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843Y1 - 차량용 회전 좌석 - Google Patents

차량용 회전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843Y1
KR910000843Y1 KR2019850012074U KR850012074U KR910000843Y1 KR 910000843 Y1 KR910000843 Y1 KR 910000843Y1 KR 2019850012074 U KR2019850012074 U KR 2019850012074U KR 850012074 U KR850012074 U KR 850012074U KR 910000843 Y1 KR910000843 Y1 KR 910000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al support
support
rotating
fixed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2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668U (ko
Inventor
하쯔스오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후지 기꼬 가부시끼사이샤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기꼬 가부시끼사이샤,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후지 기꼬 가부시끼사이샤
Publication of KR860003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8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14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회전 좌석
제1도는 적합한 실시예의 회전 자석이 설치된 자동차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좌석의 적합한 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회전 좌석 프레임의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회전 좌석 프레임의 정면도.
제5도는 제2도의 회전 좌석 프레임의 배면도.
제6도는 제2도의 회전 자석 프레임의 주요 부분의 사시도.
제7도는 제2도의 선 Ⅶ-Ⅶ에 따른 부분 단면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회전좌석이 회전 이동하는 동안에 상이한 위치에서의 회전 자석 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고정기부 21 : 회동식 지지부
22 : 회동 조립체 23 : 지지로울러 조립체
24 : 바닥판 30a, 30b : 핀
31a, 31b : 확대두부 32a, 32b : 플랜지형 연부
33a, 33b : 고리판 34a, 34b : 고리요홈
35, 40 : 활주 부재 42 : 지지부
50 : 체결핀 51 : 체결레버
본 고안은 차량용 회전 좌석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방으로 향한 통상의 위치와 문쪽으로 회동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자재하게 되어 있어 차량으로의 출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회전 좌석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특정, 형태의 차량에서만 회전 좌석 또는 회동을 자재한 좌석을 사용하였다. 이들 회전식 좌석 또는 회동자재한 좌석들은 일반적으로 중심에 있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또는 회전된다. 상기 좌석들은 회전시 회동장치를 이용한다.
회동 장치는 일반적으로 고정기부, 회동식 좌석 쿠션프레임(cushion frame) 및 고정기부로부터 돌출되어 회동식 좌석 쿠션 프레임을 회전식 또는 회동식으로 지지하는 회동축으로 구성된다. 고정 기부 및 회동식 좌석 쿠션 프레임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울러 조립체를 마련하여 좌석 쿠션 프레임이 고정 기부에 대하여 회동 이동 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체결장치는 좌석을 정상적인 전방을 향한 위치로 고정 시킨다.
상기와 같은 회전식 또는 회동식 좌석에 있어서, 회동축과 로울러 또는 로울러들은 좌석쿠션과 좌석 등받이 및 착석한 사람의 체중을 합한 좌석 조립체의 전중량을 지탱한다. 따라서 회동축과 로울러 또는 로울러들에 가해지는 하중의 상당히 크게된다. 부가해서, 승차한 사람의 체중에 의한 하중은 좌석에 균등하게 분포되지는 않는다. 좌석에 가해지는 힘의 불균형은 좌석의 전방 연부 또는 후방 연부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불균등한 하중은 라서 회동축, 체결 장치 및 로울러 또는 로울러들에 비틀림 전단변형력(distorting force)을 가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종래의 회전좌석은 하중의 불균형에 따라 좌석의 전방연부 또는 후방연부가 상승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지 못했기 때문에, 체결장치 및(또는) 로울러, 또는 로울러들은 전단변형력을 받게되어, 이에 의해 사용 수명이 단출되고 내구성이 저하되게 된다.
부가해서, 승객이 착석할시에 발생되는 순간적인 최대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로울러 또는 로울러들을 충분히 강하게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로울러를 크게 하여야 한다. 로울러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중심 회동축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부분과 가장 먼 부분사이의 곡률 반경이 상이하게 되어, 회전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그 결과로서, 좌석 쿠션 프레임 고정 기부에 대해 유연하게 회전이동 또는 회동을 하기 위해서는 로울러가 활주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활주 이동은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종래의 회동식 또는 회전식 좌석의 전기한 문제점 또는 결함을 제거하거나 또는 개량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목적 및 그외의 다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좌석에는 좌석의 전방 연부 및 후방 연부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 수단을 마련하여, 회전축, 체결 수단 및(또는) 로울러, 또는 로울러들에 나타나는 비틀림 전단현상을 방지한다.
