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050B1 - 반도체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050B1
KR900000050B1 KR1019850004220A KR850004220A KR900000050B1 KR 900000050 B1 KR900000050 B1 KR 900000050B1 KR 1019850004220 A KR1019850004220 A KR 1019850004220A KR 850004220 A KR850004220 A KR 850004220A KR 900000050 B1 KR900000050 B1 KR 900000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e amplifiers
bit line
sense amplifier
pair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369A (ko
Inventor
미쯔기 오구라
야스오 이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60005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5Differential amplifiers of latching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기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DRAM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감지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3도는 DRAM 메모리의 구성도.
제4도는 종래 DRAM의 구성도.
제5도는 감지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Li(WL1,WL2,WL3) : 워드선 DWL,
Figure kpo00001
: 더미워드선
BLj(BL1,BL2,BL3) : 비트선
SA1j(SA11,SA12,SA13) : 제1감지 증폭기
SA2j(SA21,SA22,SA23) : 제2감지 증폭기
I/O,
Figure kpo00002
: 입출력선 Q1-Q14, Q41-Q52 : MOS FET
Q15, Q18, Q55, Q56 : 활성화용 MOS FET
Q53, Q54 : 전송게이트용 MOS FET C1-C6, C11-C16 : MOS 캐패시터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지동작시에 최대 전류를 억제하여 신뢰성이 높은 감지동작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반도체 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꿔쓰기가 가능한 여러 종류의 반도체 메모리셀이 실용화 되어 있는바, 이들 반도체 메모리셀중에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1개의 MOS FET(31)와 1개 9의 MOS 캐패시터(32)로 이루어진 메모리셀을 이용한 다이내믹 RAM(DRAM)이 가장 고집적화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셀은 MOS FET(31)이 게이트가 열(列) 어드레스선(이하 워드선이라 칭함 : WL)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행(行)어드레스선(이하 비트선이라 칭함 : BL)에 접속되며, 기억데이터는 전하의 형태도 MOS 캐패시터(32)에 축적되어져 있도록된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메모리셀을 이용하여 DRAM을 구성할 경우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셀 어레이가 구성되는바, 즉 메모리셀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여러개의 워드선(WLi)과 메모리셀이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여러개의 비트선(BLj)이 상호교차하여 배열되게 되고, 또한 이들 각 교차부에는 메모리셀이 접속되며, 워드선(WLi)과 평행하게 한쌍의 더미워드선(DWL,
Figure kpo00003
)이 설치되고, 상기 더미워드선(DWL,
Figure kpo00004
)과 가가 비트선(BLj)의 교차부에는 더미셀의 접속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은 쌍을 이루는 각 비트선(BLj,
Figure kpo00005
)의 한쪽 끝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감지증폭기(SAj)를 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고, 감지증폭기(SAj)는 병렬 접속된 두개의 활성화용 MOS FET(Q55,Q56)을 매개하여 접지되며, 비트선(BLj,
Figure kpo00006
)은 전송 게이트용 MOS FET(Q53,Q54)을 매개하여 입출력선(I/O,
Figure kpo00007
)에 접속되어 있다.
제4도의 DRAM에 제5도와 같은 클럭이 각 부분에 인가되면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즉 먼저 감지증폭기가 설치된 한쌍의 비트선(BLj,
Figure kpo00008
)에 "하이"레벨(예를 들면 Vcc+Vth이상)의 선충전용 클럭(BLP)이 인가됨에 따라 MOS FET(Q43,Q44)가 턴온되어 그 비트선에 선충전 전위(Vcc)가 충전되고, 또한 감지증폭기(SAj)의 노드(node)도 선충전 전위(Vcc)로 충전되며, 동시에 더미셀에 입력되는 클럭(DCP)이 "하이"레벨(예를 들면 Vcc)이 됨에 따라 MOS FET(Q50,Q52)가 턴온되어 모든 더미셀의 노드에 "로우"레벨(예를 들면 Vss)이 기록된다. 여기서 더미셀의 MOS 캐패시터(C15,C16…)의 용량은 메모리셀의 MOS캐패시터(C11,C12…)용량의 1/2크기로 한다.
