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185B1 - 가열 패키지 - Google Patents

가열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185B1
KR100523185B1 KR10-2003-0053988A KR20030053988A KR100523185B1 KR 100523185 B1 KR100523185 B1 KR 100523185B1 KR 20030053988 A KR20030053988 A KR 20030053988A KR 100523185 B1 KR100523185 B1 KR 10052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ag
liquid
packag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5247A (ko
Inventor
조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우젠
(주)참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우젠, (주)참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우젠
Priority to KR10-2003-005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185B1/ko
Priority to JP2006500703A priority patent/JP4296316B2/ja
Priority to PCT/KR2004/001938 priority patent/WO2005011453A1/en
Publication of KR2005001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30Devices for warming by making use of burning cartridges or other chemical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층을 구비한 외면과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내면으로 구성되고 외면과 내면이 마주보고 있는 층은 열에 의해 접착되며 외면과 내면 사이에, 액체와 공기를 통과시키는 포장재로 형성되며 액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주머니; 발열 주머니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외면과 내면에 테두리가 접하며, 복수 개의 층 중 외면과 내면의 테두리에 접하게 되는 층은 외면과 내면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층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액체 주머니; 및 액체 주머니의 표면에 고정되어 액체 주머니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끈을 구비하며, 외면과 내면의 테두리를 접착하여 테두리를 봉인하고 액체 주머니의 테두리가 외면과 내면 사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제 1 가열 주머니와, 제 1 가열 주머니와 동일한 구성을 하는 제 2가열 주머니가 제 1 가열 주머니와 테두리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요입부를 가지며, 발열체와 액체의 반응으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절취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증기 배출공을 구비하며,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 패키지{FLAMELESS HEATER}
본 발명은 화학반응을 통해 열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주머니 모양의 안쪽에 음식물을 집어넣고 양쪽으로 물이 담겨있는 주머니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화학물질을 부착하여 물이 담겨있는 주머니를 터트려서 물과 화학물이 반응하여 생긴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가열하는 경우에 음식물을 용기에 집어 넣은 후에 버너 등을 이용해서 용기를 가열한다. 음식물을 가열하는 이유는 세균 등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 등 위생상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나아가서는 미각적으로 더 좋은 맛을 내고 소화 및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버너, 히터 등의 별도의 가열도구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가열도구를 구비하는 것은 번거롭다. 특히, 군대에서 작전중에 이러한 가열도구를 구비하는 것을 불편하며 병사 개개인이 개인 가열 도구를 구비하는 것은 더욱 그러하다. 또한, 병사들이 개인 가열도구를 소지하여 음식물을 가열을 하는 것은 병사들이 소지해야 하는 물품의 무게가 더 나아가게 되어 작전을 수행하는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가열하지 않은 음식을 취식할 경우 전분이 노화되어 있어 식품의 맛이 떨어지고 소화 및 흡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동절기나 기온이 내려간 경우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병사들의 영양섭취에 부족이 발생하여 전투력이 떨어지게 되어 작전 수행 중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사회에서도 산에서 취사하는 것은 산불의 위험때문에 금지되는 곳이 많아 음식을 가열하는 데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과 반응하여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마그네슘계 발열합금과 같은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여 반응열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열 패키지 내에 화학물질이 담겨 있는 주머니를 구비하도록 하고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물과 화학물질이 반응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가열 패키지 안에 별도의 물주머니를 구비하고 음식물을 가열하고자 할 때에 물주머니를 터트려서 물과 화학물질이 반응하도록 하는 방법과 가열 패키지 내에 별도의 