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375B1 - 기계번역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계번역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375B1
KR900008375B1 KR1019870004512A KR870004512A KR900008375B1 KR 900008375 B1 KR900008375 B1 KR 900008375B1 KR 1019870004512 A KR1019870004512 A KR 1019870004512A KR 870004512 A KR870004512 A KR 870004512A KR 900008375 B1 KR900008375 B1 KR 900008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translation
interpretation
dictiona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549A (ko
Inventor
히로야스 노가미
기미히토 다케다
세이지 미이케
신야 아마노
치아키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11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5Rule-based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1Syntactic parsing, e.g. based on context-free grammar [CFG] or unification gramm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계번역시스템
최근 컴퓨터를 이용해서 입력원문을 자동적으로 제1언어로부터 제2언어로 기계번역하는 기계번역시스템이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기계번역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입력원문을 형태해석 및 구문해석하여 단어(숙어 및 구)와 같은 소정의 처리단위로 구분하고, 그 처리단위마다 번역사전을 검색해서 대응되는 번역어(번역어구)등을 색인한 후, 이를 소정의 번역문법칙이나 문법에 따라 결합하여 번역문을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자연언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의미해석기술이 충분히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번역문을 확실하게 얻는다는 것이 몹시 곤란하게 되는 바, 그 일례로 삽입부를 포함하는 입력원문에 대한 번역처리를 들 수가 있다. 즉, 자연언어문에는 삽입이 대단히 많이 사용되어 임의의 삽입부(예컨대 명사구와 동사구, 부사구, 조건절 및 문장등)가 임의의 위치에 나타나게 되는데, 종래의 기계번역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삽입부를 포함하는 문장을 정확하게 해석한다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최근의 기계번역시스템에서는 원문중 삽입부에 대해서 삽입을 의미하는 기호로 미리 둘러싸아 그 삽입부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번역시스템에서는 상기한 삽입부의 표기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앞편집에서 삽입부를 순서에 따라 지정할 필요가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커다란 부담이 되었다. 또 출력되는 번역문에 있어서도 삽입부에 대응되는 부분은 원문중 다른 부분과 동일한 형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번역문중 어떤 부분이 삽입부에 대응하는 부분인지를 사용자가 식별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계번역시스템에서는 원문중 삽입부를 사용자가 미리 모두 지정해야만 하고, 또 번역문중 삽입부에 대한 식별도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목적] '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감안해서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가 삽입부의 지정작업을 행하지 않고서도 정확하게 삽입부의 해석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부의 번역부분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기계번역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계번역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기계번역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입력부의 키배열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기계번역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표시부의 화면배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기계번역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편집제어부의 처리과정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기계번역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번역처리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제6도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원문의 해석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제7도는 삽입부추출규칙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삽입부해석문법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9도는 삽입부의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원문으로부터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의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원문전체의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번역문의 출력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부 2 : 원문기억부
3 : 번역문기억부 4 : 편집제어부
5 : 변역부 6 : 번역사전
7 : 표시제어부 8 : 표시부
9 : 인쇄부 6a : 활용
Figure kpo00002
변화사전
6b : 단어
Figure kpo00003
숙어사전 6c : 삽입부추출규칙
6d : 일반해석문법 6e : 삽입부해석문법
6f : 변환문법 6g : 생성문법
6h : 형태소생문법
본 발명은 제1언어의 문장을 제2언어의 문장으로 번역하는 기계번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언어의 문장중에서 삽입부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언어의 문장에서도 번역되는 삽입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상태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된 기계번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계번역시스템은 기능키와 편집키, 커서키 및 문자키로 구성되어 제1언어로 기술되는 원문을 입력시킴과 더불어 번역을 위해 다양한 동작이 실행되도록 기능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입력원문을 해석하기 위해 제1언어로 기술되는 원문을 저장하는 제 1메모리 ; 제1언어의 입력원문에 해당되는 번역문인 제2언어로 번역된 문장을 저장하는 제2메모리 ; 전체 시스템의 편집동작을 제어하는 편집제어부 ; 원문중 삽입부를 추출하기 위한 삽입부추출규칙과 추출된 삽입부를 해석하기위한 삽입부해석분법을 구비하여 원문의 삽입부를 추출하여 해석하는 제1사전과,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을 해석하는 제2사전을 구비하는 사전수단 ; 상기 편집제어수단에 결합됨과 더불어 그 편집제어수단으로부터 송출된 제어신호에 따라 번역처리를 실행하되, 삽입부추출규칙에 의거하여 원문의 삽입부를 추출하고, 삽입부해석문법에 의거하여 그 추출된 원문의 삽입부를 해석하며, 상기 삽입부의 해석과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의 해석을 결합하여 전체 번역문을 생성하는 번역부 및 ; 상기 번역부에서 얻어지는 문장의 해석에 의거하여 제2언어로 번역된 문장을 표시하되, 제2언어로 번역된 삽입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제어부를 갖춘 표시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작용)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부를 포함하는 원문에 대해 우선 삽입부일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독립접으로 구분해석함으로써 삽입여부를 판정하고, 이때 삽입부라고 판정되는 경우는 원문으로부터 삽입부를 제외시켜 해석한 후, 각각의 해석결과를 결합해서 원문전체의 해석결과를 얻도록 되어 있다.
