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056B1 - 가열팩유니트 - Google Patents

가열팩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056B1
KR100869056B1 KR1020060018345A KR20060018345A KR100869056B1 KR 100869056 B1 KR100869056 B1 KR 100869056B1 KR 1020060018345 A KR1020060018345 A KR 1020060018345A KR 20060018345 A KR20060018345 A KR 20060018345A KR 100869056 B1 KR100869056 B1 KR 100869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reaction liquid
bag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133A (ko
Inventor
조병권
Original Assignee
(주)참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맛 filed Critical (주)참맛
Priority to KR102006001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056B1/ko
Priority to EP07709084A priority patent/EP1986533B1/en
Priority to US12/280,431 priority patent/US8118021B2/en
Priority to CN2007800062449A priority patent/CN101389248B/zh
Priority to AT07709084T priority patent/ATE531301T1/de
Priority to PCT/KR2007/000959 priority patent/WO2007097591A1/en
Priority to JP2008556253A priority patent/JP4887382B2/ja
Publication of KR2007008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연통된 제1팩과 제2팩을 갖는 가열팩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팩은 소정의 반응액체를 수용하고, 상기 반응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팩은 상기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제2발열체를 수용하며, 상기 반응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이 편리한 가열팩유니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팩유니트{HEATING PACK UNIT}
도 1은 종래 가열팩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가열팩유니트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팩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팩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열팩유니트 200 : 제1팩
201 : 제1팩주머니 203 : 내커버
207 : 외커버 210 : 반응액체주머니
211 : 티어링부재 213 : 연통공
220 : 제2발열체 240 : 유출구
300 : 제2팩 301 : 제2팩주머니
303 : 외커버 307 : 내커버
320 : 제1발열체 340 : 유입구
400 : 음식물수용부 500 : 연결부재
본 발명은, 가열팩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용액의 유동구조를 개선한 가열팩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가열팩유니트는 야외에서 별도의 취사도구 없이 간편하게 음식물을 데울 때 사용되며 특히, 동절기에 기온이 내려갈 때 작전 중인 군부대의 장병들을 위해 많이 사용된다.
가열팩유니트는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와, 반응액체를 수용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팩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반응액체와 발열체를 반응시키고 이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한다. 이러한 가열팩유니트의 구성은 한국특허출원 2003-0053988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술한 공보에 개시된 종래 가열팩유니트(1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응액수용부(21)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가열팩유니트(10)는 상호 연통가능하게 결합된 제1팩(20)과, 제2팩(30)과, 두 팩(20,30) 사이에 마련되는 음식물수용부(40)를 포함한다.
제 1팩(20)과 제2팩(30)은 각각 내부에 반응액체를 수용하는 반응액체주머니 (21, 31)와,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체(25, 35)를 포함한다. 반응액체주머니(21, 3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21) 표면 일측에 사용자가 가압하여 주머니(21)를 찢을 수 있도록 마련된 티어링부재(23)가 마련된다. 발열체(25a)는 반응액체와 직접 접촉하여 즉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부직포(25) 등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가열팩유니트(10)가 음식물을 가열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가열팩유니트(10)의 음식물수용부(50)에 음식물을 삽입하고 외측에 돌출 형성된 제1팩(20)과 제2팩(30)의 티어링부재(23, 33)에 힘을 가한다.
힘을 받은 티어링부재(23, 33)는 반응액주머니(21)를 찢게 되고, 반응액은 외부로 유출되며 발열체(25a)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팩(20)과 제2팩(3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두 팩(20, 30)의 사이에 개재된 음식물은 열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가열팩유니트(10)는 제1팩(20)과 제2팩(30)에 각각 발열체(25, 35)와 반응액체주머니(21, 31)를 포함하므로 반응액체주머니(21, 31)로 인한 무게의 상승을 초래하여 장시간 이동시 다량을 휴대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음식물을 데우기 위해 제1팩(20)과 제2팩(30)의 티어링부재(23, 33)를 동시에 가압하여야 하므로 사용시 번거로움이 유발되었다.
