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307B1 - 락토바실루스-함유 식품 및 음료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루스-함유 식품 및 음료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307B1
KR910003307B1 KR1019830003199A KR830003199A KR910003307B1 KR 910003307 B1 KR910003307 B1 KR 910003307B1 KR 1019830003199 A KR1019830003199 A KR 1019830003199A KR 830003199 A KR830003199 A KR 830003199A KR 910003307 B1 KR910003307 B1 KR 910003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kfcc
bacteria
octob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485A (ko
Inventor
고세이 하따
도시유끼 마루오까
Original Assignee
고세이 하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세이 하따 filed Critical 고세이 하따
Publication of KR84000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23C9/1238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using specific L. bulgaricus or S. thermophilus microorganisms; using entrapped or encapsulated yoghurt bacteria; 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L. bulgaricus or S. thermophilus cultures; Fermentation only with L. bulgaricus or only with S. thermophi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23C9/1234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characterised by using a Lactobacillus sp. other than Lactobacillus Bulgaricus, including Bificlobacterium sp.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7Clear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85Sulfuric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Dairy Products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락토바실루스-함유 식품 및 음료수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세균과 대조용 세균을 각각 크림내에서 배양시 성장 곡선과 배지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제2도는 크림내에서의 스타필로코쿠스(Staphylococcus),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및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성장 곡선 그래프.
본 발명은 Na2S·9H3O, NH3, 또는 이 두 물질에 의해 성장이 촉진되지는 않으나 특정 조건하에서 이 두 물질을 감소시키는 특징을 가진 신균의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 세균, 특히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Lactobacillus clearans ; 15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58 및 -10059), 락토 바실루스 설푸리카(Lactobacillus sulfurica ; 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 및 -10061) 및 락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Lactobacillus nitrosus ; 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 번호 KFCC-10062 및 -10063)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락토바실리는 그램양성, 혐기성 또는 약간 호기성 무홀씨 간균이며, 균주에 따라 락토 바실리는 구형 또는 간형, 굽은형, 코라이네형 (coryneforin), 사형 (filiform)등이 있다. 이들은 비-운동성이고 카탈 라제에 대해 음성을 나타내며 니트레이트를 환원시키지 않는다. 더욱이, 이들은 젤라틴을 분해시키지 않으며 인돌 또는 황화수소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어떤 균주는 그의 말단 부분에서 염색성을 나타낸다. 이들은 극히 약한 단백질 분해활성 및 지질분해 활성을 나타내고, 호기성 조건하보다는 혐기성 또는 약간 호기성 조건하에서 잘 성장하며, 당분해성(saccharolytic) 및 내산성이 강하고 글루코즈 발효에 의해 50% 이상의 수율로 락트산을 생성시키며, 그의 성장은 아세트산을 배양배지에 첨가함으로써 촉진된다. 또한 이들은 동물 및 식물에 대한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이들 균주는 영향요구성(nutritional requirement)이 높으며, 때우 좋은 영양조성 배양배지를 사용 하지 않는 한 성장할 수 없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즉, 아미노산, 펩타이드, 핵산유도체, 비타민, 염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및 발효가능한 탄수화물을 필요로 한다.
지금까지 이런 락토바실의 "종(species)"의 분류는 (a) 당분해능(saccharolysis), (b) 가스생산, (c) 선광성, (d) 성장온도범위, 및 (e) 성장 pH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여 왔다[참조 :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8th Edition, pages 576-578]
그러나 상술한 분류 기준항목에 있어서, (e)항의 성장 pH 범위는 세균의 적응성에 따라 어느정도 변할 수 있으며, (c)항의 선광성은 생체내 특성에 관한 것이기 보다는 상업성 제품에 관한 문제이다. 세균의 장관, 구강 및 질서식에 관련된 평가를 위한 특징항목을 고려할 경우, (a)항의 당분해능은 세균에 의한 사료 분해에만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세균과 그의 서식지와의 관계, 그리고 나아가서는 그의 작용과의 관계는 상호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상술한 세균분류는 외부로 부터의 침입이 5×108세포/g이 생존하는 환경하에서 부패물질로 충전된 서직지내에서의 세균의 활성을 기준한 분류와는 거리가 멀다. 이 모순은 락토바실리 자체에 대한 연구 자체를 현저하게 구속하는 원인이 되는데, 그 이유는 분류가 연구를 진전시키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적으로, 락토바실리의 자연 서식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하며, 세균분류는, 가능한한 빨리 활성형태가 가미된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경구 투여된 음식물, 사료는 장관내에서 분해되어 한편으로는 생체에 점차적으로 흡수되고 한편으로는 부패과정을 거쳐 분비된다. 부패물질은 주로 장내부패균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부패물질은 장관을 둘러싸고 있는 혈관에 흡수되어 장관차 그 부위에 있는 혈관을 직접 위협한다. 예를들어, 장관내에서 형성된 암모니아에 의해 손상된 장관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사료내 4%의 에너지가 소모된다(병아리를 사용하여 실험)는 것은 이미 발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장관내 존재하는 물질에 대한 세균 특성의 직접적인 상호관계에 있어서, H2S 또는 NH3같은 장내 해로운 물질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가진 세균이 락토바실리 군(flora)내에 상당히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하였다. 이는 매우 중요한 문제인데, 왜냐하면 락토바실리의 효능이, 전염병학적 및 통계 학적 연구관점과는 별개로, 실제적으로 물질수준(level)에 따라 입증되어 왔기 때문이다. 더욱이, 세균학적 관점에서 말하자면, 이 발견은 종래의 분류법에 있어서의 모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을 촉진시키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분류기준이 종래의 분류기준과 상당히 달라야 한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하는 것이다. 상술한 두가지 물질(NH3, 및 H2S)는 부티르산과 함께 모두 장내 존재하는 대표적인 유해물질일 뿐만 아니라, 장 내에서 발견되는 여러가지 황원자, 질소원자 및 탄소 원자 함유 화합물(이하에서는 각각 S, N 및 C-화합 물로 칭함)의 대체물을 형성하기도 한다[참조 : 일본국 특허 제 938,917호 및 936,213호].
상술한 바와 같이, 과거에는 락토바실리의 분류 평가항목과 그들의 서식지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불충분하였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강호관계도 미약하였다. 그러나, 새로은 관점으로서, 라토-바실리의 분류평가항목으로서의 Na2S·9H2O 및 NH3의 도입은 공지되어 있는 세균특성 및 세균명명법과 상술한 두가지 물질사이에 상호관계가 매우 높다는 것을 명백하게 하였다. 즉, 락토바실리는 이들 물질에 대한 그의 작용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그룹중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a) 장관내에는 존재할 수 없는 세균그룹-Na2S·9H2O 및 NH3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내며, 이 두물질의 양을 감소시킬 능력이 없는 세균.