또, 번역문에서 삽입부의 양측을 삽입부라고 알려주는 기호로 둘러쌈으로써 삽입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기계번역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제1도에 도시된 기계번역시스템은 키보우드로 이루어지는 입력부(1)와, 키보우드로부터 입력된 제1언어로 기술되는 원문을 기억하는 원문기억부(2), 제1언어의 입력원문에 대응되는 제2언어의 번역문을 기억하는 번역문기억부(3),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편집제어부(4), 번역처리를 실행하는 번역부(5), 번역처리에 이용되는 단어와 숙어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법을 포함하고 있는 일반적인 목적의 사전과 전문적인 사전을 갖춘 번역사전(6), 원문과 번역문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문장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부(7), 표시부 및, 표시부(8)상에 표시되는 원문과 번역문을 인쇄함과 더불어, 번역문을 출력하는 인쇄부(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기계번역시스템에서 영어를 일본어로 번역하는 경우에는 제1언어는 영어이고 제2언어는 일본어가 된다.
제2도는 입력부(1)를 구성하는 키보우드의 키배열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입력부(1)의 키보우드는 영문입력용 문자키 뿐만 아니라 이하의 각종키를 구비하게 된다. 즉, 번역지시키 ; 100, 편집키 ; 101∼106, 기능키 ; 110∼117, 커서키 ; 130∼134 및, 그밖의 키.
제3도는 표시부(8)의 화면배열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제1언어의 입력원문은 표시부(8)의 화면좌측인 원문표시영역에 표시되고, 번역처리의 결과로 얻어진 제2언어의 번역문은 표시부(9)의 화면우측인 번역문표시영역에 그 원문과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되며, 또 화면 윗부분의 편집영역은 각종 편집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제4도는 편집제어부(4)에 의한 대화번역처리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 대화번역처리에서는 원문의 입력과 대응하는 번역문의 편집작업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편집제어부(4)는 S1단계 내지 S5단계에서 입력부(1)의 키보우드로부터 어떤 정보의 키입력이 공급되는지 또는 번역부(5)로부터 번역완료신호가 공급되는지를 감시하게 되며, 이때 어떤 정보의 키입역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어느 기능키를 조작할 경우에는 편집제어부(4)는 S5단계에서 이를 검지하여 S11단계에서 그 기능키에 대응한 처리를 행하게 되고, 또 사용자가 어느 편집키를 조작할 경우에는 편집제어부(4)는 S4단계에서 이를 검지하여 S10단계에서 그 편집키에 대응한 처리를 행하게 되며, 사용자가 커서키(130) 또는 그 밖의 제어키를 조작할 경우에는 편집제어부(4)는 S1 내지 S5단계를 거쳐 S12단계에서는 그 키조작에 대응한 커서이동을 위한 처리나 그 외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문자키를 조작해서 원문을 입력하게 되면 S3단계에서는 각 문자키가 검지된 후 대응하는 문자코드가 순차적으로 편집제어부(4)내의 도시되지 않는 입력버퍼에 셋트되게 되고(S7단계), 그에따라 이 입력원문은 표시제어부(7)를 거쳐 표시부(8)상의 원문표시영역에 표시되게 된다(S8단계).
