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934A - 일회용 발열 도시락 - Google Patents

일회용 발열 도시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934A
KR20050050934A KR1020030084601A KR20030084601A KR20050050934A KR 20050050934 A KR20050050934 A KR 20050050934A KR 1020030084601 A KR1020030084601 A KR 1020030084601A KR 20030084601 A KR20030084601 A KR 20030084601A KR 20050050934 A KR20050050934 A KR 2005005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ntainer
container
pack
quicklim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태훈
Original Assignee
맹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태훈 filed Critical 맹태훈
Priority to KR1020030084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0934A/ko
Publication of KR2005005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9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2Cooking- or baking-vessels or supports thereof for using only o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발열 도시락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며, 그 개방면의 둘레에 단턱을 가지는 하부용기와, 그 하부용기의 단턱 일부에 위치하는 홈을 통해 내측으로 연결된 당김줄을 당겨 물팩 및 생석회팩을 개봉하여 그 하부용기 내에서 물과 생석회를 혼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하부용기부와, 상기 하부용기부의 개방면 전체를 밀폐하도록 위치하며, 그 하부용기부에서 물과 생석회가 반응하여 발생하는 수증기 및 반응열을 투과시키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용기부의 단턱에 대응하는 단턱을 구비하여 그 단턱간에 결합이 이루어지고, 그 저면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측면구조만을 가지는 상부용기와, 상기 상부용기 내측의 부직포 상에 위치하며, 상기 부직포를 투과한 수증기 및 반응열에 의해 가열되는 음식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생석회와 물의 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수증기 및 반응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음식물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발열 도시락{single-use pyrexia lunch package}
본 발명은 일회용 발열 도시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석회와 물의 반응열을 이용하여 내재된 음식물을 가열하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에 있어서, 그 생석회와 물의 반응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내재된 음식물을 고르게 데울 수 있도록 한 일회용 발열 도시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일회용 발열 도시락은 겨울철에도 소비자가 따뜻한 도시락을 취식할 수 있도록 생석회와 물을 분리하여 각기 다른 보관부에 저장하고, 취식 전에 그 생석회와 물을 혼합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이다.
종래 일회용 발열 도시락은 생석회와 물의 반응열을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체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소정의 넓이 및 두께를 가지는 음식물 층을 고르게 가열할 수 없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 일회용 발열 도시락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75945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종래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구조 및 그 문제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정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발열팩에서 비닐팩을 제거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작용상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개구에 절첩식으로 여닫는 뚜껑(11)을 갖는 상자(10)와; 양측으로 상기 상자(10)의 상부까지 이르는 큰 높이의 소 단턱(21)과 전후로는 보다 작은 높이의 대 단턱(22)을 형성하여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상기 상자(10) 내에 안착되는 제 1 박스(20)와; 상기 제 1 박스(20) 내부에 헐겁게 삽입, 안착되어 공간부(a)를 가지게 함과 동시에 상기 대 단턱(22)에 걸려 안착되는 상부가 개구되어 플랜지(31)를 가지는 제 2 박스(30)와; 상기 제 2 박스(30)의 일측벽에 스테플러핀(p)으로 고정되고, 중앙에는 일정 간격으로 절취선(41)을 두어 그 사이에 당김천(42)을 고정하여, 저부로 드리워 연장된 당김천(42)이, 제 2 박스(30)의 절개부(32)를 통하여 제 1 박스(20)의 대 단턱(22) 상면을 지나 상자(10)의 절개부(12)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안착된 물팩(40)과; 내부에 생석회(51)를 갖는 부직포 낭(52)을 비닐팩(53)에 수용하여 상기 물 팩(40)의 상부에 재치되게 한 발열팩(50)과; 인스턴트식품 등을 내장한 알루미늄박 재질의 일회용 도시락 용기(60)가 상기 발열팩(50)의 상부로 적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작용을 취식하기 위한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자(10)의 뚜껑(11)을 열어서 취식 할 내용물이 들어 있는 도시락 용기(60)를 꺼낸 후, 발열팩(50)을 인출하여, 비닐팩(53)을 절취하고 부직포 낭(52)을 꺼낸 후, 다시 제자리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비닐팩(53)은 부직포 낭(52)속에 들어 있는 생석회(51)가 주변의 습기나 수분을 흡습하여, 제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한편 부직포 낭(52)은 내부의 생석회(51)가 취급중 인체에 직접 접촉되지않으면서 물이 그 내부로 흡수되기에 적당한 작용을 이루기 위해서 설치된다.
