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506A -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506A
KR890006506A KR1019880013508A KR880013508A KR890006506A KR 890006506 A KR890006506 A KR 890006506A KR 1019880013508 A KR1019880013508 A KR 1019880013508A KR 880013508 A KR880013508 A KR 880013508A KR 890006506 A KR890006506 A KR 89000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master
remote controller
call
p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011B1 (ko
Inventor
윌리암 블라인 제프레이
진첸
Original Assignee
지. 에이치. 텔퍼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 에이치. 텔퍼,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지. 에이치. 텔퍼
Publication of KR89000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견인구동장치 또는 유압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2쌍의 카(2-car-pair)내에 장착된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하며; 본원 발명에 따라 작동하는 복수의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블록다이아그램.
제2도는 제1도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에 장착된 한쌍의 마이크로컴퓨터회로의 블록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 펜트하우스 (penthouse)
22a/b : 구동장치 24a/b : 카 제어기
26 : 기계실 80a,80b,80c,80d : 마이크로컴퓨터
82a,82b : 제 2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
86a,86b : 제 1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
116L : 푸시버튼 286 : CPU

Claims (17)

  1. 연속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건물(16b,16c)의 각 계층(0,1,...7)에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카가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86a,86b)상에서 통신하는 그 카호출 신호를 각 카에 배치된 전자회로(83a)로부터 분리이동 케이블(84a,84b)을 통해 원격제어기(80a,80b)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는 각 카와 별개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컴퓨터회로(제2도의 246 또는 246')를 포함하며 또한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상의 코리도어 신호정보를 각 계층에 근접 분포된 한 조의 계층 제어회로(108a/b,110a/b,120a/b)에서 종료하는 승강기 케이블(82L 또는82R)을 통해 통신하도록 하여,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제1도의 12a,12b 또는 A,B,C,D)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류터 회로를 가진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로 하여금 관련 카 이동위치 및 타이밍을 기초로 하여 보다 나은 카를 상기 케이블 승강기에 따라 각 계층에서 입된 홀호출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시키기 위한 계층 제어방식(FCMHSL)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단계(제4도의 140)와,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로 하여금 홀호출 방식에서의 응답과 동시에 각 계층에 대한 카호출 서비스와는 별도로 카응답을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로 하여금 그 동작능률 및 통신신호 보전성(422)을 반복적으로 검사하도록 하는 단계(제4도의 41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원격제어기의 우선순위동작에 고장이 있을 경우 상기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카로 하여금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그 각각의 원격제어기와 통신하도록 하는 상기 단계는 카호출기입 및 응답 카 이동 트랜지션에 관한 정보를 그 각각의 이동케이블을 통해 직렬신호 전송포맷으로 양방향성 통신을 행함으로써 수행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컴퓨터회로가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코리도어 신호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단계는 기입된 홀호출에 응답하는 계층 제어방식을 수횅하도록 선택되는 경우 승강기 케이블 또는 직렬링크를 통해 직렬신호 전송포맷으로 양방향성 통신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는 두쌍의 카(A 및 B나 혹은 C 및 D) 작동시스템이고, 관련된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컴퓨터회로를 갖는 상기 각각의 카는 원격제어기가 상기 반복된 검사단계(422)에 의해 선택된 후 상기 두쌍의 카에 대한 홀호출 응답에 해당하는 계층 제어(FC) 