체결 수단은 좌석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좌석의 전방 연부 또는 후방 연부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된다.
좌석은 또한 로울러들 및 회동축과 함께 협력하여 고정부품에 대해 회전 자재한 부품을 지지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좋다. 지지 수단은 가동 부품이 고정 부품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하여 가동 부품이 고정부품에 대해 부드러운 회동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로울러 및 회동축에 인가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르면, 회전좌석은 바닥에 고정된 고정부품과, 좌석쿠션을 그와 함께 회동하도록 지지하고 고정부품 바로 위에서 회동식으로 지지되는 회동부품과, 회동 부품의 고정 부품에 대한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 부품은 제1의 정상 위치와 제1위치로부터 설정된 각 만큼 이동된 제2의 회동 위치 사이에서 회동 자재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고정 부품에 고정된 제1부재와 회동 부품에 고정되고 회동 부품의 제1위치에서는 제1부재와 계합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회전 좌석은 또한 회동 수단을 체결하여 회동 부품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이 체결수단은 회동 부품의 제1위치에서만 작동된다. 회전 좌석은 또한 회동 부품과 고정부품 사이에 위치하여 회동 부품을 부드럽게 회동이동 시키는 하나 이상의 로울러 조립체도 포함한다.
체결수단의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회동 부품이 제1위치에 있을 때 상호연결 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연결시에는 회동 부품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제2부재는 회동 부품의 전방연부 및(또는) 후방연부에 고정되어 회동 부품의 대응된 전방연부 및(또는) 후방 연부가 상향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회전좌석은 고정 부품에 고정된 제3부재와 회동 부품에 고정되고 제3부재와 협력하여 회동 부품이 제1위치에 있을 때 회동 부품을 고정 부품에 대해 설정된 관계로 수직으로 위치시키는 제4부재로 또한 구성된다.
제3부재 및 제4부재가 상호 협력하게 되면 회동 부품이 고정 부품을 향해 하강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제3부재는 작동연부가 있는 수평면을 갖는 제1부분과 제1부분으로 부터의 반대편 단부를 향하여 그 높이가 감소되는 경사면을 갖는 제2부분으로 구성되며, 제4부재는 작동 연부가 있는 수평면을 갖는 제3부분과 제3부분으로부터의 반대편 단부를 향하여 수직 치수가 감소되는 경사면을 갖는 제4부분으로 구성되며, 제3부분 및 제4부분은 회동 부품이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회동 이동할때에 협렵하여, 제1부분의 작동 연부가 제4부분의 경사면과 접촉되게 하고, 다음에 제1부분의 작동 연부가 제4부분의 경사면을 따라 제2부분의 수평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하여 회동 부품을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하고, 제1부분의 수평면을 다음에 제3부분의 수평면과 접촉되어 교차 되게 하고, 제2부분의 경사면이 최종적으로 제3부분 및 제4부분 사이의 연결부에 접촉되도록 하고 다음에 제4부분의 경사면과 교차되도록 하여, 회동 부품의 제1위치에서 회종 부품이 고정 부품에 대해 설정된 수직 위치로 하강 되게 한다.
로울러 조립체는 공통축상에 개별적으로 회전 자재하게 장착된 내부 로울러 및 외부 로울러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술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본 고안을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국한 시키는 것도 아니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다른 적합한 실시예의 좌석(2)가 좌석이 전방을 향한 정상위치와 외측을 향하는 회동된 위치 사이에서 회동 자재한 것을 도시하였다. 이후에 정상 위치, 전방을 향한 위치는 “정상 위치”로 칭하며, 외측을 향한 위치는 “회동된 위치”로 칭한다. 회동된 위치에서, 좌석(2)의 좌석 쿠션(3)은 차량의 대응된 문을 향하여 탑승했던 승객이 차량으로부터 쉽게 하차하고 또한 승차할 수 있도록 한다. 좌석(2)를 정상 위치와 회동된 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회동 장치는 좌석 쿠션(3)의 바닥 내에 설치하며, 이는 쿠션(3)을 회동 자재하게 지지한다.
