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454B1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디에스-12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 Google Patents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디에스-12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454B1
KR100206454B1 KR1019970007088A KR19970007088A KR100206454B1 KR 100206454 B1 KR100206454 B1 KR 100206454B1 KR 1019970007088 A KR1019970007088 A KR 1019970007088A KR 19970007088 A KR19970007088 A KR 19970007088A KR 100206454 B1 KR100206454 B1 KR 100206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fish
probiotics
strai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333A (ko
Inventor
오태광
박승춘
변재원
이동규
Original Assignee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동규
주식회사대성미생물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동규, 주식회사대성미생물연구소 filed Critical 박원훈
Priority to KR1019970007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454B1/ko
Publication of KR19980072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KCTC 0298BP)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개선된 내염성, 내담즙성 및 내산성 등의 생리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균주와 이를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DS-12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본 발명은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KCTC 0298BP)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개선된 내염성, 내담즙성 및 내산성 등의 생리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균주와 이를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정상적으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장관에 일정한 균총을 생성하고 면역증진작용, 유희병원균의 성장억제, 유해독소의 중화 및 합성차단, 영양분의 소화흡수의 증대 그리고 여러 유익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어 사람은 물론 동물에게도 많이 투여하고 있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유산균의 적용 범위는 더욱 확대되어 육상동물 뿐만 아니라 어류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동물 및 어류에게 예방학적 차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항생제를 환경 보호 차원에서 그 사용을 규제하고 있고, 또한 일부 이에 대해 법적 규제를 행하고 있다. 실제 항생제를 대신하여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서 동물 및 어류에 이런 유산균을 투여했을 때, 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바도 있다[Simirnov, V.V. et al, Microbiol. Z. 55(4) : 92(1993)].
현재, 바다양식은 대량, 고밀도 사육이 행해지고 있고, 이러한 양식어류는 많은 스트레스와 병원성 세균에 노출되고 있어 각종 생균제 제품을 사료와 혼합하여 투여하므로써 질병예방 및 증체율향상을 유도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cs)란 살아있는 생균제로서 사람 및 동물에 투여된 생균이 장내의 소화관 벽에 밀집, 정착하여 유해균이 정착하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유산을 생성하여 장내의 pH를 낮추어서 유해세균이 증식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투여된 생균제는 박테리오신(Bacteriocin) 혹은 과산화물을 생성하여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며 영양분의 흡수를 담당하는 장융모의 활동을 도와준다. 이밖에도, 생균제는 영양소의 흡수와 이용을 돕는 물질을 생성하고, 사료요구율을 개선시키며, 병원균이 생성하는 독성물질을 중화하는 물질을 생성하기도 한다. 생균제는 대체로 동물 혹은 어류가 스트레스로 인한 소화관의 유용균 감소를 억제할 목적으로 이용되며, 항생물질을 경구투여하고 난 후 병원균보다 먼저 세균이 없는 소화관 벽에 부착하여 병원균이 정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유산균은 종-특이성(Species-specificity)이 있어 사용하고자 하는 동물의 장세포와 어떤 친화력이 있어서 분과 함께 증식되는 데로 배설되지 않고, 장내 흡착(Adhesion)[Conway,P.L. et al, J. Dairy Sci. 70:1(1987), Fuller et al, Am. J. Clin.Nutri. 27: 1305(1974)]하는 특성이 있어야 효과적인 질병 예방 및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서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유산균 속들은 사람 및 육상동물의 장내에서 쉽게 분리되는 특성이 있으며, 이를 사람 및 육상동물 뿐만 아니라 해상 및 담수에 생육하는 어류에도 적용하고 있다. 가축에 대한 생균제의 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많이 연구되어 있어 많은 제품들이 상품화되어 있으나, 어류에 대한 생균제의 제품은 그렇게 많지가 않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류 전용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되는 균주로써 국내의 어류의 생육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해양어류에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하는 미생물의 유래가 어류에서 분리된 균주라기보다는, 대부분이 포유동물에서 분리되어 포유동물과 함께 사용하고 있어 어류에 대한 효과에 의구심을 불러일으킨다. 게다가, 원료의 수입으로 인하여, 수입에서 국내 유통간의 시간적인 차이로 인한 안정성의 결핍으로 균체의 콜로니형성도(Colony Forming Unit)도 상당한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어류용 생균제의 개발은 단 한건도 기술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한 어류용 전문 생균제가 국내 및 세계적으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양식어류로부터 직접 분리된 유산균주와 이 균주로부터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DS-12(KCTC 0298BP)균주의 전자현미경 사진(×8800)이다.