마스터방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제어기는 FC 마스터로 되어, 보다 나은 카를 상기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호출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시킴과 아울러 그 카호출과는 별개의 카응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된 체크단계에 의해 FC 마스터를 선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카 관련 원격제어기가 계층 제어방식을 두쌍의 카에 대한 FC 마스터로서 수행하는 능력은 동시에 신호하는 단계(414-Y)를 행하는 경우 하부층의 카 어드레스를 갖는 원격제어기로서 상기 계층 제어방식의 수행단계를 제한하는 단계 (416-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된 검사단계에 의해 FC 마스터를 선택하는 상기 단계는 시스템의 시동시 각각의 카 관련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카운트 타이머를 세팅하는 단계(제3도의 314단계와 유사함)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세팅단계는 각각의 카 위치 어드레스에 적절히 대응하며, 상기 검사단계는 검사중인 원격제어기가 현재 FC 마스터(412)로서 작동하지 않으며 또한 두상의 카 세트에 대한 FC 마스터(430-N)와 통신할 수 없다는 것을 상기 각각의 검사단계에서 결정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카운팅 아웃시키는 단계(제4도의 428)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카운팅 아웃단계는 카운터 타이머가 종료되는 단계(430-Y)를 가질때까지 FC 마스터 통신하지 않는 단계(422-N)를 확인하는 추가의 검사단계 동안 계속하는 단계(430-N)를 포함하며, 그후 상기 카운트 타이머가 상기 계층 제어방식을 두쌍의 직렬링크에 대한 FC 마스터로서 수행하는 초기 종료단계(432-N)를 갖도록 한 계층 제어기를 작동시키는 단계(4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단계의 결정에 의해 허용되는 카운팅 아웃을 개시하는 타이머의 인에이블링 이후와 그리고 상기 검사단계의 카운팅 아웃의 종료 이전에, 상기 체크중인 원격제어기가 FC 마스터와 통신할 수 없음을 반복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422-N)가 아니거나 혹은 상기 홀웨이 링크가 신호작동을 개시하도록 검사되지 않음을 반복적으로 결정하는 단계(424-N)가 아닌한은 상기 검사단계를 디스에이블하는 단계(423)로 되게 하는데, 상기 검사단계는 홀웨이 링크의 검사를 디스에이블링 하고 아울러 상기 카운트 타이머의 카운팅 아웃을 디스에이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카는 두쌍의 카세트(A와 B,C와 D)를 포함하는 작동시스템이며,그 각 세트의 카는 원격제어기가 상기 반복된 체크단계에 의해 선택된 후 상기 두쌍의 카 작동시스템에 대한 홀호출 응답에 대응하는 뱅크제어(BC) 마스터 방식을 수행할 수 있는 단계(제3도의 310: 제5도의 510)를 갖는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컴퓨터회로와 관련되고, 상기 선택된 제어기는 BC 마스터(제5도의 532)로 되어, 가장 나은 카를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호출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함과 아울러 관련된 카로부터의 카호출과는 별개의 카응답을 제어함으로써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는 단계(5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반복된 검사단계에 의해 BC 마스터를 선택하는 상기 단계는 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원격제어기가 계층 제어방식을 두쌍의 카세트에 대한 BC마스터로서 수행하도록 그 효율성을 동시에 신호하는 단계(514-Y)를 행하고 있는 경우 최하부 카 위치어드레스를 갖는 원격제어기로 계층 제어방식의 수행단계를 제한하는 단계(제5도의 5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된 검사단계에 의해 BC 마스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시스템의 시동시 각각의 카 관련 마이크로스로세서내의 카운트 타이머를 세팅하는 단계(제3도의 134)를 포함하는데, 상기 타이머 세팅은 각 카의 카 위치어드레스에 정비례하는 크기로 스태그되고, 상기 체크단계는 검사중인 원격제어기가 각각의 검사단계에서 현재 BC 마스터 단계(512-N)를 행하고 있지 않다는 것과 그리고 두쌍의 카 세트에 대한 BC 마스터와 통신할 수 없다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타이머의 카운팅 아웃을 개시하도록 인에이블링 하는 단계(제5도의 528)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카운팅 아웃 단계는 카운트 타이머가 만료단계(530-Y)로 될 때까지 BC 마스터와 통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는 추가의 검사단계 동안은 중단없이 계속하는 단계(530-N)를 행하고, 그후 계층 제어기의 카운트 타이머가 계층 제어방식을 두쌍의 카 뱅크에 대한 각각의 승강기 케이블이나 혹은 각각의 홀웨이 직렬링크의 BC 마스터로서 수행하도록 초기 만료되는 계층 제어기를 작동시키는 단계(532)를 행하며, 엘리베이터 카 뱅크에 대한 슈퍼바이저 제어방식을 수행하기 위한 제3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 링크상의 다른 원격제어기에 신호하는 단계(534)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검사단계의 결정에 의해 허용되는 바와 같은 카운팅 아웃을 개시하도록 타이머를 인에이블링한 이후와 그리고 제3네트워크 링크상에 신호를 보내는 카운트 타이머의 카운팅 