이때 생석회(51)는 물을 흡수하여 발열작용을 이루며 부피 팽창을 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적정량이 내장되도록 한다. 물론 도시락 데우기를 위한 충분한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정해진 생석회(51) 량에 상기 부피 팽창 조건을 고려하여 부직포 낭(52)의 크기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부직포 낭(52)을 물팩(40) 위에 안착시킨 다음에는 인출했던 도시락 용기 (60)를 그 위에 위치하게 복귀시키고, 상자(10)의 뚜껑(11)을 닫는다.(도 2 참조)
이후 상자(10)의 절개부(12)로 노출되어 있는 당김천(42)을 잡아당김에 따라, 이 당김천(42)의 당김힘은 제 2박스(30)에 고정되어 지지 버팀되는 물팩(40)을 고정한 상태에서, 이 물팩(40)의 중앙에 고정된 당김천(42)의 끝단에 미친다. 따라서 당김천(42)의 끝단은 절취선(41)에 의해 찢어지기 쉽게 되어 있는 물팩 (40)에 미치어 당긴 방향으로 물팩(40)이 찢어지면서 당김천(42)은 제 2 박스(30)의 절개부(32)와 제 1 박스(20)의대 단턱(22) 상면에 가이드되고, 상자(10)의 절개부(12)를 통하여 인출된다.
이와 동시에 찢어진 물팩(40)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은 곧바로 그 상면에 놓여진 부직포 낭(52)을 통해 생석회(51)에 흡수되면서 발열과 동시에 부피 팽창을 이루어 결국은 제 2 박스(30)에서 물팩(40)이 차지한 두께까지도 수용하면서 부풀어 올라 도시락 용기(60)의 저면에 닿는 상태로 발열을 하고, 이는 도시락 용기의 알루미늄박 재질에 의해 용이한 열전도를 이루어 그 속의 내용물을 가열하여 데우기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정시간(5분 내지 10분)이 지난 후 데워진 도시락을 따뜻하게 취식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박스(20)의 소 단턱(21)과 대 단턱(22)은 도시락 용기(60)의 상부 플랜지와 바닥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대 단턱(22)은 당김천(42)의 당김력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지며, 각각의 박스(20,30)는 중첩되어서 물의 유출시 외부로 새지 않고 발열팩(50)으로 온전한 흡수를 이루게 하는 차단의 역할과, 외부의 상자(10)와는 이격되는 공간부(a), 즉 공기층을 복구조로 갖게 하여 열기를 외부로 빼앗기는 열 유출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일회용 발열 도시락은 생석회와 물이 섞이는 용기와 음식물이 담기는 부분이 별도의 용기로 되어 있으며,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품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을 담는 용기는 알루미늄박 재질이며 이는 발열팩의 열을 전도 받아 내재된 음식물의 주변으로부터 열을 인가하기 때문에 음식물의 중앙부가 가열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발열팩이 부풀어 올라 알루미늄박에 접해야만 열전도가 정확히 이루어지게 되며, 발열팩의 부풀어 오르는 정도가 알루미늄박에 충분히 접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가열의 정도가 낮아지며, 발열팩의 부풀어 오르는 정도가 과도한 경우 알루미늄박이 밀려 올라가 박스 외부로 돌출되어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알루미늄박은 중금속이며 음식물을 섭취할 때 중금속이 몸에 축적될 수 있으며, 이 정도는 가열하는 경우 더욱 심화되어 인체에 해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석회와 물의 반응에 의한 열이 용기 전체에 퍼지게 되어, 소비자의 인체에 화상을 입히는 등 사용상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생석회와 물의 반응열 및 수증기를 이용한 가열방식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생석회와 물의 반응에 의해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고르게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알루미늄 등의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인체에 해를 주지 않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을 취식할 때 열에 의해 소비자의 인체에 화상을 입히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며, 그 개방면의 둘레에 단턱을 가지는 하부용기와, 그 하부용기의 단턱의 일부에 마련된 홈을 통해 내측으로 연결된 당김줄을 당겨 물팩 및 생석회팩을 개봉하여 그 하부용기 내에서 물과 생석회를 혼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하부용기부와, 상기 하부용기부의 개방면 전체를 밀폐하도록 위치하며, 그 하부용기부에서 물과 생석회가 반응하여 발생하는 수증기 및 반응열을 투과시키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용기부의 단턱에 대응하는 단턱을 구비하여 그 단턱간에 결합이 이루어지고, 그 저면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측면구조만을 