물주머니 없이 음식물을 가열하고자 할 때에 가열 패키지에 물을 첨가하여 물과 화학물질이 반응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별도의 물주머니 없이 물을 첨가하여 열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은, 물을 별도로 첨가하여 작전 중의 병사들이 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있고, 일반적으로 한쪽면에만 발열 주머니가 있어 반대쪽에는 열이 충분히 가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화학물질과 반응하는 물이 담겨있는 주머니를 구비하도록 하여 주머니를 터트려 반응을 유도하는 경우에 주머니에 물이 남아 모두 반응을 하지 않을 수 있어 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사용하여 물이 주머니에서 전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물이 끓으면서 넘칠 우려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음식물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치우쳐져 하부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하부의 음식물은 충분히 가열되지 않을 수 있어 특히 쌀 등의 미곡을 가열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열 패키지의 내부의 물주머니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가열 패키지를 보관하는 경우에 복수 개의 가열 패키지가 담겨 있는 박스를 창고 등에 대량으로 쌓아 놓아 보관을 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박스 내에 있는 가열 패키지는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가열 패키지의 물주머니가 파손되어 사용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가열패키지를 이송 또는 분배하는 과정에서 많은 충격이 가해질 수 있어 이송 또는 분배하는 과정에서 물주머니가 파손되어 사용불가능해지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주머니의 포켓형태의 가열 주머니를 형성하여 가열하고자 하는 물질의 양측에 구비하여 양측면에서 내용물을 가열하여 가열이 잘 될 수 있도록 하며 가열패키지와 내용물이 밀착되어 열전달률을 높이고 발생하는 열이 전도에 의한 간접가열의 형태를 취하므로 가열 패키지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한 내용물의 오염이 없도록 하며 발열물질이 전체적으로 화학반응을 일으켜 내용물이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하며, 발열시간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가벼워 개인이 소지하기 용이하며 외부의 충격에 쉽게 망실되지 않으며, 가열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층을 구비한 외면과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내면으로 구성되고 외면과 내면이 마주보고 있는 층은 열에 의해 접착되며 외면과 내면 사이에,
액체와 공기를 통과시키는 포장재로 형성되며 액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주머니; 발열 주머니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외면과 내면에 테두리가 접하며, 복수 개의 층 중 외면과 내면의 테두리에 접하게 되는 층은 외면과 내면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층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액체 주머니; 및 액체 주머니의 표면에 고정되어 액체 주머니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끈을 구비하며, 외면과 내면의 테두리를 접착하여 테두리를 봉인하고 액체 주머니의 테두리가 외면과 내면 사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제 1 가열 주머니와,
제 1 가열 주머니와 동일한 구성을 하는 제 2가열 주머니가 제 1 가열 주머니와 테두리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요입부를 가지며, 발열체와 액체의 반응으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절취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증기 배출공을 구비하며,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좀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가열 주머니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열 패키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내부 포장지(10')와 외부 포장지(10)가 겹쳐져 있고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가열수단인 제 1 가열 주머니(20)와 제 2 가열 주머니(20')가 생성된다. 그리고 제 1 가열 주머니(20)와 제 2 가열 주머니 (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손잡이 부분(30)으로 형성된다. 두 장의 포장지는 가열 패키지(100)의 각각 외부에 형성되는 것과 내부에 형성되는데 외부에 형성되는 포장지의 손잡이 부분(30)의 길이가 내부 포장지(10')의 손잡이 부분(30) 보다 더 길게 하여, 내부 포장지(10')는 손잡이 부분(30)의 A-A'선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포장지는 A-A' 선보다 더 길게 한다. 따라서, 손잡이 부분(30)의 A-A'의 위쪽 부분을 절삭을 하면 외부 포장지(10)는 찢어지게 되고, 내부 포장지(10')는 외부 포장지(10)와 달리 A-A'선에서 서로 이어져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A-A'의 선 부분을 찢으면 손잡이 부분(30)은 외부 포장지(10)만이 찢어지고 제 1 가열주머니(20)와 제 2 가열주머니(20')의 내부 포장지(10')는 서로 이어져 있게 되며 내부포장지(10')가 연결되어 있는 A-A'선까지의 길이는 제 1 가열 주머니(20)와 제 2 가열 주머니(20')의 경계판(70)의 역할을 하게 된다.
