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367B1 - 그루프(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 Google Patents

그루프(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367B1
KR920007367B1 KR1019890009475A KR890009475A KR920007367B1 KR 920007367 B1 KR920007367 B1 KR 920007367B1 KR 1019890009475 A KR1019890009475 A KR 1019890009475A KR 890009475 A KR890009475 A KR 890009475A KR 920007367 B1 KR920007367 B1 KR 920007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loor
button
group manage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049A (ko
Inventor
중이찌 다니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0000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그루프(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그루프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의 한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도는 전체구성도.
제2도는 그루프관리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제어장치의 블록도.
제4도는 신호수수장치의 블록도.
제5도 및 제6도는 제어장치 및 그루프관리장치의 승강장 호출신호 전송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7도는 신호내용도.
제8도는 전송설명도.
제9도는 종래의 그루프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루프관리장치 2 : 1호기 제어장치
3 : 2호기 제어장치 4-7 : 신호선
13 : 승강장버튼 15 : 신호수수장치
본 발명은, 그루프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를 직열전송방식으로 수수(授受)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9도는 종래의 그루프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이다.
도면에서, 1은 기계실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카(이하 카라함)의 할당연산(割當演算)을 행하는 그루프관리장치, 2, 3은 같이 기계실에 설치되고 각각 신호선(4), (5)로 그루프관리장치에 접속되고 1호기 및 2호기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6, 7은 각각 제어장치(2), (3)에서 각층에 포설된 신호선, 8은 그루프관리장치(1)에서 각층에 포설된 신호선, 9, 10은 어느층의 1호기 및 2호기의 승강장, 11은 1호기의 승강장(9)에 포설된 신호선, 9, 10은 어느층의 1호기 및 2호기의 승강장, 11은 1호기의 승강장(9)에 포설된 신호선(6)에 접속된 층상(層床)표시반이고, 신호수수장치(뒤에 설명), 위치표시등, 상행 및 하행방향등으로 이루어진 주행방향등을 갖고 있다. 12는 2호기의 승강장(10)에 포설된 신호선(7)에 접속된 상기와 같은 층상표시반, 13은 1호기 및 2호기에 공통으로 한개 설치되고 신호선(8)에 접속된 승강장버튼이고, 상행 및 하행버튼과 상행 및 하행호출등록등을 갖고 있다.
종래의 그루프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고, 신호선(4)-(8)을 통해서 그루프관리장치(1), 제어장치(2), (3), 층상표시반(11), (12)의 신호수수장치등의 사이는, 후술하는 바와같은 직열신호전송방식에 의해 신호가 수수된다.
즉, 승강장버튼(13)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신호가 발생하고, 신호선(8)을 통해서 그루프관리장치(1)로 전송된다. 그루프관리장치(1)에서는, 상기 승강장호출신호를 등록하고, 승강장호출등록신호가 신호선(8)을 통해서 송출되고, 승강장버튼(13)와, 예컨대 상행 호출등록등이 점등된다.
그리하여, 그루프관리장치(1)에서는, 각호기(號機)의 엘리베이터카(도시생략)위치, 그 주행방향등에서 상기 승강장(9), (10)에 최단시간에 도달될 수 있다고 예상되는 카를 선택하고, 이 카를 상기 승강장호출에 할당하고, 이것이 1호기라면, 신호선(4)를 통해서 제어장치(2)에 카의 운전을 지령한다.
다음에는 제어장치(2)에서 신호선(6)을 통해서 주행방향등의 점등신호, 예컨대 상행등점등신호가 송출되고 층상표시반(11)로 입력되고, 상기 신호수수장치를 거쳐서 상행등이 점등된다.
