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134B1 -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34B1
KR910005134B1 KR1019870010620A KR870010620A KR910005134B1 KR 910005134 B1 KR910005134 B1 KR 910005134B1 KR 1019870010620 A KR1019870010620 A KR 1019870010620A KR 870010620 A KR870010620 A KR 870010620A KR 910005134 B1 KR910005134 B1 KR 91000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ontrol
predetermined
elevator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973A (ko
Inventor
스스무 구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끼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끼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끼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0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송제어 시스템 구성모델의 일구성예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레베이터의 전송제어장치에 있어서의 단체 제어부의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속전송계의 하드시스템의 일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송계의 논리적 전송로의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논리적 전송로간의 연결을 나타낸 계통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송제어 시스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링크 계층 레벨의 전송 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9도 및 제10도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각 타스크간 교신에 있어서의 1차국, 2차국 기능처리의 구체적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송제어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관리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각 제어장치간의 로지칼 링크에 의한 프로세스간 교신기능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복수의 제어장치를 갖는 엘레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제어장치간의 제어 프로세스간 교신이 고인테리젠트한 통신제어를 실행하는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엘레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 단체 제어기능(單體制御機能), 군관리제어기능(郡管理制御機能) CRT표시기 등을 이용한 인테이젠트 엘레베이터 감시기능등 각 제어기능의 고인테리젠트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그에 수반하여 각 제어장치의 세분화, 멀티화가 행해지고 각 제어장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소형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되고 디지털화되어 있다. 그로인해서 각 단체 제어장치, 군관리 제어장치, 감시제어장치 등의 각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컴퓨터간은 직렬전송 등의 전송라인에 의해서 고속의 정보전송계를 형성하고, 엘레베이터 시스템 내에 로칼 에이리어 네트워크를 짜넣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이 엘레베이터 시스템내의 전송제어 시스템은 최근 지극히 발전하여 고인테리젠트한 전송제어를 실현하는 콘트롤러가 출현하는데 이르고, 전송패키드의 버퍼링기능 등의 서포트가 전송 콘트롤러측에서 실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콘트롤러의 실행을 관리하는 메인 CPU 처리의 전송제어 관리가 줄어서 메인 CPU는 부하가 경감되게 되었다. 그리고 이로인해서 각 스테이숀간에 있어서의 고인테리젠트한 각 프로세스간 교신기능이 실현되어 가고 있고 그리하여 멀티스테이숀에 의한 엘레베이터 시스템내의 제어기능의 분산처리화가 실현될 수 있는 경향에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아래서 예를들면 복수대의 엘레베이터 군관리 제어를 행하는 군관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그 제어 방식은 종래로부터 집중 제어계이고, 군관리 제어장치와 각 단체 제어장치의 사이에는 기본 데이터의 전송만을 각 제어장치마다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것이었다.
그로인해서 각 제어장치간의 제어 프로세스의 동기를 취할 수 있고, 각 제어 프로세스간 교신이 불가능한데서 상기 기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 군관리 제어장치에 의해서 각 단체호기단위의 데이터처리를 실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군관리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규모, 즉 층수나 엘레베이터 대수가 증대하면 군관리 제어장치의 컴퓨터 부하가 증대되고 홀호출의 수요가 많아지면 처리 능력상 영향을 받게되고 예를들면 예약표시가 있는 시스템 등에서는 홀호출 발생으로부터 최적호기의 예약등점등까지의 처리시간이 층수나 엘레베이터 대수로 변경되어 버리고 군관리 제어장치의 컴퓨터의 부하가 과대하게 되는등, 시스템 전체로서 컴퓨터의 부하균형을 악화시키게 된다. 그런데 군관리 제어용 컴퓨터의 부하경감 단체 제어용 컴퓨터의 부하균형을 목적으로 하여 멀티스테이숀을 갖는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제어기능의 분산처리화가 진행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 종류의 전송제어 방식에 있어서, 각 프로세스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요구 큐는 단일관리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송기능 즉 각 제어장치간이 기본 데이터의 전송제어 정도이면 전송의 송신/수신의 관리는 단일관리로 가능하다. 그러나 고인테리젠트한 각 프로세스간 교신도 공통의 물리적 전송로를 거쳐서 행하고져 할 경우에 송신/수신 큐의 관리가 단일이면 고인테리젠트한 전송의 요구중이며, 타겔스테이숀으로부터의 데이터 반송대기 상태일 때에 전송로나 전송제어 콘트롤러 관리의 버퍼링이 빈상태일지라도 다음 프로세스에 의한 전송요구를 할 수 없게 되고 고도의 전송제어 콘트롤러에 의한 전송 시스템을 갖고 있어도 전송교신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그러므로 전송 시스템의 유효한 사용을 할 수 없고, 고인테리젠트한 프로세스간 교신에 의한 분산제어처리의 효과가 없어지고 타스크의 병렬동작을 행할 경우에 각 타스크의 실행효율이 저하되어 버리고 사실상은 타스크의 병렬동작을 할 수 없고 각 제어장치의 컴퓨터 전체의 퍼포먼스가 저하되어 버리게 된다. 즉, 송수신의 관리는 어느 프로세스간에서 교신이 개시되면 그것이 종료되도록까지 그 교신에 관해서 계속된다는 형태로 되고, 그 사이에 전송로가 사용하지 않은 상태가 있어서 다른 프로세스간에서의 교신에 사용하려고 해도 그쪽으로 송수신의 관리를 옮길 수 없고, 이와같은 결과로 된다.