내부 포장지 (10')와 외부 포장지(10)의 외곽 테두리는 겹쳐서 봉인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패키지(100)의 제 1 가열 주머니(20)가 생성되어 발열 주머니, 액체 주머니, 절취끈(50) 및 종이티슈가 제 1 가열 주머니의 내부에 들어간다. 또한, 도 2와 동일하게 제 2 가열 주머니(20')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B-B'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 주머니(21), 액체 주머니(25) 및 종이티슈(29)가 형성되며 액체 주머니(25)의 표면에 액체 주머니(25)를 터트릴 수 있는 수단인 절취끈(50)이 부착되어 있어 절취끈(50)을 잡아 당기면 액체 주머니(25)가 터질 수 있도록 한다. 절취끈(50)은 A-A'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하여 두 개의 액체 주머니 (25)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발열 주머니(21)는 고체상 발열체가 내장되어 있으며 발열 주머니(21)가 보관상 또는 이동상의 유리함을 갖도록 유연성 있게 제작되며 천연 섬유부직포, 천연 펄프부직포 또는 발포 수지 시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가 한 쪽에 치우쳐지지 않고 일정한 면적내에서 동일한 열을 발생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셀로 구분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액체와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가 반응할 때 셀의 형태로 분할되어 있지 않으면 발열체가 발열 주머니(21) 내에서 한 쪽에 치우칠 수 있게 되어 가열하고자 하는 내용물 전체를 가열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생기는데 셀로 분할을 하여 셀단위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고체상 발열체는 마그네슘(Mg), 철(Fe) 등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고체상 발열체는 마그네슘과 철을 볼밀링머신에 넣고 밀링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서로 섞이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액체 주머니(25)는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반응열이 발생하는 물질이 저장되어 있는 수단으로, 0.5~20%의 NaCl 수용액이 들어 있다. NaCl 수용액으로 액체를 구성하는 이유는 물과 NaCl로 구성된 전해질이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와 물의 반응을 촉진시켜 발열반응이 더 잘 일어나게 하며, 동절기에 액체가 얼게될 염려가 있는데 액체가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NaCl수용액을 사용하여 액체의 어는점을 낮게하여 동절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액체가 얼 염려가 없는 경우에는 액체에 NaCl을 첨가하는 대신에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에 건염을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NaCl외에 MgCl, CaCl,KC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열 주머니(21)와 액체의 반응을 하기 위해서는 액체 주머니(25)가 터지게 되어 액상물질이 배출되어 발열 주머니(21) 속으로 침투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도록 한다. 그러기 위해서 액체 주머니(25)의 외부표면에 절취끈(50)을 부착하여 절취끈(50)을 잡아 당기면 액체 주머니(25)가 찢어지게 되어 액상물질이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액상물질이 액체 주머니(25)에서 나와 발열체와 반응하여 액체가 끓어 넘쳐 반응하도록 하는 액체의 양이 부족하여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하여 액체 주머니(25)와 발열체 주머니(21) 사이에 종이티슈(29)를 구비하도록 하여 액체 주머니(25)에서 방출된 액체를 티슈가 일정량을 저장하여 액체가 넘치는 것을 막고 티슈가 액체를 저장하고 있어, 액체가 한꺼번에 발열체에 투입되어 발열체가 일시에 반응하는 것을 막아 발열이 고르게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티슈가 심지 역할을 하여 액체를 흡수하여 발열체 주머니에 전체적으로 액체를 공급하여 동시에 전체적으로 발열체가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티슈는 발열 주머니(21)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지는 액체 주머니(25), 발열 주머니(21) 및 종이티슈(29)를 포장하여 주머니형태가 되도록 하며, 포장지의 한쪽 면에 손잡이 부분(30)이 형성되도록 한다.
