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288B1 - 곡물류의 건식 제분을 위한 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곡물류의 건식 제분을 위한 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288B1
KR930008288B1 KR1019880700910A KR880700910A KR930008288B1 KR 930008288 B1 KR930008288 B1 KR 930008288B1 KR 1019880700910 A KR1019880700910 A KR 1019880700910A KR 880700910 A KR880700910 A KR 880700910A KR 930008288 B1 KR930008288 B1 KR 930008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particle size
air
sorting devic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0408A (ko
Inventor
로만 뮬러
Original Assignee
뷜러 Ag
마우리스 레우인,롤프 켐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뷜러 Ag, 마우리스 레우인,롤프 켐페어 filed Critical 뷜러 Ag
Publication of KR890700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0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2201/00Details applicable to machines for screening using sieves or gratings
    • B07B2201/04Multiple deck screening devices comprising one or more superimposed screen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Fertilizer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곡물류의 건식 제분을 위한 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해결 설비의 기본 구조물.
제 2 도는 근본적으로는 제 1 도에 의한 구조물이지만 흡기 단계를 갖추고 있다.
제 3 도는 근본적으로는 제 2 도에 상응하는 해결 설비이지만, 공기순환장치 및 추가 분리기를 갖추고 있다.
제 4 도는 근본적으로는 제 1 도에 의한 해결 설비이지만, 상,하로 배치된 2개의 돌 선별작업대가 있고 체로 치는데 이용되는 평행진행이 이루어진다.
제 5 도는 무거운 물질분류에 이용되는 다른 변이 형태인데, 상부에는 집중장치나 가벼운 곡물 선별기를 갖추고 하부에는 돌 선별작업대를 갖추고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곡물류를 건조 제분하기 위해 가공하는, 특히 여러 부류로 정제하고 분류하기 위한, 즉 주로 모래, 돌, 금속조각 등과 같은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에는 예를들어 체와 같은 입자크기 분류장치와 돌 선별기와 같은 중량물질 선별장치, 그리고 가벼운 곡물 선별기 등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설명]
제분기나, 건식 제분을 위한 곡물의 전처리 시설 또한 정제기로 알려진 제분시설에 있어서의 여러가지 많은 기계들은 근래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한편, 거름(여과)장치와 돌 선별구, 그리고 어느 정도의 경량곡물 선별구 등 하나의 규격장치 군들은 거의 각기 새로운 제분장치로 나타나고 있다.
그 각 장치나 기구들은 각기 특수한 기능이 고려되어야 하고 진동기와 흡입공기 등이 갖추어져야 한다. 그리고 그중에서도 아주 특수하게 설계된 것은 그 설치와 운용에 있어 정해진 방법과 가능한 최소 비용으로 진동에너지와 함께 요구되는 공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러므로써 증가되는 작업의 양과 질은 과거에 비해 최소한의 가능한 건설비용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설치된 제분소 시설들에는 대부분 4개의 복합장치가 서로 붙어 있는데, 첫 번째 것은 곡물 저장고(싸이로)용이고, 두번째 것은 제분 준비용이고, 세번째 것은 정분이나 제분용이며, 네번째 것은 완제품용이다.
제분준비용 기계 및 제분기계는 4 내지 5개층으로 나누어진다. 원하는 저장용량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곡물저장(싸이로)가 제분장치보다 그 높이가 높다. 이것이 곡물저장고에서 거의 일반적인 것이며, 그래서 중력에 의해 생산물이 상응하게 하향운동을 할 때 바닥의 구멍을 통해 반출되는 것이 다년간 건조 제분을 준비하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이것은 전적으로 중력에 의해, 다시말해서 운반을 위한 추가 에너지 없이 장치에서 장치로 또는 기계에서 기계로 중력만에 의해서 하방으로만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생산물은 최상층의 기계에 공급되어야만 하였다.
그 분야에서는 누구나 천연재료의 제분준비에, 특히 건조제분의 조성(정제, 분리, 선별 등)에 제분자체와 똑같이 크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 점은, 대부분의 제분설비에서 제분가공기계나 정제기계에 이용될 공간이 충분히 있기 때문에 이 기계들을 더 간단하게 집중시켜야 할 직접적인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사실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건식 제분을 조성할때 근본적인 단점은 제분조성기계가 층별로 연결되어 있는 데에서 발생한다.
선별, 분류 및 분리과정을 위해, 생산물이나 재료의 유통전체가 각각의 기계에서 평면모양의 얇은 층이나 가늘게 떨어지는 실 모양으로 된다. 다음 기계로 넘길때에는 넘겨진 후에 다시 평면모양으로 펴지도록 하기 위해 생산물의 유동체가 또 다시 집속된다. 생산물층이 균일하게 평면모양으로 만들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모양으로 만들어진 인입 단면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서 기계의 첫 부분이 평면이라는 것을 고려해서 이 기계로부터 원하는 작업을 할때 잘못 이용되는 점이 방지되어야 한다. 동일한 층위에 한 기계를 다른 기계 옆에 배열시키고자 하는 고안이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작업의 질을 두고 판단해 보면, 이것은 장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각각의 기계는 서로 다른 많은 조건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특히 인접한 기계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방향이 정해져 진동할 때에는 구조상 아주 비용이 많이 드는 전달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방법상의 기술에서 볼때, 표면이 크게 확장된 기계는 다루기가 어렵다는 사실이 늘 대두되고 있다.
장애 요인들을 늦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전 단계에서 종종 발생하는 작은 장애 요인들은 장시간에 걸쳐 다음 단계에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발명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은 건식 제분의 준비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특히 이미 달성한 작업의 양과 질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작업의 각 과정전체를 관찰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각 작업과정의 집중화를 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두에 언급된 제분 가공설비에서 입자크기 분류장치와 중량물질 선별장치가 하나의 진동군을 이루며, 포크형이나 V자형으로 상, 하로 나란히 설치된다. 따라서 그들 사이에는 포크나 V자형 공간이 형성된다.