또 이와 같이 각 프로세스가 단지 하나의 송신/수신의 관리에 큐잉되게 되어 있으므로 교신대기의 프로세스의 송수신 데이터의 대기행령이 생겨 지금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간의 교신이 종료되지 않으면 다음 프로세스간 교신으로 옮길 수 없다. 따라서 예를들어 비교적 긴 교신처리 시간을 요하는 프로세스가 있으면 이것에 제약되어 버린다는등 각 프로세스간에 상호관계가 생겨버려 각 프로세스의 독립성이 보지될 수 없고, 제어기능의 추가, 변경이 생긴 경우에 각 프로세스 단위로 독립으로 실시하는 것이 곤란해져서 용이하게 사양 변경 등의 제어기능에 대응을 할 수 없다. 즉, 기존의 프로세스의 교신 시간보다도 짧은 반복주기의 프로세스를 추가하고져 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이 추가하고져 하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다른 것과의 정보를 주고 받음이 필요하다고 하면 이것보다도 긴 교신시간의 기존의 프로세스는 프로그램 내용을 바꾸든지 기능을 삭제하여 대응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이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다음에 예를들면 CRT(캐릭터 디스플레이 터미널)를 부가시킨 엘레베이터 감시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도 CRT 등에 단순히 리얼타임으로 각 엘레베이터의 상태표시 등을 실시하는 정도이면 상기 군관리 제어 시스템과 같은 기본 데이터 전송에 의한 데이터 정보교환인 단일관리의 송신/수신 큐잉관리 정도의 기능에 의해서 실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테리젠트 단말기능을 부가하고 온라인으로 각 단체 제어기능부 또는 군관리 제어기능부와의 정보교환을 실시하는 경우 등은 CRT 인테리젠트 단말측에서 온라인 실행의 응답속도를 보지하면서 각 단체 제어기능부 또는 군관리 제어기능의 다른 프로세스제어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는 고인테리젠트 단말기능은 교신에 제약을 받기 쉬운 상기 기본 데이터 전송기능인 단일 송신/수신 큐잉 관리 전송 정도의 기능으로 실현이 곤란하다. 따라서 다른 프로세스의 교신에 제약되는 종래 시스템으로는 필요정보를 생각하는 대로 주고받을 수 없으므로 엘레베이터 감시제어 시스템의 기능은 매우 저하되고, 현재 주류가 되어가고 있는 인테리젠트화의 실현성에 현저히 영향을 주는 결과가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군관리 엘레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 단체 제어장치, 감시제어장치, 공통제어장치 등의 시스템간에는 1대 1의 대응을 갖게하고 병렬전송, 직렬전송 등에 의해서 각 제어 데이터의 교신을 행하고 있다.
그런데 오늘날 제어 CPU의 멀티화, 제어부하의 평균화를 목적으로 제어기능의 분산화의 경향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는 각 제어장치간의 데이터 교신수단은 각각 비동기로 실행되고 있고, 더욱이 각 타스크로부터의 데이터 교신프로세스의 큐잉 즉 대기 행령관리도 하나고 또한 늦었기 때문에 각 제어장치간의 타스크간의 교신에 있어서 어느 타스크간에서 교신이 시작되면 그것이 종료될 때까지 전송로를 점유해 버리고 따라서 그간에 전송로가 사용되지 않은 상태가 있어도 다른 것은 전송로를 쓸 수 없고 그로인해서 타스크간 교신에 있어서 능률좋게 데이터를 교신할 수 없고 따라서 복수의 타스크간 교신에 의한 우선 제어기능 등의 고인테리젠트한 제어장치간 교신도 불가능하였다. 그로인해서 군관리 제어기능의 분산화, CRT를 사용한 감시제어장치와의 온라인 교신 등의 분산제어나 고인테리젠트 타스크간 교신기능을 실현시킬 수 없고, 또 데이터의 교신이 생각대로 되지 않으므로 엘레베이터의 제어기능도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군관리 제어기능의 분산화, CRT를 사용한 인테리젠트한 감시제어장치와의 온라인 교신 등의 분산제어나 고인테리젠트 타스크간의 교신기능을 실현시켜 엘레베이터의 제어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즉, 복수의 엘레베이터의 각 상태정보나 발생된 홀호출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기초로 수요나 상황에 응한 최적의 엘레베이터 운행이 실시되도록 각 엘레베이터의 운전관리를 하여 제어의 지령을 하는 군관리 제어기능부, 이 군관리 제어기능부의 지령 등을 기초로 하여 엘레베이터를 제어하는 각 단체엘레베이터마다의 단체 제어기능부, 이들 각 제어기능부와의 정보를 주고받음이 가능하고 또한 엘레베이터 시스템 전체를 감시하는 감시제어기능부 등을 포함하는 엘레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각 제어기능부 상호간을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이 네트워크 내에 복수의 논리적 통신로를 설정함과 더불어 각 제어기능부내의 제어장치 상호간의 교신을 실시하는 제어 프로세스간 단위마다 독립된 논리적 통신로에 의한 논리연결 관계를 맺어서 각 제어 프로세스간 상호의 교신을 패키트로 고속으로 실시하고 이것을 논리연결 관계에 있는 해당 제어 프로세스로 넘겨서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각 제어기능을 실현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각 제어기능부 상호간을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이 네트워크 내에 복수의 논리적 통신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각 제어기능부 내의 제어장치 상호간의 교신을 실시하는 제어 프로세스간 단위마다 독립된 논리적 통신로에 의한 논리연결 관계를 맺는 것으로 각 제어 프로세스간 상호의 교신을 패키트로 고속으로 실시하고 이것을 논리연결 관계에 있는 해당 제어 프로세스에 넘긴다. 이와 같이 제어 프로세스간 단위마다 독립된 논리적 통신로에 의한 논리연결 관계를 맺고 큐잉을 복수로 함으로써 각 제어프로세스간 상호는 고정적인 관계로 되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내지는 정보는 이 고정적 관계가 있는 제어 프로세스간에 넘어가게 되고 또 교신은 패키트로 고속으로 실시함으로써 어느 제어 프로세스간 교신을 실시함에 임해서도 전송로를 독점하든지 먼저 실행된 프로세스간에서의 교신 종료를 기다릴 필요가 없고 하나의 전송로를 실질적으로 다수 공용하고 또한 엉크러짐이 없이 교신하여 각각의 제어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프로세스간 교신에 의한 우선 제어 등의 고인테리젠트한 교신이 가능해지고 또한 복수의 프로세스간에서 각각 능률적인 데이터 교신을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군관리 제어기능의 분산화도 가능해져서 엘레베이터의 제어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레베이터의 전송제어시스템 구성모델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은 각 제어장치간의 논리적 통신로를 거쳐서 각 제어 프로세스간의 논리연결의 모델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1은 각각의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정보통신을 행하는 스테이숀이다. 