그리고, 티어링부재(23, 33)를 가압한 경우에 반응액체주머니(21, 31)가 가압에 의해 제1팩(20)과 제2팩(30)의 상단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반응액체주머니(21, 31)의 반응액이 완전히 발열체(25, 35)와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발열효율이 저하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액주머니의 양을 줄여 무게가 가볍고 사용이 간편한 가열팩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반응액주머니의 유동을 줄여 반응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열팩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접착하여 그 사이에 음식물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팩과 제2팩을 갖는 가열팩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1팩은 소정의 반응액체를 수용하는 반응액체주머니와, 상기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제1발열체와, 상기 반응액체주머니 및 상기 제1발열체를 수용하며 상기 반응액체주머니의 파손시 상기 반응액체가 상기 제2팩으로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제1팩주머니를 포함하며; 상기 제2팩은 상기 유출구로 유출된 상기 반응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2팩주머니와, 상기 제2팩주머니에 수용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제2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팩은 상기 반응액체주머니를 찢을 수 있도록 마련된 티어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제1팩의 유출구와 상기 제2팩의 유입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반응액체를 연통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팩의 유출구와 상기 제2팩의 유입구는 서로 접촉되게 마련되어 상기 반응액체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유입구로 직접 연통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는 상기 음식물수용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식물수용부는 하부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는 상기 음식물수용부의 하부개구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팩의 유출구와 상기 제2팩의 유입구의 주변에는 상기 반응액체의 유동시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액체주머니는 테두리영역이 실링된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팩주머니는 상호 접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팩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통공은 상기 한 쌍의 팩커버의 접착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테두리부 중 상기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상기 한 쌍의 팩커버와 접착되고 상기 테두리부 중 상기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한 쌍의 팩커버가 상기 연통공을 통하여 직접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은 열융착, 고주파융착, 접착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생략함을 밝힌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팩유니트(100)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가열팩유니트(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팩유니트(100)는 상호 연통된 제1팩(200)과 제2팩(300), 그리고 제1팩(200)과 제2팩(300) 사이에 마련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는 음식물수용부(400)를 포함한다.
제1팩(200)은 반응액체가 저장된 반응액체주머니(210)와,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제1발열체(220)와, 반응액체주머니(210) 및 제1발열체(220)를 수용하는 제1팩주머니(201)를 포함한다.
반응액체주머니(210)는 제1발열체(220)와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반응액체가 저장되며, 반응액체는 0.5~20%의 NaCl 수용액이 사용된다. 반응액체주머니(210)의 표면 일측에는 반응액체주머니(210) 내부의 반응액체가 제1발열체(220)와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티어링부재(211)와, 제1팩주머니(201)와 반응액체주머니(2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연통공(213)이 마련된다.
여기서, 반응액체주머니(210)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포장재로 구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이들 포장재 중에는 충격을 완충하며 열에 의해 접착되는 성질을 갖는 LLDPE(linear-low density polyethylene)를 포함하는 것이 제1팩주머니(201)와 결합시 접착을 용이하게 하며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티어링부재(211)는 반응액체주머니(210)의 테두리부(215)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외측으로 가압을 할 경우 반응액체주머니(210)를 찢어서 반응액체가 제1발열체(220)와 반응하도록 한다. 티어링부재(211)는 도 4에 도시한 실시예 외에도 주머니의 표면에 마련되어 주머니를 찢을 수 있는 다양한 종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티어링부재(211)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티어링부재(211)를 가압하여 반응액체와 제1발열체(220)를 반응시키지만, 이 외에 사용자가 외부에서 팩의 전면과 후면에서 동시에 압력을 가하여 반응액체주머니(210)를 터뜨려 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음을 밝힌다.