또, 카의 위치를 표시하는 카위치신호도 송출되고, 상기 신호수수장치를 거쳐서 위치표시등이 점등(도면에서는 12층을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그루프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에서는, 각층에 대해 그루프관리장치(1)에서 승강장버튼(13)에 이르는 신호선(8) 및 제어장치(2), (3)에서 층상표시반(11), (12)에 이르는 신호선(6), (7)이 포설되어 있으므로, 카의 설치대수가 증가하여 한층의 승강장버튼(13)의 수가 증가하면, 신호선(8)의 수도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만약 그루프관리장치(1) 또는 신호선(8)에 장해가 발생하면, 승강장 호출에 대해 각 호기의 카중 어느것도 응답못하고, 특정 또는 전부의 승강장호출에 대해 엘리베이터가 동작하지않는 중대한 고장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한층의 승강장버튼의 설치수가 증가해도, 그루프관리장치에서 승강장버튼에 이르는 신호선수는 증가치 않고, 또 신호선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카가 전혀 응답못하게 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고, 운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그루프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그루프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는, 각층의 신호수수장치에 승강장버튼을 접속하고, 제어장치의 각각에 승강장호출신호를 그루프관리장치로 전송하는 호출신호전송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층의 승강장호출신호를 제어장치에서 각층의 복수의 신호수수장치로 송출되는 신호선을 공용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이것을 제어장치에서 그루프관리장치로 송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승강장호출신호는 복수의 신호수수장치에서 신호선을 통해 송출되고, 승강장버튼에서 그루프관리장치에 이르는 신호선은 존재치 않는다.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도는 전체구성도, 제2도는 그루프관리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제어장치의 블록도, 제4도는 신호수수장치의 블록도, 제5도는 제어장치의 승강장호출신호 전송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6도는 같이 그루프관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7도는 신호내용도, 제8도는 전송설명도이고, 종래의 장치와 같은 부분은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이 실시예는 제1도에서 분명히 알 수 있음과 같이, 승강장버튼(13)이 1호기 및 2호기의 층상표시반(11), (12)에 접속되고, 제9도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그루프관리장치(1)에서 각층의 승강장버튼(13)에 이르는 신호선(8)은 설치되지 않는다.
제2도 및 제3도중에서, 1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그루프관리장치이고 CPU(1A), 메모리(1B) 및 입출력용의 인터페이스(이하 I/F라 함)(1C), (1D)를 갖고, I/F(1C)는 1호기 제어장치(2)에 접속되고, I/F(1D)는 2호기 제어장치(3)에 접속되어 있다.
2도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제어장치(제어장치(3)도 같다)이고, CPU(2A), 메모리(2B) 및 I/F(2C), (2D)를 갖고, I/F(2C)는 층상표시반(11)에 접속되고 I/F(2D)는 그루프관리장치(1)에 접속되어 있다.
제4도중에서, 11은 층상표시반이고, 11A는 신호선(6)에 접속된 수신기, 11B는 수신기(11A)에 접속되고 입력된 직열전송의 명령·데이터를 판별하고, 주행방향등의 점등·소등 및 카위치신호만을 분별해내는 신호코드판별기, 11C는 상행 및 하행등으로 이루어진 주행방향등 및 위치표시등이 포함되어 있는 승강장표시기, 11D는 다이오드, 11E는 트랜지스터, 11F는 신호선(6)에 접속된 구동기, 11G는 수신기(11A), 구동기(11F), 트랜지스터(11E) 및 승강장버튼(13)의 호출버튼(13A)에 접속된 전송제어부이고, 수신기(11A)에서 입력된 명령·데이터중에서 이층의 승강장버튼(13)에 관계된 명령을 판별하고, 판별한 데이타가 승강장버튼(13)의 승강장호출등록등(13b)에 관한 것이면 트랜지스터(11E)로 신호를 보내고, 호출버튼(13A)의 입력시킬 명령인 경우에는 그 승강장호출신호를 구동기(11F)로 출력한다.
또 신호코드판별기(11B) 및 전송제어부(11G)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고 수신기(11A) 및 구동기(11F)와 함께 신호수수장치(15)를 구성하고 있다.
