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524B1 - 변속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재생신호 절환회로 - Google Patents

변속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재생신호 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524B1
KR900001524B1 KR1019840005681A KR840005681A KR900001524B1 KR 900001524 B1 KR900001524 B1 KR 900001524B1 KR 1019840005681 A KR1019840005681 A KR 1019840005681A KR 840005681 A KR840005681 A KR 840005681A KR 900001524 B1 KR900001524 B1 KR 90000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production
circuit
head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538A (ko
Inventor
유끼오 오가와
고우지 마쯔무라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4Masking or switching periodically, e.g. of rotating heads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변속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재생신호 절환회로
제1도는 본 발명 회로를 적용할 수 있는 기록재생 장치의 헤드위치 관계등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종래 회로의 요부의 일예를 도시하는 회로 계통도.
제3도는 본 발명 회로의 일실시예를 헤드 서보 회로와 함께 도시하는 회로 계통도.
제4도는 본 발명 회로를 내부에 갖는 기록재생 장치의 외관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체 2 : 자기테이프
7, 8 : 자석 9 : 픽업헤드
20 : 헤드모터 34 : 스위치 회로
100 : 가변전압 발생 회로 H1, H2: 기록용 및 노멀재생용 회전헤드
HA, HB: 변속재생용 회전헤드
본 발명은 변속 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재생신호 절환 회로에 관한 것으로 되고, 특히 복수의 변속 재생용 회전헤드의 재생 신호를 절환하여 연속신호를 얻은 절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나선형 주사방식 기록 재생장치(VTR)중에는, 기록 및 노멀재생용 회전헤드와 변속 재생용 회전헤드를 각각 갖는 기록재생 장치가 있었다. 제1도는 이 종류의 기록재생 장치의 헤드 위치 관계등의 일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제1도중, 회전 실린더 또는 헤드 디스크 플레이트등의 회전체(1)에는 서로 방위각도가 다른 기록용 및 노멀재생용 회전헤드 H1, 및 H2가 각각 서로 대향하여 부착되고 있고, 또 회전체(1)의 회전방향 X1에 대하여 예를 들면 60°후행하는 위치에 서로 방위각도가 회전헤드 H1및 H2의 어느 것이 한쪽의 횐전헤드의 그것과 동일하고, 또한, 트랙폭이 회전헤드 H1및 H2의 그것 보다도 크게 선정된 변속 재생용 회전헤드 HA및 HB가 서로 대향하여 각각 부착되고 있다. 또, 이 회전체(1)에는 자기 테이프(2)가 가이드폴(3 내지 6)에 의하여 안내되어서 180°크기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첨접 권회되어 있다. 자기 테이프(2)는 주지된 바와 같이, 캡스턴 및 핀치롤러(어느 것이나 도시치 않음)에 의하여 협지 구동되어서 기록시 및 노멀 재생시 및 순방향 변속 재생시에는 화살표 X2방향으로 주행되고, 역방향 변속재생시에는 화살표 X3방향으로 주행케 되고, 또 정지모션 재생시에는 자기 테이프(2)의 주행이 정지하게 된다.
또, 회전체(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도시치 않음)에는, N극으로 착자된 자석(7)과 S극으로 착자된 자석(8)이 180°대향하여 고정되어 있고, 자석(7 또는 8)에 이간 대향하는 위치에, 단일의 검출헤드(9)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체(1)가 회전하면, 자석(7 및 8)도 그것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검출헤드(9)의 갭에 이간 대향하는 위치를 자석(7 및 8)이 통과할 때마다 검출헤드(9)로부터 펄스가 출력된다. 여기서 검출헤드(9)의 출력 펄스는 자석(7)이 헤드(9)의 갭에 이간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하였을 때에는 예를 들면 정극성 펄스이고, 자석(8)이 상기 위치를 통과하였을 때에는 예를 들면 부극성 펄스이다.
