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782B1 -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782B1
KR900002782B1 KR1019860002700A KR860002700A KR900002782B1 KR 900002782 B1 KR900002782 B1 KR 900002782B1 KR 1019860002700 A KR1019860002700 A KR 1019860002700A KR 860002700 A KR860002700 A KR 860002700A KR 900002782 B1 KR900002782 B1 KR 900002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ignal
relay
control devic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927A (ko
Inventor
오까 요이찌 이찌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6000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제 1 도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제 2 도는 제1도의 군관리컴퓨터의 프로그램 구성표시도.
제 3 도(a)는 도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제어신호테이블구성의 표시
제 3 도(b)는 제 2 도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릴레이계통신호테이블의 표시도.
제 4 도는 제 2도 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신호변환프로그램의 플로우차아트.
제 5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의 카위치신호변환 및 정지지령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승강장호출버튼 21 : 병렬신호전송선
22 : 군관리컴퓨터 22a, 22c : 병렬신호입출력프로세서
22b : 직렬신호전송프로세서 23 : 직렬신호전송선
24 : 엘리베이터 제어컴퓨터 24a : 직렬신호전송프로세
25,28 : 엘리베이터기기 27 : 엘리베이터제어장치
100 : #1엘리베이터 200 : #2엘리베이터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교체 증설을 실시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기술발달에 수반하여 전자화 엘리베이터가 보급되어 전자화 엘리베이터가 출현하는데 이르렀다.
전자화 엘리베이터는 일본특개소 59-138576호 공보의 제 1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군관리장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공히 컴퓨터가 사용되고 있다. 또 군관리장치의 컴퓨터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컴퓨터는 직렬신호전송프로세서와 통신선을 통하여 신호 수수(授受)가 행해지고 있다.
한편 기설빌딩은 컴퓨터에 의하지 않고 릴레이회로에 의하여 제어되는 릴레이계(系)의 엘리베이터가 현재로 다수 가동되고 있다. 이 릴레이계 엘리베이터는 릴레이로 구성된 군관리장치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호의 신호전송은 병렬신호전송이 행해지고 있다.
기설빌딩에서 엘리베이터를 교체, 증설하는 경우는 릴레이계 엘리베이터에 비하여 성능이 좋고 보급되어 가고 있는 전자화 엘리베이터가 사용된다. 또 상기 공보의 제 1 도에 표시되는 전자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는 군관리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엘리베이터는 모두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컴퓨터를 사용한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화 엘리베이터로 복수대의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군의 일부를 교체하든가 혹은 전자화 엘리베이터를 증설하여 이 엘리베이터와 기설엘리베이터와의 복수대를 하나의 엘리베이터군으로 하는 경우는 제6도에 표시하는 구성이 된다. 이 제 6 도의 A는 전자 엘리베이터계를 표시하며 승강장호출버튼(1)을 누르면 병렬신호 전송선(2)을 통하여 군관리컴퓨터(3)의 병렬신호로 전송프로세서(3a)에 전송되어서 군관리컴퓨터(3)에서 승강장호출신호가 판독된다.
또 #1엘리베이터(5)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기기(8)에서 병렬신호전송선(7)을 통하여 컴퓨터(6)의 병렬신호 전송스프로세서(6b)로 #1엘리베이터(5)의 상태신호가 전송된다. 이 상태신호는 컴퓨터(6)의 직렬신호전송프로세서(6a)에 전송되어 거기서 직렬신호로 변환처리된 다음 직렬신호전송선(4)을 통하여 군관리컴퓨터(3)의 직렬신호전송프로세서(3b)에 전송되어서 이 군관리컴퓨터(3) #1엘리베이터(5)의 상태신호가 판독된다.
이에 의하여 군관리컴퓨터(3)는 승강장호출신호와 #1엘리베이터의 상태신호로부터 승강장호출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운전제어를 실시하게끔 하고 있다. 또 제 6 도의 b에서 #2엘리베이터(9)는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이며 승강장호출버튼(10)을 누르므로서 그 승강장호출신호는 릴레이계 군관리장치(11)에 전송되어 #2엘리베이터(9)의 릴레이계 엘리베이터 제어장치(9a)로 전송된다.