또, 층상표시반(12)도 같은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승강장버튼(13)의 호출버튼(13A)가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신호는 신호수수장치(15)의 전송제어부(11G)에서 구동기(11F)를 거쳐 신호선(6)으로 직열신호에 의해 송출된다. 같은 모양으로, 층상표시반(12)의 신호수수장치(도시생략)로부터도 신호선(7)로 송출된다.
제어장치(2), (3)에 있어서는, 스텝(31)에서 제어장치(1), (3)으로부터 승강장호출신호를 입력시키고, 스텝(32)에서 각각 상대방의 호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3), (2)로 승강장호출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스텝(33)에서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승강장호출에 대한 카의 할당연산을 행하고, 그 결과, 1호기가 할당되었다하면, 스텝(34)에서 제어장치(2)로 지령을 발하고, 1호기의 카는 상기 승강장호출에 응답하여 주행을 개시하게 된다.
한편, 제어장치(2)와 신호수수장치(15)사이에는, 제7도에 보여진 바와같은 신호가, 신호선(6)을 통해서 제8도에 보여진 바와같은 시간계열(時間系列)로 수수된다(제어장치(3)과 층상표시반(12)의 신호수수장치사이에서도 같다).
제7도의 명령 ①-④는 각각 제1바이트 A 또는 제2바이트 B로 이루어지고, 각 바이트 A, B는 각각 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①은 제1명령이고, 제1바이트 A는 각 존(zone, 승강장버튼(13)의 총수를 분할한 존이고, 1존에는 승강장버튼 8개를 포함한다)의 승강장버튼(13)이 눌러져있나 없나를 검출하는 데이터이고, 7비트의 명령 A1과 1비트의 상행버튼인지 하행버튼인지를 나타내는 방향데이터 A2로 이루어진다.
제2바이트 B는 존내에 승강장버튼(13)이 눌러져있는 층이 있으면 '0'으로 되는 데이터이고, 0.1-7비트로 나뉘어져 있다.
②는 제2명령이고, 각존에 발생한 승강장호출이, 존내에 어느위치에 있나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받기위한 4비트의 명령 A1, 3비트의 존데이터 A3및 1비트의 방향데이터 A2로 이루어진다. 제2바이트 B는 입력데이터이다.
③은 승강장버튼(13)이 눌러졌을 경우에 대한 출력명령이고, 제1바이트 A는 4비트의 명령 A1, 3비트의 존데이터 A3및 1비트의 방향데이터 A2로 이루어진다.
제2바이트 B는 존내의 8개의 승강장호출등록등을 점등('0')하느냐, 소등('1')하느냐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④는 각 승강장의 위치표시등을 위한 출력명령이고, 제1바이트 A는 8비트의 명령 A1으로 이루어진다. 제2바이트 B는 2비트의 상행방향등 데이터 A4및 하행방향등 데이터 A5및 6비트의 카위치데이터 A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명령을 할당함으로써 8존×8, 즉 64층이 데이터수수가 가능하다.
또, 각 존은 1층-8층을 제0존, 9층-16층을 제1존, 17층-24층을 제2존, 25층-32층을 제3존, 33층-40층을 제4존, 41층-48층을 제5존, 49층-54층을 제6존, 55층-64층을 제7존으로 분할하고 있다.
다음에는, 이 실시예의 신호전송동작을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스텝(51), (53)은 명령수단, 스텝(52), (54)는 응답수단, 스텝(55)-(60)은 출력수단을 나타낸다.
우선, 스텝(51)에서 제어장치(2)에서 승강장버튼(13)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1명령을 ①을 출력한다. 이 제1명령 ①을 받는 신호수신장치(15)는 스텝(52)에서 설정된 층상 데이터에 따라 승강장버튼(13)이 눌러져 있으면 해당하는 존의 신호만을 '0'으로 한다.
예를들면, 10층의 상행버튼이 눌러져 있으면, 제1존 즉 제2바이트 B의 제1비트만 '0'이 된다. 또, 5층과 10층에서 동시에 눌려져있으면, 제0존 및 제1존 즉, 제1바이트 B의 제0비트 및 제1비트가 '0'으로 된다.
