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583B1 -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 Google Patents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583B1
KR910006583B1 KR1019880003503A KR880003503A KR910006583B1 KR 910006583 B1 KR910006583 B1 KR 910006583B1 KR 1019880003503 A KR1019880003503 A KR 1019880003503A KR 880003503 A KR880003503 A KR 880003503A KR 910006583 B1 KR910006583 B1 KR 91000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reproduction
reference valu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731A (ko
Inventor
히로미 나까세
간지 구보
히로시 다니구찌
미쯔노부 후루모도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777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18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82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14009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 G11B5/58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 G11B5/59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using bimorph elements supporting th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0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제1도는 자화궤적과 페어헤드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2도는 페어헤드를 사용할때의 신호분할방법을 생각하는 방법을 표시한 도면.
제3도는 기록자화궤적과 재생헤드와의 상대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정규의 부착상태에 있어서의 트래킹오차신호의 변화를 표시하는 도면.
제5도는 각종 헤드의 부착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제6도는 비정규의 부착상태인 헤드를 사용해서 기록한 자화궤적과 다른 비정규의 부착상태인 헤드와의 상대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7도는 비정규의 부착상태인 헤드를 사용했을때의 트래킹오차신호의 변화를 표시하는 도면.
제8도는 기록자화궤적과 헤드주사 궤적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9도는 제8도에 표시하는 헤드주사에 있어서의 재생신호의 출력레벨 및 배생신호의 시간차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10도는 기록회로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시간차검출회로와 기준치 작성회로의 상세한 블록도.
제13도는 제12도의 각부의 파형을 표시하는 파형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최대치 검출회로의 상세한 블록도.
제15도는 제14도의 각부의 파형을 표시하는 파형도.
제16도는 기록자화 궤적과 헤드주사 궤적과의 관계도.
제17도는 헤드를 강제적으로 변위시켰을 때의 재생신호를 표시하는 도면.
제18도는 기록회로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시간차검출회로와 기준치 작성회로의 상세한 블록도.
제21도는 제20도의 각부의 파형을 표시하는 파형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온트랙상태검출회로의 상세한 블록도.
제23도는 헤드의 주사궤적을 표시하는 도면.
제24도는 제22도의 각부의 파형을 표시하는 파형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의한 온트랙상태검출회로를 동작시키는 개시신호를 작성하기 위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5 : 재생신호처리회로 1109 : 시간차검출회로
1111 : 트랙엇갈림연산회로 1112 : 기준치작성회로
1114 : 최대치검출회로 1903, 1904 : 재생신호증폭회로
1914 : 온트랙상태검출회로
본 발명은 트래킹오차신호 작성회로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방위각이 다른 적어도 2개의 헤드에 의해서 재생하는 신호의 재생시간차를 이용해서, 트래킹오차신호를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록재생기기, 예를 들면 자기기록재생장치(이하 간단하게 VTR로 약칭함) 등에 있어서는, 기록트랙위에 기록되어있는 정보신호를 재생할때에는, 기록트랙위를 재생헤드가 온트랙해서 재생주사하기위한 트래킹제어가 필요하다.
트래킹제어의 방법으로서 실용화되고 있는 것으로서, 테이프의 긴쪽방향에 전용의 제어트랙을 설치하고, 영상신호 기록시에 프레임 주기 혹은 그 정수배의 주기에 의해서 제어신호를 기록하고, 재생시에는 이 제어신호를 이용해서 트래킹제어를 행하는 주지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서는 전용의 제어트랙을 필요로하는 것과, 기록트랙의 전역에 걸쳐서 트래킹오차신호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등의 결점이 있다.
실용화되고 있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기록트랙위에 트래킹 제어용의 파일럿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시에는 헤드가 재생주사하는 주트랙의 양인접트랙으로부터 재생되는 각 파일럿 신호의 재생레벨을 비교해서, 트래킹오차신호를 얻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기록트랙의 전역에 걸쳐서 트래킹오차신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재생헤드를 압전소자동으로 구성한 전기-기계변환소자위에 탑재해서, 상기 트래킹오차신호를 사용해서 헤드의 기계위치를 변화시키면, 트랙휨에 추종가능한 제어계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보신호에 파일럿 신호를 중첩시켜서 기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파일럿신호의 대역분만큼 정보신호의 대역이 삭제되고, 그만큼 정보신호의 S/N이열화하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일럿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기록트랙의 전역에 걸쳐서 트래킹오차신호를 얻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법은 일본국 특원소 54-57287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고, 방위각 기록에 있어서의 트랙엇갈림의 재생신호의 재생시간차와의 관계를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 방법에 관계하기 때문에, 이하 이 방법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방위각이 다른 2개의 헤드에 의해서 기록한 자화궤적을 표시 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101)는 자기테이프이고, 화살표(102)방향으로 이송된다. (103) 및 (104)는, 서로 방위각이 다른 헤드이고, 화살표(105)방향으로 동시에 주사한다. 이와 같은 헤드, 즉, 동시에 자기테이프위를 주사하고 또 서로다른 방위각을 가진 헤드를, 이후 페아헤드라고 부르기로 한다. (106) 및 (107)은 각 헤드에 있어서의 헤드갭을 표시하고 있다. A1,A2,A3…은, (103)으로 표시한 A헤드와 마찬가지 방위각을 가진 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자화궤적이고, B1,B2,B3…는, (104)로 표시한 B 헤드와 마찬가지 방위각을 가진 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자회궤적이다. A1, B1의 트랙쌍과 A2, B2,의 트랙쌍은, 마찬가지 페어헤드에 의해서 기록되어도 좋고, 또 다른 페어헤드에 의해서 기록되어도 좋다. 이 관계는, 회전헤드를 내장한 회전실린더의 회전수와 내장하는 페어헤드의 수에 따라서 결정되고, 기기설계시에 자유롭게 결정할 수가 있다. 각 자화궤적위에 기록되는 신호, 예를 들면, 수평동기신호 등의 자화패턴은, (108) 및 (109)에 의해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트랙의 긴쪽방향에 대해서 경사한 각도, 즉, 방위각을 가지고 기록된다.
페어헤드를 사용해서 정보신호를 기록재생하는 방법은, 취급하는 정보신호의 주파수대역이 클때에 유효하다. 왜냐하면, 일정한 헤드주사속도에 의해서 정보신호를 기록할 때, 정보신호의 기록주파수가 높을수록, 자기테이프위에 기록하는 기록파장이 짧아져서, 짧아질수록 실용적인 기록재생이 곤란해지지만, 페어헤드를 사용하면 정보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분할해서 각 헤드에 배분할 수가 있기 때문에, 기록파장을 실질상 길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도는, 기록해야될 정보신호를 2종류의 신호로 분할하는 사고방식을 표시한 도면이다. 이도면에 있어서, (2-a)는 기록해야될 원신호를 표시하고(2-b) 및 (2-c)는 원신호를 분할한 신호, 즉 페아헤드에 공급되는 실제의 기록신호를 표시한다. 원신호의(201) 및 (202)는, 예를 들면 이 도면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적으로 분할되고, (203) 및 (204)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적으로 신장되어서 분할된다. 즉, 시간적으로 신장된 분만큼 주파수 대역을 내릴 수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205), (206), (207)등은 타이밍신호이고, 예를 들면 수평동기신호이다. 또한 원신호의 분할의 방법은 시간적으로 분할하는 방법에 한정되는 일없이, 예를 들면 주파수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이나, 휘도신호나 컬러신호등과 같이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분할하는 방법이 있다. 어느것이 되든, 넓은 대역을 가진 신호를 기록할때에는 페어헤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실용상 유효하고, 필수조건이 된다.