입자크기 분류장치로부터 그 하측에 위치하는 중량물질 선별장치로 떨어지는 양탄자 모양이나 실 모양의 생산물의 종류에 따라 생산물 유동체의 이송을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그리고 끝으로 포크형이나 V자형의 공간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생기게 하는 수단이 마련되며, 입자크기 분류장치에 의해서는 공기 유동이 생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장기간 당업자에 의하여 착상하지 못하였음은 물론 다른 분야에서도 본 발명인에 의한 이 발명의 착상을 할 수 없으며 여기서 본 발명인은 그 이유를 추구하게된 것이다.
중량물질 선별장치는 유동층을 형성하기 위해 아주 강한 통풍을 전제조건으로 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입자크기 분류장치, 즉 본래의 체는 약간의 공기가 통과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품들이 부상하여 유동상태가 되어 쏟아지는 물질층의 표면위에서 공중으로 떠다니기 때문이다.
입자크기 분류장치와 중량물질 선별장치가 포크형으로 서로 상, 하로 나란히 있기 때문에 두가지의 상이한 장점이 생긴다. 이와 같이 상부에 있는 입자 크기 분류장치(체)로부터 하부에 있는 중량물질 선별장치로 생산물이 넘겨지는 것은 전체의 체 범위에 걸쳐서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이것은 입자크기 분류(체로 치기)기능과 가벼운 물질 및 무거운 물질 분류기능, 그리고 돌 선별기능 등 기본적인 기능 수행중에 상술한 바와 같은 평면형 생산물 유동과 파이프형으로 다발진 생산물 유동의 변화가 완전히 배제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팩트한 장치의 생산물 투입구에서만 균일 편평한 생산물층이 생성되기만 하면 되며, 그후 과정에서는 그 생산물층이 그대로 유지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해 제기된 과제를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추가적으로 작업면적 측면에서보다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입자크기 분류장치나 중량물질 선별장치를 위해 각각 자체의 진동장치를 갖출 수도 있다.
그러나 입자크기 분류장치와 중량물질 선별장치로 구성된 하나의 진동군이 공통의 진동구동장치를 갖추기 때문에, 두 장치에 동일한 진동(동일방향, 동일싸이클, 동일진폭)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진동구동장치는 진동군의 양쪽에 다시말해서 대략 진동군의 수평중심선에 설치되며, 무거운 물질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윗쪽으로 보낼 수 있도록 진동시키고, 이와 반대로 입자의 분류를 위해서는 아래쪽으로 보내질 수 있도록 진동시키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로써 모든 작업면은 근본적으로 극대의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 이 새로운 생각을 이용하면 투입량이 많은 경우에도 능률을 유지하면서 또 정확하게 분리하는 과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장점이 되는 다른 형태를 보면, 공기유동 발생장치에 입자크기 분류장치(채 설비)를 폐쇄시키는 바닥이 갖추어져 있는데, 여기서 흡입환기장치를 입자크기 분류장치와 중량물질 선별장치 사이에 있는 흡기실의 확장된 면에 유리하게 접속되어 있다.
폐쇄된 바닥을 체 아래부분에 갖다 댐으로써 체의 단면이 공기와 연관된 상태에서 유동층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한면이 확장된 흡기실은 대단히 편리하게 최소한 2개의 배기실로, 다시말해서 상부와 하부 배기실로 나누어져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배기실에는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절판이 장치되어 있다.
이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그때 그때마다 원하는 정확도에 따라서 중량물질 선별장치에 대한 공기공급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때 그 상부에 있는 입자크기 분류장치에 대해서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그래서 각각의 개별기능을 그때 그때마다 원하는 극대의 요구조건대로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여러가지 다른 아주 유리한 형태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중량물질 선별장치가 밀쳐내는 성분으로부터 가벼운 부류의 성분들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벼운 곡물 선별기의 하부 끝부분을 수직 흡기통로 안으로 직접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조합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콤팩트한 장치로 들어갈 때 생산물이 평면층으로 되기 때문에, 이는 본 발명의 장점중의 하나인 것이다.
이런 평면형태의 생산물층은 콤팩트한 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전체과정에서, 다시말해서 입자크기 분류장치의 체로부터 집중장치를 거쳐 마지막으로 돌 선별기를 거치는 과정까지 변경되지 않고 계속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상응해서 먼지를 함유하는 공기도 통로(닥트)를 거쳐서 마찬가지로 평면형태로 작동하는 흡기통로 안으로 보내진다. 이것을 관찰하는 사람들에게는 마치 긴 섬유원단이 인쇄기에 의해 끌려지면서 적절한 작업과정이 그 원단 옆에서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때의 모습이 떠오르게 된다.
특히, 흥미 있는 또 다른 아이디어로서, 본 발명은 한쪽으로 확장된 흡기실에 공기 흡인여과장치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흡인여과장치는 공기순환장치 내의 공기가 돌 선별기를 거쳐 다시 돌 선별기의 흡착면으로 환원되게 한다.
이 아이디어를 응용하는 많은 경우에, 특히 소형 및 중형 제분설비에서 아주 큰 발전을 보인다.