이 데이터를 받은 제어장치(2)는, 스텝(53)에서 제2명령 ②의 존데이터 A3에 '0'으로 되어있던 데이터를, 예를들어 10층 층의 상행버튼이 눌러져 있으면, '0010'(왼쪽에서 3비는 제1존, 오른쪽끝은 상행버튼을 나타낸다)에 설정하고, 제2명령 ②로서 출력한다.
이 신호를 받은 신호수수장치(15)는, 9층-16층의 것만이 동작하고, 스텝(54)에서 입력데이터 B의 제0비트(9층)을 '1', 제2비트(10층)을 '0', 제3비트(11층)을 '1'…제7비트(16층)을 '1'로서 출력한다.
만약, 두개이상의 존에서 승강장버튼(13)이 눌러져 있으면, 스텝(51)의 제1명령 ①을 차례로 출력하여 각층의 승강장버튼데이터를 얻는다. 제어장치(2)는 제2명령 ②과 같이 존 및 상행버튼 또는 하행버튼의 구별을 지어서 스텝(55)에서 출력한다. 또, 스텝(56)에서 제1바이트 B에 승강장호출등록등의 점등데이터를 태워서 출력한다. 즉, 10층의 상행등록등을 점등하는 명령의 제1바이트 A는 '00100010', 제2바이트 B는 '10111111'이다.
출력명령 ③을 받은 신호수수장치(15)는, 10층의 상행등록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10층의 상행버튼신호를 리세트하고, 다음의 주사시(走査時) 재차 상행버튼신호가 제어장치(2)로 전송되는 것을 저지시킨다. 이 저지는 소등지령을 받았을때 해제된다.
출력명령 ④는 위치표시등의 점등 및 소등지령이고, 스텝(57)에서 제1바이트 A가, 스텝(58)에서 제2바이트 B가 전송된다. 이 경우는 전층이 동일표시로 되기 때문에, 제1바이트 A는 '01000000'로 되고, 제2바이트 B는 상행 또는 하행등데이터 A4, A5및 키위치데이터 A6(2진법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승강장버튼(13)에서 그루프관리장치(1)에 이르는 신호 전송로는, 신호선(6)-(4) 및 신호선(7)-(5)의 2중계(重系)로 되므로, 전송로의 한쪽, 가령 신호선(6)-(4)에 장해가 발생하여도, 다른 쪽 신호선(7)-(5)로 승강호출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고, 최저한대의 카의 운전은 가능하게 되고, 운전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그루프관리장치(1), 신호선(4) 또는 신호선(5)에 장해가 발생하여도, 제어장치(2), (3)과 층상표시반(11), (12) 사이의 신호선(6), (7)은 확보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는 카한대의 신호전송망과 동일하게 된다. 즉 하나의 승강장호출에 대해, 2대의 카가 응답하는 낭비는 발생하나, 각각 카1대의 독립운전형식으로 역할하고, 카가 전혀 응답않는 사태는 피할 수 있게 된다.
또, 신호선(4)-(7)도, 최근의 전자기술에 의한 직열전송기술을 구사하면, 신호선(4)-(7)의 데이터량은 많아지나, 각각 한쌍의 케이블에 의해 데이터의 수수를 실현시킬 수 있고, 종래의 장치이상으로 각 장치사이에 신호선의 증가는 생기지 않는다.