이들의 각 스테이숀(1) 내에는 복수의 제어 프로세스(2)가 있고, 각 제어 프로세스(2)는 다른 스테이숀(1)과의 사이에 프로세스간의 논리패스를 연결하여 프로세스간의 교신을 실행한다. 각 프로세스간의 교신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각 프로세스 단위마다에 소켈(3)을 거쳐서 각 소켈(3)에 대응하는 논리적 통신로(4)를 통하여 각 프로세스 단위마다 다른 스테이숀(1)간과 로지칼 링크를 형성하고 논리연결 관계를 작성한다. 논리적으로는 각 제어 프로세스(2)에 대해서 각 소켈(3)을 정적 고정으로 하여 1대 1의 대응을 갖게 한다. 그리고 각 프로세스(2)간에 있어서 각 스테이숀(1)간 송신/수신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소켈(3)을 거쳐서 로지칼 링크를 형성한 논리적 통신로에 의해서 각 프로세스간의 교신을 실행한다. 논리적 통신로인 복수의 로지칼 링크(4)의 집합은 물리층 레벨에 있어서는 1개의 물리적 전송로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리층 레벨보다도 상위의 계층레벨의 전송제어기능에 의해서 복수의 논리적 통신로에 의해서 물리적전송로의 다중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다중화된 논리적 통로(4)의 입출력 관리를 각 논리통신로마다 실시한다. 또 각 제어 프로세스(2)는 입출력 포트인 소켈(3)을 거쳐서만 전송제어기능으로의 억세스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스테이숀(1)은 각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제1도에서 상측2개는 군관리 제어장치, 단체 제어장치에 대응하고 도면하측의 스테이숀은 감시제어장치에 대응한다. 각 제어장치(1)내의 프로세스(2)는 각 제어장치가 실행하는 제어기능의 하나하나에 대응하고 예를들면 감시제어장치를 예로든다면, CRT 표시기호의 화면표시 프로세스 프로그램이든지 또는 조작자로부터의 키보드 입력에 의한 메시지 작성 프로세스 프로그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제어 프로세스는 로지칼 링크(4)에 의해서 각 제어장치간의 제어 타스크에 대해서 로칼 스테이트/리모트 스테이트와의 관계에 의해서 동기제어가 실행되고 있고, 각 제어 프로세스간의 교신에 의해서 분산처리화를 실시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본적 개념이다.
다음에 이것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로서는 군관리 제어 시스템 엘레베이터를 예로들어 군관리 제어기능의 각 제어 프로세스간의 상호 교신동작 및 감시제어기능의 각 제어 프로세스간의 상호 교신동작에 관해서 기술하겠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군관리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군관리 제어를 장악하는 군관리 제어부(5)는 각 엘레베이터 단체의 제어를 행하는 단체 제어부(6-1∼6-N)와 정보전송용의 고속전송계(10) 및 저속전송계(11)을 거쳐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군관리 제어부 및 단체 제어부는 단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소형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소프트웨어의 관리하에서 동작되고 있다(이 동작에 대한 상세 설명은 제4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고속전송계(10)은 계통으로서, 각 단체 제어부(6-1∼6-N)와 군관리 제어부(5)의 사이, 즉 주로 기계실의 제어컴퓨터간 및 감시제어장치(9)와의 사이의 전송을 행하는 전송제어계이고, 고속으로 고인테리젠트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예, 미국 제록스사에 의해 제안된 Ethernet LAN 시스템).
그리고, 관리 제어에 필요한 제어정보의 주고받기를 군관리 제어부(5), 단체 제어부(6-1∼6-N)의 사이에서 물리적 전송로를 후술하는 복수의 논리적 전송로로 다중화하여 이루어지는 각 논리적으로 전송로를 거쳐서 고속으로 행한다. 저속전송계(11)는 각층의 홀호출 유니트(7-1, 7-2∼7-N)등 주로 승강로를 거쳐서 보내지는 정보의 전송을 행하는 전송제어계이고, 고속전망계(10)에 비해서 전송 속도는 저속이다. 저속전송계(11)는 일반적으로 장거리이기 때문에 광케이블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군관리 제어부(5), 단체 제어부(6-1~6-N)와의 사이에서 데이타의 주고받기를 해한다. 홀호출 유니트(7-1~7-N)와 저속 전송계(11)과의 사이에는 전송제어부(8-1∼8-N)가 끼워져 있다.
군관리 제어부(5)가 정상일 경우는 홀호출 유니트(7)에 의한 홀호출은 저속전송계(11)를 거쳐서 군관리 제어부(5)로 전송되어서 제어가 행해지고 홀호출이 등록되면 등록램프를 세트함과 더불어 고속전송계(10)를 거쳐서 보내오는 단체 제어부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최적호기를 결정하고 그 단체에 대해서 제어지령을 행한다. 그리고 제어지령을 받는 단체 제어부는 그 제어지령을 홀호출정보로 하여 단체 제어를 행한다.
또한, 9는 감시제어장치이고, 고속전송계(10)을 거쳐서 단체 제어부(6-1∼6-N)나 군관리 제어부(5)와 연결되어 있어서 이들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표시하고 또 운전 승강실의 설정이나 운전모드의 수동설정, 전원의 개폐조작이나 지시 등을 행할 수 있다.
제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체 제어부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리얼타임 오파레이팅시스템(이하 오파레이팅 시스템을 OS라 칭함)(12), 단체 제어기능 타스크(13), 군관리 제어 메인기능 타스크(14), 군관리 제어 서브기능 타스크(15), 전송제어 타스크(16) 및 감시제어 응답기능 타스크(17) 등이 있고, 각 타스크는 리얼타임 OS(12)에 의해서 관리되게 되어 있어 각 타스크는 리얼타임 OS(12)내의 스케쥴러에 의해서 기동, 종결의 관리가 행해진다.
