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108B1 - 가열 팩 유닛 - Google Patents

가열 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108B1
KR102645108B1 KR1020210172746A KR20210172746A KR102645108B1 KR 102645108 B1 KR102645108 B1 KR 102645108B1 KR 1020210172746 A KR1020210172746 A KR 1020210172746A KR 20210172746 A KR20210172746 A KR 20210172746A KR 102645108 B1 KR102645108 B1 KR 102645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water
heating
outer ba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4733A (ko
Inventor
조병권
Original Assignee
(주)참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맛 filed Critical (주)참맛
Priority to KR102021017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108B1/ko
Publication of KR2023008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30Devices for warming by making use of burning cartridges or other chemical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은, 일정한 면적을 갖는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 상부를 제외하면서 하부 및 좌우 테두리를 따라 접촉되게 연결되어,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서 상부로 개방되어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외부백과,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사이에서 테두리를 따라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어, 외부백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면서 외부백의 하부로 포장식품(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포장재(300)와, 외부백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태로 외부백의 주입구로 주입되는 물에 의해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부(400)와, 외부백의 주입구에 구비된 상태로 주입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열 팩 유닛{Heating Pack Unit}
본 발명은 발열제를 발열시키기 위한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물을 함께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전체적인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가열 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 팩 유닛은 야외에서 별도의 취사도구 없이 간편하게 음식물을 데울 때 사용된다. 특히, 동절기에 작전 중인 군부대의 장병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
가열 팩 유닛은 물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제와, 물체를 수용하는 다수의 팩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물체와 발열제를 반응시키고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한다.
이러한, 가열 팩 유닛에 대한 구성은 한국특허출원 10-2003-005398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발명은 제1팩과, 제2팩과, 두 팩의 사이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음식물수용부를 포함한다. 제1팩 및 제2팩에는 각각 물체를 수용하는 물체주머니와, 물체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와, 물주머니를 찢을 수 있는 티어링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티어링부재를 당겨서 물주머니를 찢으면 물이 흘러나와서 발열제에 제공됨에 따라, 발열제에서 발열된다. 이때, 음식물수용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가열되어서 따뜻하게 데워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제1팩 및 제2팩에 물체 및 발열제가 함께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전체적인 무게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고, 티어링부재도 구비함에 따라 제조공정 및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열제를 발열시키기 위한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물을 함께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전체적인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가열 팩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팩 유닛은, 일정한 면적을 갖는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가 상부를 제외하면서 하부 및 좌우 테두리를 따라 접촉되게 연결되어,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서 상부로 개방되어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외부백과,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사이에서 테두리를 따라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어, 외부백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면서 외부백의 하부로 포장식품(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포장재(300)와, 외부백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태로 외부백의 주입구로 주입되는 물에 의해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부(400)와, 외부백의 주입구에 구비된 상태로 주입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일측외부포장재(100)나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상부가 일직선으로 절개되어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주입구의 상단에는 주입구의 하단을 덮어서 커버하는 커버포장재(1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내부포장재(300)에는 수용공간으로 수용되는 포장식품(10)을 구속하여 고정시키는 포장구속부(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포장구속부(310)는 내부포장재(300)의 중앙에 상단이 고정되면서 하단이 수용공간으로 돌출되는 고정판(311)과, 고정판(311)의 하단에 연이어지면서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포장식품(10)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구속하는 