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435B1 - 곡물에서 돌 또는 모래등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려내는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에서 돌 또는 모래등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려내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435B1
KR900001435B1 KR1019850700338A KR850700338A KR900001435B1 KR 900001435 B1 KR900001435 B1 KR 900001435B1 KR 1019850700338 A KR1019850700338 A KR 1019850700338A KR 850700338 A KR850700338 A KR 850700338A KR 900001435 B1 KR900001435 B1 KR 900001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ibration plate
grain
diaphragm
heavy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70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700096A (ko
Inventor
뮐러 로만
Original Assignee
게브뤼더 뷜러 주식회사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브뤼더 뷜러 주식회사,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게브뤼더 뷜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6070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700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2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swinging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곡물에서 돌 또는 모래 등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려내는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장치의 도해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이미 원리적으로 예시한 본 발명장치로서 더욱 상세한 구조를 원리적으로 예시.
제3도는 제1도, 제2도에서 예시한 본 발명장치의 아래쪽 진동판대(돌선별판대)의 샌드위치 구조를 통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의 예시의 세부도면(부분적인 단면포함).
제5도는 제2도에 따른 예시에 대한 본 발명장치를 위한 또 다른 수행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곡물에서 돌 또는 모래와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려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놓여있고, 동일한 통풍으로 관류되며, 공동으로 추진되는 두 개의 기울은 진동판대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아래쪽 진동판대는 돌을 가려내는 역할을 한다.
[배경기술]
곡식을 깨끗이 하기 위해서는 곡류를 연마하기에 앞서 먼지는 물론 모든 이물질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 때에 세정작업은 다단계로 이루어진다.
보통 커다란 이물질은 여과장치에 의해 걸러지는데, 이때 체의 코 규격은 모든 곡류가 틀림없이 아래쪽으로 떨어지고 체의 코보다 큰 것은 부리가 되게끔 선정된다.
미세한 먼지와 미세한 모래는 또한 그에 맞게 미세한 구멍이 뚫린 여과기로 걸러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곡류를 얻을 수 있는데, 이 부류에는 아직 작은 돌, 유리조각, 금속조각, 커다란 겨, 지푸라기, 다른 씨앗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섞여있다.
이 이물질은 모든 어떤 특정한 크기를 갖고 있는데, 예를 들어 밀의 경우 2-6mm이며, 옥수수의 경우 5-10mm이다. 겨, 지푸라기 같은 가벼운 이물질은 그 모양과 크기에 따라 특수한 선별판대(예, 벼 선별기, 또한 가벼운 곡식 선별기등)을 통해 가려내진다. 20년전까지만 해도 이러한 방식으로 특정한 미립자 범위에서 미리 여과되고 가벼운 이물질을 가려낸 곡물의 대부분은 물통으로 넣어져 거기서 먼지나 돌들을 닦아냈다.
돌들은 그 무게 때문에 이 방식에서 물통바닥에 모여질 수 있었다. 이제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이러한 세정기의 장점은 세정작용이 매우 좋다는 것인데, 그 결점은 세균감염의 위험 때문에 한번만 사용될 수 있고 곧이어 세정되어야만 하는 더러운 세정수가 많다는 점이다. 곡물세정과 돌을 가려내는 부분에 있어서의 커다란 발전이 DE-A-1.973.708에 의한 제안으로부터 이루어졌다.
여기에서 무거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곡물은 진동하고 통풍되는 선별판대(Auslesetisch)로 보내진다.
여기에서는 전체 곡물이 사전에 일정한 구간을 계속적으로 진동하는 일차 도관으로 보내진다.
일차도관에서의 돌들은 도관의 진동운동을 통해 그리고 밑에 놓여있는 제품 층에 있는 도관의 밑바닥에 근접한 바람에 의해 걸러진다. 이렇게 일차 처리된 제품은 이어서 층부분의 장애를 받지 않고 선별판대의 중간 부분으로 보내지며, 여기서 제품은 판대 전체에 고루 퍼진다. 이로써 층부분(Schichtrug)은 곧 층두께(Schichtdicke)를 상실하며, 판대는 곡물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아래로 기울어져 있는 고로돌과 같은 무거운 이물질은 다시 판대표면에 일정한 부분에서 아래층으로서 걸러지며 여기서 가벼운 곡물은 바람의 작용과 진동에 의해 그 위의 층을 형성하며 곡물을 위한 출구를 향해 아래로 쏟아진다. 아래층을 이루고 있는 무거운 이물질은 아래쪽 판대의 배출 진동운동의 결과로 진동 판대의 위쪽 끝부분으로 보내지는데, 여기서 배출진동운동은 곡물의 흐름과는 반대된다.
즉 이 진동판대의 보다 높이 놓여있는 끝부분의 방향을 하고 있다. 이로써 모든 무거운 이물은 이 판대의 보다 높이 놓여있는 끝부분에 있는 돌의 출구를 통해 걸러진다.
이 장치의 선별능력은 매우 훌륭하며, 실제 공기속도의 불균일 또는 일시적인 기능 불균일과 같은 사소한 장애가 나타날 때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물론 이 장치에서 무거운 이물질을 일정하게 남아있는 많은 양의 곡물로부터 분리하는 기능도 수행되는데, 여기에서 기계의 수행량은 임의로 상승시킬 수는 없다.
나타난 현상은, 선별판대 면적의 어느 일정한 크기에서부터는 선별 판대의 어떤 지점에서든지 완전한 작업능력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제품 수집시 돌발적인 장애가 발생하고 제품에 무거운 이물질이 끼어 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장치(DE-A-3.148.475)는 고성능을 보여주는데, 여기서는 돌과 같은 이물질의 선별뿐만 아니라 곡물을 무거운 곡물과 가벼운 곡물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장치에서는 무겁고 가벼운 곡물의 분리뿐만 아니라 한번의 기계관통으로 완전한 돌의 선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훌륭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 장치에서도 다음과 같은 것이 필요하다.
즉 모든 작업공정을 최적조건에서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이 조건이란 설비 면에서 상당한 경비를 요한다.
즉 간막이를 갖춘 여과 그물(Absaughaube)을 설치해야 하는데, 여과그물의 간막이된 공간마다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공기구멍이 있어야 한다.
이 장치의 설비비용(가격)은 매우 크므로 이 설비의 장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 장치에서 나타난 현상은, DE-C-1.913.708에서와 같이 제품 생산능력 상승이 제한적으로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많은 제품을 생산시 국부적 공기량의 조절을 통한 회전 층의 정확한 수행이 충분치 않고 따라서 원하는 층형성(Schichtung)이 원하는 만큼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서두에서 말한 종류의 장치는 CH-A-587.687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또 다시 두 개의 상하로 배열되어있고, 진동하며, 동일한 흡입공기에 의해 관류되는 진동판대가 사용된다. 여기서 위쪽 진동판대는 여과판대의 역할을 하여 상이한 그물눈 크기를 가진 세 개의 여과장치가 되어 있다.
