーボ装置
JPH0624022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195822Y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노이즈 제거장치
JPH0445135Y2 (ko)
JP276900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320348A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H04192149A (ja) 記録再生装置のサーボ制御装置
JPH0324280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11868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320347A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H0770116B2 (ja) 磁気記録信号再生装置
JPH0785544A (ja) 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