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438Y1 - 가열 패키지 - Google Patents

가열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438Y1
KR200264438Y1 KR2020010035623U KR20010035623U KR200264438Y1 KR 200264438 Y1 KR200264438 Y1 KR 200264438Y1 KR 2020010035623 U KR2020010035623 U KR 2020010035623U KR 20010035623 U KR20010035623 U KR 20010035623U KR 200264438 Y1 KR200264438 Y1 KR 200264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ag
liquid
heat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철
Original Assignee
(주)참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맛 filed Critical (주)참맛
Priority to KR2020010035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43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불이 필요없이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액체와 공기를 통과시키는 포장재로 형성되며 액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주머니; 발열 주머니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를 구비하는 액체 주머니; 액체 주머니의 표면에 접착되어 액체 주머니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끈; 및 발열체와 액체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며 절취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증기 배출공을 포함하는 내열, 방수성을 가지는 포장재로 형성되는 제 1 가열 주머니와 제 1 가열 주머니와 동일한 구성을 하는 제 2 가열 주머니를 구비하고, 제 1 가열 주머니와 제 2 가열 주머니의 포장재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요입부를 가지며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고 있는 포켓형태로 구성되도록 하여 가열하고자 하는 물질의 양측에 구비함으로써 양측면에서 내용물을 가열하여 가열이 보다 잘 될 수 있도록 하며 가열패키지와 내용물이 밀착이 되어 열전달률을 높고 발생하는 열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여 쌀과 같은 곡류의 가열에 적합하다.

Description

가열 패키지{FLAMELESS HEATER}
본 고안은 불없이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주머니 모양의 안쪽에 음식물을 집어넣고 양쪽으로 물이 담겨있는 주머니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화학물질을 부착하여 물이 담겨있는 주머니를 터트려서 물과 화학물이 반응하여 생긴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경우에 음식물을 용기에 집어 넣은 후에 버너 등을 이용해서 가열한다. 음식물을 가열하는 이유는 세균 등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 등 위생상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나아가서는 미각적으로 더 좋은 맛을 내고 영양적으로 소화 및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버너, 히터 등의 별도의 가열도구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군대에서 작전중에 이러한 가열도구를 병사 개개인이 소지하여 음식물을 가열을 하는 것은 병사들이 소지해야 하는 물품의 무게가 더 나아가게 되어 작전을 수행하는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가열하지 않은 음식을 취식할 경우 전분이 노화되어 있어 식품의 맛이 떨어지고 소화 및 흡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동절기나 기온이 내려간 경우 더욱 그러하므로, 병사들의 전투력이 떨어져 역시 작전 수행중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사회에서도 산에서 취사하는 것은 산불의 위험때문에 금지되는 곳이 많아 식사를 하는 데에 많은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고안된 기술로 여러 가지가 제안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미국 특허 4,522,190과 5,611,329가 제시되고 있으며 또한 한국실용신안 198,025와 60760에 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4,522,190은 티백 (Tea bag)형태의 유연성이 있는 주머니에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화학물질(예를 들어 마그네슘계 발열합금)을 집어넣고 그 주머니를 포켓에 담아 보관하고 있다가 음식물을 섭취하기 전에 가열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포켓에 넣고 물이 화학물질에 침투하도록 하여 물과 화학물질이 반응하여 음식물을 가열한다. 미국 특허 5,611,329는 화학물질이 담겨있는 발열체 주머니를 복수 개의 작은 포켓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각각의 작은 포켓에 화학물질을 집어넣어 화학물질이 한쪽에 몰려있지않도록 하여 특정부분에서 열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을 막으며 또한, 발열체 주머니를 유연하게 만든다. 