반면 아래쪽 진동판대는 단지 공기를 통하게 할뿐이며, 제품을 통과시키지는 않
이 두개의 진동판대는 하나의 틀 안에서 비스듬한 위치를 취하며, 배출 진동 운동을 하는 하나의 둘쑥날쑥한 것을 생기게 하는 장치(Unwuchterreger)에 의해 보다 높이 놓여있는 판대 끝부분의 방향으로 작동된다.
이렇게 선별될 곡물은 위쪽 판대의 위쪽 끝부분에서 이 장치로 공급된다.
공기관류와 배출진동을 통해 곡물의 관류도중에 위쪽 진동판대를 따라 층형성이 이루어지며 그리하여 곡물의 무거운 이물질은 아래쪽 판대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층에서 집중된다.
그 크기에 따라 무거운 이물질들은 결국 여과 창살의 구멍을 통해 떨어진다.
이때에 입구 부분에는 가장 거대한 여과장치(체)가 배치되며 따라서 무거운 이물질의 가장 작은 조각들이 우선 떨어진다.
이어서 중간크기의 체가 이어지며 마지막으로 거친 체가 이어진다.
돌과 함께 곡물의 대부분(80-90%)이 아래 판대위로 떨어지는데, 여기서 여러 가지 다른 공기속도 조절과 수행능력을 일정한 한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아래쪽 판대에 대한 위쪽 판대(Tabel)의 부하관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아래쪽 판대는 돌선별기의 역할을 하며, 그 때문에 그 배출 진동운동에 상응하여 공기로서 제거되지 않는 모든 조각들은 위쪽 돌의 출구 방향으로 보내지며 배출된다.
가벼운 곡물은 이와 반대로 앞서 기술한 대로 물처럼 공기관류에 운반되어져 무거운 이물질을 여과하는 층위에서 아래쪽 제품 출구 쪽으로 헤엄치듯 움직인다. 실제 나타난 현상은 이 장치로써 특별히 높은 선별도(골라낸 돌의 비율)도 곡물을 가볍고 무거운 부분으로 분류하는데 있어서의 만족스러운 분리정도로 도달될 수 없었다는 점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돌 고르는 기계를 개발하는 것인데, 이 기계는 높은 분리성능에서도 특별히 경제적이며, 그 수행능력이 진동판의 면적에 비교하여 특별히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서두에서 기술한 종류의 장치를 통해 달성되는데, 위쪽 진동판대는 시종일관 성층판대로서의 역할을 하며, 다만 그 아래쪽 끝부분에서만 무거운 이물질 층의 하락을 위한 단구간(Short Region)과, 그리고 그 하락된 것을 아래쪽 진동판대 위로 배출하는 장치를 갖고 있다. 여기서 아래쪽 진동판대의 중간부분 위로의 배출이 이어진다.
본 발명 장치는 실제에 있어 달성되는 개개 부분들의 분리정도에 비추어 볼 때 지극히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매우 높은 선별도를 보여주며, 이제까지 없던 높은 경제성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장치를 가지고서는 동일한 판대면적에서 앞서 말한 장치에 비해 훨씬 높은 수행능력으로 작업할 수 있다.(또는 훨씬 적은 공기를 소모하면서도 앞서의 여과성능을 갖는다).
다시말해 이제까지 없던 높은 경제성이 본 장치를 통해 달성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장치는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제조원가가 낮아질 수 있다.
이전에는 선별판대 위에서의 분리 과정의 진행자체에 부분적으로 결점이 있었다.
이때에 제품은 공급도관에 의해 판대위로 뿌려졌으며, 여기서 뿌리는 지점은 진
공급된 곡물은 공급도관을 통하여 진동판대위로 부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개개 기능을 최적화 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돌과 같은 무거운 혼합물에 대한 분리도를 높이는데 있어서 지금까지의 수행능력보다 높은 성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쪽 진동판대는 그 전체 길이가 곡물의 층형성 기능을 수행하며, 다만 그 길이의 5분의 1보다 짧은 부분의 끝부분에서만 무거운 이물질의 층을 걸러서 밑에 있는 돌 선별 진동판대의 중간부분 위로 보내진다.
여기서 중간 부분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즉 아래쪽 진동판대의 길이에 비추어 중간 위치라는 것이고 더 정확히 말하면 아래쪽 진동판대에서 (우리가 이것의 길이를 삼등분 한다고 할 때)가운데 3분의 1부분이 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한 제품흐름을 위해 특별히 좋은 기본조건이 성취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위쪽 성층판대위에서 완전무결한 층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것은 다음과 같은 것을 통해 보장된다.
즉 위쪽의 성층판대가 특별히 커다란 길이를 따라 제품을 통과시키지 않으며 그리하여 이렇게 상대적으로 커다란 위쪽 진동판대를 따라 훌륭한 층형성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에 달성된 훌륭한 층형성은 이 성층지점의 끝부분에서 아래쪽 성층에 집중하는 전체 이물질을 매우 짧은 낙하지점으로 배출하게 할 수 있다.
가장 좋게는 낙하는 위한 이러한 짧은 부분, 다시 말해서 위쪽판대의 끝부문에 배열된 낙하지점은 최고 위쪽 진동판대 전체길이의 5분의 1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 장치로써 행한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는, 실험을 위해 인위적으로 투여한 돌의 100%가 그 무거운 성층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과 돌이 포함된 그 무거운 성층이 적절한 위치에서 모두 아래쪽에서 돌선별기의 역할을 하는 진동판대위로 보내진다는 점이다.
이로써 아래쪽 진동판대(돌선별기)의 선별작업이 훨씬 쉬워지는데 왜냐하면 가벼운 부분들이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으며 돌선별기위에서 분리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위쪽 성층판대의 위쪽 끝부분에 공기가 관통하며, 위쪽 성층판대의 위쪽에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정향장치 브리키판에 의해 덮혀있는점인데, 여기서 정향장치 브리키판과 위쪽 성층판대간의 간격은 위쪽 성층판대위 중심 위에서 보다 커진다.
따라서 정향장치 브리키판 아래의 진동판대를 통해 들어오는 공기는 그 위쪽으로 흘러서 성층판대의 중심위로(다시 말해 본 장치의 내부 방향으로) 꺾어지며, 이것은 층 형성을 계속 유지시킨다.
특히 그 효과는 두 개의 진동판대가 동일한 넓이를 갖이며 위쪽 진동판대 아래 끝부분의 무거운 물질층의 낙하를 위한 단구간과 중량물 배출경사판이 진동판대의 넓이와 같을 때 나타난다.