손잡이 부분(30)은 제 1 가열 주머니(20)와 제 2 가열 주머니(20')에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가열패키지(100)은 손잡이 부분(30)을 합착한 것을 사용하게 되며 제 1 가열 주머니(20)의 액체 주머니(25)와 제 2 가열 주머니 (20')의 액체 주머니(25)가 터질 수 있도록 하는 절취끈(50)이 손잡이 부분(30)을 통하여 밖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손잡이 부분(30)의 일정부분을 절취하여 절취끈(50)이 노출되도록 하여 가열하고자 하는 경우에 절취끈(50)을 잡아 당겨 가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손잡이 부분(30)은 발열체와 액체의 반응열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로 사용되어 수증기 배출수단으로 사용된다.
절취끈(50)은 가열 패키지(100)의 액체 주머니(25)가 터지도록 하여 액체를 배출하는 수단으로 제 1 가열 주머니(20)의 액체 주머니(25)와 제 2 가열 주머니 (20')의 액체 주머니(25)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손잡이 부분(30)의 일정부분을 잘라내면 절취끈(50)이 외부로 노출되어 절취끈(50)을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하여 절취끈(50)을 잡아당겨 액체 주머니(25)의 표면이 찢어지게 되어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액체주머니(25)와 포장지는 각각 여러 겹으로 구성되어 가열 패키지가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액체주머니(25)는 여러 층으로 구성된 포장지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하여 부착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액체주머니(25)를 구성하는 한장의 포장지의 각 층은 1번층 과 5번층은 LLDPE(linear-low density polyethylene), 2번층은 NY(nylon), 3번 층은 AL (aluminium foil), 4번층은 EZ.NY(easy-cut nynlon)으로 구성된다.
LLDPE는 충격을 완충하며 열에 의해 접착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액체주머니가 쉽게 터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1번층을 구성하는 LLDPE는 20~40㎛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하고 5번층을 구성하는 LLDPE는 60~80㎛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NY는 쉽게 찢어지는 성질을 갖고 있어 액체주머니가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한다. NY는 약 10~20㎛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포장지를 구성하는데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은 아니며 생략이 가능하다.
AL은 방습효과를 갖는 성질을 갖고 있어 액체주머니(25)에 담겨 있는 액체가 외부로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액체주머니가 찢어져야만 액체주머니에 담겨있는 물이 화학물질과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AL은 약 5~15㎛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EZ.NY은 NY의 쉽게 찢어지는 성질을 보완하여 한방향으로만 액체주머니가 찢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특정한 방향으로는 약한 힘으로도 쉽게 찢어지지만 다른 방향은 잘 찢어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한방향으로 찢어지는 성질을 갖고 있어 액체주머니(25)가 절취끈(50)에 의해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한다. EZ.NY는 NY보다 더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한다. EZ.NY의 두께는 약 10~20㎛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체 주머니의 포장지를 반으로 접은 후에 한면을 제외하고 테두리를 봉인을 하여 주머니 형태로 구성한 후에 액체를 주입하고 나머지 부분을 봉인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체주머니(25)는 충격에 강하며 절취끈에 의해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액체주머니(25)의 내부와 외부층은 LLDPE로 구성되어 액체주머니(25)를 주머니 형태로 제작하는 것과 액체 주머니(25)가 포장지에 부착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포장지는 외부 포장지(10)와 내부 포장지(10`)의 두 장으로 구성되며, 내부 포장지(10`)에 내용물이 닿게 되며 외부 포장지(10)는 외부에 노출된다.
내부 포장지(10`)는 차례로 약 20~40㎛의 두께를 갖는 LLDPE, 약 5~15㎛의 두께를 갖는 AL, 약 10~20㎛의 두께를 갖는 NY, 50~70㎛의 두께를 갖는 CPP(cast polypropylene)으로 구성되며, 외부 포장지(10)는 차례로 약 10~20㎛의 두께를 갖는 PET(polyester), 약 5~15㎛의 두께를 갖는 AL, 약 10~20㎛의 두께를 갖는 NY, 약 50~70㎛의 두께를 갖는 LLDPE로 구성된다.