그리고, 한국 실용신안 198,025는 발열 주머니에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물질을 음식물이 부착되는 반대면에 부착하여 열이 한쪽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열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한국 실용신안 60,760은 두개의 물주머니를 구비하여 발열체의 위아래에 하나씩 놓고 하나의 물주머니를 터트려 열이 발생하도록 하고 또한, 그 열에 의해 또다른 물주머니를 터트려 열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부피가 크고 물을 별도로 첨가하여 작전 중의 병사들이 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있으며, 물과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오염이 되거나 음식물을 포장하고 있는 포장지가 오염되어 포장지를 벗겨내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오염될 우려가 있고, 일반적으로 한쪽면에만 발열 주머니가 있어 반대쪽에는 열이 충분히 가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화학물질과 반응하는 물이 담겨있는 주머니를 구비하도록 하여 주머니를 터트려 반응을 유도하는 경우에 주머니에 물이 남아 모두 반응을 하지 않을 수 있어 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사용하여 물이 주머니에서 전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물이 끓으면서 넘칠 우려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음식물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치우쳐져 하부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하부의 음식물은 충분히 가열되지 않을 수 있어 특히 쌀 등의 미곡을 가열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포켓형태의 가열 주머니를 형성하여 가열하고자 하는 물질의 양측에 구비하여 양측면에서 내용물을 가열하여 가열이 잘 될 수 있도록 하며 포켓형태로 되어 있어 가열패키지와 내용물이 밀착되어 열전달률을 높고 발생하는 열이 전도에 의한 간접가열의 형태를 취하므로 가열 패키지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한 내용물 또는 내용물의 오염이 없도록 하며 발열물질이 전체적으로 화학반응을 일으켜 내용물이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하며, 발열시간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가열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는 액체와 공기를 통과시키는 포장재로 형성되며 액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주머니; 발열 주머니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를 구비하는 액체 주머니; 액체 주머니의 표면에 접착되어 액체 주머니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끈; 및 발열체와 액체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며 절취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증기 배출공을 포함하는 내열, 방수성을 가지는 포장재로 형성되는 제 1 가열 주머니와
제 1 가열 주머니와 동일한 구성을 하는 제 2 가열 주머니를 구비하고
제 1 가열 주머니와 제 2 가열 주머니의 상기 포장재의 테두리부의 적어도일부가 접합되어 요입부를 가지며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고 있는 포켓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가열 주머니와 제 2 가열 주머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B-B'의 축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를 용기에 담아 사용하는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좀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가열 주머니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열 패키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내부 포장지(10')와 외부 포장지(10)가 겹쳐져 있고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가열수단인 제 1 가열 주머니(20)와 제 2 가열 주머니(20')가 생성된다. 그리고 제 1 가열 주머니(20)와 제 2 가열 주머니(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손잡이 부분(30)으로 형성된다. 두장의 포장지는 가열 패키지(100)의 각각 외부에 형성되는 것과 내부에 형성되는데 외부에 형성되는 포장지의 손잡이 부분(30)의 길이가 내부 포장지(10')의 손잡이 부분(30) 보다 더 길게 하여, 내부 포장지(10')는 손잡이 부분(30)의 A-A'선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포장지는 A-A' 선보다 더 길게 한다. 따라서, 손잡이 부분(30)의 A-A'의 위쪽 부분을 절삭을 하면 외부 포장지(10)는 찢게지게 되고, 내부 포장지(10')는 외부 포장지(10)와 달리 A-A'선에서 서로 이어져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A-A'의 선에서 손잡이 부분(30)은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제 1가열 주머니(20)과 제 2 가열 주머니(20')간에 부착이되어 제 1 가열 주머니(20)과 제 2 가열 주머니(20')의 경계판의 역할을 하게 된다. 내부 포장지(10')와 외부 포장지(10)의 외곽 테두리는 겹쳐서 봉인을 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패키지(100)의 제 1 가열 주머니(20)가 생성되어 발열 주머니, 액체 주머니, 절취끈(50) 및 종이티슈가 제 1 가열 주머니의 내부에 들어간다. 