여기서, 회전헤드 H1이 자기테이프(2)상을 방금 접동 시작한 위치에서는, 검출헤드(9)는 자석(7)에 대하여 12°±4°만큼 회전방향 X1상 후행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규격에 의하여 정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9)의 출력 펄스는 스위칭 포인트를 정하는 헤드서보 회로의 위상 제어계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회전헤드 H1및 H2를 사용하는 기록시 또는 노멀재생시에는, 헤드(9)가 자석(7,8)을 검출하였을때보다 약 12°의 회전 기간분만큼 전기적으로 지연된다. 한편, 변속 재생시에는 회전헤드 HA, HB를 사용하기 위하여, 그 물리적인 스위칭 포인트를 위치가 정규의 값으로 되도록 헤드(9)가 자석(7,8)을 검출하였을때보다 72°의 회전기간분만큼 상기 헤드(9)의 출력 펄스를 전기적으로 지연할 필요가 있다.
제2도는 종래의 재생신호 절환 회로의 요부의 일예의 회로 계통도를 도시한다. 제2도중, 검출헤드(9)(제1도의 (9)와 동일)로부터 인출된 회전 위상검출 펄스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이하「M,M」로 표기함)(10 및 11)에 각각 공급된다. M,M(10)은 정극성 펄스에 의하여 트리거되고, 또 M,M(11)은 부극성 펄스에 의하여 트리거되는 것으로 한다면, M,M(10 및 11)으로부터는 회전체(1)의 반회전마다 교대로 펄스가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M,M(10 및 11)의 출력 시간폭(지연시간)은, 그 시정수 회로의 시정수에 의하여 정해진다. M,M(10)의 시정수 회로는, 저항(12a, 15a), 가변 저항기(13a, 14a) 및 콘덴서(16a)와, 저항(12a) 및 가변 저항기(13a)의 직렬 회로에 병렬로 접속된 스위치 회로(17a)로 구성되어 있다. 또 M,M(11)의 시정수 회로는, 저항(12b, 15b) 가변저항기(13b, 14b) 및 콘덴서(16b)와 저항(12b) 및 가변저항기(13b)의 직렬 회로에 병렬로 접속된 스위치 회로(17b)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단자(18)에 들어오는 스위칭 신호는, 기록시나 노멀 재생시에는 로우레벨이고, 정지모션 재생, 슬로우 모션재생, 고속 재생등의 변속 재생시에는 하이레벨이다. 이 입력 스위칭 신호는 인버터(19)를 통하여 스위치 회로(17a 및 17b)에 각각 인가되고, 이들을 스위칭 제어한다. 여기서, 스위치 회로(17a 및 17b)는 입력 스위칭 신호가 하이레벨일때에 온, 로우레벨일때에 오프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시나 노멀 재생시에는 스위칭 회로(17a 및 17b)는 각각 온으로 되고, 저항(12a) 및 가변저항기(13a)의 직렬 회로의 양단을 단락함과 동시에, 저항(12b) 및 가변 저항기(13b)의 직렬 회로의 양단을 단락하기 때문에, M,M(10)의 시정수는 가변 저항기(14a)와 저항(15a)과 콘덴서(16a)의 각 값과 전원 전압에 의해 정해지는 작은 시정수로 되고, 또 M,M(11)의 시정수도 가변저항기(14b)와 저항(15b)과 콘덴서(16b)의 각 값과 전원 전압에 의해 정해지는 작은 시정수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M,M(10,11)의 출력 시간폭은, 상기한 약 12°의 회전 기간인 약 1.1ms(=1/29.97)×(12/360)×103)로 된다.