이로부터 사용자가 임의의 시점에서 예컨대 1문장의 입력을 종료시킨 다음 번역지시키(100)를 치게 되면, 편집제어부(4)는 S2단계에서 이를 검지함과 더불어 번역부(5)에 대해 입력버퍼내의 원문을 공급하여 번역처리의 개시를 지시하게 되는데(S9단계), 이때 원문입력의 도중에서 단어 또는 구의 정정과 삽입 및 삭제와 같이 입력편집이 필요한 경우에는 커서키(130)로 소정의 편집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 정정키(101)와 삽입키(102) 및 삭제키(103)와 같은 편집키를 이용하여 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편집제어부(4)는 S1단계에서 번역완료신호를 검지하게 되면 S6단계로 진행하여 번역부(5)로부터 얻은 번역문후보 및 보조정보를 표시제어부(7)로 보내 번역문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달리 S1단계에서 번역완료신호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S2단계로 진행하여 번역지시키(100)의 조작에 따라 다음 동작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S2단계에서 번역지시키(100)의 조작이 있다면 S9단계로 진행하여 입력원문의 번역을 개시하게 된다.
이와 달리 S2단계에서 번역지시키(100)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S3단계로 진행하여 문자키의 조작에 따라 다음동작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S3단계에서 문자키의 조작이 있다면 S7단계로 진행하여 입력원문을 도시되지 않은 입력버퍼에 격납하게 된다.
그리고, S3단계에서 문자키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S4단계로 진행하여 편집키(101∼106)중 임의의 편집키의 조작에 따라 다음 동작을 결정하게 되고, 이어 S4단계에서 어떤 편집키의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S10단계로 진행하여 커서에 의해 지시되는 특정한 단어 또는 구에 대하여 해당되는 각 키의 조작에 따라 편집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즉, 예컨대 삽입키(102)가 조작되면 원하는 문자를 커서위치의 앞에 삽입하게 되고, 삭제키(103)가 조작되면 커서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의 문자 또는 문자열을 삭제하게 되며, 또 이동키(104)가 조작되면 커서가 지시되어 있는 범위로 이동하게 된다.
또, 취소키(105)가 조작되면 상기 키(101∼103)의 효과를 무효로 하고, 변경관계후보키(106)가 조작되면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커서가 지시하고 있는 어구의 다른 변경관계 후보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S4단계에서 어떤 편집키의 조작도 없는 경우에는 S5단계로 진행하여 기능키(110∼117)중 임의의 기능키의 조작에 따라 그 다음 동작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S5단계에서 임의의 기능키의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S11단계로 진행하여 조작된 기능키에 해당되는 다양한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즉, 예컨대 번역어표시키(110)가 조작되면 번역문중 단어에 대해 그 번역어를 표시부(8)에 표시하게 되고, 사전표시키(111)가 조작되면 원문중 단어 또는 구에 해당되는 일반목적사전 및 전문사전의 부분적인 내용 및 번역결과를 표시부(8)에 표시하게 되며, 사전등록키(112)가 조작되면 새로운 단어와 숙어를 등록하게 된다.
또, 사전삭제키(113)가 조작되면 사전등록키(112)에 의해 등록된 단어와 숙어를 삭제 또는 취소하게 되고, 부분번역키(114)가 조작되면 예컨대 수정을 위해 표시부(8)상에 부분번역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커서키는 커서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서이동키(130)와, 커서가 이동되는 단위를 전환하는 단위전환키(131), 각 표시영역사이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영역사이 이동키(132), 커서의 크기를 문자단위로 확대하기 위한 확대키(133) 및, 커서의 크기를 문자단위로 축소하기 위한 축소키(134)로 구성되어있다.
