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49B1 -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49B1
KR960002449B1 KR1019920017532A KR920017532A KR960002449B1 KR 960002449 B1 KR960002449 B1 KR 960002449B1 KR 1019920017532 A KR1019920017532 A KR 1019920017532A KR 920017532 A KR920017532 A KR 920017532A KR 960002449 B1 KR960002449 B1 KR 96000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ontrol
data
monitoring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909A (ko
Inventor
박성렬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449B1/ko
Publication of KR940006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감시제어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제4도는 제2도의 통신 인터페이스장치의 상세 구성도.
제5도는 제2도의 감시제어장치의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성도.
제6도는 감시제어장치에 대한 패드 차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감시제어장치 21-1 : 씨피유
21-2 : 메모리부 21-3 :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
21-4 : 통신카드 26 : 통신포트
27 : 군관리 제어장치 28~31 : 제어장치
32~35 : 통신 인터페이스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감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엘리베이터가 병설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릴레이 제어에 의해 군관리 및 단독 운전되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운행상태 감시에 적당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기능상의 가장 큰 목적은 승객이 원하는 목적층까지 가장 안전하게 이동하는 것이다. 최근 콤퓨터의 보급에 확대에 의한 정보화 사회로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이러한 가장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인간이 보다 쉽게 관리 및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소위 MMI(Man-Machine-Interface) 시스템의 개념이 전 산업 분야에 걸쳐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엘리베이터장치는 빌딩의 인텔리전트화와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인텔리전트화가 급속히 추진되고 있고 이에 대한 고객의 욕구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감시기능상 릴레이 제어에 한정되어 있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감시제어 시스템을 적용하면, 기존의 기능을 포함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에 의한 단독 운전 엘리베이터도 원격 감시할 수 있으며 실시간 처리에 의한 전자식 감시 시스템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씨알티 화면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원격 감시 및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하여 비상사태시 통제및 관제운전을 실시함으로써 빌딩의 안전개선을 도모하고, 또한 군관리 운전 파라미터를 지정하여 교통상황 분석에 따른 신속한 대응력을 갖추고 교통량 데이타의 수집, 분석 및 평가로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신속 정확한 처리, 고장 및 운행 데이타의 저장 및 출력에 의한 인력관리를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관리의 편이성을 추구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감시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 1과 2는 일반적으로 관리실이나 방재센터에 설치될 수 있는 감시반 및 방재반이며, 부호 3, 4는 엘리베이터 제어반(5~7)으로부터 비상관제제어 데이타 및 운전제어 데이타를 감시반(1)으로 넘겨주는 연결박스이고 승강로의 중간벽면에 취부되어 있다.
상기 감시반(1)은 방재반(2)과 접속됨과 아울러 제어반(5~7)과 접속된 연결박스(3,4)와 병렬 접속되어 구성된다.
제1도는 카(car)가 3대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기능 및 접속관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감시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그 동작과 문제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제어반 (5~7)의 정상상태, 업/다운 방향, 감시대상 초기의 안전상태, 층수표시, 자가발 관제, 화재 관제, 비상운전, 파킹 등의 관제및 통제운전의 릴레이 접점 신호들이 연결박스(3,4)를 통해 감시반(1)으로 전송되며, 그 접점신호를 수신한 감시반(1)에서는 각 신호에 대응하는 램프점등 또는 수치표시(층수 표시)를 하게 된다.
비상 관제및 통제운전 제어시 방재센터에 있는 관리자가 키 스위치(8)의 조작에 의해 해당 제어반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엘리베이터가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엘리베이터 감시제어 시스템은 제어반(5~7)과 연결박스(3,4) 사이가 병렬로 접속되어 비경제적이며, 복수의 그룹으로 엘리베이터가 구성되어 설치되었을 경우 그룹수에 해당하는 수만큼 감시반(1)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감시반 설치공간의 확보 및 경제면에서 비합리적이고, 방재센터의 관리자는 엘리베이터가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화면을 볼 수 없고, 각종 군관리 교통 데이타 분석, 고장 및 운행 데이타의 수집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감시제어 시스템에 따르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1대의 감시제어장치가 통신 인터페이스장치로 직렬 접속에 의한 송수신을 행하고, 실시간 처리에 의한 엘리베이터 모니터링, 군관리 교통 데이타 분석 및 고장과 운행 데이타를 수집할 수 있어 보다 더 MMI(맨-머신-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접근하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제3도는 제2도 감시제어장치의 상세 블럭 구성도이며, 제4도는 제2도 통신 인터페이스장치의 상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제어장치(21)는 씨피유(21-1)와, 디스크 드라이브, 프린터, 씨알티 화면, 키보드(24), 마우스(25)를 제어하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21-3)와, 프로그램이나 데이타가 수록되어 있는 메모리부(21-2)와, 군관리 제어장치(27)의 통신포트(26) 및 각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35)와 데이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카드(21-4)가 각각 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타 버스로 접속되어 있다.