또한, 도 2와 동일하게 제 2 가열 주머니(20')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B-B'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 주머니(21), 액체 주머니(25) 및 종이티슈 (29)가 형성되며 액체 주머니(25)의 표면에 액체 주머니(25)를 터트릴 수 있는 수단인 절취끈(50)이 부착되어 있어 절취끈(50)을 잡아 당기면 액체 주머니(25)가 터질 수 있도록 한다. 절취끈(50)은 A-A'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하여 두개의 액체 주머니(25)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발열 주머니(21)는 고체상 발열체가 내장되어 있으며 발열 주머니(21)가 보관상 또는 이동상의 유리함을 갖도록 유연성 있게 제작되며 천연 섬유부직포, 천연 펄프부직포 또는 발포 수지 시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가 한 쪽에 치우쳐지지 않고 일정한 면적내에서 동일한 열을 발생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셀로 구분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액체와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가 반응할 때 셀의 형태로 분할되어 있지 않으면발열체가 발열 주머니(21) 내에서 한 쪽에 치우칠 수 있게 되어 가열하고자 하는 내용물 전체를 가열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생기는데 셀로 분할을 하여 셀단위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고체상 발열체는 마그네슘(Mg): 75 ~ 94%, 철(Fe): 5~15%, 해사(바닷 모래): 1% ~ 20% 의 비율로 구성된다. 해사를 넣는 이유는 해사가 발열체와 발열용액의 화학반응으로 생성되는 열을 보지할 수 있어 발열온도의 유지 및 발열시간을 늘려준다. 그리고 고체상 발열체는 마그네슘과 철을 볼밀링머신에 상기에 표시된 비율로 집어넣고 밀링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서로 섞이도록 하고난 후에 해사를 상기의 비율로 집어넣어 섞이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액체 주머니(25)는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반응열이 발생하는 물질이 저장되어 있는 수단으로, 0.5~20%의 NaCl 수용액이 들어 있다. NaCl 수용액으로 액체를 구성하는 이유는 물과 NaCl로 구성된 전해질이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와 물의 반응을 촉진시켜 발열반응이 더 잘 일어나게 하며, 동절기에 액체가 얼게될 염려가 있는데 액체가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NaCl수용액을 사용하여 액체의 어는점을 낮게하여 동절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액체가 얼 염려가 없는 경우에는 액체에 NaCl을 첨가하는 대신에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에 건염을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NaCl외에 MgCl, CaCl,KC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열 주머니(21)와 액체의 반응을 하기 위해서는 액체 주머니(25)가 터지게 되어 액상물질이 배출되어 발열 주머니(21) 속으로 침투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도록 한다. 그러기 위해서 액체 주머니(25)의 외부표면에 절취끈(50)을 부착하여 절취끈(50)을 잡아 당기면 액체 주머니(25)가 찢어지게 되어 액상물질이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액상물질이 액체 주머니(25)에서 나와 발열체와 반응하여 액체가 끓어 넘쳐 반응하도록 하는 액체의 양이 부족하여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하여 액체 주머니(25)와 발열체 주머니(21) 사이에 종이티슈(29)를 구비하도록 하여 액체 주머니(25)에서 방출된 액체를 티슈가 일정량을 저장하여 액체가 넘치는 것을 막고 또한, 티슈가 액체를 저장하고 있어, 액체가 한꺼번에 발열체에 투입되어 발열체가 일시에 반응하는 것을 막아 발열이 고르게 지속될 수 있도록 하며 티슈가 심지 역할을 하여 액체를 흡수하여 발열체 주머니에 전체적으로 액체를 공급하여 동시에 전체적으로 발열체가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티슈는 발열 주머니(21)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지는 액체 주머니(25), 발열 주머니(21) 및 종이티슈(29)를 포장하여 주머니형태가 되도록 하며 포장지의 한쪽 면이 다른 쪽면 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길게 형성된 부분이 가열 패키지(100)의 손잡이 부분(30)으로 형성된다.
손잡이 부분(30)은 제 1 가열 주머니(20)와 제 2 가열 주머니(20')에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본 고안에 따른 가열패키지(100)은 손잡이 부분(30)을 합착한 것을 사용하게 되며 제 1 가열 주머니(20)의 액체 주머니(25)와 제 2 가열 주머니(20')의 액체 주머니(25)가 터질 수 있도록 하는 절취끈(50)이 손잡이 부분(30)을 통하여 밖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손잡이 부분(30)의일정부분을 절취하여 절취끈(50)이 노출되도록 하여 가열하고자 하는 경우에 절취끈(50)을 잡아 당겨 가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손잡이 부분(30)은 발열체와 액체의 반응열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로 사용되어 수증기 배출수단으로 사용된다.