단체 제어기능 타스크(13)는 단체 제어부에 있어서 핵이 되는 기능으로서 각 단체 엘레베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타스크이고, 타스크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
군관리 제어 메인기능 타스크(14)는 군관리 제어부의 중심이 되는 기능을 관장하고 각 단체에 분산된 군관리 제어 서브기능 타스크로부터 각 호기마다의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논리연산함으로써 최적호기를 결정하고 해당호기에 대해서 제어지령을 내보냄과 더불어 홀호출제어를 행한다.
군관리 제어 서브기능 타스크(15)는 군관리 제어부(5)의 각호기 단위의 정보의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관장하고, 군관리 제어 메인기능 타스크(14)의 제어하에 정보의 처리를 행한다. 즉, 각 단체 제어부(6-1∼6-N)는, 군관리 제어 메인기능을 갖는 컴퓨터에 의해서 고속전송계(10)를 거쳐서 군관리 제어 메인기능 타스크(14)와의 사이에 로지칼 링크를 연결하여 각 제어 프로세스간 교신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매스터인 메인기능국으로부터 각호기 스테이숀마다 자국/상대국 포트번호를 지정하고 각각의 자국 포트번호를 거쳐서의 송신요구 지령에 의해서 호기단위로 분산처리를 행하고 메인기능국에 대해서 처리완료 시점에 데이터를 반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송제어 타스크(16)는 상기 고속전송계(10)의 데이터의 주고받기 및 각 제어 프로세스간의 로지칼 링크의 관리를 행하고 상기 다중화된 복수의 논리적 통신로에 대해서 각 소켓마다 송신/수신 큐의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감시제어 응답기능 타스크(17)는 감시제어장치(9)와의 데이터교신을 관장하는 기능이고, 감시제어장치(9)내의 감시제어기능 타스크와의 사이에서 프로세스간 교신을 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로지칼 링크를 거쳐서 표시부로의 표시데이터 송신이나 또 감시제어장치(9)로부터의 키보드 입력에 의한 응답메시지 송신을 온라인으로 실시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제4도는 제2도의 고속전송계(10)의 시스템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고속전송계 내의 제어부들은 구성이 모두 동일하므로, 한 제어부의 블록도만 나타냈다. 전송제어는 예를들면 ISO(국제표준화기구)가 제창하는 LAN(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모델 계층의 데이타 링크 계층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데이터 링크 콘트롤러(19) 및 메디어 억세스 콘트롤러(20)가 고인테리젠트 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대응되어있고, 전송 패키트의 버퍼링 관리 등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8)가 관리하는 전송제어 소프트웨어의 비율을 경감하는 구성이 취해져 있다. 고인테리젠트 전송제어를 실현하는 콘트롤러로서 예를 들면 데이터 링크 콘트롤러(19)로는 인텔사의 182586을 또 메디어 억세스 콘트롤러(20)로는 동사의 18250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콘트롤러는 10M비트/초 정도의 고속전송기능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서포트 비율을 경감한 형태로 용이하게 실현시키는 것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8)와 데이터 링크 콘트롤러(19)와의 사이와 양 콘트롤러(19)와 콘트롤러(20)와의 사이는 각각 제어라인(22)을 거쳐서 연결되고, 또 마이크로 프로세서(MPU)(18), 양 콘트롤러들(19, 20)의 상호간은 시스템 버스(21)를 거쳐서 연결되고, 외부의 시어리얼 전송계(23)에 대해서는 메디어 억세스 콘트롤러(20)를 거쳐서 억세스 콘트롤이 행해진다.
제5도는 제2도 중의 고속전송계(10)의 논리 시스템 구성 모델에 있어서의 프로세스간 논리 통신로의 시스템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제6도는 제5도중의 포트간 전송의 논리적 연결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개통도이다.
제7도는 제5도, 제6도의 전송제어 시스템의 각 프로세스간 제어동작예를 나타낸 계통도이고, 제8도는 공통물리전송로상의 프레임형식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9도, 제10도는 각각 각 사용자관리 타스크의 프로세스간 교신에 있어서의 1차국기능, 2차국기능 동작의 구체적인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또 제11도는 전송제어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테이블의 일실예이고, 논리적 통신로의 포트번호별로 관리가 분리되어 있고, 포트번호별로 프로토콜관리 실시 가능한 테이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2도는 제2도에 나타낸 엘레베이터 시스템 구성도에 있어서의 각 제어장치간의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로지칼 링크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엘레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제어부(5, 6-1∼6-N, 9)를 정보전송의 각 스테이숀으로 하고 각 스테이숀간은 1계통의 고속전송계(10)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테이숀간은 각각의 스테이숀에 있어서의 제어 프로세스에 의해서 고속전송계(10)를 거쳐서의 정보전송을 행하여 필요한 정보의 주고 받기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5도의 시스템 구성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속전송계(10)에 상당하는 공통의 물리적 전송로(60)상에 N개의 논리적 전송로를 설정하고 각 스테이숀(#i, #j)에 있어서의 프로세스(PC1j∼PCNj, PC1j∼PCNj)는 각 논리적 전송로에 대해서 설정된 포트(PLi∼PNi, P1j-PNj)를 거쳐서 다른 프로세스와의 교신을 행한다. 여기에서 포트는 제1도중의 소켓(2)에 대응한다. 따라서, 각 스테이숀은 포트의 수, 즉 N개의 프로세스를 병렬처리할 수 있고, 각 프로세스의 송/수신큐의 동작이 각각 따로따로 독립해서 전송제어 타스크(16)에 의해서 제11도에 나타낸 전송제어 관리테이블에 의해서 관리된다.
각 프로세스로부터의 송신/수신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 제7도이고, 각 프로세스의 1차국기능인 로칼처리(LO1∼LON)에 의해서 각 포트를 거쳐서 송신요구된 송신큐(70T1∼70TN)는 각 포트번호(1∼N)마다에 전송제어 관리테이블(제11도)에 따라서 형성된다. 2차국 기능인 리모트 처리기능(RE1∼REN)에 있어서도 동양으로 수신, 요구된 수신큐(70R1∼70RN)는 각각 전송제어 관리테이블(제11도)에 따라서 제어되고 형성된다. 그리고 물리적 전송로(60)에 대한 송신출력 또는 물리적 전송로(60)로부터의 수신입력은 각각 출력큐(70E) 또는 입력큐의 전송패키트로서 일시적으로 버퍼링된다. 이 버퍼링(제4도의)은 전송제어 콘트롤러(19, 20)에 의해서 관리되고, 공통의 물리적 전송로(10 또는 60)로의 송신/수신의 제어는 MPU(18)를 끼워 넣지 않고 고속으로 행한다. 또 제7도의 입력큐, 수신큐(1∼N), 송신큐(1∼N), 수신입력처리, 수신응답처리, 송신출력처리, 송신접수처리는 제5도의 전송제어 인터패이스에 대응한다.