감시제어장치(21)에 내장되어 있는 통신카드(21-4)는 군관리 제어장치(27)와 동기식 직렬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포트와 통신소자, 각 제어장치(28~31)와 동기식 직렬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포트와 통신소자 및 장거리 통신용 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각 제어장치(28~31)에 내장되는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35)는 감시제어장치(21)와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포트(75)와, 각 제어장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릴레이 제어에 따라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71) 또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부(72)를 통하여 들어온 데이타를 표준화하기 위한 제어로직부(73)와, 엘리베이터 관제및 통제운전 지령용 릴레이 출력을 위한 릴레이 제어부(7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상기 감시제어장치(21)의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감시제어장치(21)에는 컴퓨터내의 하드웨어들의 초기화처리, 각종 프로그램 기동제어 및 콤퓨터내의 고유기능처리와 부팅을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101)과 그래픽 지원용 GUI(Graphic User Interface)(102) 환경하에서 감시대수 및 층문자, 각 호기별로 서비스층 지정, 모델명, 속도, 관제운전(화제관제운전, 자가 발판제운전, 파킹운전, 비상귀착운전, VIP운전 등) 지정, 운전스펙변경기능의 존재 유무를 지정하는 옵션기능과 어떠한 호기들이 군관리반에 편입되어 있는지를 지정하는 사양 입력 타스크(Task)(103)와, 각 제어장치(28~31)의 운전 방향, 카 위치, 안전회로상태, 카-내 로드, 도어의 개폐상태, 운전모드상태 등의 호기별 운행상태에 대한 운행데이타가 그 각 제어장치(28~31)에서 가공되어 생성된 후 각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35)를 통해 수신되는데, 그 수신된 각 호기들의 운행상태에 따라 감시제어장치(21)에 장착된 통신카드(21-4)를 거쳐 운행상태 데이타의 실시간 처리를 위해 감시제어장치(21)내의 메모리에 일정주기로 업 데이트시켜 씨알티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보기 쉽게 각 제어장치(38~31) 및 군관리 제어아치(27)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그래픽적으로 나타내는 모니터링부와, 전호기 또는 호기별로 사용자가 기존의 하드웨어적인 키스위치(8) 조작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호기 또는 전 호기에 대해 상기 관제운전을 기능별로 화면상에서 데이타를 편집하여 송출하면, 감시제어장치(21)의 각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35)간의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편집된 데이타는 직렬 통신라인을 거치고 해당 호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장치내의 릴레이 제어부(74)를 거쳐 해당 제어장치에 장착된 해당 릴레이(화재 관제릴레이, 자가발 관제릴레이, 파킹 릴레이 등)를 직접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및 비상 제어 타스크(104)와, 각 제어장치(28~31) 및 군관리 제어장치(27)의 운행계획 변경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감시제어장치(21)로부터 변경하고자 하는 운행계획 변경기능(서비스층 변경, 피난층 변경, 출입문 개폐시간 변경, 분산층 변경, 출퇴근 및 중식시간 변경, 성전력 운전을 변경 등)을 해당 호기에 대해 데이타를 편집하여 송출하면, 감시제어장치(21)와 각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25)간의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편집된 데이타를 직렬 통신 라인을 거치고 해당 호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장치내의 제어로직부(73)를 거쳐 해당 제어장치의 운전 스펙 테이블(메모리)에 데이타를 오브라이트하면, 해당 제어장치 또는 군관리 제어장치가 상기 오브라이트된 운전 스펙테이블을 이용하여 운행할 수 있게 하는 승강기 제어타스크(105)와, 군관리 제어장치(27)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장치(26)를 거쳐 감시제어장치(27)로 수집된 군관리 교통류 데이타의 저장 및 이 저장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군관리 성능 분석에 필요한 층별/방향별 승하차 인수 데이타, 시간대별 교통수요 변화 데이타, 군관리 운전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타 등을 사용자가 분석이 용이하도록 그래픽적으로 군관리 성능 데이타(운행대수, 대기시간, 승하차 인수 등)를 나타내는 자료 분석 타스크(106)와, 각 제어장치(27~31)들로부터 각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32~35)를 거쳐 감시제어장치(21)로 승강기의 정상운행이 가능한 시간에 대한 누적 데이타, 승강기의 보수 점검에 의해 발생된 보수 점검시간과 횟수에 대한 누적 데이타, 승객의 각종 부름에 의해 