그리고 아래쪽 진동판대는 그 중간 부분위로 제품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위쪽 진동판대가 단지 곡물을 그 가장 밑에 배열되어 있는 출구의 방향으로 쏟아보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은 윗쪽 진동판대의 하측단구간을 통하여 중량물 성층이 중량물 배출경사판 위로 배출되어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와 아래쪽 진동판대 중간 부분 위에서 떨어져 내려오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다.
이를 아래쪽 진동판대 위에서 (즉 돌선별 판대) 특별히 강력한 층형성이 이루어지고, 이때에 직접 판대표면위의 성층(아랫층)이 판대의 배출-진동 운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그 판대 상단의 돌의 출구 방향으로 보내진다.
이때 그 진동판대의 상측에서 그와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정향장치 브리키판의 구간에서 그 성층의 표면층 즉 판대시렁위에서 위쪽으로 부상된 곡물 층은 그 진행이 중단되며 이 구간에서 판대 표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이때에 제품이 더 이상 위쪽으로의 움직이는 것을 막는 공기 방사의 작용을 한다.
그리고 그 공기속도를 제대로 조절하는 경우, 돌, 유리조각, 금속 조각등은 배출진동의 운동에너지를 통해 돌을 위한 출구의 최고 지점에까지 움직여진다.
아래쪽과 위쪽 진동판대의 간격이 위쪽 진동판대 길이의 5분의 1에서 10분의 1까지인 경우 가장 좋은 상태를 달성한다.
더욱 좋은 것은 중량물 배출경사판에 공기가 통과하게끔 되어있고, 아래쪽과 위쪽 진동판대 사이의 대략 중간 높이에서 끝나는 것이다.
매우 많은 제품으로 가동시 개개 무거운 이물질이 제품과 아마도 위쪽 진동판대 위에서 여과하여 밀쳐내는 것과 함께 섞이고 또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위쪽 진동판대의 아래쪽 끝부분에 하나의 성층-분리미터가 부탁되어 있으면 좋다.
좋은 것은 위쪽 진동판대의 낙하를 위한 단구간이 다음과 같이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
즉 그 구간이 무거운 이물질의 중간 크기의 수배에 해당하는 직경을 가진 관통 개구부분을 갖고 있는 것이다.
위쪽 진동판매의 최적 기능은 다음과 같이 보호된다.
즉 진동판대가 미세하게 구멍이 뚫려있고 매끈한 표면을 갖고 있는 경우이다.
이로써 배출-진동운동을 통해 위쪽 진동판대 위에 직접 놓여있는 제품 층을 위한 강력한 제동작용이 이루어지며 이로써 일부는 아래쪽에 놓여있고 빠른 흐름에서 제지되는 성층에서 나타나는 모든 무거운 이물질은 공기를 통해서도 진동운동을 통해서도 다시 위쪽 층형성으로 소급되어질 수 없게 된다.
이로써 위쪽에 놓여진 층형성의 효과가 특별히 강력하게 되며 따라서 필요한 공기량 뿐만 아니라 진동 에너지도 최대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또 이로부터 재차 주어진 면적에서의 훨씬 커다란 성능의 의미에서 진동면적의 최대 이용이라는 장점이 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장치에서 아래쪽 진동판대가 곡물시렁으로 구성됨으로서, 즉 공기를 통과시키는 미세한 통기공을 갖고 망판과 이것과 평행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브리키판 구멍 그리고 양자사이에 간막이 모양의 구조물(샌드위치구조)를 갖고 있는 곡물시렁를 갖고 있음으로서 아래쪽 진동판대 전체가 곡물시렁과 같은 것이며 또 그 위에 형성되는 곡물층의 두께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기저항을 보이는 경우 더욱 좋다.
특히 좋은 것은 아래쪽 진동판대로 거친 표면을 갖고 있는 것인데, 이로써 무거운 이물질이 배출-진동운동을 통해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그 출구 쪽으로 잘 보내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좋은 것은 위쪽 진동판대의 끝부분에 이 진동판대의 곡물 배출도관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인데, 이것을 아래쪽 진동판대의 곡물배출 구멍과 합쳐지며, 여기서 또한 좋은 것은 위쪽 진동판대에서 배출되는 곡물과 아래쪽 진동판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그리고 더욱 좋은 것은 위쪽 진동판대가 제품입구의 구간에 공기가 통하도록 되어 있고 이로써 제품 입구 구간에서부터 층형성이 있음이 이미 유리한 경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위쪽과 아래쪽 진동판대에 제품을 위한 가능한 최대의 면적확대가 달성되어 있다.
이것은 그러나 가능한 모든 작업면적을 지극히 일률적으로 제품으로써 사용되게 하고 또 제품의 흐름방향과 비스듬하게 모든 지점에서 거의 동일한 작업과정이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 과정은 제품 유입시초부터 그때 그때의 진동판대 표면위로 지속하여 이루어지고 그에 상응하는 작업단계가 끝나는 지점에까지 지속된다.
이것은 위쪽 진동판대의 시작에서부터 그 전체 넓이에 걸쳐 균일한 층형성으로 옮겨져서 그 진동판대의 아래쪽 끝부분에까지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윗쪽 진동판대에서 완전한 층형성이 이루어진 곡물은 그 진동판대의 끝부분의 아주 짧은 단구간에서 비로서 무거운 이물질 층인 아래쪽 층이 낙하물로서 윗쪽 진동판대로부터 분리되며, 이 낙하물은 계속해서 아래쪽 진동판대의 중간구간 위로 보내지는데 이때에도 제품은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지극히 균일하게 그 전체 폭에 걸쳐 베일처럼 펼쳐진 상태로 보내진다.
이로부터 재차 아래쪽 진동판대의 상단과 하단 방향으로 그 전체 표면에 걸쳐 하
본 발명장치는 이로써 기본적으로 두 개의 상하로 배열되어 있고, 기울어져 있으며 공기를 관통시키는 진동판대를 보여준다.
여기서 이 두가지 진동판대는 하나의 공통진동장치에 의하여 진동되고 또한 이 두가지는 똑같은 공기 관류에 의해 관통된다.
처리곡물의 공급은 위쪽 진동판대의 위쪽에 놓여 있는 끝부분에 있는데 여기서 위쪽 진동판대는 그 길이에 걸쳐 두 개의 구간을 나타낸다.
그 첫째에서는 곡물공급도관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구간으로서 많은 공기를 관통시키며, 반면에 여기서 연결되는 두 번째 구간에서는 제품을 통과시켜서 그 중 일부가 아래쪽 진동판대로 떨어지는데, 이 아래쪽 진동판대는 그 상단에 무거운 이물질 출구를, 그리고 그 하단에는 가벼운 곡물출구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위쪽 진동판대의 곡물을 통과시키는 두 번째 구간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첫 번째 구간과 비교하여 공기를 통과시키는 구간이 매우 짧게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두 번째 구간을 통해 떨어지는 곡물은 아래쪽 진동판대의 중간구간에 완전히 보내지며, 이때에 위쪽과 아래쪽 진동판대는 동일한 진동운동을 보인다.