(b) 애시도필루스(acidophilus) 같이 장관내에 존재하는 세균그룹-Na2S·9H2O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내지는 않으나, 이 두 물질의 양을 감소시킬 능력이 없는 세균.
상술한 (a) 및 (b)에 속하는 세균은 선배들이 분류한 균주를 AH두 Na2S·9H2O, 및 NH3에 대한 작용을 참조하여 다시 분류한 것이다. 별도로, 본 발명자들은 이미 일본국 특허 제 938, 917호 및 제 936,213호 및 일본국 특허원 제 134773/74호에서, 영향요구성이 낮은 락토바실리가 존재하며 그의 성장은 불충분한 영양 조성 배지내에서 아세트산과 같은 저급 지방산 뿐만 아니라 Na2S·9H2O 및 NH3에 의해서 촉진된다는 것을 명백히 하였다.
이제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특성을 가진 락토바실리를 발견하였다. 이 세균은, 일본국 특허 제 938,917호 및 제936,213호 및 일본국 특허원 제134773/74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시판되고 있는 락토바실리 (영향요구성이 낮은 세균)가 성장하는, 스테펜슨-웨탐 배지+비타민+카사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배지에서 성장할 수 있는 영향 요구성(auxotrophic) 세균으로 부 터 발견할 수 있다. 덧붙여, 이 신규 세균의 특성은 상술한 종래 락토바실리에서 관찰된 락토바실리 정의와 모두 일치 한다.
그러나, 이 세균은 Na2S·9H2O 또는 NH3존재하 또는 이 두물질 모두 존재하에서 성장촉진이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이 세균은 성장생존환경 조건하에서 Na2S·9H2O 또는 NH3또는 이 두 물질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의우기, 대부분은 종래의 잘 알려진 락토바실리와 같이 영양요구성이 낮지는 않지만, 독성물질을 분해시키는 그의 능력은 세균 자체에서 고유한 것인데 그 이유는 전이 (transfer)에 의한 역가(titer)의 변화가 극히 작으며 안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라 신규 세균을 명명함에 있어서, Na2S·9H2O 및 NH3,를 감소시키는 세균을 락토바실루스 클헤아란스(Lactobacillus clearans : 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58 및 -10059), Na2S·9H2O를 감소시키는 세균을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Lactobacillus sulfurica : 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 및 -10061), 그리고 NH3를 감소시키는 세균을 라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Lactobacillus nitrosus ; 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2 및 -10063)로 명명하였다.
러시아의 연구원인 메키니코프(Mechinikov : 1845-1916)는 독성이론을 제창하였는데, 이 아론에서 인체노화의 주원인은 장관내에서 부패적발효에 의해 생성된 독성물질에 기인한다고 주장하였으며, 노화방지를 위한 대책으로서 요구르트를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제안하였다. 이제 본 발명자들은 독성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균 그룹을 발견하였으며, 본 발명의 세균이 함유되어 있는 식품은 메키니코프의 이론을 구현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신균 세균 그룹의 일련의 독성물질을 감소시키는 활성은 매우 온화하고 생체에 대해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독성물질과 특정한 균형을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하는데, 이는 본 발명 명세서에 기술된 실험데이타로서 증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5g의 육즙(meat extract), 5g의 펩톤, 0.5g의 Na2S·9H2O, 5g의 글루코즈, 1g의 CaCO3, 0.5ml의 NH3(100% 암모니아로서) 및 1ℓ의 물을 함유하는 배지 (PH 중성)상에서 접종시키고 배양시키는 경우 Na2S·9H2O, NH3또는 이 두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고 ; 세균을 스테펜슨-웨탐 배지[이하에서는 (S-W)로 칭함 ; KH2PO4, 1g, MgSO4·7H2O 0.7g, NaCl 1g, (NH4)2,HPO, 4g, FeSO4, 7H2O, 0.03g, 글루코즈 5g]+비타민[A : 900IU, B1: 1mg, B2: 1mg. B6: 1mg, B12: 5gamma, 니코틴아미드 : 1.6mg, 칼슘 판토테네이트 : 8mg, C : 64mg, D2: 120IU]+카사미노산 1s으로 이루어지며 0.5g의 NaS·9H2O 0.5ml(100% 전환)의 NH3또는 이 두물질이 대수 성장기 (logarithmic growth phase)에서 첨가된 배지상에서 배양시킬지라도 성장촉진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며 ; 그램-양성이고, 간균이며, 비운동성이고 카탈라제에 대해 음성을 나타내며, 니트레이트를 환원시키지 않고, 젤라틴을 분해시키지 않으며, 인돌 또는 황화수소를 생성시키지 않고, 락토즈 및 글루코즈로부터의 락트산 형성능력이 높으며, 아세트산 첨가에 의해 성장이 촉진되는 신균의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58 및 10059),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이탁번호 KFCC-10060 및 -10061) 및 락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2 및-10063)]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일본국 특허 제 938,917호 및 제 936,213호와 일본국 특허원 제 134773/74호에서 그의 성장이 Na2S·9H2O 및 NH3에 의해 촉진되는 세균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이 세균의 역사적면에 대한 연구보다는 이 세균의 이용도 및 이의 역가보유에 대한 연구에 더 심혈을 기울였다. 이 작 업이 10년간 경과하였으나, 발명자들은 이에 관해 기술된 문헌을 발견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세균고룹의 이용도에 관한 문헌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세균을 수득함에 있어서, 분리기술은 중요하다. 본 발명의 종[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58 및 -10059),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 및 -10061) 및 락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 (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2 및 -10063]에 속하는 세균을 많은 균주로 부터 단시간이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장관내에 있는 독성물질을 상당히 높은율로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진 세균을, 이 세균이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라토바실루스와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쉽게 분리,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균을 장관내에 존재하는 락토바실리중의 세균으로부터 분리시키므로, 본 발명의 세균은 원래 다른 장내 세균과 동서하는데 적응되어 있기 때문에, 인체에 투여시 장관내 세균군에 대한 혼란을 야기시키지 않는다는 것도 주목할만 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균의 균주증 6개 균주에 대한 실험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인, 일본국 오오사까 소재의 IFO(Institute for Fermentation)에 기탁번호 IPO 14253으로 기탁되어 있는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58), IFO 14254로 기탁되어 있는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59), IFO 14255로 기탁되어 있는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 IFO 14256으로 기탁되어 있는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 10061), IFO 14257로 기탁되어 있는 락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2), IFO 14258로 기탁되어 있는 락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3)를 5g의 육즙, 5g의 펩톤, 0.5g의 Na2S·9H2O, 1g의 글루코즈, 1g의 CaCO3, 및 1ℓ의 물로 이루어진 배지 (pH, 중성)에 접종시킨다. 37℃에서 배양시킨 후 각각 24, 48 및 72시간후에 Na2S·9H2O의 감소량을 측정한다.