연통공(213)은 테두리부(215)에 마련되어 반응액체주머니(210)를 수용하는 제1팩주머니(201)의 내커버(203)와 외커버(207)의 접착을 용이하게 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팩주머니(201)의 내커버(203)와 외커버(207)의 접착시 연통공(213)을 통해 내커버(203)와 외커버(207)가 직접 접촉되면서 접착되므로 접착효율이 높아지고 접착 후 내커버(203)와 외커버(207)가 외력에 의해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통공(213)은 내커버(203)와 외커버(207) 사이에 개재되어 내커버(203)와 외커버(207)와 함께 접착되므로 반응액체주머니(210)가 제1팩주머니(201) 내에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티어링부재(211)의 가압에 의해 반응액체주머니(210)가 찢어지더라도 반응액체주머니(210)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연통공(213)의 크기와 개수는 제1팩주머니(201)의 크기와 두께,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접착효율을 위해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반응액체주머니(210)와 제1발열체(220)는 소정의 접착방법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는 티어링부재(211)에 의해 반응액체가 반응액체주머니(210)로부터 분출될 때 제1발열체(220)의 위치가 고정되어 반응면적을 넓히고 반응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반응액체주머니(210)와 제1발열체(220)의 접착방법은 반응액체주머니(210)의 재질과 제1발열체(220)를 수용한 부직포(221)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종래 접착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핫멜트에 의해 결합한다.
제1발열체(220)는 마그네슘(Mg), 철(Fe)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반응액체와 접촉시 화학반응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제1발열체(220)는 반응액체와 반응시 일정한 면적내에 동일한 열이 발생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구획된 부직포(221) 등의 내부에 수용된다. 부직포(221)는 제1발열체(220)와 반응액체의 반응시 반응액체를 흡수하며 반응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며 반응시간을 연장시켜 오랫동안 열이 발생하도록 한다.
제1팩주머니(20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커버(207)와, 내커버(203)로 이루어진다. 외커버(207)와 내커버(203)는 상호 접착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며 소정의 접착방법에 의해 접착되어 반응액체주머니(210)와 제1발열체(22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외커버(207)와 내커버(203)는 홑겹의 재질로 마련되거나 다수의 겹으로 이루어진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수의 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외부에 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커버(207)와 내커버(203)를 이 루는 재질은 열에 의해 접착되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 마련되는 것이 상호 결합시 결합효율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커버(207)와 내커버(203)는 열융착, 초음파융착, 고주파융착, 그리고 접착제 등의 방법에 의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외커버(207)와 내커버(203)는 테두리부(208)가 상호 접착된다. 여기서, 테두리부(208)의 내측에는 반응액체주머니(210)를 사이에 두고 외커버(207)와 내커버(203)가 연통공(213)을 통하여 상호 접착되는 결합부(209)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209)는 외커버(207) 및 내커버(203)의 하부영역에 마련된다. 이 때, 외커버(207)와 내커버(203)의 결합부(209)는 반응액체주머니(210)의 연통공(213)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접촉하게 되며, 열을 가하게 되면 외커버(207)와 내커버(203)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된 반응액체주머니(210)는 융착되어 쉽게 결합된다.
즉, 내커버(203)와 외커버(207)의 결합부(209) 중 연통공(213)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은 반응액체주머니(210)의 양면에 각각 융착되고, 결합부(209) 중 연통공(213)에 대응하는 영역은 내커버(203)와 외커버(207)가 연통공(213)을 통하여 직접 융착된다. 이에, 내커버(203), 외커버(207) 및 반응액체주머니(210)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결합 후 반응액체주머니(210)의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209)는 테두리부(208)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테두리부(208)의 일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내커버(203)의 일측에는 반응액체가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유출구(240)가 마련된다. 유출구(240)는 티어링부재(211)에 의해 반응액체가 반응액체주머니(210)로부터 배출될 때 반응액체를 제2팩(300)으로 유출시킨다. 유출구(240)는 음식물수용부(4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음식물수용부(400)에 수용된 음식물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한, 유출구(240)는 제2팩(300)으로 유동되는 유량을 조절하여 제1팩(200)과 제2팩(300)의 반응액체의 수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제1팩(200)의 하단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출구(240)의 크기는 제2팩(300)으로 전달되는 반응액체의 유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출구(24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유출구(240)의 주변에는 유출구(240)로 유동되는 반응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240a)가 마련된다. 실링부(240a)는 유출구 (24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테이핑, 실리콘 등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팩(300)은 제1팩(200)으로부터 유입된 반응액체에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제2발열체(320)와, 제2발열체(320)를 수용하는 제2팩주머니(301)를 포함한다. 제2발열체(320)는 제1발열체(22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며, 소정의 부직포 내에 수용된다. 제2발열체(320)는 제1팩(200)으로부터 유입되는 반응액체의 양에 대응하여 충분한 열을 낼 수 있는 양이 마련되는 것이 열효율을 높이는데 바람직할 것이다.