본 발명은 신균주 라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KCTC 0298BP)를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KCTC 0298BP)을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에 또다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내염성, 내담wmq성 및 내산성 등 우수한 생리활성을 갖을 뿐만 아니라 종-특이성의 문제도 극복한 프로바이오틱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DS-12의 분리 및 동정과정은 다음과 같다.
-신규 미생물의 분리-
남해안 지역의 양식어장으로부터 우럭과 넙치의 내장을 100여점 채취하였다. 각 시료의 장 내용물에서 장내 유산균의 분리를 위하여 3%와 5% 염분(NaCl)이 포함된 BL 배지(10-1,-3)를 사용하였다. 유산균의 특징인 그람 양성의 간균으로서 카탈라제가 음성인 균주를 최종 선별한 3개 균주를 분리하여 선정하였다.
-신규 미생물의 동정-
[형태 및 배양학적 특성]
최적 생육배지에서 배양한 균주를 그람염색을 행한 결과는 그람 양성균이었다. 배양학적인 특징은 통성 혐기성(Facultative anaerobes)이며, 첨부한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상간(Short rod) 형태를 가지고 포자를 형성하지 않았으며, 카탈라제(Catalase) 시험결과는 음성반응이고, 유산(Lactic acid) 및 유기산을 생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바, 전형적인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이 갖는 형태 및 배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생리학적 특성]
미생물의 균체의 생리학적인 특성은 주로 당이용성으로서 조사하였다. 다음의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비데센스(Lactobacillus videscens)와 비슷한 생리학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정확히 일치되는 균주는 없었지만,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에 해당됨을 확정할 수 있었다.
Figure kpo00002
[신균주 미생물 DS-12의 동정 및 명명]
형태적, 배양학적 및 생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본 발명에서 분리된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에 속하는 미생물임을 버기스 매뉴얼(Bergey's Manual Systematic Bacteriology Vol 2,Willim Wilkins Co. , 1989)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동정결과가 정확하게 일치되는 균주는 없었지만,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과 가장 비슷한 결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의 변종으로 판단된다.
분리된 미생물을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로 명명하고, 1997년 1월 22일부로 대한민국 특허균주 기탁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생명공학연구소내 유전자원센타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 0298BP를 부여받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의 생산
제품화를 위한 생산시험을 하기위해서 배양기(Fermentor)를 사용하여 균체생산시험을 행하였다. 5ℓ의 배양기를 이용하여 펩톤(Proteose peptone)10g, 소고기 육즙(Beef extract) 10g,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5g, 덱스트로스(Dextrose) 20g, 솔비탄(Sorbitan monooleate) 1g, 암모늄 사이트레이트(Ammonium citrate) 2g, 소디움 아세테이트(Sodium acetate) 5g, 마그네슘 설페이트(Magnesium sulfate) 0.1g, 망간 설페이트(Manganese sulfate) 0.05g, 다이소디움 포스페이트(Disodium phosphate)0.05g 1ℓ의 수돗물에 녹인 배지 3ℓ에 미리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의 종배양 30㎖를 접종하여 공기공급량 1vvm, 교반속도 300 rpm, 30oC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생산결과는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 접종후 14시간에 최대의 균수인 7.8 ×109/㎖를 생산할 수 있었다.
