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254B1 -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254B1
KR101179254B1 KR1020070048039A KR20070048039A KR101179254B1 KR 101179254 B1 KR101179254 B1 KR 101179254B1 KR 1020070048039 A KR1020070048039 A KR 1020070048039A KR 20070048039 A KR20070048039 A KR 20070048039A KR 101179254 B1 KR101179254 B1 KR 10117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ag
food
pouch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700A (ko
Inventor
신태호
Original Assignee
신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호 filed Critical 신태호
Priority to PCT/KR2008/00008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82283A1/en
Publication of KR2008006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그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열성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가열봉지와 가열봉지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수단과 상기 가열봉지에 내입되며 상부외면을 가열봉지의 상부내면과 열융착시켜 일체로 구성하되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음식물봉지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가열, 즉석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그에 사용되는 상기 발열수단으로서의 발열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열봉지와 그 내측에 수용되는 발열체 및 음식물봉지를 포함하는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봉지 내부에 발열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음식물봉지를 내입하며, 상기 가열봉지의 상단부를 열압착하여 가열봉지 내부와 음식물봉지의 외면에 밀폐공간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의 조성물로서 알루미늄금속분말 100중량%에 대하여, 석회석 분말 100중량%, 마그네슘 1~5중량%, 중탄산 나트륨 또는 수산화 나트륨 1~3중량%, 셀루로이즈 1~5중량%, 그리고 촉매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열체, 발열용액, 발열체팩, 즉석조리, 발열도시락

Description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pouches of in-site heating means for cooking and Heating element composition}
도 1은 종래의 발열기능을 가지는 발열파우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즉석 조리용 발열파우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즉석 조리용 발열파우치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정면구성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즉석 조리용 발열파우치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발열파우치에 있어서 열압착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발열파우치와 종래 오픈형 파우치의 발열온도 비교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발열파우치 10: 가열봉지
12: 통공 14: 내면부
16: 하부지지체 20: 발열수단
22: 발열체팩 24: 수용액팩
26: 당김줄 30: 음식물봉지
32: 음식물 34: 외면부
36: 하부받침체
본 발명은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그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열성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가열봉지와 가열봉지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수단과 상기 가열봉지에 내입되며 상부외면을 가열봉지의 상부내면과 열융착시켜 일체로 구성하되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음식물봉지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가열, 즉석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그에 사용되는 상기 발열수단으로서의 발열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지는 발열 도시락(파우치)은 가열봉지와 상기 가열봉지의 내부에 보관되는 발열체와 상기 가열봉지의 내부에 보관되되 내부에 물이 들어 있는 물포장봉지와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음식물 봉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예로써,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3367호에는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저면 및 양측면이 막혀 있고 상부는 개방되되 상단과 소정거리 이격된 내측에는 개방된 입구를 밀폐 가능하도록 공지된 지퍼(11)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퍼(11)의 일부는 소정간격 끊어져 밀폐시 증기배출구(12)를 형성하는 가열봉지(1)와 상기 가열봉지(1)의 내측에 보관되어 물을 흡수하면 발열하는 발열체(2)와 상기 가열봉지(1)의 내측에 보관되되 내부에 물이 들어 있는 물포장봉지(3)와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봉지(4)로 구성되는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가 개재되어 있다.