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883Y1 - 자체 가열용기 - Google Patents

자체 가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883Y1
KR910003883Y1 KR2019870013066U KR870013066U KR910003883Y1 KR 910003883 Y1 KR910003883 Y1 KR 910003883Y1 KR 2019870013066 U KR2019870013066 U KR 2019870013066U KR 870013066 U KR870013066 U KR 870013066U KR 910003883 Y1 KR910003883 Y1 KR 910003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self
heating container
water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130U (ko
Inventor
마사후미 하마사끼
Original Assignee
후쿠비 카가꾸 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야기 구마키찌
조오리 가부시기가이샤
유겡가이샤 하마 코오포레이숀
곤노 에이끼
하마사끼마사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1882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798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8819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3173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4270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508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5244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508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30391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624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10680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21025U/ja
Application filed by 후쿠비 카가꾸 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야기 구마키찌, 조오리 가부시기가이샤, 유겡가이샤 하마 코오포레이숀, 곤노 에이끼, 하마사끼마사후미 filed Critical 후쿠비 카가꾸 코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1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체 가열용기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자체 가열용기의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자체 가열용기의 제 1 물통과 외피의 또 다른 배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3 도는 외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4 도와 제 5 도는 외피에 싸인 제 2 물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 6a 도와 제 6b 도는 노치를 가지는 제 1 물통의 정면도 및 횡단면도.
제 7 도는 그것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제 8a 도와 8b 도는 그것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와 횡단면도.
제 9 도에서 제 11 도는 그것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들.
제 12 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자체 가열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13 도와 제 14 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자체 가열용기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횡단면도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몸체 14 : 커버
16, 50 : 제 1 물통 24 : 물
26, 40 : 제 2 물통 30 : 발열반응제
36 : 내부용기 58 : 노치
본 고안은 외부에서 열에너지를 공급하지 않고도 수프 및 커피와 같이 용기에 담긴 액체 식료품이나 조리된 곡류, 채소 및 고기와 같은 고체 및 반고체 식료품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반응제를 사용한 자체 가열용기에 관한 것이다.
산화칼슘 같은 발열반응제와 물 사이의 수화반응열에 의해 내용물(주로 식료품)을 가열하기 위한 여러 가지 종류의 자체 가열용기기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 57-54382호가 있다. 본 공보에 기재된 자체 가열용기는 식료품과 발열반응제를 포함하고, 그 상부에 원할 때 제거될 수 있는 밀봉체로 덮여진 구멍을 가지므로 물이 구멍을 통해 발열반응제 위로 부어진다. 그러나 이 용기는 수화 반응으로 인해 구멍에서 뜨거운 증기를 분출시키는 위험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사용할 때 물이 함께 운반되어야만 하는 단점을 내포한다.
다른 형태의 자체 가열용기가 미합중국 특허 제 3,970,068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의 용기는 수화반응에서 사용되기 위한 물이 채워진 백을 갖고 있다. 사용시에, 백이 바늘부재로 파열되서 물이 밖으로 나와 발열반응제와 혼합한다. 그러나, 바늘부재로 뚫려진 구멍은 너무 작아 초기의 수화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을 통과 시키지 못하므로 물이 발열반응제 전체에 확산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발열반응제의 대부분이 반응하지 않은채로 남아 있어, 식료품이 원하는 온도까지 가열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특히, 산화칼슘이 발열반응제로 사용되는 경우에 단위시간당 산화칼슘에 공급되는 물의 량이 반응의 초기 단계에서 작으면, 구멍 근처에서 수화된 석회가 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대부분의 물을 흡수해서 구멍 근처의 비교적 적은량의 산화칼슘만이 수화 반응 한다. 따라서, 이 용기는 가열시에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는 고체나 반고체 식료품으로는 적당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발열반응제와 물 사이에서 충분히 수화반응을 할수 있고,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자체 가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열시에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고체 또는 반도체 식료품에 적당한 자체 가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낮은 원가에서 생산될 수 있는데다가 대량생산에 적당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자체 가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자체 가열용기는 상부 개방단부를 가지는 몸체, 몸체를 덮기위한 커버, 식료품을 담기위해 몸체 내부에 있는 내부용기로 구성된다. 몸체의 바닥과 내부용기 사이에는 길다란, 물 담는 제 1 물통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통은 몸체의 상단부들과 커버 사이에 고정된 밀봉단부들을 가지며 개방되고 몸체에서 제게되어 몸체안으로 물을 배출시킬수 있다. 적어도 제 1 물통에 대향하는 쪽이 침수성인 외피는 몸체의 바닥과 내부용기 시이에 배치되어 있다. 외피는 수화 반응으로 열을 발생하는 발열반응제와 열에 의하여 파열될 수 있는 제 2 물통을 둘러싸고 있다. 제 1 물통에서 방출된 물은 수화반응을 일으켜 열을 발생하며 제 2 물통이 열에 의해 파열되서 수화반응을 계속하도록 물을 방출한다.