절취끈(50)은 가열 패키지(100)의 액체 주머니(25)가 터지도록 하여 액체를 배출하는 수단으로, 하나의 끈의 양단이 제 1 가열 주머니(20)의 액체 주머니(25)와 제 2 가열 주머니(20')의 액체 주머니(25)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손잡이 부분(30)의 일정부분을 잘라내면 절취끈(50)이 외부로 노출되어 절취끈(50)을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하여 절취끈(30)을 잡아당겨 액체 주머니(25)의 표면이 찢어지게 되어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100)는 제 1 가열 주머니 (20)와 제 2 가열 주머니(20')를 겹치게 된 상태에서 한 변을 제외한 나머지 변의 외곽 테두리를 봉인을 하여 형성하는데 손잡이 부분(30)이 형성되어 있는 쪽과 반대 방향의 외곽 테두리는 봉인을 하지 않아 가열 패키지(100)가 포켓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봉인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통하여 내용물을 가열 패키지 (100)에 삽입을 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포켓형태로 가열 패키지(100)가 형성되어 가열하고자 하는 내용물이 가열 패키지(100)와 밀착하게 되어 열전달이 잘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체발열체와 액체에 의한 화학반응에서 생성되는수증기가 기존 타사 제품의 경우 식품에 직접 닿게 되는데 이는 식품 안전성에 위해가 될 수 있는데 포켓형태로 제작된 가열 패키지(100)의 포장지에 의해 내용물을 간접가열 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수증기가 내용물에 닿지 않게 된다. 가열 패키지(100)의 포장지는 방수, 내열,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다. A-A'의 선에서 제 1 가열 주머니(20)의 내부 포장지와 제 2 가열 주머니(20')의 내부 포장지(10')가 서로 이어지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구성성분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100)는 가열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양쪽 측면에 발열 주머니(21)가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을 양쪽에서 가열하게 되어 가열효과를 더 높일 수 있게 한다. 가열 패키지(100)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놓여져 있고 가열 패키지(100)의 제 1 가열 주머니(20)와 제 2 가열 주머니(20')가 내용물의 위와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제 1 가열 주머니(20)와 제 2 가열 주머니(20')속의 액체 주머니(25)를 찢어내어 가열하게 되는 경우에 액체가 급속히 끓게 되어 손잡이 부분(30)을 통하여 액체가 아래에 위치하는 가열 주머니 쪽으로 흘러 들어갈 우려가 생기는데, 이러한 경우에 위쪽에 위치하는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가 충분히 반응을 하지 못하게 되어 내용물의 가열이 부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판(70)을 설치하여 물이 넘쳐 아래쪽 주머니로 흘러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양측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경계판(70)은 포켓의 안쪽에 형성되는 내부 포장지(10')에 의해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를 용기에 담아 사용하는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100)는 가열 패키지(100)를 포장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또한, 식사를 하는데에 사용되는 용기로 사용되는 포장대(200)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포장대(200)는 가열 패키지(100)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종이상자로 이루어지며 한쪽면의 상단에 가열 패키지(100)의 손잡이 부분(30)이 포장대(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의 인출공이 형성된다. 포장대(200)에는 가열 패키지(100)가 담겨져 있으며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식사를 하는데에 필요한 도구(수저, 젓가락, 포크 등)들이 담겨있을 수 있다.
포장대(200)를 사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100)를 사용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가열 패키지(100)는 가열하고자 하는 내용물이 가열 패키지에 일체로 들어가 있고 가열 패키지(100)의 손잡이 부분(30)이 포장대의 인출공(15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하기 위해서 인출공(150)을 통해 나온 손잡이 부분(30)을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여 절취끈(5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절취끈(50)을 잡아당겨 절취끈(50)과 연결된 액체 주머니(25)가 터지도록 하여 액체와 발열체가 화학반응을 일으켜 열이 발생되어 가열 패키지(100)에 삽입된 내용물을 가열한다. 그리고, 절취끈(50)을 잡아당긴 후에 손잡이 부분(30)을 말아서 다시 포장대(200)에 집어넣어 손잡이 부분(30)을 통해서 배출되는 수증기가 다시 포장대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포장대(200)의 뚜껑을 닫아 약 20분 정도 가열한 후에 내용물을 가열 패키지(100)에서 인출하고 내용물의 포장지를 뜯어내어 내용물을 포장대(200)에 넣고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내용물을 가열패키지 안에 삽입을 하고 나서 포장대(200)에 집어 넣고 같은 방식으로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다. 포장대(200)에 의해 가열패키지(1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밖으로 인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수증기가 계속적으로 포장대(200) 안에 머무르게 되어 가열 효과가 더 높아진다.