(도 1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발열 파우치는 각각의 구성요소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조리시 내부의 음식물봉지 및 발열체, 물포장봉지를 전부 꺼내야 하며 발열체의 포장을 벗겨 가열봉지 내에 재차 넣고 물포장봉지 내의 물을 가열봉지에 부은 후, 음식물봉지를 다시 가열봉지의 내부에 삽입하여 조리하는 방식으로 사용상의 절차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열체봉지를 벗길 때 유해한 발열체와 인체가 접촉하는 문제와 사용자가 물을 부을 때 발열체와 물과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소정의 유해가스를 사용자가 들이 마실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일정시간 지난 후 가열봉지 내부의 조리된 음식물봉지를 사용자가 꺼낼 경우 뜨거워진 물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때 음식물봉지의 외면에 발열체 찌꺼기가 묻어나와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봉지와 가열봉지의 틈사이로 발산열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봉지와 음식물봉지 사이에 발열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가열봉지 및 음식물봉지의 상부 및 측부를 열융착하여 이중구조로 일체화시킴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시 발열체가 인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기존 발열수단 및 음식물봉지를 일일이 꺼집어 내야하는 불편함이 없이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발열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성을 최대한 배제하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열융착에 의해 가열봉지 및 음식물봉지의 사이가 밀폐공간화되어 발산열이 크게 누출됨이 없이 최대한 포집할 수 있어 음식물봉지에 저장되어 있는 음식물을 빠르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한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열봉지와 그 내측에 수용되는 발열체 및 음식물봉지를 포함하는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봉지 내부에 발열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음식물봉지를 내입하며, 상기 가열봉지의 상단부를 열압착하여 가열봉지 내부와 음식물봉지의 외면에 밀폐공간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폐공간부의 일측 가열봉지에는 통공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통공이 형성되는 외측 가열봉지면에는 접착시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수단은 습포지로 쌓인 발열체팩으로 형성하되 양쪽으로 분할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중간부분에 선형의 접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수단은 발열체팩과 발열용액팩이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체와 발열용액이 상호 반응하도록 하기 위한 팩 파절용 당김줄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당김줄은 외부에서 팩 파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가열봉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용기 내에는 발열체와 반응할 수 있는 용액(촉매제)이 수용된 보조용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수단의 구성은 발열체를 부직포에 밀포장하여 발열체팩을 만들고, 발열용액은 비닐로 밀포장하여 발열용액팩을 만든 후, 상기 발열용액팩에 팩 파단용 당김줄을 고정부착하여, 상기 발열체팩과 발열용액팩을 적층한 후 상기 당김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알루미늄 포장지로 완전밀봉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수단의 이격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가열봉지의 밑면에 내설되어 도시락을 지지하는 하부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 봉지의 하면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봉지와 음식물봉지의 밀착부의 일끝단부 또는 중앙부에 상기 가열봉지와 음식물봉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파절선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팩과 발열용액팩의 일면에 고정되는 당김줄은 다수개의 파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의 조성물로서 석회석 분말 100중량%에 대하여, 알루미늄금속분말 100중량%, 마그네슘 1~10중량%, 중탄산 나트륨 또는 수산화 나트륨 1~10중량%, 촉매제로서 수산화 나트륨, 염화철, 무기산,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액으로서 촉매제는 소금, 과염수간 나트륨, 과산화 나트륨, 염화철, 무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택일하여 소량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즉석 조리용 발열파우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100)는 내열성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가열봉지(10)와 상기 가열봉지(10) 내부에 내설되어 구성되는 발열수단(20)과 상기 가열봉지(10)에 내입되며 상기 가열봉지(10)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길이가 길며 내부에 음식물(32)이 저장되는 음식물봉지(30)로 구성된다.
이때, 이들의 결합은 가열봉지 내부에 발열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음식물봉지를 내입하게 되며, 상기 가열봉지의 상단부를 라미네이팅하여 열압착하게 되면 가열봉지 내부와 음식물봉지의 외면에 밀폐공간부(10a)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봉지와 음식물봉지를 이중으로 겹치고 봉지의 상부와 측부를 동시에 압착하여 일체식으로 융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밀폐공간(10a)부의 일측 가열봉지(10)면에는 발열체의 발열시 발산열에 따른 김이 새어 날올 수 있도록 하는 통공(12)이 형성되며, 통공의 외측 가열봉지면에는 통공을 막거나 열어 이물질 투입의 방지 및 방출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시트(12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봉지 내로는 별도의 발열수용액이 담긴 주입용 보조용기(40)가 내장된다.