한편, 변속 재생시에는 스위치 회로(17a 및 17b)는 각각 오프로 되고, M,M(10 및 11)의 각 시정수는 저항(12a 내지 15a)과 콘덴서(16a)의 각 값과 전원 전압에 의하여 정해지는 큰 시정수와, 저항(12b 내지 15b)와 콘덴서(16b)의 각 값과 전원 전압에 의해 정해지는 큰 시정수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M,M(10,11)의 출력 시간폭은, 상기한 약 72°의 회전기간인 약 6.7ms(=1/29.97)×(72/360)×103)로 된다. 그리고, 상기의 회전 기간은 NTSC 방식칼라 영상신호 기록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기간이고, 1/29.97는 회전체(1)의 1회전기간, 즉 1프레임 기간이다. 이와 같이 하여, M,M(10,11)의 각 시정수는 노멀 재생시나 기록시와 변속 재생시에서 절환된다.
그런데, 변속 재생시에는 헤드 서보 회로의 위상 제어계는 노멀 재생시나 기록시와 같은 위상고정루프(PLL)구성은 아니고, 이 PLL의 루프가 끊어지고, 위상 제어계의 출력 신호로서 예를 들면 캡스턴 모터의 회전 속도에 따른 설정 전압을 얻어서, 이것을 회전체(1)을 회전시키는 모터(헤드모터)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고, 이것에 의하여 변속재생 영상 신호중의 수평동기신호 주파수가 대략 정규의 주파수로 되도록 헤드 모터가 회전 제어된다. 이 때문에 자기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노멀 재생시보다도 빨리하여 재생을 행하는 고속 재생시에는, 그 재생속도(테이프 주행속도)를 빨리 할수록, 그때의 헤드모터의 회전수가 노멀 재생시의 회전수에 비하여 크게 변화하고, 예를 들면 노멀 재생시의 테이프 주행속도의 10배의 속도로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행하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10배속 재생시에는 헤드 모테의 회전수가, 노멀 재생시의 회전수에 비하여 5.7%이상이나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변속 재생시에 있어서의 M,M(10 및 11)의 양 시정수는 재생속도에 관계없이 일정치이고, 더우기 그 값이 상기한 바와 같이 약 6.7ms로 큰 값이였기 때문에, 재생 속도가 느릴수록 스위칭 포인트는 정규의 위치에 대하여 크게 빗나간 위치로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변속 재생시에는 그 재생속도에 따라서 상기의 시정수를 가변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변속 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재생신호 절환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헤드를 실질적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 위상을 검출하는 검출헤드와, 이 검출헤드의 출력 펄스에 의해 트리거되고, 그 시정수 회로에 의해 정해지는 시간폭만큼 지연되어서 극성이 반전하는 신호를 헤드 재생신호 절환용 스위치 회로의 스위치 신호로서 출력하는 신호발생 회로와 연속 재생시의 재생 속도에 따라 설정 전압에 대응하는 가변전압 발생회로를 구비하여 변속 재생시에 상기 시정수 회로에 상기 가변전압 발생회로의 출력 전압을 인가하여 시정수를 실질적으로 가변하는 것이며, 이하 그 일실시예에 대하여 제3도 이하의 도면과 함쎄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 회로의 일실시예와 헤드 서보회로의 회로 계통도를 도시한다. 제3도 중, 제1도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락한다. 제3도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한 회전체(1)를 회전시키는 헤드모터(20)의 회전 위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석(7,8)과 검출헤드(9)에 의하여 검출된다. 헤드(9)로부터 취출된 회전위상 검출펄스는 신호발생 회로인 M,M(21 및 22)에 각각 공급된다. M,M(21)는 정극성펄스에 의하여 트리거되고 또 M,M(22)는 부극성 펄스에 의하여 트리거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M,M(21,22)으로부터는 헤드모터(20)의 반회전마다 번갈아 그 시정수 회로에 의하여 정해지는 폭을 가지는 펄스가 출력된다. M,M(21)은 그 시정수 회로가 저항(23a, 29a), 가변저항기(24a, 28a), 스위치 회로(25a, 27a) 및 콘덴서(26a)로 이루고, 또 M,M(22)의 시정수회로는 저항(23b, 29b), 가변저항기(24b, 28b) 스위치 회로(25b, 27b) 및 콘덴서(26b)로 구성되고 있다.