결과는 다음로 1과 같다 :
[표 1]
Figure kpo00001
표 1에 나타난 결과로 부터, Na2S·9H2O와 같은 독설물질이 상당한 비율로 감소되었음[균주 IFO 14257 및 14258(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2 및 -10063)은 제외]을 잘 알수 있다. 상기 표에 나타난 결과는 500mg(0.5g)의 Na2S·9H2O를 배지에 첨가하였을 때 얻어진 것이나, 1000mg 및 1300mg을 첨가했을 경우에도 Na2S·9H2O의 감소량은 거의 동일하였다.
Na2S 9H2O의 감소량은 다응과 같이 측정한다 : 0.1%의 납 아세테이트 응액을 적가(적가량은 대지의 1 용적 %가 적당)한 후 즉시 충분히 진탕시키고 잔류 Na2S의 색조(흑색-회색-흰색)를 비색계 (colorimeter)를 사용하거나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법 (absorptiometric method)[참조 : L. Gustafiion, Talanta. 4.227(1960)]으로 측정한다.
이어서, 표 1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6개외 균주를, 1g의 육즙, 5g의 펩톤, 1g의 글루코즈, 1g의 CaCO3, 0.5ml의 NH3(100%코서 계산) 및 1ℓ의 물로 이루어진 배지(pH, 중성)에 접종키고 37℃에서 24.48 및 72시간동안 배양시킨 후 NH3의 감소량을 측정한다.
결과는 다음 표 2a에 기술되어 있다 :
[표 2a]
Figure kpo00002
표 2a에 나타난 결과로 부터, 세균은 NH3를 현저하게 감소시킴[균주 IFO 14255 및 14256(1983년 10월 12 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 및 -10061)은 제외]을 알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0.5ml의 NH3를 배지에 첨가하였으나, 1.3ml를 첨가했을 경우에도 상기 표에 나타낸 결과와 동일하였다.
NH3의 감소량은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 시판용 10% 네슬러시약 용액(요드산 수은-2W/W%)을 적가 (적가량은 배지의 1용적 %가 적당)한 후 즉시 충분히 진탕시키고 잔류물의 색조(오렌지색-황색)를 비색계를 사용하거나 인도페놀을 이용한 흡광접으로 측정한다.
표 2a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6개의 균주를, 5g의 육즙, 5g의 펩톤, 1g의 글루코즈, 1g의 CaCO3, 0.5ml의 NH3(100%로 계산), 0.5g의 Na2S·9H2O 및 1ℓ의 물로 이루어진 배지 (pH, 중성)에 접종시키고 37℃에서 배양시킨 후 24.48 및 72시간 경과한 후의 Na2S·9H2O 및 NH3의 감소량을 각각 측정 한다. 결과는 다음표 2b에 기술하였다.
[표 2b]
Figure kpo00003
본 발명에 따른 세균 그룹의 분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
(1) 1ℓ의 배지중, (a) 5g의 육즙, 5g의 펩톤, 0.3g의 Na2S·9H2O, 0.5ml의 NH3, 또는 이 두 물질, 3g의 나트륨 부티레이트, 5g의 글루코즈 및 3g의 CaCO3를 함유하는 조성물과 (b) 5g의 펩톤, 0.3g의 Na2S·9H2O, 0.5ml의 NH3또는 이 두 물질, 5g의 나트륨 부티레이트, 10g의 글루코즈 및 3g의 CaCO3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한다. pH를 중성으로 조절하고 돼지, 말, 소, 인간, 닭 등과 같은 생성물의 배설물을 희석하여 배지상에 도포한후, 37℃에서 혐기성 조건하에 배양시킨다.
(2) 나탄난 콜로니를 가장자리가 투명한 콜로니를 채취한다.
(3) 상기 클로니를 LBS 배지*상에 펼친 다음 37℃에서 2일간 배양한다. (*10g의 트립티카제, 5g의 효모추출물, 10g의 육즙, 6g의 KH2PO4, 2g의 디암모늄 시트레이트, 20g의 글루코즈, 1g의 트윈 80(Tween 80), 40g의 나트륨 아세테이트, 15m1의 용액 B 및 3.7ml의 빙초산(99.5%)으로 이루어짐, PH를 조절하였으며 멸균되지 않음 ; 용액 B : 0.5g의 FeSO4·7H2O, 2.47g의 MnSO4,·nH2O, 0.5g의 NaCl, 10g의 MgSO4·7H2O 및 250m1의 물)
(4) 성장된 콜로니를 채취하고, 10g의 육즙, 10g의 펩톤, 2g의 NaCl, 10g의 글루코즈, 5g의 석회 및 10g의 한천을 함유하는 부트(butt) 배지상에서 천자(stab) 배양을 행하여 가스-비생성 세균을 수집한다.
(5) 세균의 특성이 락토바실리의 특성과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알기 위해 각종 시험을 행하여, 분류학적 견지에서 세균이 락토바실리로서 분류되는 것을 확인한다.
(6) 용혈성 시험을 수행하여 비-용혈성 세균을 수집한다.
(7) Na2S·9H2O, NH3또는 이 두 물질의 감소 여부를 조사한다(사용하는 배지 및 측정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8) 세균의 영양 요구성에 대한 시험을 행한다.
(9) 상기 (7) 및 (8)항을 당분해능과 병행하여 고찰하고 분류한다.
(10) 영양이 풍부한 배지로부터 영양이 빈약한 배지에 이르는 각종 배지중에서의 Mu(μ*)를 측정한다.
(11) 낮은 μ를 가진 세균은 버린후, 잔존한 균주를, 실제 사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각종 동물에 투여한다.
* 대수 성장기 t0에 있어서의 세포수 n0가 t1,에서 n1,이 되는 경우, μ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낸다.
Figure kpo00004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세균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Ⅰ.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세균의 형태학적 특성은 표 3에 기술하였다 :
[표 3]
Figure kpo00005
(주) 상술한 형태는 육즙(bouillo) 배지에 배양한 경우에 나타난 결과이나, 육즙-한천 배지에 배양한 경우에도 동일한 형태가 나타났다 (37℃에서 배양)
Ⅱ. 여러가지 배지상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세균의 배양특성은 다음 표 4에 기술되어 있다.
