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343B1 - 가수분해성 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그 제조방법 및 그 폴리에테르를 이용한 실온 경화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수분해성 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그 제조방법 및 그 폴리에테르를 이용한 실온 경화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343B1
KR910005343B1 KR1019870012767A KR870012767A KR910005343B1 KR 910005343 B1 KR910005343 B1 KR 910005343B1 KR 1019870012767 A KR1019870012767 A KR 1019870012767A KR 870012767 A KR870012767 A KR 870012767A KR 910005343 B1 KR910005343 B1 KR 91000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lyether
molecular sieve
integ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291A (ko
Inventor
치유끼 시미즈
다미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실리콘 가부시끼가이샤
다구찌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351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49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3520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6024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실리콘 가부시끼가이샤, 다구찌 다다오 filed Critical 도시바 실리콘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85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046Amines heterocyclic
    • C08G59/5053Amines heterocyclic containing only nitrogen as a heteroatom
    • C08G59/5073Amines heterocyclic containing only nitrogen as a heteroatom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6Amines together with other cu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ther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수분해성 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그 제조방법 및 그 폴리에테르를 이용한 실온 경화성 조성물
제1도는 전단접착 시험에 사용된 시험체의 사시도이며, 도면에서의 단위는 mm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료 2 : 피착제(유리, 알루미늄, 또는 폴리비닐피복강판)
본 발명은 실온(室溫)에서 수분과 접촉하면 고무모양의 탄성체로 경화될 수 있는 가수분해성 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폴리에테르를 성분으로 하여 만들어진 실온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 다.
본 발명의 실온경화성 조성물에서는 특히 내열성과 내후성이 뛰어나고 접착성이 있으며, 또한 표면에 접착성이 잔류되는 일이 없는 고무모양의 경화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온경화성 조성물은 밀봉재로서 접합하다.
가수분해성 규소 관능기를 가지고 있으며 주된 체인이 폴리에테르인 폴리머는 공지되어 있다.(일본특개소 50-156599호 공보등)
이 폴리머를 베이스로한 실온경화성 조성물이 최근 건조물의 줄눈부분이나 수송기계 접합부등의 밀봉재로서 사용되기 시작했다.(일본 특개소 52-73998호 공보등)
그러나 이와같은 종류의 폴리머는 내열성이나 내후성이 뒤떨어지므로 내후성이 요구되는 건조물 외부벽의 줄눈부분이나 수송기계 접합부의 일부등 비교적 고온이 되는 곳에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같은 종류의 폴리에테르를 이용한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접착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접착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피착면에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사전에 그 조성물에 실란커플링제류를 첨가하거나 하여 접착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프라이머 처리는 공정의 증가에 따른 시공상의 불이익을 초래하며, 또한 실란커플링제를 첨가하면 접착성은 개선되지만 경화물의 신장율이 저하되어 물러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식(P) :
Figure kpo00001
(식중 R1,R2,R6및R7은 2가의 탄화수소기, R4는 1가의 탄화수소기, R5는 탄소수가 1-6개인 알킬기, a는 1-3의 정수, m은 10-500정수 n은 1이상의 정수, -N=X=N-는 1분자중에 2개의 이미노기를 가지며 또한 C=N-결합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복소환(復素環 : heterocyclic ring)식 화합물에서 질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원자를 제외한 잔기이다)로 표시되며 분자량이 1000-50,000인 가수분해성 실릴기를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일반식;
Figure kpo00002
(식중 R1,R2및 m은 전술한 것과 동일)로 표시되는 분자체인 말단이 에폭시기로 폐쇄된 폴리옥시 알킬렌, (B) C=N-결합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미노기를 분자중에 2개 갖는 복소환식 화합물 및 (C) 일반식 :
Figure kpo00003
(식중 R4,R,5R,6R7및 a는 전술한 것과 동일)로 표시되는 에폭시기와 가수분해성기를 가진 유기규소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이 1,000-50,000이며 가수분해성 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Ⅰ) 일반식(P)(P는 전술한 바와같음)로 나타내어지며 분자량이 1,000-50,000인 가수분해성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100중량부, (Ⅱ)무기질 충전제 3-300중량부, 및 (Ⅲ)경화촉매 0.001-20중량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온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반식(P)(P는 전술한 바와같음)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에 있어서, R1O로 표시되는 옥시알킬렌 단위로는 옥시에틸렌단위, 옥시프로필렌단위 또는 옥시에틸렌 단위와 옥시프로필렌단위를 병용하는 계통이 바람직하며, 원료 입수와 중합이 용이하며, 그 중합도라고 액체상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옥시프로필렌 단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옥시알킬렌 단위의 중합도 m은 10-500의 범위에서 선택되며, m이 10보다 작을 경우에는 실용적인 작업성을 얻을 수 있는 점도이기는 하지만 신장율이 양호한 고무모양의 경화물을 제공하는 폴리에테르를 얻기가 곤란하게된다.