구속부(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물은 물로 구성되고, 발열부(400)는 다수의 발열공간이 형성되는 발열팩(410)과, 발열팩(410)의 발열공간에 채워진 상태로 물에 의해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420)를 포함하고, 발열팩(410)은 복수로 구성되어 외부백의 내부공간들에 각각 수용되고, 물이 투과되면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부직포로 제조되고, 발열제(420)는 마그네슘(Mg), 철(Fe) 및 소금(NaC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필터부(500)는 물이 퉁과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부직포로 구성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어서 중간부분이 하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외부백의 주입구의 양측에 양측의 테두리가 열융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열제를 발열시키기 위한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물을 함께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전체적인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어서 휴대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팩 유닛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점선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포장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포장식품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팩 유닛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한 면적을 갖는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가 상부를 제외하면서 하부 및 좌우 테두리를 따라 접촉되게 연결되어,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서 상부로 개방되어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외부백과,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사이에서 테두리를 따라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어, 외부백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면서 외부백의 하부로 포장식품(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포장재(300)와, 외부백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태로 외부백의 주입구로 주입되는 물에 의해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부(400)와, 외부백의 주입구에 구비된 상태로 주입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500)를 포함한다.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는 열융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서 일체화되어 외부백이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져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포장재는 충격을 완충하며 열에 의해 접착되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를 포함하여 포장재들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며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여 좁히면 주입구가 개방되어 물이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일측외부포장재(100)나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상부가 수평의 일직선으로 절개되어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체화된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양측을 가압하면 주입구가 대략 원형의 형태를 이루어서 개방되고,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의 가압을 해제하면 양측이 좌우로 멀어져서 원형의 주입구가 일직선으로 되면서 폐쇄된다. 즉, 주입구가 폐쇄되는 경우 절개되어서 형성되는 주입구의 상단 및 하단이 서로 마주되어서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주입구의 상단에는 주입구의 하단을 덮어서 커버하는 커버포장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포장재(101)에 의해 주입구의 폐쇄됨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투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를 오므려서 주입구를 개방시키면 커버포장재(101)도 원호형태로 변형되어서 주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내부포장재(300)는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중앙이 상부로 돌출되면서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의 테두리가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에 열융착, 고주파융착, 접착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어서 일체화된다. 이러한, 내부포장재(300)는 복수로 구성되어서 상단이 열융착으로 연결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부포장재(300)는 하부에 포장식품(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포장식품(10)은 레토르트식품(retort food)일 수 있다. 레토르트식품은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가공식품으로, 조리 가공한 여러 가지 식품을 일종의 주머니에 넣어 밀봉한 후 고압가열살균솥(retort)에 넣어 고온에서 가열 살균하여, 공기와 광선을 차단한 상태에서 장기간 식품을 보존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이러한, 포장식품(10)은 뜨거운 열기가 가해지면 포장된 음식이 따뜻해 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백의 주입구를 통해 물이 주입되면 내부포장재(300)의 중앙부분에 의해 물이 양분되어서 내부공간들에 채워질 수 있다. 이때, 내부포장재(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포장식품(10)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포장재(300)에는 수용공간으로 수용되는 포장식품(10)을 구속하여 고정시키는 포장구속부(310)가 형성된다.
포장구속부(310)는 연질의 필름으로 구성되면서, 내부포장재(300)의 중앙에 상단이 열융착이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면서 하단이 수용공간으로 돌출되는 고정판(311)과, 고정판(311)의 하단에 연이어지면서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포장식품(10)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구속하는 구속부(312)를 포함한다.
