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441B1 - 복합식품 생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식품 생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441B1
KR900003441B1 KR1019870008340A KR870008340A KR900003441B1 KR 900003441 B1 KR900003441 B1 KR 900003441B1 KR 1019870008340 A KR1019870008340 A KR 1019870008340A KR 870008340 A KR870008340 A KR 870008340A KR 900003441 B1 KR900003441 B1 KR 90000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mposite
product
ratio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238A (ko
Inventor
도라히꼬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가이샤
도라히꼬 하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가이샤, 도라히꼬 하야시 filed Critical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4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or sweeping or coating the surfaces of, pieces or sheets of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식품 생산장치 및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복합식품 생산 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 2 도는 제 1 도의 복합식품 생산 장치의 다른 부분과 연통하는 제어 장치(25)를 도시한 블럭 다이어그램.
제 3 도는 엑스투루더(3,11)로부터 제공된 재료(A,B) 및 시간 대 중량에 대한 측정치를 도시한 그래프.
제 4 도는 장치내에서 재료(A,B)의 위치에 대한 중량의 측정치를 도시한 그래프.
제 5 도 및 제 6 도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재료를 측정하기 위한 다른 측정 수단을 도시한 도면.
제 7 도 내지 제 9 도는 본 발명의 복합식품을 생산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합식품 생산 장치 3,11 : 엑스투루더
7 : 컨베이어 9 : 성형 장치
15 : 절단 장치 17 : 선택 장치
27 : 기록 수단 35 : 경보 수단
본 발명은 덴마크 페이스트리, 사과파이, 피자 파이를 구성하는 치즈 잼 등이 든 빵반죽과 같은 다른 형식의 식품 재료를 싸거나 결합에 의해 생산되는 복합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합식품을 형성하기 위하여 후에 결합될 식품 재료의 각 부분의 퍼센티지와 양의 결정에 의해 여러 가지 종류의 식품 재료의 제어된 복합비를 갖는 복합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여러 종류의 식품 재료의 결합체를 요리하고 성형에 의해 마련된, 예를 들면 빈-잼 번즈, 사과파이, 덴마크 페이스트리, 피자파이 등과 같은 소위 복합식품의 생산에 있어서, 완성된 복합식품의 질, 특히 맛은 식품을 이루는 각개의 식품 재료의 양 뿐만 아니라 사용된 여러 가지 식품 재료의 비율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이 비율은 복합식품의 맛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과거에는, 복합식품이 자동 기계를 사용하여 생산될 때 복합식품을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삭품 재료의 양만 측정되었으나 각 식품 재료에 관한 측정은 완성된 복합식품의 질 또는 맛을 결장하는데 사용되지 못하였다.
더욱이, 일반적인 복합식품은 많은 단계를 통하여 식품 재료의 투입에 의해 생산된다. 이들 식품 재료가 복합식품 덩어리안으로 병합되기 때문에 구성 식품 재료의 비율을 결정하는 유효한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복합식품의 각 단위의 총중량은 단지 생산물의 질이 합격인지 불량인지만이 측정되어 왔다.
즉, 자동 생산 공정에서 복합식품의 맛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없었다.