제3도에는, 기록자화궤적과 재생주사헤드의 위치관계를 3종류 표시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파선에 의해서 표시하는 (301), (302), (303)은 페어헤드이고, 각각 A 헤드 및 B 헤드로 이루어진다. 각 페어헤드는 화살표(304)방향으로 주사한다.A1,B1은 페아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자화궤적이고, (305)로부터(310)으로 표시한 신호는 수평동기신호의 기록위치를 표시한다. 기록자화궤적에 대한 페어헤드의 위치는, (3-a)도에서는 지면상에서 왼쪽으로 엇갈리고, (3-b)도에서는 온트랙으로서 (3-c)도에서는 오른쪽에 엇갈려있다. 이와 같은 상대위치 관계를 가진 헤드에 의해서 기록트랙상을 재생주사했을 때에는, 같은시간에 기록된 신호일지라도, 재생되는 시간이 다르다. 예를 들면 (3-a)도에서는, 수평동기신호(305)가 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시간은, 수평동기신호(306)가 헤드 B에 의해서 재생되는 시간에 비해서 늦어진다. (3-b)도에서는, 양수평 동기신호의 재생시간은 동등하고, (3-c)도에서는, 수평이동기신호(309)가 헤드 A에 의해서 재생되는 시간쪽이, 수평동기신호(310)가 헤드 B에 의해서 재생되는 시간보다도 빨라진다. 따라서 A및 B의 각 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시간차를 조사하므로서, 트랙엇갈림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간차를 조사하기 위한 신호는 수평동기신호에 한정될 것은 없고, 다른 특정신호라도 좋지만, 이후의 설명에서는 수평동기 신호를 특정의 신호로서 설명한다.
제4도는, 트랙엇갈림과, A, B 각 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각 수평동기신호의 재생시간차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가로축에는 트랙엇갈림을 표시하고, 영으로 표시하는 위치가 온트랙의 위치이다. 오른쪽 및 왼쪽에서 표시하는 엇갈림방향은, 제3도에 표시하는 기록트랙에 대한 헤드의 지면상에서의 엇갈림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세로축에는 A, B 각 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재생시간차를 표시하고, 시간차가 영일때가 온트랙위치이다. 또, A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시간이 B헤드의 그것보다도 늦었을때를 +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때, 트랙엇갈림과 재생신호의 시간차와의 관계는(401)에 의해서 표시하는 관계가 된다. 제4도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세로축에 표시하는 시간차가 영이되도록 트래킹제어회로를 구성하면, 재생헤드는 기록트랙상을 항상 온트랙해서 재생주사하게 된다.
그런데, 페어헤드에 의해서 재생한 신호의 시간차를 검출해서 트래킹제어를 행하는 방법은, A, B 각 헤드의 헤드 갭의 중심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을때에는 유효하지만, 일치하고 있지 않을때에는 트랙엇갈림을 발생하게 된다. 이 일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제5도는, 3종류의 A, B 각 헤드의 부착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501), (503), (505)는 A헤드를 표시하고, (502), (504), (506)은 B헤드를 표시한다. 각 헤드의 주사방향은 화살표 (507), (508), (509)로 표시한 방향이다. (512), (513), (514)는 각 헤드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이고, 압전소자 등에 의해서 구성된 가동부재이다. A, B의 각 헤드는 주사방향에 대해서 직각인 방향에 위치를 바꾸어서 설치되어 있다. 각 헤드의 갭은 (510), (511)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각 헤드내에 있어서 비스듬하게 그린 실선에 의해서 표시되어 있다.
(5-a)도는 정상적인 부착상태를 표시하고, 각 헤드의 갭의 중심점(515), (516)이, 헤드의 주사방향에 직각인선(517)위에 얹혀 있다. 즉, 주사방향의 엇갈림은 없다. 이와 같이 헤드에 의해서 기록한 자화궤적은, 기록트랙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동일시각의 신호가 한줄로 기록된다.
(5-b)도는 비정규의 헤드부착상태로 표시하고, 각 헤드의 갭의 중심점이 주사방향에 대해서 (518)로 표시한 양만큼 엇갈린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헤드에 의해서 기록한 자화궤적은, 동일시각에 있어서의 신호가 기록트랙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518)로 표시한 양만큼 엇갈려서 기록되게 된다.
(5-c)도는 헤드의 다른 부착방법을 표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헤드(505)와 (506)의 헤드 갭의 중심점은, 수평동기신호의 기록파장에 상당하는 간격(518)만큼 엇갈려서 설치되어 있고, 또 헤드를 엇갈리게 하므로서 발생하는 헤드높이의 엇갈림량(519)를 높이 보정부재(520)에 의해서 보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헤드를 사용해도, 수평동기신호의 기록위치를 기록트랙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배열할 수 있는 것은 잘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간격(518)이 정확하게 수평동기신호의 파장, 혹은 그 정수배로 설정되어 있지않으면, (5-b)와 같은조건이 된다.
제6도는, 헤드의 부착위치가 엇갈린 상태의 페어헤드에 의해서 기록한 자화궤적위를, 다른 엇갈린 페어 헤드에 의해서 재생할때의, 기록자화궤적과 재생헤드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601), (602)는 A 및 B의 헤드이고, (603) 및 (604)는 수평동기신호의 기록위치를 표시한다. 이 도면은, 페아헤드가 기록트랙위를 온트랙해서 주사하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나, 이때 A 및 B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각 수평동기신호의 재생시간의 차의 시간은, (605)와 (606)으로 표시한 거리의 차에 상당하는 시간이 된다. 즉, 온트랙시에 있어서도, 재생신호에 시간차가 생기게 된다.
제7도는 트랙엇갈림과 재생신호의 시간차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고, 세로축 및 가로축은 제4도와 마찬가지의 의미를 가진다. 이 도면에 있어서, (401)은 제4도에 표시한 특성과 마찬가지 특성이다. 즉, 시간차가 영일때가 온트랙위치이다. 이에 대해서, (701)로 표시한 특성은, 헤드와 기록자화궤적과의 관계가 제6도에 표시한 관계에 있을때의 특성이다. 즉, 온트랙위치에 있어서 시간차가 영이되지 않는다. 이때에 시간차가 영이되게 하는 제어를 행하면, (702)로 표시한 트랙위치에서 제어계가 안정되게 된다.