상기 입력/출력 큐잉 상태로부터 물리적 전송로로 송출되고 정보전달이 행해지는 패키트의 데이터 링크계층의 프레임구성을 나타낸 것이 제8도이고, 도면과 같이 데이터 링크계층은 메디어 억세스 제어 서브계층(M)와 로지칼 링크제어 서브계층(L)의 2개의 서브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DA, SA, TYP는 메디어 억세스제어 서브계층의 프로토콜 제어정보이고, 각각 착신선 스테이숀 어드레스정보, 발신선 스테이숀 어드레스정보, 상위층 프로토콜 식별타입 필드이다. 상기 메디어 억세스제어 서브계층 프로토콜 제어정보의 제어처리는 주로 각 스테이숀간의 패키트의 송신/수신제어이고, 로칼 에어리어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통상 데이터 링크 콘트롤러(19) 및 메디어 억세스 콘트롤러(20)에 의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스 (18)의 개재없이 실행된다.
DSAP, SSAP, C, LLC-SDU는 로지칼 링크제어 서브계층의 프로토콜 제어정보 및 프로토콜 서비스 데이터 유니트이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8)에 의해서 관리되어 있고, 주고 논리구조의 전송로 관리기능을 실행하고 복수로 다중화된 논리적 통신로의 생성 및 관리를 관장하고 각 프로세스간의 로지칼 링크제어를 실현시킨다.
각 요소중 DSAP는 착신선 소켓번호, SSAP는 송신원 소켓번호, C는 로지칼 링크제어 필드, LLC-SDU는 로지칼 링크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니트이고, 주로 착신선 소켓번호(DSAP)/송신원 소켓번호(SSAP), 로지칼 제어필드(C)에 의해서 복수의 논리적 통신로의 소켓지정별 입출력관리를 실행하고 로지칼 링크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니트(LLC-SDU)에 의해서 각 프로세스간의 교신의 상세한 코뮤니케이숀 기능의 실현을 달성한다.
여기서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프로세스간 교신의 동작의 일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i 스테이숀으로부터 #j 스테이숀으로의 전송을 상정해보자. 우선 처음에 송신요구를 하기 위한 프로세스인 1차국기능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송제어 타스크에 대해서 송신요구를 행하는 소켓의 지정을 한다. 이 지정은 자국 스테이숀에 있어서의 출력포트인 S포트 및 상대국 스테이숀에 대한 입력포트인 D포트를 지정함으로써 행한다(단계 9a). 제9도의 동작은 제6도에 있어서의 #i 스테이숀(24a)의 1차국 처리에 대응하고 있고, 여기에서는 자국스테이숀 포트번호는 송신포트(25a)에 대해서 설정한 번호에 대응하고 상대국 스테이숀 포트번호는 수신포트(26a)에 대해서 설정한 번호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자국 포트번호(S)인 출력포트, 상대국 포트번호(D)인 출력포트를 지정한후에 자국 송신포트(25a)에 대해서의 전송제어 타스크에 송신요구를 행한다(단계 9b). 송신요구를 행하면 전송제어 타스크에 있어서는 제11도에 있어서의 테이블상의 해당하는 자국 포트번호의 전송제어 관리테이블의 관리하에 놓이고, 제7도상에 있어서의 해당하는 자국 포트번호의 전송제어 관리테이블의 관리하에 놓이고, 제7도상에 있어서의 해당하는 자국 포트번호의 송신 큐(70T1∼70TN)가 큐잉된다. 그리고, 송신큐로부터 송신접수처리(70A), 송신출력처리(70B)를 거쳐서 송신 패키트를 형성하고, 출력큐에 대해서 큐잉하고, 전송제어 콘트롤러(8)의 관리하에 놓인다. 이로 인해서 1차국 처리 프로세스는 전송제어 타스크(16)으로부터의 완료 스테이터스 상태로 되고(단계 9c), 이 프로세스는 일시 중단되고, OS(12)의 스케쥴러에 제어가 반송되어 다른 송신요구를 행하고져 하는 별개의 프로세스가 있으면 MPU(18)의 점유권이 옮겨진다.
전송제어 콘트롤러(8)에 의해서 공통의 물리적 전송로(10 또는 60)상에 송신 패키트로서 전송되지만 이 패키트에는 자국포트번호(S) 포트상대국 포트번호(D)포트가 각각 제8도의 프레임에 있어서 SSAP, DSAP로 반영되어 있으므로 수신측에서는 이것을 조사함으로써 물리층 레벨의 전달이 실행된다. 전송제어 타스크(16)에 의해서 완료 스테이터스가 세트되면 재차 본 프로세스는 재기동을 받아 스테이터스 첵크(단계 9d)후에 상대국 스테이숀으로부터의 반송데이터 수신 대기상태에 들어간다(단계 9e). 송신 패키트가 공통인 물리적 전송로강에 출력되면 상대국 스테이숀에 있어서 수신동작이 행해진다(단계 9f).