제 1 물통에 담겨있는 모든 물은 제 1 물통을 개방시키고 몸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즉시 방출된다. 그러므로 수화반응이 전체 발열반응제에서 동시에 시작할수 있다. 제 2 물통 안의 물은 시간이 지연되어 반응제에 공급되는데, 이것은 발열반응제의 전량의 수화반응에 필요한 물의 량이 한번에 공급되는 경우에 수반되는 위험스러운 뜨거운 증기의 분출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제 1 물통에는 그것의 밀봉단부들 사이에서 하나이상의 노치가 제공되며 이 노치는 제 1 물통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뻗어 있으므로 제 1 물통이 노치에서 파열될수 있다. 노치 때문에 작은 힘으로 제 1 물통을 파열시킬 수 있으며 파열후에 제 1 물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에에 따라서, 자체 가열용기는 그밖에도 얇은 시이트 재료로 만들어진 바깥외피를 구비하며, 그 바깥외피는 외피와 내부용기를 둘러싼다.
이 바깥외피는 내부용기의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뜨거운 증기가 흐를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고, 그 바깥외피의 하부면은 다수의 구멍을 가지고 있다. 바깥외피는 수화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가 되게하고, 식료품의 열에너지의 전달효율을 최대가 되게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제 1 도에 대해서 언급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자체 가열용기는 개방 상단부를 가지는 박스형몸체(12)와 몸체를 덮기위한 커버(14)로 구성된다.
이 부분들은 종이, 플라스틱, 유리 또는 세라믹과 같은 열절연물질 또는 열절연물질의 시이트와 결합된 금속으로 만들어졌다. 몸체(12)속에는 길다란 밴드형상의 제 1 물통(16)이 배치되고 제 1 물통(16)의 중간부분(18)은 몸체(12)의 바닥에 놓여있다. 제 1 물통(16)은 양단부(20, 22)에서 밀봉되고, 소정량의 물로 채워져 있다. 제 1 물통(16)의 각 단부는 몸체(12)의 측벽을 따라서 개방 상단부까지 뻗어 있으며, 각각의 밀봉된 단부는 몸체(12)의 상단부와 커버(14)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물통(16)은 폴리에틸렌, 나이론 또는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수지의 얇은 단일필름 또는 적층필름이나 합성수지 필름과 알루미늄 포일을 결합시켜 형성한 적층재료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물통(16)과 몸체의 바닥 사이에 마찰저항이 클 때, 후술하는 것처럼 물통을 이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바닥위에 스페이서나 작은 볼들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량의 물로 채워진 제 2 물통(26)과 발열반응제(30)를 담고 있는 외피(32)가 제 1 물통(16)의 중간부분(18)위에 있다. 적어도 외피(32)의 하부면은 침수성일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피가 알루미늄 박이나 알루미늄 박과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된 적층재료로 만들어진 후에 다수의 구멍(34)이 적어도 외피(32)의 하부면을 관통해서 뚫려진다. 원한다면, 외피 자체는 종이, 헝겊, 또는 직물헝겊과 같은 고 침수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외피(32)안의 제 2 물통(26)은 물론인해 야기되는 수화반응의 열에 녹을수 있는 얇은 합성수지 필름이나 밀폐된 공기가 열에 의해 팽창 할 때 파열되도록 상술된 필름과 알루미늄 박을 결합시켜 형성되는 적층재료로 만들어진다.
발열반응제(30)는 경제성과 생성될 열량 모두의 견지에서 보면 압축 성형 또는 덩어리의 형태의 산화칼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료품을 담기 위한 개방 상단부를 갖는 내부용기(36)는 외피(32)위에 있다. 내부용기(36)는 예를들면 알루미늄, 금속-합성수지 적층물질과 열저항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금속박 같은 열저항 및 고열전도 물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용기(36)는 간단한 상자이나, 여러 종류들의 식료품을 담기위하여 간막이되거나 분할될 수 있다. 통조림 또는 포장된 식료품을 포함한 원하는 음식물이 내부용기(36)에 수납될 수도 있다. 통조림으로 만들어진 음식물의 경우에, 사용하기 전이나 사용시에 열전달 매체로서 약간의 물을 내부용기안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도는 상기 자체 가열용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 1 물통(16)과 외피(32)의 위치가 역전되어 있다. 즉, 제 1 물통(16)은 몸체(12)의 바닥위에 있는 외피(32)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물통(26)은 제 3 도에 도시된 것처럼 발열반응제로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외피(32)의 중심에 배치될수도 있다.