Figure kpo00003
[실시예 2]
신균주의 산 생성능 시험
산 생성능 실험은 0.2% CaCO3을 포함하는 펩톤(Proteose peptone) 10g, 소고기 육즙(Beef extract) 10g,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5g, 덱스트로스(Dextrose) 20g, 솔비탄(Sorbitan monooleate) 1g, 암모늄 사이트레이트(Ammonium citrate) 2g, 소디움 아세테이트(Sodium acetate) 5g, 마그네슘 설페이트(Magnesium sulfate) 0.1g, 망간 설페이트(Manganese sulfate) 0.05g, 다이소디움 포스페이트(Disodium phosphate)0.05g 을 1ℓ의 증류수에 녹인 배지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판정은 투명환의 크기를 비교하여 산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최종 선별된 3균주를 비교한 결과 그 중 산 생성능이 가장 좋은 DS-12균주를 최종선발하였다.
[실시예 3]
어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억제능 실험
어류 병원성 미생물 균주에 대한 억제능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최종 선별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 균주를 이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어류 질병의 원인균중, 비브리오 앙귈라리움(Vibrio anguillarium), 슈도모나스 플루오르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애드워드시엘라 타르다(Edwardsiella tarda), 슈도모나스 앙귈리셉티카(Pseudomonas anguilliseptica), 파스튜렐라 피스시시다(Pasteurella piscicida)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sp), 에어로모나스 하이드로필라(Aeromonas hydrophila), 비브리오 앙귈라리움 (Vibrio anguillarium),85805에 대하여 길항작용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는 어류의 주요 병원균인 애드워드시엘라 타르다(Edwardsiella tarda), 파스튜렐라 피스시시다(Pasteurella piscicida), 에어로모나스 하이드로필라(Aeromonas hydrophila), 비브리오 앙귈라리움 (Vibrio anguillarium) 85805에 대한 증식억제작용 혹은 살균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다음 표 3에 요약하였다. 즉, 이러한 결과는 이 균주가 생성하는 유산균에 의하여 기인하는 것으로 생균제로 적용시 매우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04
[실시예 4]
항생제 내성 시험
어류 및 동물의 사료 첨가 및 치료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의 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룻밤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속 DS-12를 104CFU/㎖로 조정한 후, 100㎕를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미리 희석된 시험하고자 하는 항생제를 100㎕ 가한 다음, 27OC 정치배양기에 넣어 48시간 후에 균의 생육을 조사하여 최소발육 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4에 나타내었으며, 베타 락탐계의 항생제를 제외하고는 모든 계열의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기존의 유산균들과 항생제의 내성을 비교한 결과 동등하거나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균주를 항생제가 포함된 사료에 사용해도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중요한 사실을 말해준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5]
담즙산 내성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시된 유산균 생산배지에 담즙으로 옥스갈(Oxgall)을 0, 0.15, 0.3, 0.5, 1%가 되도록 농도를 맞춘 후, 이미 배양시킨 락토바실러스 속 DS-12 균주를 104CFU/㎖로 접종한 후, 37OC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균수를 측정한 결과를 다음 표5에 요약하였다. 그 결과 옥스갈 1%에서도 균이 정상적인 생육을 보여주어, 동물체내에서 담즙산이 분비되더라도 투여된 유산균이 생육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우수한 유산균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6]
광어를 이용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의 장내 효능 시험
체중이 평균 200~300g의 광어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생산된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DS-12를 광어 사료에 1%수준(108개의 유산균 g사료)으로 처리한 사료와 균주를 첨가하지 않은 사료를 광어에 급여하면서 15일 사양한 후, 임의로 광어를 각각 5마리씩 채취하여 장내미생물의 수를 조사한 결과 표6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7
처리구에서 그람 양성의 간균의 숫자가 늘어나는 것은 사료에 첨가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 DS-12의 숫자가 장내에서 증가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 DS-12가 물고기 장내에 정착함을 알 수 있고, 병원성 미생물인 용혈균 및 무코이드 형(Mucoid colony)이 처리구에서 급격히 감소되는 것은 어류장내에 정착한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 DS-12가 유해성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길항작용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신균주가 해양어류의 프로바이오틱스로 유용함을 입증한다.
[실시예 7]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 DS-12가 광어 생육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광어를 1개월간 사육한 후, 광어의 증체율 및 사료효율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7에 요약하였다.
Figure kpo00008
이 결과 신 균주는 광어의 증체율을 증가시키고 사료효율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어서 수산농가에서 사용할 때, 수익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았다.