Ⅲ. 본 발명 미생물의 생리학적 특성은 다음 표 4에 기술되어 있다
[표 4]
Figure kpo00006
[표 5]
Figure kpo00007
(주) : 7이간 배양시켜 얻어진 결과(배양온도 : 37℃)
어느 경우에도 가스가 생성되지 않음.
Ⅳ. FRI(Fermentation Research Institute)에 기탁된 세균의 영양요구성은 다음과 같다.
[기본배지로서는 스테펜슨-웨탐 재지(무기염과 글루코즈가 주성분 : 이하에서는 간단히 (S-W)배지로 칭함)를 사용함] :
[표 6]
Figure kpo00008
+ : 성장함 - : 성장하지 않음
시스틴대신 다른 황-함유 아미노산을 사용할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수득되었다.
상기 표 6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
IFO 14254(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59)는 무기물질 + 글루코지 +시스틴에서만 성장할 수 있으며, IFO 14256(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1), IFO 14257(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는 비타민 B1, 비타민 C 및 판토텐산중 어느하나에서는 성장할 수 있으나, 이중 두가지 혼합물에서는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클레아란스 중에 속하는 균주중 어떤 것은 (S-W)+비타민에서는 성장할 수 없으나, (S-W)+비타민+카사미노산에서는 성장할 수 있다. 이 3가지 영양소를 사용하였을 경우 성장특성은 시판되고 있는 락토바실리의 경우와 동일하다.
장판내에 존재하며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는 락토자실리를 본 발명의 세균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락토바실리중에서, 애시도필루스, 브레비스, 페르멘튬 등은 일반적으로 장내 생식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 세균들이 Na2S·9H2O 및 NH3에 대해 어떤 작용을 나타내는가는 매우 주목할 만한데, 그 이유는 이 두물질이 대표적인 장내 찌꺼지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시험할 세균으로서 ATCC 4357, 4962 및 9857(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루스 ; L.acidophilus), ATCC 8003(락토바실루스 브레비스 ; L.brevis) 및 ATCC 12369(락토바실루스 페르멘툼 ; L.fermentum)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500mg의 Na2S·9H2O를 배지에 부었을 때 이들 세균은 상기 물질을 감소시키지 않았음이 명백히 나타났다.
결론으로서, 본 발명의 세균그룹은, Na2O·9H2O 및 NH3, 또는 황화수소, 황화암모늄, 메틸메르캅탄, 에틸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디에틸 설파이드, 아세트알데히드, 스카톨, 메틸아민, 에틴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실시예 2참조)등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는 균주와 현저하게 다르지만, 종래의 락토바실루스가 가진 여러가지 특성도 모두 갖고 있다. 현재로서는, 상술한 것 이외의 어떤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세균은 Na2S·9H2O, NH3또는 이 두물질이 대한 내성을 가질 수 있다. 내성을 얻기 위한 배양은, 기본배지로서, 10g의 육즙, 10g의 펩톤, 2g의 NaCl, 1g의 글루코즈, 1g의 CaCO3및 0.1g의 효모 추출물로 이루어지며 Na2S·9H2O, NH3또는 이 두물질이 첨가된 1ℓ의 배지 (PH 6.0 내지 7.0)내에서 72시간 동안 37℃에서 수행한다. Na2S·9H2O 및 NH3에 대한 각 세균의 내성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세균의 제조실시예는 다음에 기술하였다.
[제조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세균 그룹의 분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
(1) 59의 육즙, 5g의 펩톤, 0.3g의 Na2S·9H2O, 3g의 나트륨 부티레이트, 5그의 글루코즈 및 3g의 탄산 칼슘을 함유한 조성물을 제조하고 pH를 중성으로 조절한 다음 인간의 회석한 배설물을 배지상에 도포한 후 37℃에서 혐기성 조건하에 배양시킨다.
(2) 나타난 콜로니중 가장자리가 투명한 콜로니를 채취한다.
(3) 상기 콜로니를 LBS 배지상에 펼친다음 37℃에서 2일간 배양시킨다.
(4) 성장된 콜로니를 채취하고, 10g의 육즙, 10g의 펩톤, 2g의 NaCl, 10g의 글루코즈, 5g의 석회 및 10g의 한천을 함유한 부트 배지상에 천자배양을 행하여 가스-비생성 세균을 수집한다.
(5) 세균의 특성이 락토바실리의 특성과 일치하는 가의 여부를 알기 위해 각종 시험을 행하여, 세균이 분류학적 견지에서 락토바실리로서 분류되는 것을 확인한다.
(6) 용혈성 시험을 행하여 비-용혈성 세균을 수집한다.
따라서,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 IFO 14255(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가 수득되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세균의 유용성을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세균을 본래 부패하기 쉬운 크림에 혼입시켜 부패시키거나, 또는 이어서 발효 및 증균시킨 경우, 부패기간의 연장시간 및 형성된 세균수와의 관계를 조사한다.
실험에 사용된 크림 및 그 조성은 다음과 같다 :
(a) 캐스터 크림 (castered cream) : 75g의 소백분, 125g의 슈가, 500m1의 우유, 난황 4개 및 5g의 염-비함유 버터를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b) 윕 크림 (wisped cream) : 신선한 크림 1병 및 10g의 슈가.
[세균 및 식별 명칭]
공지되어 있는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루스, 락토바실루스 브레비스, 락토바실루스 페르멘툼 등을 수집하여 HW 그룹으로 칭한다. 시판구입이 가능한,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충분히 처리를 한 락토바실루스 세균을 C 그룹으로 칭하고, 본 발명의 세균그룹인,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를 TI 그룹으로 칭한다.
[실험 (A)]
각 그룹의 락토바실루스를 크림중에서 접종하고 성장시킨 경우 수득된 결과 상술한 HW 그룹, C 그룹 및 TI 그룹에 속하는 세균을 50,000.000세포수/g로 무균화시킨 캐스터 크림에 각기 접종한다. 접종한지 38, 72 및 96시간 후에(37℃에서 방치한 경우) 측정한 세균의 성장도를 그래프형태로 제1도에 나타내었다.
제1도에 명백히 나타난 바와같이, 성장된 세균수는 다른 그룹보다도 TI 그룹에서 아주 많았다. 이것은 균주에 따라 좌우되나, 배양한지 72시간후 109세포수를 초과하는 균주도 많이 존재하였다. 첨가한 세균의 양으로서 표시한 "50,006,000세포수"는 제조에 있어서 최적 첨가량을 검토한 결과로 수득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항상 상기 그래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B)]
각종 세균이 크림을 오염시키고 성장한 경우 세균의 수
에스케리키아 콜리, 스타필로코쿠스 및 바실루스 서브틸리스는, 일반그룹에 속한 세균 및 부패성 세균중 대표적인 세균으로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부패의 진행도 및 이에 따른 크림의 보존성은 크림중에서의 이들 3가지 세균의 성장을 조사하여 평가한다.