본 발명에 의해 지금까지 건조제분의 가공을 위해 많은 개별 기계들로 구성된 장치를 이제는 폐쇄형의 간단한 장치로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각각의 개별 기계가 집중적으로 공기를 관류시키기 위해 흡기를 좋게 해야할 필요가 있었고, 또한 전체의 장치에도 별도로 중앙의 공기여과장치가 필요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모든 작업단계가 하나의 단위로, 그리고 많은 경우에는 여과기가 필요없이 공기순환을 하면서 진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중량물질 선별장치가 서로 상, 하로 나란히 배열되고, 동일한 공기가 관통되는 2개의 작업대로 구성되어 아주 우수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부의 작업대를 집중장치나 가벼운 곡물 선별장치 또는 돌 선별장치로 하고 하부의 작업대를 돌 선별 작업대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서 입자크기 분류장치를 상, 하로 배열된 2개의 체 장치대(2가지의 평행진행)로 만들거나 혹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체 장치대를 상, 하로 배열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분류장치 작업대가 동일한 분류장치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유리한 점이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곡식과 같은 곡물류의 식품과 사료로 된 생산물 유동체를 건조 제분하기 위해 가공하는, 즉 여러 부류로 정제하고 분리하기 위한, 그리고 주로 모래, 돌, 금속조각 등과 같은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생산물의 유동은 진동이나 공기의 힘을 이용해 최소한 한번의 입잠크기 분류(체로 치기)를 거치고 계속해서 최소한 한번의 무거운 물질선별(돌 선별, 가벼운 곡물 선별)를 거쳐서 추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해 입자크기 분류를 하기 위해 들어 갈때부터 각각의 분류선별장치로부터 선별된 각각의 부류들이 나올때까지, 그리고 맨 마지막으로 중량물질 선별장치에서 나올때까지(양탄자 모양으로 편평하게 퍼져서) 로우프 모양으로 묶어짐이 없이 생산물 유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입자크기 분류장치의 유동방향과 경사방향은 중량물질 선별장치의 유동방향 및 경사방향과 반대로 선택되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작업의 조절력을 유지하는 그 부가적 집중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작업단계를 최적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까닭은 각 후속 작업단계가 선행 작업단계에서 넘겨진 생산물의 평면형태를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이다.
나아가서 생산물이 실이나 양탄자 모양으로 짧은 자유낙하를 함으로써 그후에 생산물 성분들을 분류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며, 그 결과 그에 관련되는 장치들은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을 첨부도면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다.
우선 제 1 도에 의하면, 이 기계전체는 각 장치들이 밀집 간결하게(콤팩트하게) 구성되며, 이 기계는 입자크기 분류장치(2), 집중장치(3), 중량물질 선별장치인 돌 선별기(4)를 가지고 있다.
진동구동장치는 화살표(5)의 기호로 표시되며, 그 진동방향은 조정각 ∝에 상응하도록 하여 무거운 물질의 수평면(6)에 대한 각도를 다르게, 그리고 입자크기 분류장치(2) 뿐만 아니라, 집중장치(3) 및 돌 선별기(4)에 대해서도 각이 다르게 설치되어 있다.
진동방향은 동시에 제 1 도의 도면에 나타난 수평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진행되거나 혹은 주 생산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진행한다. 기계(1)는 진동방지구(완충구)(7)위에 그리고 기대(8)를 거쳐서 지면(9)위에 지지된다.
입자크기 분류장치(2)의 상부에는 생산물 인입구(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인입구는 받침대(11)를 거쳐서 진동하지 않는 덮개(12)와 견고하게 연결된다.
생산물 인입구(10)와 입자크기 분류장치(2) 사이에는 슬리브(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기계(1)에서 진동하지 않는 부분으로부터 진동하는 부분으로 넘어가는 전달장치로 이용된다.
입자크기 분류장치(2)안으로 생산물이 들어가는 부분은 분배상자(14)로 구성된다. 그래서 생산물 인입구(10)안에서 파이프형태로 집속된 생산물의 유동체가 부드러운 균질의 양탄자 모양의 생산물로써 가장 윗쪽의 체, 즉 거친 체(15) 위에서 넓게 퍼진다. 거친 체(15)는 주로 거친 불순물과 끝이나 나무조각 등과 같이 방해를 주는 큰 이물질을 제거할때 이용되며, 여기서 제거된 것들은 배출구(16)을 거쳐서 생산물의 유동체로부터 분리된다.
거친 체(15)위의 공간은 철판 덮개(17)에 의해 외부에서 완전히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는 먼지가 전혀 나가지 않고 어떠한 공기교환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거친 체(15) 아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선별 체(18)가 위치하며, 이는 모래, 부서진 곡물조각 등과 같은 것을 걸러 내기 위해서 비교적 고운체망목을 갖는다.
이 체(18)로 걸러서 떨어진 물질들은 근본적으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해서 접속된 바닥(19)와 이에 접속된 모래 방출구(20)을 거쳐서 밖으로 나가 생산물 유동체로부터 분리된다. 선별 체(18)를 빠져 나가지 못한 물질들은 작업대 전체 폭에 걸쳐서 배출통로(21)을 통해 직접 흘러가 흡사 양탄자 모양으로 평평하게 펼쳐진 생산물이 되어 전체 폭에 걸쳐서 강하게 공기가 관류하는 집중장치(3)위로 분배된다.
선별 체(18)로부터 보내지는 작용과 집중장치(3)위의 소용돌이층 내지 유동층에서 주생산물의 유동을 위해 연속되는 유동방향의 반전 작용이 동시에 이중 기능을 하고 있다.
한편으로 보면, 부분들이 분류되는데, 예를들면 곡물 가장자리에 가볍게 묻어 있는 오물이나 껍질성분들이 분류되며, 이로 인해서 여러부류로 계속 분류되는 것이 쉬워진다.