반대로 m이 500보다 크게되면 본 발명의 실온경화성 조성물에서 얻어지는 탄성체의 특징인 내열성이나 내후성이 저하된다. R2의 2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페닐렌기, 시클로헥실렌기 및 -CH2CH2
Figure kpo00004
로 표시되는 기둥을 예로 들수 있다.
이들중, 원료 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메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의 특징인 내열성이나 내후성을 얻기 위해서는 -N=X=N-으로 표시되는 기가 1분자중에 2개의 이미노기를 가지며 또한, C=N-결합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복소환식 화합물에서 질소원자에 결합된 수소원자를 제외한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4의 1가의 탄화수소로서는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아랄킬기등에서 선택할수 있으나, 합성이나 원료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예를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비닐기, 아릴기, 페닐기 및 β-페닐에틸기 등을 들수 있다.
이들중 원료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6및 R7은 R2와 동일한 것이 예시된다.
R6는 원료 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메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R7은 합성과 원료 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및 테트라메틸렌기가 바람직하며 특히 트리메틸렌기가 바람직하다.
R5의 탄소수 1-6의 알킬기는 R5O-로서 규소원자에 결합하는 알콕시기의 가수분해성이 높다는 점에서 메틸기 또는 에틸가 바람직하며, 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가수분해성기의 정수 a는 1-3의 범위로 선택되는데, 그신장율의 고무형상의 경화물을 부여하는 조성물인 베이스 폴리머로서 가장 적합한 폴리에테르를 얻기 위해서는 a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는 전술한 (A) 및 (C)성분중의 에폭시기와, (B)성분중의 이미노기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A)성분의 대표적인 예로서 수산기로 양 말단이 폐쇄된 폴리옥시에틸렌이나 폴리옥시프로필렌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염기성 촉매의 존재하에서 축합시켜 얻어지는 것을 들수 있다.
(B)성분으로서는 원료의 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또한 에폭시기와의 반응성이나 그 회수율등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아래의 것이 바람직하다.
피페라딘
Figure kpo00005
, 2,5-디메틸피페라딘
Figure kpo00006
, 1,4-디이미노시클로펜탄
Figure kpo00007
, 퍼 히드로 페나딘
Figure kpo00008
, 퍼 히드로 피리미딘
Figure kpo00009
, 퍼 히드로 -1,3,5-옥사디아딘
Figure kpo00010
, 퍼 히드로-1,3,5-티오디아딘
Figure kpo00011
등이다.
이들 중에서는 원료 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특히 피페라딘이 장려된다.
또한, 이들 두 개의 이미노기가 있는 화합물이외에 이미노기를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가진 화합물도 본 발명의 목적에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될수 있다.
(C)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β-글리시드 옥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드 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드 옥시 에틸 트리에톡시 실란, γ-글리시드 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메틸(β-글리시드 옥시에틸)디메톡시실란, 메틸(γ-글리시드 옥시프로필)디메톡시실란, 메틸(β-글리시드 옥시에틸)디에톡시실란, 메틸(γ-글리시드 옥시 프로필)디에톡시 실란, 페닐(β-글리시드옥시 에틸)디메톡시 실란, 페닐(γ-글리시드 옥시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메틸(β-글리시드 옥시에틸)메톡시실란, 디메틸(γ-글리시드 옥시프로필)메톡시 실란 등을 들수 있다.
(A), (B) 및 (C)성분의 반응은 주위 온도보다 높은 예를들면 50-150℃의 조건하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 메탄올, 에탄올, 페놀, 살리실산, 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벤질메틸아민, 트리부틸 아민 및 2-메틸이미다졸과 같은 화합물을 반응 촉매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탈올은 그 바람직한 것중의 하나이다.