예를 들면, 사과 파이는 파이반죽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파이 반죽을 연속적으로 늘이는 단계, 늘인 파이 반죽 위에 사과 잼을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파이 반죽을 절단하는 단계와, 분리 사과파이안에 잼을 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 방법에 의해 생산된다. 식품 재료의 점도 때문에 이들을 전동작에 거쳐 일정 비율로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식품 재료가 자동 기계에서 처리될 때 끝 부분 생산품의 질 또는 맛은 일정하지 않으며 그 결과로서 불량 생산품이 된다. 더욱이, 종래 기술의 복합식품 장치에 막힘 또는 공급 부족과 같은 식품 재료 공급면에서 어떤 이상이 있다면 불량 생산품을 발견할 수 없고, 그러므로 불량 생산품을 계속 생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설명된 종래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복합식품을 구성하는 식품 재료의 복합비의 제어에 의해 균일한 질과 맛을 갖는 복합식품 생산품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구 복합비에 맞지 않는 불량 생산품의 제거에 의해 식품 재료의 제어된 복합비를 각각 갖는 복합식품 생산품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을 생산하는 동안에 복합식품의 각 식품 재료의 비율을 계산하고, 공급되는 식품 재료의 양의 연속적인 감시에 의해 불량 생산품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제어된 식품 재료의 복합비를 갖는 복합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불량 생산품이 생산될 때 경보를 발령하여 조작자에게 알리는 수단을 포함하여 조작자가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복합식품 생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있어서, 공급된 식품 재료의 제어된 복합비를 갖는 복합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는 a) 복수의 식품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 수단과, b) 복합 식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식품 재료들이 혼합되도록 상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식품 재료를 받고,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수단과, c) 단위 시간당 각각의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식품 재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공급 수단에 구비된 복수의 측정 수단과, d)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식품 재료의 각 부분의 양으로부터 계산된 복합식품의 주어진 부분에서 상기 식품 재료의 양의 비율과 미리 선택된 제어 비율값의 비교에 의해 복합식품으로부터 합격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복합식품 안에서 결합되도록 컨베이어상에 복수의 식품 재료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합식품을 분리 생산품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재료의 제어된 복합비를 갖는 합성식품 생산 방법은 a) 단위 시간마다 복수의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식품 재료의 양을 측정하고, b) 상기 복합식품의 각 증가 부분이 식품 재료의 측정된 비율을 상기 양으로부터 계산하고 상기 비율을 미리 선택된 비율과 비교하고, c)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분리 생산품으로부터 생산품을 만족하게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호퍼, 엑스투루더, 또는 다른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개개의 식품 재료의 양은 식품 재료가 복합식품 덩어리와 복합식품의 개개의 부분에 결합될 때까지 단위시간마다 연속적이고 독립적으로 측정되고 타임 챠트에 기록된다. 식품 재료가 컨베이어 조립체에 차례로 공급되고, 컨베이어 조립체에 의해 공급되는 동안에 복합식품 덩어리로 결합되고 형성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이송되는 복합식품의 각 부분의 각 식품 재료의 양은 타임 챠트에 양의 데이터에 의해 계산된다. 각 복합식품 부분내의 식품 재료의 양은 각 부분의 결합된 식품 재료의 비을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이 비율은 부분이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제어 비율과 비교된다. 각 부분의 식품 재료의 복합비가 제어 데이터에 대하여 체크되기 때문에,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부분은 복합식품 덩어리가 이러한 부분을 이루는 생산품으로 절단되었을 때 제거될 수 있다. 이 결과로서, 제어된 복합식품의 복합비를 가지는 복합식품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불량 부분의 발생이 복합식품이 생산되는 동안에 감시될 때, 이것을 포함하는 불량 생산품의 갯수와 위치가 생산 과정중에 감시될 수 있고, 이 때문에 이를 쉽게 증명될 수 있고 불량 생산품에 의해 손실은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된 개개의 식품 재료의 각각의 총량을 생산의 완성에 따라 합격 생산품의 총 갯수와 이러한 식품이 공급되고 결합되는 시간은 즉시 보고될 수 있고, 또한 생산된 불량 생산품이 어떤 조건하이었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식품 재료의 성분의 양의 비율은 그들을 분리 성분으로 분할에 의해 개개생산품의 분석없이 측정되고, 최종 단위 생산품은 시간에 대한 측정된 중량과 비율 데이터에 의해 동반된다.