가지는 상부용기와, 상기 상부용기 내측의 부직포 상에 위치하며, 상기 부직포를 투과한 수증기 및 반응열에 의해 가열되는 음식물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단턱을 가지며, 상면 전체가 개구되고 저면이 그 상면에 비하여 면적이 작도록 측면이 경사진 하부용기(110)와; 상기 하부용기(110)의 일측면의 내면에 일면이 고정 결합되며, 상호 적층되어 각각 물과 생석회가 보관되는 물팩(150) 및 생석회팩(160)과; 상기 하부용기(110)의 단턱 일부에 위치하는 홈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물팩(150)과 생석회팩(160)의 중앙부를 감아 그 끝단이 상기 단턱에 홈이 있는 하부용기(110)의 일면에 고정되는 당김줄(170)과; 상기 하부용기(110)의 상부전면을 덮는 부직포(140)와; 하부에 단턱을 가지며, 저면과 상면이 개구되며 상면이 저면에 비하여 그 면적이 작도록 측면이 경사지며, 내부에 음식물(180)이 내재됨과 아울러 상기 단턱이 하부용기(110)의 단턱과 사이에 부직포(140)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압착 고정되는 상부용기(120)와; 단턱을 가지며, 저면 전체가 개구되며 저면과 상면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수직인 측면을 가지는 뚜껑(13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하부용기(110)는 동일한 형상으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고, 평면상의 면적이 큰 육면체에서 그 면적이 큰 상면 또는 저면의 전체가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그 개구부의 주변에는 외측으로의 단턱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부용기(110)의 측면은 일방향으로 균일하게 경사가 지며, 이에 따라 상면과 저면의 면적은 각기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용기(120)는 상기 하부용기(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면과 저면이 모두 개구된다.
이와 같은 상부용기(120)의 형상은 이후에 설명하는 가열동작에 필요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하부용기(110)와 상부용기(120)의 구조는 각각의 단부가 상호 접하도록 개구된 면과 동일한 크기의 면을 을 맞대어 압착한다.
상기 하부용기(110)에는 당김줄(170)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용기(110)의 일측면 내측에 상기 물팩(150)과 생석회팩(160)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이때, 고정수단은 하부용기(110)의 일측면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일 수 있으며, 돌출된 영역을 구비하지 않고, 직접 그 일측면 내측에 클립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하부용기(110)에 결합된 물팩(150) 및 생석회팩(160)과 그 물팩(150) 및 생석회팩(160)을 개봉할 수 있는 당김줄(170)의 구조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용기(110)에 담기는 물팩(150)과 생석회팩(160)의 일측은 그 하부용기(110)의 일측면 내측에 고정수단(1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111)이 위치하는 하부용기(110)의 측면과 마주하는 하부용기(110)의 단턱 일부에는 당김줄(170)이 삽입되는 홈이 마련되어 있다.
그 단턱의 홈으로 삽입되는 당김줄(170)은 상기 적층된 물팩(150)과 생석회팩(160)의 저면으로부터 상면으로 감겨 상기 단턱 홈이 위치하는 면에 그 끝단이 고정된다.
상기 물팩(150)과 생석회팩(160)의 구성은 밀봉된 것이며, 밀봉을 위한 여분의 단이 마련되며, 상기 당김줄(170)은 그 단턱에 형성한 홈을 통해 물팩(150)과 생석회팩(160)에 감겨진다.
또한, 상기 당김줄(170)은 그 표면이 요철이 있는 나이론 등의 쉽게 끊어지지 않는 것이며, 그 표면 요철에 의해 당김줄(170)을 당기면 쉽게 물팩(150)과 생석회팩(160)의 중앙부가 개봉될 수 있게 한다.
도 5에서 사용자가 당김줄(170)을 당기면 상기 당김줄(170)은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는 그 물팩(150)과 생석회팩(160)을 개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상기 당김줄(170)의 끝단이 당김줄(170)이 하부용기(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홈이 형성된 그 하부용기(110)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당김줄(170)을 잡아당기면 하부용기(110) 내에 위치하는 당김줄(170)이 형성하는 고리의 크기가 점차 줄어들어 그 물팩(150)과 생석회팩(160)을 개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가열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팩(150)과 생석회팩(160)의 중앙부가 당김줄(170)에 의해 개봉되면 그 물팩(150)의 물(151)과 생석회팩(160)의 생석회(161)가 하부용기(110)의 내에서 서로 혼합된다.