또한, 회전좌석(2)는 좌석을 정상 위치에 체결시키는 체결 장치를 갖는다.
제2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에 다른 적합한 실시예의 회전좌석(2)의 회동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회동 장치는 대체로 고정기부(20) 및 회동식 지지부(21)로 구성된다.
고정기부(20)은 차량 바닥에 고정된다. 회동식 지지부(21)은 대체로 상자형 좌석 쿠션 프레임을 형성하는데 그 위에 천으로된 쿠션이 장착되어 좌석 쿠션(3)을 구성한다.
좌석쿠션 프레임, 즉 회동식 지지부(21)은 공지된 등받이 장치(도시안됨) 및 등받이 브래킷(bracket)(50)을 통해 등받이 프레임(도시안됨)에 연결된다.
회동식 지지부(21)은 회동 조립체(22)에 의해 고정기부(20)에 연결된다. 회동 조립체(2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26) 및 베어링(27)로 구성된다. 회동식 지지부(21)은 축(26)의 상단부에서 회전자재하게 지지된다. 다수의 지지로울러 조립체(23)은 고정기부(20)의 상부면 상에 장착된다. 각각의 로울러 조립체들은 로울러 지지 브래킷(23a)와, 축(23d) 및 상기 로울러 지지브래킷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지지되는 1조의 로울러(23b) 및 (23c)로 구성된다. 로울러(23b) 및 (23c)는 회동식 지지부(21)의 바닥판(24)와의 접촉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여, 고정기부(20)에 대한 회동식 지지부(21)의 회동 이동을 촉진시킨다.
고정기부(20)은 그 평면형태가 모서리가 절단된 정사각형 또는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핀(30a) 및 (30b)는 고정기부(20)의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다. 핀(30a) 및 (30b)는 핀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는 확대 두부(31a) 및 (31b)를 갖는다.
고리판(33a) 및 (33b)는 회동식 지지부(21)의 바닥판(24)에 고정된다. 각각의 고리판(33a) 및 (33b)는 수직부분(33l) 및 수평부분(332) 갖는다. 수직부분(331)은 회동식 지지부(21)의 수직 측벽에 용접된다. 수평부분(332)는 플랜지형 연부(32a) 또는 (32b)가 있는 고리 요홈(34a) 및 (34b)를 갖는다. 고리판(33a) 및 (33b)는 핀(30a)에 대응된 위치에서 바닥판 상에 장착된다.
고리요홈(34a) 및 (34b)의 개방단은 대응된 핀(30a) 및 (30b)와 마주본다. 이러한 구조로서, 핀(30a) 및 (30b)는 회전 좌석(2)가 그 정상 위치로 이동할 때 대응된 고리 요홈(34a) 및 (34b)에 결합되게 된다. 한편, 회동식 지지부(21)이 정상 위치로부터 회동된 위치로 회동 이동하면, 고리판(33a) 및 (33b)는 핀(30a) 및 (30b)로부터 분리된다. 고리판(33a) 및 (33b)의 상부면을 핀의 확대두부(31a) 및 (31b)의 저면과 접촉된다.
제6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활주 부재(35)는 체결 나사에 의해 회동식 지지부(21)의 바닥판(24)에 고정된다. 활주부재(35)는 고리 요홈(34b)의 개방단에 대향되는 상태로 고리판(33b) 근처에 위치한다. 활주 부재는 합성수지로 성형할 수 있다. 활주부재(35)는 수직단부(36a) 및 저부 수평 접촉면(36b)를 갖는 전방부분(36)과, 전방부분(36)의 후방단으로부터 고리판(33b) 근처까지 계속되며 테이퍼형 하부면(37a)를 갖는 후방부분(37)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퍼형 부분은 고리판(33b)에 대향되는 단부를 향하여 위로 경사진다. 활주부재(40)은 활주부재(35)에 대향되게 고정 기부(20)의 상부면에 장착된다. 활주부재(40)은 만곡된 금속판으로 성형되며 체결나사로 기부에 고정된다. 활주 부재(40)은 핀(30b) 근처에 위치하며, 핀(30b)에 인접한 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테이퍼형 부분(41) 및 고정기부(20)의 상부면상의 돌출된 보스(boss)(20a)에 착좌되는 지지부(42)를 갖는다.