포장지는 내부 포장지(10`)와 외부 포장지(10) 사이에 발열주머니(21)와 액체주머니(25)가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100)는 먼저 도 4a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가열 패키지를 구성하는 발열주머니(21), 액체 주머니(25) 및 티슈 등을 내부포장지(10`) 상의 지정된 위치에 놓고 테두리를 실링기를 이용하여 봉인을 한다. 이때, 액체 주머니(25)를 절단하도록 하는 수단인 절취끈(50)과 절취끈(50)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봉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액체 주머니(25)가 절단되어 있는 부분이 접혀 있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포장지(10)가 화살표 방향으로 내부 포장지(10`)상에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패키지(100)를 접어 제 1 가열주머니(20)와 제 2 가열주머니(20`)가 겹쳐지게 한 후 다시 실링기를 이용하여 테두리를 봉인을 한다. 이때, 내부포장지(10`)는 서로 마주보도록 된다. 내부포장지 (1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CPP로 구성되어 실링기에 의해 열이 가해져도 서로 붙지 않게 된다. 따라서, 봉인을 하는 과정에서 마주보고 있는 내부포장지(10`)는 서로 접착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내부포장지(10`)의 CPP의 반대면과 외부포장지 (10)의 내면은 LLDPE로 구성되어 실링기에 의해 열이 가해지면 접착되도록 하여 내부포장지(10`)와 외부 포장지(10)의 테두리가 붙도록 하여 내부포장지(10`)과 외부포장지(10)의 사이에 위치하는 물주머니가 내부포장지(10`)와 외부포장지(10) 사이에 고정되어 물주머니를 절취끈을 이용하여 절취할 때 쉽게 절취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가열주머니(20)와 제 2 가열주머니(20`)의 테두리 중 입구가 형성되는 테두리를 제외하고 CPP 간에 접착이 가능하도록 고열을 가하여 제 1 가열주머니(20)와 제 2 가열주머니(20`)가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켓형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열 패키지의 봉인되지 않은 부분이 입구가 되어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가열패키지(100)에 삽입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액체 주머니(25)가 포장지(10,10`)와 부착되는 면이 LLDPE로 구성되어 봉인하는 과정에서 서로 쉽게 부착된다.
그리고, 액체주머니(25)가 절취끈(50)과 연결되어 있는 부분은 포장지 (10,10`)와 부착되지 않도록 절단된 부분이 접혀 있는 상태에서 실링기를 이용하여 테두리를 봉인하므로, 절취끈(50)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은 봉인되지 않아 포장지(10,10`)에 부착되지 않게 되어 액체주머니(25)가 절취될 수 있도록 한다.