고정판(311)은 포장식품(10)의 상부 외측면에 면접촉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구속부(312)는 반원형태로 휘어져서 탄성을 갖는다. 즉, 포장식품(1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서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구속부(312)는 반원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포장식품(10)이 수용되는 과정에서 말려지면서 끝단이 고정판(311)에 지지되므로 탄성력이 더욱 증대되어 포장식품(10)을 더욱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포장구속부(310)는 내부포장재(300)의 좌우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백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흔들리거나 외부백에 충격이 가해져도 포장식품(10)이 외부백에서 분리되어서 이탈되지 않는다. 물론, 포장식품(10)을 강제로 배출시키면 구속부(312)가 탄성변형 되므로 포장식품(10)이 쉽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된 구속부(312)는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포장식품(10)을 수용공간에 수용시키면 포장식품(10)의 상단 일측면이 내부포장재(300)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포장식품(10)의 상단 타측면이 포장구속부(310)에 밀착된다. 즉, 포장식품(10)이 포장구속부(310)에 의해 고정되어서 외부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식품(10)이 배출되면 구속부(312)가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다른 포장식품(10)을 수용시켜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수용공간에 복수의 포장식품(10)을 수용시켜도 하나의 포장식품(10)이 구속부(312)의 일측 및 내부포장재(300)의 일측에 접촉되어서 고정되고, 다른 포장식품(10)이 구속부(312)의 타측 및 내부포장재(300)의 타측에 접촉되어서 고정된다. 즉, 포장식품(10)들의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구속부(312)의 볼록한 부분에는 포장식품(10)들을 양쪽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돌기(313)가 형성된다. 즉, 분리돌기(313)는 쐐기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구속부(312)의 오목한 부분에는 오목홈(314)이 형성됨에 따라 포장식품(10)이 수용되는 과정에서 구속부(312)가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물론, 포장식품(10)이 제거되면 구속부(312)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발열부(400)는 다수의 발열공간이 형성되는 발열팩(410)과, 발열팩(410)의 발열공간에 채워진 상태로 물에 의해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4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열팩(410)은 복수로 구성되어 외부백의 내부공간들에 각각 수용되고, 물이 투과되면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발열제(420)는 마그네슘(Mg), 철(Fe) 및 소금(NaCl)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마그네슘분말 및 철가루가 혼합되는 혼합분말 100중량%에 소금분말 30중량%가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분말은 물과 소금분말에 의해 생성되는 반응액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철가루는 마그네슘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제공받아서 가열된 상태로 일정시간 열을 방출한다.
소금분말은 물과 혼합되면 반응액으로 변환되어 마그네슘의 산화반응이 촉진되도록 촉매제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주입구로 물이 주입되면 물에 소금이 녹아서 촉매제역할을 수행하는 반응액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반응액이 마그네슘에 접촉되면서 화학반응이 발생되어 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발열제(420)는 대략 90~100℃의 온도가 20분 정도 유지되어 포장식품(10)이 충분히 가열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열제(420)는 산화칼슘(CaO)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산화칼슘이 주입되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주입구로 물인 물이 주입되면 물과 산화칼슘이 반응하여 수산화칼륨(KOH)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열팩(410)들에 분산되게 구비되는 발열제(420)들이 물에 반응하면 발열되어 포장식품(10)의 양측을 가열하므로 포장식품(10)이 고르게 가열될 수 있다.
필터부(500)는 물이 퉁과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부직포로 구성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어서 중간부분이 하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외부백의 주입구의 양측에 양측의 테두리가 열융착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필터부(500)는 발열제(420)의 내용물들이 외부로 유실됨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외부백의 주입구로 주입되는 물이 필터부(500)의 외측으로 유실되지 않으면서 필터부(500)의 중간부분으로 통과하게 된다.
물론, 발열부(400)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필터부(500)를 통과하여서 외부백의 주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발열부(40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백의 양측으로 공급되므로 포장식품(10)의 양측이 가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발열제를 발열시키기 위한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물을 함께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전체적인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어서,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포장식품
100 : 일측외부포장재
200 : 타측외부포장재
300 : 내부포장재
310 : 포장구속부
311 : 고정판
312 : 구속부
313 : 분리돌기
314 : 오목홈
400 : 발열부
410 : 발열팩
420 : 발열제
500 : 필터부

Claims (7)