다음에 비트선을 선충전시키는 클럭(BLP)과 더미셀에 "로우"레벨을 기록하는 클럭(DCP)을 함께 "로우"레벨로 내리고 비트선을 플로팅(floating)으로 한다. 이후 활성동작에 들어가 하나의 워드선, 예를 들면 WL1가 "하이"레벨(Vcc+Vth이상)이 되고, 더미워드선(
Figure kpo00009
)이 "하이"레벨이 됨에 따라 MOS FET(Q45,Q51)가 턴온되며, 비트선(
Figure kpo00010
)에는 MOS 캐패시터(C16)의 정보가, 또 BL1에는 MOS 캐패시터(C11)의 정보가 각각 나타나고, 한쌍의 비트선(BL1)(
Figure kpo00011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는 바, 상기 전위차는 감지증폭기(SA1)에 입력되고, 감지증폭기(SA1)는 2단계로 나뉘어져 활성화된다. 우선 상호콘덕턴스가 적은 활성화용 MOS FET(Q55)의 내부 클럭 PSEN을 "하이"레벨로 함에 따라 활성화용 MOS FET(Q55)가 구동되어 노드(N)의 레벨을 낮춤에 따라 평행이 깨진 비트선(BL1,
Figure kpo00012
)사이에 전위차의 증폭을 개시한다. 비트선(BL1,
Figure kpo00013
)사이에서 어느 정도 전위차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호콘덕턴스가 큰 활성용 MOS FET(Q56)의 내부클럭 MSEN을 "하이"레벨로 함에 따라 구동되고, BL1,
Figure kpo00014
중에서 "하이"레벨측은 Vcc가까이에 유지되고 "로우"레벨측은 Vss로 떨어진다. 비트선의 "하이"레벨측은 감지동작중에 약간 "하이"레벨측의 MOS FET가 턴온하는 것과 상기 MOS FET의 게이트가 용량성 결합에 의해 내려가는 것등의 이유때문에 완전히 Vcc에는 유지되지 않고 1V정도레벨이 저하된다. 상기 "하이"레벨의 저하는 메모리셀의 기록에 충분한 기록이 행해지지 않는 원인이 되고, 이 때문에 통산 액티브 풀-업(active pull-up)회로 등을 붙여서 "H"레벨측의 전위를 확실하게 Vcc로 되돌리는 것을 행하고 나서 다시 기록을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비트선(BL1), (
Figure kpo00015
)의 한쪽은 Vcc, 다른 한쪽은 Vss가 되어 래치(latch)된다.
상기 감지증폭기구동은 클럭 PSEN에 의해 선충전을 행하고, 클럭 MSEN에 의해 주감지를 행하는 이른바 멀티 그라운드 (multi qrounded)방식으로서 알려져 있다. 클릭 MSEN이 "하이"레벨이 되면 1개의 선택된 워드선에 접속된 모든 메모리셀의 트랜스퍼게이트(MOS FET)가 온 되고, 모든 감지증폭기(SAj)가 동시에 동작하여 비트선(BLj,BLj)의 전위차를 증폭한다. 통상의 DRAM에서는 1,000개 이상의 감지증폭기가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감지증폭기 중에서 한쌍의 비트선이 행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된 행선택신호(CSLj)에 의해서 선택되며 나머지 비트선쌍은 선택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행선택신호(CSL1)가 선택됨에 따라 비트선쌍 BL1,
Figure kpo00016
의 정보만이 전송 게이트 MOS FET(Q53,Q54)를 매개하여 입출력 I/O,
Figure kpo00017
에 전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감지방식에서는 동시에 모든 감지증폭기가 구동되기 때문에 모든 감지증폭기에 연결되는 비트선의 방전이 동시에 행하여지며, 방전이 단시간에 행하여지면 최대전류가 증가하고, 접지선전위(Uss)의 상승을 유발시키게 되며, 이것이 잡음으로서 주변회로의 동작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물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지증폭기의 동작에 따르는 최대전류를 제어하고, 전원선변동에 의한 잡음을 감소시켜 주변회로의 동작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한쌍의 비트선에 대하여 두개의 제1, 제2감지증폭기를 설치하되, 제1의 감지증폭기는 선충전용 클럭에 의해 선택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것만이 활성화 되도록한 신뢰성이 높은 반드체 기억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메모리셀 어레이 부분의 구성은 종래와 같고, 종래의 다른점은 비트선쌍(BLj,