M,M(21 및 22)으로부터 취출된 펄스는 신호발생회로인 플립플롭(30)에 공급되고, 그 안정 상태를 상기 회전체(1)의 반회전 마다에 반전시켜서 회전헤드 H1및 H2, 또는 HA및 HB의 트랙 주사기간에 대응한, 수직등기 신호의 1/2 분주 출력에 동등한 주파수(예를 들면 30Hz)의 구형파로 변환된 후, 파형 정형회로(31)를 통하여 위상 비교기(32)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또, 플립플롭(30)의 출력 구형파는 재생신호 절환용 스위치 회로(33 및 34)에 각각 스위칭 신호로서 인가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위치 회로(33)는 제1도와 함께 설명한 회전헤드 H1및 H2의 재생 신호를 1트랙 주사시간(1필드기간)마다 번갈아 선택 출력하여 헤드 선택용 스위치 회로(35)의 단자 N에 공급한다. 한편, 스위치 회로(34)는 상기한 회전헤드 HA및 HB의 재생신호를 1트랙 주사기간(1필드기간)마다 번갈아 선택 출력하여 헤드 선택용 스위치 회로(35)의 단자 S에 공급한다.
따라서, 스위치 회로(33 및 34)의 각 절환타이밍 시점(즉 스위칭 포인트)는, M,M(21 및 22)의 각 출력 펄스의 펄스폭(시간폭)에 의하여 결정하게 된다. 스위치 회로(35)는 노멀 재생시에는 단자 N에 들어온 회전헤드 HA및 HB의 각 재생 신호의 시계열 합성신호를 출력단자(36)에 출력하고, 또 변속 재생시에는 단자 S에 들어온 회전헤드 HA및 HB의 각 재생신호의 시계열 합성 신호를 출력단자(36)에 출력한다.
또, 저항(37)은 일단이 정의 직류전원 전압 +VC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가변저항기(38) 및 저항(39)를 각각 직렬로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가변저항기(38)의 접동자로부터는 전압 VC를 저항(37 내지 39)으로 이루는 회로로 저항분압 하여서 얻은 전압이 취출되고, 이 전압은 믹싱 저항(40)을 통하여 전압 플로워를 구성하는 연산증폭기(4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또, 입력단자(42)에는 헤드 서보 회로의 기준 신호로서 수직동기 신호 주파수의 1/2배의 주파수의 신호가 들어오고, 파형 정형회로(43)에 의하여 대형파로 변환된 후, 위상비교기(32)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고, 여기서 파형 정형회로(31)의 출력신호와 위상 비교되어, 그들의 위상차에 따라서 오차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 위상 오차 전압은 스위치 회로(46)에 공급된다. 다시, 입력단자(44)는 변속재생 지령신호에 의하여 생성된 하이레벨의 스위칭 신호가 변속 재생시에 들어오는 입력단자로서 또 노멀 재생시에는 로우레벨의 스위칭 신호가 들어온다. 이 입력단자(44)에 들어온 스위칭 신호는 상기한 스위치 회로(27a 및 27a)와 스위치 회로(47)에 각각 공급되는 한편, 인버터(48)를 통하여 상기한 스위치 회로(25a 및 25b)와 스위치 회로(46)에 공급된다.
그리고, 입력단자(45)에는 변속 재생시의 재생수평동기 신호 주파수에 관련한 주파수 신호(예를 들면 캡스턴 모터의 회전 속도에 따른 주파수신호)를 주파수-전압 변환하여 얻은 모터 회전수 설정 전압이 들어오고, 스위치 회로(47)에 공급되고, 여기서 절환되는 한편, 믹싱 저항(49)을 통하여 연산증폭기(4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또한 저항(37,39), 가변저항기(38), 믹싱저항(40,49) 및 연산증폭기(41)는 가변전압 발생 회로이며, 도면부호(100)로 표기한다.