또다른 유리한 기능은 종래와는 달리 양탄자 모양의 생산물이 완전한 넓이로 유지되는데 있다. 이렇게 유지됨에도 불구하고 양탄자 모양의 생산물 단면을 그때 그때마다 처리할때, 전달위치에서 필요하고 근본적으로 상이한 물질적 작용 내지 영향을 받기 전이나 받은 후에나 전체의 폭이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공기가 관류하지 않는 체 표면위의 생산물층에 있는 전달장소 앞에서(선벌 체 18)
-강하게 공기가 관류하는 분류된 소용돌이층에 있는 전달장소 뒤에서(집중장치 3)
체의 표면에서는 공기에 쏘이지 아니하던 생산물의 각 입자로부터 입자로 순수한 기계적인 충격력이 작용한다. 진동하고 있는 생산물층에서는 콘크리이트를 진동시키는 과정과 유사하게 가능한한 가장 큰 밀도로 부어 넣으려고 하는데, 여기서 가장 작은 성분들은 가장 아래층에 있는 보다 큰 곡물들 사이의 빈 공간 안으로 들어가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체 바닥사이로 작은 입자들이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입자들은 떨어져서 걸러진다. 큰 성분들이나 표면이 보다 큰 성분들은 생산물층의 표면까지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체에서 이용되는 주된 힘이나 효과는 입자들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것이다.
이에 반해서 소용돌이 층에서는 공기의 힘이 주된 힘으로 이용되며, 이에 상응해서 무거운 물질에 의하여 소용돌이 층 내부에 아주 강한 층이 형성된다. 크기가 비슷하다고 가정한다면, 곡물은 소용돌이 층 내부에서 윗쪽으로 움직이고, 돌은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선별 체(18)로부터 집중장치(3)에 수직으로 낙하됨에 따라 유동방향이 반전됨으로서 순수한 진동충진층 상태에서 소용돌이 상태의 층 전환이 가장 짧은 이동구간에서, 즉 짧은 공정구간에서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생산물 투입량의 변동이나 동력의 단기적인 상승에도 층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비교적 큰 한계내에서도- 바로 이 점이 본 발명에서 나타난 놀라운 효과의 핵심이다.
제 1 도에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자크기 분류장치(2)와 집중장치(3)가 포크형이나 혹은 V자형으로 배치됨으로서 확장된 공간(22)이 생기며, 이 공간은 흡입여과 접속관(23)을 거쳐서 흡기도관(24)에 접속된다.
기계(1)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공기량은 조절판막(25)에 의하여 조절되며 확장된 공간(22)은 최소한 하나의 벽판(26)에 의해 부분 공간(22')(22")으로 분할된다.
이로 인하여 공기 조절판(27) 및 (28)의 판막을 이용해 부분공간(22')나 (22")중 어느 한곳에서 필요에 따라(유동층의 상부나 하부중에서)보다 크거나 작은 공기유동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입여과 접속관(23)과 흡기도관(24)사이에는 유연성 있는 슬리브(29)가 취부된다. 집중장치(3)의 기능은 그 작업대의 표면 바로 위에 있는 범위내에서 생산물 유동체가 층을 이루게 하고 비교적 무거운 성분들을 모으는 것이다.
집중장치 작업대 표면의 아래부분 바로 앞에는 생산물이 들어 갈 수 있는 큰 구멍을 갖춘 부분(30)이 있는데, 집중장치 작업대 표면까지 공기는 관류할 수 있으나, 생산물은 들어갈 수 없다.
이 부분에 의해 무거운 성분들이, 특히 돌이 풍부해진 아래층은 그 아래에 뻗어 있는 슈트(31) 위로 내보내 지고 다시 그곳으로부터 중량물질 선별기, 즉 돌 선별기(4)의 중간부분으로 이송된다.
조절이 가능한 생산물 걸림턱(32)을 이용하여 특수한 기능상태에 상응하게 생산물 유동체의 비율 -돌 선별기(4)위에 있는 무거운 물질 집합체의 양과 가벼운 부류의 양- 이 정해질 수 있다. 가벼운 부류의 양은 직접 해당 반출구(33)로 이송된다.
중간 정도 무게의 부류가 집중장치(3)의 하부 끝 부분에 있어 화살표(34)로 표시된 추가 관통구를 거쳐 무거운 물질용 반출구(35)로, 다시말해 무거운 물체로 보내질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돌 선별기(4)는 일반적으로 망 격자가 있는 거친표면을 갖는다. 가장 무거워서 돌 선별기(4)의 작업대 표면에 직접 놓이는 성분들은 거친 작업대 표면과 진동발생기의 반출진동에 의해 좌측 상부의 작업대 끝으로 보내져 계속해서 돌 반출구(36)으로 운반된다.
돌 선별기(4)와는 반대로 집중장치(3)에는 표면(가는 구멍이 있는 철판)이 매끄러운 작업대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집합장치 작업대 표면은 돌 선별기(4)와 동일한 진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작업대 표면 바로 옆에 있는 무거운 생산물 층으로만 운반작용을 하게 되고 작업대의 유동판 작용에 의해 생산물은 액체와 유사하게 아래로 유동한다.
집중장치(3)와 돌 선별기(4)에 공통의 진동방향은 입자크기 분류장치(2)에 대해서도 공통된다. 생산물은 체 작업대 표면의 진동에 의해 아래쪽으로 보내진다.
이로써 3개의 분류장치 모두가, 즉 입자크기 분류장치(2), 집중장치(3) 중량물질 선별장치, 즉 돌 선별기(4) 등을 일체가 되어 동일한 구동장치(5)를 갖추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작업과정은 그들에 알맞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공기는 돌 선별기(4)와 집중장치(3)만을 관류한다. 3개의 기계 구성부(2)(3)(4)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직접 상하로 배설되어 있다.
본 발명에 나타난 많은 복합적인 효과를 완전히 이용함으로써 기계(1) 전체가 대략 남자키만 해서 정상높이의 공간이라면 어느 곳에라도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관계 전문가들은 입자크기 분류장치(2)와 집중장치(3) 사이에서 나타나는 놀라운 정도의 양호한 협동작용을 특히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구성도 가능하다.
제 2 도에 의하면, 제 1 도에서 설명된 기계(1)의 실시예는 수직으로 설치된 흡기통로(40)을 결합시켜 이용할 수도 있다.