Figure kpo00018
)마다 제1의 감지증폭기(SA1j), 제2의 감지증폭기(SA2j)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며, 제1의 감지증폭기(SA1j)에는 선 감지용 클럭 PSEN으로 구동되는 하나의 활성화용 MOS FET(Q18)가 공통으로 접속되고, 제2의 감지증폭기(SA2j)에는 각각 주감지용클릭(MSEMj)에 의해 구동되는 활성화용 MOS FET(Q15)가 접속되어 있다. 주 감지용의 제2감지증폭기(SA2j)측의 활성화용 MOS FET(Q18)의 콘덕턴스보다 큰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DRAM의 감지동작을 제2도의 신호파형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충전용 클럭(BLP)이 "하이"레벨이 됨에 따라 비트선 전체에 Vcc가 선충전되고, 이와 동시에 클릭 DCP가 "하이"레벨이 됨에 따라 각 더미셀에 "로우"레벨이 기록되고, 클릭 BLP, DCP는 액티브동작에 들어가기 전에 "L"레벨로 해둔다. 그리고 활성동작에 드러가 하나의 워드선 예를 들면 WL1이 선택되며, WL1에 연결되는 메모리셀의 정보가 비트선으로 전송된다.
여기까지는 종래의 동작과 일치한다.
그후 선충전용 클럭 PSEN이 "하이"레벨이 되고, 활성화용 MOS FET(Q18)가 온 되어 노드(N)의 전위가 서서히 내려가 각 비트선쌍(BLj,
Figure kpo00019
)에 나타난 전위의 불평형이 제1의 감지증폭기(SA1j)에 의해 증폭된다.
상기 제1의 감지증폭기(SA1j)의 동작은 MOS FET(Q18)의 상호 콘덕턴스가 적기 때문에 비교적 천천히 동작한다.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 감지에 의해 비트선쌍(BLj,
Figure kpo00020
)이 "로우"레벨측이 저하하지만 "하이"레벨은 거의 저하하는 일없이 유지된다.
그리고 비트선쌍(BLj,BLj)의 전위치가 어느정도 발생한 곳에서 선택된 비트선쌍 예를 들면 BL1, BL1에 관해서만 주감지용 클럭 MSEN1이 "하이"레벨이 되며, 각 비트선 쌍에 설치된 제2의 감지증폭기 중에서 SA21만이 활성화된다.
그리고 하나의 행 선택신호(CSL1)가 "하이"레벨이 되며, MOS FET(Q16,Q17)를 매개하여 선택된 비트선(BL1,
Figure kpo00021
)의 데이터 입출력선 I/O,
Figure kpo00022
에 전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여 각 비트선 쌍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의 감지증폭기 중에서 제1의 감지증폭기는 모두 동시에 구동하여 선감지를 행하고, 제2의 감지증폭기가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주감지용 행한다.
따라서 감지동작시의 최대 전류치가 억제되어 최대 전류에 의한 전원선 전위(Vss)의 상승에 기인하는 주변회로의 오동작이 방지되므로 DRAM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시켜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선택의 비트선에 관해서는 선감지용의 제1감지증폭기만을 동작시키기 때문에 감지동작시의 최대 전류를 억제하여 전원선의 전위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주변회로가 안전된 동작이 가능하게 되며, 신뢰성이 높은 DRAM을 얻을 수 있다.