여기서, 변속 재생은 제4도에서 외관을 도시하는 본 발명 회로를 내부에 있는 기록재생 장치(50)의 정면 패널의 우측에 배치된 예를 들면 서치 다이얼(51)을 회동조작함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테이프 주행 속도가 0으로부터 기록시의 10배 정도까지의 주행속도 범위내에서, 또한, 임의의 주행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임의의 가변속재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4도중(52)는 카세트 삽탈용구, 개폐문, (53)은 전원 스위치이다.
다시 제3도로 되돌아와서, 설명하면, 스위치 회로(25a,25b,27a,27b,46 및 47)는 입력 스위칭 신호가 하이레벨일때, 온으로 되고, 로우레벨일때 오프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 재생장치(50)가 변속재생모드인 것으로 한다면, 입력단자(44)에 하이레벨의 스위칭 신호가 들어오기 때문에, 스위치 회로(27a,27b 및 47)가 온으로 되고, 또한 스위치 회로(25a,25b) 및 스위치 회로(46)가 오프로 된다. 스위치 회로(46)의 오프에 의하여, 위상 비교기(32)의 출력위상 오차 전압의 전송이 저지되고, 또 스위치 회로(47)의 온에 의하여, 입력단자(45)에 들어온 상기 설정 전압이 스위치 회로(47)를 통하여 혼합증폭기(55)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위상 제어계의 출력 신호로서 공급된다.
혼합증폭기(55)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주파수발생기(FG)(56)에 의하여 인출된 헤드모터(20)의 회전속도에 비례한 주파수의 회전검출 신호를 증폭기(57) 및 F-V컨버터(58)를 각각 통하여 얻은 헤드모터(20)의 회전속도에 따른 회전속도 검출 전압이 속도 제어계의 출력 신호로서 공급된다.
혼합증폭기(55)에 의하여 혼합 증폭된 전압은 모터구동 증폭기(MDA)(59)에 공급되고, 여기서 요소의 전력으로 변환된 후, 헤드모터(20)에 인가되고, 그 회전속도 및 회전위상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변속재생시에는, 회전헤드 HA, HB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신호의 수평주사 주파수가 정규의 일정 주파수로 되도록 헤드모터(20)의 회전이 제어된다.
이상은 종래의 변속 재생시에 있어서의 헤드서보 회로의 동작과 동일하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변속 재생시에는 입력단자(45)에 들어오는 재생속도에 따른 설정 전압이 저항(40과 49)에 의하여 분압되고, 가변 저항기(38)의 접동자로부터 취출되어서 저항(40과 49)에 의하여 분압된 전압과 중첩(믹싱)된 후, 연산증폭기(41)를 통하여 저항(29a 및 29b)의 각 일단에 전원 전압으로서 공급된다. 여기서, 변속 재생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 회로(25a,25b)가 각각 오프이고, 또한 스위치 회로(27a,27b)가 각각 온이다. 따라서 M,M(21)의 시정수 설정용 콘덴서(26a)에는 연산증폭기(41)로부터의 전원 전압이, 저항(29a), 가변저항기(28a), 스위치회로(27a), 가변저항기(24a) 및 저항(23a)를 각각 직렬로 통하여 공급되고 콘덴서(26a)가 충전된다. 마찬가지로 M,M(28)의 시정수 설정용 콘덴서(26b)에는 상기 연산증폭기(41)로부터의 전원 전압이, 저항(29b), 가변저항기(28b), 스위치 회로(27b), 가변저항기(24b) 및 저항(23b)을 각각 직렬로 통하여 공급되어 콘덴서(26b)가 충전된다.