A, B 각 헤드의 부착정밀도는 헤드 조립시의 기계정밀도로 결정되고, 반드시 흐트러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신호의 기록위치와 재생페어헤드의 관계는, 제6도에 표시한 관계가 일반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제6도에 표시한(605)와 (606)과의 거리관계는 각 덱에 의해서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일본국 특원소 54-57287호 공보에 표시한 방법은 실용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기록트랙위에서의 신호의 기록위치와 재생페어헤드의 각 갭과의 관계가,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관계일지라도, 온트랙위치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트래킹오차 신호 작성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기계변환소자위에 탑재된 방위각이 다른 적어도 2개의 헤드와, 이들의 각 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각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특정한 신호의 재시간차를 얻는 수단과, 트래킹제어의 기준치를 작성하는 기준치 작성수단과, 상기 재생시간차와 상기 기준치와의 차, 혹은 합의 값을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전기-기계변환소자를 정 및 부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는 변위수단과, 이 변위시에 있어서의 각 재생신호중, 적어도 한쪽의 재생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하는 최대치 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준치 작성수단은 상기 최대치 검출수단에 의해서 재생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했을 시각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시간치와, 고정의 기준치와의 차, 혹은 합의 값을 연산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8도는, 기록자화궤적과 헤드주사궤적과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이고, 제9도는, 제8도에 표시한 헤드주사에 있어서의 재생신호의 출력레벨 및 재생신호의 시간차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8도에 있어서, A1, A2.....는 A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자화궤적이고, B1,B2.....는 B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자화궤적이다. (801), (802), (803)은 각 상태에 있어서의 헤드주사궤적을 표시한다. 재생신호의 출력레벨의 변화를 알기위해서는, A,B 어느 것인가의 헤드 출력변화를 조사하면 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기의 각 헤드 주사궤적은, A헤드의 헤드갭의 중심점의 주사궤적으로서 설명한다. (801)은 온트랙시의 헤드주사궤적이고, (802) 및 (803)은, 예를 들면 테이프가 정지해 있을때의 헤드주사궤적이다. 테이프 정지시의 주사궤적은, 기록트랙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다고는 할 수 없으며, 예를 들면 (802)나 (803)으로 표시한 위치관계가 된다.
제9도는, 1개의 기록트랙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끝에서 다른쪽의 끝까지의 주사시간(901)내에 있어서의 재생신호의 출력레벨 및 재생신호의 재생시간차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9도(c), 제9도(d)) (902)는 (802)의 헤드주사시의 출력변화를 표시한다. 헤드주사(802)의 시각 t1,t3,t5에 있어서의 자화궤적 A2,B2와 재생헤드(906), (907)과의 위치관계는 같은 도면(b)에 표시하는 바와 같고, 재생신호의 최대치(904)를 얻게되는 시간 t3은, 헤드주사궤적(802)에 있어서는(804)에 의해서 표시한 위치를 헤드가 주사하는 시간이고, 그때 재생위치(906), (907)은 기록트랙 A2,B2에 온트랙하고 있다. 이때의 재생신호의 시간차는, 제9도(d)에 표시한 것이며, 시간 t3에 있어서의 재생시간차 T를 그 이후의 트래킹제어의 기준치로하면 된다. 또, (903)은 헤드주사(803)일때의 재생출력 변화를 표시한다. 재생신호의 최대치(905)를 얻게 되었을때는, (805)로 표시한 위치를 헤드가 주사할때이다. 즉, 각 헤드의 헤드 갭의 중심점이 자화궤적 A2에 온트랙한 시간에 대응한다. 따라서, 재생신호의 출력레벨이 최대치가 되는 시간에 있어서의 재생신호의 시간차를 조사하고, 이 시간차를 온트랙위치의 기준치로 하면좋다. 이 기준치의 작성은, 테이프 정지시 즉 스톱모오드에서 통상 재생으로 이행할때에, 압전소자등으로 구성된 전기-기계변환소자위에 탑재된 자기헤드가 기록트랙을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전기- 기계변환소자를 변위시키고, (802)로 표시한 바와 같은 헤드주사궤적을 실현하고, 상기한 기준치를 작성하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0도는, 기록시의 신호처리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단자(1001)로부터는 기록해야될 영상신호가 입력된다. 회로(1002)는 기록신호처리회로이고, 제2도를 사용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원(原)신호의 주파수대역을 기록가능한 주파수대역으로 변환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1003) 및 (1004)는 기록증폭기이고, A헤드(1005) 및 B헤드(1006)에 기록신호를 공급한다. (1007)은 압전소자의 구동회로이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헤드(1005) 및 (1006)을 탑재한 압전소자를 구동한다. 기록시에는, 헤드의 변위를 고정하기 위하여, 압전소자에는 일정한 전압을 공급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이 도면중에 표시한 시간차검출회로(1109), 기준치작성회로(1112), 및 최대치검출회로(1114)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제11도에 있어서(1101) 및 (1102)는, 재생용의 A헤드 및 B헤드이다. (1103) 및 (1104)는 재생증폭기이다. (1105)는 재생신호처리회로이고, 각 헤드로부터 재생되는 신호를 원신호와 같은 형태로 변환해서 재생 영상신호로하고, 단자(1106)로부터 이 신호를 출력한다. 또, 재생신호처리회로(1105)로부터는, 각 헤드로부터 재생되는 특정의 신호, 즉, 각 수평동기신호(1107) 및 (1108)이 출력된다. 시간차검출회로(1109)는, 이들의 각 수평동기신호의 재생시간차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이 시간차에 상당하는 신호(1110)는 트랙엇갈림연산회로(1111) 및 기준치작성회로(1112)에 공급된다. 시간차검출회로(1109)는 시간차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A,B 각 헤드로부터 재생되는 각 수평동기신호중, 어느 수평동기신호가 빨리 재생되는 가를 판별하는, 극성판별신호(1113)도 출력한다. 회로(1114)는 최대치검출회로이고, 헤드(1102)에 의해서 재생되는 신호가 최대가 되었을때에 극성이 변화하는 신호(1115)를 출력한다. 기준치작성회로(1112)는, 신호(1115)의 극성이 변화한 시간에 있어서의 시간차신호(1110)의 값을 사용해서 기준치를 작성한다.
트랙엇갈림 연산회로(1111)은 회로(1109)로부터 공급되는 시간차 신호(1110)와, 회로(1112)로부터 공급되는 기준치와의 차(差)의 신호를 연산해서, 트래킹오차신호(1116)를 출력한다. 트래킹오차신호(1116)은 캡스턴모우터제어회로(1117)에 공급됨과 동시에, 가산회로(1118)를 경유해서 압전소자 구동회로(1119)에 공급된다. 캡스턴모우터제어회로(1117)에서는, 트래킹오차신호(1116)를 사용해서 테이프의 전송위상을 제어한다. 압전소자 구동회로(1119)는 트래킹오차신호(1116)를 사용해서 헤드(1101) 및 (1102)를 변위시키고, 트랙휨 추종제어를 행한다. 회로(1120)는 시스템제어회로이고, 키이입력신호(1121)에 대응해서 각종의 모우드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회로(1120)에는, 키이입력신호 뿐아니라, 단자(1122)로부터 회전헤드의 회전위상을 표시하는 PG신호도 공급된다. 회로(1120)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신호(1123)는, 재생모우드에 있어서, 1개의 헤드가 1개의 기록트랙을 재생주사하는 1주사기간만을 High레벨로 하는 신호이다. 게이트신호(1123)의 High레벨기간만을, 최대치검출회로(1114)가 동작함과 동시에 스위치(1124)가 닫히게 된다. 회로(1125)는 프리세트 파형작성회로이다. 이 회로(1125)는, 제8도 및 제9도를 사용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트랙을 재생헤드가 가로지르도록 압전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톱니형상파(波)신호를 작성하기 위한 회로이다.
제14도는, 제11도에 표시하는 최대치검출회로(1114)의 상세한 블록도이고, 제15도는, 제14도의 각부의 파형을 표시한다. 양도면에 있어서 동일기호는 같은 것을 표시한다.