그러므로, 불량 생산품의 위치는 이것이 생산될 때 시간의 감시에 의해 위치될 수 있고, 그러므로 불량 생산품은 제거될 수 있고 따라서 합격 생산품만 선적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복합식품 생산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1)에는 식품 재료(A)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엑스투루더(3)와, 제1엑스투루더(3)의 중량 또는 제1엑스투루더(3)의 식품 재료의 중량에 매 단위 시간당 측정 교환을 위하여 엑스투루더에 구비되어 있는 제1측정 수단(5)과, 식품 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7)와, 요구되는 모양으로 식품 재료를 펴고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성형 장치(9)와, 식품 재료(B)를 공급하는 제2엑스투로더(11)와, 제2엑스투루더(11)외 중량 또는 제2엑스투루더(11) 내의 식품 재료의 중량을 매 단위 시간당 측정 교한하는 제2엑스투루더(11)에 구비되어 있는 제2측정 수단(13)이 구비되어 있다. 컨베이어(7)는 종래의 순한 벨트 장치이며, 이것의 상부에서 복합식품 덩어리(C) 안으로 결합되도록 차례로 식품 재료(A,B)를 발는다. 컨베이어(7) 위에 설치된 로울러 기구인 성형 장치(9)는 그들의 축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고, 식품 재료(A)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순환 로울러 진로를 따라 같은 방향으로 일치되게 이동 가능하고, 식품 재료(A)를 컨베이어(7)의 상부에서 늘이고 압축에 의해 요구되는 형태로 성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복합식품 생산 장치(1)는 또한 식품 재료(A,B)로 이루어진 복합식품 덩어리(C)를 분리된 생산품(D)으로 절단하는 절단 장치(15)와, 생산품(D)으로부터 불량한 생산품을 제거하고 선별하는 선별 장치(17)를 포함한다. 절단 장치(15)는 복합식품 덩어리(C)를 생산품(D)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 장치(15)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정 수단(19)을 포함하기 때문에 생산품은 컨베이어의 이동방향으로 선택된 길이를 가진다. 생산품의 길이는 컨베이어상에서 매 단위 시간당 복합식품의 중량 또는 길이의 곱으로 하는 것이 양호하다. 컨베이어(7)가 계속적으로 복합식품 덩어리(C)를 이송하기 때문에, 복합식품 덩어리를 절단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시간 이후의 시간 간격은 컨베이어(7)외 속도와 컨베이어 이동 방향의 생산품(D) 길이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조정 수단(19)은 이러한 시간 간격당 절단 장치(15)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발생하고, 이 때문에 선택된 길이를 갖는 부분은 복합식품 덩어리를 절단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생산품(D)으로 절단된다. 이러한 시간 간격과 절단하는 시간은 제어장치(25)의 기록 수단(27) 내에 기록된다.
제어 장치(25)가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 장치(25)는 기록 수단(27), ALU(28), 비교 메모리 수단(29), 비교 장치(31)와 신호 발생기(3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측정 수단(5,13)에 의해 측정된 중량은 제어 장치(25)에 전송된다. 식품 재료(A,B)가 컨베이어(7) 상에 차례로 놓여지고 이동하는 동안에 결합하기 때문에 식품 재료(A)를 위한 중량은 제2엑스투루더(11)의 노즐에 근접한 점에 도달하도록 식품 재료(A)를 위한 이동 시간에 의해 지연되고 이 때문에 복합식품 덩어리의 주어진 부분에서 결합된 재료를 위한 중량의 측정은 동시화될 수 있다. 이동 시간을 계산하기 위하여 제어 장치(25)는 컨베이어(7)로부터 컨베이어 이동 속도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수용한다. 식품 재료(A,B)를 위한 중량 측정량은 합산되고 식품 재료(A,B)의 충중량과 비율은 ALU(28)에서 계산되고 이렇게 얻은 데이터는 기록 수단(27)에 수용된다.
중량 측정량도 또한 기록 수단(27)에 전송되고 기록된다. 기록 수단(27)은 어떤 형식의 영구 메모리 수단을 포함한다. 조작자에게 시각적 체크를 위하여 기록 수단(27)은 중량 측정, 혼합률, 식품 재료의 총중량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그래프 인디케이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작자는 공급되는 식품 재료의 이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보고 감시할 수 있고, 이는 기록 수단의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고 생산품이 생산되는 시간과 생산품의 위치를 감시할 수 있다.
이송된 복합식품 덩어리(C)의 각 부분의 총중량 및 복합 비율이 계산되고 기록 수단(27)에 기록되기 때문에, 복합식품 덩어리(C) 내의 모든 부분은 총중량과 마찬가지로 복합 비율 데이터를 가진다. 복합식품 덩어리(C)가 생산품(D)으로 절단될 때 부분은 그들 자신의 혼합 비율과 총중량 데이터를 각각 가진 각각의 생산품(D)에 포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 장치(25)의 기록 수단(27)은 각 부분에 대응하는 단위 시간당 식품 재료(A,B)의 총중량과 혼합 비율이 저장되고, 이 때문에 완성된 혼합 생산품(D)의 각 부분내의 식품 재료의 중량과 비율은 기록 수단(27)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어 장치(25)는 또한 생산품(D)에 포함된 각 부분의 중량과 허용 가능한 혼합율을 지시하는 총중량과 기준 혼합 비율을 저장하는 비교 메모리 수단(29)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25)의 비교 장치(31)에서 중량의 계산된 비율과 복합식품 덩어리(C)의 부분내에서 단위 시간당 공급되는 식품 재료(A,B)의 총중량은 총중량과 비교 비율값이 비교된다.
