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193B1 -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下向 流型 生物膜 淨化裝置) - Google Patents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下向 流型 生物膜 淨化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193B1
KR890004193B1 KR1019850007706A KR850007706A KR890004193B1 KR 890004193 B1 KR890004193 B1 KR 890004193B1 KR 1019850007706 A KR1019850007706 A KR 1019850007706A KR 850007706 A KR850007706 A KR 850007706A KR 890004193 B1 KR890004193 B1 KR 89000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dium
purification
air
treated water
ai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246A (ko
Inventor
슈우조오 가끼모도
도시아끼 무라가미
Original Assignee
산끼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다마끼 준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끼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다마끼 준지로오 filed Critical 산끼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C02F3/223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using "air-lif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下向 流型 生物膜 淨化裝置)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의 단면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생물막 정화 장치의 사용 상태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의 단면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처리 수관의 다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집수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에어 장치의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에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도.
제9도는, 제8도의 B-B선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에어 장치에 의한 에어의 공급위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11도는, 종래에 있어서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응탱크 2 : 중간판
3 : 원수 처리실 4 : 여과재
5 : 집수실 6 : 집수 스트레나
7 : 폭기블로우 8 : 산기장치
9 : 처리수 탱크 10 : 처리수관
11 : 역세정 펌프 12 : 역세정 블로우
13 : 사이펀 관 21 :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
21A :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 22 : 여과재
22A : 여과재 22a : 여과층
23 : 정화탱크 23A : 정화탱크
23a : 하부 24 : 산기장치
24A : 산기장치 25 : 집수실
25a : 개구부 25b : 측면부
25A : 집수실 25B : 집수실
26 : 처리수관 26A : 처리수관
26a : 취입구 27 : 에어리프트 관
27A : 에어리프트 관 27a : 하단
27b : 상단 28 : 에어리프트 장치
28A : 에어리프트 장치 28a : 에어장치
29 : 분리장치 29A : 분리장치
29a : 중공 구조부 29b : 차폐판
29c : 경사면 30 : 배출관
30A : 배출관 31 : 처리수 탱크
32 : 노즐 33 : 역세정 배수 침전지
33a : 배출구 34 : 원수탱크
35 : 중심부 35a : 최상단
35A : 에어 장치 36 : 중간부
37 : 공기 공급구
본 발명은, 원수(原數)의 생물 처리와 여과재의 세정을 동시에 연속하여 행하는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기물에 의하여 오염된 물을 미생물의 활동에 의하여 정화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미생물을 고체입자에 부착시키고, 이것을 통과하는 배수중의 오염물질과 접촉 시키고, 원수를 호기성 소화로 하여 정화하는 생물막 정화 장치가 있다.
이 생물막 정화 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원수를 이 장치의 상부로 부터 하향으로 흘려보내는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 장치가 알려져있다.
이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 장치는, 최근 개발된 것으로서, 예를들면,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도시하는 바와같이, 반응탱크(1)는 중간판(2)에 의하여 간막이 되어 있고, 중간판(2)의 상부의 원수 처리실(3)에는 여과재(예를들면, 안트라사이트, 활성탄, 경량 골재등으로 입자직경 2~10mm정도의 것) (4)가 충전되어 있다.
중간판 (2)의 하부에는 원수 처리실(3)에서 생물 처리된 처리수를 모으는 집수실(5)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판(2)에는 원수 처리실(3)에는 생물 처리된 처리수를 모으는 집수 스트레나(6)가 형성되어 있다. 원수 처리실(3)에는 생물 처리에 필요한 공기를 폭기 블로우(7)에 의하여 원수내로 불어 넣는 산기장치(8)가 형성되어 있다.
반응탱크(1)와는 별도로 처리수 탱크(9)가 설치되고, 또한, 처리수 탱크(9)와 반응탱크(1)의 사이에는 집수실(5)로부터 처리수를 통하는 처리수관(10)이 형성되어 있다.
고형물이 부착된 여과재(4)를 세정 처리하기 위하여, 역세정 펌프(11), 역세정 블로우(12), 사이펀관(13)이, 각각, 처리수 탱크(9), 집수실(5), 원수 처리실(3)에 형성되어 있다. 원수 처리실(3)의 상부에서 유입된 원수는, 여과재(4)사이를 통과하여 생물처리 되어서, 집수 스트레나(6)를 통하여 집수실(5)로 유입된다.
집수실(5)에 모여진 처리수는, 처리수관(10)을 통하여 처리수 탱크(9)로 저장후 배출된다.
이 사이에 원수는 원수 처리실(3)내의 여과재(4) 사이를 통과할때에, 여과재(4)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의 활동에 의하여 정화 된다.