또한, 이 반응에 용매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탄화수소계, 에테르계 에스테르계 등의 용매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A), (B) 및 (C)성분의 배합량은 이론적으로는 몰비가 (A) : (B) : (C)=P : (P+1) : 2(식중 P는 자연수를 나타냄)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B) 및 (C)성분을 이론량보다 약간 많은량을 사용해도 지장이 없다.
반응시키는 순서로서는 (A), (B) 및 (C)의 성분을 동시에 혼합시켜 반응시켜도 좋으나 우선 (A)성분 및 그 당량을 약간 초과하는 량으로 전술한 분자량 범위의 폴리에테르를 얻는데 적합한 양의 (B)성분을 반응시켜서 체인길이를 연장시킨후 필요한 양이나 또는 약간 초과하는 양의 (C)성분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편이 중합도를 조절하는데 용이하며 또한 분자체인 말단에 가수분해성기를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n은 1이상의 정수이며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의 분자량이 1,000-50,000의 범위가 되도록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를 밀봉제인 베이스 폴리머로서 사용한 경우 분자량이 1,000보다 작으면 경화되어 얻어지는 탄성체의 신장율이 밀봉제로서 필요한 수치에 도달하지 못하며, 반대로 50,000보다 크면 점도가 높아져서 작업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의 (Ⅱ)성분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조성물에 적당한 비유동성이나 보강성을 부여하기위한 성분이다.
(Ⅱ)성분으로서는 연무질(煙霧質)실리카, 침전(沈澱)실리카, 분쇄실리카, 조토, 탄산칼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철, 활석, 점토등을 예로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무기질 충전제는 유기규소 화합물, 예를들면,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헥사메틸 디 실라잔,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옥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옥산 및 실리콘오일등으로 표면처리를 해도 사용할 수 있다. (Ⅱ)성분의 사용량은 (Ⅰ)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3-3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200중량부의 범위이다.
(Ⅱ)성분의 양이 3중량부보다 적으면 비유동성이나 보강성을 얻을 수 없으며, 300중량부 보다 많으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작업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Ⅲ)성분의 경화 촉매로서는 옥틸산 주석등의 카르본산 주석염; 디 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말레이트, 디부틸주석프탈레이트등의 유기 주석 카르본산염; 유기 주석산 산화물 및 그 에스테르와의 반응물;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와 같은 유기티탄산에스테르; 아민류; 아민염; 제4급 암모늄염; 구아다닌 화합물등을 예로들 수 있다.
이들의 경화촉매는 (Ⅰ)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0.001-2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Ⅲ)성분의 양이 이것보다 적으면 경화속도가 지나치게 늦어서 사용에 적합하지 않게되고, 반대로 이것보다 많아도 무의미할뿐 아니라, 삼출(渗出)이나 석출(析出)의 염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접착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통상 사용되는 실란 결합제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접착성을 더욱 증강시키기 위해서 그것들을 사용하거나, 또는 한포장 형태로 장시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그것들을 포함한 가수분해성 실란을 첨가하여도 좋다.
이들 가수분해성 실란으로서는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γ-아미노 프로필 트리 에톡시 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 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 γ-메타크릴 옥시프로필트리 에톡시 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디메틸디메톡시 실란, 메틸트리 메톡시 실란, 메틸트리에톡시 실란, 테트라 에톡시 실란 등을 들수 있다. 또한, 이들 실란이 부분가수분해되어 중합체가 된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한포장형으로 장기간의 보존 안전성을 얻기위해서는 메탄올이나 에탄올과 같은 1가의 제1급 알콜을 첨가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물을 침지시킨 피마자유와 같은 요변성(thixotropy)부여제나 디옥틸 프탈레이트, 부틸벤질프탈레이트, 염소화 파라핀과 같은 가소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같은 한 포장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외에, 예를들면(Ⅰ) 성분과 (Ⅱ)성분으로된 부분과, (Ⅲ)성분과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보관해두고, 사용전에 양자를 혼합하는 두포장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화전에는 접착성이 있고, 경화후에 얻어지는 탄성체는 내열성이나 내후성이 뛰어나며, 또한 표면 접착성의 잔류가 없으므로 먼지의 부착으로 인한 오손(汚損)이 생기지 않는등 우수한 효과를 발휘해서 건조물 외벽의 줄눈부분과 같은 내후성이 요구되는 곳이나, 수송기계의 접합부의 일부등 비교적 고온성이 요구되는 곳의 밀봉재로서 유용한 실온경화성 조성물을 얻을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중, 부(部)는 모두 중량부를 나타내며, %는 중량 %를 의미한다.