또, 제어장치(2), (3)에서는, 카의 독립운전형식의 경우의 승강장신호선포설시설에 그루프관리장치(1)로의 신호선(4), (5)를 부가하는 것만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그루프관리장치(1)에서는, 종래의 승강장버튼(13)으로의 I/F(도시생략)가 필요없이 되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 각층의 신호수수장치(15)는, 각대(태台)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층상표시반(11), (12)에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장버튼(13)은 복수대의 카에 대해 단독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카단독운전형식의 경우와 기기(機器)의 공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층상표시반(11), (12)에 주행방향 및 위치표시등을 갖춘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들을 갖추지 않고 도착예보등만을 갖춘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주행방향등 및 위치표시등의 점등·소등처리를 도착예보등의 점등·소등처리로 바꿈으로써 적용 가능해진다. 또, 실시예에서는, 승강장버튼(13)이 층상표시반(11), (12)의 양쪽에 접속되는 것으로 했으나, 승강장버튼(13)을 각호기마다에 붙여서 층상표시반(11), (12)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층의 신호수수장치 사이에 승강장버튼을 접속하고, 제어장치의 각각에 승강장호출신호를 그루프관리장치로 전송하는 호출신호전송수단을 갖추었으므로 그루프관리장치에서 승강장버튼에 이르는 신호선이 필요없도록 할 수 있고, 또 신호선에 장해가 발생하더라도, 카가 완전히 응답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고, 운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승강장호출신호를 입력하여 카의 할당연산을 행하는 그루프관리장치와, 이 장치에 신호선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어장치를 기계실에 설치하고, 이 제어장치의 각각과 각층에 설치된 신호수수장치를 신호선으로 접속하고, 상기 각 신호선을 통해서 상기 그루프관리장치, 제어장치 및 신호수수장치 사이에 직열신호전송에 의해 신호가 수수되는 장치에 있어서, 각층의 상기 신호수수장치로 상기 승강장호출신호를 발하는 승강장버튼을 접속하고, 상기 제어장치의 각각에 상기 승강장호출신호를 상기 그루프관리장치로 전송하는 호출신호 전송수단을 갖추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프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KR1019890009475A 1988-08-05 1989-07-04 그루프(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KR920007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95650A JPH0735231B2 (ja) 1988-08-05 1988-08-05 群管理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JP195650 1988-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049A KR900003049A (ko) 1990-03-23
KR920007367B1 true KR920007367B1 (ko) 1992-08-31

Family

ID=1634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475A KR920007367B1 (ko) 1988-08-05 1989-07-04 그루프(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18604A (ko)
JP (1) JPH0735231B2 (ko)
KR (1) KR920007367B1 (ko)
CN (1) CN10182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716B1 (ko) * 1996-12-17 1999-06-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FI111936B (fi) * 1994-07-13 2003-10-15 Kone Corp Hissin odotusaikanäyttö
JP6155884B2 (ja) * 2013-06-19 201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0481A (ja) * 1987-06-10 1988-1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群管理エレベ−タの表示装置
GB2208731B (en) * 1987-08-12 1991-10-16 Hitachi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in elevator equipment
US4765442A (en) * 1987-10-16 1988-08-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graceful degradation of bank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48384A (ja) 1990-02-19
KR900003049A (ko) 1990-03-23
US5018604A (en) 1991-05-28
JPH0735231B2 (ja) 1995-04-19
CN1018264B (zh) 1992-09-16
CN1040351A (zh) 1990-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2532A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in elevator equipment
JP2987138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CN1297842A (zh) 电梯系统
KR890004973A (ko)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정보전송 제어 방법
WO2001092139A1 (fr) Systeme de commande pour ascenseurs commandes en groupe
US4766978A (en) Elevator system adaptive time-based block operation
KR920007367B1 (ko) 그루프(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KR950001900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
KR8900065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970059067A (ko) 그룹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KR890006507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3170539B2 (ja) エレベータのリニユーアル方法
KR900002782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JP2006225068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US48587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for elevator
JPH1045344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CN110248887B (zh) 并联电梯控制方法、系统及装置
KR19980027770A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신호 전송 제어장치
JPH0679960B2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KR0134828Y1 (ko) 엘리베이터 정보전송장치
KR20040052419A (ko) Can 통신방식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 및 그can 통신방법
JP4387504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741268A (ja) エレベーターの信号伝送装置
JPH085595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JPS61145092A (ja) エレベ−タの信号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