제14도에 있어서, 단자(1401)로부터는 재생신호(15-b)가 입력된다. 제15도에 표시하는 재생신호(15-b)는, (1501)로 표시하는 기간에 있어서는 기록자화궤적을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헤드가 주사하고, 기타의 기간에 있어서는, 헤드가 기록트랙위를 온트랙해서 재생주사했을 때에 얻게되는 재생신호를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헤드주사는, 통상의 재생모우드에 있어서(1501)로 표시한 기간만을, 압전소자 등의 전기-기계변환소자에 의해서 헤드를 가동하면된다. 재생신호(15-b)는 검파정류회로(1402)에 의해서 검파정류되고, (15-c)도에 파선(1502)으로 표시하는 신호가 된다. 회로(1403)는 신호(1502)의 최대치를 유지하는 피이크홀드 회로이고, 그 출력신호는(1503)에 의해서 표시하는 신호가 된다. 단자(1407)로부터는, 게이트신호(15-a)가 입력된다. 이 게이트신호는, 제11도 표시한 시스템제어회로(1120)의 출력신호(1123)이고, 재생모우드의 임의의 시간에 있어서 헤드가 1트랙을 주사하는 기간만큼 High레벨이 되는 신호이다. 피이크호울드 회로(1403)는, 게이트 신호의 레벨이 High의 기간에있어서 동작하고, 게이트 신호가 Low 레벨의 기간에 있어서는, 출력신호도 Low 레벨이 된다. 회로(1404)는 레벨 비교회로이고, 검파정류회로의 출력신호(1502)의 레벨과, 피이크호울드 회로의 출력신호(1503)의 레벨을 비교한다. 비교회로의 출력신호는(15-d)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이크호울드 회로의 출력신호의 레벨이 검파정류회로의 출력신호 레벨보다도 클때에, High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회로(1405)는 게이트신호(15-a)가 High 레벨일 때에 신호(15-d)를 꺼내고, Low 레벨의 기간에 있어서는 그라운드 쪽에 접속된다. 단자(1406)에는, 뒤에 설명하는 기준치를 작성하는 타이밍신호(15-d)가 꺼내진다.
제12도는, 제11도에 표시한 시간차검출회로(1109)와 기준치 작성회로(1112)의 상세한 블록도, 및 트랙엇갈림연산회로(1111)를 표시한 도면이고, 제13도는 제12도의 각부의 신호를 표시한다. 제11도, 제12도, 및 제13도에 있어서의 동일기호는 같은 것을 표시한다.
제12도에 있어서, 단자(1201)로부터는 A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수평동기신호(13-a)가 입력되고, 단자(1202)로부터는 B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수평동기신호(13-c)가 입력된다. 회로(1203)는 지연회로이고, 신호(13-a)의 리이딩에지에서 트리거되고, 제13도에 표시한(1301)의 기간만큼 High 레벨의 펄스신호(13-b)를 출력한다. 회로(1204)는 리세트-세트플립플롭(R. S-FF)회로이고, 신호(13-c)의 리이딩에지에서 세트되고, 신호(13-b)의 트레이링에지에서 리세트된다. R. S-FF회로(1204)의 출력신호(13-d)와 지연회로(1203)의 출력신호(13-b)와는 배타적 논리화(EX-OR) 회로(1205)에 입력되고, 신호(13-e)를 얻는다. 신호(13-e)의 High 레벨기간(1302), 각 수평동기신호간의 시간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A, B 각 헤드의 부착상태가 전규의 상태이면, 이 시간은 트랙엇갈림을 표시하게 된다. 회로(1206)는 카운터회로이고, 신호(13-e)의 리이딩에지에서 카운트를 개시하고, 신호(13-b)의 트레이링에지에서 카운트치가 리세트된다. 단자(1207)로부터는, 카운트용의 클록이 입력된다. 회로(1208)는 래치회로이고, 신호(13-e)의 리이딩에지에서 카운트회로(1206)의 카운트치를 래치한다. 따라서 래치회로(1208)에는, 각 수평 동기신호의 시간차에 상당하는 값이 래치되게 된다.
제13도에 표시한 신호(13-f)는, 신호(13-c)가 신호(13-a)보다도 시간적으로 진행된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고, 이때의 R. S-FF 회로(1204)의 출력(13-d)은, (13-g)에 표시한 파형이 된다.
또, 이때의 EX-OR회로(1205)의 출력은, (13-h)에 표시한 파형이 된다. 그리고 이 때에도 래치회로(1208)에는, (1303)에서 표시한 시간에 상당하는 값이 기억된다.
신호(13-a)는 지연회로(1215)에 의해서 지연되고, (13-i)에서 표시한 출력신호를 얻는다. 회로(1216)는 D플립플롭(D-FF)회로이고, 신호(13-e)의 입력레벨을 신호(13-i)의 리이딩에지에서 래치한다. 이 때문에 A헤드에 의하여 재생되는 수평동기신호(13-a)에 대해서, B 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수평 동기신호가 (13-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연되고 있으면, D-FF 회로(1216)의 출력신호는 High 레벨이 된다. 반대로 신호(13-f)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진하고 있으면, 회로(1216)의 출력신호는 Low 레벨이 된다. 따라서 회로(1216)의 출력신호(1217)은, A 헤드로부터 재생되는 수평동기신호에 대해서 B 헤드로부터 재생되는 수평동기신호가 지연되고 있는지, 전진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신호, 즉, 트래킹 오차신호의 극성(온트랙 위치로 부터 오른쪽으로 어긋나 있는지 왼쪽으로 어긋나 있는지)을 표시하는 신호이다.
제12도에 표시한래치회로(1208)의 출력은, 다른 래치회로(1211)에 입력된다. 단자(1212)로부터는 제15도에서 이미 설정한, 재생출력신호의 최대치 근방의 시간에서 시작하는 펄스신호(15-d)가 입력된다. 래치회로(1211)는, 신호(15-d)의 리이딩에지의 타이밍에 의해서, 래치회로(1208)의 값을 래치한다. 즉, 래치회로(1211)에는 온트랙시의 각 수평동기 신호간의 시간차가 기억되게 된다. 회로(1214), A 및 B의 각 헤드의 부착상태가 정규상태일 때의 온트랙시의 기준치가 기억되어 있는 고정기준치 회로이다. 또한 고정의 기준치는, 온트랙시의 기준치로서 영의 값을 사용해도 좋다. 회로(1213)는 연산회로이고, 온트랙의 각 수평동기 신호의 시간차에 상당하는 값(1218)가 고정기준치(1219)와의 합 혹은 차의 값을 신호(1217)의 극성을 고려해야 연산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연산회로(1213)의 출력신호(1220)은, A,B 각 헤드의 부착 상태를 고려한 기준치가 된다. 임의의 시간에 있어서의 각 수평동기 신호의 재생시간차를 표시하는 래치회로(1208)의 출력신호(1221)의 값과 기준치(1220)는, 트랙엇갈림 연산회로 (1209)에 있어서 합 혹은 차의 값이 신호(1217)의 극성을 고려해서 행하여진다. 따라서, 단자(1210)에는 헤드의 부착상태를 고려한 트랙킹 오차신호가 연출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 출력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함으로써 온트랙상태를 알고, 그때 재생되는 특정한 신호의 재생 시간차를 사용해서, 트래킹 오차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기준치를 연산하기 위하여, 페어헤드의 부착 오차에 의한 트래킹의 엇갈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 제2실시예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방위각이 다른 2개의 헤드에 의해서 재생하는 신호의 재생시간차와, 기준시간차의 값과의 차를 사용해서 드래킹오차신호를 작성하지만, 이 기준시간차의 값은, 다른 방법에 의해서 온트랙 상태를 검출했을 때에 개선된다.