이어, S1단계로 복귀하여 S1단계에서 번역완료가 있게 되면, 편집제어부(4)는 S6단계로 진행하여 번역부(5)로부터 얻어진 번역문후보 및 보조정보를 표시제어부(7)로부터 송출하여 그 후보들중에 최상의 번역문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 표시제어부(7)는 번역문후보를 번역문표시영역내에서 화면좌측의 입력원문과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함과 더불어 보조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번역어를 고휘도 또는 반전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계번역시스템의 사용자는 시스템과 대화적으로 번역문을 얻을 수 있게된다.
제5도는 번역부(5)에서의 번역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동작이 개시된 후, 형태소해석부(S51)에서는 입력원문에 대해 번역사전(6)에 있는 활용·변화사전(6a)을 이용하여 어미등에 변화가 있는 단어를 그 원형인 기본형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어, 사전검색부(S52)에서는 입력원문을 구성하는 단어마다 단어·숙어사전(6b)을 검색하여 그 품사나 번역어등의 정보를 구한다.
그리고, 해석제어부(S53)에서는 번역문의 후보를 구문해석부(S54)로 보내는 처리를 행하게 되는데, 이때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추출규칙(6c)에 따라 삽입부가 추출되어 구문해석부(S54)로 공급되게 된다.
구문해석부(S54)에서는 일반해석문법(6d)을 사용하여 번역문후보의 구문을 해석함과 더불어 삽입부해석문법(6e)을 사용하여 삽입부의 후보를 해석하여 일본어문의 구조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해석에 실패한 경우에는 해석제어부(S53)로 복귀하게 된다.
구조변환부(S55)에서는 변환문법(6f)을 사용하여 영어인 제1언어의 구조를 일본어인 제2언어의 구조로 변환하게 되는데, 이때 변환에 실패한 경우에는 구문해석부(S54)로 복귀하게 된다.
구문생성부(S56)에서는 생성문법(69)에 따라 단어순서를 제2언어인 일본어의 어순으로 변환하게 된다.
형태소생성부(S57)에서는 형태소생성문법(6h)에 따라 단어의 어형등을 변화시켜 번역문을 완성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번역부(5)에서 행해지는 각각의 처리부는 처리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신호를 편집제어부(4)로 출력하게 된다. 또 사전수단(6)은 원문의 삽입부를 추출하여 해석하는 제1사전과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을 해석하게 되는 제2사전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1사전은 삽입부추출규칙(6c)과 삽입부해석문법(6e)으로 구성되고, 제2사전은 일반해석문법(6d)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사전으로서 활용 및 변화사전(6a)과 단어 및 숙어사전(6d), 일반해석문법(6d), 변환문법(6f),생성문법(6g) 및 형태소생성문법(6h)은 해석이외의 번역처리시에 공통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계번역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징인 삽입부가 포함 된 영문에 대한 해석처리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6도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원문의 해석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예문으로 다음의 삽입부를 포함한 원문이 입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The system has this mode, i.e. the burst mode, in the operation"
상기 원문에 대해 번역부(5)는 번역사전(6)의 삽입부추출규칙(6c)을 이용하여 삽입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추출하게 된다(S61단계). 여기서 삽입부추출규칙(6c)은 번역사전(6)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그 내용이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삽입부추출규칙은 삽입부를 정의하는 소정패턴과 각각의 삽입부에 대응하는 삽입부 해석문법에 대한 어드레스로 구성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해석문법(6e)은 명사구와 전치사구, 동사구 및 부사구등의 삽입부에 대응되게 격납된다. 그리고, 상기 예에서 삽입부의 가능성이 있는 부분, 즉"i.e. the burst mode"가 제7도에 도시된 규칙 F에 따라 추출되어 제8도에 도시된 문법 A에 의해 구문해석이 실행되게 된다(S62단계).
다음,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문해석이 이루어지면, 그 부분을 삽입부인 것으로 정식으로 판정하고, 이와 달리 구문해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그 해당부분이 삽입부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여 다른 삽입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S67단계).
그리고, 상기 S67단계에서의 판정결과 다른 삽입부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S62단계로 복귀하여 문법 A에따라 그 부분을 해석하고, 다른 삽입부도 없는 경우에는 원문전체를 통상적으로 구문해석하게 된다(S63단계).