가열 패키지(100)는 포켓형태로 형성되어 가열하고자 하는 내용물이 가열 패키지(100)와 밀착하게 되어 열전달이 잘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체발열체와 액체에 의한 화학반응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기존 타사 제품의 경우 식품에 직접 닿게 되는데 이는 식품 안전성에 위해가 될 수 있는데 포켓형태로 제작된 가열 패키지(100)의 포장지에 의해 내용물을 간접가열 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수증기가 내용물에 닿지 않게 된다. 가열 패키지(100)의 포장지는 방수, 내열,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다. A-A'의 선에서 제 1 가열 주머니(20)의 내부 포장지와 제 2 가열 주머니(20')의 내부 포장지(10')가 서로 이어지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구성성분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100)는 가열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양쪽 측면에 발열 주머니(21)가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을 양쪽에서 가열하게 되어 가열효과를 더 높일 수 있게 한다. 가열 패키지(100)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놓여져 있고 가열 패키지(100)의 액체 주머니(25)와 발열 주머니(21)가 내용물의 위와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액체 주머니(25)를 찢어내어 가열하게 되는 경우에 액체가 급속히 끓게 되어 손잡이 부분(30)을 통하여 액체가 아래에 위치하는 가열 주머니 쪽으로 흘러 들어갈 우려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에 위쪽에 위치하는 발열 주머니(21)의 발열체가 충분히 반응을 하지 못하게 되어 내용물의 가열이 부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포장지(10`)의 A-A`선까지 부분이 경계판(70)의 역할을 하여 경계판(70)에서 물이 넘쳐 아래쪽 주머니로 흘러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양주머니에 물이 부족한 현상이 없어져 내용물의 양측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절취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절취끈이 물주머니와 결합된 부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취끈(50)은 일정한 두께를 갖고 머리부분(51)이 T자형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절취끈(50)의 끝단(52)에 일정한 무늬가 형성되어 있어 손으로 절취끈(50)을 잡을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T자형 머리부분(51)의 일정거리 밑에 얇은 두께를 같은 2개의 가지 (53)가 절취끈(50)의 몸통에 대칭되게 부착된다. 가지(53)는 머리방향으로 경사져서 뻣어나와 있으며, 절취끈(50)은 액체 주머니(25)의 테두리부분에 결합한다.
액체 주머니(25)의 테두리 부분에는 원형의 홈(54)이 형성되어 있어 홈(54)에 절취끈의 끝단(52)부터 들어가도록 하여 절취끈(50)이 액체 주머니(25)에 결합하도록 한다.
따라서, 절취끈(50)은 가지(53)부분과 T자형 머리부분(51)에 의해 결합된 절취끈(50)이 어느 방향으로도 홈(54)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절취끈(5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액체주머니(25)에 부착되어 있으면,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은 상태에서는 접착부분이 끊어질 염려가 있는데, 상기에 제시된 방법은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아 액체 주머니(25)와 결합된 부분이 끊어지지 않게 되며, 절취끈(50)도 일정한 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절취끈(50) 자체가 끊어지지 않도록 한다.
액체 주머니(25)는 절취끈(50)을 이용하여 쉽게 찢어지도록 하기 위해, 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일정한 길이로 절취되어 있는 절취부분이 있어 절취끈(50)을 잡아 당기면 액체 주머니(25)가 잡아 당기는 방향으로 찢어지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를 용기에 담아 사용하는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100)는 가열 패키지(100)를 포장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또한, 식사를 하는데에 사용되는 용기로 사용되는 포장대(200)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포장대(200)는 가열 패키지(100)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종이상자로 이루어지며 한쪽면의 상단에 가열 패키지(100)의 손잡이 부분(30)이 포장대(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의 인출공이 형성된다. 포장대(200)에는 가열 패키지(100)가 담겨져 있으며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식사를 하는데에 필요한 도구(수저, 젓가락, 포크 등)들이 담겨 있을 수 있다.
포장대(200)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100)를 사용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가열 패키지(100)는 가열하고자 하는 내용물이 가열 패키지에 일체로 들어가 있고 가열 패키지(100)의 손잡이 부분(30)이 포장대의 인출공(15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하기 위해서 인출공(150)을 통해 나온 손잡이 부분(30)을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여 절취끈(5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절취끈(50)을 잡아당겨 절취끈(50)과 연결된 액체 주머니(25)가 터지도록 하여 액체와 발열체가 화학반응을 일으켜 열이 발생되어 가열 패키지(100)에 삽입된 내용물을 가열한다.
