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507A -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507A
KR890006507A KR1019880013509A KR880013509A KR890006507A KR 890006507 A KR890006507 A KR 890006507A KR 1019880013509 A KR1019880013509 A KR 1019880013509A KR 880013509 A KR880013509 A KR 880013509A KR 890006507 A KR890006507 A KR 890006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remote controller
control
call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012B1 (ko
Inventor
레이 윌리암 블라인 제프
딘커레이 샤 데니스
진첸
Original Assignee
엠. 피. 린치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피. 린치,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엠. 피. 린치
Publication of KR890006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33For elevator systems with a single shaft and multipl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66B1/343Fault-tolerant or redundant control system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견인구동장치 또는 유압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2쌍의 카(2-car-pair)내에 장착된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하며, 본원 발명에 따라 작동하는 복수의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블록다이아그램.
제2도는 제1도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에 장착된 한쌍의 마이크로 컴퓨터회로의 블록다이아그램.
제4도는 제2도의 마이크로 컴퓨터 회로의 각 EPROM 내로 프로그램되고, 카 호출장치를 따라 서비스 홀 호출(hall calls)의 플로우어 제어장치(FC) 마스터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반복 시퀀스로 작동하는 시퀀싱 루틴을 구비한 프로그램 모듈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 펜트하우스 (pent HOUSE)
22a/b : 구동장치 24a/b : 카 제어기
16 : 기계실 80a,80b,80c,80d : 마이크로 컴퓨터
82a,82b : 제2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 86a,86b : 제1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
116L : 푸시버튼 286 : CPU

Claims (10)

  1. 연속적으로 덜 통제받는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건물의 각 계층(0,1,...7)에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카가로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86a,86b)상에서 통신하는 그 카호출 신호를 각 카에 배치된 전자회로(83a)로부터 분리 이동케이블(84a,84b)을 통해 원격제어기(80a,80b)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는 각 카와 별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퓨터회로(제2도의 246 또는 246′)를 포함하며, 또한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상의 코리도어 신호정보를 각 계층에 근접 분포된 한조의 계층 제어회로(108a/b,110a/b,120a/b)에서 종료하는 승강기 케이블(82L 또는82R)을 통해 통신하도록 하여,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제1도의 12a,12b 또는 C,D)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퓨터회로를 가진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로 하여금 관련 카 이동위치 및 타이밍을 기초로 하여 보다 나은 카를 상기 케이블 승강기에 따라 각 계층에서 가입된 홀호출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시키기 위한 계층 제어방식(FC)과 상호작동하는 점증적 실패 제어모드(제4도(0,1,2,3)를 수행하는 단계(제2도,제3도)와,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로 하여금 홀 호출 방식에서의 응답과 동시에 각 계층에 대한 카호출 서비스와는 별도로 카 응답을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로 하여금 그 동작 능률 및 통신신호 보전성을 반복적으로 검사하도록 하는 단계(제4도의 41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원격제어기의 우선순위 동작에 고장이 있을 경우 상기 계층 제어방식에 대한 적어도 제한된 실패 제한모드(424)를 수행(416)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용 컴퓨터회로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코리도어 신호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단계는 기입된 홀 호출에 응답하는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기 위한 검사단계에 의하여 판단되는 경우 승강기 케이블 또는 가시적인 회로망에 대한 홀웨이 직렬 링크를 통해 직렬 신호 전송 포맷으로 양방향 통신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는 두쌍의 카(A 및 B나 혹은 C 및 D) 작동시스템이고, 관련된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용 컴퓨터회로를 갖는 상기 각각의 카는 원격제어기가 상기 반복된 검사단계에 의해 선택된 후 상기 두쌍의 카에 대한 홀 호출 응답에 해당하는 계층제어(FC) 마스터 방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제어기는 보다 나은 카를 상기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 호출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시킴으로써 계층제어 방식을 수행하고, 아울러 그 카호출과는 별개의 카 응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는 두쌍의 카 세트(A와 B, C와 D)를 포함하는 작동시스템이며, 