제10도는 제9도의 1차국 처리에 대응하는 2차국 처리를 나타낸 것이고, 제6도에 있어서의 #j 스테이숀(24b)의 2차국 처리에 대응한다. 상대국 스테이숀번호 지정치 D포트에 대응하는 수신포토인 수신포트(24b)로 논리적 전송로의 연결이 행해진다. 송신 패키트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의 물리적 전송로(60)을 거쳐서 수신되고 입력큐에 큐잉된다(단계 10a). 그리고, 전송제어 타스크(16)에 의한 수신입력처리(70C)를 거쳐서 자국/상대국 포트번호가 읽어져 해당하는 포트번호인 D포트의 값의 수신큐(70R1∼RN)에 큐잉되고, 2차국 처리와 연결된다(단계10b). 2차국 처리에 있어서는 로지칼 링크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니트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프로세스간 교신의 메시지 데이터의 해독을 행하고, 각 프로세스간 로지칼 링크를 거쳐서 응용처리(수신응받처리(70D))가 행해진후에(단계 10c), 데이터 입력시의 상대국 포트번호인 D포트를 자국 포트번호로 하여 자국 포트번호를 상대국 포트번호로 지정하고(단계 10d), 전송제어 타스크에 대해서 반송송신요구를 행한다(단계 10e). 이 송신의 흐름은 제6도중의 수신포트(26b)로부터 송신포트(25a)로의 반송송신에 대응하고 2차국에서 받은 포트번호로 1차국으로부터 보낸 포트번호에 대해서 반송송신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반송송신의 완료 스테이터스가 전송제어 타스크로부터 되돌아온 곳에서 프로세스가 재기동되어서 스테이터스 첵크를 행하고(단계 10f, 10g) 2차국 처리가 완결된다.
이것에 대해서 1차국 처리에 있어서는 2차국 처리로 2차국 스테이숀(24b)의 출력큐로부터 반송송신 패키트가 출력되어서 그것이 1차국 스테이숀(24b)에서 수신되어 입력큐에 큐잉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2차국 스테이숀에서의 반송송신시에 상대국 포트번호는 1차국 스테이숀(24a)의 송신포트(25a)를 지정하여 반송송신을 행하고 있으므로 송신포트(25a)에 대응하는 포트로 입력되고, 1차국 프로세스가 대기상태에 있는 자국포트와 일치하므로 자국포트(25a)에 대해서 상대국 스테이숀으로부터의 반송데이터 수신대기상태에 있는 1차국 처리 프로세스의 재기동이 행해져서 수신데이터의 입력 및 수신데이터 처리를 행하고 1차국 동작은 완결된다.
이상과 같이 각 제어부간은 논리적 전송로를 형성하는 소켓을 송신시에 자국/상대국 포트번호를 지정함으로써 각 제어부간의 1차국 처리와 2차국 처리가 관계되어서 논리적 전송로의 연결이 행해지고 해당 소켓에 의한 로지칼 링크가 연결되고, 프로세스간 교신제어가 실현된다. 상기 소켓을 복수설정하고 또한 각 프로세스마다 고유소켓을 지정함으로써 각 제어장치간의 프로세스에 고유의 복수의 데이터 링크를 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각각의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와 무관계하게 프로세스간 교신을 온라인으로 실행하고 복수병렬의 실행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N개의 포트간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N개의 프로세스의 실행이 외견상 동시에 진행되고, 프로세스간 교신을 N조 병렬로 실행할 수 있게 되고, 일반적으로 고속인 공통의 물리적 전송로의 효율 및 전송제어 콘트롤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군관리 제어부와 각 단체 제어부간의 군관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분산제어 기능처리 또 CRT를 갖고 인테리젠트 단말기능을 갖는 감시제어부로부터의 온라인의 실행처리등의 고인테리젠트한 전송제어를 미리 각 프로세스 제어기능마다 각 스테이숀간을 논리적 전송로를 거쳐서 로지칼 링크를 각 프로세스간에서 설정함으로써 OS의 관리하에 각 프로세스의 병렬동작을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12도는 엘레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로지칼 링크에 의한 프로세스간 교신기능의 일실시예이며, 스테이숀(27)은 1차국기능 즉 매스터 메인기능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모드의 기능을 갖고 군관리 제어부(5)나 감시제어부(9)등이 본 스테이숀기능에 상당한다. 스테이숀(28A, 28B,…, 28N)은 2차국기능 즉 서브기능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모드기능이고, 상기 메인기능 스테이숀(27)의 지령하에 응답제어를 관장한다.
스테이숀(27)에 있어서는 관리해야 할 서브기능 프로세스에 대해서 스테이숀마다 메인기능 프로세스를 실행관리하고 각각의 서브기능 스테이숀마다 각각 독립된 소켓을 결정하고 포트(PORT1-PORTN)를 거쳐서 프로세스간에 고정로지칼 링크를 접속하고 프로세스간 교신을 실행한다. 그리고 각 서브기능 스테이숀과의 프로세스간 교신내용을 모두 관리함으로써 제어기능에 대한 제어동작의 실행을 결정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엘레베이터 시스템내의 각 제어장치내의 각 제어기능부 상호간을 로칼 에어리어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상기 네트워크내에 복수의 로지칼 링크를 설정하고 각 제어프로세스 단위마다 독립의 로지칼 링크를 갖게하여 송신/수신 큐잉관리를 복수로 하고 피키트에 의하여 고속으로 각 제어프로세스간 상호의 교신을 실시하게 한 것이다. 그러므로 단일의 송신/수신 큐잉관리와 같은 교신중의 빈시간을 사용할 수 없다는 낭비가 없어지고 따라서 로칼 에어리어 네트워크 물리적 통신로의 전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1계통의 네트워크일지라도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각 제어기능의 분산처리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각 제어프로세스의 병렬동작을 실행할 수 있어서 각 제어계산기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서 엘레베이터 시스템 전체의 퍼포먼스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프로세스 단위로 독립된 로지칼 링크에 의해서 각 프로세스간 교신을 실현시킴으로써 다른 프로세스간의 교신기간의 영향을 받지않고 큰 비율로 생기는 전송로의 불사용기간을 사용해서 교신이 가능해지므로 각 프로세스마다의 제어기능 관리가 실현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기능의 추가변경이 용이해지고 CRT를 갖는 감시제어장치등의 부가된 시스템에 대해서도 온라인 동작이 리얼타임으로 실행가능해지고 고인테리젠트한 엘레베이터 시스템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타스크간 교신에 의한 우선 제어등의 고인테리젠트한 교신이 가능해지고 또한 복수의 타스크간에서 각각 능률적인 데이터 교신을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군관리 제어기능의 분산화도 가능해져서 엘레베이터의 제어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특징을 갖는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전송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로서, 상기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승강실의 현 동작모드 및 홀호출의 정보에 준하여 상기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승강실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지령(제8도)을 발생하는 군관리 제어수단(5)과, 상기 군관리 제어수단(5)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지령(제8도)에 준하여 상기 승강실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레베이터 단체 제어수단(6-N)과, 상기 엘레베이터 단체 제어수단(6-N)을 상기 군관리 제어수단(5)과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지령(제8도)을 상기 엘레베이터 단체수단(6-N)과 상기 군관리 제어수단(5)과의 사이에서 직렬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수단(10, 60)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군관리 제어수단(5)은 상기 제어지령(제8도)에 의해서 지정되는 복수의 소정 프로세스(PCNij:RE1∼REN:LO1∼LON)를 갖으며, 또한 상기 군관리 제어수단(5)은: 소정의 제1송신큐(70T1∼70TN)에 준하여 복수의 상기 소정 프로세스(LO1∼LON)를 하나씩 선택하고, 이 선택된 소정 프로세스를 상기 제어지령(제8도)으로서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10, 60)으로 직렬로 출력하는 제1전송수단(18∼23:70A, 70B, 70E)과,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10, 60)을 거쳐서 직렬 전송된 상기 제어지령(제8도)을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제어지령(제8도)을 