이 비교에 기초로 하여 제어 장치(25)의 신호 발생기(33)는 계산된 비율이 비교치에 맞지 않을 때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수단(37)에 신호를 보내거나 조작자에 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경보 수단(35)(제 2 도)이 울리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신호 발생기(33)는 또한 선택 창치(17)를 작동하도록 신호를 발생한다. 각 부분의 총중량 데이터와 혼합 비율은 식품 재료가 허용 가능한 혼합 비율을 가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총중량과 비교 비율을 비교하기 때문에 선택 장치(17)는 부분을 포함하는지 안하는지 비교하여 비교치에 맞지 않는 불량한 생산품을 제거할 수 있다. 선택 장치(17)는 컨베이어(7)외 하류에 연속적으로 배열된 작은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작은 컨베이어의 하류 단부는 불량한 생산품이 작은 컨베이어상에 도달될 때 불량한 생산품이 제거되도록 제어 장치(25)의 신호 발생기(33)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낮아진다.
복합식품 생산 장치(1)에 의해 달성되는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로, 식품 재료(A,B,)는 제1엑스투루더(3) 및 제2엑스투루더의 호퍼안으로 각각 공급된다. 식품 재료(A)가 제1엑스투루더(3)외 노즐로부터 밀어내어질 때, 제1엑스투루더(3)의 중량은 감소된다. 엑스투루더의 중량은 제1측정 수단(5)에 의해 연속적으로 측정되고 중량 데이터는 제어 장치(25)로 전송된다.
제어 장치(25)의 ALU(28)에서 중량 데이터는 단위 시간당 제1엑스투루더(3)로부터 밀려나오는 식품 재료(A)의 중량 데이터를 지시하기 위하여 전환된다. 제 3 도에는 식품 재료(A,B)의 부분의 중량 측정이 시간도포로 도시되어 있다.
그래프에서 곡선(a)은 각 단위 시간마다 제1엑스투루더(3)로부터 밀려나오는 식품 재료(A)의 중량을 도시한다. 이러한 단위 시간은 점선 사이의 공간으로서 설명된다. 식품 재료(A)는 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된 후 성형 장치(9)에 의해 적당한 모양으로 성형되고, 복합식품 덩어리(C)를 형성하도록 제2엑스투루더(11)로 부터의 식품 재료(B)와 결합된다.
식품 재료(B)의 중량은 연속적으로 측정되고 식품 재료(A)의 중량 데이터를 얻기 위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단위 시간당 중량으로 변환된다.
제 3 도에서 곡선(b)은 단위 시간당 제2엑스투루더(11)로부터 밀려나오는 식품 재료(B)의 중량을 도시한다. 식품 재료(A)가 식품 재료(B)와 결합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리고 식품 재료(A)가 제2엑스투루더(11)에 도달할 때, 엑스투루더는 식품 재료(B)를 공급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시간 지연이 제 3 도에서 Td로서 설명되고, 시간 지연은 켄베이어(7)의 이동 속도와 필요한 이동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시간 지연에 의해, 복합식품 덩어리의 주어진 부분에서 식품 재료의 비율은 곡선(a)에서 UTd로, 곡선(b)에서 UT로 설명되고, 여기에서 UT는 주어진 단위 시간을 나타내고, UTd는 지연 시간 Td에 의하여 주어진 단위 시간전에 발생하는 단위 시간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식품 재료(A)의 부분을 위한 중량 데이터는 지연 시간(Td)에 의해 제어 장치(25)에서 지연되고, 식품 재료(A)의 상기 부분과 결합되도록 식품 재료(B)의 중량 데이터와 함께 투입되고 이 때문에 복합식품 덩어리(C)의 관련 부분에서 식품 재료(A,B)의 총중량과 비율은 계산될 수 있다. 중량 측정, 식품 재료 부분이 공급되는 시간, 비율 및 총중량 데이터와 같은 측정치는 제어 장치(25)의 기록 수단(27)에 저장된다.