본 발명은 나아가 예를 들면 곡물류에서 돌과 같은 무거운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개의 제품 출구쪽으로 기울여지고 동일한 바닥으로 관류되
본 발명 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즉 곡물은 위쪽 진동판대 위에서 그 전체길이에 걸쳐 층을 형성하며, 그보다 아래쪽에 놓여있는 끝부분에서 곡물흐름의 20-80%(중량%), (여기서 거의 모든 무거운 이물질이 있는데)가 제거되며 곡물 공급으로서 아래쪽 진동판대의 중간구간 위로 베일처럼 배출된다.
본 발명 방법은 돌의 선별기능을 제일차로 하며, 이에 더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데, 즉 가벼운 곡물의 선별기능이며, 이 모든 것을 놀랄 정도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 방법은 다음의 것을 확실히 한다.
즉 아래쪽의 돌 선별판대위로 공급된 곡물 부분만이 정확하게 배출된다는 것인데, 이중에 무거운 이물질이 섞여있다.
이때에 가벼운 곡물부분은 위쪽 진동판대에서 이미 빼내지며, 더이상 아래쪽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 방법에서는 따라서 단지 전체 곡물의 일부분 즉 20-80%(중량%)만이 아래쪽 돌선별기 역할을 하는 판대로 보내지는데, 왜냐하면 이미 위쪽 판대의 아래쪽 끝부분에서 가벼운 곡물로서 배출되는 나머지 곡물 부분은 더 이상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로써 아래쪽 진동판대는 제품이 아니라 그에게 보내어진 해당 제품을 처리하
아래쪽 진동판대에서는 재차 층형성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그러나 단지 소량의 다시 말해 처음의 곡물에서 아래쪽으로 배출된 부분만으로 이루어진다.
아래쪽 진동판대 위로 상대적으로 대량의 무거운 이물질을 가진 곡물이 배출되는 고로, 거기서도 비교적 가벼운 부분은 매우 빠르게 무거운 이물질의 위에서 형성되고 아래쪽 판대의 끝부분에서 헤엄치 듯한 성층으로 보내지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곡물을 위한 출구로 인도된다. 이로써 알 수 있는 것은, 위쪽 진동판대위로 보내진 전체 부분의 30-60%(중량%)가 무거운 이물질과 함께 아래쪽 판대표면의 중간구간에 보내지는 경우 특별히 좋은 결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즉 위쪽 진동판대로 보내진 전체 곡물의 50% 미만의 아래쪽 진동판대(돌선별 판대)위로 배출된다는 것이다.
위쪽 진동판대로부터 아래쪽 진동판대로 베일처럼 떨어지는 곡물이 강한 통풍에 의해 불어지면 더욱 좋은데, 이를 통해 떨어지는 곡물베일은 약간 산만되어 질 수 있으며 이것을 아래쪽 진동판대 위에서의 층형성을 재차 촉진시킨다.
아래쪽 진동판대의 상단쪽에서도 판대표면을 직접 스치면서 이 진동판대의 하단 방향으로 공기방사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그 진동판대 위에서 형성되는 회전성층(역방향흐름층)의 발생을 위해 유용하다.
특별히 좋은 것은 아래쪽 진동판대로의 곡물공급이 중량물 배출경사판에 의해 위쪽 진동판대 위에서의 곡물 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꺾어지고 그리하여 아래
이때에 공기가 두 개의 진동판대를 통해 계속하여 관류되고 또 중량물 배출경사판에서 곡물이 미끄러져 내려오는 구간에서도 곡물의 이동과는 상반되는 방향으로 꺾어지는 경우 더욱 좋은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 곡물은 기울어지고 공기가 관류되는 첫 번째 진동판대의 상단에서 보내져서 이것을 따라 일정한 흐름구간에 걸쳐 보내지며 거기서 위쪽은 가볍고 아래쪽은 무거운 이물질 층이 배열되는 층형성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무거운 이물질 층은 처음의 진동판대에서 그 하단의 단구간을 통하여 방출되어 부분적으로 두 번째의 기울어진 공기관류의 진동판대(하측판대)로 보내지며 거기서 회전성층을 하게되어 무거운 이물질은 그 진동판대의 상단에서 그리고 나머지 순수한 곡물은 그 하단에서 양쪽으로 빼내진다.
이때에 본 발명 방법에 따르면 흐름구간(상층 진동판대구간)의 끝 부분에서 짧은 낙하구간으로 무거운 이물질의 층 전체가 빼내지며 두 번째 진동판에의 중간구간 위로 완전히 방출된다.
본 발명 방법은 실제 실험에서 최상의 보장을 받았으며, 놀라운 성능과 분리되기 어려운 곡물에서도 주목할 만한 분리성능의 달성을 나타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제1도에서 예시한 장치는 돌선별 판대의 역할을 하는 하나의 아래쪽 진동판대(1)과 성층판대의 역할을 하는 위쪽 진동판대(2),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진동판대를 측면으로 둘러싼 외갑(3)을 보이고 있다.
돌선별판대(1)은 아래쪽으로 열려져 잇다.
돌선별판대(1)을 통해 주위로부터 자유롭게 흡입된 공기는 진동판대(2)와 제1도에서 단지 상징적으로만 예시된 환풍장치(4)를 통해 청소를 위해 화살표(5)의 방향으로 흡출된다.
제1도와 제2도의 예시에서는 진동판대(2) 위에서 처리될 제품은 제품 입구(6)와 연결부분(8)을 거쳐 직접 위쪽 진동판대(2)로 공급되며 이때에 직접 제품 입구(6)에 연결되고 또 위쪽 진동판대(2) 위에서 간격을 두고 하나의 안내 브리키판(9)이 배열되어 있는데, 이것은 위쪽 진동판대(2)와 함께 공급도관(10)을 형성하여, 그 단면은 상측 진동판대(2)의 중심방향으로 확대된다.
진동판대(2)는 중량물을 배출시켜주는 하나의 단구간(11)(Short Region)에 이르기까지 제품낙하를 위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하나의 매끈하고 미세한 구멍이 뚫려있는 판막(12)을 보이고 있으며 그 아래에 창살(13)이 있고 이 창살을 격판(14)에 고정되어 있다.
판막(12)과 창살(13) 사이에 간막이 단면 또는 장(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위쪽 진동판대(2)의 종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매 장(15)마다 하나의 구슬(16)이 판막(12)에 있는 미세한 구멍의 청결유지를 위해 장치되어 있다. 중량물 낙하를 위한 단구간(11)은 그 전체면적에 균일하게 배포된 수많은 관통개구부(17)를 갖고 있다.