여기서, M,M(21 및 22)은 검출헤드(9)의 출력회전 위상검출 펄스에 의하여 트리거되면, 콘덴서(26a 및 26b)가 방전되어서 준안정 상태로 되고, M,M(21)은 콘덴서(26a), 저항(23a,24a,28a,29a)의 각 값과 전원전압에 의하여 정해지는 시정수 경과후에, 또 M,M(22)의 경우는 콘덴서(26b), 저항(23b,24b,28b,29b)의 각 값과 전원 전압에 의하여 정해지는 시정수 경과후에, 콘덴서(26a 및 26b)의 단자전압(충전전압)이 일정 전압치(예를 들면 +6V)에 도달하기 때문에 안정 상태로 복귀한다. M,M(21 및 22)의 출력 펄스의 시간폭은 그것이 준안정상태인 기간이고, 상기 시정수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은 주지된 바이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M,M(21 및 22)의 양시정수 회로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재생속도에 따라 전압치가 변화하는 전원 전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콘덴서(26a 및 26b)가 충전되어서 상기의 일정 전압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준안정 상태인 기간이 전원 전압에 따라서 변화하게(전원 전압이 작을수록 이 기간이 길게된다)되고, M,M(21 및 22)은 그 시정수가 재생속도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변화하게 된다(예를 들면 순방향 10배속 재생시에는, 6.3ms, 역방향 10배속 재생시에는 7.1ms, 정지모션 재생시에는 6.72ms의 시정수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변속 재생시의 스위치 회로(33 및 34)의 절환 타이밍(스위칭 포인트)은, 정규의 위치 가까이에 합치게 된다(오차는 3수평주사 기간이내).
그리고 노멀 재생시는 스위치 회로(25a,25b)가 각각 온으로 되고, 또한 스위치 회로(27a,27b)가 각각 오프로 되기 때문에, 상기의 콘덴서(26a)에는 스위치 회로(25a), 가변저항(24a) 및 저항(23a)를 각각 직렬로 통하여 연산증폭기(41)의 출력 전압보다 큰 값의 전원전압 +Vc가 인가되고, 또 콘덴서(26b)에는 동일하게 전원전압 +Vc가 인가된다. 이 때문에 콘덴서(26a,26b)의 단자 전압이 상기의 소정의 일정치(예를들면 +6V)에 도달할때까지의 시간폭이 변속 재생시보다도 상당히 짧게 되고, 소요의 스위칭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변속재생용 회전헤드의 각 재생 신호를 순차 절환하여 출력하는 스위치 회로의 스위칭 신호를 얻는 회로의 시정수를, 변속 재생속도에 따라서 변화되는 전원전압을 시정수 회로에 공급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헤드모터의 회전수가 재생속도에 따라서 변화되는 변속 재생시에 있어서도, 재생속도에 따른 위상의 스위칭 신호를 얻을수가 있고, 따라서 변속 재생시에도 스위칭 포인트를 정규의 위치 가까이에 합치게 할 수 있고, 특히 고속 재생시에 있어서의 스위칭 포인트의 오차를 종래의 비해 대폭으로 저감할 수가 있다(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3수평 주사기간 이내의 오차)등의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복수개의 변속 재생용 회전헤드(HA, HB)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로부터 순차재생 출력된 재생 신호가 공급되는 스위치 회로(34)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복수개의 변속 재생용 회전헤드(HA, HB)의 각 재생 신호를 절환하여 연속된 재생 신호를 상기 스위치 회로에 의해 출력하는 절환 회로에 있어서, 상기 회전헤드(HA, HB)를 회전시키는 모터(20)의 회전 위상을 검출하는 검출헤드(9)와, 상기 검출헤드의 출력 펄스에 의하여 트리거되고, 시정수회로(23a,24a,26a,23b,24b,26b)에 의하여 정해지는 시간폭만큼 지연되어서 극성이 반전하는 신호를 상기 스위칭 신호로서 출력하는 신호발생 회로(21,22,30)와, 변속 재생시의 재생 속도에 따라서 설정 전압에 대응하는 가변전압 발생회로(100)를 구비하여 변속 재생시에 상기 시정수 회로(23a,b, 24a,b, 26a,b)에 상기 가변전압 발생회로(100)의 출력 전압을 인가하여 시정수를 실질적으로 인가하여 시정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재생신호 절환회로.