활주부재(35) 및 (40)은, 회전좌석(2)의 회동시, 핀(30a) 및 (30b)와 고리판(33a) 및 (33b)가 각각 계합되기 전에는 활주부재(35)의 전방 수직단부(36a)가 활주부재(40)의 테이퍼형 부분(41)에 접촉되고, 핀(30a) 및 (30b)와 고리판(33a) 및 (33b)가 계합될 때에는 테이퍼형 하부면(37a)가 지지부(42)와 접촉되도록 배열된다.
제6도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부분(36)의 높이 H는 후방부분(37)의 높이 h보다 높게 되어 있다. 핀(30a) 및 (30b)와 고리판(33a) 및 (33b)의 계합에 따라 테이퍼형 하부면(37a)가 지지부(42)의 상부면과 접촉될대, 회동식 지지부(21)이 기부(20)에 대해 수평한 상태로 평행을 이루도록 높이 h를 선택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장치는 고정기부(20)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체결핀(50)으로 구성된다.
체결핀(50)은 핀(30a)를 갖지 않는 모서리중 전면 모서리 내에서 로울러 조립체(23)의 궤적 외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체결레버(51)은 회동식 지지부(21)로부터 연장된 회동축(52)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체결레버(51)의 체결두부(51a)에는 체결 핀(50)과 계합되는 체결요홈(53)을 마련한다. 체결레버(51)은 스프링(54)에 의해 체결핀(50) 방향으로 압압된다. 좌석이 그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체결레버(51)과 체결핀(50) 사이는 체결 계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울러 조립체(23)의 로울러(23b) 및 (23c)는 중심 회동축(26)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R1및 R2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로울러(23b) 및 (23c)는 각각 축(23d)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 결과로, 로울러(23b) 및 (23c) 사이에 회전 속도 차이가 발생되기 때문에, 고정 기부(20)에 대한 회동식 지지부(21)의 회동 이동을 유연하게 하는 데에는 아무러한 영향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로울러를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로울러와 회동식 지지부(21)의 바닥판(24)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이는 또한 회동식 지지부가 고정 기부에 대해 부드럽게 회전하는 것을 보조하게 된다.
회전 좌석(2)를 정상 위치로부터 회동된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체결레버(51)을 스프링(54)의 탄성력을 극복하도록 수도 조작하여 체결 요홈(53)과 체결핀(50) 사이의 체결 계합을 해리시킨다. 이제 좌석(2)는 제2도에 화살표 A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동 조립체 주위로 자유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적절한 정지부를 마련하여 회동식 지지부(21)이 고정기부에 대해 회동 이동되는 상태를 제한한다.
좌석(2)를 정상 위치로 귀한 시킬 때에는 회동식 지지부(21)을 제2도에 화살표 B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승객이 좌석에 않아 있게 도면 좌석 프레임에 하중이 인가되는데, 이 하중은 좌석의 여러부분에 걸쳐 불균등하게 분포된다. 이는 회동식 지지부(21)의 전방단부 또는 후방단부를 고정기부(20)을 향해 아래로 기울게 한다.
이 상태는 제8도에 도시하였는데, 여기에서 활주 부재(35)의 전방수직 단부(36a)는 활주 부재(40)의 테이퍼형 부분(41)과 바로 접촉된다. 도한, 하중의 불균등하게 분포되면, 핀(30b)의 확대 두부(31b)는 회동식 지지부(21)의 바닥판(24)와 접촉된다.