한편, 상기 삽입부가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그에 대한 해석결과가 얻어지게 되면, 원문중으로부터 해당되는 삽입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The system has this mode in the poeration"에 대해 일반해석문법(6d)을 이용하여 구문해석하게 된다(S64단계). 그 결과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석결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S64단계에서 해석결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S67단계에서는 다른 삽입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되고, 이때 삽입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시 문법 A에 따라 그 삽입부를 해석하게 된다(S62단계). 그리고, 삽입부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원문전체를 통상적으로 구문해석하게 된다.
한편, 상기 S64단계에서 해석결과가 얻어지게 되면, 제9도에 도시된 해석결과와 제10도에 도시된 해석결과를 결합하여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체 원문의 해석결과를 얻게 된다(S65단계).
즉,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노드가 제10도에서 나타낸 "mode"와 같은 노드에 대응하여, 그 "mode"와 같은 노드에 연결되는 아크(arc)의 일부로서 "burst mode"와 같은 노드가 삽입아크로 결합되게 된다.
제11도의 해석결과로부터 번역문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삽입부에 대응한 번역업분에 삽입을 나타내는 기호로서 예컨대 "(,)"를 부가하게 된다. 즉, 삽입아크의 아래쪽 부분을 삽입부로서 판정하여 그 삽입부분(102)의 양측(100)(101)에 기호"(,)"를 추가하여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번역문을 표시하게 된다(S66단계).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삽입을 나타내는 기호로서 "(,)"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부호도 사용할수 있는바, 예컨대 " ", "-,-", "------", "..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종류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부추출규칙과 삽입부해석문법에 따라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1언어로 된 원문을 자동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앞편집시에 사용자가 원문중의 삽입부를 순서적으로 지정할 필요가 없게 되고, 또 번역문중에서 삽입부에 해당되는 부분은 삽입부임을 나타내는 기호로 표시해 주게 되므로 사용자가 번역된 삽입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제1언어의 문장을 입력하는 입력수단(1)과, 삽입부를 추출하기 위한 삽입부추출규칙(6C)과 추출된 삽입부를 해석하기 위한 삽입부해석문법으로 구성되는 제1사전과,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을 해석하기 위한 제2사전을 갖춤과 더불어 번역처리에 사용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전수단(6), 삽입부추출규칙에 따라 삽입부를 추출하는 수단(S61)과, 삽입부해석문법에 따라 삽입부의 해석을 얻을 수 있도록 추출되는 삽입부를해석하는 수단(S62),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을 해석할 수 있도록 제2사전에 따라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을 해석하는 수단(S64) 및, 전문장을 해석할 수 있도록 삽입부의 해석과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의 해석을 결합하는 수단(S6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번역수단(4,5) 및,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문장의 해석에 따라 제2언어로 번역된 문장을 표시하되, 제2언어로 번역된 삽입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출력수단(8,9)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제1언어의 삽입부를 제2언어의 문장으로 번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8,9)은 각각의 번역된 삽입부에 삽입부임을 나타내는 기호를 추가하고, 그 기호를 갖춘 삽입부를 포함한 번역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전은 일반해석문법(6d)과, 활용·변화사전(6a), 단어·숙어사전(6b), 변환문법(6f), 생성문법(6g) 및 형태소생성문법(6h)을 갖추어, 해석이외의 번역처리시에 삽입부와 그 삽입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대해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1언어가 영어이고 제2언어가 일본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시스템.