제 4 도에는 복합식품 덩어리(C)로부터 제4의 생산품(Dt)이 절단될 때, 복합식품 생산 장치(1)에서 식품 재료(A,B)의 부분의 중량 측정 및 그들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곡선(a,b)의 가장 왼쪽 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엑스투루더(3,11)의 위치를 나타낸다. 위치축에서 기호(P)는 식품 재료(A,B)가 결합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덩어리(C)는 절단 작용이 발생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제 1 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의 위치는 제2엑스투루더(11)의 노즐 근처에 위치되고, 덩어리(C)의 위치는 절단 장치(15)에서 현가된 칼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덩어리(C)의 오른쪽의 실선은 복합식품 덩어리가 서로 분리되는 부분과 절단작용이 발생하는 곳을 나타낸다. 위치축에서 기호(S)는 선택 작용이 발생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제 4 도에서는 복합식품 덩어리의 해당 부분에서 식품 재료(A,B)에 대한 중량 데이터는 어떤 위치에서 a대 b로서 설명된 비율을 동일한 위치적 공간으로 나타내도록 조정되어 있다. 점선들 사이의 공간은 제 3 도에서 단위 시간에 상당하는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으로의 부분의 길이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제3 생산품(D3)은 Pn에서 a대 b의 비율로 하나의 부분과 Pn+1에서 a : b의 비율로 또 하나의 부분으로 두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생산품이 사과파이라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a대 b의 비율은 파이 껍질과 사과잼의 양 간의 비율을 나타낸다. 식품의 경우에 있어서, 중량 비율은 맛, 즉, 질을 나타낸다. 바꾸어 말하면, 각 부분의 중량 비율은 절단에 의해 획득된 부분을 갖는 분리된 각 생산품의 질이 합격인지 또는 불량인지를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해당 부분에서 식품 재료(A,B)의 총중량은 식품 재료(A,B)의 중량의 부가에 의해 얻아진다. 부분의 이러한 중량 데이더는 또한 생산품의 질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러한 비율과 총중량치는 비교 비율과 비교되고, 비고 중량치는 비교 장치(31)에 의해 비교되고 메모리 수단(29)에 저장되며, 이 때문에 부분이 합격인지 불량인지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복합식품 덩어리(C)는 컨베이어(7)에 의해 더욱 운반되고 절단 장치(15)에 의해 분리 생산품(D)으로 절단된다. 절단 장치는 조정 수단(19)으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따라주기적 절단 작용에 의해 복합식품 덩어리를 분리 생산품으로 절단한다. 생산품(D)은 복합식품 덩어리(C)로부터 매번 절단되고 절단작업이 발생하는 시간은 제어 장치(25)의 기록 수단(27)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위 시간마다 각 식품 재료의 중량과 중량이 측정된 시간은 기록 수단(27)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기준 데이터에 의해 제공된 조건에 맞지 않는 불량한 부분의 위치는 발견된다. 더욱이, 절단시간의 사용에 의해 부분의 위치가 어디에서 절단이 발생하는지 발견된다. 절단 위치와 불량 부분의 위치에 기초로 하여, 불량 부분을 갖는 생산품은 불량 생산품으로서 판명되고 장치내에서 쉽게 위치를 알아낸다. 그러므로, 불량 생산품이 선택 장치(17)의 소형 컨베이어상에 도달할 때, 소형 컨베이어는 신호 발생기(33)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따라 불량 생산품을 제거할 수 있다.
만약에, 복합식품 생산 장치(1)가 알람 램프, 버저, 이머젼시 디스플레이와 같은 경보수단(35)을 포함한다면, 이러한 수단은 부분이 불량한 질을 가졌다고 지시될 때 비교 장치가 신호 발생기(33)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알려주게 되고 복합식품 생산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만약에 복합식품 생산 장치(1)가 정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러한 수단이 부분의 불량한 질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복합식품 생산 장치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작동된다.