  1. 일정한 면적을 갖는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가 상부를 제외하면서 하부 및 좌우 테두리를 따라 접촉되게 연결되어,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서 상부로 개방되어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외부백과,
    일측외부포장재(100) 및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사이에서 테두리를 따라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어, 외부백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면서 외부백의 하부로 포장식품(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포장재(300)와,
    외부백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상태로 외부백의 주입구로 주입되는 물에 의해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부(400)와,
    외부백의 주입구에 구비된 상태로 주입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500)를 포함하고,
    일측외부포장재(100)나 타측외부포장재(200)의 상부가 일직선으로 절개되어 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주입구의 상단에는 주입구의 하단을 덮어서 커버하는 커버포장재(101)가 형성되고,
    내부포장재(300)에는 수용공간으로 수용되는 포장식품(10)을 구속하여 고정시키는 포장구속부(310)가 형성되고,
    포장구속부(310)는
    내부포장재(300)의 중앙에 상단이 고정되면서 하단이 수용공간으로 돌출되는 고정판(311)과,
    고정판(311)의 하단에 연이어지면서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포장식품(10)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구속하는 구속부(312)를 포함하고,
    고정판(311)은 포장식품(10)의 상부 외측면에 면접촉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구속부(312)는 반원형태로 휘어져서 탄성을 갖고,
    구속부(312)의 볼록한 부분에는 포장식품(10)들을 양쪽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돌기(313)가 형성되고,
    발열부(400)는
    다수의 발열공간이 형성되는 발열팩(410)과,
    발열팩(410)의 발열공간에 채워진 상태로 물에 의해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제(420)를 포함하고,
    발열팩(410)은 복수로 구성되어 외부백의 내부공간들에 각각 수용되고, 물이 투과되면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부직포로 제조되고,
    발열제(420)는 마그네슘(Mg), 철(Fe) 및 소금(NaC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필터부(500)는 물이 퉁과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부직포로 구성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어서 중간부분이 하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외부백의 주입구의 양측에 양측의 테두리가 열융착으로 고정되어,
    외부백의 주입구로 주입되는 물이 필터부(500)의 외측으로 유실되지 않으면서 필터부(500)의 중간부분으로 통과하게 되고,
    발열제(420)의 내용물들이 외부로 유실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팩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72746A 2021-12-06 2021-12-06 가열 팩 유닛 KR102645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746A KR102645108B1 (ko) 2021-12-06 2021-12-06 가열 팩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746A KR102645108B1 (ko) 2021-12-06 2021-12-06 가열 팩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733A KR20230084733A (ko) 2023-06-13
KR102645108B1 true KR102645108B1 (ko) 2024-03-07

Family

ID=8676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746A KR102645108B1 (ko) 2021-12-06 2021-12-06 가열 팩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1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254B1 (ko) * 2007-01-05 2012-09-11 신태호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6735U (ko) * 1993-05-04 1994-12-09 정보근 여과포가 장착된 급수탱크
JP3435812B2 (ja) * 1994-06-30 2003-08-11 凸版印刷株式会社 抽出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254B1 (ko) * 2007-01-05 2012-09-11 신태호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733A (ko)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0909A (en) Self-heating individual meal module
CN102190111B (zh) 自立袋
KR101179254B1 (ko)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
WO2008041717A1 (fr) Article d'essuyage
CA3034331A1 (en) Vapour producing device with a removable container, and a removable container for use with such a device
KR102645108B1 (ko) 가열 팩 유닛
JP4918482B2 (ja) 面ファスナーを用いた電子線加熱用包装部材
KR101135433B1 (ko) 반응기체 배출을 줄일 수 있는 내용물 가열키트
KR100869056B1 (ko) 가열팩유니트
KR101099049B1 (ko)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JP2008138908A (ja) 加熱剤、加熱剤の製造方法及び加熱機能付き食品容器
WO2004108404A2 (en) Plastic container with rupturable seal
JP6755476B2 (ja) 繊維通気性材料を有する包装体の封着部
JP2006151395A (ja) 食品用吸水シートおよび食品用包装容器
JP2010035544A (ja) 携帯食品
WO1989006107A1 (en) Heating apparatus and heating container using the same
JP2008302049A (ja) 化学発熱剤発熱装置及び化学発熱剤発熱装置付き携帯食品用容器
KR20140054577A (ko) 순간가열 포장용기
KR200336223Y1 (ko) 가열 패키지
KR200175945Y1 (ko) 일회용 발열 도시락
JP3958633B2 (ja) 加熱機能付き携帯食品用容器
KR100429328B1 (ko) 가열 패키지
JPH0245183Y2 (ko)
JPH01175816A (ja) 加熱装置
JP2001031135A (ja) 清浄タオル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