이와 같이 생석회(161)와 물(151)이 혼합되면 열이 발생하면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수증기와 반응열은 하부용기(110)와 상부용기(120)의 중앙을 차단하고 있는 부직포(140)를 투과하여, 음식물(180)에 전달되며, 상부용기(120)의 상면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부용기(120)의 상면에는 뚜껑(130)이 결합된 상태이며, 열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보다 빠르게 음식물(180)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생석회(161)와 물(151)의 반응열과 수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180)을 가열하면 4 내지 5분 사이에 음식물(180)은 취식에 적당한 정도로 가열되며, 이는 종래에 비하여 가열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음식물(180)은 반응열과 수증기에 의해 고르게 가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130)은 닫힌 상태가 되어야 하며, 이때 뚜껑(130)에는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음식물(180)을 가열한 후, 음식물(180)을 취식할 때 상기 하부용기(110)의 온도가 상승하여 인체에 접촉하는 경우, 화상을 입을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뚜껑(130)을 하부용기(110)의 저면 외측에 결합한 후 취식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용기(110)의 저면 외측에 뚜껑(130)을 결합하면, 뚜껑(130)과 하부용기(110)는 그 사이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며, 이는 하부용기(110) 외측의 열을 차단하여 소비자가 음식물(180)을 보다 안전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실시 상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6의 음식물(180) 위쪽에 소스나 반찬을 담은 반찬팩(181)을 마련하여 상기하부용기(110) 내에서 물(151)과 생석회(161)가 반응하여 발생하는 수증기 및 반응열에 의해 반찬팩(181)이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반찬팩(181)은 음식물(180)의 상부전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반찬팩(181)은 반찬 또는 소스를 담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음식물(180)이 보다 빠르고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그 음식물(180)의 상부를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반찬팩(181)은 직접 음식물(180)에 접하지 않고, 상부용기(120)의 개방면을 차폐할 수 있는 상태로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180)은 상부용기(120)에 직접 담겨있는 예를 들었으나, 음식물(180)도 팩에 담아 가열한 후, 취식 전에 개봉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찬팩(181)은 열전도가 가능한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중금속의 인체 축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뚜껑(130), 하부용기(110), 상부용기(120)는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거나 혹은 그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폴리프로필렌의 중공성형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용기(120)의 상면 개구부에는 별도의 덮개 또는 뚜껑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응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용기(110)의 단턱의 상부측에 삽입홈(112)을 구비하고, 그 삽입홈(112)의 정점부분에 고정돌기(113)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홈(112)은 단턱의 끝부분을 상부측으로 연장하고, 그 상부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며, 단턱의 내측부도 융기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13)는 상기 삽입홈(112)의 모서리들이 접하는 정점부분에서 돌출되어 뚜껑(130)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부용기(110)와 뚜껑(130)이 삽입홈(112) 및 고정돌기(113)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생석회와 물의 반응으로 발생되는 수증기 및 열기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보다 음식물(180)의 가열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석회와 물의 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반응열과 수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음식물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 비교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겨울철에도 별도의 수단 없이 음식물을 가열하여 취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제품의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아 인체 내에 중금속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생석회와 물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정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발열팩에서 비닐팩을 제거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종래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작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하부용기 및 그 하부용기에 내재된 구성물들의 배치를 나타낸 투영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일실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다른 실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의 다른 실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하부용기 111:고정수단
112:삽입홈 114:고정돌기
120:상부용기 130:뚜껑
140:부직포 150:물팩
151:물 160:생석회팩
161:생석회 170:당김줄

Claims (8)

  1. 상면이 개방되며, 그 개방면의 둘레에 단턱을 가지는 하부용기와, 그 하부용기의 단턱 일부에 마련된 홈을 통해 내측으로 연결된 당김줄을 당겨 물팩 및 생석회팩을 개봉하여 그 하부용기 내에서 물과 생석회를 혼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하부용기부와,
    상기 하부용기부의 개방면 전체를 밀폐하도록 위치하며, 그 하부용기부에서 물과 생석회가 반응하여 발생하는 수증기 및 반응열을 투과시키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용기부의 단턱에 대응하는 단턱을 구비하여 그 단턱간에 결합이 이루어지고, 그 저면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측면구조만을 가지는 상부용기와,
    상기 상부용기 내측의 부직포 상에 위치하며, 상기 부직포를 투과한 수증기 및 반응열에 의해 가열되는 음식물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부는 상면이 개방되며 그 개방면의 둘레에 단턱이 구비된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 내에서 상호 적층되며, 각각의 일면이 상기 하부용기의 일측면 내측에 고정되며, 각각 물과 생석회를 내재하는 물팩 및 생석회팩과,
    상기 물팩 및 생석회팩이 고정된 하부용기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하부용기의 단턱 상부 일부에 마련된 홈과,
    상기 홈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며, 상기 물팩 및 생석회팩을 감아 그 끝단이 상기 단턱 홈 형성된 하부용기의 일측면 내측에 고정되어, 외부에서 당김에 의해 상기 물팩 및 생석회팩을 개봉할 수 있는 당김줄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은 표면에 요철을 가지며, 쉽게 끊어지지 않는 굵기의 나일론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는 상면이 하면에 비하여 더 넓고, 상부용기는 상면이 하면에 비하여 더 좁게 구성하며,
    상부용기를 상측 또는 하부용기의 하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용기 및 상부용기에 비하여 면적과 높이가 더 큰 뚜껑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 상부용기 및 뚜껑은 열에 의해 변형이 되지 않으며,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중합체를 재질로 하며, 그 재질의 예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의 상부에 소스 또는 반찬을 보관하는 팩을 더 마련하되, 그 팩은 상기 수증기 및 반응열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이며, 그 재질의 예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
  7. 제 1항,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내부 덮개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는 단턱의 상부에 뚜껑의 단턱부분을 삽입하는 삽입홈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삽입홈의 내측에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발열동작시 뚜껑을 고정하여 상부용기의 상부측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열 도시락.