또한 위쪽 진동판대(2)의 아래쪽 끝부분에는 하나의 성층분리용 나이프(18)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진동판대 표면으로부터 대략 손가락 두께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두 개의 성층(아래쪽은 무거운 이물질을 걸러낸 성층, 위쪽은 가벼운 곡물)을 분리하고 있다.
낙하는 위한 단구간(11) 아래쪽에, 위쪽 진동판대(2)의 전체길이 20% 이상되는
돌선별판대(1)과 성층판대(2)는 대체로 상호 평행하며 수평에 대한 각 도 α에서 해당의 동일한 비스듬한 위치로 배열되어 있다.
경사판(19)는 이에 대하여 수평에 대한 각도 β를 보이고 있으며, 그렇게 선택된 고로 두 개의 진동판대(1)과 (2)의 모든 생각할 수 있는 비스듬한 위치에서 경사판(19)은 항상 또한 수평에 대하여 최소한 작은 경사를 보이고 있다.
아래쪽 진동판대(1)(돌선별판대)은 대략 세 개의 같은 크기의 구간 A. B. C로 나누어질 수 있다.
아래쪽 진동판대(1)이 예시하듯이 지속적으로 진동되는 진동판대 위에서 제품은 항상 "흐름"상태에 있는 고로, 상기 각 구간들의 상세한 기능들에 대해서는 그 구간들이 어떤 견고한 벽이나 또는 부가적힘에 의해 구분되어있지 아니하는 한 규명되기가 어렵다.
단지 해명시도의 의미에서, 아래쪽 진동판대(1) 위의 구간 A에서 대체로는 성층관류가, 중간구간 B(진동판대(1)의 "중간구간")에서는 표준적인 회전성층이 그리고 구간 C에서 유출관류가 조정된다고 가정될 뿐이다.
돌선별판대(1)를 관류하는 공기가 또한 진동판대(2)를 통한 관류를 보장하기 위해, 위쪽 진동판대(2)의 아래쪽 끝부분에 하나의 격리벽(20)과 하나의 조정뚜껑(21)이 있어서 나타나는 오류 공기량을 가능한 한 최소화할 수 있게된다.
그 외에도 외부로부터 장애가 되는 오류공기(Falschluft)가 나타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모든 출구는 갑문모양의 차단장치를 갖고 있다.
즉 아래쪽 진동판대(1)은 (돌선별판대) 선별된 곡물을 위한 출구(22)와 돌의 최종분리를 위한 구간(24)을 갖고 있는데, 전자에는 제품갑문(23)이 있고 후자에는 돌 배출도관(25)과 돌 갑문(26)이 있으며 이들 제품갑문(23) 뿐만 아니라 돌 갑문(26)은 알려진 바와 같이 고무류의 재료로 만들어 졌음으로 출구(22) 또는 돌 배출도관(25)에 충분한 제품이 있는 경우에만 개방되고 제품이 없는 경우에는 닫혀있다.
돌의 최종분리구간(24)는 그 상부에 정향장치 브리키판(27)과 아래쪽으로 닫혀진 바닥면(28)과 공기를 관통시키는 바닥면(29)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들은 판대 표면의 전체 넓이에 걸쳐 있다.
전체 장치는 진동모타(30)에 의하여 화살표(31)과 같은 진동상태로 되며, 이때에 진동방향은 대체로 중심S(제1도를 보라)를 기준으로 할 때 두 개의 진동판대(1)과 (2)의 길이방향으로 20-40˚이하의 각도에서는 출구(22)의 방향에서 공급도관(10)의 방향으로 된다.
본 장치는 또한 조정가능한 관절(32)과 출구(22)의 구간내에서 하나의 용수철(33)이 그 좌우에 놓여있으며 두 개의 진동판대(1)과 (2)는 서로 지지되어 있음으로 화살표(31)의 직선적 진동운동은 관절(32)와 용수철(33)을 통하여 그들 두 개의 진동판대(1)과 (2)가 동일한 진동운동을 갖는 것이다.
제2도에 의한 예시에서 본 장치를 제품 입구(6)에서 하나의 제품 조절 뚜껑(40)을 갖고 있는데, 이것은 지렛대(41)와 용수철(42)을 거쳐, 일정한 제품량이 있는 경우 제품관류가 개방되고 제품이 충분치 않는 경우 그 관류가 폐쇄되도록 조절된다.
이로써 이 위치에서 원하지 않는 공기 유입이 차단된다.
제품입구(6)는 하나의 탄력적인 사복부(43)을 거쳐 제품 공급도관(44)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은 전체 장치의 국소적 장치의 일부분이다. 사복부(43)은 본 장치가 진동운동에 필요한 상대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끔 해준다.
또한 공기압출구(5)에도 동일한 구조가 되어있다.
즉 하나의 커다란 사복부(45)가 거기서 진동하는 장치를 국소적 지지대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이것은 흡기도관(47)과 단단히 결합되어있다. 연결판(46)에는 하나의 공기 조절밸브(48)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것으로써 전체 공기량이 조절될 수 있다.
관절(32)는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축받이(49) 또는 (50)에 아래뿐만 아니라 위쪽도 고정되어 있다.
관절(32)의 길이는 나선봉(51)이 나착되어 있어 회전지레(52)에 의해 조절될 수 있어서 두 개의 진동판대(1)과 (2)는 그때마다 최선의 경사도가 조절될 수 있다.
관절(32)의 내부에 또한 하나의 압력 용수철(53)이 장치될 수 있는데 이것으로써 위쪽 판대끝부분의 가벼운 용수철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모타(30)은 횡측(54)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관절(55)을 거쳐 이것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즉 실제로 단지 직선적인 Power 조립만이 화살표(31)의 방향에 따라 전체장치에 전달되고 또 특별한 위치를 통해 진동판대(1)과 (2)에 기술한 바 배출 진동운동이 전달되는 방식으로이다.
더욱이 흥미로운 것은 공기주입이 경사판(19)을 돌아서 대페로 제품운동에 상반하는 방향을 취하고 있는 점인데, 이것은 화살표로서 제2도에 명확하게 예시되어 있다.
제3도와 제4도는 특별한 바닥구조(샌드위치구조)를 보이고 있는데, 여기서 제3도는 제4도에서 그 위치를 표시하는 단면도 Ⅲ-Ⅲ 뿐만 아니라 동시에 종단면도 III-III를 예시하고 있다.
제3도에서 예시한 진동판대(1)(돌선별판대)를 위한 샌드위치구조는 지극히 미세한 구멍(61)을 가진 아래쪽에 놓여있는 구멍 브리키판(60) 뿐만 아니라, 바닥의 종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간막이 벽(63)에 걸쳐 구멍 브리키판(60)과 분리되어 있는 위쪽의 거친 통기공을 갖는 망판(62)을 보여주고 있다.