상기 발열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다양하게 그 형상이 변형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부에서 밀폐공간부(10a)의 발열체로 물 또는 수용액을 주입하는 형태로서, 상기 통공(12)을 통해 접착시트(12a)의 일측을 떼어낸 상태에서 물 또는 수용액을 주입하게 된다. 이때 주입용 보조용기(40)는 주둥이가 뾰족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며, 상기 통공(12)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에는 주사기처럼 첨예한 단을 가진 용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가열봉지(10) 및 음식물용기(30)를 열압착하여 이중구조로 일체화한 구조의 내부 밀폐공간부(10a)로는 발열수단(20)이 구비되는데 이때의 발열수단의 형태에 따라 발열 파우치의 전체적인 디자인 즉, 부피를 줄일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에서의 발열수단(20)은 부직포와 같은 습포지로 쌓인 발열체팩으로 형성하되 양쪽으로 분할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중간부분에 선형의 접착부(21)를 형성한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의 발열수단의 설치형태는 최초 밀폐공간부 내의 하측에서 접착부를 이용해 위로 또는 아래로 접혀진 상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설치상태의 파우치 부피는 최소화를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 파우치는 조리시 담겨지는 음식물의 부피에 의해 그 하측의 용적이 커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밀폐공간부의 하측면이 넓어지게 되며 그 넓어진 공간부에 상기 접혀있던 발열수단이 수평으로 펴지면서 음식물용기의 하측에 자리를 잡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발열수단을 접혀진 채로 구비하게 되면 파우치 형태를 얇게 가져갈 수 있으며 부피가 적은 콤팩트한 형태의 파우치를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즉석 조리용 발열파우치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정면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상기 발열수단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발열수단(20)은 발열체팩(22)과 발열용액팩(24)이 일체로 구성되며, 발열체와 발열용액이 상호 반응하도록 하기 위한 팩 파절용 당김줄(2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당김줄(26)은 외부에서 팩 파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가열봉지(1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12)을 통해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구조로 형성한다.
이때에도 상기 가열봉지(10)의 상부 내면부(14)와 상기 음식물봉지의 양측 외면부(34)는 상호 열융착하여 밀봉하며 이때 가열봉지와 음식물봉지의 사이에는 밀폐공간부(10a)가 형성되고 그 공간영역에 발열수단이 구비된다.
이때의 상기 발열수단(20)은 가열봉지(10) 내부의 일측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밑면에 놓여지는 구조로 되며, 또 다른 구조로는 상기 가열봉지의 일측면과 밑면, 또는 일측면 및 반대편 일측면에 두 개의 발열수단을 두는 구조로도 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은 양의 발열체와 발열용액으로도 충분한 열을 발생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내부에 별도의 물 또는 용액을 부을 필요없이 당김줄을 한번 당김에 의해 발열수단을 작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상기 발열수단의 구성의 한 예로 발열체를 부직포에 밀포장하여 발열체팩(22)을 만들고, 발열용액은 비닐재질로 된 포장지로 밀포장하여 발열용액팩(24)을 만든 후, 상기 발열용액팩(24)에 팩 파절용 당김줄(26)을 포장지가 충분히 파절될 수 있도록 고정부착하여, 상기 발열체팩(22)과 발열용액팩(24)을 적층한 후 상기 당김줄(26)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당김줄(26)은 발열체팩과 발열용액팩의 적층부 사이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발열체팩과 발열용액팩의 포장재질을 비닐 또는 알루미늄 소재의 포장지로 밀포장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당김줄이 발열체팩과 발열용액팩을 동시에 파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당김줄(26)은 유연하면서 튼튼한 재질의 것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특히 나일론 재봉사, 꽃철사 또는 낚시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발열 파우치는 상기 발열수단(20)의 이격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가열봉지(10)의 밑면에 내설되어 파우치에 지지되는 하부지지체(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지지체(16)는 도 8과 같이 접혀진 판형상으로 일정높이의 벽체를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내부 중앙으로는 발열수단을 구비하며 일측 벽체 외측으로는 물 또는 수용액팩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와 연결된 당김줄에 의해 가열봉지의 외측에서 당김줄을 당김에 의해 물 수용액 팩을 파절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 봉지(30)는 도 9와 같이 하면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지지체(3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하부지지체(3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공기가 발열수단(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공간부내에서 포집하며 가열시켜 줌으로써 장시간 열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고, 열 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가 있다.
상기 하부지지체(16, 36)는 본 발명을 저해하지 않는 한, 통상 사용되는 보온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조되는 것은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고온의 열에 의해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소재로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열체팩(22)의 발열체와 발열용액팩(24)의 발열용액이 서로 융합하여 화학반응을 더욱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팩(22)과 발열용액팩(24)의 일면에 고정되는 당김줄(26)이 발열용액팩에 다수의 파절부가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당김줄을 일면에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발열체팩의 소재가 부직포가 아닐 경우에는 발열체팩에도 다수개의 당김줄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발열 파우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가열봉지(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당김줄(26)을 서서히 당기면 상기 당김줄(26)에 의해 발열수단(20)을 구성하고 있는 발열용액팩(24)의 파절되어 발열용액이 부직포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발열체팩(22)에 스며들어 발열체팩(22) 내의 발열체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즉시 고온의 열을 발생하게 되며, 고온의 열에 의해 음식물봉지(30)에 저장되어 있는 음식물(32)을 조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음식물이 카레 또는 죽과 같은 액상의 것이라면 음식물봉지(30)를 별도로 개봉하여 물을 부어줄 필요가 없으나, 쌀과 같이 물이 필요한 음식물이라면 음식물봉지(3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선(31)을 따라 자르고, 절단선(31)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지퍼부(34)를 열고 물을 부은 후, 다시 지퍼부를 체결하고 당김줄을 당겨 조리를 하면 된다.