내부용기(36)에 담겨진 식료품을 가열시키기 위해서 제 1 물통(16)의 밀봉된 단부들(20,22)중 하나가 몸체(12)위에 있는 커버(14)로 찢어져 개방된후 제 1 물통(16)은 물통(16)의 다른 단부를 잡아당김으로써 몸체(12)에서 제거된다. 그러므로 물통(16)안의 전체 물(24)의 양은 몸체(12)안으로 즉시 방출되어, 구멍들(34)을 통해서 외피(32)로 들어가 수화반응을 시작한다. 제 1 물통(16)이 꺼내졌기 때문에 외피(32)로 들어가는 물을 차단하지 않을 것이다. 그후 수화로 열이 발생되면, 외피(32)안의 제 2 물통(26)이 열에 의해 파열되서 그안의 물은 제 1 물통(32)으로부터 물과 반응하지 않은 발열반응제(30)를 수화 반응시키기 위해서 방출되며, 발열반응제(30)를 수화반응시키기 위해서 방출되며, 발열반응제(30)의 전량이 수화될때까지 수화반응이 계속되어 발생된 열은 내부용기(36)을 통하여 음식물에 전달되어 음식물을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한다.
제 1 및 제 2 물통(16, 26)안에 담겨있는 물의 량은 전체 반응제(30)가 반응될수 있도록 결정되고, 생성될 에너지량은 물과 발열반응제의 량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수 있다. 다음은 제 1 물통에 추가로 제 2 물통을 설치하는 이유이다. 단일 물통, 즉 제 1 물통 하나의 경우에 있어서, 물의 량이 발열반응제와 충분히 반응하도록 주어진다면, 물통이 제거된후 용기로부터 많은 양의 뜨거운 증기가 분출하여 인체에 위험을 준다. 한편,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 물의 량을 줄이면, 발열반응제의 일부가 반응되지 않고 남아서, 소정량의 열에너지를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전체 발열반응제의 수화반응에 필요한 물의 일부는 제 2 물통에서 충당되고 물이 2단계로 방출되어 충분한 열에너지를 얻을수 있고 뜨거운 증기의 분출을 막을 수 있다.
제 4 도와 제 5 도에는 외피(32)에 싸여진 다른 형태의 제 2 물통이 도시되어 있다. 제 4 도에서 제 2 물통(40)의 내부공간은 두 개의 교차하는 분할선(42, 44)에 의해 네 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분할되었다. 분할선(42, 44)은 예를들면 제2물통(40)의 상, 하 시이트를 가열 접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5 도에 도시된 제 2 물통(46)은 동일한 체적의 완전히 분리된 네 개의 작은 주머니로 구성된다. 이 물통들(40, 46)의 장점은 물을 전체 발열반응제(30)에 골고루 확실하게 분포시킬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제 1 물통으로부터 물이 불균일한 수화반응을 일출켜서, 제 2 물통이 부분적으로 파열된다면, 물의 일부만이 파열된 부분들로부터 방출되고, 수화반응이 진행되면서 나머지 주머니들이 차례로 파열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물통을 파열시키기 위해서 밀봉단부는 손이나 칼과 같은 도구로 찢어지지만, 파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밀봉 단부들 사이에 노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도에서 제 11 도는 노치를 가지는 제 1 물통의 여러 실시예을 도시한다. 제 6 도에 도시된 물통(50)은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같은 합성수지의 사각형 시이트(52)를 그 길이방향 모서리가 서로 겹쳐지도록 접은후에 겹쳐진 길이방향 모서리를 (54)에서 가열 접착하여 만들어진다. 그 시이트(52)는 또한 시이트 단부근처(56)에서 길이방향의 접착선(56)중의 하나가 형성되기전에 채워진다. 물통(50)이 제 1 도에 도시한 것 같이 몸체(12)속에 놓였을 때 노치(58)은 몸체(12)의 측벽과 바닥 사이의 구석과 측벽의 수직한 중앙부 사이의 중간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58)의 길이는 길이방향 접착선(54)의 폭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고, 물통(50)폭의이 바람직하다.