또 비선택의 비트선 쌍은 선감지용의 제1감지증폭기 만으로 서서히 방전시키기 때문에 비트선쌍의 "하이"레벨측의 레벨저하가 종래보다 낮게 억제되므로, 비트선의 "하이"레벨의 저항를 복귀시키는 회로로서 액티브풀업(ac-tive pull-up)회로와 같은 복잡한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용량성 결합만으로 비트선의 풀-업을 행하도록 하여 회로를 간단히 할 수 있다.

Claims (2)

  1. 반도체기관에 매트릭스 배열된 여러개의 메모리셀과, 상기 메모리셀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여러개의 워드선, (WL1,WL2…)각 메모리셀과의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여러개의 비트선(BL1,
    Figure kpo00023
    ,BL2,
    Figure kpo00024
    …)과 각 쌍의 전위차를 검지하는 여러개의 감지증폭기 등을 집적시켜서 이루어지는 반도체 기억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증폭기로서 각 비트선 쌍마다 제1, 제2두개의 감지증폭기(SA11…, SA1j ; SA21, SA2j)를 설치하되, 상기 제1의 감지증폭기(SA11,…,SA1j)는 여러개가 동시에 활성화되며, 제2의 감지증폭기(SA21,…SA2j)는 선택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것만 활성화 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제1의 감지증폭기(SA11,…,SA1j)는 선감지용으로 상호콘덕턴스가 작은 활성화용 트랜지스터(Q18)에 의해 모두 동시에 활성화되는 것이며, 제2의 감지증폭기(SA21,…,SA2j)는 주감지용으로서 감지증폭기마다 설치된 상호콘덕턴스가 큰 활성화용 트랜지스터(Q15)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KR1019850004220A 1984-12-13 1985-06-14 반도체 기억장치 KR900000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63301A JPS61142591A (ja) 1984-12-13 1984-12-13 半導体記憶装置
JP59-263301 1984-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69A KR860005369A (ko) 1986-07-21
KR900000050B1 true KR900000050B1 (ko) 1990-01-18

Family

ID=1738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220A KR900000050B1 (ko) 1984-12-13 1985-06-14 반도체 기억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48596A (ko)
EP (1) EP0185451B1 (ko)
JP (1) JPS61142591A (ko)
KR (1) KR900000050B1 (ko)
DE (1) DE358759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7952A (en) * 1984-12-17 1996-12-24 Hitachi, Ltd.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including read preamplifiers activated before rewrite amplifiers
US5132930A (en) * 1986-07-31 1992-07-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MOS dynamic memory device having multiple flip-flop circuits selectively coupled to form sense amplifiers specific to neighboring data bit lines
FR2603414B1 (fr) * 1986-08-29 1988-10-28 Bull Sa Amplificateur de lecture
US5214601A (en) * 1986-12-11 1993-05-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Bit line structure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cross-points and multiple interconnect layers
JPH0713851B2 (ja) * 1987-03-24 1995-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4807195A (en) * 1987-05-18 1989-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ual sense amplifier with divided bit line isolation
JPH01133286A (ja) * 1987-11-17 1989-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ダイナミツクram
JPH01130392A (ja) * 1987-11-17 1989-05-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ダイナミック型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装置
JPH0758592B2 (ja) * 1987-11-30 1995-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
JP2666943B2 (ja) * 1988-01-27 1997-10-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KR910002203B1 (ko) * 1988-03-17 1991-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모리 소자의 센싱 검출 회로
US5293338A (en) * 1990-02-22 1994-03-08 Sharp Kabushiki Kaisha Peripheral circuit in a dynam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nabling a time-saving and energy-saving data readout
JP3101298B2 (ja) * 1990-03-30 2000-10-2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メモリ装置
JP2611504B2 (ja) * 1990-06-15 1997-05-2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
US5226014A (en) * 1990-12-24 1993-07-06 Ncr Corporation Low power pseudo-static ROM
US5475642A (en) * 1992-06-23 1995-12-12 Taylor; David L.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with bit line preamp/driver
US5325336A (en) * 1992-09-10 1994-06-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ower line arranged in a meshed shape
JPH09251782A (ja) * 1996-03-14 1997-09-22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US6677199B1 (en) * 2002-07-02 2004-01-1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tructure for preventing salicide bridging and method thereof