회동식 지지부(21)이 고정기부(20)에 대해 계속 회전하게 되면, 활주부재(35)의 전방 수직 단부(36a)는 활주부재(40)의 테이퍼형 부분(41)의 상부 테이퍼형 면을 따라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회동식 지지부(21)을 고정기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승 시키게 된다. 이때에, 활주부재(40)의 테이퍼형 부분(41)의 테이퍼형 상부면에 대한 활주부재(35)의 전방 수직단부(36a)의 제1접촉점을 회동식 지지부 및 고정 기부 사이의 수직 격설상태로 결정되기 때문에, 전방 수직단부(36a)는 현저한 충격 도는 충돌 현상 없이 테이퍼형 부분(41)의 테이퍼형 상부면과 계속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부드러운 전이 상태는, 활주 부재(35) 및 (40)상에 가해지는 하중을 로울러 조립체(23)이 감소시키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활주 부재(35)의 전방 부분의 수직단부(36a)가 활주 부재(40)의 지지부(42)에 도달하게되면, 회동식 지지부(21)과 고정 기부(20) 사이의 수직 간격은 최대가 된다. 이 시점에서, 회동식 지지부(21)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두부(31a) 및 (31b)로부터 격설되게 된다.
따라서, 핀(30a) 및 (30b)는 회동식 부분(21)이 고정기부(20)에 대해 계속 회동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회동식 지지부(21)이 정상 위치로 회전할 때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주 부재(35)의 전방부분(36)의 저부 수평 접촉면(36b)는 지지부(42)의 상부면위를 통과하게 되고 후방부분(37)의 테이퍼형 면(하부면)(37a)는 활주부재(40)의 지지부(42)의 상부면과 접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상 위치를 향한 회전 이동의 종결단계 근처에서, 회동식 지지부(21)는 활주 부재(35)의 후방부분(37)의 테이퍼형 하부면(37a)와 활주부재(40)의 지지부(42)의 상부면 사이의 접촉상태에 의해 수평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는 고리판(32a) 및 (32b)의 수평부분(332)를 또한 수평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는 체결판(33a) 및 (33b)와 핀(30a) 및 (30b) 사이의 유연한 계합을 확실하게 해준다. 따라서, 핀(30a) 및 (30b), 또는 고리판(33a) 및 (33b)에는 굽힘력 또는 다른 전단변형력이 전혀 작용하지 않게 된다.
회동식 지지부(21)이 정상위치로 회전 이동하는 종결 단계, 즉 핀(30a) 및 (30b)와 고리판(33a) 및 (33b)사이에 체결 계합이 이루어질 때에, 체결레버(51)은 압압 스프링(54)에 의해 그 체결 위치로 회동된다. 이 결과로, 회전좌석(2)는 그 정상 위치에 체결된다.
정상적인 사용시에, 좌석 전반에 걸쳐 분포되는 불균등한 하중은 횡축,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 상태를 발생시킨다. 예컨대, 탑승자가 좌석의 전방연부에 보다 무거운 하중을 인가하게 되면, 좌석의 후방부분은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고리판(33b)와 핀(30b)가 플랜지형 연부(32)를 확대 두부(31b)의 저면과 강하게 접촉시키기 때문에, 좌석 후방 부분의 상승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석의 전방 부분에 인가되는 보다 무거운 하중은 전방 연부 부근의 로울러 조립체(23)의 수용하기 때문에, 회동식 지지부(21)은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좌석이 후방 부분에 보다 무거운 하중이 인가될 때에는, 회동식 지지부(21)의 전방 부분은 핀(30a) 및 고리판(33a) 사이의 계합에 의해 수평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에, 좌석의 후방 부분에 가해지는 보다 무거운 하중은 후방연부 부근에 위치한 로울러 조립체 및 활주 부재(35) 및 (40)에 의해 수용된다. 이와 같이, 활주부재(35) 및 (40)과 핀(30a)(30b) 및 고리판(33a)(33b)들은 상호협력 하여 고정기부(20)과 회동식 지지부(21)을 수평으로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이루게 된다.