본 발명의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 DS-12(KCTC 0298BP)은 개선된 내염성, 내담즙성 및 내산성 등의 생리활성을 갖고 있고, 이를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 이용할 경우 어류의 증체율 및 사료의 효율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 DS-12(KCTC 0298B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락토바실러스 속 (Lactobacillus sp.) DS-12(KCTC 0298BP)는 pH 3의 조건에서 120분동안 생육할 수 있는 내산성, 옥스갈(Oxgall) 1%(w/v)의 조건에서 생육할 수 있는 내염성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임.
  3. 락토바실러스 속 DS-12가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KR1019970007088A 1997-03-04 1997-03-04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디에스-12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KR100206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088A KR100206454B1 (ko) 1997-03-04 1997-03-04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디에스-12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088A KR100206454B1 (ko) 1997-03-04 1997-03-04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디에스-12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333A KR19980072333A (ko) 1998-11-05
KR100206454B1 true KR100206454B1 (ko) 1999-07-01

Family

ID=1949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088A KR100206454B1 (ko) 1997-03-04 1997-03-04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디에스-12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6653A (zh) * 2018-03-12 2018-09-18 浙江亲水园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发酵乳酸杆菌及其在饲料领域和处理污水领域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237B1 (ko) 2005-06-09 2007-02-22 (주)엠지인투바이오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ib 282(kctc 18110p) 및 이를이용한 양어용 항균 프로바이오틱스
KR100865075B1 (ko) * 2007-03-27 2008-10-2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6653A (zh) * 2018-03-12 2018-09-18 浙江亲水园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发酵乳酸杆菌及其在饲料领域和处理污水领域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333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1977A (en) Competitive exclusion culture for swine
US5296221A (en) Lactobacillus johnsonii ferm bp-2680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using the same and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eparations
WO1989005849A1 (en) Lactic acid bacteria for use in fermented milk products and veterinary compositions
CN109749957B (zh) 一种具有水产病原菌拮抗特性的格氏乳杆菌制剂的制备及应用
WO2008023580A1 (fr) Additif pour alimentation animale
US5308615A (en) Probiotic for control of Salmonella
US6010695A (en) Saccharomyces boulardii treatment to diminish campylobacter and salmonella in poultry
KR101068531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용 복합 생균제 조성물
KR10213064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식 어류 및 갑각류용 사료첨가제
KR20150117184A (ko) 신규한 유산균, 진균 및 세균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KR20040017099A (ko) 내산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KR20060130854A (ko)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ib 282(kctc 18110p) 및 이를이용한 양어용 항균 프로바이오틱스
KR100430298B1 (ko) 축산 사료 첨가용 및 축분 처리용 미생물제제
KR100371503B1 (ko) 양식어류의 사료첨가제용 미생물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206454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디에스-12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KR20050025002A (ko) 유해미생물 억제 활성을 가지는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루테리 Probio-054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활성제
KR100803532B1 (ko) 내산성, 내담즙성의 적응력이 강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알파-갈락토시데이지 효소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에스피 살리바리우스 df20(kctc10942bp) 미생물
KR100553377B1 (ko) 가축설사 및 혈변억제용 생균제제
KR100523255B1 (ko)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갖는 신규 내산성 엔테로코커스훼시움 Probio-048 및 이를 함유한 생균활성제
KR20040065066A (ko)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유해 병원성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갖는 신규 내산성 엔테로코커스훼칼리스 Probio-053 및 이를 함유한 생균활성제
KR101903275B1 (ko) 신규미생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159 또는 이를 포함하는 어류용 사료첨가제
KR920001375B1 (ko) 신규 유산균
KR100445292B1 (ko) 다기능 프로바이오틱능력을 가지는 신규 엔테로코카스 페시움 유비티-엠01
EP0465677A1 (en) $i(LACTOBACILLUS ACIDOPHILUS) F-133, LACTIC ACID BACTERIUM PREPARATION PREPARED THEREFROM,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492916B1 (ko) 육계 증체향상과 사육환경 개선에 효과가 있는 유산균 및사료급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2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