그 각 세트의 카는 원격제어기가 상기 반복된 체크 단계에 의해 선택된 후(316) 상기 두쌍의 카 작동 시스템에 대한 홀 호출 응답에 대응하는 연장된 뱅크 제어(BC) 마스터 방식(제3도(310)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용 컴퓨터회로(80a,80b,80c,80d)와 관련되고, 상기 선택된 제어기는 BC 마스터(324)로 되어, 가장 나은 카를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 호출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함과 아울러 관련된 카로부터의 카 호출과는 별개의 카 응답을 제어함으로써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는 단계(5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는 두쌍의 카 세트(A와 B, C와 D)를 포함하는 작동 시스템이며 각 세트내의 각각의 카는 원격제어기가 각 두쌍의 각조에 각각의 FC 마스터를 제공하도록 각각의 두쌍의 카조내에서 상기 검사단에게 의하여 선택된 후에 상기 복수의 두카쌍 작동 시스템에 대한 홀 호출 응답에 해당하는 연장된 계층제어(FC) 마스터 방식 및 연장된 뱅크제어(BC) 마스터 방식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용 컴퓨터회로(80a,80b,80c,80d)와 관련되고, 다수 카통신이 하나의 FC 마스터와 다른 두카쌍 사이에서 작동하는지의 여부와, 각각의 두카쌍의 원격제어기 사이의 제3로컬 영역회로망 상에서 비작동 되는지를 계속적으로 검사하고(제4도,412) 남아있는 두카쌍의 FC 마스터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 남아있는 마스터 BC 마스터 방식을 할당함으로써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422)를 포함하므로써, FC 마스터 할당은 다수의 카 통신이 가시적인 경우에 연관된 카로부터 개개의 카콜에 응답하는 것을 제어함과 동시에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도록 남아있는 두카쌍의 다른 원격제어기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연속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건물(15b,15c)의 각 계층(0,1,...7)에 제공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제1도의 12a,12b 또는 C,D)를 제어하기 위하여, 카호출 신호를 통신하며, 이동케이블(84a,84b)상의 원격제어기(80a,80b)에 접속된 각각의 카에 배치된 전자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기는 각각의 카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용 컴퓨터회로(제2도의 246,246')를 포함하도록 한 제1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86a,86b)와; 각각의 계층에 근접분포된 계층 제어회로(108a/b,110a/b,120a/b)에서 종 원격제어기에 대한 제2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82a,82b)를 구비한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용 컴퓨터회로(제2도, 제3도)를 가진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는 관련 카 이동위치 및 타이밍을 기초로하여 보다 나은 카를 상기 케이블 승강기에 따른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 호출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시키도록 계층 제어방식(FC)과 상호 활동적으로 점진적 실패 제어모드(제4도(0,1,2,3))을 수행하게 하고,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는 홀 호출에 응답하기 위한 방식에서의 응답과 동시에 각 계층에서 기입된 카 호출에 대한 서비스와는 별도의 카 응답을 제어하며, 상기 각 원격제어기의 컴퓨터회로는 원격제어기의 우선순위 동작에 고장이 있는 경우 계층 제어방식에 대한 적어도 제한된(424) 실패 제어모드를 수행(416)할 수 있도록 즉시 행할 수 있도록 제어 시스템내의 동작 효율 및 통신 신호 보전성(422)를 반복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수단(제4도의 112)을 포함되게 함으로써, 제1항의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카 제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카는 카 호출 기입 및 카 이동 트랜지션에 관한 정보를 그 각각의 이동케이블을 통해 직렬 신호 전송 포맷으로 양방향 통신함으로써 수행되는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를 따라 각각의 원격제어기와 직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는 두쌍의 카(A 및 B, C 및 D)를 포함하는 작동 시스템이며, 그 조내의 각 카는 원격제어기가 그 동작 능력을 반복적으로 검사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선택된 후(316)에 상기 두쌍의 작동 시스템에 대한 홀 호출 응답에 대응하는 뱅크제어(BC) 마스터 방식(제3도의 310)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용 컴퓨터회로(80a,80b,80c,80d)와 연결되는데, 상기 선택된 제어기는 (BC) 마스터(324)로 되어 가장 나은 카를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 호출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부여함과 아울러 카 호출과는 별도의 카 응답을 관련된 카로부터 제어함으로써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용 컴퓨터회로는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코리도어 신호정보를 직렬 통신하게 되며, 아울러 기입된 홀 호출에 응답하는 계층 제어(FC) 방식을 수행하기 위한 검사수단에 의하여 판단됨에 따라 승강기 케이블이나 혹은 홀웨이 직렬 링크를 통해 직렬 신호 전송 포맷이나 양방향 통신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또는 두쌍의 카(A 및 B 혹은 C 및 D) 작동시스템이며, 관련된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용 컴퓨터회로는 원격제어기가 그 동작 효율을 반복적으로 검사하는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두쌍의 카에 대한 홀 호출 응답에 대응하는 연장된 계층 제어(FC) 마스터방식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제어기는 보다 나은 카를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 호출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함과 아울러 상기 카 호출 신호와는 별개의 카 응답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13509A 1987-10-16 1988-10-15 엘리베이터 카 제어방법 및 장치 KR970000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639 1980-01-04