Claims (10)

  1. 바닥에 고정된 고정기부, 좌석 쿠션을 함께 회전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고정기부 직 상방에서 회동 자재하게 지지되며, 제1의 정상 위치와 이 제1위치로부터 설정된 각도 만큼 회전된 제2회동 위치 사이에서 회동 자재하게 되어 있는 회동식 지지부, 및 상기 회동식 지지부의 변위를 방지하여 회동식 지지부가 상기 고정 기부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 기부에 고정된 핀 및 제1활주부재와, 상기 회동식 지지부가 적어도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핀 및 활주부재에 계합되는, 상기 회동식 지지부에 고정된 고리판 및 제2활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식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식 지지부가 상기 고정 기부에 대해 격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핀의 상부를 확대 두부로 하여 그 저면이 상기 고리판의 플랜지형 연부와 계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식 지지부를 고정시켜 그의 회동을 방지하는 체결장치로 또한 구성되고,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회동식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식 지지부와 상기 고정 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식 지지부가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해주는 하나 이상의 로울러 조립체로 또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의 핀 및 고리판이 상기 회동식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호 계합되고, 계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식 지지부가 위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이상기 회동식 지지부의 전방 연부 또는 후방연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기 회동식 지지부의 대응된 전방 연부 또는 후방연부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부에 고정된 제1활주 부재와 상기 회동식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2활주 부재는 상호 협력하여 상기 회동식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회동식 지지부를 상기 고정 기부에 대해 설정된 수직 관계로 상기 회동식 지지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활주 부재 및 제2활주 부재는 상호 협력할 때 상기 회동식 지지부가 상기 고정기부 방향으로 하향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활주 부재는 작동 연부가 있는 수평면을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반대측 단부를 향해 그 높이가 감소되는 경사면을 갖는 테이퍼형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활주 부재는 작동 연부가 있는 수평면을 갖는 전방 부분과 상기 전방 부분의 반대측의 단부를 향하여 그 수직 치수가 감소되는 경사면을 갖는 후방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활주 부재 및 제2활주 부재는 상기 회동식 지지부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될 때 상호 협력하여, 상기 지지부의 작동 연부가 상기 후방부분의 상기 경사면과 접촉되고, 다음에 상기 지지부의 상기 작동 연부를 상기 후방부분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전방부분의 상기 수평면을 향해 이동 되도록 하여 상기 회동부품이 설정된 높이 만큼 상승되게 하고, 다음에 상기 지지부의 상기 수평면을 상기 전방부분의 상기 수평면을 가로질러 접촉되게 하고, 상기 테이퍼형 부분의 상기 경사면은 최종적으로 상기 전방부분 및 후방 부분 사이의 연결부에 접촉되고 다음에 상기 후방 부분의 상기 경사면과 접촉되어, 상기 회동식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식 지지부를 상기 고정 기부에 대해 설정된 수직 위치로 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석.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 조립체가 공통축 상에서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장설된 내부로울러 및 외부 로울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석.
KR2019850012074U 1984-09-21 1985-09-20 차량용 회전 좌석 KR9100008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142228U JPS6157047U (ko) 1984-09-21 1984-09-21
JP59-142228 1984-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68U KR860003668U (ko) 1986-04-21
KR910000843Y1 true KR910000843Y1 (ko) 1991-02-08

Family

ID=1531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2074U KR910000843Y1 (ko) 1984-09-21 1985-09-20 차량용 회전 좌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92188A (ko)
EP (1) EP0175584B1 (ko)
JP (1) JPS6157047U (ko)
KR (1) KR910000843Y1 (ko)
DE (1) DE357753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07142D0 (en) * 1988-03-25 1988-04-27 Goodall M J Extendable seat arrangement for vehicles
JP2585735B2 (ja) * 1988-07-28 1997-02-2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回転シート用ターンテーブル装置
JP3034874B2 (ja) * 1988-09-06 2000-04-17 スズキ株式会社 車 両
JPH0274425A (ja) * 1988-09-09 1990-03-14 Mazda Motor Corp 自動車用フロントシートの回転装置
CA2015353A1 (en) * 1989-12-04 1991-06-04 Dennis J. Gryp Swivel seat, especially for vehicles
US5161765A (en) * 1991-03-04 1992-11-10 Aero Tech United Corporation Moveable seat mounting device
FR2676690B1 (fr) * 1991-05-23 1993-09-03 Faure Bertrand Automobile Plateau formant base tournante pour siege de vehicule.
FR2684609B1 (fr) * 1991-12-10 1994-02-11 Faure Automobile Bertrand Base tournante a securite permettant la rotation de 180degre d'un sieg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ou analogue.