[실시예1]
평균 중합도 15, 분자량이 약 1,000, 25℃에서의 점도가 270cst인 글리시딜기로 양 말단이 폐쇄된 폴리옥시 프로필렌 5몰[10(에폭시)당량]에 대해서
Figure kpo00012
으로 표시되는 피페라딘을 6몰 및 폴리옥시프로필렌의 10%에 상당하는 양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60℃질소 분위기하에서 가열교반을 개시하였다.
가열교반 개시로부터 4시간 간격으로 일부를 채취해서 NMR에 의한 에폭시드 메틸렌의 양성자에 의한 피크(peak)(테트라메틸실란을 기준으로 해서 2.67ppm)의 관찰, 전위차 적정법에 의한 에폭시기와 이미노기의 총량의 정량 및 25℃에서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가열교반 개시로부터 12시간후 에폭시드 메틸렌의 양성자에 의한 피크가 소실되어 가열교반 개시전에는 80cst였던 혼합물의 점도가 1,500cst에 도달하였으므로,
Figure kpo00013
로 표시되는 메틸(γ-글리시드 옥시프로필 디 메톡시 실란을 2.2몰 첨가하여 같은 조건으로 가열교반을 계속하였다.
전술한 실란을 첨가하고 나서 4시간 간격으로 그 반응 혼합물의 일부를 채취해서 전위차 적정법으로 시료중의 에폭시기와 이미노기의 총량을 정량적으로 추적조사한 결과, 실란을 첨가하고 나서 16시간후에 이미노기가 검출되어 없어졌으므로, 가열교반을 종료하고 메탄올을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반응생성물은 NMR에 의한 에폭시드 메틸렌의 양성자에 의한 피크의 소실이 인정되어 25℃에서의 점도가 15,000cst, 동일온도에서 비중이 1.01, GPC에 의해 측정된 수평균 분자량이 6,000인 담황색의 경점성(硬粘性)인 액체이며, 다음식으로 표시되는 가수분해성 실리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P-1)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kpo00014
[실시예 2]
평균 중합도 32, 분자량이 약 2,000, 25℃에서의 점도가 550cst인 글리시딜기로 양 말단이 폐쇄된 폴리옥시프로필렌 5몰[10(에폭시)당량]에 대하여
Figure kpo00015
로 표시되는 1,4-디이미노시클로펜탄을 6몰 및 폴리옥시프로필렌의 10%에 상당하는 양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80℃, 질소 분위기하에서 가열교반을 개시하였다.
가열교반 개시로부터 2시간 간격으로 일부를 채취하여 NMR에 의한 에폭시드 메틸렌의 양성자에 의한 피크의 관찰, 전위차 적정법에 의한 에폭시기와 이미노기의 총량의 정량 및 25℃에서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가열교반 개시로부터 6시간 후에 측정량이 거의 이론적인 양만큼 감소하는 동시에 에폭시드메틸렌의 양성자에 의한 피크가 소멸되어 가열교반 개시전에는 210cst였던 점도가 4,000cst에 도달하였으므로,
Figure kpo00016
를 2.2몰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가열교반을 계속하였다.
전술한 실란을 첨가하고 나서 2시간 간격으로 일부를 채취하여 전위차 측정법을 사용한 에폭시기와 이미노기와의 총량의 정량 및 NMR에 의해 에폭시드 메틸렌의 양성자에 의한 피크를 관찰한 결과, 실란 첨가로부터 8시간후에 그것들은 모두 거의 소실되었으므로, 가열 교반을 종료하고 메탄올을 증류제거하여 25℃에서의 점도가 26,000cst, 동일한 온도에서의 비중이 1.01, GPC에 의해 측정된 수평균 분자량이 11,000인 담황색의 경점성인 액체(다음식으로 표시되는 가수분해성 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P-2)를 얻었다.