소정의 제1수신큐(70R1∼70RN)에 준하여 상기 복수의 상기 소정 프로세스(RE1∼REN)로서 하나씩 선택하는 제1수신수단(18∼23:70C, 70D, 70F)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레베이터 단체 제어수단(6-N)은 상기 복수의 소정 프로세스(PCNij;RE1∼REN:LO1∼LON)를 갖으며, 또한 상기 엘레베이터 단체 제어수단(6-N)은 :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10, 60)을 거쳐서 직렬 전송된 상기 제어지령(제8도)을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제어지령(제8도)을 소정의 제2수신큐(70R1∼70RN)에 준하여 상기 복수의 상기 소정 프로세스로서 하나씩 선택하는 제2수신수단(18∼23:70C, 70D, 70F)과, 상기 제1전송수단(18∼23:70A, 70B, 70E) 및 상기 수신수단(18∼23:70C, 70D, 70F)에 결합되고, 상기 전송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소정 프로세스(LO1∼LON)가 상기 제2수신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소정 프로세스(RE1∼REN)와 각각 논리적으로 대응하도록 상기 소정의 제1송신큐(70T1∼70TN) 및 상기 소정의 제2수신큐(70R1∼70RN)를 발생하는 큐잉 제어수단(18∼23)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레베이터 단체 제어수단(6-N)은 상기 복수의 소정 프로세스(PCNij:RE1∼REN:LO1∼LON)를 갖으며, 또한 상기 엘레베이터 단체 제어수단(6-n)은: 소정의 제2송신큐(70T1∼70TN)에 준하여 복수의 상기 소정 프로세스(LO1∼LON)를 하나씩 선택하고, 이 선택된 소정 프로세스를 상기 제어지령(제8도)으로서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10, 60)으로 직렬로 출력하는 제2전송수단(18∼23:70A, 70B, 70E)과 상기 제2전송수단(18∼23:70A, 70B, 70E) 및 상기 제1수신수단(18∼23:70C, 70D, 70F)에 결합되고, 상기 제2전송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소정 프로세스(LO1∼LON)가 상기 제1수신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소정 프로세스(RE1∼REN)와 각각 논리적으로 대응하도록 상기 소정의 제2송신큐(70T1∼70TN) 및 상기 소정의 제1수신큐(70R1∼70RN)를 발생하는 큐잉 제어수단(18∼23)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레베이터 시스템은 상시 데이터 전송수단(10, 60)을 거쳐서 상기 엘레베이터 단체 제어수단(6-N) 및 상기 군관리 제어수단(5)과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수단(9)을 더 포함한 것이 특징인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9)은 상기 복수의 소정 프로세스(PCNij;RE1∼REN:LO1∼LON)를 갖으며, 또한 상기 감시수단(9)은 :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10, 60)을 거쳐서 직렬 전송된 상기 제어지령(제8도)을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제어지령(제8도)을 소정의 제2수신큐(70R1∼70RN)에 준하여 상기 복수의 상기 소정 프로세스(RE1∼REN)로서 하나씩 선택하는 제2수신수단(18∼23:70C, 70D, 70F)과, 상기 제1전송수단(18∼23:70A, 70B, 70E) 및 상기 제2수신수단(18∼23:70C, 70D, 70F)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전송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소정 프로세스(LO1∼LON)가 상기 제2수신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소정 프로세스(RE1∼REN)와 각각 논리적으로 대응하도록 상기 소정의 제1송신큐(70T1∼70TN) 및 상기 소정의 제2수신큐(70R1∼70RN)를 발생하는 큐잉 제어수단(18∼23)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9)은 상기 복수의 소정 프로세스(PCNij;RE1∼REN:LO1∼LON)를 갖으며, 또한 상기 감시수단(9)은 : 소정의 제2송신큐(70T1∼70TN)에 준하여 복수의 상기 소정 프로세스(LO1∼LON)를 하나씩 선택하고, 이 선택된 소정 프로세스를 상기 제어지령(제8도)으로서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10, 60)에 직렬로 출력하는 제2전송수단(18∼23:70A, 70B, 70E)과, 상기 제2전송수단(18∼23:70A, 70B, 70E) 및 상기 제1수신수단(18∼23:70C, 70D, 70F)에 결합되고, 상기 제2전송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소정 프로세스(LO1∼LON)가 상기 제1수신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소정 프로세스(RE1∼REN)와 각각 논리적으로 대응하도록 상기 소정의 제2송신큐(70T1∼70TN) 및 상기 소정의 제1수신큐(70R1∼70RN)를 발생하는 큐잉 제어수단(18∼23)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지령(제8도)은 송신원의 어드레스정보와 송신선의 어드레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키트이고, 이 데이터 패키트가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10, 60)을 직렬 전송하는 것이 특징인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지령(제8도)은 송신원의 어드레스정보와 송신선의 어드레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키트이고, 이 데이터 패키트가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10, 60)을 직렬 전송하는 것이 특징인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지령(제8도)은 송신원의 어드레스정보와 송신선의 어드레스정보를 포함하는 패키트이고, 이 데이터 패키트가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10, 60)을 직렬 전송하는 것이 특징인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지령(제8도)은 송신원의 어드레스정보와 송신선의 어드레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키트이고, 이 데이터 패키트가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10, 60)을 직렬 전송하는 것이 특징인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KR1019870010620A 1986-09-30 1987-09-25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KR910005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31767 1986-09-30
JP231767 1986-09-30
JP61231767A JPH0755770B2 (ja) 1986-09-30 1986-09-30 エレベ−タシステムの情報伝送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73A KR890004973A (ko) 1989-05-11
KR910005134B1 true KR910005134B1 (ko) 1991-07-23

Family

ID=1692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620A KR910005134B1 (ko) 1986-09-30 1987-09-25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60207A (ko)
JP (1) JPH0755770B2 (ko)
KR (1) KR910005134B1 (ko)
GB (1) GB2195791B (ko)
HK (1) HK690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903A (en) * 1988-01-29 1994-05-03 Hitachi, Ltd.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elevators and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ting requests to the control system
JPH0712891B2 (ja) * 1988-02-17 1995-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H01226678A (ja) * 1988-03-04 1989-09-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563963B2 (ja) * 1988-03-31 1996-12-1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664782B2 (ja) * 1989-10-09 1997-10-2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3154105A (ja) * 1989-11-10 1991-07-02 Toshiba Mach Co Ltd Ncプログラム作成装置