제 7 도의 물통에 있어서, 접착선(62)은 노치(58)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접착선(54)에 연속되며, 노치(58)는 접착선(62)안에 형성되어 있다. 노치(58)는 꼭 길이방향 접착선(54)을 가로질러서 뻗을 필요는 없으며 시이트(52)가 접혀져 있을때 길이방향 접착선(54)이 물통의 가로 중심을 따라 뻗어있게끔 물통의 가로 단부에 형성될수도 있다. 제 1 물통(50)은 몸체(12)속에 배치되어 노치(58)은 몸체(12)의 폭을 따라, 즉 제 1 도의 종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는다. 노치(58)로부터 이격된 물통(50)의 단부는 몸체(12)의 상단부 또는 커버(14)의 근처에서 접착테이프, 접착제 등으로 살짝 고정되어 있다. 작동에 있어서, 노치에 근접한 물통(50)의 단부를 노치가 뻗어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하여 몰통(50)은 노치(58)을 따라 쉽게 파열되서, 수화반응을 시작하기위해 필요한 물을 배출한다. 그후 두 개로 불리된 물통의 양단부들을 잡아당김으로써 몸체(12)에서 신속히 제거될 수 있다.
노치(58)의 수는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 10 도의 물통(50)에 있어서, 두 개의 접착선(62)이 가로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노치들(58)이 그안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물통(50)은 물통의 한 단부를 작은 힘으로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노치를 따라 파열될 수 있다. 한편, 제 1 도에 도시된 물통(50)은 길이 방향 단부들 근처에 두 개의 노치를 가지고 있어서, 물통은 그 한쪽 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쉽게 파열될 수 있다. 두 모서리들(64)은 이동방향을 가리키도록 사선으로 절단되어 있다.
제 12 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자체 가열용기(70)의 또 다른 실시예을 도시하며,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나 유사한 성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외피(32)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용기(36)뿐만 아니라 제 2 물통(26)과 발열반응제(30)를 둘러싸고 있는 침수성의 외피(32)는 얇은 시이트 재료로 만들어진 바깥외피(7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바깥외피(72)는 알루미늄 필름, 합성수지 필름 또는 이 필름들을 결합하므로써 형성된 성층 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하부면에는 하부면을 관통하는 다공들(74)이 뚫려있다. 바깥외피(72)의 상단부는 내부용기(36)의 상단부를 싸도록 접혀있다. 제 1 물통(16)이 파열되었을 때 유출된 물은 먼저 구멍들(74)을 통해 바깥외피(72)로 들어가서 하부면을 거쳐 외피(32)로 들어가서 발열반응제(30)의 수화반응을 일으킨다. 제 1 실시예에서 처럼 수화반응이 진행될 때 제 2 물통(26)은 파열되서 나머지 반응하지 않은 발열반응제(30)를 수화시킬 추가의 물을 방출한다. 따라서 발생된 대부분의 열에너지는 내부용기(36)의 벽을 거쳐 식료품에 전달되고, 동시에 발생될 에너지의 일부는 뜨거운 증기형태로 바깥외피(72)와 내부용기(36)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를 거쳐 내부용기(36)로 들어가서 식료품을 가열시킨다. 따라서 열에너지는 거의 외부로 빠져나가기 힘들기 때문에, 식료품을 효과적으로 가열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깥외피(72)는 발열반응제(30)를 외부 수증기와 격리시켜 질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열에너지의 이용효율은 내부용기(36)의 벽이 바깥외피로 완전히 덮여지면 더욱 향상될 것이다. 제 13 도는 바깥외피(80)가 내부용기(36)의 내벽을 따라 아래쪽으로 뻗도록 내부용기(36)의 상단부에서 접혀지고, 바닥을 덮도록 바닥 모퉁이에서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구조를 도시한다. 바깥외피(80)는 내부용기(36)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그 사이에 뜨거운 증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내부용기(36)의 바닥위에 있는 바깥외피(80)의 일부는 식료품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다공들(82)을 가지고 있다. 다른 구조들은 제 12 도의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하다.