이 릴레이계 엘리베이터 제어장치(9a)에 의하여 엘리베이터기기(9b)의 구동제어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 6 도(a) 및 제 6 도(b)에 명백한 바와같이 종래의 전자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는 직렬신호전송에 의하여 컴퓨터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밖에는 접속할 수 없으며 제 6 도(b)와 같이 기설릴레이계의 엘리베이터는 접속할 수 없다. 따라서 교체 혹은 증설한 전자화 엘리베이터와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를 하나의 군으로서 군관리할 수 없으며, 제 6 도에 표시한대로 2계통씩 승강장호출버튼(1),(10)을 설치하여서 엘리베이터군을 전자화 엘리베이터와 릴레이계 엘리베이터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한 군관리를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 각각 1대씩 합계 2대인 경우에는 각 1대를 단독으로 운전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때문에 기설엘리베이터군의 일부를 전자화 엘리베이터로 교체한 경우는 엘리베이터군으로서 서비스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 전자화 엘리베이터를 증설하여 기설엘리베이터와 연계시켜 군관리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도 불가능하였다.
이 발명은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체 혹은 증설한 전자화 엘리베이터와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를 일괄하여 전자화 엘리베이터에 내장되는 군관리컴퓨터로 군관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군관리 서비스의 향상이 가능하게되는 엘리베이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는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와 신호의 수수를 실시하는 수단과 교체 혹은 증설하는 전자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제어컴퓨터와 신호의 수수를 실시하는 수단과 양쪽의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군관리컴퓨터를 설치한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군관리컴퓨터로 승강장호출신호와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의 상태신호 및 전자화 엘리베이터의 상태신호를 판독하여 어느 엘리베이터가 어느 승강장호출에 응답할 것인가를 결정하여 동작지령을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 및 전자화 엘리베이터에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에 기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그 한 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제 1 도의 실시예는 1대의 엘리베이터를 전자화 엘리베이터로 교체 또는 1대의 전자화 엘리베이터를 증설하여 기설릴레이계의 엘리베이터 1대와 조합하여 2대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를 실시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이 제1도에 있어서(100)은 #1엘리베이터, (200)은 #2엘리베이터이다. #1엘리베이터(100)는 전자화 엘리베이터 또는 교체 혹은 증설하는 엘리베이터이며 #2엘리베이터(200)은 기설 릴레이계 엘리베이터이다.
한편 (20)은 #1엘리베이터(100), #2엘리베이터(200)에 대한 공통의 승강장호출버튼이다.
이 승강장호출버튼(20)은 병렬신호전송선(21)을 통하여 군관리컴퓨터(22)의 병렬신호출력프로세서(22a)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군관리컴퓨터(22)의 직렬신호전송프로세서(22b)는 직렬신호전송선(22)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컴퓨터(24)의 직렬신호전송프로세서(24a)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제어컴퓨터(24)는 #1엘리베이터(100)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병렬신호입출력프로세서(24b)는 엘리베이터기기(25)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엘리베이터기기(25)는 #1엘리베이터(100)의 엘리베이터카나 문 그리고 그들을 구동제어하는 것들이 해당된다. 또한 상기 군관리컴퓨터(22)에 있어서 병렬신호입출력프로세서(22c)는 병렬신호입출력선(26)을 통하여 #2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7)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7)에 의하여 엘리베이터기기(28)와 테이터의 수수를 행하도록 되어있다.
엘리베이터 장치(27)는 릴레이로 구성되어있다.
이 엘리베이터기기(28)는 엘리베이터기기(25)와 같이 #2엘리베이터(200)의 카나 문 및 그들을 구동제어하는 것들이 해당된다.
다음에 이 제 1 도의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승강장호출버튼(20)을 누르면 승강장 호출버튼신호는 병렬신호전송선(21)을 통하여 군관리컴퓨터(22)의 병렬신호입출력프로세서(22a)에 입력하여 군관리컴퓨터(22)에서 판독된다. 또, 이때 엘리베이터제어컴퓨터(24)는 엘리베이터기기(25)로부터 병렬신호입출력프로세서(24b)에 #1엘리베이터(100)의 상태신호가 입력된다. 이 신호는 직렬신호전송프로세서(24a)로 전송되어 거기서 직렬신호로 변환된 후 직렬신호전송선(23)을 통하여 군관리컴퓨터(22)의 직렬신호전송프로세서(22b)로 전송된다. 이에 의하여 군관리컴퓨터(22)는 #1엘리베이터(100)의 상태신호를 판독한다. 똑같은 요령으로 #2엘리베이터(20)의 엘리베이터기기(28)로부터의 상태신호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7)로 전송되어 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7)에 의하여 병렬신호입출력선(26)을 통하여 병렬신호입출력프로세서(22c)에 입력되어 군관리컴퓨터(22)는 #2엘리베이터(200)의 상태신호를 판독한다.