KR1019840005681A 1983-09-26 1984-09-18 변속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재생신호 절환회로 KR900001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7529 1983-09-26
JP58177529A JPS6069975A (ja) 1983-09-26 1983-09-26 変速再生時における回転ヘツドの再生信号切換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538A KR850002538A (ko) 1985-05-13
KR900001524B1 true KR900001524B1 (ko) 1990-03-12

Family

ID=1603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681A KR900001524B1 (ko) 1983-09-26 1984-09-18 변속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재생신호 절환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30136A (ko)
EP (1) EP0138457B1 (ko)
JP (1) JPS6069975A (ko)
KR (1) KR900001524B1 (ko)
CA (1) CA1250047A (ko)
DE (2) DE347937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9254A (ja) * 1984-07-30 1986-02-25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189427U (ko) * 1985-05-20 1986-11-26
JPS61273740A (ja) * 1985-05-28 1986-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ビング用磁気再生装置
US4796103A (en) * 1985-06-03 1989-01-03 Victor Company Of Japan Ltd. Control pulse recording circuit for dual tape spee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es using two pairs of heads selectively for selected speed including recording delayed control pulses
JPS61284820A (ja) * 1985-06-11 1986-12-15 Alps Electric Co Ltd ヘツド位置制御方法
JP2557842B2 (ja) * 1986-03-31 1996-11-27 株式会社東芝 回転ヘツドの回転位相発生装置
JPS6469173A (en) * 1987-09-10 1989-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6469172A (en) * 1987-09-10 1989-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910010182B1 (ko) * 1988-12-31 1991-1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제어 비디오헤드 선택방법 및 장치
JPH04109419A (ja) * 1990-08-29 1992-04-10 Unitec Denshi Kk ダブルアジマス4ヘッド型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変速再生補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9815U (ko) * 1976-02-18 1977-08-20
JPS53115131A (en) * 1977-03-17 1978-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picture recording/reproducing system
JPS585444B2 (ja) * 1978-02-10 1983-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DE3173723D1 (en) * 1980-10-03 1986-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5797282A (en) * 1980-12-09 1982-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7162892A (en) * 1981-03-31 1982-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er and reproducer
US4490755A (en) * 1981-07-09 1984-12-25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signals at selectable different tape traveling speeds from plural video head pairs
JPS5843077U (ja) * 1981-09-17 1983-03-2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ヘツド切換回路
JPS5936487A (ja) * 1982-08-24 1984-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38457A3 (en) 1986-02-12
JPS6069975A (ja) 1985-04-20
CA1250047A (en) 1989-02-14
KR850002538A (ko) 1985-05-13
EP0138457B1 (en) 1989-08-09
JPH0155798B2 (ko) 1989-11-27
DE3479376D1 (en) 1989-09-14
US4630136A (en) 1986-12-16
EP0138457A2 (en) 1985-04-24
DE138457T1 (de) 1985-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94991A (en) Control circuit for dc capstan motor
KR900001524B1 (ko) 변속재생시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재생신호 절환회로
KR900005669B1 (ko) 모터 구동장치
KR900001541Y1 (ko) 기록 재생 장치
US4605976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ystem for a 4-head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59175288A (ja) 磁気記録装置
CA1065475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890001414B1 (ko) 자기 재생 장치의 서보 회로
KR100255733B1 (ko) 캡스턴 서보 장치
US4609952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576107B2 (ko)
KR930009229B1 (ko) 캡스턴모터 제어장치
KR940008096B1 (ko) Vtr의 드럼 모터 속도 제어방법
JP2619239B2 (ja) 回転ヘッド型記録再生装置
JPS59151583A (ja) ビデオテ−プレコ−ダ
JPH0197076A (ja) フレームインデツクス磁気記録再生装置
JPS6014927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可変速再生方法
KR890004244B1 (ko) 슬로우 재생방법
JPS6024254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5814B2 (ko)
JPH0355049B2 (ko)
JPH03254458A (ja) 磁気再生装置
JPS60160042A (ja) ビデオテ−プレコ−ダ
JPS6022926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可変速サ−ボ装置
JPH052457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