US6826094B1 (en) * 2003-06-02 2004-11-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gnetic memory cell sensing with first and second currents
US7257042B2 (en) * 2006-01-12 2007-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sensing in a hierarchical memory architectur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6772A (en) * 1973-07-30 1977-09-21 Indep Broadcasting Authority Television systems
US4039861A (en) * 1976-02-09 1977-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oss-coupled charge transfer sense amplifier circuits
JPS5938670B2 (ja) * 1976-10-15 1984-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差信号増巾回路
JPS6041463B2 (ja) * 1976-11-19 1985-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イナミツク記憶装置
US4286178A (en) * 1978-06-12 1981-08-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nse amplifier with dual parallel driver transistors in MOS random access memory
US4298867A (en) * 1979-07-06 1981-11-03 System Concepts, Inc. Cathode ray tube character smoother
US4331955A (en) * 1980-08-07 1982-05-25 Eltr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moothing outlines
JPS5748207A (en) * 1980-09-05 1982-03-19 Toshiba Corp Superconductive electromagnet
SE423758B (sv) * 1980-09-29 1982-05-24 Asea Ab Styrenhet for ett presentationsorgan
US4386349A (en) * 1981-04-28 1983-05-31 Sperry Corporation High resolution graphics smoothing
JPS57186289A (en) * 1981-05-13 1982-11-16 Hitachi Ltd Semiconductor memory
US4506351A (en) * 1982-06-23 1985-03-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e-device random access memory having enhanced sense signal
JPS5912485A (ja) * 1982-07-13 1984-01-23 神鋼電機株式会社 文字の拡大補間方法
US4551641A (en) * 1983-11-23 1985-11-05 Motorola, Inc. Sense amplifier
JPS61500573A (ja) * 1983-12-02 1986-03-27 アメリカン テレフオン アンド テレグラフ カムパニ− 半導体メモ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85451A2 (en) 1986-06-25
DE3587592T2 (de) 1994-02-03
JPH0587915B2 (ko) 1993-12-20
EP0185451B1 (en) 1993-09-22
DE3587592D1 (de) 1993-10-28
JPS61142591A (ja) 1986-06-30
US4748596A (en) 1988-05-31
KR860005369A (ko) 1986-07-21
EP0185451A3 (en) 198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050B1 (ko) 반도체 기억장치
KR0177776B1 (ko) 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센싱회로
US7209399B2 (en)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bitlines of integrated circuit memory using improved precharge scheme and sense-amplification scheme
US5220527A (en) Dynamic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616510B2 (en) Dynamic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502200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ading operation of information by differential amplification
JPH05166365A (ja) ダイナミ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
EP0490363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directly reading the potential of bit lines
WO2000021092A1 (en) Semiconductor device
JP3302734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532334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ad/write circuitry
KR100546417B1 (ko) 프리차지 및 감지 증폭 스킴을 개선한 집적회로 메모리장치의 비트라인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US5227697A (en) Dynamic type semiconductor memory
US6434072B2 (en) Row decoded biasing of sense amplifier for improved one's margin
US5666306A (en) Multiplication of storage capacitance in memory cells by using the Miller effect
US6198681B1 (en) Sense amplifier for low voltage memory arrays
US5612919A (en) Method of testing an operation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ich can be subjected to such an operation test
US7336518B2 (en) Layout for equalizer and data line sense amplifier employed in a high speed memory device
US5995410A (en) Multiplication of storage capacitance in memory cells by using the Miller effect
US20060087896A1 (en) Semiconductor memory
KR920001331B1 (ko) 반도체기억장치
JP2876799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070056139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시 주기 증가
JPS62195787A (ja) 半導体記憶装置
JPS6258492A (ja) 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