확장된 공간(22)에 벽판(26)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집중장치 표면위의 공기량을 일정한 한계치 내에서 분배하는 것뿐만 아니라 흡기통로(40)에 필요한 공기 역시 따로 따로 뎀퍼(4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공간(22)내의 높은 부분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량은 뎀퍼(4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 1 도와 제 2 도에 의한 해결에서는 중량물질 선별기, 즉 돌 선별기(4)의 바닥에 공기가 통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가 돌 선별작업대를 통해서 아래쪽으로부터 자유롭게 들어와 관류될 수 있다.
이 두가지 해결장치는 소위 흡입작용을 할때, 즉 부압, 즉 마이너스압 상태에서 가동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공기 유동을 쉽게 다룰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제 3 도의 경우에는 제 2 도의 경우에 의한 장치의 구성부분들이 있는바, 이는 그 근본적인 기능은 같이 하면서도 형태가 다르게 만들어졌다.
이 장치에서는 완전히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기계(1)를 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 가벼운 성분 분리기도 있다. 흡기통로(40)의 배기는 직접 원형분리기(50)안에서 이루어진다.
원형분리기 내에서 먼지 및 껍질 성분이 분리정도가 아주 크게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먼지 배출장치(51)을 거쳐서 방출될 수 있다.
작업에 이용되는 공기는 통로(52)와 역행 도관(53)을 통해서 분류작용을 계속하도록 환류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 돌 선별기(4)의 하부에 있는 공간은 공기 분배상자(54)에 의해 외부에 대해 완전히 밀폐되어 있다. 공기 분배상자(54)는 진동하는 부품중의 일부이며, 유연성 있는 닥트(55)를 거쳐서 역행 도관(53)과 연결되어 있다.
돌 선별기는 그 자체가 이미 알려진 샌드위치 구조로 만들어지며, 이 샌드위치 구조는 아래쪽에 작은 구멍들이 있는 판(56)을 갖추고 있어서, 돌 선별기(4)의 작업대 표면위에서 공기를 알맞게 분배하는 것이 보장된다.
이 기계는, 또한 흡기 시스템이 없는 경우에 여기 표시되어 있지 않은 소형여과기가 흡입여과 접속관(61)위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주로 원형분리기(50)뒤에 설치된 환기장치(58)을 이용하면, 장치내에서 원하는 압력분배가 공기 판막(59)와 (60)을 거쳐서 조절될 수 있으며, 원안에 +와 -기호로 표시한 압력값이 나타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기계(1)의 공기를 순환시키지 않고 가동되어야 한다면, 해당 부품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형분리기(50)가 이용될 수 있고, 배기는 가령 여기서 표시되어 있지 않은 배기 시스템에 의해 흡입여과 접속관(61)을 통해서 흡입될 수 있다.
제 4 도에는 본 발명의 특별히 유리한 조합을 표시하는 것으로 입자의 크기를 분류하기 위하여 두개의 체와 평행한 흐름(70)과 (71)이 이루어지고, 여기서 그 체에 걸러져서 떨어지는 성분(전적으로 가는 모래와 곡물 부스러기)은 배출구(16) 또는 방출구(20)를 거쳐서 폐쇄된 해당 바닥에서 배출된다.
무거운 물질을 분류하기 위해서, 특히 돌을 선별하기 위해서 2개의 돌 선별작업대(72)(7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작업대는 망 격자모양의 물질 받침대를 각각 하나씩 가지고 있다.
진동운동은 상부나 하부의 돌 선별 작업대(72)(73) 표면위에 각각 놓인 무거운 물질들에 대하여 직접 보다 높이 위치한 작업대 끝 부분을 향한 강력한 이동력을 부여한다.
가벼운 물질은 양 작업대 면에서 균일하고 강력하게 분포된 공기유동에 의해 위로 상승하여 하부 작업대의 끝 부분방향으로 떠서 이동한 다음 반출구(33) 또는 (35)를 거쳐서 배출된다.
양쪽의 돌 선별작업대(72)(73)중 상부 작업대 위에 있는 무거운 성분들은, 가령 전체량의 (30)-(60)%가 직접 하부 작업대(73) 위로 떨어지기 위해 인입 철판(74)으로 유동하고 다시 그 곳으로부터 전달위치(75)로 유동한다.
상부의 작업대(72)에서는 전적으로 모든 무거운 물질과의 혼합물만이 모여지며, 이 무거운 물질은 전체중량의 50%로써 상부의 작업대 끝에 인접한 하부 작업대로 전달된다.
중량물질 선별장치의 상부 작업대 끝 부분에 물질들이 공급되면 돌 선별이 나빠질 것이라는 그 분야의 종래 생각은 조사에 의해 부정 되었다.
폐곡선(76)으로 표시된 강력한 층 유동에 의하여 종래 달성될 수 없었던 돌 선별의 질이 달성되었다. 즉, 작업대의 면에 가까운 범위에서는 상향 추진이 강하게 생기지만, 그 면 범위에서는 이와 반대로 하향유동이 강하게 일어나고 있다.
돌 분리는 원래 하부 작업대(73)표면과 이 작업대의 상부 끝 부분위에 위치한 안내판(77) 사이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진다. 이 부분에서 물질 이동방향에 대해 반대로 진행되는 공기흐름 때문에 돌은 여기서 미량의 곡물과 더불어 이동되어 마지막에 가서 돌 배출구(36)을 통해서 배출된다.
제 4 도에 의한 구성의 아주 큰 장점은 상이한 방법에 의해 개개의 기계에서 각각 특수하게 필요로 하는 사항에 아주 정확하게 맞도록 유동이 조절될 수 있다는데 있다.
모든 작업대는 거의 동일한 크기의 작업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체의 표면이 배가되고 본래의 돌 선별 표면도 마찬가지로 배가 된다. 그 까닭은, 최 하부의 작업대 표면이 전체량 중에서 일부량만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서 생산물이 많이 유동할때 체와 돌 선별의 질이 아주 높아질 수 있다.