여기서는, 온트랙 상태를 검출하는 다른 방법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제16도는, 기록 트랙과 재생헤드 주사궤적과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601)은 기록트랙을 표시하고, (1602)∼(1604)는 각 헤드 주사궤적을 표시하고 있다. (1603)이 온트랙 상태이고, (1602) 및 (1604)는, 온트랙으로부터 지면상에서 각각 왼쪽 및 오른쪽으로 어긋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이후 특히 거절하지 않는 한, 오른쪽 및 왼쪽이라고 하면, 지면상에서의 오른쪽, 및 왼쪽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각 헤드 주사궤적으로부터, (1605)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오른쪽 및 왼쪽에 강제적으로 헤드를 변위시켰을때의 재생신호의 레벨의 변화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제17도에 이때의 재생신호의 레벨 변화를 표시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17-a)는 기록 및 재생헤드의 회전위치를 표시한 헤드스위칭 신호(H. SW)이고, 1개의 기록트랙을 주사하는데 요하는 시간은, (1701)로 표시한 시간에 상당한다. 또, H. SW신호가 High 레벨일 때 즉, T1,T3...으로 표시한 시간에서는, 헤드를 강제적으로 오른쪽방향에 변위시키고, 반대로 T2, T4...의 기간에서는 왼쪽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으로한다. (17-b)에 표시한 신호는, (1603)으로 표시한 주사 궤적으로부터 헤드를 좌우로 변위시켰을때에 얻게 되는 재생신호를 표시한 것이다. (1702)는, 헤드를 변위시키지 않았을때의 재생신호의 레벨을 표시하고, 헤드를 변위시켰을때에는, 좌우 어느방향이라도 재생신호의 레벨은 감소한다. (17-c)에 표시에 신호는 이 때에는, 헤드를 변위시키지 않았을때에 레벨(1703)에 비해서, H. SW 신호가 High 레벨일때에는 증가하고 Low 레벨일때에는 감소하고 있다. (17-d)는 주사궤적이(1604)일때와 마찬가지 신호를 표시한다. 이때에는(17-c)도면과는 반대방향의 레벨의 증감을 나타낸다. 따라서 헤드를 강제적으로 변위했을 때의 각 H. SW신호기간에 얻게되는 재생신호의 레벨차를 검출하면, 현재의 헤드주사가 온트랙 상태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헤드 주사가 온트랙일때에는 페아헤드로부터 얻게되는 각 재생신호의 시간차를 기준의 시간차라고 하면, 페아헤드의 부착위치의 불균일을 해소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8도는, 기록시의 신호처리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단자(1801)로부터는 기록해야 될 영상신호가 입력된다. 회로(1802)는 기록신호처리회로이고, 제2도를 사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기록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1803) 및(1804)는 기록증폭기이고, A헤드(1805) 및 B헤드(1806)에 기록신호를 공급한다. (1807)은 압전소자의 구동회로이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헤드(1805) 및 (1806)을 탑제한 압전소자를 구동한다. 기록시에는 헤드의 변위를 고정하기 때문에, 압전 소자를 구동한다. 기록시에는, 헤드의 변위를 고정하기 때문에, 압전소자에는 일정한 전압을 공급한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나, 이 도면에 표시하는 시간차 검출회로(1909), 기준치 작성회로(1912), 및 온트랙 상태검출회로(1914)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제19도에 있어서(1901) 및 (1902)는, 재생용의 A헤드 및 B헤드이다. (1903) 및 (1904)는 재생증폭기이다. (1905)는 재생신호 처리회로이며, 각 헤드로부터 재생되는 신호를 원신호와 마찬가지 형태로 변환해서 재생 영산신로로 하고, 단자(1906)로부터 이 신호를 출력한다. 또 회로(1905)로부터는 각 헤드로부터 재생되는 특정의 신호, 즉, 각 수평 동기신호(1907) 및 (1908)이 출력된다. 회로(1909)는, 이들의 각 수평 동기 신호의 재생 시간차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이 시간차에 상당하는신호(1910)는 트랙 엇갈림 연산신호(1911) 및 기준치작성회로(1912)에 공급된다. 회로(1909)는 시간차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A,B 각 헤드로부터 재생되는 각 수평 동기신호중, 어느 수평 동기신호가 빨리 재생되는지를 판별하는 극성판별신호(1913)도 출력한다. 회로(1914)는 온트랙 상태 검출회로이고, 헤드를 강제적으로 변위시켰을 때의 재생신호로부터 온트랙 상태를 검출한다. 회로(1914)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온트랙 상태가 아닐때에 펄스신호(1915)를 출력하고, 온트랙상태 일때에는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Low 레벨) 또, 회로(1914)로부터의 트래킹이 좌우 어느 방향에 엇갈려 있는지를 판별하는 방향 판별신호(1926)가 출력된다. 기준치 작성회로(1912)는, 회로(1914)가 펄스신호를 발생할 때, 시간차신호(1910)의 값을 사용해서 기준치를 작성한다. 회로(194)가 발생하는 최종의 펄스신호는, 온트랙 상태가 되기 직전의 상태이기 때문에, 최종의 펄스신호 도래시의 시간차 신호를 기준치로 해도 좋고, 또 온트랙 상태와의 차의 값을 추측해서 기준치를 작성해도 좋다. 트랙엇갈림 연산회로(1911)는 회로(1909)로부터 공급되는 시간차 신호(1910)와, 회로(1912)로부터 공급되는 기준치와의 차의 신호를 연산해서, 트래킹 오차신호(1916) 및 (1925)를 출력한다. 또한, 트래킹 오차신호(1925)에 대해서, 온트랙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헤드를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는 기간에서는, 일정한 값을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트래킹 오차신호(1916)는 캡스턴 모우터 제어회로(1917)에 공급된다. 또, 트래킹 오차신호(1925)는, 가산회로(1918)를 경유해서 압전소자 구동회로(1919)에 공급된다. 캡스턴모우터 제어회로(1917)에서는 트래킹 오차신호(1916)의 비교적 저주파의 신호성분을 사용해서 테이프의 전송위상을 제어한다. 압전소자 구동회로(1919)는 트래킹 오차신호(1925)의 비교적 고주파의 신호성분을 사용해서 헤드(1901) 및 (1902)를 변위시키고, 트랙 휨 추종제어를 행한다.
회로(1920)은 시스템제어회로이고, 키이 입력 신호(1921)에 대응해서 각종의 모우드 지령신호를 출력한다. 회로(1920)에는, 키이 입력신호뿐만 아니라, 단자(1922)로부터 H. SW 신호도 공급된다. H. SW 신호는, 변위 신호 발생회로(1924)와 온트랙 상태 검출회로(1914)에도 동급된다. 회로(1920)로부터는 변위 신호 발생회로(1924)와 온트랙 상태 검출회로(1914)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신호(1923)가 출력된다. 지령신호(1923)는, 예를 들면, 스톱모우드로부터 재생모우드가 되었을 때에 각 회로를 동작시키는 지령신호를 일정기간 출력한다.