그렇게하여 군관리컴퓨터(22)는 승강장호출버튼(20)의 승강장호출을 검출하며 어느 엘리베이터가 어느 승강장 호출에 응답하는가를 결정하고 각 엘리베이터에 그들의 승강장호출에 응답하는 동작을 시키는 동작지령을 전송하며 #1엘리베이터(100)에는 직렬신호전송프로세서(22b), 직렬신호전송선(23)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컴퓨터(24)의 직렬신호전송프로세서(24a)에 전송한다.
한편 #2엘리베이터(200)에 대하여는 군관리컴퓨터(22)는 상기 승강장호출에 응답하는 동작을 시키는 동작지령을 병렬신호입출력프로세서(22c), 병렬신호입출력선(26)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7)에 전송한다. 제 2 도는 상기 실시예의 군관리컴퓨터(22)의 프로그램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2 도의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300은 군관리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승강장호출테이블(301)(제3기억수단)은 승강장호출버튼(20)을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승강장호출버튼신호를 일단 기억하여두는 것이다.
또 제어신호테이블(302)(제2기억수단)은 엘리베이터 군관리프로그램이 필요로하는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상태신호와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기위한 동작지령신호를 기억하는 것이다. 군관리프로그램(303)은 승강장호출신호테이블(301)에 기억된 승강장호출버튼신호와 제어신호테이블(302)내의 엘리베이터신호테이블에 기억된 각각의 엘리베이터 상태신호를 판독하여 그후의 연산에 의하여 산출된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동작지령신호를 제어신호테이블(302)(제2기억수단)내의 엘리베이터신호테이블로 출력하여 기억한다.
이 엘리베이터신호테이블 엘리베이터 상태신호 및 엘리베이터 동작지령신호는 #1엘리베이터(100)와 같은 전자화 엘리베이터(100)와 엘리베이터 제어컴퓨터와는 그대로의 형태로 수수하며 #1엘리베이터의 군관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2엘리베이터(200)를 제어하는 릴레이계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7)의 기능과 엘리베이터 제어컴퓨터의 기능은 상이한 경우가 많으며 그 경우에는 제어신호테이블(302)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상태신호, 엘리베이터 동작지령신호는 그대로는 #2엘리베이터(200)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7)와는 수수할 수 없다.
따라서 신호변환프로그램(304)에 의하여 #2엘리베이터(200)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7)에서 신호를 릴레이계 신호테이블(305)(제1기억장치)에 일단 판독시키고 그들의 신호에서 #1엘리베이터(100)와 같은 엘리베이터상태신호를 만들어 제어신호테이블(302)(제2기억장치)에 기억한다.
또 제어신호테이블(302)의 #2엘리베이터에 대한 동작지령신호를 신호변환프로그램(304)에 의하여 #2엘리베이터 군관리 하기위한 동작릴레이신호로 변환하여 릴레이계 신호테이블(305)(제 1 기억장치)로 출력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7)에 전달시킨다.
제 3 (a)도는 상기 제어신호테이블(302)의 구성의 일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이 제 3 (a)도에 있어서 #1엘리베이터(100)측의 "카상태"로 되어있는 것은 카의 주행여부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 "문상태"로 되는 것은 문의 폐문여부상태이며 "상승배당호출"로 되어 있는 것은 #1엘리베이터(100)이 응답할 상승방향의 승강장호출을 의미하며 "하강배당호출"로 되어 있는 것은 #1엘리베이터(100)가 응답할 하강방향의 승강장호출을 의미하고 있다.
제 3 (b)도는 릴레이계신호테이블(305)의 일례를 표시하며 제 4 도는 신호변환프로그램(304)의 일례의 플로차트이다.