제2팩주머니(301)는 제1팩주머니(201)의 유출구(240)로부터 유입되는 반응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340)가 마련된다. 유입구(340)는 제1팩주머니(201)의 유출구(24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거나,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340)가 유출구(240)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경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높이에 마련되어(h1=h2) 반응액체가 유출구(240)와 유입구(340)를 통해 직접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유입구(340)가 유출구(240)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경우, 즉 서로 상이한 높이에 마련되거나 동일한 높이이나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경우(h1≠h2)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결부재(500)에 의해 반응액체가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500)는 제1팩주머니(201) 및 제2팩주머니(301)를 이루는 포장재와 동종재질로 마련되거나, 빨대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결합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유입구(340)의 주변에는 유입구(340)로 유동되는 반응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340a)가 마련된다. 실링부(340a)는 유입구(34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테이핑, 실리콘 등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팩의 내커버(203)와 제2팩의 내커버(30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팩(200)과 제2팩(300)의 반응액체가 음식물수용부(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팩유니트(100)의 제조방법을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반응액체가 저장된 반응액체주머니(210)의 테두리부(215)의 하단부에 펀칭기를 사용하여 연통공(213)을 형성한다. 그리고 반응액체주머니(210)의 일측에 핫멜트를 도포하여 제1발열체(220)를 둘러싼 부직포(221)와 고정결합한다.
그리고, 제1팩(200)의 외커버(207)와 내커버(203)의 위치가 대응되도록 맞추고, 이들 사이에 반응액체주머니(210)와 제1발열체(220)를 외커버(207)와 내커버(203)의 사이에 개재한 후 소정의 실링기를 사용하여 결합부(209)와 테두리부(208)를 접착한다. 이때, 외커버(207)와 내커버(203)의 결합부(209) 사이에 반응액체주머니(210)의 연통공(213)이 개재하도록 하며, 연통공(213)을 사이에 두고 외커버(207)와 내커버(203)가 직접 접착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외커버(207)가 내커버(20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직접 결합하므로 결합효율이 증진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외커버(207)와 내커버(203)의 테두리부(208)는 전체영역이 접착된다.
한편, 여기서 반응액체주머니(210)가 제1팩(200)에 개재될 때는 외커버(207)에 인접하게 삽입하거나, 내커버(203)에 인접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반응액체주머니(210)가 외커버(207)에 인접하도록 마련하고, 제2팩(300)으로 유동되는 반응액체의 유동속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내커버(203)에 인접하게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커버(207)와 내커버(203)와 반응액체주머니(210)의 결합시 티어링부재(211)는 함께 결합되지 않도록 하고, 제1팩주머니(201) 및 제2팩주머니(301)의 상부영역인 입구부(202)를 절취할 경우 티어링부재(2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팩주머니(201) 및 제2팩주머니(301)의 상부영역에는 입구부(202)의 절취를 용이하게 하는 노치(205)가 형성되어 있다.
제2팩(300)은 제2발열체(320)를 삽입한 후 외커버(303)와 내커버(307)의 테두리부(308)를 실링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팩(200)과 제2팩(300)의 테두리부(208, 308)를 서로 결합하여, 두 팩의 사이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음식물수용부(400)를 형성한다. 이 때, 제1팩(200)의 유출구(240)가 형성된 내커버(203)와, 제2팩(300)의 유입구(304)가 형성된 내커버(307)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시키고 두 커버(203, 307)의 테두리부(208, 308)에 열을 가하여 서로 접착시킨다.