제 5 도에는 제 1 도에 비해 다른 장점이 있는 구성을 표시한다. 최 하부의 작업대 표면은 돌을 선별하는데 이용되며, 그 위에 있는 작업대(81)은 약간 덜 거친 작업대 표면을 가지고 있어서, 돌의 일부가 작은 양의 곡물과 더불어 위쪽으로 이동해 관통구(80)을 거쳐서 직접 하부의 중량물질 선별장치(4)위로 떨어질 수 있다.
중량물질 선별장치의 상부 작업대(81)은 특히 성층 작업대로 이용되며, 그리고 그 하부에 "재료저장 요입부"(82)가 있으며, 그 안에 돌을 포함한 전체 무거운 물질이 저장된다.
이 재료저장 요입부(82)로부터 나온 무거운 물질들은 구멍을 갖춘 부분(30)을 거쳐 방출되어서 슈트(31)를 지나 중량물질 선별장치(4)위로 공급된다.
이 변형의 큰 장점은 여기서도 돌 선별이 양호할뿐 아니라 입자크기 분류 또한 양호하며, 예를들어 반출구(35)를 거쳐서 반출되는 무거운 곡물과, 반출구(33)을 거쳐서 반출되는 가벼운 곡물을 아주 잘 구별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볼때, 본 발명은 곡식과 같은 곡물류 식료품과 사료를 정제하기 위한 방법뿐만 아니라 그 장치, 즉 기계(1)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정제될 재료들이 독특한 진동군에 따라 상이한 부류로 분류된다. 이 진동군에는 상부에 입자크기 분류장치(2)가 있으며, 이것은 임의의 체 결합체(15,18 : 70,71)로 구성되고, 특히 폐쇄된 하부 바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무거운 물질을 선별하는 장치등(3,4 : 72,73 : 8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양 장치들은 서로 포오크형이나 V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무거운 물질을 선별하는 장치들(3,4 : 72,73 : 81)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변이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단층 작업대나 이층 작업대로 결합되거나 혹은 상부의 층 작업대와 하부의 돌 선별작업대로 결합될 수 있다. 포오크모양의 공간(22)은 무거운 물질분류 작업대에 이용될 공기를 통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 본질적인 것은 정제될 가공물이 기계(1)로 들어갈때부터 밖으로 나올때까지 넓게 퍼진 섬유원단 형태 대로 편평하게 중단됨이 없이 이송되어 각 관련장치 등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각 장치들로 구성된 기존의 정제장치나 혹은 건식 제분을 하기 위한 설비들의 개념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단일의 밀집 간편한, 즉 콤팩트장치가 제품의 흐름에서 협착내지는 집속됨이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히 퍼진 상태로 흐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4)

  1. 곡물류의 식료품이나 사료 등을 건식 제분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즉 여러 부류로 분류하고 정제하기 위한, 특히 모래, 돌, 금속조각 등과 같은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하여, a) 입자크기 분류장치(2)(예를들면 체 15,18 : 70,71)와 b) 중량물질 선별장치(예를들면 돌 선별기(4 : 72,73)를 가지는 것에 있어서, c) 입자 크기 분류장치(2)와 중량물질 선별장치(4)는 c.1) 하나의 진동군을 형성하고, c.2) 포오크형 또는 V자형으로 상, 하로 배열되어서, 그들 사이에 포오크형이나 V자형 공간(22)이 형성되게 하며, d) 입자크기 분류장치(2)의 하측에 위치하는 중량물질 선별장치로 떨어지는 생산물이 양탄자나 장막 모양으로 떨어지도록 생산물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수단과, e) 포오크형이나 V자형 공간(22)에는 통하지만 입자크기 분류장치(2)에는 통하지 아니하는 유동공기의 발생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의 건식 제분을 위한 전처리방치.
  2. 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유동공기 발생수단은 입자크기 분류장치(2)를 하부에서 폐쇄시키는 바닥(base)을 구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군에는 입자크기 분류장치(2)와 중량물질 선별장치(4)에 공동으로 이용되는 진동구동장치(5)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중량물질 선별장치(4)는, 상, 하로 나란히 배열되고 동일한 공기가 관류하는 2개의 분류 작업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청구범위 제 4 항에 있어서, 상측 분류작업대는 집중장치(3 : 81)나 가벼운 곡물 선별기나 혹은 돌 선별기(72)로 구성되고, 하측의 분류 작업대는 돌 선별 작업대(4 : 7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입자크기 분류장치(2)는 2개의 동일한 걸름판(screening tables) 2가지의 평행흐름(70,71)이 상, 하로 나란히 배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청구범위 제 4 항에 있어서, 분류작업대들은 동일 분류장치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청구범위 제 3 항에 있어서, 진동구동장치(5)는 입자크기 분류작업대의 하강 작동과 중량물질 선별 작업대의 상향작동을 일으키는 투출진동(throw-type oscilating)이 발생되도록 중량물 선별장치와 대략 수평(6)이 되게 전체 진동군의 약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은 흡입통풍기를 가지며, 이 흡입통풍기는 폐쇄시키는 바닥과 중량물질 선별작업대 사이의 확장된 공간(22) 측면에 접속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청구범위 제 9 항에 있어서, 한면으로 확장된 공간(22)은 최소한 상부 흡기실(22')과 하부 흡기실(22")로 구분되며, 양 흡기실(22",22')에는 조절이 가능한 공기 조절판(27,28)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청구범위 제 9 항 및 제 1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가벼운 물질의 배출을 위한 집중작업대의 하단은 집중작업대 덮개의 충돌면에서 직접수직의 흡기통로(40)에 통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일면으로 확장된 공간(22)에는 공기 흡입여과 장치가 설치되며, 이 흡입여과 장치는 공기 순환장치내의 공기를 분리기(50)와 먼지 배출장치(51)를 거쳐, 돌 선별기(4)의 흡입면으로 재순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곡물을 여러가지로 분류하여 특히 모래나 돌, 기타 함유물 등과 같은 다른 이물질 등을 가려내고 정제하며, 제품, 즉 곡물의 흐름이 공기력과 진동력의 수단에 의하여 이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물질크기 분류(걸름질)와 적어도 하나의 중량분류(돌 종류와 경량몰류의 분류)를 각기 거치는 식료품과 사료용의 흐르는 곡물을 건식 제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품, 즉 곡물의 흐름이 입자크기의 분류장치(2)에 투입된 후 각 분류장치에서 각기 분류되고 최종적으로 중량물질 선별장치에서 방출될때까지(평면위의 양탄자와 같이 완전히 펴지도록) 협착없이(without necking)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의 건식 제분을 위한 전처리방법.