아웃을 만료시키기 이전에, 원격제어기가 제3네트워크 링크상의 통신을 검사 또는 재검사하는 단계동안 동시에 동작하는 BC 마스터와 통신할 수 없음을 상기 검사단계에서 반복적으로 결정하는 단계(522-N)를 행하지 않는 한은 다른 원격제어기의 타이머를 디스에이블링하는 단계(5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는 두쌍의 카세트(A 및 B,C 및 D)를 포함하는 작동시스템이며 각 세트내의 각각의 카는 상기 두쌍의 작동시스템에 대한 홀호출 응답에 대응하는 계층 제어(FC) 마스터방식(제4도의 410) 및 뱅크제어(BC) 마스터방식 (제3도의 310: 제5도의 510)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인 마이크로프로세서(80a,80b,80c,80d) 이용컴퓨터회로와 연결되는데, 원격제어기가 두쌍의 각 카세트내에 FC 마스터를 제공하도록 두쌍의 각 카세트내에서의 상기 반복된 검사단계(제4도의 412)에 의해 선택된 후에, 두쌍의 카의 FC 마스터 사이에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를 연속적으로 검사하는 단계(422)와 그리고 두쌍의 카에 대한 제3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상의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단계(422-N)르 수행하고, 나머지 두쌍의 카의 FC 마스터가 동작함에 따라 BC 마스터방식을 상기 나머지 FC 마스터에 할당시키는 단계(532)를 행하는 경우를 검사하는 단계(제5도의 512)를 수행함으로써, FC 마스터들이 가장 나은 카를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호출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시키도록 동작시킴과 동시에 카호출과는 별도의 카응답을 관련된 카로부터 제어시키는 BC 마스터(제5도의 532)가 되게끔 FC 마스터 할당이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는 나머 지 두쌍의 카에 대한 다른 원격제어기로 변환되게 하는 단계(제4도의 418)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연속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건물(16b,16c)의 각 계층(0,1,...7)에 제공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제1도의 12a,12b 또는 C,D)를 제어하기 위하여, 카호출 신호를 통신하며, 이동케이블(84a,84b)상의 원격제어기(80a,80b)에 접속된 각각의 카에 배치된 전자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기는 각각의 카와 별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컴퓨터회로(제2도의 246,246')를 포함하도록 한 제1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86a,86b)와; 각각의 계층에 근접 분포된 계층 제어회로(108a/b,110a/b,120a/b)에서 종료하는 승강기 케이블(82L 또는82R)을 통해 코리도어 신호정보를 통신하는 각각의 원격제어기에 대한 제2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82a,82b)를 구비한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컴류터 회로를 가진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는 관련 카 이동위치 및 타이밍을 기초로 하여 보다 나은 카를 상기 케이블 승강기에 따른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호출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시키도록 계층 제어방식(제4도의 410 또는 FCMHSL)을 수행되게 하고, 상기 각각의 원격제어기는 홀호출에 응답하기 위한 방식에서의 응답과 동시에 각 계층에서 기입된 카호출에 대한 서비스와는 별도의 카응답을 제어하며, 상기 각 원격제어기의 컴퓨터회로는 원격제어기의 우선순위 동작에 고장이 있는 경우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는 단계(43)를 즉시 행할 수 있도록 제어시스템내의 동작효율 및 통신신호 보전성(422)를 반복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수단(제4도의 412)을 포함되게 함으로써, 제1항의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카 제어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카는 카호출 기입 및 카이동 트랜지션에 한한 정보를 그 각각의 이동케이블을 통해 직렬신호 전송포맷으로 양방향 통신함으로써 수행되는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를 따라 각각의 원격제어기와 직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카 제어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카는 두쌍의 카(A 및 B,C 및 D)를 포함하는 작동시스템이며, 그 각각의 카는 원격제어기가 그 동작능력을 반복적으로 검사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선택된 후에 상기 두쌍의 작동시스템에 대한 홀호출 응답에 대응하는 뱅크제어(BC) 마스터방식(제3도의 310; 제5도의 510)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컴퓨터(제2도의 246,246')와 연결되는데, 상기 선택된 제어기는 BC 마스터(제5도의 532)로 되어 가장 나은 카를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호출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부여함과 아울러 카호출과는 별도의 카응답을 관련된 카로부터 제어함으로써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카 제어시스템.