  5. 기능키와 편집키, 커서키 및 문자키로 구성되어 제1언어로 기술되는 원문을 입력시켜 줄 뿐만 아니라 번역을 위해 다양한 동작이 실행되도록 기능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와, 입력원문을 해석하기 위해 제1언어로 기술되는 원문을 저장하는 제1메모리(2), 제1언어의 입력원문에 해당되는 번역문인 제2언어로 번역된 문장을 저장하는 제2메모리(3), 전시스템의 편집동작을 제어하는 편집제어부(4), 원문중 삽입부를 추출하기 위한 삽입부추출규칙과 그 추출된 삽입부의 내용을 해석하기 위한 삽입부해석문법을 구비하여 원문의 삽입부를 추출하여 해석하는 제1사전과,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을 해석하기 위한 제2사전을 구비하고있는 사전수단(6), 상기 편집제어부(4)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하여, 삽입부추출규칙에 따라 원문의 삽입부를 추출하고, 삽입부해석문법에 따라 상기 추출된 삽입부를 해석하며, 상기 제2사전에 따라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을 해석하고, 이 삽입부의 해석과 다른 부분의 해석을 결합하여 전체 문장에 대한 해석을 얻는 번역절차를 실행하는 번역부(5) 및, 상기 번역부(5)에서 얻어지는 문장의 헤석에 의거하여 제2언어로 번역되는 문장을 표시하되, 제2언어로 번역된 삽입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제어부(7)를 갖춘 표시부(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제1언어의 삽입부를 제2언어의 문장으로 번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7)은 번역된 각각의 삽입부에 삽입부임을 나타내는 기호를 추가하여, 그 기호를 갖춘 삽입부를 포함하는 번역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전은 일반해석문법(6d)과, 활용·변화사전(6a), 단어·숙어사전(6b), 변환문법(6f), 생성문법(6g) 및 형태소생성문법(6h)을 갖추어, 해석이외의 번역처리시에 삽입부와 그 삽입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대해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시스템.
  8. 제1언어의 문장을 입력시키는 단계와, 삽입부추출규칙(6c)에 따라 삽입부를 추출하는 단계, 삽입부해석문법(6e)에 따라 추출된 삽입부를 해석하는 단계, 삽입부를 제외한 부분을 해석하는 단계, 전문장의 해석을 얻기 위해 삽입부의 해석과 삽입부를 제외한 해석을 결합하는 단계, 결합된 문장해석에 따라 제2언어로 번역된 번역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각각의 번역된 삽입부에 삽입부임을 나타내는 기호를 덧붙히는 단계 및, 그 기호를 갖춘 삽입부를 포함하는 번역문장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제 1언어의 삽입부를 제2언어의 문장으로 번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언어가 영어이고 제2언어가 일본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KR1019870004512A 1986-05-08 1987-05-08 기계번역시스템 KR900008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844 1986-05-08
JP61-103844 1986-05-08
JP61103844A JP2654001B2 (ja) 1986-05-08 1986-05-08 機械翻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549A KR870011549A (ko) 1987-12-24
KR900008375B1 true KR900008375B1 (ko) 1990-11-17

Family

ID=1436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512A KR900008375B1 (ko) 1986-05-08 1987-05-08 기계번역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62452A (ko)
EP (1) EP0244871B1 (ko)
JP (1) JP2654001B2 (ko)
KR (1) KR900008375B1 (ko)
DE (1) DE375171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5981A (en) * 1986-10-03 1993-07-06 Ricoh Company, Ltd. Language analyzer for morphemically and syntactically analyzing natural languages by using block analysis and composite morphemes
JPS6466777A (en) * 1987-09-08 1989-03-13 Sharp Kk Mechanical translation device
US5005127A (en) * 1987-10-26 1991-04-02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 including means to translate only selected portions of an input sentence and means to translate selected portions according to distinct rules
US4907971A (en) * 1988-10-26 1990-03-13 Tucker Ruth L System for analyzing the syntactical structure of a sentence
JPH02281372A (ja) * 1989-04-24 1990-11-19 Sharp Corp 機械翻訳装置における挿入副詞句処理方法
JPH03129469A (ja) * 1989-10-14 1991-06-03 Canon Inc 自然言語処理装置
US5329446A (en) * 1990-01-19 1994-07-12 Sharp Kabushiki Kaisha Translation machine
US5289375A (en) * 1990-01-22 1994-02-22 Sharp Kabushiki Kaisha Translation machine
JP2815714B2 (ja) * 1991-01-11 1998-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翻訳装置
US5251130A (en) * 1991-04-18 1993-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ntextual language translation within an interactive software application
JP2818052B2 (ja) * 1991-05-21 1998-10-30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的文字読み取り装置