제 14 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자체 가열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용기(80)는 제 12 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커버(14)는 몸체(12)의 내벽과 협동하여 제 1 물통(16)의 단부를 고정하는 오목부(92)를 갖고 있다. 스페이서 부재(94)는 제 1 물통(16)과 몸체(12) 사이에 배치되어서 제 1 물통(16)이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외피(96)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필름, 또는 금속과 합성수지 필름들을 결합시켜 형성된 적층필름으로 만들어지고, 그것의 하부면은 다공(98)을 가지고 있다. 외피(96)와 내부용기(36)를 둘러싸고 있는 바깥외피(100)는 외피(96)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또한 제 1 물통(16)과 외피(96) 사이에 있는 바깥외피 부분도 다공(102)을 가지고 있다. 다공(98, 102)들은 서로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작동시에 제 1 물통(16)은 상술된 방식으로 파열된다.
그러므로 방출된 물은 제일먼저 다공(102)을 통해서 바깥외피(100)로 들어가서 다공(98)을 거쳐 외피(96)로 들어간다. 이 과정중에, 다공들(98)이 다공들(102)과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바깥외피(100)에서 외피(96)로 물이 흘러가는데 약간의 시간이 걸리며, 그 시간동안 물은 몸체(12)의 바닥전체로 확산한다. 그러므로 발열반응제(30)의 국부적인 수화반응이 방지될 수 있고, 수화반응은 외피(96)전체에서 동시에 시작할 수 있다. 게다가, 산화칼슘이 발열반응제로 사용되어 수화반응 후에 분말물질로 변하는 경우에, 서로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지 않은 다공들(93, 102)이 분말물질의 누출을 최소화 할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장점들을 증명하기 위해서, 몇몇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하술될 것이다.
[실시예 1]
제 1 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의 자체 가열용기(10)가 50cc의 물로 채워진 제 1 물통을 갖추었다. 발열반응제로서 120g의 산화칼슘과 30cc의 물로 채워진 제 2 물통(16)위에 있는 외피(32)로 둘러싸여있다. 내부용기(36)안에 5℃의 수우프 250cc가 담겨있다. 제 1 물통(16)의 밀봉단부들중 하나가 몸체(12)위에 커버(14)에 의하여 찢어지고, 제 1 물통(16)의 다른 단부가 물통을 제거하기 위해 몸체(12)로부터 잡아당겨졌다. 3분후에 수우프가 먹기에 적당한 온도인 80.2℃로 가열되었다. 83.2℃, 84.8℃, 및 85.0℃로 가열하기 위해서는 물통의 제거후에 각각 5분, 7분, 10분이 걸렸다.
[실시예 2]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자체 가열용기가 준비되었고 그 내부용기는 식료품으로서 두 개의 생선통조림을 담고 있다. 제 1 물통(16)의 파열 및 제거후 7분이 지난 다음 그 깡통을 따서 온도를 측정하였더니 그 내용물은 69.6℃ 와 70.2℃로 각각 가열되었다. 이 온도는 먹기에 너무 낮은 온도가 전혀 아니다.
[실시예 3]
30cc의 물을 담고있는 제 5 도에서 도시한 4개의 주머니로 된 제 2 물통(46)이 제 3 도에서 도시한 외피(32)의 중앙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자체 가열용기가 준비되었다. 내부용기(36) 안에는 조리된 밥과, 쇠고기 스튜우와 감자와 같은 야채가 상온으로 놓여있었다. 제 1 물통(16)의 파열 및 제거후 7분이 지난다음 그 스튜우는 78.8℃로 가열되었으며 밥은 76.6℃로 가열되었다.