또, 지령신호(1923)은, 모우드의 절환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재생상태에 있어서, 일정시간마다 출력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A덱에서 기록한 테이프상에 B덱에서 새로운 신호를 편집해서 기록한 테이프를 C덱에서 재생할때에는, 각 덱의 각 헤드의 부착위치의 불균일이 다르기 때문에, 재생도중에 있어서 수평 동기 신호의 기록위치가 다를때가 있다. 이와 같은 테이프를 재생할때에는,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쪽이 트래킹 성능의 신뢰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재생도중에 있어서 기록되어 있는 신호의 수평동기신호 위치가 다른 것을 검출하고, 이때에 지령신호(1923)를 출력하는 방법을 취해도 좋다. 이 방법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변위 신호발생회로(1924)는, 이미 제16도 및 제17도를 사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트랙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헤드를 강제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제22도는, 제19도에 표시하는 온트랙 상태 검출회로(1914)의 상세한 블록도이고, 제23도는 주사궤적을 표시한 도면이다. 제24도는 제22의 각부의 파형을 표시하며, 양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호는 같은 것을 표시한다.
제24도에 표시한 각부의 파형은, 헤드를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므로서, 제23도에 표시한 헤드주사궤적(2302)로부터 (2303)을 경유해서 온트랙 상태의 헤드주사궤적(2304)에 이르기까지의 파형변화를 표시하고 있다. 또, 제23도에 있어서, (2301)은 기록트랙을 표시한다.
제22도에 있어서, 단자(2201)로부터는 재생신호(24-f)가 입력된다. 회로(2202)는 검파정류회로이고, (2203) 및 (2204)는 샘플 호울드 회로이다. 회로(2205)는샘플 펄스작성회로이고, 단자(2206)로부터 입력되는 H. SW 신호의 각 에지로부터 일정량 지연된 위치에, 각 샘플펄스(24-b) 및 (24-c)를 출력한다. 샘플호울드 회로의 각 출력(24-g) 및(24-h)는 제2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재생신호(24-f)의 레벨에 대응하고 있다. 회로(2207)는 레벨차 검출회로이고, 신호(24-g)와 (24-h)와의 레벨차(24-i)를 출력한다. 회로(2208)은 레벨 판별회로이다. 회로(2208)은, 입력신호의 레벨이 제24도(2401)로 표시한 일정의 레벨의 범위내에 있는지 범위외에 있는지를 판별한다. 출력신호(24-j)는 회로(2208)에의 입력신호가 일정한 범위내에 있을때에는 Low 레벨을 출력하고 일정한 범위외에 있을때에는, 레벨차의 극성에 관계없이 High 레벨을 출력한다. 회로(2209)는 AND회로이고, 신호(24-j)(24-c) 및, 온트랙 상태의 검출을 개시하는 신호(24-d)(제19도에 표시한 신호 1923)가 모두 High 레벨일때에, 단자(2210)에 Hig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신호(24-k)는, 제2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펄스신호가 된다. 신호(24-k)의 최후에 출력되는 펄스신호(2494)의 출력타이밍은, (24-f)의 신호와 비교해서 알수 있듯이 온트랙시의 타이밍이다. 이 신호(24-k)는, 제19도에 표시한 기준치 작성회로(1912)에 공급되고, 페아헤드로부터 재생되는 각 신호의 시간차를 래치하기 위한 타이밍신호로서 사용된다. 한편, 레벨 판별회로(2208)은, 극성을 가미한 레벨 판별신호(2211)을 출력한다. 이 신호(2211)은, 입력신호(24-i)의 레벨이 일정치보다도 클때에는 High 레벨을 작을때는 Low 레벨이 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신호(2211)의 극성으로부터, 트랙 엇갈림의 방향을 판별할 수가 있다. 신호(2211)은, 제19도에 표시한 트랙 엇갈림 연산회로(1911)에 공급된다.
제20도는, 제19도에 표시한 시간차 검출회로(1909)와 기준치 작성회로(1912)의 상세한 블록도, 및 트랙엇갈림 연산회로(1911)를 표시한 도면이고, 제21도는, 제20도의 각부의 신호를 표시한다. 제19도, 제20도 및 제21도에 있어서의 동일기호는, 똑같은 것을 표시한다.
제20도에 있어서, 단자(2001)로부터는 A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수평동기 신호(21-a)가 입력되고, 단자(2002)로부터는 B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수평동기 신호(21-c)가 입력된다. 회로(2003)은 지연회로이고, 신호(21-a)의 리이딩에지에서 트리거되고, 제21도에 표시한(2101)의 기간만큼 High 레벨의 펄스신호(21-b)를 출력한다. 회로(2004)는 리세트-세트 플립플롭(R.S-FF)회로이고, 신호(21-c)의 리이딩에지에서 세트되고, 신호(21-b)의 트레이링에지에서 리세트된다. R.S-FF회로(2004)의 출력신호(21-d)와 지연회로(2003)의 출력신호(21-b)와는 배타의 논리화(X-OR)회로에 입력되고, 신호(21-e)를 얻는다. 신호(21-e)의 High 레벨의 기간(2101), 각 수평동기 신호간의 시간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A,B 각 헤드의 부착상태가 정규의 상태이면, 이 시간은 트랙엇갈림을 표시하게 된다. 회로(2006)은 카운터회로이고, 신호(21-e)의 리이딩에지에서 카운트를 개시하고, 신호(21-b)의 트레이링에지에서 카운트치가 리세트된다. 단자(2007)로부터는, 카운트용의 클록이 입력된다. 회로(2008)은 래치회로이고, 신호(21-e)의 트레이링에지에서 카운트회로(2006)의 카운트치를 래치한다. 따라서 래치회로(2008)에는, 각 수평동기 신호의 시간차에 상당하는 값이 래치되게 된다.
제21도에 표시한 신호(21-f)는, 신호(21-c)가 신호(21-a)보다도 시간적으로 전진한 위치에 있을때의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때의 R.S-FF회로(2004)의 출력(21-d)는, (21-g)에 표시한 파형이 된다. 또, 이때의 EX-OR회로(2005)의 출력은, (21-h)에 표시한 파형이 된다. 그리고 이때에도, 래치회로(2008)에는, (2103)에서 표시한 시간에 상당하는 값이 기억된다.
신호(21-a)는 지연회로(2015)에 의해서 지연되고, (21-i)로 표시한 출력신호를 얻는다. 회로(2016)는 D플립플롭(D-FF)회로이고, 신호(21-e)의 입력레벨을 신호(21-i)의 리이딩에지에서 래치한다. 이 때문에 A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수평동기 신호(21-a)에 대해서, B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수평동기 신호가 (21-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지연되고, 있으면, D-FF회로(2016)의 출력신호는 High 레벨이 된다. 반대로 신호(21-f)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진하고 있으면, 회로(2016)의 출력신호는 Low 레벨이 된다. 따라서 회로(2016)의 출력신호(2017)는 A헤드로부터 재생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신호, 즉, 트래킹오차신호의 극성(온트랙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엇갈려 있는지 왼쪽으로 엇갈려 있는지)을 표시하는 신호이다.
래치회로(2008)의 출력은, 다른 래치회로(2011)에 입력한다. 단자(2012)로부터는, 제24도에서 이미 설명한 펄스신호(24-k)가 입력된다. 래치회로(2011)는, 신호(24-k)의 펄스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래치회로(2008)이 값을 래치한다. 즉, 래치회로(2011)에 최후로 래치되는 값은, 제24도에(2402)로 표시한 펄스신호에 의한 것이고, 이 값은 온트랙시의 각 수평동기 신호간의 시간차에 상당한다.