JPH0567144A (ja) * 1991-09-07 1993-03-19 Hitachi Ltd 前編集支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5324702A (ja) * 1992-05-20 1993-12-07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
US5530644A (en) * 1992-05-20 1996-06-25 Fuji Xerox Co., Ltd. Data processing device
JP3220560B2 (ja) * 1992-05-26 2001-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機械翻訳装置
US5541838A (en) * 1992-10-26 1996-07-30 Sharp Kabushiki Kaisha Translation machine having capability of registering idioms
US5652897A (en) * 1993-05-24 1997-07-29 Unisys Corporation Robust language processor for segmenting and parsing-language containing multiple instructions
JPH07210558A (ja) * 1994-01-20 1995-08-11 Fujitsu Ltd 機械翻訳装置
US5812818A (en) * 1994-11-17 1998-09-22 Transfa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lating facsimile text transmission
US5715466A (en) * 1995-02-14 1998-02-03 Compuserve Incorporated System for parallel foreign language communication over a computer network
US6073143A (en) * 1995-10-20 2000-06-06 Sanyo Electric Co., Ltd. Document conversion system including data monitoring means that adds tag information to hyperlink information and translates a document when such tag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document retrieval request
JPH09128397A (ja) * 1995-11-06 1997-05-16 Sharp Corp 通訳機
US6993471B1 (en) * 1995-11-13 2006-01-31 America Online, Inc. Integrated multilingual browser
JPH09231224A (ja) * 1996-02-26 1997-09-05 Fuji Xerox Co Ltd 言語情報処理装置
US6823301B1 (en) 1997-03-04 2004-11-23 Hiroshi Ishikura Language analysis using a reading point
US5960080A (en) * 1997-11-07 1999-09-28 Justsystem Pittsburgh Research Center Method for transforming message containing sensitive information
US7099876B1 (en) 1998-12-15 2006-08-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toring transliteration and/or phonetic spelling information in a text string class
US6389386B1 (en) 1998-12-15 2002-05-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orting text strings
US6460015B1 (en) * 1998-12-15 2002-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tomatic character transliteration in a text string object
US6496844B1 (en) 1998-12-15 2002-1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with alternative display language choices
AU2440100A (en) * 1999-03-19 2000-10-09 Trados Gmbh Workflow management system
US6446036B1 (en) 1999-04-20 2002-09-03 Ali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document translatability
US6338033B1 (en) * 1999-04-20 2002-01-08 Ali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based teletranslation from one natural language to another
US20060116865A1 (en) 1999-09-17 2006-06-01 Www.Uniscape.Com E-services translation utilizing machine translation and translation memory
US7100108B2 (en) * 2001-08-31 2006-08-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ftware program utility that isolates translatable english text from machine code and merges the text into one file for review purposes
CA2388073A1 (en) * 2002-05-29 2003-11-29 Ibm Canada Limited-Ibm Canada Limitee Method for semantic verification of supporting programming artefacts
US7369998B2 (en) * 2003-08-14 2008-05-06 Voxtec International, Inc. Context based language translation devices and methods
CA2453973A1 (en) * 2003-12-23 2005-06-23 Daniel A. Rose On-demand creation of posix locale source
CA2453971C (en) * 2003-12-23 2009-08-11 Daniel A. Rose On-demand creation of java locale source
US20100262621A1 (en) * 2004-03-05 2010-10-14 Russ Ross In-context exact (ice) matching
US7983896B2 (en) 2004-03-05 2011-07-19 SDL Language Technology In-context exact (ICE) matching
US20070143310A1 (en) * 2005-12-16 2007-06-21 Vigen Eric A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communications using multi-dimensional hierarchical structures