US5427426A (en) * 1993-11-15 1995-06-27 Grappo; Donald T. Seat accessory
US6918459B2 (en) * 1994-05-23 2005-07-19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airbags
US6755273B2 (en) * 1994-05-23 2004-06-29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Combined airbag inflation and occupant displacement enabling method and apparatus
US5636884A (en) * 1995-03-15 1997-06-10 Lear Seating Corporation Pivotal seat and support
FR2738780B1 (fr) * 1995-09-15 1997-10-31 Renault Dispositif d'entrainement des deplacements d'une assise d'un siege pour vehicule automobile
JP3431773B2 (ja) * 1996-09-27 2003-07-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回転式シート装置
JP3269433B2 (ja) 1997-04-03 2002-03-2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回転座席
US5950751A (en) * 1997-07-29 1999-09-14 Solorider Industries, Inc. Electrically-powered vehicle with swivel seat
CA2302170C (en) 1997-09-01 2003-05-06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Vehicular turning seat
FR2776583B1 (fr) * 1998-03-31 2000-05-26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assise dont l'armature est fixee de maniere pivotante sur le plancher du vehicule
US6168234B1 (en) 1999-03-01 2001-01-02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including a vehicle seat and system for rotating same
DE10120768B4 (de) * 2001-04-27 2012-08-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chwenksitzanordnung für Fahrzeuge
US6578854B2 (en) * 2001-07-30 2003-06-17 Solorider Industries, Inc. Personal mobility vehicle incorporating tilting and swiveling seat and method for use while playing golf
JP2003276484A (ja) * 2002-03-27 2003-09-30 Tachi S Co Ltd シート回転機構
JP3919206B2 (ja) * 2002-03-27 2007-05-23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回転機構
DE102004013628A1 (de) * 2004-03-19 2005-10-06 Adam Opel Ag Schwenksitzanordnung für Fahrzeuge mit einer Crashsicherung
US7281761B2 (en) * 2004-05-03 2007-10-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configuration system for an automotive interior
US7387338B2 (en) * 2005-01-07 2008-06-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multi-position seat assembly
US7125076B2 (en) * 2005-01-07 2006-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multi-position seat assembly
DE102005050128B4 (de) * 2005-09-08 2014-10-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DE102006031466B4 (de) * 2005-09-08 2014-11-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itz für ein Kraftfahrzeug
US20090127908A1 (en) * 2007-10-04 2009-05-21 John Kucharski Seat Swivel Mechanism
US9493242B2 (en) * 2011-12-23 2016-11-15 B/E Aerospace, Inc. Aircraft passenger seat and seat swivel assembly
US8690221B2 (en) * 2012-01-30 2014-04-08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Working vehicle
DE102012112138B3 (de) 2012-12-12 2014-05-15 Grammer Ag Fahrzeugsitz
DE102012112528B4 (de) * 2012-12-18 2014-09-18 Grammer Ag Nutzfahrzeugsitz mit einer Drehverstelleinrichtung-Überlastsicherungseinheit
DE102012112523B4 (de) 2012-12-18 2020-11-12 Grammer Aktiengesellschaft Nutzfahrzeugsitz mit drehbarem Sitzteil
DE102012112527B3 (de) 2012-12-18 2014-06-05 Grammer Ag Nutzfahrzeugsitz mit integrierter Drehverstelleinrichtung
GB201320380D0 (en) * 2013-11-19 2014-01-01 Auger Laurent Powered vehicle mechanism
DE102014107816B4 (de) 2014-06-03 2018-05-03 Grammer Aktiengesellschaft Nutzfahrzeugsitz mit arretierbarem Querschlittenteil
US9242581B2 (en) 2014-06-25 2016-0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ic presentable swiveling seat
DE102014109191B8 (de) 2014-07-01 2018-12-20 Grammer Aktiengesellschaft Federungssystem für Fahrzeugsitze und Verfahren zum Federn von Fahrzeugsitzteilen
US10099579B2 (en) 2014-12-04 2018-10-16 Chiari & Syringomyelia Foundation, Inc. Golf cart with movable seat including a seat swivel mechanism