본 고안은 그것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해서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들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Claims (18)

  1. 상부 개방단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패쇄하는 커버와, 음식물을 담기 위하여 상기 몸체속에 배치된 내부 용기와, 상기 몸체와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물로 채워진 길다란 제 1 물통과 상기 몸체의 상기 바닥과 상기 내부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물통쪽으로 향하는 측면은 침수성을 갖는 외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물통은 상기 몸체의 상단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고정된 밀봉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물통은 개방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몸체속에 물을 방출할수 있으며, 상기 외피는 수화반응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반응제와 물로 채워진 제 2 물통을 둘러싸며, 상기 제 2 물통은 열에 의하여 파열될 수 있으므로 제 1 물통으로부터 방출된 물에 의하여 일어나는 수화반응이 열을 발생시켜 제 2 물통을 파열시켜 수화반응이 계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통은 상기 몸체의 상기 바닥과 상기 외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몸체의 상기 바닥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물통이 상기 외피와 상기 내부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통 내부의 공간은 격벽에 의해서 서로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여러구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통은 서로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다수개의 주머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통은 그것의 상기 밀봉된 단부들중 하나를 찢음으조써 개방되고, 상기 몸체에서 다른 단부를 잡아 당김으로써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통은 그것의 상기 밀봉된 단부들 사이에 상기 제 1 물통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하나이상의 노치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제 1 물통이 상기 노치에서 찢어져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가 상기 몸체의 폭을 따라 뻗어있는 형태로 상기 제 1 물통이 상기 몸체속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노치가 뻗어있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밀봉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물통이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 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통은 사각형의 합성수지 시이트를 접고 그것의 길이 방향 단부들을 가열 접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밀봉 모서리들을 지나서 가로질러 뻗어 있으며, 상기 밀봉 모서리들을 지나있는 상기 노치의 부분은 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 접착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밀봉 모서리들에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 접척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통의 단부면들은 상기 밀봉단부의 이동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얇은 시이트 물질로 만들어져 상기 외피와 상기 내부용기를 둘러싸고 있는 바깥외피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바깥외피는 상기 내부용기의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뜨거운 증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바깥 외피의 하부 표면은 다공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외피는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면 위에있는 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외피는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면을 덮고, 상기 내부용기 속으로 뜨거운 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다공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불침수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바깥외피의 다공들과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지 않은 다공들이 상기 외피의 하부면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용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는 열절연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반응제는 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가열장치.
KR2019870013066U 1986-08-04 1987-08-04 자체 가열용기 KR91000388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U61-118819 1986-08-04
JP1986118820U JPH0327981Y2 (ko) 1986-08-04 1986-08-04
JP11881986U JPH0331737Y2 (ko) 1986-08-04 1986-08-04
JP1986142709U JPH0425082Y2 (ko) 1986-09-19 1986-09-19
JP1986152443U JPH0425083Y2 (ko) 1986-10-06 1986-10-06
JP61303917A JPS63162479A (ja) 1986-12-22 1986-12-22 加熱容器における水袋の破断注水方法
JP1987010680U JPS63121025U (ko) 1987-01-29 1987-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130U KR880004130U (ko) 1988-05-06
KR910003883Y1 true KR910003883Y1 (ko) 1991-06-07

Family

ID=2754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066U KR910003883Y1 (ko) 1986-08-04 1987-08-04 자체 가열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62113A (ko)
KR (1) KR910003883Y1 (ko)
DE (1) DE3725852C2 (ko)
FR (1) FR2602134B1 (ko)
GB (1) GB21954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5135A (en) * 1987-08-10 1990-01-23 Fukub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Self-heating container
US5295475A (en) * 1987-09-17 1994-03-22 Japan Warmer Inc. Heating device
US4867131A (en) * 1989-03-01 1989-09-19 Merwe Jacobus C V D Combined heating dish and storage container for food
WO1991010102A1 (en) * 1989-12-22 1991-07-11 Iit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warming food
US4987280A (en) * 1990-02-20 1991-01-22 Recot, Inc. Method for microwave heating of low moisture food products
US5205277A (en) * 1992-04-22 1993-04-27 Chao Tsung Chen Food heating technique for producing high temperature
US5355869A (en) * 1994-02-15 1994-10-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elf-heating group meal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US5465707A (en) * 1994-06-15 1995-11-14 Fulcher; Fred Self heating individual meal package
US5885636A (en) * 1995-09-28 1999-03-23 Carville; James G. Temperature-maintaining system for foods
ES2146494B1 (es) * 1995-11-08 2001-02-16 Munoz Mur Cristina Envase para alimentos precocinados provisto de medios para calentar el producto alimenticio envasado.