US8521506B2 (en) * 2006-09-21 2013-08-27 Sdl Plc Computer-implemented method, computer software and apparatus for use in a translation system
DE102007003862A1 (de) 2007-01-25 2009-02-05 Anders, Klaus E., 26127 Oldenburg Verfahren zur interkulturellen mehrsprachigen Kommunikation unter Einbeziehung einer Plansprache
US20090198488A1 (en) * 2008-02-05 2009-08-06 Eric Arno Vig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communications using multi-placement hierarchical structures
US8706477B1 (en) 2008-04-25 2014-04-22 Softwin Srl Romania Systems and methods for lexical correspondence linguistic knowledge base creation comprising dependency trees with procedural nodes denoting execute code
GB2468278A (en) 2009-03-02 2010-09-08 Sdl Plc Computer assisted natural language translation outputs selectable target text associated in bilingual corpus with input target text from partial translation
US9262403B2 (en) 2009-03-02 2016-02-16 Sdl Plc Dynamic generation of auto-suggest dictionary for natural language translation
US8762131B1 (en) 2009-06-17 2014-06-24 Softwin Srl Romania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complex lexicon comprising multiword expressions and multiword inflection templates
US8762130B1 (en) 2009-06-17 2014-06-24 Softwin Srl Romania Systems and method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cluding morphological analysis, lemmatizing, spell checking and grammar checking
US9128929B2 (en) 2011-01-14 2015-09-08 Sdl Language Technologi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estimating a translation time including preparation time in addition to the translation itself
US10635863B2 (en) 2017-10-30 2020-04-28 Sdl Inc. Fragment recall and adaptive automated translation
US10817676B2 (en) 2017-12-27 2020-10-27 Sdl Inc. Intelligent routing services and systems
US11256867B2 (en) 2018-10-09 2022-02-22 Sdl Inc. Systems and methods of machine learning for digital assets and message creation
CN109918685B (zh) * 2019-03-18 2023-10-1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计算机辅助翻译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6212A (en) * 1971-08-31 1987-11-10 Toma Peter P Method using a programmed digital computer system for translation between natural languages
US4420817A (en) * 1979-05-25 1983-12-13 Sharp Kabushiki Kaisha Word endings inflection means for use with electronic translation device
JPS56145461A (en) * 1980-04-14 1981-11-12 Sharp Corp Electronic translator
JPS584479A (ja) * 1981-06-30 1983-01-11 Fujitsu Ltd 日本語文解析システム
JPS5896372A (ja) * 1982-03-29 1983-06-08 Sharp Corp 電子式翻訳機
JPS5955536A (ja) * 1982-09-24 1984-03-30 Fujitsu Ltd コメント変換システム
JPS6190270A (ja) * 1984-10-09 1986-05-08 Sharp Corp 辞書機能を用いた翻訳方式
JPS61105671A (ja) * 1984-10-29 1986-05-23 Hitachi Ltd 自然言語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44871B1 (en) 1996-02-28
JP2654001B2 (ja) 1997-09-17
DE3751716D1 (de) 1996-04-04
DE3751716T2 (de) 1996-08-01
US4962452A (en) 1990-10-09
EP0244871A3 (en) 1988-12-07
KR870011549A (ko) 1987-12-24
JPS62262177A (ja) 1987-11-14
EP0244871A2 (en) 1987-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375B1 (ko) 기계번역시스템
KR900008769B1 (ko) 기계번역시스템
EP0370774B1 (en) Machine translation system
KR900009120B1 (ko) 기계번역장치
JPH0442705B2 (ko)
JPS63106866A (ja) 機械翻訳装置
JPH0442704B2 (ko)
JP2747281B2 (ja) 辞書登録方法
JPS62203266A (ja) 機械翻訳システム
JP2726416B2 (ja) 翻訳装置及び翻訳方法
JP3353873B2 (ja) 機械翻訳装置
JPS6244872A (ja) 機械翻訳装置
JPS6249564A (ja) 機械翻訳システム
JPH0550778B2 (ko)
JPH01118961A (ja) 翻訳装置
JPS62163170A (ja) 機械翻訳システム
JPH02140873A (ja) 機械翻訳システム
JPS62271061A (ja) 機械翻訳システム
JPH10171804A (ja) 機械翻訳装置
JPH0212458A (ja) 機械翻訳システム
JPH04177465A (ja) 文解析装置
JPH01245358A (ja) 機械翻訳装置
JPS63165960A (ja) 機械翻訳システム
JPS62211774A (ja) 機械翻訳システム
JPS63113670A (ja) 機械翻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