US9428276B1 (en) 2015-02-19 2016-08-30 PAC Seating Systems, Inc. Swivel mechanism for vehicle seat
US10857907B2 (en) 2018-04-05 2020-12-08 Sears Manufacturing Co. In-cushion seat swivel
US10730409B2 (en) * 2018-08-16 2020-08-04 Sears Manufacturing Co. Seat swivel limiter
KR102484935B1 (ko) * 2018-08-21 2023-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 및 스위블 장치
US10836279B2 (en) * 2018-09-13 2020-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wivel plate assembly
WO2020097281A1 (en) 2018-11-09 2020-05-14 Magna Seating Inc. Swivel mechanism for rotation of a seat in an automotive vehicle
US10988054B1 (en) * 2019-05-24 2021-04-27 Seating Technologies, Inc. Vehicle swivel seat
DE102019115602A1 (de) * 2019-06-07 2020-12-10 Faurecia Autositze Gmbh Dreh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sowie Fahrzeugsitz
US11395781B2 (en) * 2020-02-18 2022-07-26 Anna TAYLOR Transfer assist pivot board
USD976627S1 (en) * 2020-05-08 2023-01-31 Jinguang Wen Swive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7849A (en) * 1925-03-09 1925-07-28 American Seating Co Chair
GB384641A (en) * 1930-03-03 1932-12-08 Dayton Accessories Mfg Compan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tomobile seats
US1897676A (en) * 1931-02-11 1933-02-14 Earle R Ries Stool
GB492492A (en) * 1937-12-23 1938-09-21 Richard Jaque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tor vehicle and the like seats
US2225735A (en) * 1938-03-05 1940-12-24 Cederquist Nils Herman Self-aligning counter stool
US2821240A (en) * 1955-08-11 1958-01-28 Jr Harry L Morrill Vehicle seat
US2851321A (en) * 1957-06-13 1958-09-09 Raymond E Malburg Movable booth type table top
US3046052A (en) * 1959-07-13 1962-07-24 Reuben E Summers Revolvable seat
US3207464A (en) * 1964-04-23 1965-09-21 B L Marble Furniture Inc Swivel chair
US3572817A (en) * 1969-07-16 1971-03-30 Gen Motors Corp Adjuster mechanism for a vehicle swivel seat
JPS5122570A (en) * 1974-08-14 1976-02-23 Ube Industries Kankoseikarihiryono seizohoho
JPS57126733A (en) * 1981-01-27 1982-08-06 Nissan Motor Co Ltd Seat rotation device for vehicle
US4401287A (en) * 1981-07-31 1983-08-30 Leisure Products, Inc. Swivel assembly
US4518139A (en) * 1983-09-12 1985-05-21 Elkhart Machine & Tool Co., Inc. Seat pedest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68U (ko) 1986-04-21
EP0175584A3 (en) 1987-07-01
US4792188A (en) 1988-12-20
JPS6157047U (ko) 1986-04-17
EP0175584A2 (en) 1986-03-26
EP0175584B1 (en) 1990-05-09
DE3577531D1 (de) 1990-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843Y1 (ko) 차량용 회전 좌석
US4583781A (en) Motor vehicle seat
KR102148820B1 (ko) 자동차의 시트 스위블 장치
EP0358285B1 (en) Seat construction for use in vehicle
US4637653A (en) Rear seat cushion in motor vehicle
US4844543A (en) Rotation mechanism for rotatable seat
US3338622A (en) Swivel seat for motor vehicle
CA1257208A (en) Elevator system
US4969682A (en) Seat assembly with roller seat back hinge
US4487452A (en) Rotatable seat for an automotive vehicle
KR0134821B1 (ko) 롤링볼 어셈블리를 가지는 롤링볼 덱크장치
US6105921A (en) Adjustable seat mounting mechanism
US2148187A (en) Reversible seat
EP0221544B1 (en) Adjustable-height swivel seat for vehicle
JPH05156861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US6139232A (en) YZ- latch for tying freight to a loading floor
JPH01109134A (ja) シート装置
JP2929338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転向装置
KR102529802B1 (ko) 이동식 레일장치
CN217835426U (zh) 一种儿童安全座椅旋转及倾斜角度调节控制联动装置
KR970009795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전향(轉向)장치
JPH063703Y2 (ja) 車両用回転シ−ト装置
WO2024079812A1 (ja) 自走式エレベーター、及び、自走式エレベーターの経路切り替え方法
CN219431479U (zh) 一种车厅及具有其的停车系统
JPH08128255A (ja) スライド扉体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