이 제 4 도에 있어서 S1에서 신호변환프로그램(304)이 시동되면 우선 릴레이계 신호테이블(305)에 기억된 제 3 도에 표시한대로 셀렉터 접점신호, 방향릴레이, 주행릴레이 접점신호, 정지타이밍 릴레이접점신호를 판독하여 제어신호테이블(302)의 #2엘리베이터(200)의 카위치부분에 카위치(제 3 도)의 정보를 기억하는 카위치신호변환을 실시한다. (스탭S2)이 카위치변동의 동작은 제 5 도에 표시되어있다.
이 동작에 카가 1층에서 5층으로 주행하는 경우를 표시한다.
제 5 도에서, 방향릴레이접점, 주행릴레이접점, 셀렉터접점등은 제 3 도(b)의 테이블(305)신호이며, #2기배당호출, 카위치는 테이블(302)의 신호이다.
카위치는 주행릴레이접점신호를 검출하면 2층이 되며 계속하여 정지결정타이밍 릴레이접점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된 것을 검출하고 그때 정지지령릴레이신호가 없는 경우는 카위치를 3층으로 변환시킨다.
이하 같은 순서로 정지결정타이밍 릴레이접점신호가 "온"에서 "오프"로 된 것은 검출하고 정지지령릴레이출력신호가 없는 경우는 카위치를 4층으로 변환시킨다. 카위치가 4층의 경우 정지결정타이밍 릴레이접점신호가 "온"에서 "오프"로 되는 시점에서는 정지지령릴레이신호가 있으므로 카위치는 변환못한다. 5층에서는 셀렉터 접점신호는 5층으로 되며 카위치와 일치하는 것을 점검한다.
프로그램은 다음에 스탭 S3에 의하여 방향릴레이접점신호, 카호출접점신호, 주행릴레이접점신호, 폐문검출릴레이 접점신호에서 방향, 카호출, 카상태, 문상태신호를 만들고 그들 신호를 #2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상태 신호로 하여 제어신호테이블(302)에 기억한다.
또한 스탭 S4에 의하여 프로그램은 제어신호테이블(302)의 동작지령의 하나인 배당호출을 판독하여 릴레이계 신호테이블(305)의 방향릴레이접점신호, 정지타이밍 릴레이접점신호로부터 정지릴레이신호를 결정하여 릴레이계신호 테이블에 기억하는 정지지령을 출력한다. 이 정지지령의 동작예에 관하여 제 5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카는 1층에서 상승방향으로 주행하고 있고 5층 상승방향의 배당호출이 되어 있다고 하면 카위치는 5층이 되며 정지결정타이밍 릴레이접점신호가 "온"으로된 시점에서 정지릴레이신호를 "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대로 신호변환프로그램(304)으로 릴레이계의 제어장치와 제어프로그램과의 기능차이를 보완하며 군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보면 양자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1대를 전자화 엘리베이터, 또 1대를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로서 설명하였지만 복수대의 전자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도 이 발명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효과도 같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와 전자화 엘리베이터의 각각의 상태신호를 군관리컴퓨터로 판독하는 동시에 승강장호출신호도 판독하며 이 승강장호출신호와 각상태신호로부터 어느 엘리베이터가 어느 승강장호출신호에 대하여 응답할 것인가의 동작지령을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 혹은 전자화 엘리베이터에 부여하도록 하였으므로 교체 혹은 증설한 전자화 엘리베이터와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를 일괄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수반하여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군의 일부의 엘리베이터를 전자화 엘리베이터로 교체한 경우도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서비스를 저하시키지 않아도 되며 또 전자화 엘리베이터를 증설하여 기설릴레이계 엘리베이터와 일괄하여 군관리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엘리베이터카의 제어가 컴퓨터에 의한 제어장치에 의하여 실현되는 전자화 엘리베이터와, 릴레이회로에 의한 제어회로에 의하여 엘리베이터카가 제어되는 릴레이계 엘리베이터가 병설되고 또한 이들 양쪽 엘리베이터를 하나의 군으로하여 군관리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릴레이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신호의 수수(授受)를 행하는 수단과 컴퓨터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수단과 승강장호출신호와 상기 릴레이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상태신호와 상기 컴퓨터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상태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릴레이로 구성되며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와 상기 컴퓨터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제어장치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를 일괄 군관리하는 군관리컴퓨터를 구비하여서된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수단은 직렬전송방식에 의하여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군관리컴퓨터는 릴레이에 의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 송신되어오는 신호를 기억하는 제1기억수단과, 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신호를 전자화 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는 수단과, 이 변환수단에 의하여 변환된 릴레이계 엘리베이터로부터의 신호를 기억하는 제2기억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2기억수단은 상기 컴퓨터로 구성된 제어장치에서 송신되어오는 신호를 다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군관리컴퓨터는 각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호출버튼으로부터 각각 송신되어오는 승강장신호를 기억하는 제3기억수단을 갖고있으며,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있는 전자화 엘리베이터의 상태신호 및 릴레이계 엘리베이터의 상태신호와 상기 제3기억수단에 기억되어있는 승강장호출의 발생상태의 신호에 기준하여 군관리컴퓨터가 군관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군관리컴퓨터는 