그리고, 절취끈(50)을 잡아당긴 후에 손잡이 부분(30)을 말아서 다시 포장대 (200)에 집어넣어 손잡이 부분(30)을 통해서 배출되는 수증기가 다시 포장대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포장대(200)의 뚜껑을 닫아 약 20분 정도 가열한 후에 내용물을 가열 패키지(100)에서 인출하고 내용물의 포장지를 뜯어내어 내용물을 포장대(200)에 넣고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내용물을 가열패키지 안에 삽입을 하고 나서 포장대(200)에 집어 넣고 같은 방식으로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다. 포장대(200)에 의해 가열패키지(1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밖으로 인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수증기가 계속적으로 포장대(200) 안에 머무르게 되어 가열 효과가 더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에 의하면 음식물을 양쪽에서 가열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고, 액체 주머니가 구비되어 있어 별도로 물을 첨가할 필요가 없어 물이 부족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액체 주머니가 충격에 강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또한 일정한 방향으로 쉽게 찢어지도록 하여 액체 주머니에서 물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액체 주머니를 찢도록 액체 주머니에 연결되어 있는 절취끈이 튼튼하게 구성하여 절취끈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하며, 액체 주머니와 절취끈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단단히 연결되어 액체 주머니에서 절취끈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절취끈이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은 상황에서 액체 주머니에서 절취끈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가열 발열체를 수평으로 하여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어 중력에 의하여 내용물의 두께가 달라지지 않아 내용물이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가열될 수 있으며, 수평으로 가열발열체를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 두 개의 액체 주머니가 위와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위에 위치한 액체 주머니의 물이 아래로 흘러가 위에 위치한 발열 주머니와 액체의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열발열체의 포켓의 두 개 주머니가 내부포장지인 경계판에 의해 격리되어 있어 하나의 액체 주머니의 액체가 다른 물주머니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액체와 화학물질이 반응을 할때 액체가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발열효과가 증가되어 쌀과 같은 곡류를 가열하는데에 탁월한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가열 주머니와 제 2 가열 주머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제조과정 나타내는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B-B'의 축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의 절취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절취끈이 물주머니와 결합된 부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패키지를 용기에 담아 사용하는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부호설명***
10,10`: 포장지 21: 발열주머니
25: 액체 주머니 29: 티슈
30: 손잡이 50: 절취끈

Claims (13)

  1. 복수 개의 층을 구비한 외면과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내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이 마주보고 있는 층은 열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 사이에,
    액체와 공기를 통과시키는 포장재로 형성되며 액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주머니;
    상기 발열 주머니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에 테두리가 접하며, 상기 복수 개의 층 중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의 테두리에 접하게 되는 층은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층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액체 주머니; 및
    상기 액체 주머니의 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액체 주머니의 상기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끈을 구비하며,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의 테두리를 접착하여 테두리를 봉인하고 상기 액체 주머니의 테두리가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 사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제 1 가열 주머니와,
    상기 제 1 가열 주머니와 동일한 구성을 하는 제 2가열 주머니와,
    상기 제 1가열 주머니와 상기 제 2가열 주머니가 테두리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요입부를 가지며, 상기 발열체와 상기 액체의 반응으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절취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증기 배출공을 구비하며,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의 복수 개의 층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PET(polyester), AL(aluminum foil), NY (nylon), LLDPE(low-density polyethylene)의 순으로 층을 구성되며 상기 LLDPE (low-density polyethylene)층이 상기 액체 주머니의 테두리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은 상기 외면과 접하는 면에서 LLDPE(low-density polyethylene), AL(aluminum foil), NY (nylon), CPP(cast polypropylene)의 순으로 층을 구성되며 상기 LLDPE(low-density polyethylene)층은 상기 액체 주머니의 테두리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PP(cast polypropylene)에 의해 상기 내면이 접착되지 않아 포켓의 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패키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머니는 LLDPE(low-density polyethylene), AL(aluminum foil), EZ.NY(easy-cut nylon) 및 LLDPE(low-density polyethylene)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패키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머니의 상기 LLDPE(low-density polyethylene)층과 상기 AL (aluminum foil)층 사이에 NY(nylon)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패키지의 테두리는 실링기를 이용하여 봉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머니의 테두리의 한 변에 일정부위가 접혀져 절취끈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끈 연결부에 소정의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끈이 상기 소정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끈은 일정한 길이를 갖고, T자 형태의 머리부분과 상기 머리부분의 하단에 상기 머리부분의 방향으로 뻣어나와 있는 가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주머니와 상기 액체 주머니 사이에 종이티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주머니에서 방출된 액체가 상기 제 1 가열주머니와 상기 제 2 가열주머니 상호간에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상기 수증기 배출공 내에 경계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판은 상기 포장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13. 제 1항에 있어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열 패키지의 상기 수증기 배출공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열 패키지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패키지.