본 고안에 따른 가열 패키지에 의하면 음식물을 양쪽에서 가열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고, 물주머니가 구비되어 있어 별도로 물을 첨가할 필요가 없어 물이 부족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물주머니 위에 발열체 주머니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종이티슈를 더 구비하여 종이티슈가 심지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종이티슈가 물주머니의 물을 빨아드려 물주머니의 물 전부가 화학물질과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동시에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주머니에서 방출되는 물이 한꺼번에 방출되는 것을 막아 열이 지속되는 시간이 오래가도록 한다.
그리고, 가열 발열체를 수평으로 하여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어 중력에 의하여 내용물의 두께가 달라지지 않아 내용물이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가열될 수 있으며, 수평으로 가열발열체를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 두개의 물주머니가 위와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위에 위치한 물주머니의 물이 아래로 흘러가 위에 위치한 발열 주머니와 물이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열발열체의 포켓의 두개 주머니가 내부포장막인 경계판에 의해 격리되어 있어 하나의 물주머니의 물이 다른 물주머니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물과 화학물질이 반응을 할때 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내부에 절취끈이 물주머니에 부착되어 있어 절취끈을 잡아당겨 손쉽게 물주머니를 터트릴 수 있어 간단한 조작에 의해 물과 발열 주머니 속의 화학물질과 화학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발열효과가 증가되어 쌀과 같은 곡류를 가열하는데에 탁월한 효과가 나타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Claims (7)

  1. 액체와 공기를 통과시키는 포장재로 형성되며 액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주머니;
    상기 발열 주머니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를 구비하는 액체 주머니;
    상기 액체 주머니의 표면에 접착되어 상기 액체 주머니의 상기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끈; 및
    상기 발열체와 상기 액체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절취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증기 배출공을 포함하는 내열, 방수성을 가지는 포장재로 형성되는 제 1 가열 주머니와
    상기 제 1 가열 주머니와 동일한 구성을 하는 제 2 가열 주머니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열 주머니와 상기 제 2 가열 주머니의 상기 포장재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요입부를 가지며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고 있는 포켓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머니의 액체는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마그네슘, 철 및 해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 주머니에 종이티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주머니에서 방출된 액체가 상기 제 1 가열주머니와 상기 제 2 가열주머니 상호간에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상기 수증기 배출공 내에 경계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판은 상기 포장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패키지의 상기 수증기 배출수단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열 패키지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KR2020010035623U 2001-11-20 2001-11-20 가열 패키지 KR200264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623U KR200264438Y1 (ko) 2001-11-20 2001-11-20 가열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623U KR200264438Y1 (ko) 2001-11-20 2001-11-20 가열 패키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599A Division KR100429328B1 (ko) 2001-11-17 2001-11-17 가열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438Y1 true KR200264438Y1 (ko) 2002-02-19

Family

ID=7311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623U KR200264438Y1 (ko) 2001-11-20 2001-11-20 가열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4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0909A (en) Self-heating individual meal module
US4762113A (en) Self-heating container
CA2169259C (en) Self heating individual meal package
JP2008285190A (ja) 自立性袋体、および即席食品
JP7306763B1 (ja) 冷却保存に適した発熱性積層体および加熱装置
US4867131A (en) Combined heating dish and storage container for food
JP7240051B1 (ja) 発熱性積層体および加熱装置
KR101179254B1 (ko)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
KR100429328B1 (ko) 가열 패키지
KR20070088133A (ko) 가열팩유니트
KR200264438Y1 (ko) 가열 패키지
KR200336223Y1 (ko) 가열 패키지
KR100523185B1 (ko) 가열 패키지
WO1994011682A1 (en) Self-heating pouch
JP3094458U (ja) 加熱機構付き携帯食品
JPH0811947A (ja) 食品包装体
JPH034819A (ja) 飲食物用加熱装置
WO2006004322A1 (en) Disposable food heating pouch having water discharge/inflow prevention structure
KR102013679B1 (ko) 식품 발열 용기
KR200323693Y1 (ko) 금속발열제가 내장된 가열용기
JP2010035544A (ja) 携帯食品
JP7396745B1 (ja) 発熱性積層体を備えた加熱装置および加熱方法
JPH0216980Y2 (ko)
KR200175945Y1 (ko) 일회용 발열 도시락
JPH01375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