스타필로코쿠스 209P, 에스케리키아 콜리 ATCC 25922 및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ATCC 6633을 캐스터 크림에 5세포수/g, 10,000세포수/g 및 50,000,000세포수/g로 각기 혼입시킨 다음 성장시켜서 성장상태를 조사한다.
결과는 제 2도에 (Ⅰ), (Ⅱ) 및 (Ⅲ)에 나타내었다.
제2도에 명백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스타필로코쿠스는 성장이 가장 활발하며, 10,000세포수 및 더욱이 50,000,000세포의 감염으로 파괴적인 범위까지 세균성장이 확인되었고, 이 데이타로서 윕 크림의 경우 1일 이상 보존하는 것이 위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C)]
각종 세균 및 본 발명 세균을 각기 무균 크림상에 접종하고 성장시킨 경우 수득된 세균의 수
각 세균의 증가 및 감소, 예를들면 (a) 크림 제조 초기, (b) 성장도중 및 (c) 제조후 각종 세균을 인공적으로 혼합한 경우의 간섭 (interference)을 각각 조사하여 식품으로서 가장 우수한지의 여부를 측정한다.
락토바실루스 첨가량으로서 50,000,000세포수, 및 각종 세균의 첨가량으로서 5, 10,000 및 50,000,000 세포수로 실험(B)에서와 같은 실험을 수행한다. 얻어진 모든 결과는 단지 혼란만을 야기했고 오늘날의 식품 제조 기술의 향상면에서 볼때, 결과중 어떤 것은 불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총 데이타중 대표적인 데이타는 다음 표에 기술하였으며 나머지는 필요한 경우 제시할 수 있다.
(a) 에스케리키아 콜리에 관련된 실험
(i) 락토바실루스 및 에스케리키아 콜리를 크림에 가한 다음 37℃에서 발효시킨 경우 :
(1)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에 미치는 각종 세균의 영향 : g당 에스케리키아 콜리 세포 5개를 첨가한 경우 : HW, C 및 TI 그룹에 속하는 락토바실리 어느것도 성장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g당 10,000개의 세포를 첨가한 경우 ; HW 및 C 그룹에 속하는 락토바실리는 세균수가 10 내지 30%가 감소되었으나, TI 그룹은 아무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에스케리키아 콜리 상에 미치는 락토바실루스의 영향 : g당 에스케리키아 콜리 세포 5개의 경우, 성장된 세균수는, 락토바실루스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HW 그룹은 1/2 내지 1/3로, C 그룹은 1/4 내지 1/20로, TI 그룹은 1/40 내지 1/300로(세균에 따라 다름) 감소되었음이 분명히 나타났다.
에스케리키아 콜리 세포 10,000개의 경우, 성장된 세균수는 일반적으로 세포 5개의 경우에 비해 2배이었다. 즉, HW 그룹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C 그룹은 1/2 내지 1/10로, TI 그룹을 1/20 내지 1/150로 감소되었다.
(ii) 락토바실루스 첨가 및 발효개시 48시간후 에스케리키아 콜리를 첨가한 경우 :
(1) 락토바실루스에 미치는 에스케리키아 콜리의 영향 : 5개의 세포 및 10,000개의 세포를 첨가한 어느 경우에서나 에스케리키아 콜리는 락토바실루스의 성장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히 나타났다.
(2) 에스케리키아 콜리에 미치는 영향 : 5개의 세포를 첨가한 경우, 세균수는 동시 첨가한 경우의 1/2 내지 1/20로 나타났다. 특히 TI 그룹에 속하는 세균을 먼저 배양한 경우, 세균수는 1×102또는 그 이하이었다. 또한 10,000개의 세포를 첨가한 경우, 세균수는 동시 첨가한 경우의 약 1/2 내지 약 1/10이었다.
(iii) 락트산 발효가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에스케리키아 콜리를 첨가한 경우 :
(1) 락토바실루스에 미치는 영향 : 어느 그룹의 락토바실루스도 실제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음이 명백하게 나타났다.
(2) 에스케리키아 콜리에 미치는 영향 : HW 그룹 및 C 그룹에 속하는 세균의 경우 세균수는 (ii)-(2)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였다. 그러나 TI 그룹에서는 5개의 세포를 첨가한 경우 성장되지 않았으며, 10,000개의 세포를 첨가한 경우에도 세균수는 단지 1×105내지 2×105이었다. 즉 단지 약 10 내지 약 20배만 성장되었다.
(b) 바실루스 서브틸러스 및 스타필로로쿠스 사이의 관계에 관련을 갖는 실험
상술한 에스케리키아 콜리를 사용한 경우와 유사하게 실험한 경과, 바실루스 서브틸리스의 경우, 세균수는 에스케리키아 콜리의 경우에 비해 약 50%이었는데, 이것은 락토바실루스의 성장으로 간섭을 받기 때문이다. 스타필로코쿠스의 경우, 에스케리키아 콜리 경우의 약 140%이었다.
상기 실험 결과에서 명백하게 나타난 바와같이, 각종 세균의 성장은 본 발명의 TI 그룹 세균의 첨가 및 성장에 의해 크게 억제되기 때문에 보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특히 근래의 제조기술의 향상에 의해 각종 세균의 침입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TI 그룹 세균을 첨가하여 공지 기술과 병용함으로써 크림의 부패를 방지하는데 커다란 공헌을 하게 되었다.
크림형태에 있어서, 윕 크림의 경우 성장된 세균의 수는 캐스터 크림의 경우의 약 70%이었다.
[실시예 2]
10g의 탈지우유, 10g의 슈가, 0.2g의 한천 및 100m1의 물로 이루어진 조물질을 멸륜시키고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세균을 무균조건하에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발효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요구르트를 하루에 두번(아침, 저녁) 인체에 총 약 400,000,000,000세포로 투여하고 세균과 인체와의 관계를 조사한다.
결과는 다음 표 8 및 9에 기술되어 있다.
하나의 균주로부터 수득된 요구르트를 5명의 성인에게 각각 투여하였으나 다른 것을 투여했을 때 나타난 결과와 별로 다른 점이 없었다.
총계된 결과는 표에 요약되어 있다.