실제운행된 시간의 누적 데이타 등을 일정주기로 수집하여, 실제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또는 정해진 시간에 상기 수집된 데이타를 씨알티 화면 또는 프린터에 출력하여 승강기의 인력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승강기 인력관리 타스크(107)와, 각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35)들과 감시제어장치(21)간으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그 감시제어장치(21)에서 상기 직렬 데이타(릴레이 제어 데이타, 운형 변경 데이타)의 송출 또는 데이타(승강기 운행상태, 군관리 교통 데이타, 인력관리 데이타)의 수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처리 타스크(108)가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들은 정해진 기동 주기 및 키보드(24) 또는 마우스(25)의 입력신호에 따라 필요시 거동되어져 주어진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35)에는 각 호기 제어반으로부터의 운행상태에 대한 데이타를 수집하는 동기 데이타 수집부(131)와, 상기 기종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감시제어장치(100)로 송신하기 위해서는 데이타의 표준화가 요구되는데, 이 일을 수행하는 데이타 가공부(132)와, 감시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비상관제데이타를 각 제어반으로 릴레이 접점신호를 주기 위한 릴레이 구동 제어부(133)와, 유저 프로그램처리를 위한 타스크 관리부(134)와, 제어장치(140)의 호기상태 정보 전송부(141)와, 감시제어장치(100)의 통신처리부(108)와의 통신제어를 위한 통신처리부(135)로 구성된다. 이 통신처리부(135)는 감시제어장치(21)내의 통신카드(21-4)와 군관리 제어장치(27) 및 각 호기제어장치(28~31)내의 통신포트(26)를 통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각 타스크기능을 수행시 필요한 데이타를 주고 받음에 있어서 프로그램상으로 구현하게 된다.
타스크 관리부(134)에는 입출력 데이타를 일시 보관한 후 정해진 메모리영역 또는 인터페이스회로로 전개하는 입출력 버퍼 관리부와 롬 및 램체크, 데이타 보존 변경처리를 위한 메모리 관리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군관리 제어장치(27)는 공지된 기술에 의한 군관리 메인 프로그램부(121)와,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 데이타를 저장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 운행상태 데이타 저장부(122)와, 저장된 데이타중 분석용 엘리베이터 교통 데이타를 감시제어장치(21)로 전송하기 위한 군관리 엘리베이터 교통분석용 정보송신부(123)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한 설명 및 각 구성부의 개략적인 동작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동작원리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한다.
제6도는 감시제어장치의 동작기능을 패드(PAD) 차트로 도시한 것이다.
시작은 본 시스템의 시작점을 나타내며, 스텝(S10)에서는 시스템 에러가 발생되면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는 자체기능에 의해 예외처리(S11), 예를 들어 에러 원인 표시, 에러 타스크의 기동중지, 에러발생시 각 레지스터상태 보존과 같은 처리를 스텝(S11)과 스텝(S12)에서 처리한 후 스텝(S13)에서 초기화 처리에 필요한 타스크를 기동시키고, 스텝(S16)에서 휘발영역의 메모리 클리어, 고속처리를 위한 비휘발성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일부 스펙을 카피, 시스템이 정상 가동중임을 선언하는 데이타 전송, 입출력 버퍼와 포트를 초기화로 처리시킨다.
초기화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S20)에서 각 호기제어장치(28~31)로부터 각정 정보를 수신하고, 스텝(S21)에서는 처리가 용이한 형태로 데이타를 가공 보존한다.
스텝(S22)에서는 종합 모니터링 화면을 씨알티상에 표시하고, 메인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메인 메뉴 화면상에는 각 호기의 사양을 입력하기 위한 스텝(S32)의 사양 입력 및 지정기능과 공통 사양을 입력하기 위한 스텝(S35)의 공통 사양 입력기능과, 블록 지정에 의한 해당 블록의 엘리베이터 운행상황(운전방향, 위치, 운전모드)을 씨알티에 표시하기 위한 스텝(S38)의 블록 모니터링 기능과, 종합운행상태 감시 및 비상제어를 위한 스텝(S40)의 종합 모니터링 기능과, 스펙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내용 표시를 위한 스텝(S45)의 제원표시기능과, 패턴코드 지정, 운전계 스위치 조작지정, 관리운영제어를 위한 스텝(S47)의 군관리 파라미터 지정기능과, 군관리 및 단독 운전의 스펙 변경을 위한 스펙 변경 타스크(S51~S54)와, 군관리 교통 데이타의 분석 및 출력을 위한 자료 분석 타스크(S55~S61)와, 각 호기의 고장 및 운행에 대한 데이타의 저장 및 출력을 위한 인력관리 타스크(S62~S69)로 구성된다.
스텝(S90)에서는 스텝(S31~S69)의 실행결과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처리전의 파일과 비교한다.
스텝(S93)에서는 비교된 결과가 같지 않으면 변화된 내용만이 수록된 임시파이을 생성시키고, 처리된 파일 모든 영역에서 신규 작성된 파일에 업데이트시킨다.