US6178753B1 (en) 1999-04-19 2001-01-30 Ontro, Inc. Container with self-heating module having liquid reactant and breakable reactant barrier at distal end of module
DE19938612A1 (de) * 1999-08-14 2001-03-01 Wolf Kunststoffe Gmbh Behälter, insbesondere zur Aufbewahrung von Lebensmitteln, Speisen oder Getränken
US6266879B1 (en) 1999-08-26 2001-07-31 Ontro, Inc. Container with integral modul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2001171755A (ja) * 1999-12-14 2001-06-26 Hosokawa Yoko Co Ltd 包装容器
WO2001087737A1 (en) 2000-05-18 2001-11-22 John Jay Johns Microwavable steamer bags
US6234165B1 (en) 2000-08-28 2001-05-22 Kevin A. Creighton Baby bottle warmer
US7008656B2 (en) 2001-02-23 2006-03-07 The Heatermeals Company Self-heating meal package and tray
US6601577B2 (en) 2001-04-06 2003-08-05 Moshe Bouskila Container assembly for warming beverages and method of forming and using it
US6962149B2 (en) * 2001-05-02 2005-11-08 Expressasia.Com Snd. Bhd. Insertable thermotic module for self-heating can
US7004161B2 (en) 2001-05-02 2006-02-28 Expressasia Berhad Insertable thermotic module for self-heating cans
US6601576B1 (en) 2002-03-15 2003-08-05 Kenneth E. Baysinger, Jr. Bottle warming apparatus
US6639185B1 (en) * 2002-05-01 2003-10-28 Prince Lionheart, Inc. Baby wipes warmer for maintaining moisture and coloration of baby wipes contained therein
US20040112367A1 (en) * 2002-12-11 2004-06-17 Mauro Zaninelli Heating or chilling sack container
US7025055B2 (en) * 2004-03-15 2006-04-11 Ontech Delaware Inc. Tray for selectably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US7117684B2 (en) * 2004-03-15 2006-10-10 Ontech Delaware Inc. Container with integral modul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US20060162344A1 (en) * 2004-03-15 2006-07-27 Ontech Delaware Inc. Container with modul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US6903307B1 (en) * 2004-10-04 2005-06-07 Prince Lionheart, Inc. Hygienic wipes steamer
US20060289565A1 (en) * 2005-06-24 2006-12-28 Stephen Manzo Product dispensing package with single use thermal engine
WO2007002473A2 (en) * 2005-06-24 2007-01-04 Flexpaq Corporation Product dispensing package with single use thermal engine
US7270233B2 (en) * 2005-07-21 2007-09-18 Kindt John H Package for separate compounds to be mixed
JPWO2007023611A1 (ja) * 2005-08-22 2009-02-26 マイコール株式会社 発熱体及び物品加熱装置
WO2007059151A2 (en) * 2005-11-14 2007-05-24 Heat Wave Technologies Llc Improved self-heating container
US20070163569A1 (en) * 2006-01-19 2007-07-19 Mark Stracha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selectably changing the temperature of a product by employing a snap action invertible actuator
US7709035B2 (en) * 2007-03-23 2010-05-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elf-heating, self-hydrating pouch to simultaneously hydrate and heat completely or partially dehydrated food or beverage products in said pouch
US20100078010A1 (en) * 2007-05-03 2010-04-01 Kolb Kenneth W Insertable Thermotic Module for Self-Heating Can
US8556108B2 (en) * 2007-09-26 2013-10-15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US20090078711A1 (en) * 2007-09-26 2009-03-26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apparatuses using solid chemical reactants
US20090090349A1 (en) * 2007-10-05 2009-04-09 Donovan James A Pan in pan heater
DE102008015677A1 (de) 2008-03-25 2009-10-01 Zeo-Tech Gmbh Selbsterwärmendes Heizelement mit Sorptionsmittel
US8360048B2 (en) * 2009-03-09 2013-01-29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US8578926B2 (en) * 2009-03-09 2013-11-12 Heat Wave Technologies, Llc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ZA200901776B (en) * 2009-03-12 2009-12-30 Winter Breeze Trading 179 Pty A food container with integral heating means
US20110123683A1 (en) * 2009-11-24 2011-05-26 Sendel Barry R Self-contained and self-heating food, meal and drink package
US20110123684A1 (en) * 2009-11-24 2011-05-26 Trilliam Worldwide Group Inc. Self-contained and self-heating food, meal and drink package
US8603337B1 (en) 2010-10-21 2013-12-10 Mainstream Engineering Corporation Lightweight device for heating and purifying water
US9482429B2 (en) * 2011-03-10 2016-11-01 Ght Global Heating Technologies Ag Field-ready oven
JP6074757B2 (ja) * 2012-03-15 2017-02-08 セヴィム ニッキー 調理済み食品用の加熱機能付き容器
CH706414A1 (fr) * 2012-04-17 2013-10-31 Laurent Defferrard Dispositif de cuisson.