KR10-2003-0053988A 2003-08-05 2003-08-05 가열 패키지 KR10052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988A KR100523185B1 (ko) 2003-08-05 2003-08-05 가열 패키지
JP2006500703A JP4296316B2 (ja) 2003-08-05 2004-08-02 非火炎加熱具
PCT/KR2004/001938 WO2005011453A1 (en) 2003-08-05 2004-08-02 Flameless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988A KR100523185B1 (ko) 2003-08-05 2003-08-05 가열 패키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362U Division KR200336223Y1 (ko) 2003-08-06 2003-08-06 가열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247A KR20050015247A (ko) 2005-02-21
KR100523185B1 true KR100523185B1 (ko) 2005-10-24

Family

ID=3411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988A KR100523185B1 (ko) 2003-08-05 2003-08-05 가열 패키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96316B2 (ko)
KR (1) KR100523185B1 (ko)
WO (1) WO20050114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830A2 (ko) * 2009-12-14 2011-06-23 Seo Joon 발열 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2190A (en) * 1983-11-03 1985-06-11 University Of Cincinnati Flexible electrochemical heater
JPH0549542A (ja) * 1991-08-21 1993-03-02 Sadamu Hoshi 簡易発熱装置
JPH07236569A (ja) * 1991-12-22 1995-09-12 Takashi Tomita 水和加熱装置
US5611329A (en) * 1995-08-04 1997-03-18 Truetech, Inc. Flameless hea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346043B1 (ko) * 1999-11-25 2002-07-24 (주)참맛 휴대용 식품 발열용기
KR100429328B1 (ko) * 2001-11-17 2004-04-29 (주)참맛 가열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247A (ko) 2005-02-21
JP2006526429A (ja) 2006-11-24
WO2005011453A1 (en) 2005-02-10
JP4296316B2 (ja)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0909A (en) Self-heating individual meal module
EP1986533B1 (en) Pouch pack with controlled temperature
CA2169259C (en) Self heating individual meal package
US7744940B2 (en) Food product warming or cooling package
JP6159314B2 (ja) ポーチ
EP1401730A1 (en) Self-heating/self-cooling package
US20030116452A1 (en) Trigger mechanism for self-heating/cooling packages or containers universally applied to both rigid and non-rigid packages and containers
US4867131A (en) Combined heating dish and storage container for food
KR100869056B1 (ko) 가열팩유니트
JP2024049838A (ja) 冷却保存に適した発熱性積層体および加熱装置
US20070257030A1 (en) Microwaveable package
JP2013023283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KR200336223Y1 (ko) 가열 패키지
KR100523185B1 (ko) 가열 패키지
JP6473907B2 (ja) ガセット包装袋
JP6786852B2 (ja) パウチ
KR100429328B1 (ko) 가열 패키지
KR200264438Y1 (ko) 가열 패키지
WO1996009967A1 (en) Microwave food heating package including overwrap and method
KR100821169B1 (ko) 냉각팩유니트
JP2015536282A (ja) 直立型パウチ
JP2007068788A (ja) 化学発熱装置付き携帯食品用容器
JP2008302049A (ja) 化学発熱剤発熱装置及び化学発熱剤発熱装置付き携帯食品用容器
JPH11292158A (ja) プラスチック袋体
JP7194373B2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