이 때, 테두리부(208, 308)의 하단의 소정길이는 서로 접착하지 않고 자유단 상태로 유지한다. 이는 음식물수용부(400)의 하부개구부(41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음식물을 입출할 경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가열팩유니트(100)의 사용방법을 도4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음식물수용부(400)에 가열할 음식물을 수용한다. 그리고, 가열팩유니트(100)의 입구에 형성된 노치(205)를 가압하여 입구부(202)를 개방한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된 티어링부재(211)를 상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때, 티어링부재(211)에 의해 반응액체주머니(210)가 찢어지면서 반응액체가 제1팩(200) 내부로 분출되고 제1발열체(220)와 반응한다. 동시에 반응액체는 유출구(240)를 통해 유입구(340)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반응액체는 제2팩(300)의 제2발열체(320)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음식물수용부(400)에 수용된 음식물은 양 팩(200, 30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가열된다.
여기서, 티어링부재(211)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반응액체주머니(210)는 제1팩(200)의 외커버(207)와 내커버(203) 사이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방향으로 함께 올라가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팩유니트(100)는 제1팩(200)과 제2팩(300)을 연통하는 유출구(240)와 유입구(340)를 포함하여 한 개의 반응액체주머니(210)의 반응액체를 상호 교류하여 종래 가열팩유니트 보다 적은 구성으로 동일한 열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반응액체주머니(210)에 연통공(213)을 형성하여 내커버(203)와 외커버(207)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며 반응액체주머니(210)의 위치를 고정하여 제1발열체(220) 및 제2발열체(320)와의 반응시간을 지연하며 열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1팩(200) 내부에 반응액체주머니(210)와 제1발열체(220)가 구비되어 있으나, 제1팩(200) 내부에 반응액체를 저장하고 그 내부에 티어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된 발열체가 저장된 발열체주머니(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발열체주머니의 티어링 부재를 찢을 경우 반응액체와 직접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발열체가 각각 저장된 제1팩과 제2팩을 구비하며 반응액체주머니만을 수용하는 제3팩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팩과 제2팩과 제3팩은 서로 연통가능한 유출구와 유입구가 상호 형성되어 하나의 반응액 체주머니의 반응액체가 제1팩과 제2팩의 발열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팩과 제2팩에 각각 발열체만 저장하며, 사용자가 반응액체주머니의 상부영역을 절취하고 제1팩과 제2팩 중 어느 하나로 반응액체 일례로 물을 주입하는 경우 연통공을 통해 제1팩과 제2팩의 반응액체의 수위가 동일해지며 발열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액체가 상호 유동가능한 유출구와 유입구가 마련되어 하나의 반응액체주머니로 음식물을 데울 수 있는 가열팩유니트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가열팩유니트의 무게가 가벼워지므로 휴대가 간편해질 수 있다.

Claims (13)

  1. 상호 접착하여 그 사이에 음식물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팩과 제2팩을 갖는 가열팩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1팩은 소정의 반응액체를 수용하는 반응액체주머니와, 상기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제1발열체와, 상기 반응액체주머니 및 상기 제1발열체를 수용하며 상기 반응액체주머니의 파손시 상기 반응액체가 상기 제2팩으로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제1팩주머니를 포함하며;
    상기 제2팩은 상기 유출구로 유출된 상기 반응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제2팩주머니와, 상기 제2팩주머니에 수용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제2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팩은 상기 반응액체주머니를 찢을 수 있도록 마련된 티어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팩의 유출구와 상기 제2팩의 유입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반응액체를 연통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팩의 유출구와 상기 제2팩의 유입구는 서로 접촉되게 마련되어 상기 반응액체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유입구로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는 상기 음식물수용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수용부는 하부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는 상기 음식물수용부의 하부개구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팩의 유출구와 상기 제2팩의 유입구의 주변에는 상기 반응액체의 유동시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액체주머니는 테두리영역이 실링된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팩주머니는 상호 접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팩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통공은 상기 한 쌍의 팩커버의 접착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테두리부 중 상기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상기 한 쌍의 팩커버와 접착되고 상기 테두리부 중 상기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한 쌍의 팩커버가 상기 연통공을 통하여 직접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은 열융착, 고주파융착, 접착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60018345A 2006-02-24 2006-02-24 가열팩유니트 KR10086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345A KR100869056B1 (ko) 2006-02-24 2006-02-24 가열팩유니트