릴레이계 엘리베이터에 대한 군관리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이 제어신호는 상기 변환수단을 통하여 릴레이계 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되는 신호형태로 변환되어 이 변환된 신호가 릴레이로 구성된 제어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군관리컴퓨터의 상기 제1기억수단은 상기 변환수단에 의하여 변환된 상기 릴레이계 엘리베이터에 대한 군관리제어신호를 기억하고 이 기억된 제어신호가 릴레이에 의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군관리컴퓨터의 제3기억수단은 상기 승강장호출버튼과의 사이에서 병렬신호전송방식에 의하여 신호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KR1019860002700A 1985-05-28 1986-04-09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KR900002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14619A JPS61273476A (ja) 1985-05-28 1985-05-28 エレベ−タ群管理装置
JP60-114619 1985-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927A KR860008927A (ko) 1986-12-19
KR900002782B1 true KR900002782B1 (ko) 1990-04-30

Family

ID=1464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700A KR900002782B1 (ko) 1985-05-28 1986-04-09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85536A (ko)
JP (1) JPS61273476A (ko)
KR (1) KR900002782B1 (ko)
CN (1) CN10065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059B2 (ja) * 1988-10-19 1995-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H07106842B2 (ja) * 1989-02-17 1995-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US8253548B2 (en) * 2005-09-07 2012-08-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wireless hall call buttons
WO2009024853A1 (en) 2007-08-21 2009-02-26 De Groot Pieter J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 control system
PL2238067T5 (pl) * 2008-01-17 2019-02-28 Inventio Ag Instalacja dźwigowa, sposób obsługi takiej instalacji dźwigowej oraz sposób doposażenia istniejącej instalacji dźwigowej do takiej instalacji dźwigowej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730A (en) * 1976-09-07 1978-09-19 Reliance Electric Company Transportation system with individual programmable vehicle processors
JPS5497947A (en) * 1978-01-20 1979-08-02 Hitachi Ltd Parallel elevator cage controller
US4473133A (en) * 1982-12-06 1984-09-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H06630B2 (ja) * 1983-01-28 1994-0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927A (ko) 1986-12-19
CN86103125A (zh) 1986-11-26
CN1006542B (zh) 1990-01-24
JPS61273476A (ja) 1986-12-03
US4685536A (en) 198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038B2 (en)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two elevator cars in a single hoistway
KR102305486B1 (ko) 엘리베이터의 리뉴얼 방법 및 엘리베이터 제어반
JP2000211837A (ja) エレベ―タ設備の遠隔制御
MY102395A (en) Elevator sepervision system
KR900002782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JPS6320744B2 (ko)
KR890006508A (ko) 엘리베이터카 제어방법 및 장치
GB1467411A (en) Elevator system
KR950001900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
KR0167196B1 (ko) 그룹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KR870000563B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장치
KR8900065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6225068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01158578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
KR920007367B1 (ko) 그루프(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EP0512575A2 (en) Electronic code key
JPS61145092A (ja) エレベ−タの信号伝送装置
JP3028876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装置
JPH04371476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US4352411A (en) Elevator floor cutoff
KR200188375Y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 처리장치
JPS6145873A (ja) 群管理制御エレベ−タの制御装置
KR100277465B1 (ko) 엘리베이터의 동기층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0154506Y1 (ko)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상태표시기
KR920005642Y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