  14. 청구범위 제 13 항에 있어서, 입자크기 분류장치(2)의 유동방향과 경사방향은 중량물질 선별장치의 유동방향 및 경사방향과 반대가 되도록 선택하는 방법.
KR1019880700910A 1986-12-01 1987-12-01 곡물류의 건식 제분을 위한 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930008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4780/86-9 1986-12-01
CH4780/86A CH672440A5 (ko) 1986-12-01 1986-12-01
PCT/EP1987/000747 WO1988004204A1 (en) 1986-12-01 1987-12-01 Installation and process for the dry-grinding of granular foodstuffs and feedstuff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0408A KR890700408A (ko) 1989-04-24
KR930008288B1 true KR930008288B1 (ko) 1993-08-27

Family

ID=428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910A KR930008288B1 (ko) 1986-12-01 1987-12-01 곡물류의 건식 제분을 위한 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971684A (ko)
EP (1) EP0293426B1 (ko)
JP (1) JPH0651176B2 (ko)
KR (1) KR930008288B1 (ko)
CN (1) CN1009620B (ko)
AT (1) ATE65194T1 (ko)
AU (1) AU8330687A (ko)
CH (1) CH672440A5 (ko)
DE (1) DE3771495D1 (ko)
ES (1) ES2008362A6 (ko)
PL (1) PL156517B1 (ko)
SU (1) SU1641185A3 (ko)
UA (1) UA6002A1 (ko)
WO (1) WO1988004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1811A (en) * 1987-11-27 1994-04-12 Gebruder Buhler Ag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grain material and the sorting out of heavy inclusions from grain material
CZ280323B6 (cs) * 1987-11-27 1995-12-13 Bühler AG Způsob oddělování těžkých přimísenin, zejména kamení, ze zrnitého materiálu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DD288762A5 (de) * 1989-11-06 1991-04-11 �����@������������������k�� Einrichtung zur trennung von koernigem gut
DE4126065C2 (de) * 1991-04-15 1994-09-29 Buehler Ag Verfahren zur Luftführung für das Putzen von Griessen sowie Griessputzmaschine
JPH0734899B2 (ja) * 1993-03-31 1995-04-19 豊田通商株式会社 非鉄材料選別装置
DE4345422C2 (de) * 1993-08-10 2002-09-12 Bueh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euern von Getreide
JP3428609B2 (ja) * 1996-03-29 2003-07-22 株式会社サタケ 粗選石抜装置
US6213308B1 (en) * 1997-03-11 2001-04-10 Recot, Inc. System for debris elimination and item separa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SE9902488D0 (sv) * 1999-06-30 1999-06-30 Franssons Verkstaeder Ab Separationsanordning
US6758342B1 (en) * 2000-04-04 2004-07-06 Harada Sangyo Co., Ltd. Cereal grain sorting system and roll sorting machine
US8436268B1 (en) 2002-08-12 2013-05-07 Ecullet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ype and color sorting of cullet
DE102004054275A1 (de) * 2004-11-09 2006-05-11 Bühler AG Vorrichtung zum Trennen von körnigem Gut
DE102005019998A1 (de) * 2005-04-27 2006-11-02 Bühler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inigung von Getreide
JP4686309B2 (ja) * 2005-09-05 2011-05-25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分粒分級装置
DE102005045591A1 (de) * 2005-09-23 2007-03-29 Polysius Ag Vorrichtung zum Sichten von Aufgabegut
US20090059714A1 (en) * 2007-09-05 2009-03-05 Bepex International, Llc Gravity flow processor for particulate materials
KR100808943B1 (ko) 2007-12-03 2008-03-04 대길산업주식회사 키질을 통한 순환 골재 분리 장치
US8863959B1 (en) * 2008-10-03 2014-10-21 General Kinematics Corporation Vibratory separator
US20100230330A1 (en) * 2009-03-16 2010-09-16 Ecullet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pre-processing of single stream recyclable material for sorting
JP5521382B2 (ja) * 2009-04-22 2014-06-11 井関農機株式会社 穀粒処理機の異物選別除去装置
CN102335654A (zh) * 2010-07-22 2012-02-01 王华业 V形自流振动筛
RU2497605C2 (ru) * 2012-02-07 2013-11-10 Виктор Федорович Веденьев Воздушный сепаратор
CN103316732B (zh) * 2013-06-04 2016-06-22 王铭 一种玉米脱皮制糁机组
CN104492524A (zh) * 2014-11-24 2015-04-08 山东华麟面业有限公司 一种颗粒面粉冷加工系统
CN104554831B (zh) * 2014-12-16 2016-06-01 何建慧 一种谷物进仓自动流水线
EP3421145B1 (en) * 2016-02-26 2021-04-07 TMSA - Tecnologia Em Movimentacao S.A. Grain-cleaning machine
WO2017217951A1 (en) * 2016-06-17 2017-12-21 Akyurek Kardesler Tarim Urunleri Makinalari Tasimacilik Ve Madencilik Sanayi Ticaret Limited Sirketi A screening machine for grain products
CN106179969A (zh) * 2016-07-19 2016-12-07 辽宁科技大学 一种电动垂直摆振式谷物分级装置
CN107890999A (zh) * 2017-10-23 2018-04-10 江苏脒诺甫纳米材料有限公司 风选分离装置
CN108787413A (zh) * 2018-07-12 2018-11-13 兰州集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农业谷物用的烘干筛选装置