EP07709084A EP1986533B1 (en) 2006-02-24 2007-02-23 Pouch pack with controlled temperature
US12/280,431 US8118021B2 (en) 2006-02-24 2007-02-23 Pouch pack controlling temperature
CN2007800062449A CN101389248B (zh) 2006-02-24 2007-02-23 控制温度的袋形包装
AT07709084T ATE531301T1 (de) 2006-02-24 2007-02-23 Klimatisierbeutel
PCT/KR2007/000959 WO2007097591A1 (en) 2006-02-24 2007-02-23 Pouch pack controlling temperature
JP2008556253A JP4887382B2 (ja) 2006-02-24 2007-02-23 温度調節パウチパッ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345A KR100869056B1 (ko) 2006-02-24 2006-02-24 가열팩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133A KR20070088133A (ko) 2007-08-29
KR100869056B1 true KR100869056B1 (ko) 2008-11-18

Family

ID=3861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345A KR100869056B1 (ko) 2006-02-24 2006-02-24 가열팩유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9056B1 (ko)
CN (1) CN1013892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319A (ko) * 2015-06-29 2018-04-04 (주)참맛 열반응팩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3930B2 (ja) * 2010-02-02 2015-08-12 ケイエスピ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Ksp Co., Ltd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6159314B2 (ja) * 2011-04-15 2017-07-12 ハーベスト チャームフ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Harvest Charmfoods Co., Ltd. ポーチ
JP2015536282A (ja) * 2012-10-19 2015-12-21 ハーベスト チャームフ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Harvest Charmfoods Co., Ltd. 直立型パウチ
ITRM20130234A1 (it) * 2013-04-18 2014-10-19 Stefano Montellanico Kit per il trattamento termico dei cibi.
CN106690056B (zh) * 2017-02-03 2020-03-27 成都市亚丁胡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凉糕粉及其制备方法
CN111108044B (zh) * 2017-07-20 2022-07-08 坦普拉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分布的反应物的自加热食品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26A (ko) * 2001-11-17 2003-05-23 (주)참맛 가열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889B1 (en) * 1999-07-12 2001-09-18 Tda Research, Inc. Self-heating flexible package
CA2451219A1 (en) * 2001-06-29 2003-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lf-heating/self-cooling pack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26A (ko) * 2001-11-17 2003-05-23 (주)참맛 가열 패키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319A (ko) * 2015-06-29 2018-04-04 (주)참맛 열반응팩유니트
KR101957215B1 (ko) * 2015-06-29 2019-03-12 (주)참맛 열반응팩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89248A (zh) 2009-03-18
KR20070088133A (ko) 2007-08-29
CN101389248B (zh)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056B1 (ko) 가열팩유니트
US8118021B2 (en) Pouch pack controlling temperature
US8734015B2 (en) Flexible package bag provided with one-way functioning nozzle and packaging structure for liquid material
JP3657914B2 (ja) 1回使用使い捨て型飲料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JP6159314B2 (ja) ポーチ
KR20090132467A (ko) 마스크팩 포장재
JP7240051B1 (ja) 発熱性積層体および加熱装置
KR20070090720A (ko) 가열팩유니트
KR101099049B1 (ko)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JP2008138908A (ja) 加熱剤、加熱剤の製造方法及び加熱機能付き食品容器
KR101018831B1 (ko) 가열팩유니트
WO2012132885A1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の製造方法
KR100821169B1 (ko) 냉각팩유니트
KR20160110420A (ko) 파우치
KR20150087237A (ko) 직립형 파우치
KR200336223Y1 (ko) 가열 패키지
KR100633116B1 (ko) 식품 저장용 파우치의 패키지 수용팩 설치구조
JP3686930B2 (ja) 加熱ユニット及び加熱容器
KR100523185B1 (ko) 가열 패키지
KR100615064B1 (ko) 배기보조수단을 구비한 열접합성 지퍼백
KR100429328B1 (ko) 가열 패키지
KR101957215B1 (ko) 열반응팩유니트
JP6894935B2 (ja) 包装袋
KR200391000Y1 (ko) 차주머니
KR101949778B1 (ko) 가압배출 비닐포장봉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