회로(2014)는, A 및 B의 각 헤드의 부착상태가 정규의 상태일때의 온트랙시의 기준치가 기억되어 있는 고정기준치 회로이다. 이 고정의 기준치는, 온트랙시의 기준치로서 영의 값을 사용해도 좋다. 회로(2013)는 연산회로이며, 온트랙시의 각 수평동기 신호의 시간차에 상당하는 값(2018)과 고정기준치(2019)와의 합 혹은 차의 값을, 신호(2017)의 극성을 고려해서 연산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연산회로(2013)의 출력신호(2020)는, A,B 각 헤드의 부착상태를 고려한 기준치가 된다.
회로(1911)은 트랙엇갈림 연산회로이고, 임의의 시간에 있어서의 각 수평동기 신호의 재생시간차의 값을 래치한 신호(2021)와, 기준치(2020)와의 합 및 차의 값이, 신호(2017)의 극성을 고려해서 연산된다. 또한, 이들의 합 및 차의 값은, 제어계의 루우프 개인을 고려해서 적당한 값을 승산해도 좋고, 또 디지틀 필터 등의 연산을 행하여도 좋다. 회로(1911)로부터는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회로(1917)에 공급하는 트래킹 오차신호(1916)와, 압전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트래킹 오차신호(1925)를 출력한다. 또 회로(1911)에는 온트랙 상태를 검출하는 동작을 개시하는 신호(1923)와, 온트랙 상태검출회로로부터 공급되는 트랙엇갈림의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판별신호(1926)가 공급된다. 회로(1911)에서는 이들의 신호(1923) 및 (1926)을 사용해서, 온트랙 상태를 검출하는 모우드(신호1923이 High 레벨일때의) 기간에 있어서는, 신호(1925)를 고정된 값으로 한다. 이 처치는, 압전소자를 강제적으로 변위시켰을때에 생기는 트랙엇갈림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처치이다. 또 이 모우드의 기간에 있어서의 트래킹 오차신호(1916)는, 방향판별신호(1926)의 극성을 고려해서 실제의 트래킹 오차신호에 일정한 고정치를 가산 혹은 감산하는 연산을 행한다. 이 연산을 행하므로서,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계에 의해서 헤드주사를 온트랙 상태로 가까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3도에 표시하는 헤드주사(2302)의 상태를, (2304)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온트랙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개시신호를 작성한다. 제3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5도는 상기 개시신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실시예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단자(2501)로부터는 재생신호(24-f)가 입력된다. 회로(2502)는 검파정류회로, (2503)은 A/D 변환회로, (2504)는 래치회로이다. 래치회로(2504)에는, 온트랙 상태를 검출했을때에 발생되는 펄스신호, 예를 들면 제24도에 표시한 신호(24-k)의 신호가 단자(2505)로부터 입력된다. 따라서 래치회로(2504)에 래치되는 최종의 값은, 온트랙시의 재생신호의 레벨치가 기억되게 된다. 래치회로의 출력치(2508)과 임의의 시간에 있어서의 재생신호의 레벨치(2509)는, 대소비교회로(2506)에서 각 레벨치의 크기가 비교되고, (2509)의 레벨이 (2508)의 레벨보다고 일정치 이하로 내려가면, 단자(2507)에 High 레벨을 출력한다. 이 때문에, 재생모우드 도중에 있어서 수평동기 신호의 기록위치가 다른 자화궤적, 즉 부착위치의 불균일이 다른 페아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자화궤적을 재생할 때에는, 단자(2507)에 High 레벨을 출력한다. 왜냐하면, 그와 같은 자화궤적을 재생할 때에는, 재생되는 각 신호의 시간차를 영이 되도록 트랙킹 제어가 작용하고, 그 결과 미스트래킹을 행하여, 재생신호의 레벨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자(2507)에 얻게되는 신호를, 제19도를 사용해서 이미 설명한 온트랙 상태를 검출하는 개시신호(1923 )대신 사용하면, 필요할 때에만 자동적으로 온트랙 상태의 검출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출력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하므로서 온트랙 상태를 알고, 그때 재생되는 특정신호의 재생시간차를 사용해서, 트래킹오차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기준치를 연산하기 위하여 페어헤드의 부착오차에 의한 트래킹의 엇갈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재생헤드를 일정주기로 변위시키므로서 온트랙 상태를 검출하고, 이때에 재생되는 특정의 신호 재생 시간차를 사용해서, 트래킹 오차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기준치를 연산하기 위해서, 페어헤드의 부착 오차에 의한 트래킹의 엇갈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시간에 있어서의 재생신호의 레벨이, 온트랙 상태의 재생신호의 레벨에 대해서 일정치 이하의 값이 되었을때에, 온트랙 상태의 검출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페아헤드의 부착위치가 다른 덱에 의해서 기록된 일련의 자기 테이프를 재생할 수 있어, 효율좋게 온트랙 상태 검출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전기-기계 변환소자위에 탑재된 방위각이 다른 적어도 2개의 헤드에 의해서 재생한, 각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특정의 신호의 재생시간차를 얻는 수단과, 트래킹 제어의 기준치를 작성하는 기준치 작성수단과, 상기 재생시간차와 상기 기준치와의 차, 혹은 합의 값을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각 재생신호 중 적어도 한쪽의 재생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하는 최대치 검출수단과,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정 및 부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는 변위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준치 작성수단은, 상기 최대치 검출수단에 의해서 재생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한 시각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시간차를 트래킹 제어의 기준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 작성수단은, 상기 최대치 검출수단에 의해서 재생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한 시각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시간차와, 고정의 기준치와의 차, 혹은 합의 값을 연산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시간차 검출수단은, 각 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각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특정의 신호 재생시간차 신호와, 이 특정신호의 어느쪽이 빨리 재생되는지를 검출해서 극성 판별회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 정지시로부터 통상 재생으로 이행할 때에,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는 변위수단에 의해 재생 자기헤드가 기록트랙을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변위시키고, 그때에 상기 기준치 작성수단에 의해 트래킹 제어의 기준치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 정지시로부터 통상 재생으로 이행할때에,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는 변위수단에 의해 재생 자기헤드가 기록트랙을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변위시키고, 또 재생신호의 최대레벨이 자기테이프의 중앙부를 재생할때에 얻을 수 있도록 변위시키고, 그때에 상기 기준치 작성수단에 의해 트래킹 제어의 기준치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치 검출회로는, 재생신호 레벨이 최대가 되었을때에 극성이 변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시간차와 상기 기준치와의 차, 혹은 합의 값을 연산하는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트래킹 오차신호는,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변위시키는 변위수단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시간차와 상기 기준치와의 차, 혹은 합의 값을 연산하는 연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오차신호는, 테이프의 이송위상을 제어하는 캡스턴 모우터제어회로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는 변위수단은 기록트랙을 재생헤드가 가로지르도록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톱니형상파 신호를 작성하는 회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10. 전기-기계 변환소자위에 탑재된 방위각이 다른 적어도 2개의 헤드와, 이들 각 헤드에 의해서 재생되는 각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특정의 신호의 재생시간차를 얻는 수단과 트래킹 제어의 기준치를 작성하는 기준치 작성수단과, 재생시간차와, 기준치와의 차, 혹은 합의 값을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정 및 부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변위시키는 변위수단과, 이 변위시에 있어서의 재생신호의 레벨차를 검출하는 레벨차 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준치 작성수단은, 상기 레벨차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는 재생신호의 레벨차의 값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때의 상기 재생시간차를, 상기 트래킹 제어의 기준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를 변위수단은, 상기 재생헤드가 어떤 일정 개수의 기록트랙을 주사할 때마다 변위량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차 검출수단은,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의 변위량의 절환 타이밍에 대응해서 재생신호의 레벨차를 비교하고, 재생헤드가 기록 트랙의 좌우 어느방향으로 엇갈려 있는지를 판별하는 방향판별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트랙엇갈림 연산회로에서는 이 방향 판별신호에 의해 상기 전기-기계 변환소자의 변위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13. 제10항에 있어서, 테이프정지 모우드로부터 통상 재생모우드로 이행할 때에 상기 트래킹 제어의 기준치를 개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 작성수단은, 상기 레벨차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는 재생신호의 레벨차의 값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의 상기 재생시간차와, 고정의 기준치와의 차 혹은 값을 연산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KR1019880003503A 1987-03-31 1988-03-30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KR910006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77751A JPH0731849B2 (ja) 1987-03-31 1987-03-31 トラツキングエラ−信号作成回路
JP62-77751 1987-03-31
JP62182493A JPH07114009B2 (ja) 1987-07-22 1987-07-22 トラッキングエラ−信号作成回路
JP62-182493 1987-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731A KR880011731A (ko) 1988-10-31
KR910006583B1 true KR910006583B1 (ko) 1991-08-28

Family

ID=2641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503A KR910006583B1 (ko) 1987-03-31 1988-03-30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68692A (ko)
EP (1) EP0285365B1 (ko)
KR (1) KR910006583B1 (ko)
CA (1) CA1320568C (ko)
DE (1) DE388357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2603A (en) * 1988-08-26 1993-05-18 Canon Kabushiki Kaisha Tracking control means for a multi-channel reproducing apparatus
DE3840630A1 (de) * 1988-12-02 1990-06-13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spurnachsteuerung in magnetbandgeraeten
NL8900340A (nl) * 1989-02-13 1990-09-03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een elektrisch signaal.