[표 9]
Figure kpo00009
표에 기술된 결과로부터 락토바실루스 콜레아란스 균주 2개(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58 및 -10059),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 균주 2개(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 및 -10061) 및 락토다실루스 니트로수스 균주 2개(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2 및 -10063)를 모두 장시간에 걸쳐 다량으로 투여했을 지라도 인체에 아무런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KFCC-10060 및 -10061)와 락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KFCC-10062 및 -10063)중에서 선택된 두개의 균주를 투여하였을 때에도 상기 표 9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대상자는 모두 피로감이 감소되는 것을 느꼈으며, 더 좋은 반응은 요구르트 투여후 약 3일째에 나타났다.
[표 10]
Figure kpo00010
* 측정방법에는 흡광법 (extinction method), 가스 크로마토그라피법 (GC 분석법), GC-오르펙토메터법 (GC-orfactometer법 ; GC-OM 분석법), GC-질량 스펙트로메터법 (GC-MS 분석법)등이 있다. 측정할 물질은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에틸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아세트알데히드, 스카톨, 프로 피온산, 부티르산, 및 트리메틸아민이다. 측정된 물질의 감소량은 %로서 표시한다.
체류시간은 배설된 세균양을 투여된 세균양의 1/10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나타낸다. 이 경우, 배설량은 하루에 300g으로 한다. 예를들어 미공연 기탁수리번호 6587의 세균에 있어서는, 하루에 400,000,000,000세포를 투여하고 하루에 150,000,000,000세포를 배설시키고 있는데, 투여를 중지한후 세포수가 40,000,000,000이하로 감소될 때까지 소요된 날 수는 5명의 시험대상자에 있어서 2 내지 3일이었다.
표 9의 감소량(%)는 각 악취나는 물질 감소량의 산술평균치이다.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 및 -10061)는 악취나는 S-화합물의 양을 감소시키고 락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2 및 -10063)는 악취나는 N- 화합물의 1을 감소시키며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험회 기탁번호 KFCC- 10058 및 -10059)는 악취나는 두 화합물의 양을 감소시킨다.
표 9에 기술된 감소량(%)는 투여후 7일 간의 배설물을 분석한 결과이다. 예를들어 20일간 연속 투여한 후의 결과는 표 9의 결과보다 약 2배로 좋은 결과로 나타난다.
더욱이, 요구르트내 미생물의 양은 발효시간을 35 내지 48시간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증가시켜 더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 및 -10061)와 락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2 및 -10063)는 각각 S-화합물과 N-화합물의 양을 감소시키는 활성만을 갖는다. 그러나 이의 조합체는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와 동일한 활성을 나타냔다. 따라서, 이의 조합체는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58 및 -10059) 대신에 락토바실루스 제제, 락토바실루스 드링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에서, 유제품을 주로 사용한다. 유제품 대신, 다른 영양품(예 : 두부 제조시 수득된 대두유액 (Tonyu))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락로바실루스 세균은 식품에 첨가하거나 드링크에 분산시킬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황-함유 아미노산의 첨가는 그의 활성을 보유시키거나 시스틴-결핍증을 치료하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 세균과 황-함유 아미노산을 함유한 건조된 조성물은 장시간 보존할 수 있으며 즉석 밀(meal)에 첨가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는 구취같을 냄새를 감소시키는데도 유용하다.
장내 세균에 있어서, 8가지 세균형의 장내 세균군(시험 대상자가 원래 가지고 있는 락토바실루스 포함)을 하나씩 추적하였다. 표 9에 나타난 결과로 부터, 투여동안 또는 투여를 중지한 후 소멸된 종은 없었으며, 약간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락토바실루스에 있어서는, 락토바실루스가 비독성이며 비병원성임을 증명하기 위하여 가능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요사이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특정양보다 많은 양의 락토바실리가 생체, 특히 점막에 존재하여야 함은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발견으로 미루어,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 세균과 같이 자동성장력이 강하고 배타력이 강한 세균을 식용 크림 (매우 쉽게 부패하는 물질)에 주입시키고 여기에서 이들을 성장하도록 하는 것은 크림의 부패시간을 연장시키는데 유효할 뿐만 아니라 장내 부패물질을 감소시키고 장운동을 조절하는 등에도 유효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최근 개발된 항생제는 매우 강한 효력과 광범위한 항생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항생제는 인체에 투여시 때때로 장내 세균군의 상당한 혼란을 야기시킨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세균을 다량 투여하면 약체투여후 및 건강회복후 세균군을 복구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산업적인 견지에서 매우 중요한 유용성을 갖는다.
본 발명 세균은 틀림없는 락토바실루스이므로, 잘 알려져 있는 락토바실루스가 갖는 특성을 가지는 점막에 대한 친화성이 강하다. 더욱이 활성 및 영양 요구특성 및 μ-값은 대단한 것이며, 따라서 점막에 대한 고착성은 다른 공지의 락토바실루스 세균의 고착성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본 발명 세균은 장관용제제, 구강용제제 및 질내좌제 등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특히 위생산업에 매우 중요한 유용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세균은 악취나는 S-화합물, N-화합물 또는 이 두화합물의 양을 감소시키며(이에 반해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루스 같은 공지의 세균은 이들 화합물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악취나는 화합물의 양을 감소시킬 뿐[이에 대해 일본국 특허 제49193/82호 및 영국 특허 제1,584,694호에 기술된 세균 (락토바실루스 데오도란스)는 잔류의 악취나는 화합물이 측정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물질들을 완전히 감소 시킨다]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락토바실루스 데오도란스가 글루코즈에 우선하여 악취나는 화합물을 동화, 즉 악취나는 화합을 모두를 동화시키는 반면,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KFCC-10058 및 -10059)같은 본 발명 세균은 악취나는 화합물을 완전히 동화시키지 않고 악취나는 화합물로 남겨 놓는다는 사실로서 알 수 있다.
본 발명 세균은 락토바실루스 데오도란스와, 전자는 다량 투여 또는 장기간 투여 또는 급하게 투여해도 생체내에서 장관내 세균에 대한 혼란을 야기시키지 않는 반면, 후자는 투여시 때때로 장내 세균에 대한 혼란을 야기시킨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본 발명은 특수 실시태양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과 변화도 가능하다.