EP3785813B1 (de) * 2018-08-20 2024-04-17 Bühler AG Schüttgutreinigungsvorrichtung mit einem hohlen tragrahmen
CN108940875A (zh) * 2018-08-28 2018-12-07 安徽金麦乐面业有限公司 一种小麦粉加工过程中的杂物去除检查筛
CN110269094A (zh) * 2019-06-24 2019-09-24 上海华畅环保设备发展有限公司 粮食谷物干燥及分选方法和装置
CN110449347A (zh) * 2019-08-23 2019-11-15 贵州大学 一种机械式谷物分级与碎米率自动检测装置
CN111185375A (zh) * 2019-11-22 2020-05-22 李子豪 一种稻谷晾晒辅助装置
CN111330838A (zh) * 2020-04-08 2020-06-26 广东锦华泰包装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坚果类休闲食品加工设备
CN112024381A (zh) * 2020-09-01 2020-12-04 颍上县管氏面制品有限公司 一种面粉精加工加工用除杂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26A (en) * 1864-06-07 Improvement in grain-separators
US1548536A (en) * 1925-08-04 Comcent-batob
FR330047A (fr) * 1903-03-07 1903-08-11 Meguerdisch Stepanovitsch Lomo Procédé et appareil pour nettoyer les semoules
US984866A (en) * 1909-05-06 1911-02-21 Earl H Tate Aero ore-concentrator and placer-machine.
CH96318A (fr) * 1921-06-01 1922-10-02 Wiedmer Hans Machine pour nettoyer et trier les graines.
US1667331A (en) * 1927-09-27 1928-04-24 O'toole Edward Cleaning and sizing apparatus
FR711465A (fr) * 1930-05-22 1931-09-10 Appareil pour la séparation pneumatique de matières composées d'éléments de différentes densités
US2040196A (en) * 1933-06-22 1936-05-12 Berrisford William Henry Apparatus for separating sized mixtures of material
US2358293A (en) * 1940-06-20 1944-09-12 Adamson Stephens Mfg Co Coal cleaner
US2332183A (en) * 1941-08-23 1943-10-19 Stump Earl Apparatus for process for separating finely divided intermixed materials
US2449007A (en) * 1944-11-02 1948-09-07 Huntley Mf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peanuts from debris
CH270243A (de) * 1948-04-21 1950-08-31 Buehler Ag Geb Griess- und Dunstputzmaschine.
FR1099906A (fr) * 1949-07-29 1955-09-14 Kalker Trieurfabrik Fabr Tarare
US2722312A (en) * 1950-03-18 1955-11-01 Sutton Steele And Steele Farmer's stock peanut pre-cleaner
CH641976A5 (de) * 1979-01-19 1984-03-30 Buehler Ag Geb Vorrichtung zur trockenen reinigung von getreide.
EP0182831B1 (de) * 1984-05-08 1988-08-17 Bühl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lesen von schwergut, insbesondere steinen o.ä., aus getreide und anderen schüttgü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71684A (en) 1990-11-20
ATE65194T1 (de) 1991-08-15
ES2008362A6 (es) 1989-07-16
CH672440A5 (ko) 1989-11-30
JPH01501531A (ja) 1989-06-01
PL269157A1 (en) 1988-09-01
EP0293426B1 (de) 1991-07-17
DE3771495D1 (de) 1991-08-22
UA6002A1 (uk) 1994-12-29
CN87101243A (zh) 1988-06-22
JPH0651176B2 (ja) 1994-07-06
KR890700408A (ko) 1989-04-24
SU1641185A3 (ru) 1991-04-07
CN1009620B (zh) 1990-09-19
PL156517B1 (pl) 1992-03-31
WO1988004204A1 (en) 1988-06-16
AU8330687A (en) 1988-06-30
EP0293426A1 (de) 198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288B1 (ko) 곡물류의 건식 제분을 위한 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900001435B1 (ko) 곡물에서 돌 또는 모래등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려내는 장치
US4466542A (en) Separating contrivance for cereals
US4806235A (en) Apparatus for cleaning grain products
US7708145B2 (en) Dry separating table, a separator and equipment for the compound dry separation with this table
KR100209104B1 (ko) 곡물 선별 장치
KR940006018B1 (ko) 곡물재료에서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해 내는 방법과 그 장치
CN100387353C (zh) 干法分选床、采用该分选床的复合式干法分选机及分选装置
CN102728552A (zh) 新型重力分选机
US3852168A (en) Stratifier with a pneumatic product recirculation
CN1019644B (zh) 木片选料方法及设备
WO1987006506A1 (en) High density separator
US5301811A (e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grain material and the sorting out of heavy inclusions from grain material
US2513960A (en) Movable deck pneumatic coal cleaner
CN85101078A (zh) 谷物粗粒粉精选设备—清粉机
US2332183A (en) Apparatus for process for separating finely divided intermixed materials
CN2170161Y (zh) 叠置式振动筛
CN217164846U (zh) 一种低含矸率物料梯流分选机
US29995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gregation of particulate material
CN108686948A (zh) 一种振动清理去石组合筛
CN212397289U (zh) 一种振动分选机用振动筛分箱
JP3623716B2 (ja) 選別機
US1941490A (en) Process and mechanism for separating intermixed divided materials
HU20445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grinding preparation granular-like foodstuffs and fodder
PL93598B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