제 4 도에서 이러한 중량 데이터와 절단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수단(29)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각 단위 시간마다 새롭게 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복합식품의 생산에서 어떤 이상도 즉시 발견하게 되고 다수의 불량 생산품이 생산되기 전에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조작자가 불량 생산품이 생산된 위치와 시간을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의 이유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더욱이, 각각 공급되는 식품 재료들이 연속적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공급에서의 이상은 식품 재료가 결합되기 전일지라도 발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불량 생산품의 생산을 예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불량 생산품의 생산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불량 생산품은 선택 장치(17)에 의해 제거되고 실제적으로 동일한 질을 가진 합격된 생산품만 생산 라인에 남는다.
제1 및 제2엑스투루더(3,11)로부터 밀려나온 식품 재료들의 시간을 기초로 한 양의 측정을 위하여 사용된 방법은 상기에 설명된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5 도에 도시된 방법에서, 압력 센서(21)는 엑스투루더노즐의 내부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은 식품 재료의 공급량을 얻기 위하여 실험적으로 설정된 계수에 곱하여진다. 이러한 데이터는 제어 장치외 기억 수단에 전송되고 저장되며 시간에 대하여등록된다. 제 6 도에 도시된 다른 방법에 있어서, 중량 측정기(23)는 시간에 따라 이송되는 식품 재료의 중량변화를 기록하기 위하여 컨베이어의 벨트 아래에 설치된다. 다른 방법에 있어서, 센서는 부분적인 영역과 달려나오는 식품 재료의 사출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식품 재료 엑스투루더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이들 데이터는 공급되는 식품 재료의 시간에 관계되는 양의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여러 가지 종류의 식품 재료는 컨베이어상에서 띠모양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재료의 간헐적 공급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고,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 또는 펠릿형 또는 제 9 도에 도시된 이중 파이프를 통하여 식품 재료를 결합하여 공급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합식품의 연속 생산을 위한 공정중에 매우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복합식품 제품의 질과 맛을 제어한다. 특유한 점성, 탄성, 입자성, 펠릿형 식품 물질을 갖는 식품 재료는 브릿지 현상 또는 다른 문제에 따라 엑스투루더로부터 균일하지 않게 공급될 것이고, 불량 생산품은 이러한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생산품을 생산하는 동안에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복합식품 생산 장치는 이러한 불량 생산품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고, 이를 제거할 수 있으며, 표준 범위내의 복합도를 가진 생산물만 생산한다. 그러므로, 실제적으로 동일한 질을 갖는 복합식품 생산품을 생산할 수 있다.

Claims (10)

  1. 식품 재료의 제어된 복합비를 갖는 복합식품 생산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식품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엑스투루더(3,11)와, 복합식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그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엑스투루더(3,11)로부터 공급된 상기 식품 재료를 받고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수단(7)과, 단위 시간당 각각의 엑스투루더(3,11)로부터 공급된 상기 식품 재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엑스투루더에 구비된 복수의 측정 수단(5,13)과, 상기 측정 수단(5,13)에 의해 측정된 식품 재료의 각 부분의 양으로부터 계산된 복합식품의 주어진 부분에서 상기 식품 재료의 양의 비율과 미리 선택된 제어 비율의 비교에 의해 복합식품으로부터 합격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품 생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 수단(17)이 합격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측정 수단(5,13)에 의해 측정된 식품 재료의 각각의 해당 부분으로부터 주어진 부분내의 상기 식품 재료의 총중량과 미리 선택된 제어 중량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품 생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 수단(17)은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서 복합식품 생산 장치(1)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수단(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품 생산 장치.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식품을 분리 생산품으로 상기 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 장치(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품 생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17)이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분리 생산품으로부터 불량한 부분을 갖는 불량 생산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품 생산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선택 수단(17) 이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부분의 불량 상태를 조작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경보 수단(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품 생산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측정 수단(5,13)이 중량 계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품 생산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측정 수단(5,13) 이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품 생산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식품안에 결합되도록 식품 재료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수단(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품 생산 장치.
  10. 복합식품 안에 결합되도록 컨베이어(7) 상에 복수의 식품 재료를 공급하고 형성된 복합식품을 분리 생산품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된 식품 재료의 복합비를 갖는 복합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 복수의 엑스투루더(3,11)로부터 공급된 식품 재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와, 미리 선택된 비율을 갖는 상기 비율과 비교하여 상기 복합식품의 각 증가 부분내의 식품 재료의 비율을 상기 측정된 양으로부터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분리 생산품으로부터 만족할만한 생산품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품 생산 장치.