스텝(S90~S94)을 실행하는 이유는 통신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데이타 전송방법이다.
스텝(S96)에서는 스텝(S94)에서 생성된 임시화일을 각 호기의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35)로 전송하는 처리를 하고 스텝(S97)에서는 임시파일을 클리어시키고 프로그램 처리를 종료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그 특징으로서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각 엘리베이터의 상태신호를 제어장치(28~31)로부터 각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35)로 전송하고 각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35)는 이 신호를 가공한 후 감시제어장치(21)의 통신카드(22)로 직렬 전송시킴으로써 실시간 처리에 의한 감시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블록지정에 의한 호기 선택으로 융통성 있는 감시를 할 수 있으며, 반대로 비상 및 통제시 관리자가 각 엘리베이터의 통제및 비상 제어 지령을 일괄 직렬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어서 감시제어장치 1대로 경제적이고도 확장성이 강력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군관리 운전 엘리베이터에서는 군관리 제어장치(27)로부터 데이타를 감시제어장치(21)에서 수집하여 교통상황 분석에 따른 신속한 처리를 할 수 있고, 각 호기에 대한 고장 및 운행 데이타를 체크하여 보전 및 보수성이 뛰어난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1대의 감시제어장치가 통신 인터페이스장치로 직렬 접속에 의한 송수신을 행하고 실시간 처리에 의한 엘리베이터 모니터링, 군관리 교통데이타 분석 및 고장과 운행 데이타를 수집할 수 있어 더욱더 인간-기계의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접근하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각 호기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감시, 제어하고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및 교통 데이타 분석, 각 호기의 고장 및 운행에 대한 인력관리를 출력하며, 상기 기종의 엘리베이터의 상태 정보를 각 제어장치(28~31)로부터 데이타를 표준화하여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35)와, 상기 제어장치(28~31)로부터 각기 수신한 상태 정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주행방향, 위치, 운전모드 등을 씨알티 화면상에 표시하는 블록 모니터링 및 종합 모니터링하며, 화재, 정전, 지진 등과 같은 비상시에 엘리베이터의 이용승객을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한 감시제어기능과,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서비스층 변환, 특정층 서비스 강화, 출입문 개폐시간 변경의 군관리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며, 단독 엘리베이터의 기준층 및 서비스층을 변경하고, 정상 가동시간과 고정 정지시간 등의 저장과 출력하는 운행일지 기능 및 고장 발생시의 데이타 저장과 출력하는 고장일지 기능의 인력관리를 하는 감시제어장치(21)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감시제어장치(21)와 통신 인터페이스장치(32~35) 사이에서는 변화된 내용만을 통신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감시제어장치(21)내의 통신카드(21-4)는 군관리 데이타 및 각 호기의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KR1019920017532A 1992-09-25 1992-09-25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KR960002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532A KR960002449B1 (ko) 1992-09-25 1992-09-25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532A KR960002449B1 (ko) 1992-09-25 1992-09-25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909A KR940006909A (ko) 1994-04-26
KR960002449B1 true KR960002449B1 (ko) 1996-02-17

Family

ID=1934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532A KR960002449B1 (ko) 1992-09-25 1992-09-25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08B1 (ko) * 2011-06-28 2013-01-0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고장상태 이력저장 및 정보조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942B1 (ko) * 1999-07-14 2002-01-09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이력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10018960A (ko) * 1999-08-24 2001-03-15 백영문 엘리베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감시장치
KR100394233B1 (ko) * 2000-09-06 2003-08-09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감시내용을 작화 및 변경하는 컴퓨터를 갖는 모니터링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08B1 (ko) * 2011-06-28 2013-01-0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고장상태 이력저장 및 정보조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909A (ko) 199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5328B2 (ja) ビル設備と昇降機の管理装置
CA2282609C (en) Remote control of lift installations
JPH075231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用動作仕様設定装置
CN110687863A (zh) 一种轨道交通综合后备盘的虚拟化集成控制系统和方法
US4936419A (en) Elevator diagnostic display system
KR960002449B1 (ko)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JPS6327267B2 (ko)
CN212403037U (zh) 基于云计算的电梯远程控制系统
JP3207920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8900065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970059067A (ko) 그룹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JP2001158578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
JPH08151176A (ja) エレベータcrt監視装置
JP2006225068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3649633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4051283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CN111824874A (zh) 电梯组管理系统以及电梯组管理方法
JP3288255B2 (ja) 搬送装置の故障予兆点検作業支援装置
KR100190432B1 (ko)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JPH1078805A (ja) ビル管理制御装置
JPH04371476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KR970006577B1 (ko) 빌딩 관리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방법
JPH04235888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3451194B2 (ja) エレベータ監視制御装置
JPH10182022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