간막이벽(63)을 통해 구멍브리키판(60)과 망판(62) 사이에 제4도에서 알 수 있듯이 구간의 분할이 이루어지며, 그리하여 공기가 구멍 브리키판(60)과 망판(62) 사이에서 횡방향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멍브리키판(60), 망판(62) 그리고 간막이벽(63)이 합하여 샌드위치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아래쪽 진동판대(1)의 전체구조는 아래쪽 진동판대(1)에 놓여있는 곡물 성층의 두께에 영향을 받지않고, 아래쪽 진동판대(1)의 전체표면에 걸쳐 대체로 관류하는 공기에 대하여 동일한 저항을 보이게 된다.
이것은 또한 위쪽 진동판대(2)의 피막(12)에 미세하게 뚫린 구멍이 유리하게 선택되는 경우 촉진될 수 있다.
아래쪽 진동판대(1)의 샌드위치 구조를 통해 이미, 특히 또한 위쪽진동판대(2)의 미세한 구멍이 뚫린 판막(12)에 있는 구멍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아래쪽의 전체 곡물시렁에 걸쳐 거의 일정한 공기저항이 아래쪽 진동판대(1) 위의 국소적으로 일시적인 곡물성층 두께와는 관계없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막(12)의 미세한 구멍은 그 합계 단면적이 전체 판막(12)의 표면보다 작다는 것은 물론, 많아야 그 10분 1에 해당하는 미세한 구멍이 적절하며 또는 동시에 말상(62)이 역할을 하는 곡물시렁의 관류 단면 전체 표면의 두배 이상이 적적하다는 점이다.
여기서 또한 중요한 것은 판막(12)에 있는 구멍들이 회전 성층판대의 표면에 걸쳐 고르게 배포되어 있고 또한 구멍의 배포나 방판(62)의 역할을 하는 곡물시렁(62)에의 그 거리가 다음과 같이 선택되어야 하는 것이다.
즉 구멍을 통해 관류하는 공기가 곡물시렁(62)을 대체로 균일한 정지압력으로 맞게끔 선택하는 것이다.
최선의 결과는 다음의 경우에 얻어진다.
즉 판막(12)의 구멍 단면의 합계가 곡물시렁(62)의 전체표면의 약 8%까지 이르는 경우이다.
제2도와 제5도에 따른 문제해결의 주된 차이는 다음과 같은 점에 있다.
즉 제2도의 장치에서는 단지 돌 또는 무거운 이물질만이 전체 제품흐름에서부터 선별되지만 제5도에 의한 장치에서는 그러나 동시에 무거운 곡물 부분(70)과 가벼운 부분(71)으로의 분리뿐만 아니라 돌부분(72)도 분리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제5도에 대한 장치는 하나의 곡물 출구(73)와 가벼운 곡물 출구(74) 그리고 돌의 출구(75)를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서 또한 모든 출구는 하나의 상응하는 제품갑문이 장치되어 있어서 오류 공기의 유입이 방지된다.
제5도에서 예시한 본 발명장치의 수행방식은 곡물의 무거운 부분과 가벼운 부분과의 분류를 위한 요구가 지나치게 크지 않는 경우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한 한계내에서는 아래쪽 곡물 흐름(77)에 대한 위쪽의 가벼운 곡물(76) 흐름의 관계는 진동판대(1)과 (2)의 경사와 관통하는 공기량의 변경을 통해 변경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장치가 특히 곡물에 있어서의 돌의 선별에 적합하긴 하지만, 본 발명장치는 또한 비슷한 특성과 비슷한 목적을 가진 다른 곡물류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상측진동판대(2)와 하측진동판대(1)를 그들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같이 경사지게 상하로 구성한 한쌍의 진동판대(1)(2)를 하나의 공통모터(30)로 구동되게 하고, 상측진동판대(2)의 하측에는 그 전체 길이의 약 5분의 1정도 크기의 중량물층 배출구간(11)을 형성하며, 상측진동판대(2)와 하측진동판대(1) 사이에는 중량물층 배출경사판(19)을 설치하되 그 상단은 상측진동판대(2)의 하단에 연설하고 그 하단은 하측진동판대(1)의 중간 상부에 위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에서 돌 또는 모래 등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려내는 장치.
  2. 배출경사판(19)의 하측끝이 하측진동판대(1) 길이를 3등분한 중간부(B)의 구간에 위치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장치.
  3. 배출경사판(19)이 진동판대(1)(2)의 경사와 역경사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 개재의 장치.
  4. 상측진동판대(2)의 상단은 공기가 관류되고 이와 일정간격을 두고 안내브리키판(9)이 위치하며, 상측진동판대(2)의 상면과 안내브리키판(9)과의 간격은 상측진동판대(2)의 중앙부로 가면서 더 넓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장치.
  5. 상측진동판대(2)와 하측진동판대(1) 사이의 간격이 상측진동판대(2) 길이의 5분의 1 내지 10분의 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장치.
  6. 상측진동판대(2)의 하측 끝부분에 성층분리칼(18)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장치.
  7. 중량물층 배출구간(11)의 개구부(17) 크기가 중량물의 평균크기보다 크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장치.
  8. 상측진동판대(2)는 미세한 구멍과 미끄러운 표면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장치.
  9. 하측진동판대(1)는 통기공을 갖는 망판(62)을 구유하고 이것과 평행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브리키판(60)사이에는 간막이격벽(14)을 설치하여 상면에 재치되는 곡물층의 두께에 관계없이 일정한 공기저항을 받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장치.
  10. 상측진동판대(2) 하단에 곡물배치도관(56)을 구성하고 여기서 배출되는 곡물이 하측진동판대(1)의 곡물배출공(57)에서 배출되는 곡물과 혼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장치.
  11. 상측진동판대(2)의 곡물배출도관(56)에서 배출되는 곡물과 하부진동판대(1)의 곡물배출공(57)에서 배출되는 곡물의 혼합과 분리를 위하여 배출도관(56) 하단에 조절익판(58)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0항 기재의 장치.