  16.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컴퓨터회로는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코리도어 신호정보를 직렬 통신하게 되며, 아울러 기입된 홀호출에 응답하는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되는 승강기 케이블이나 혹은 홀웨이 직렬 링크를 통해 직렬신호 전송포맷이나 양방향 통신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카 제어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카는 두쌍의 카(A 및 B 혹은 C 및 D) 작동시스템이며, 관련된 원격제어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컴퓨터회로(80a 및 80b 혹은 80c 및 80d)와 연결된 각각의 카는 원격제어기가 그 동작효율을 반복적으로 검사하는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단계(제4도의 436)를 수행한 후에 상기 두쌍의 카에 대한 홀호출 응답에 대응하는 계층 제어(FC) 마스터방식(FCMHSL)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제어기는 FC 마스터로 되어 보다 나은 카를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호출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함과 아울러 상기 카호출 신호와는 별개의 카응답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카 제어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13508A 1987-10-16 1988-10-15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970000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09,638 US4762204A (en) 1987-10-16 1987-10-16 Elevator system master car switching
US109,638 1987-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506A true KR890006506A (ko) 1989-06-14
KR970000011B1 KR970000011B1 (ko) 1997-01-04

Family

ID=2232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508A KR970000011B1 (ko) 1987-10-16 1988-10-15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62204A (ko)
KR (1) KR970000011B1 (ko)
BR (1) BR8805347A (ko)
CA (1) CA127551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8731B (en) * 1987-08-12 1991-10-16 Hitachi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in elevator equipment
JPH01247382A (ja) * 1988-03-30 1989-10-0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JP2563963B2 (ja) * 1988-03-31 1996-12-1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686273B2 (ja) * 1988-05-13 1994-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信号伝送装置
FI87290C (fi) * 1991-01-17 1992-12-10 Kone Oy Foerfarande foer bestaemning av meddelandeidentifierare i ett foer hissar avsett datanaet
KR101580339B1 (ko) 2007-09-20 2015-12-2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확장가능한 마스크 본체를 구비하는 안면부 여과식 호흡기
CN102510833B (zh) * 2009-09-16 2014-06-04 奥的斯电梯公司 用于提供对电梯控制系统的多个子系统的远程访问的系统和方法
GB2487705B (en) * 2009-11-10 2014-03-05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with distributed dispatching
US8278779B2 (en) 2011-02-07 2012-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dundant power to a device
US10051040B2 (en) * 2012-04-03 2018-08-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using dual communication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730A (en) * 1976-09-07 1978-09-19 Reliance Electric Company Transportation system with individual programmable vehicle processors
JPS58144071A (ja) * 1982-02-23 1983-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制御装置
US4567560A (en) * 1983-09-09 1986-01-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ultiprocessor supervisory control for an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805347A (pt) 1989-06-13
CA1275516C (en) 1990-10-23
KR970000011B1 (ko) 1997-01-04
US4762204A (en) 198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3648A (en)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installation
CN102092607B (zh) 电梯的运行控制装置
JP2007290868A (ja) エレベータ設備の複数の操作ユニットの階関連付けを設定する方法
KR8900065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124102A (en) Elevator control system
KR890006508A (ko) 엘리베이터카 제어방법 및 장치
JPWO2018109946A1 (ja) エレベーターのリニューアル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制御盤
JPS6274894A (ja) リフト制御コンピユ−タへの情報入力方法
KR890006507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S623077B2 (ko)
KR970059067A (ko) 그룹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JP2006225068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798923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KR900002782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KR920007367B1 (ko) 그루프(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CN111824874A (zh) 电梯组管理系统以及电梯组管理方法
JP292868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960002449B1 (ko)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JP7414938B1 (ja) エレベータ遠隔点検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遠隔点検方法
JP7361873B1 (ja) エレベータ遠隔点検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遠隔点検方法
JPH027558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619558B2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JPH1045344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JPH085189Y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4371476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