US07/109,639 US4765442A (en) 1987-10-16 1987-10-16 Elevator system graceful degradation of bank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507A true KR890006507A (ko) 1989-06-14
KR970000012B1 KR970000012B1 (ko) 1997-01-04

Family

ID=2232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509A KR970000012B1 (ko) 1987-10-16 1988-10-15 엘리베이터 카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65442A (ko)
KR (1) KR970000012B1 (ko)
BR (1) BR8805349A (ko)
CA (1) CA127704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231B2 (ja) * 1988-08-05 1995-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群管理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US5360952A (en) * 1993-06-01 1994-11-01 Otis Elevator Company Local area network eleveator communications network
US5387769A (en) * 1993-06-01 1995-02-07 Otis Elevator Company Local area network between an elevator system building controller, group controller and car controller, using redundant communication links
US6520295B1 (en) * 2000-05-16 2003-02-18 Otis Elevator Company Piston-type passenger conveying system
US8177031B2 (en) * 2005-11-16 2012-05-15 Otis Elevator Company Commissioning of elevator hallway fixtures in a destination entry group elevator system
CN103003181B (zh) * 2010-07-27 2016-01-06 奥的斯电梯公司 装置器装置控制
US8278779B2 (en) 2011-02-07 2012-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dundant power to a device
CN107074483B (zh) * 2014-10-01 2020-10-13 通力股份公司 电梯布置、方法以及计算机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9183A (en) * 1980-01-07 1981-08-10 Hitachi Ltd Method of controlling elevator
US4509143A (en) * 1980-01-14 1985-04-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mputer control system for selecting a desired control program from a plurality of control programs
US4397377A (en) * 1981-07-23 1983-08-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4473133A (en) * 1982-12-06 1984-09-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628982A (ja) * 1985-07-08 1987-0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012B1 (ko) 1997-01-04
US4765442A (en) 1988-08-23
BR8805349A (pt) 1989-06-13
CA1277048C (en) 199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42189A (ko) 엘리베이터의 분산 군관리제어 방법
KR890006508A (ko) 엘리베이터카 제어방법 및 장치
FI72946B (fi) Automatisk inlaerning av hiss.
JPH11116155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KR890006507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CN1040180A (zh) 电梯的信号传送装置
CN1068561C (zh) 电梯的等候时间显示装置
KR8900065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5285028A (en) Group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ors for assignment of coincident calls
JPS623077B2 (ko)
JP2735318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JPH0455272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001206657A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JP2798923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KR920007367B1 (ko) 그루프(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CN1199015A (zh) 轿厢信息指示装置
KR900002782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JP7361873B1 (ja) エレベータ遠隔点検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遠隔点検方法
JP7414938B1 (ja) エレベータ遠隔点検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遠隔点検方法
JPH0326095A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方法
JP4765230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H05294567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20040052419A (ko) Can 통신방식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 및 그can 통신방법
CN1112899A (zh) 电梯呼唤信息传送用的方法和装置
JPH0192181A (ja) エレベータの待乗客数予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