KR1019850700338A 1984-05-08 1985-05-08 곡물에서 돌 또는 모래등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려내는 장치 KR900001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240/84-8 1984-05-08
CH224084 1984-05-08
PCT/EP1985/000209 WO1985005050A1 (en) 1984-05-08 1985-05-08 Installation and process for sorting heavy materials, in particular stones or the like from cereals or other bulk produ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700096A KR860700096A (ko) 1986-03-31
KR900001435B1 true KR900001435B1 (ko) 1990-03-10

Family

ID=422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700338A KR900001435B1 (ko) 1984-05-08 1985-05-08 곡물에서 돌 또는 모래등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려내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4652362A (ko)
EP (3) EP0181353B1 (ko)
JP (2) JPH0659463B2 (ko)
KR (1) KR900001435B1 (ko)
AT (1) ATE31254T1 (ko)
AU (1) AU569011B2 (ko)
BR (1) BR8506704A (ko)
DE (3) DE3564386D1 (ko)
SU (2) SU1477237A3 (ko)
WO (2) WO19850050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97B1 (ko) * 2006-12-20 2008-01-30 정구명 해산물 선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1353B1 (de) * 1984-05-08 1988-06-01 Bühl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ennen von körnigem gut
DE3524895C1 (de) * 1985-07-12 1986-12-18 Hein, Lehmann AG, 4000 Düsseldorf Siebmaschine
IT1186418B (it) * 1985-12-09 1987-11-26 Ocrim Spa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selezione e la pulitura a secco del grano
MD220C2 (ro) * 1986-12-01 1995-11-30 Buhler Ag Instalaţie de pregătire uscată pentru măcinare a produselor cerealiere alimentare şi furajere
CH672440A5 (ko) * 1986-12-01 1989-11-30 Buehler Ag Geb
IT1208249B (it) * 1987-02-27 1989-06-12 Francesco Ferrero Separatore a tavola pneumodensime trica vibrante per la selezione diprodotti sfusi eterogenei
US5301811A (en) * 1987-11-27 1994-04-12 Gebruder Buhler Ag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grain material and the sorting out of heavy inclusions from grain material
US5183161A (en) * 1987-11-27 1993-02-02 Buehler Ag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grain mixture
SK778288A3 (en) * 1987-11-27 1997-08-06 Buehler Ag Geb Separaton method for heavy additives, particularly stones, from grained material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US5148921A (en) * 1988-07-08 1992-09-22 Gbe International Plc Pneumatic separation of particulate material
AT391635B (de) * 1988-07-29 1990-11-12 Ural Polytekhnichesky I Im S M Schwerkraftsichter
GB8822723D0 (en) * 1988-09-28 1988-11-02 Rothmans Int Tobacco Method & apparatus for separation of objectionable particles from tobacco material
AU629925B2 (en) * 1989-04-14 1992-10-15 Leslie Colin Clarke Vibrating cleaner
US5024334A (en) * 1989-06-09 1991-06-18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and means for gravity table automation
DD288762A5 (de) * 1989-11-06 1991-04-11 �����@������������������k�� Einrichtung zur trennung von koernigem gut
DE4034737C2 (de) * 1990-10-30 1997-07-17 Thaelmann Schwermaschbau Veb Schalenseparator
DE4126065C2 (de) * 1991-04-15 1994-09-29 Buehler Ag Verfahren zur Luftführung für das Putzen von Griessen sowie Griessputzmaschine
DE4118675A1 (de) * 1991-06-07 1992-12-10 Lindemann Maschfab Gmbh Luftunterstuetzter trenner
JPH05115849A (ja) * 1991-07-02 1993-05-14 Kurimoto Ltd 破砕不燃物の選別装置
FR2700718B1 (fr) * 1993-01-26 1995-04-14 Delta Neu Séparateur aéraulique, notamment pour le tri des déchets.
CA2113368C (en) * 1993-01-26 1999-08-10 Alain Desmadryl Aeraulic separator, particularly for sorting waste
FR2705910B1 (fr) * 1993-06-01 1995-08-25 Delta Neu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tri sélectif de déchets.
US5875898A (en) * 1996-02-29 1999-03-02 Community Recycling & Resource Recovery, Inc. Compost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3428609B2 (ja) * 1996-03-29 2003-07-22 株式会社サタケ 粗選石抜装置
DE19702738A1 (de) * 1997-01-27 1998-07-30 Heiner Dr Schwanz Pneumo - Separator
AUPP111997A0 (en) * 1997-12-24 1998-01-22 M E Mckay & Associates Pty Ltd Separation using air flows of different velocities
NO312712B1 (no) * 1999-12-15 2002-06-24 Norsk Hydro As En sorterende fluid bed granulator samt fremgangsmåte for fluid bed granulering
CA2484970A1 (en) 2002-05-03 2003-11-13 General Kinematics Corporation Vibratory sand reclaiming apparatus having normal and reject modes
US7188730B2 (en) * 2003-09-24 2007-03-13 Centers Michael C Separation system for single stream compressed recyclables
SE527470C8 (sv) * 2004-02-13 2006-07-25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iktdäck
DE102004054275A1 (de) * 2004-11-09 2006-05-11 Bühler AG Vorrichtung zum Trennen von körnigem Gut
WO2006091817A2 (en) * 2005-02-22 2006-08-31 2082710 Ontario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set of operating parameters for a fluidized bed mineral separator
DE102005019998A1 (de) * 2005-04-27 2006-11-02 Bühler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inigung von Getreide
DE202005007472U1 (de) * 2005-05-11 2005-07-14 Allmineral Aufbereitungstechnik Gmbh & Co Kg Luftsetzmaschine mit variabler Luftzufuhr
US7527153B2 (en) * 2005-09-26 2009-05-05 General Kinematics Corporation Separator system and method of separating materials
SE0502734L (sv) * 2005-12-13 2007-05-0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iktanordning
US7882959B1 (en) * 2009-08-06 2011-02-08 General Mills Ip Holdings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ping food pieces
ES2391924T3 (es) * 2009-10-15 2012-12-03 Süd-Chemie Ip Gmbh & Co. Kg Método para eliminar un material contaminante particulado de un material de fosfato de litio metal mixto particulado
WO2011141257A1 (de) * 2010-04-15 2011-11-17 Büh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ehl
RU2456099C2 (ru) * 2010-06-21 2012-07-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мышленное обогащение" Установка пневмовакуумной сепараци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EP2402093B1 (en) * 2010-06-30 2015-06-17 Alstom Technology Ltd Screening device and method of screening
DE102010026445A1 (de) * 2010-07-08 2012-01-12 Evonik Degussa Gmbh Flugaschetrennung mittels Koronaentladung
EP2520376A1 (de) 2011-05-03 2012-11-07 Büh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raktionierung von Schüttgut
CN103394469A (zh) * 2013-08-15 2013-11-20 时祥华 一种多功能组合清理筛
RU2558836C1 (ru) * 2014-05-13 2015-08-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женерных технологий (ФГБОУ ВПО ВГУИТ) Вибрационный сепаратор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близких по физическим свойствам частиц
US9327320B1 (en) * 2015-01-29 2016-05-03 Green Search,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al dedusting
US9764359B2 (en) * 2015-06-22 2017-09-19 Ecostar S.R.L. Screen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s
CN105214956B (zh) * 2015-10-28 2017-06-30 中国矿业大学 一种浓相气固流化床干法分选系统及工艺
BR102016004243B1 (pt) 2016-02-26 2019-11-05 Tmsa Tecnologia Em Movimentacao S A máquina para limpeza de grãos
CA3031697A1 (en) 2016-08-01 2018-02-08 The University Of Newcastl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ry separation of particles
US10350641B1 (en) * 2016-12-20 2019-07-16 Bryan Chevalier Nelson Watson Vacuum system
JP6896227B2 (ja) * 2017-07-28 2021-06-30 株式会社サタケ 石抜機
CN107638382A (zh) * 2017-07-31 2018-01-30 芜湖杨燕制药有限公司 一种中药注射剂的拣选处理工艺
CN108573570B (zh) * 2018-04-10 2020-10-02 杭州纳戒科技有限公司 自动售货机及自动售货系统
JP2020078780A (ja) * 2018-11-14 2020-05-28 株式会社クボタ 石抜機
PL238108B1 (pl) 2019-03-12 2021-07-05 Sosnowski Wlodzimierz Urządzenie sitowe do doczyszczania materiału ziarnistego
CN109967356A (zh) * 2019-05-13 2019-07-05 河南粮院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三角分级机
CN112570279A (zh) * 2020-11-13 2021-03-30 灵璧县飞松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玉米筛选机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163A (en) * 1912-08-14 1913-07-22 Clarence Q Payne Pneumatic concentrating-table.