Figure kpo00017
[실시예 3]
평균 중합도 50, 분자량 약 3,000, 25℃에서의 점도가 970cst인 글리시딜기로 양말단이 폐쇄된 폴리옥시프로필렌 3몰[6(에폭시)당량]에 대하여
Figure kpo00018
로 표시되는 퍼히드로페나딘을 4몰 및 폴리옥시프로필렌의 10%에 상당하는 양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60℃, 질소 분위기하에서 가열교반을 개시하였다. 4시간 간격으로 일부를 채취하여 NMR에 의한 에폭시드메틸렌의 양성자에 의한 피크의 관찰, 전위차 적정법에 의한 에폭시기와 이미노기의 총량의 정량 및 25℃에서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가열교반 개시로부터 12시간에서 에폭시기와 이미노기의 적정량이 거의 이론적인 양만큼 감소하는 동시에 에폭시드메틸렌의 프로필렌에 의한 피크가 소멸되어 가열교반 개시전에는 360cst였던 점도가 5,000cst에 도달하였으므로,
Figure kpo00019
를 2몰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가열교반을 계속하였다.
전술한 실란을 첨가하고 나서 4시간 간격으로 일부를 채취하여 전위차 적정법을 이용한 시료중의 에폭시기와 이미노기의 총량의 정량 및 NMR에 의해 에폭시드메틸렌의 양성자에 의한 피크를 관찰한 결과, 실란첨가로부터 16시간 후에 그것들은 모두 거의 소멸되었으므로, 가열 교반을 종료하고, 메탈올을 증류제거하여 25℃에서의 점도가 22,000cst, 동일 온도에서의 비중이 1.01, GPC에 의해 측정된 수평균 분자량이 10,000인 담황색인 경점성의 액체(다음식으로 표시되는 가수분해성 실리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P-3)를 얻었다.
Figure kpo00020
[실시예 4-6]
실시예 1-3에서 얻은 가수분해성 실리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각 폴리에테르(P-1∼3) 100부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낸 충전제, 무기안료 및 요변성 부여제를 첨가하여 3개의 로울러로 균일하게 분산시킨 뒤 역시 표 1에 나타낸 유기 주석화합물을 혼합하여 시료 -1∼3을 각각 조정하였다.
이들 각 시료를 실온에서 14일간 경화시켜서 약 2mm두께의 시이트를 만들었다. 이들 시이트를 JIS 2호인 아령모양으로 쳐서 따내기 경도시험 및 인장시험을 하였다. 이것을 초기 상태로 한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진 아령모양의 시료편을 150℃의 건조기 및 내후도시험기(weather-0-meter)에 넣고 표 1에 나타낸 기간의 퇴화조건(가열 및 자외선 조사)을 보여한 다음 시료편의 퇴화상태 관찰 및 인장시험을 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분자량 약 8,000, 말단기로서
Figure kpo00021
로 표시되는 γ-메틸 디메톡시 실릴프로폭시기를 양말단에 가지고 있는 폴리옥시프로필렌 100부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낸 충전제, 무기안료 및 요변성 부여제를 첨가하여 세 개의 로울러로 균일하게 분산시킨뒤 역시 제1표에 나타낸 유기 주석화합물을 혼합하여 시료 -4를 얻었다.
시료 -4를 사용하여 실시예 4-6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조제된 것과 동일한 시료 -4에 접착성 부여제로서 표 1에 나타낸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하여 시료 -5를 얻었다. 이 시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4-6과 동일한 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도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온 경화성 조성물은 비교예 1,2의 종래의 폴리머에 의한 조성물에 비하여 내열성 및 내자외선성(내후성)이 두드러지게 향상되어 있으며 또한 초기상태에 있어서도 높은 신장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9]
실시예 4-6으로 조제된 것과 동일한 시료 -1∼3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28일간 경화시켜 제1도에 나타낸 전단 저항시험체를 작성하였다. JIS K 6850에 준하는 방법으로 이들 시험체의 전단 저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4]
비교예 1,2에서 조제된 것과 동일한 시료 -4,5를 사용하여 실시예 7-9와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제2도에서는 본 발명의 실온 경화성 조성물은 접착성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은 계(系)에 있어서도 각종 피복체에 대하여 높은 접착성이 있다는 것이 명백하게 나타났다.
[표 1]
Figure kpo00022
[표 2]
Figure kpo00023

Claims (11)

  1. 일반식;
    Figure kpo00024
    (식중 R1,R2,R6및 R7은 2가의 탄화수소기, R4는 1가의 탄화수소기, R5는 탄소수가 1-6개의 알킬기, a는 1-3의 정수, m은 10-500의 정수, n은 1이상의 정수, -N=X=N-은 1분자중에 2개의 이미노기가 있으며 또한 C=N-결합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복소환식 화합물에서 질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원자를 제외한 잔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며 분자량이 1,000-50,000인 가수분해성 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2. 제1항에 있어서, R1가 프로필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테르.