여기서,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봉지 내의 공기가 급격하게 팽창하게 되나, 이는 가열봉지의 재질에 따른 내구성이나 그 외측면에 형성되어 당김줄이 빠져나오게 되는 통공(12)으로 공기가 조금씩 배출되므로 터지는 등의 위험성이 전혀 없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에서 조리시 음식물봉지의 상단 지퍼가 풀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인한 밀폐공간부의 팽창에 따라 음식물봉지의 하측이 위로 밀려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봉지의 상단부만 열압착 하던 것을 아래쪽으로 더 연장하여 음식물봉지의 측면부가 가열봉지의 내면에 접합되도록 열압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음식물봉지의 하부 측면쪽의 가열봉지를 열압착하여 서로 일체화 시킴으로서 음식물봉지의 하측 밀폐공간부가 팽창하더라도 음식물봉지가 상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발열체 조성물은 화학반응에 따른 발열체의 발산열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성분비는 알루미늄금속분말 100중량%에 대하여, 석회석 분말 100중량%, 마그네슘 1~10중량%, 중탄산 나트륨 또는 수산화 나트륨 1~10중량%, 셀루로이즈 1~10중량%, 그리고 촉매수용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용액으로서 촉매제는 소금, 과염수간 나트륨, 과산화 나트륨, 염화철, 무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택일하여 소량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발열체 조성물 및 파우치 구성을 이용함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는 기존 분리식의 파우치보다 열상승 시간과 열 지속시간이 더 효과적이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 발열 파우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온도인 60℃이상까지 도달하기 위한 최초 5분에서의 온도가 상당히 빨리 상승됨을 볼 수 있으며, 이후 조리 적정온도인 70℃이상의 온도를 기존 파우치에 비해 지속적으로 유지함을 알 수 있다.
기존의 발열체는 생석회 하나에 산성성분인 염산, 인산, 과산 등의 산 종류와 또는 이에 준한 염화물, 인산화합물 등을 첨가하여 생석회와 물과 이등의 첨가물이 서로 수화반응 및 중화반응을 도모한 발열방법으로서 생석회 자체의 칼슘 원소가 이미 산소와 결합한 상태이기 때문에 물이나 산을 첨가해서 얻는 발열량은 어느정도 한계가 있다. 또 다른 단점으로 생석회의 비중이 3.3에서 수화반응을 거쳐 소석회가 되면 비중이 2.2 내외로 감소하면서 반응 생성물인 잔류물의 부피가 많아져 소비자로부터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으며 발열량 관계로 식음료의 가열에의 이용정도이며 조리까지는 실제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본원은 기존 생석회를 주로 하고 첨가물을 반응시킨것과는 다르게 알루미늄금속분말을 주로 하고 이에 석회석과 기타 다른 첨가물을 섞어, 용액의 촉매제를 투입함으로써 그에 따른 빠른 반응으로 발열량의 초기 상승효과와 상승후 온도유지가 오래가도록 한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는 밀폐공간부를 가지는 이중구조로서의 가열봉지와 음식물봉지가 발열체의 발산열의 누출을 최대한 억제하며 빠른 시간내에 조리시간에 도달하여 적정온도를 지속적이며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작이 간편하면서도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발열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성을 최대한 차단하여 음식물봉지에 저장되어 있는 음식물을 빠르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가열봉지와 그 내측에 수용되는 발열체 및 음식물봉지를 포함하는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봉지 내부에 발열체를 내재한 발열수단을 수용한 상태에서 가열봉지보다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음식물봉지를 내입하며, 상기 가열봉지의 상단부를 열압착하여 가열봉지 내부와 음식물봉지의 외면에 밀폐공간부를 형성시키며, 상기 밀폐공간부의 일측 가열봉지에는 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음식물봉지 내에는 발열체와 반응할 수 있는 용액이 수용된 보조용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습포지로 쌓인 발열체팩으로 형성하되 양쪽으로 분할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중간부분에 선형의 접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발열체팩과 발열용액팩이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체와 발열용액이 상호 반응하도록 하기 위한 팩 파절용 당김줄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당김줄은 외부에서 팩 파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가열봉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봉지의 하면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봉지의 열압착부를 아래쪽으로 더 연장하여 음식물봉지의 측면부가 가열봉지의 내면에 접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봉지의 하부 측면쪽의 가열봉지를 열압착하여 서로 일체화 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048039A 2007-01-05 2007-05-17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 KR101179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0082 WO2008082283A1 (en) 2007-01-05 2008-01-07 Pouches of in-site heating means for coo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1546 2007-01-05