Claims (4)

  1. 5g의 육즙, 5g의 펩톤, 0.5g의 Na2S·9H2O, 5g의 글루코즈, 1g의 CaCO3, 0.5ml의 NH3(100% 암모니아로서) 및 1ℓ의 물을 함유하는 배지 (pH, 중성)상에 접종하여 배양하는 경우 Na2S·9H2O, NH3, 또는 이 두 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고, 스테펜슨 웨탐 배지[KH2PO4, 1g, MgSO4·7H2O 0.7g, NaCl 1g, (NH4)2HPO4, 4g, FeSO4·7H2O 0.03g, 글로코즈 5g]+비타민[A : 900IU, B1: 1mg, B2: 1mg, B6: 1mg, B12: 5gamma, 니코틴아미드 : 1.6mg, 칼슘판토테네이트 : 8mg, C : 64mg, D2: 120IU]+카사미노산 1g을 함유하며 0.5g의 NaS·9H2O, 0.5ml(100% 전환)의 NH3, 또는 이 두 물질이 대수성장기 (logarithmic grcwth phase)에서 첨가된 배지상에서 배양시킬지라도 성장촉진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며 ; 그램-양성이고, 간균이며, 비운동성이고, 카탈라제에 대해 음성을 나타내며, 니트레이트를 환원시키지 않고, 젤라틴을 분해 시키지 않으며, 인돌 또는 황화수소를 생성시키지 않고, 락토즈 및 글루코즈로부터의 락트산 형성능력이 높으며, 아세트산 첨가에 의해 성장이 촉진되는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타번호 KFCC-10058 및 -10059),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 및 -10061), 및 락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2 및 -10063)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락토바실루스 세균을 무균조건하에서 식품 또는 음료수에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여, 락토바실루스 세균이 함유된 식품 또는 음료수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또는 음료수가 유제품인 방법.
  3. 밀크 및 슈가를 함유하는 조물질을 멸균시키고, 5g의 육즙, 5g의 펩톤, 0.5g의 Na2S·9H2O, 5g의 글루코즈, 1g의 CaCO3, 0.5ml의 NH3(100% 암모니아로서) 및 1ℓ의 물을 함유하는 배지 (pH, 중성)상에 접종하여 배양하는 경우 Na2S·9H2O, NH3또는 이 두 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고 ; 스테펜슨 웨탐 배지 [KH2PO41g, MgSO4·7H2O 0.7g, NaCl 1g, (NH4)2HPO44g, FeSO4·7H2O 0.03g, 글루코즈 5g]+비타민[A : 900IU, B1 : 1mg, B2: 1mg, B6: 1mg, B12: 5gamma, 니코틴아미드 : 1.6mg, 칼슘판토테네이트 : 8mg, C : 64mg, D2: 120IU]+카사미노산 1g을 함유하며 0.5g의 Na2S·9H2O, 0.5ml(100% 전환)의 NH3또는 이 두 물질이 대수성장기에서 첨가된 배지상에서 배양시킬지라도 성장촉진작용을 나타내지 않은며 그램-양성이고, 간균이며, 비운동성이고, 카탈라제에 대해 음성을 나타내며, 니트레이트를 환원시키지 않고, 젤라틴을 분해시키지 않으며, 인돌 또는 황화수소를 생성시키지 않고, 락토즈 및 글루코즈로부터의 락트산 형성능력이 높으며, 아세트산 첨가에 의해 성장이 촉진되는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58 및 -10059),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군협회 기탁번호 KFCC-10060 및 -10061), 및 락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2 및 -10063)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락토바실루스 세균을 무균조건하에서 첨가한후, 이물질을 발효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는 방법.
  4. 5g의 육즙, 5g의 펩톤, 0.5g의 Na2S·9H2O, 5g의 글루코즈, 1g의 CaCO3, 0.5ml의 NH3(100% 암모니아로서) 및 1ℓ의 물을 함유하는 배지 (PH, 중성)상에 접종하여 배양하는 경우 Na2S·9H2O, NH3또는 이 두 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고 ; 스테펜슨 웨탐 배지[KH2PO41g, MgSO4·7H2O 0.7g, NaCl 1g, (NH4)2HPO, 4g, FeSO4·7H2O 0.03g, 글루코즈 5g]+비타민[A : 900IU, B1, 1mg, B2: 1mg, B6: 1mg, B12: 5gamma, 니코틴아미드 : 1.6mg, 칼슘판토테네이트 : 8mg, C : 64mg, D2: 120IU]+카사미노산 1g을 함유하며 0.5g의 Na2S·9H2O, 0.5ml(100% 전환)의 NH3또는 이 두 물질이 대수성장기에서 첨가된 배지상에서 배양시킬지라도 성장촉진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며 ; 그램-양성이고, 간균이며, 비운동성이고, 카탈칼제에 대해 음성을 나타내며, 니트레이트를 환원시키지 않고, 젤라틴을 분해시키지 않으며, 인돌 또는 황화수소를 생성시키지 않고, 락토즈 및 글주코즈로부터의 락트산 형성능력이 높으며, 아세트산 첨가에 의해 성장이 촉진되는 락토바실루스 클레아란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58 및 -10059), 락토바실루스, 설푸리카(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0 및 - 10061), 및 락토바실루스 니트로수스(1983년 10월 12일자 한국종균협회 기탁번호 KFCC-10062 및 -10063)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락토바실루스 세균을 점막에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구취를 감소시키는 방법.