EP2710941B1 (de) * 2012-09-19 2015-07-08 Uwe Arnold Transportable Vorrichtung zum Erhitzen von Lebensmitteln
CN102894870B (zh) * 2012-10-09 2014-10-15 武小娴 一种烹饪锅
WO2014069679A1 (ko) * 2012-10-29 2014-05-08 주식회사 스피코 순간가열 포장용기
US9844497B2 (en) 2015-03-09 2017-12-19 Thomas E. McConnell Wipe warmer and humidifying device thereof
US20170042374A1 (en) * 2015-08-13 2017-02-16 James Young Thermal food container
US11019958B2 (en) * 2016-10-04 2021-06-01 H&H Heating Sources, LLC Flameless non-electric chafing dish
WO2018145731A1 (fr) 2017-02-07 2018-08-16 Debelkhan Ltd Dispositif de recipient alimentaire auto-chauffant
CA3060467C (en) * 2018-12-20 2023-08-01 Cascades Canada Ulc Sheet product dispenser and method and kit to convert a sheet product dispenser
EP4051062A4 (en) 2019-10-30 2024-01-03 Tempra Tech Inc SEALED PACKAGING FOR SOLID REAGENT IN SELF-HEATING ASSEMBLY
IL276091A (en) * 2020-07-16 2022-02-01 Debelkhan Ltd Portable food heating device utilizing exothermic chemical reaction
CN112707015A (zh) * 2020-12-22 2021-04-27 杭州艺福堂茶业有限公司 一种方便自热式藕粉糊碗装结构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1364A (en) * 1933-08-17 1934-08-28 Zimmer Sebastian Self-heating conserve
US2541736A (en) * 1948-12-09 1951-02-13 Samuel A Alexander Chemical heating device
US2823665A (en) * 1955-09-12 1958-02-18 John D Steinbach Heating pad
US3088586A (en) * 1961-07-26 1963-05-07 Dpr Inc Two part package
FR1603429A (ko) * 1968-07-26 1971-04-19
US3797646A (en) * 1971-10-05 1974-03-19 Airrigation Eng Two-ingredient container system
CH553692A (de) * 1972-04-27 1974-09-13 Christen Marl Konservendose mit einem behaelter fuer die konserve und einer zum aufwaermen dieser konserve dienenden vorrichtung.
US3950158A (en) * 1974-05-31 1976-04-13 American Medical Products Company Urea cold pack having an inner bag provided with a perforated seal
DE2715368A1 (de) * 1976-04-14 1977-11-03 Mincione Pasquale Vorrats- und erwaermungsgeraet
US4130198A (en) * 1978-03-27 1978-12-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part liquid container
US4265216A (en) * 1978-12-06 1981-05-05 Raychem Corporation Self-contained exothermic heat recoverable chemical heater
MC1484A1 (fr) * 1981-11-09 1983-09-12 Simon Benmussa Recipient alimentaire et son procede de declenchement de production d'un chauffage integre
US4510919A (en) * 1982-11-05 1985-04-16 Simon Benmussa Self heating receptacle
US4559921A (en) * 1982-11-05 1985-12-24 Simon Benmussa Self-heating recepta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718388D0 (en) 1987-09-09
DE3725852C2 (de) 1995-09-21
US4762113A (en) 1988-08-09
KR880004130U (ko) 1988-05-06
FR2602134A1 (fr) 1988-02-05
DE3725852A1 (de) 1988-02-11
GB2195437A (en) 1988-04-07
GB2195437B (en) 1990-06-27
FR2602134B1 (fr) 199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883Y1 (ko) 자체 가열용기
US3027261A (en) Packaging and reconstituting food products
US6289889B1 (en) Self-heating flexible package
US5220909A (en) Self-heating individual meal module
US5465707A (en) Self heating individual meal package
US7744940B2 (en) Food product warming or cooling package
US20030116452A1 (en) Trigger mechanism for self-heating/cooling packages or containers universally applied to both rigid and non-rigid packages and containers
US20040058038A1 (en) Lunch box capable of blastfrozen preservation
JPS58134882A (ja) 食料品加熱容器
US4867131A (en) Combined heating dish and storage container for food
JP2001299248A (ja) 調理済み再加熱還元食品
US3512516A (en) Combined food packaging and food cooking device
US20060137535A1 (en) Heating of products
WO1994011682A1 (en) Self-heating pouch
KR100429328B1 (ko) 가열 패키지
JPH07155261A (ja) 加温容器
JPH0216980Y2 (ko)
JPH01265920A (ja) 発熱装置
WO1989006107A1 (en) Heating apparatus and heating container using the same
JPH0425082Y2 (ko)
JP3094458U (ja) 加熱機構付き携帯食品
JPH034819A (ja) 飲食物用加熱装置
JPH06377Y2 (ja) 加熱機能付容器入り食品
KR200264438Y1 (ko) 가열 패키지
JPH04250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