KR1020030084601A 2003-11-26 2003-11-26 일회용 발열 도시락 KR20050050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01A KR20050050934A (ko) 2003-11-26 2003-11-26 일회용 발열 도시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01A KR20050050934A (ko) 2003-11-26 2003-11-26 일회용 발열 도시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934A true KR20050050934A (ko) 2005-06-01

Family

ID=3866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601A KR20050050934A (ko) 2003-11-26 2003-11-26 일회용 발열 도시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09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830A2 (ko) * 2009-12-14 2011-06-23 Seo Joon 발열 백
KR101157934B1 (ko) * 2010-01-06 2012-06-22 서준 발열 이중 백
KR20160119952A (ko) * 2015-04-07 2016-10-17 주식회사 무크 일회용 맞춤형 깔창 성형장치
WO2017002984A1 (ko) * 2015-06-29 2017-01-05 (주)참맛 열반응팩유니트
CN110313683A (zh) * 2019-07-15 2019-10-11 瑞昌芯迈科技有限公司 一种定制鞋垫的转化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830A2 (ko) * 2009-12-14 2011-06-23 Seo Joon 발열 백
WO2011074830A3 (ko) * 2009-12-14 2011-11-03 Seo Joon 발열 백
KR101157934B1 (ko) * 2010-01-06 2012-06-22 서준 발열 이중 백
KR20160119952A (ko) * 2015-04-07 2016-10-17 주식회사 무크 일회용 맞춤형 깔창 성형장치
WO2017002984A1 (ko) * 2015-06-29 2017-01-05 (주)참맛 열반응팩유니트
CN110313683A (zh) * 2019-07-15 2019-10-11 瑞昌芯迈科技有限公司 一种定制鞋垫的转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509353A (ja) 自己発熱式食品用容器
KR100974410B1 (ko) 마스크팩 포장재
CN110719878A (zh) 具有蒸汽排出部的烹饪容器
KR101179254B1 (ko) 즉석 조리용 발열 파우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체 조성물
KR10212874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
KR101456832B1 (ko) 발열 용기
KR20050050934A (ko) 일회용 발열 도시락
JP6416100B2 (ja) 温度変更装置
WO2006024852A1 (en) Packaging for food comprising an integrant heating device and a steam generator therfor
KR102305465B1 (ko) 분진 제거 기능을 구비한 발열 식품 용기
WO2005120315A1 (en) Heating element-accommodating structure suitable for use in food storage pouch
KR20030040326A (ko) 팩 밀폐방법 및 그 밀폐장치
KR200175945Y1 (ko) 일회용 발열 도시락
KR100567227B1 (ko) 일회용 음용 식품가열용기의 가열패키지
JPH07155261A (ja) 加温容器
KR20060053831A (ko) 가열유니트 및 가열용기
KR102135251B1 (ko) 발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달용 포장용기
WO1989006107A1 (en) Heating apparatus and heating container using the same
JPH034819A (ja) 飲食物用加熱装置
KR100429328B1 (ko) 가열 패키지
JP3001512U (ja) 湿潤ティッシュウォーマー
JPH01175816A (ja) 加熱装置
CN218537831U (zh) 自加热装置
JPH0636448Y2 (ja) 加熱容器
JPH01265920A (ja) 発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