KR1019870008340A 1986-07-30 1987-07-30 복합식품 생산장치 및 방법 KR900003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9259 1986-07-30
JP61179259A JPS63146739A (ja) 1986-07-30 1986-07-30 複合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238A KR880001238A (ko) 1988-04-22
KR900003441B1 true KR900003441B1 (ko) 1990-05-19

Family

ID=1606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340A KR900003441B1 (ko) 1986-07-30 1987-07-30 복합식품 생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4806087A (ko)
EP (1) EP0255380B1 (ko)
JP (1) JPS63146739A (ko)
KR (1) KR900003441B1 (ko)
CN (1) CN1011380B (ko)
AT (1) ATE78132T1 (ko)
AU (1) AU577718B2 (ko)
CA (1) CA1306636C (ko)
DD (1) DD266263A5 (ko)
DE (1) DE3780372T2 (ko)
ES (1) ES2033856T3 (ko)
NZ (1) NZ221149A (ko)
RU (1) RU181136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02B1 (ko) * 2017-04-13 2018-07-13 (주)화인인터코리아 마른김 제조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118C (fi) * 1987-08-04 1997-04-25 Unilever Nv Menetelmä valmistaa pyöreähköjä pinnoitettuja ruokatuotekappaleita
GB8726310D0 (en) * 1987-11-10 1987-12-16 Rowntree Snack Foods Ltd Snack product
JPH03183430A (ja) * 1989-12-12 1991-08-09 Rheon Autom Mach Co Ltd 食品加工工程中の品質管理方法
JPH0697934B2 (ja) * 1990-01-16 1994-12-0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生地延展方法および装置
US5517904A (en) * 1994-02-14 1996-05-21 The Pillsbury Company Food product depositor
JP3016246B2 (ja) * 1996-09-25 2000-03-0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被切断装置
US5957042A (en) * 1997-04-18 1999-09-28 Iwamoto; Hiroaki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ducing bean curd with garnish wrapped therein
KR20010043397A (ko) * 1999-03-08 2001-05-25 도요다 다카시 연속식 혼합 플랜트
US6263788B1 (en) * 2001-02-09 2001-07-24 Chin-Ta Chiang Food extrusion apparatus
JP3432498B2 (ja) * 2001-02-20 2003-08-04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あん機
US6844018B1 (en) * 2001-08-07 2005-01-18 Freezing Machines, Inc. Method for mixing meat products to produce a pH adjusted meat product
US6477944B1 (en) * 2002-05-28 2002-11-12 Robert Ou-Young Molding device for pastry products
DE102004063875A1 (de) * 2004-12-31 2006-07-13 Marin Schnor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ormen und Belegen von Flammkuchen, Pizza und dergleichen Backwerk
JP5186131B2 (ja) * 2007-04-17 2013-04-1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生地計量コンベア及び生地計量切断装置
US8353742B1 (en) * 2012-04-30 2013-01-15 Choi Young S Automatic sausage rolling machine
CN103039546A (zh) * 2012-12-19 2013-04-17 山东银鹰炊事机械有限公司 一种重量驱动馒头机
CN105225436A (zh) * 2015-10-14 2016-01-06 石狮北记食品有限公司 一种冷冻食品智给预警萤募装置
CN109275674A (zh) * 2018-09-01 2019-01-29 浙江众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馅饼自动成型设备
KR102603905B1 (ko) * 2022-05-31 2023-11-20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양념 자동 배합장치
CN116090812B (zh) * 2022-11-08 2024-01-26 成都市食品检验研究院 一种食品企业风险防控预警智能化远程服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4115A (en) * 1939-01-14 1941-11-25 T & T Vicar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dough
US2664557A (en) * 1951-06-20 1953-12-29 Sargrove Electronics Ltd Weight deviation testing device
US2927542A (en) * 1956-04-11 1960-03-08 Kloss Mfg & Supply Co Apparatus for making ice cream sandwiches
FR1208815A (fr) * 1958-11-24 1960-02-25 Machine façonneuse-peseuse pour pâtes boulangères et similaires
JPS5142191B1 (ko) * 1971-01-18 1976-11-13
US3917856A (en) * 1973-12-05 1975-11-04 Pillsbury Co Refrigerated corn bread dough
DE2400633C2 (de) * 1974-01-08 1983-05-19 DCA Food Industries Inc., 10022 New York, N.Y.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ackerzeugnissen