KR1020070001546 2007-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700A KR20080064700A (ko) 2008-07-09
KR101179254B1 true KR101179254B1 (ko) 2012-09-11

Family

ID=3981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039A KR101179254B1 (ko) 2007-01-05 2007-05-17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2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666B1 (ko) * 2020-12-31 2022-04-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발열 팩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발열 상자
KR20220054120A (ko) 2020-10-23 2022-05-02 신태호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조리 파우치
KR20230084733A (ko) * 2021-12-06 2023-06-13 (주)참맛 가열 팩 유닛
KR102654673B1 (ko) 2022-11-28 2024-04-09 주식회사 대운미트 발열체를 이용한 즉석밥 일체형 비화식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175B1 (ko) * 2009-04-24 2010-03-23 주식회사 크라우젠 가열효율을 향상시킨 발열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JP6159314B2 (ja) * 2011-04-15 2017-07-12 ハーベスト チャームフ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Harvest Charmfoods Co., Ltd. ポーチ
KR101314292B1 (ko) * 2011-04-15 2013-10-02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파우치
KR101437348B1 (ko) * 2013-07-22 2014-11-03 뉴코리아시스템(주) 식품가열용 발열체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248A (ja) * 2000-04-18 2001-10-30 Kyodo:Kk 調理済み再加熱還元食品
US20030000517A1 (en) * 2001-06-29 2003-01-02 Joseph Gary Curtis Self-heating/self-cooling pack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248A (ja) * 2000-04-18 2001-10-30 Kyodo:Kk 調理済み再加熱還元食品
US20030000517A1 (en) * 2001-06-29 2003-01-02 Joseph Gary Curtis Self-heating/self-cooling packa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120A (ko) 2020-10-23 2022-05-02 신태호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조리 파우치
KR102391666B1 (ko) * 2020-12-31 2022-04-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발열 팩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발열 상자
KR20230084733A (ko) * 2021-12-06 2023-06-13 (주)참맛 가열 팩 유닛
KR102645108B1 (ko) * 2021-12-06 2024-03-07 (주)참맛 가열 팩 유닛
KR102654673B1 (ko) 2022-11-28 2024-04-09 주식회사 대운미트 발열체를 이용한 즉석밥 일체형 비화식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700A (ko)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254B1 (ko)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
US4762113A (en) Self-heating container
KR20090132467A (ko) 마스크팩 포장재
JP7306763B1 (ja) 冷却保存に適した発熱性積層体および加熱装置
JP7240051B1 (ja) 発熱性積層体および加熱装置
KR101546498B1 (ko) 즉석 조리용 발열봉투
KR101456832B1 (ko) 발열 용기
JP2016500542A (ja) 温度可変ブランケット
WO2008082283A1 (en) Pouches of in-site heating means for cooking
TWI355913B (en) Heating unit and heating container
KR20030040326A (ko) 팩 밀폐방법 및 그 밀폐장치
KR102135251B1 (ko) 발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달용 포장용기
JP2010035544A (ja) 携帯食品
JPH034819A (ja) 飲食物用加熱装置
KR20050050934A (ko) 일회용 발열 도시락
KR100429328B1 (ko) 가열 패키지
KR20140054577A (ko) 순간가열 포장용기
JP3094458U (ja) 加熱機構付き携帯食品
KR102645108B1 (ko) 가열 팩 유닛
JP3686930B2 (ja) 加熱ユニット及び加熱容器
WO2006004322A1 (en) Disposable food heating pouch having water discharge/inflow prevention structure
KR200336223Y1 (ko) 가열 패키지
KR20180107926A (ko) 액체팩 개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발열 용기
KR200457963Y1 (ko) 발열가방
KR20180107927A (ko) 식품 발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