US1786739A (en) * 1922-06-07 1930-12-30 Peale Davis Company Method and mechanism for separating divided materials
DE715598C (de) * 1938-12-31 1942-01-03 Heinrich Riese Dipl Ing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Kohle mittels pulsierender Druckluft
US2358293A (en) * 1940-06-20 1944-09-12 Adamson Stephens Mfg Co Coal cleaner
DE817390C (de) * 1950-04-06 1951-10-18 Zuendapp Werke G M B H Griessputzmaschine
US2928545A (en) * 1956-07-16 1960-03-15 Arthur R Forsberg Gravity separator
FR1431106A (fr) * 1965-01-30 1966-03-11 Therapeutique Electr Francaise Appareil indiquant l'heure et provoquant le sommeil
US3464550A (en) * 1967-05-04 1969-09-02 Dow Chemical Co Continuous solid particle shape classifier
CH498664A (de) * 1968-04-17 1970-11-15 Buehler Ag Geb Vorrichtung zum Trennen von körnigem Gut
DE2104537A1 (ko) * 1971-02-01 1972-08-10
CH547667A (de) * 1971-10-22 1974-04-11 Buehler Ag Geb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reichern durch sortieren und von angereicherten fraktionen koernigen gutes.
IT1039633B (it) * 1975-07-04 1979-12-10 Amedeo Sangati Sas Machchina selezionatrice per gravita e spietratrice a secco per granulati in particolare cereali
US4028753A (en) * 1975-10-16 1977-06-14 Augusto Rios Automatically rockable infant's crib
US4080673A (en) * 1975-11-13 1978-03-28 Weisler Morris J Bed rocking mechanism
DE2552488C3 (de) * 1975-11-22 1979-03-15 Heinrich, Joachim, 8000 Muenchen Liege zur Heilbehandlung von Personen
FR2405674A1 (fr) * 1977-10-14 1979-05-11 Lepers Jean Gabriel Dispositif pour bercer les bebes
CH641976A5 (de) * 1979-01-19 1984-03-30 Buehler Ag Geb Vorrichtung zur trockenen reinigung von getreide.
US4274167A (en) * 1979-08-31 1981-06-23 Immel Joseph D Oscillating bed
JPS5645660A (en) * 1979-09-25 1981-04-25 Asahi Transformer Ultrasonic wave generator in bath
US4277857A (en) * 1979-11-28 1981-07-14 Svehaug Oswald C Rocking mechanism for beds
SU1042817A1 (ru) * 1980-04-28 1983-09-23 Всесоюзны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Механизации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сеиван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DE3148475A1 (de) * 1981-02-23 1982-09-23 Gebrüder Bühler AG, 9240 Uzwil "trennvorrichtung fuer getreide und aehnliches korngut"
EP0181353B1 (de) * 1984-05-08 1988-06-01 Bühl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ennen von körnigem g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97B1 (ko) * 2006-12-20 2008-01-30 정구명 해산물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U1477237A3 (ru) 1989-04-30
BR8506704A (pt) 1986-04-15
JPS61502041A (ja) 1986-09-18
JPH0659463B2 (ja) 1994-08-10
ATE31254T1 (de) 1987-12-15
EP0162014B1 (de) 1987-12-09
EP0182831B1 (de) 1988-08-17
SU1480753A3 (ru) 1989-05-15
EP0181353B1 (de) 1988-06-01
KR860700096A (ko) 1986-03-31
US4913804A (en) 1990-04-03
EP0182831A1 (de) 1986-06-04
AU4403985A (en) 1985-11-28
JPH084780B2 (ja) 1996-01-24
DE3561131D1 (en) 1988-01-21
US4652362A (en) 1987-03-24
WO1985005049A1 (en) 1985-11-21
DE3564386D1 (en) 1988-09-22
WO1985005050A1 (en) 1985-11-21
AU569011B2 (en) 1988-01-14
EP0162014A1 (de) 1985-11-21
JPS61502042A (ja) 1986-09-18
DE3562988D1 (en) 1988-07-07
EP0181353A1 (de) 1986-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435B1 (ko) 곡물에서 돌 또는 모래등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려내는 장치
KR930008288B1 (ko) 곡물류의 건식 제분을 위한 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4466542A (en) Separating contrivance for cereals
JP2525493B2 (ja) 穀物内混入物を分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1056717B (zh) 用于分离颗粒物料的装置
US4806235A (en) Apparatus for cleaning grain products
CN107309172A (zh) 一种茶叶分选设备
US24044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heavy objectionable material from cereals, legumes, and other food products
CN102728552A (zh) 新型重力分选机
CA1182073A (en) Double bank grain cleaner
US5301811A (e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grain material and the sorting out of heavy inclusions from grain material
US4646759A (en) Vibrating trough tobacco separator and classifier
JP2005334814A (ja) 揺動選別装置の選別穀粒取出装置
US518316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grain mixture
CN221017185U (zh) 一种滚筒筛分级及选粉装置及其分级系统
CH547667A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reichern durch sortieren und von angereicherten fraktionen koernigen gutes.
CN116786399A (zh) 一种滚筒筛分级及选粉装置及其分级系统
SU1634339A1 (ru)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а машина
EP0247237A2 (en) Method and a device for sorting and dry cleaning wheat
HU20445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grinding preparation granular-like foodstuffs and fodder
PL93598B1 (ko)
DE1134572B (de) Maschine zum Trocknen und Reinigen oder eines von beiden von Getre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