JPS529753B2 (ko) * 1974-02-25 1977-03-18
US4171164A (en) * 1977-12-12 1979-10-16 The Kartridg Pak Co. Continuous X-ray analysis for meat blending system
FR2477378A1 (fr) * 1980-03-06 1981-09-11 Puma Procede et dispositif pour pesage et decoupe de la pate et plus precisement de la pate a pain
US4346649A (en) * 1980-04-28 1982-08-31 Belshaw Bros., Inc. Doughnut making machine and improvements thereon
JPS59228929A (ja) * 1983-06-13 1984-12-22 Nippon Steel Corp 混合比率制御装置
JPS6082192A (ja) * 1983-10-13 1985-05-10 Ebara Infilco Co Ltd 有機性汚泥の処理方法
US4573802A (en) * 1983-11-17 1986-03-04 F. J. Kerrigan Plumbing Co. Deicing method and apparatus
JPS60161724A (ja) * 1984-02-01 1985-08-23 Toshiba Corp 混合制御装置
NZ211647A (en) * 1984-04-04 1987-02-20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Continuously measuring weight of dough portions on conveyor and providing a constant weight of dough per unit length
NZ211677A (en) * 1984-04-09 1987-07-31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Producing dough strip: conveyor speed varied to keep constant weight per unit length
JPS6142324A (ja) * 1984-07-31 1986-02-28 ナシヨナル フオルジユ ユ−ロプ 粉末状成分の混合装置
AU4901085A (en) * 1984-11-13 1986-05-29 Nabisco Brands Incorporated Quantifying the flow rate of doughy material
JPS61209541A (ja) * 1985-03-12 1986-09-1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寸法および流量の一定した生地帯の連続生産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02B1 (ko) * 2017-04-13 2018-07-13 (주)화인인터코리아 마른김 제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06087A (en) 1989-02-21
DD266263A5 (de) 1989-03-29
CA1306636C (en) 1992-08-25
US4877623A (en) 1989-10-31
CN87104914A (zh) 1988-02-10
EP0255380A2 (en) 1988-02-03
CN1011380B (zh) 1991-01-30
AU577718B2 (en) 1988-09-29
ATE78132T1 (de) 1992-08-15
JPH0378989B2 (ko) 1991-12-17
AU7613887A (en) 1988-02-04
KR880001238A (ko) 1988-04-22
DE3780372T2 (de) 1992-12-17
DE3780372D1 (de) 1992-08-20
JPS63146739A (ja) 1988-06-18
ES2033856T3 (es) 1993-04-01
NZ221149A (en) 1990-07-26
RU1811369C (ru) 1993-04-23
EP0255380A3 (en) 1989-11-15
EP0255380B1 (en) 199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441B1 (ko) 복합식품 생산장치 및 방법
KR930005283B1 (ko) 반죽물의 제조중 그 품질을 제어하는 방법
CA2577092C (en) Method for sheeting and processing dough
EP05457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 uniform strip of bread dough
US6263789B1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sizing and positioning filling material upon randomly spaced tortillas advancing upon conveyor
US10350779B2 (en) Method for cutting food products into portions
US200801876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corating or depositing components on a horizontal section of flat bakeware
AU200126341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extruding and cutting dough-based products having pre-selected weights
US4849234A (en) Method of machining doughy material
JPH07159393A (ja) パン生地の品質測定方法および生産量定量化方法
US20080250904A1 (en) Giveaway weight reduction
US702971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extruding and cutting dough-based products having pre-selected weights
JPH06276916A (ja) 麺状食品の製造装置
US202400084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un time reservoir in dough portioning system during dough feeder refill cycle
US20080250907A1 (en) Part pack optimization
JPH0659196B2 (ja) 加工食品の原材料生地分割成型装置
JPH02128679A (ja) 加工食品の原材料生地送り出し量目調整方法、および原材料生地送り出し装置
JPH02128678A (ja) 加工食品の原材料生地送り出し量目表示方法、および送り出し量目表示装置付き原材料生地送り出し装置
JPH02128680A (ja) 加工食品の原材料生地送り出し量目の自動制御方法、および原材料生地送り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