  3. 제1항에 있어서, R5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테르.
  4. 제1항에 있어서, a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테르.
  5. 제1항에 있어서, -N=X=N-이 피페라딘 2,5-디메틸피페라딘, 1,4-디 이미노 옥시클로로펜탄, 퍼 히드로 페나딘, 퍼히드로 피리미딘, 퍼 히드로-1,3,5-옥사디아딘, 퍼 히드로-1,3,5-티아디아딘에서 선택되는 복소환식 화합물에서 질소원자에 결합된 수소원자를 제외한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테르.
  6. 제1항에 있어서, -N=X=N-이 피페라딘의 질소원자에 결합된 수소원자를 제외한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테르.
  7. (A) 일반식 :
    Figure kpo00025
    (식중 R1,R2는 2가의 탄화수소기, m은 10-500의 정수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분자체인 말단 에폭시기로 폐쇄된 폴리옥시알킬렌, (B) C=N-결합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미노기가 분자중에 2개 있는 복소환식 화합물, 및 (C) 일반식 :
    Figure kpo00026
    (식중 R4는 1가의 탄화수소기, R5는 탄소수가 1-6개의 알킬기, R6및 R7은 2가의 탄화수소기, a는 1-3의 정수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에폭시기와 가수분해성기가 있는 유기 규소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량이 1,000-50,000이며 가수 분해성 실리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B)성분이 피페라딘, 2,5-디메틸피페라딘, 1,4-이미노옥시클로로펜탄, 퍼 히드로 페나딘, 퍼 히드로 피리미딘, 퍼 히드로-1,3,5-티아디아딘에서 선택되는 복소환식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테르 제조방법
  9. (Ⅰ) 일반식 :
    Figure kpo00027
    (식중 R1,R2,R6및 R7은 2가의 탄화수소기, R4는 1가의 탄화수소기, R5는 탄소수가 1-6개의 알킬기, a는 1-3의 정수, m은 10-500의 정수, n은 1이상의 정수, -N=X=N-은 1분자중에 2개의 이미노기가 있으며 또한 C=N-결합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복소환식 화합물에서 질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원자를 제외한 잔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며, 분자량이 1,000-50,000인 가수분해성 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100중량부 (Ⅱ) 무기질 충전제 3-300중량부 및, (Ⅲ) 경화촉매 0.001-20중량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온경화성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Ⅰ)성분에서의 -N=X=N-가 피페라딘, 2,5-디메틸피페라딘, 1,4-디 이미노옥시 클로로펜탄, 퍼 히드로 페나딘, 퍼 히드로 피리미딘, 퍼히드로-1,3,5-옥사디아딘, 퍼히드로-1,3,5-티아디아딘에서 선택되는 복소환식 화합물의 질소원자에 결합된 수소원자를 제외한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온경화성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Ⅰ)성분에서의 -N=X=N-이 피페라딘의 질소원자에 결합된 수소원자를 제외한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온경화성 조성물.
KR1019870012767A 1986-04-30 1987-11-13 가수분해성 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그 제조방법 및 그 폴리에테르를 이용한 실온 경화성 조성물 KR910005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99776A JPS62256828A (ja) 1986-04-30 1986-04-30 加水分解性シリル基で分子鎖末端が閉塞されたポリエ−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351986A JPH0714998B2 (ja) 1986-11-17 1986-11-17 加水分解性シリル基で分子鎖末端が閉塞されたポリエ−テル
JP27352086A JPH086024B2 (ja) 1986-11-17 1986-11-17 室温硬化性組成物
JP273520 1986-11-17
JP273519 1986-11-17
JP61-273520 1986-11-17
JP61-273519 1986-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291A KR880006291A (ko) 1988-07-22
KR910005343B1 true KR910005343B1 (ko) 1991-07-25

Family

ID=3968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767A KR910005343B1 (ko) 1986-04-30 1987-11-13 가수분해성 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그 제조방법 및 그 폴리에테르를 이용한 실온 경화성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73272A (ko)
EP (1) EP0341322B1 (ko)
JP (1) JPS62256828A (ko)
KR (1) KR910005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4629B2 (ja) * 1989-03-13 1998-04-28 東芝シリコーン株式会社 室温硬化性組成物
GB9424247D0 (en) * 1994-12-01 1995-01-18 Dow Corning Sa Silyl group containing organic polymers
GB9424246D0 (en) 1994-12-01 1995-01-18 Dow Corning Sa Moisture curable compositions