DE69217915T2 (de) * 1992-05-13 1997-06-12 Tandberg Data Methode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Bandposition für ein Band unter Verwendung eines speziellen Servo-Formates
US5325246A (en) * 1992-06-01 1994-06-28 Datatape Incorporated Automatic tracking method for helical scan magnetic tape recorder using reproduced timing signal to sample two out-of-phase reference signals
JPH06131756A (ja) * 1992-10-15 1994-05-13 Hitachi Ltd データ記録再生装置
US5343341A (en) * 1992-10-15 1994-08-30 Tandberg Data A/S Method for seeking the center of a recorded data track
JP2944398B2 (ja) * 1993-07-05 1999-09-06 日本電気株式会社 Mos差動電圧電流変換回路
EP0638894B1 (en) * 1993-08-13 1999-01-20 Sharp Kabushiki Kaisha A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head height therein
KR100326576B1 (ko) * 1993-09-27 2002-06-22 이데이 노부유끼 신호재생장치
JPH07130092A (ja) * 1993-11-05 1995-05-19 Sony Corp ディスク記録装置、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状記録媒体
KR0137333B1 (ko) * 1994-06-24 1998-05-15 김광호 배속재생을 위한 헤드트래킹 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5978165A (en) * 1997-03-27 1999-11-02 Exabyte Corporation Method of determining axial offset distance in helical scan tape drive
US6697209B2 (en) 2000-11-09 2004-02-24 Exabyte Corporation Phase based time domain tracking for helical scan tape drive
US6778361B2 (en) 2000-12-07 2004-08-17 Exabyte Corporation Non-symmetric helical scanner architecture for high track density
CN1272788C (zh) * 2001-06-12 2006-08-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磁记录再生装置
US6985323B2 (en) * 2001-09-12 2006-01-10 Exabyte Corporation Alternating-azimuth angle helical track format using grouped same-azimuth angle heads
US7106535B2 (en) * 2001-09-12 2006-09-12 Exaby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onsistent track pitch in helical scan recorder
CN110019886A (zh) * 2017-08-28 2019-07-1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全景影像生成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8220A (en) * 1971-05-26 1972-07-18 Ibm Angulated positioning marks for moving web
US3964094A (en) * 1974-11-07 1976-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rvo information pattern for rotating head magnetic tape unit independent of amplitude
US4166282A (en) * 1977-06-16 1979-08-28 Burroughs Corporation Track-on-data technique and associated system involving di-bit recording and associated di-gap transducers
AT353855B (de) * 1977-07-28 1979-12-10 Grundig Emv Anordnung zur exakten spurhaltung
JPS5552529A (en) * 1978-10-11 1980-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5150129A (en) * 1979-05-10 1980-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GB2064830A (en) * 1979-11-28 1981-06-17 Rca Corp Transducer head tracking in prerecorded medium replay unit
JPS56101621A (en) * 1980-01-17 1981-08-14 Victor Co Of Japan Ltd Tracking system of magnetic reproducing device
JPS56159858A (en) * 1980-05-10 1981-12-09 Sony Corp Tracking control unit i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7100626A (en) * 1980-12-13 1982-06-22 Sony Corp Tracking controller of magnetic recorder and reproducer
JPS57198566A (en) * 1981-05-30 1982-12-06 Sony Corp Tracking controller of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8118074A (ja) * 1981-12-31 1983-07-13 Sony Corp 編集用磁気記録再生装置
JPS58147847A (ja) * 1982-02-26 1983-09-02 Olympus Optical Co Ltd トラツキング情報検出装置
US4561028A (en) * 1983-08-18 1985-12-24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and writing data on a magnetic disc
JPS60256948A (ja) * 1984-06-01 1985-12-18 Sony Corp トラツキングエラ−信号検出回路
JPS6151648A (ja) * 1984-08-21 1986-03-14 Sony Corp 自動トラツキング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3574T2 (de) 1994-02-24
EP0285365B1 (en) 1993-09-01
US4868692A (en) 1989-09-19
DE3883574D1 (de) 1993-10-07
KR880011731A (ko) 1988-10-31
EP0285365A3 (en) 1990-11-14
CA1320568C (en) 1993-07-20
EP0285365A2 (en) 198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583B1 (ko) 트래킹 오차신호 작성회로
US4396954A (en) Still mode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GB1595608A (en) Video signal speed-change reproducing system
JPH0731849B2 (ja) トラツキングエラ−信号作成回路
JPH0118632B2 (ko)
JPS6341470B2 (ko)
JPS6335151B2 (ko)
JPS6335152B2 (ko)
JPH0610903B2 (ja) スロ−再生用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JPH0827921B2 (ja) トラッキングエラー信号作成回路
JP2512123B2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H0677290B2 (ja) トラッキトグエラー信号の作成回路
JPH0630197B2 (ja) ビデオテ−プレコ−ダ
JP2707443B2 (ja) 回転ヘッド型再生装置
JPH07114009B2 (ja) トラッキングエラ−信号作成回路
JP259119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105495B2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S58123283A (ja) 磁気録画再生装置
JP2565228B2 (ja) 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JPH0311596B2 (ko)
JPH0734280B2 (ja) トラッキングエラー信号の作成回路
JPH0756715B2 (ja) 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JPH023358B2 (ko)
JPH0670844B2 (ja) 回転ヘツド型再生装置
JPH0750522B2 (ja) 回転ヘツド型ビデオ信号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