KR1019830003199A 1982-07-12 1983-07-12 락토바실루스-함유 식품 및 음료수의 제조방법 KR910003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19890A JPS5911177A (ja) 1982-07-12 1982-07-12 新規乳酸桿菌
JP??57-119890 1982-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485A KR840005485A (ko) 1984-11-14
KR910003307B1 true KR910003307B1 (ko) 1991-05-27

Family

ID=1477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199A KR910003307B1 (ko) 1982-07-12 1983-07-12 락토바실루스-함유 식품 및 음료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579734A (ko)
EP (1) EP0099235B1 (ko)
JP (1) JPS5911177A (ko)
KR (1) KR910003307B1 (ko)
AU (1) AU556996B2 (ko)
BR (1) BR8303725A (ko)
CA (1) CA1204686A (ko)
DE (1) DE3381903D1 (ko)
PH (1) PH192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297B2 (ja) * 1976-05-21 1983-02-09 秦 興世 脱臭剤とその製造方法及び保存法
JPS60149527A (ja) * 1984-01-17 1985-08-07 Seikenkai 生体内脱臭剤
SE463598B (sv) * 1984-11-08 1990-12-17 Chemical Dynamics Sweden Ab Preparat, avsett att oeka vidhaeftningen av bakterier till mag-tarmkanalen hos maenniskor och djur, samt ett framstaellningsfoerfarande foer detta
US5804179A (en) * 1985-12-31 1998-09-08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Lactobacillu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urinary tract infections
SE8603420L (sv) * 1986-08-14 1988-02-15 Tetra Pak Ab Sett att reducera helsoriskerna vid hantering av forpackade, icke-steriliserade livsmedel
US4883673A (en) * 1987-02-09 1989-11-28 Microlife Technics, Inc. Method for inhibiting bacterial spoilage and resulting compositions
US4985258A (en) * 1988-12-22 1991-01-15 Cultured Foods Corporation Pickling kit and process
US5296221A (en) * 1990-01-31 1994-03-22 Sani-Ei Sucrochemical Co., Ltd. Lactobacillus johnsonii ferm bp-2680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using the same and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eparations
GB2261372A (en) * 1991-11-15 1993-05-19 Gregor Reid Lactobacillus and skim milk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f urogenital infection
US5840318A (en) * 1993-05-11 1998-11-24 Immunom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immune systems of animals
US5733568A (en) * 1993-12-03 1998-03-31 Lafor Laboratories Limited Micro-encapsulated lactobacilli for medical applications
UA39965C2 (uk) * 1993-12-03 2001-07-16 Лайфор Леборетріз Лтд Вірусоцидний, бактерицидний та руйнуючий сперматозоїди вагінальний засіб і вагінальний супозиторій ( варіанти )
JP2000217566A (ja) * 1999-01-25 2000-08-08 Bhph Co Ltd ラクトバチラスクリアランスを培養するための培養基および該菌種の保存方法
JP4193269B2 (ja) 1999-03-04 2008-12-10 ビーエイチピーエイチ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新規な生体浄化活性型乳酸菌製剤
BR0116349A (pt) 2000-12-18 2003-12-23 Probiohealth Llc Compostos probióticos derivados da cepa ke01 de lactobacillus casei
US7214370B2 (en) * 2000-12-18 2007-05-08 Probiohealth, Llc Prebiotic and preservative uses of oil-emulsified probiotic encapsulations
MXPA05002127A (es) * 2002-07-22 2005-09-30 Agtech Products Inc Cepas de lactobacillus y usos de los mismos.
US7384628B2 (en) * 2003-06-23 2008-06-10 Agtech Products, Inc. Lactic acid bacteria and its use in direct-fed microbials
BR112014003950B1 (pt) 2011-08-24 2022-01-11 Dupont Nutrition Biosciences Aps. Uso de cepas de bacillus isoladas produtoras de enzima e alimentação de um animal
US10588857B2 (en) 2012-03-29 2020-03-17 Therabiome, Llc Gastrointestinal site-specific oral vaccination formulations active on the ileum and appendix
BR112015023124A2 (pt) 2013-03-14 2017-07-18 Therabiome Llc liberação de organismos probióticos e/ou agentes terapêuticos almejada para o trato gastrintestinal
DE102015211640B4 (de) 2015-06-24 2017-09-21 Organon eG Frankfurt Stoff zum mikrobiologischen Behandeln von Gegenständen oder deren Oberfläch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3391A (en) * 1961-10-06 1965-07-06 Swift & Co Use of bacteria in cured meats
US3899594A (en) * 1971-09-13 1975-08-12 Dirigo Corp Food preservation
JPS5048386A (ko) * 1973-08-31 1975-04-30
US3900572A (en) * 1974-03-20 1975-08-19 Ferma Gro Corp Nutrient composition for plants and animals
US3957974A (en) * 1974-11-05 1976-05-18 Seikenkai Method for deodorization of excrements
JPS5173136A (en) * 1974-11-20 1976-06-24 Seikenkai Funbenno datsushuhoho
JPS52102419A (en) * 1976-02-23 1977-08-27 Seikenkai Lactic acid producing bacillus preparation
JPS52154590A (en) * 1976-05-21 1977-12-22 Seikenkai Cultivating and preserving method of deodorising lactobucillus and liling cell preparation
US4160038A (en) * 1976-08-09 1979-07-03 Microlife Technics, Inc. Lactic acid fermentate flavored pet food
JPH1073136A (ja) * 1996-08-29 1998-03-17 Aisin Seiki Co Ltd ディスクブレ−キ用ベンチレ−テッドディスクロ−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79734A (en) 1986-04-01
EP0099235A2 (en) 1984-01-25
DE3381903D1 (de) 1990-10-31
JPS5911177A (ja) 1984-01-20
KR840005485A (ko) 1984-11-14
CA1204686A (en) 1986-05-20
PH19244A (en) 1986-02-14
AU1676583A (en) 1984-01-19
JPH04632B2 (ko) 1992-01-08
EP0099235A3 (en) 1985-06-05
BR8303725A (pt) 1984-02-14
AU556996B2 (en) 1986-11-27
EP0099235B1 (en) 1990-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307B1 (ko) 락토바실루스-함유 식품 및 음료수의 제조방법
US4871539A (en) Biodeodorizer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100433300B1 (ko) 사료 생산물
US5707854A (en) Lactic acid bacteria of the Genus lactobacillus
MXPA02007018A (es) Composicion alimenticia para mascotas para tratamiento de la especie helicobacter en mascotas.
GB1584694A (en) Lactobacillus deodorant
AU662601B2 (en) Probiotic for control of salmonella
CN114231473A (zh) 一株益生植物乳杆菌及其在低盐发酵肉食品制备中的应用
US5139777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uminant feed utilization
Polyanskaya et al. Quasicapsulation of probiotics.
KR101068531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용 복합 생균제 조성물
KR101047948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1665334B1 (ko) 축산악취의 감소 및 면역활성 효과를 가지는 로도박터 스페로이데스 cb 8521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제
KR20030057531A (ko)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의 신규한 균주
JPH0763358B2 (ja) サイレージ調製用乳酸菌スターター
WO2020231347A2 (en) A method for producing milk and dairy supplements with a unique fatty acid composition, by restoring the commensal natural microbiota
KR100206454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디에스-12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JP4023791B2 (ja) 抗菌物質産生乳酸菌およびそれを用いた機能性食品
RU2170023C2 (ru) Штамм lactobacillus acidophilus а-91,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исломолочных продуктов, штамм lactobacillus acidophilus h-91,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исломолочных продуктов, закваск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исломолочных продуктов и препарат, способствующий адаптации организма к неблагоприятным внешним воздействиям
JPS6251577B2 (ko)
KR920001375B1 (ko) 신규 유산균
UPHILL et al. Vitamin B12 Production by the Gastro‐intestinal Microflora of Baboons Fed either a Vitamin B12 Deficient Diet or a Diet Supplemented with Vitamin B12
SU1651774A3 (ru) Сухой бактериальный препарат дл получени продукта типа йогурт
NL8502260A (nl) Preparaat en werkwijze voor het verbeteren van het nuttige effect van de benutting van voer voor herkauwers.
CN118160816A (zh) 一种复合微生物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