GB9424250D0 (en) 1994-12-01 1995-01-18 Dow Corning Sa Silyl group containing organic polymers
AU750449B2 (en) * 1997-12-24 2002-07-18 Prc-Desoto International, Inc. Low VOC coating composition
JP2001055553A (ja) * 1999-08-18 2001-02-27 Nippon Nsc Ltd 接着剤組成物
US7629396B2 (en) * 2005-02-23 2009-12-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ilicon-containing polytrimethylene homo- for copolyether composition
JP5244595B2 (ja) * 2005-08-09 2013-07-24 エクソンモービル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酸性ガススクラビング法のためのヒンダードアミンおよび金属スルホネートまたはホスホネート構造の分子を含有する吸収性組成物
CA2618362C (en) 2005-08-09 2012-12-0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Hindered cyclic polyamines and their salts for acid gas scrubbing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1751A (en) * 1975-06-09 1976-07-27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Vulcanizable silylether terminated polymer
US4278784A (en) * 1980-02-06 1981-07-14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Encapsulated electronic devices and encapsulating compositions
JPS5971377A (ja) * 1982-10-15 1984-04-2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粘着剤組成物
JPS61141761A (ja) * 1984-12-12 1986-06-2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硬化性組成物
JPS62151453A (ja) * 1985-12-25 1987-07-06 Toshiba Silicone Co Ltd シ−リング材組成物
JPS62151455A (ja) * 1985-12-25 1987-07-06 Toshiba Silicone Co Ltd 室温硬化性組成物
JPS62151454A (ja) * 1985-12-25 1987-07-06 Toshiba Silicone Co Ltd 表面硬化性シ−リング材組成物
KR900008464B1 (ko) * 1986-05-30 1990-11-22 도시바 실리콘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에테르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테르를 이용한 실온 경화성 조성물
JPS62283123A (ja) * 1986-05-30 1987-12-09 Toshiba Silicone Co Ltd 加水分解性シリル基で分子鎖末端が閉塞されたポリエ−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5447B2 (ko) 1991-04-08
JPS62256828A (ja) 1987-11-09
EP0341322A1 (en) 1989-11-15
EP0341322B1 (en) 1993-12-22
KR880006291A (ko) 1988-07-22
US4873272A (en) 198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464B1 (ko) 폴리에테르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테르를 이용한 실온 경화성 조성물
JPH032450B2 (ko)
KR910005343B1 (ko) 가수분해성 실릴기로 분자체인 말단이 폐쇄된 폴리에테르, 그 제조방법 및 그 폴리에테르를 이용한 실온 경화성 조성물
JP2718962B2 (ja) 加水分解性シリル基で分子鎖末端が閉塞されたポリブタジエ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室温硬化性組成物
KR920009561B1 (ko) 실온 경화성 조성물
KR930005405B1 (ko) 실온 경화성 조성물
JP2688499B2 (ja) 加水分解性シリル基で分子鎖末端が閉塞されたポリエーテ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室温硬化性組成物
US4950707A (en) Polyether end-blocked with hydrolyzable silyl groups, method of manufacturing and room temperature curable composition using the polyether
US4847357A (en) Polyether end-blocked with hydrolyzable silyl groups, method of manufacturing and room temperature curable composition thereof
KR910000425B1 (ko) 폴리에테르 및 그 제조방법
JPS6333473A (ja) 室温硬化性組成物
JPH086024B2 (ja) 室温硬化性組成物
JPS6312660A (ja) 室温硬化性組成物
JPS6383160A (ja) 室温硬化性組成物
JPH0257823B2 (ko)
JPH0257822B2 (ko)
JPH0477551A (ja) 室温硬化性組成物
JP3012876B2 (ja) 加水分解性シリル基で分子鎖末端が閉塞された重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室温硬化性組成物
JPS62181321A (ja) 室温硬化性組成物
JPH0457695B2 (ko)
JPS6333425A (ja) 加水分解性シリル基で分子鎖末端が閉塞された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4998B2 (ja) 加水分解性シリル基で分子鎖末端が閉塞されたポリエ−テル
JPS62230845A (ja) 室温硬化性組成物
JPH02132125A (ja) 加水分解性シリル基で分子鎖末端が閉塞された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室温硬化性組成物
JPH0291185A (ja) 粘着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