JP2573715B2 (ja) * 1990-03-28 1997-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47938A (ja) * 1990-04-25 1992-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排他制御型通信機能付き電子機器およびその機器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KR940009984B1 (ko) * 1990-05-29 1994-10-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960004938B1 (ko) * 1992-11-21 1996-04-18 엘지산전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운전 진단 시스템
JP3454899B2 (ja) * 1993-04-07 2003-10-0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負荷重量側路しきい値の自動選択装置及び方法
KR0138316B1 (ko) * 1994-08-13 1998-05-15 윤종용 디스크 이송장치 및 제어방법
KR100186364B1 (ko) * 1996-10-17 1999-04-15 이종수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
CA2412347C (en) * 1997-03-12 2008-08-05 Verticore Communications Ltd.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100214688B1 (ko) * 1997-04-24 1999-08-02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층 정보 표시장치
SG97809A1 (en) * 1998-09-17 2003-08-20 Inventio Ag Remote control of lift installations
JP4509265B2 (ja) * 1999-10-21 2010-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及び群管理方法
SG116410A1 (en) * 1999-11-11 2005-11-28 Inventio Ag Method of configuring elevator controls.
US6672429B1 (en) * 2000-03-10 2004-01-06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Encoding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elevator I/O devices
CN1217844C (zh) * 2000-04-12 2005-09-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通信控制装置
JP4803865B2 (ja) * 2000-05-29 2011-10-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群管理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2003108A (ja) * 2000-06-20 2002-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US7552801B2 (en) * 2004-09-27 2009-06-30 Electronics Micro Systems, Inc. Elevator systems having display systems with pluralities of sequentially connected monitor units
EP1980520A1 (de) * 2007-04-10 2008-10-15 Inventio Ag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Vielzahl von Bedieneinheiten einer Aufzugsanlage mit einer Vielzahl von Stockwerken
US8151943B2 (en) 2007-08-21 2012-04-10 De Groot Pieter J Method of controlling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s with selected operation modes
US20170001839A1 (en) * 2015-06-30 2017-01-05 Shanghai Yangtze 3-map Elevator Co.,LTD. High-speed and full-drive elevator
WO2019171424A1 (ja) * 2018-03-05 2019-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安全制御装置
US11524864B2 (en) 2018-07-25 2022-12-13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understanding and planning elevator us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8892A (en) * 1973-03-12 1974-08-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4037688A (en) * 1974-09-04 1977-07-2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GB1593301A (en) * 1978-02-10 1981-07-15 Express Lift Co Ltd Control systems for lift installations
JPH0613390B2 (ja) * 1981-10-07 1994-02-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US4497391A (en) * 1983-10-27 1985-02-05 Otis Elevator Company Modular operational elevator control system
US4698780A (en) * 1985-10-08 1987-10-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95791A (en) 1988-04-13
GB8722767D0 (en) 1987-11-04
US4860207A (en) 1989-08-22
JPH0755770B2 (ja) 1995-06-14
GB2195791B (en) 1991-02-13
HK69092A (en) 1992-09-18
KR890004973A (ko) 1989-05-11
JPS6387435A (ja) 198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134B1 (ko)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장치
JP2563963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US6085238A (en) Virtual LAN system
EP031273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an application of a transparent services access facility to a remote source
JPH0764894A (ja) 複数プロトコル端末装置を接続する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US4982325A (en) Applications processor module for interfacing to a database system
CN109743370A (zh) 基于sd-wan的混合云连接方法及系统
EP0382715B1 (en) Switch path reservation arrangement
CN104009976B (zh) 一种用于多主站系统之间的实时通信方法及其设备
JPH05274234A (ja) ネットワークの特定リンクにコンピュータバスを接続させる汎用装置のための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
JPS5992654A (ja) 電子文書配送システム
CN109032754A (zh) 提高通信路径可靠性的方法和设备
JP2673045B2 (ja) ネットワークとの通信システム
JPS62116483A (ja) 群管理エレベ−タの信号伝送制御方法
US11522762B2 (en) Coord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application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time-critical data
JPH0774068B2 (ja) 群管理制御エレベ−タ装置
US5564107A (en) Microcell computer system and method using cell access switch and moving memory architecture
CN114465883A (zh) 一种基于sdn网络的自动业务资源分配系统及方法
JPS63218480A (ja) エレベ−タ群管理制御装置
JP2002302350A (ja) エレベーターの通信制御装置
JPH01252473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S62140987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S62140988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3191634A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265979B1 (ko) 호스트 컴퓨터와 브랜치 프로세서간의 통신 프로토콜변환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