원수중에 포함된 SS 성분 및 BOD 성분등을 생물처리에 의하여 여과재(4) 표면에 부착하여, 여과재(4)에는 고형물이 축척된다. 이 때문에, 여과재(4)의 사이는 막히게 되어 원수의 통과 저항이 증대한다. 이와같이, 여과재(4)에 부착한 고형물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함에 따라, 여과재(4)의 역방향 세척이 행하여 진다.
즉, 역세정 블로우(12)로부터 집수실(5)을 통하여 원수 처리실(3)에 다량의 공기를 불어 넣어, 여과재(4)로 부터 고형물을 분리시킨 다음에, 역세정 펌프(11)로서 처리수를 원수 처리실(3)내로 보내 넣어지게 하여, 고형물을 원수 처리실(3) 상부에서 사이펀 관(13)을 통하여 반응탱크(1) 밖으로 배출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에 있어서는, 첫째로, 여과재(4)의 역방향 세척 처리중에는 원수의 정화 처리 기능이 정지하게 된다.
즉, 원수의 정화처리와 역방향 세척에 의하는 여과재(4)의 세정 처리를 동시에 연속하여 행할수가 없어, 정화장치의 가동율이 저하된다.
이로 인하여, 원수의 정화 처리와 여과재(4)의 세정 처리를 동시에 연속하여 행하려고 하면, 어려개의 정화 장치가 필요로 하게 되어 장치가 필연적으로 대형화 하게 된다.
둘째로, 원수의 정화처리중에는, 여과재(4)의 세정처리는 행하여 지지 않는다.
따라서 여과재(4)의 세정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여과재(4)에는 고형물이 달라붙게 되어, 생물처리에 의하는 정화율이 감소한다.
세째로, 여과재(4)의 역류처리에는, 다량의 공기와 다량의 역류용수가 필요하므로서, 역세정 블로우(12), 역세정 펌프(11), 대규모의 처리수 탱크(9)를 필요로 하였다.
네째로, 상술한 바와같이, 생물 처리에 의한 정화율이 낮음에 따라서, 대량의 여과재(4)를 필요로하고, 또한 여과재(4)의 역세정 처리에는, 집수실(5)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대규모의 반응탱크(1)를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수의 생물 처리와 여과재의 세정을 동시에 연속하여 행 할 수 있고, 원수의 생물 처리에 의한 정화율을 높여 역세정 블로우, 역세정 펌프, 대규모의 처리수 탱크를 없애고, 반응탱크를 소규모로한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과재를 충전한 정화 탱크와 정화탱크의 수직 방향에 에어리프트 관을 형성하고, 이 에어리프트 관의 하단에서 원수의 생물 처리에 의하여 고형물이 달라붙은 여과재를 흡입함과 동시에, 에어리프트 관 내에서 고형물을 여과재에서 박리 시키면서 고형물과 여과재를 동시에 상승 시키는 에어리프트 장치를 형성하고 있는 정화 장치에 있어서, 정화 탱크내에 형성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장치와, 생물 처리된 처리수를 모으는 집수실과, 집수실과 통하는 처리수관과, 에어리프트 관의 상단에 형성되어 여과재와 고형물을 분리하여 여과재를 정화 탱크내로 순환하게하는 분리장치와, 이 분리장치에서 고형물을 배출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를 나타낸다. 도시에 의하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21)는, 여과재(22)를 충전한 정화탱크(23)와, 정화탱크(23)내에 형성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장치(24)와, 생물 처리된 처리수를 모으는 집수실(25)과, 집수실(25)에 접속된 처리수관(26)과, 정화탱크(23)의 수직방향으로 에어리프트 관(27)을 형성하고, 에어리프트 관(27)의 하단(27a)으로부터 원수의 생물처리에 의하여 고형물의 달라 붙은 여과재(22)를 빨아들이게 함과 동시에 에어리프트 관(27)내에서 고형물을 여과재(22)로부터 박리시키면서 고형물과 여과재(22)를 동시에 상승 시키는 에어리프트 장치(28)와, 에어리프트 관(27)의 상단(27b)에 형성되어 여과재(22)와 고형물을 분리하여 여과재(22)를 정화탱크(23)내로 순환하는 분리장치(29)와, 이의 분리장치(29)에서 고형물을 배출하는 배출관(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과재(22)로서는 예를들면 안트라사이트, 활성탄, 경량골재등이 사용되고, 그의 입자직경은 2~10mm 정도이다. 정화탱크(23)내에는 여과재(22)에 의하여 여과층(22a)이 형성되어 있다. 정화탱크(23)의 하부(23a)는 원추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고형물이 달라붙은 여과재(22)를 체류 시키지 아니하고 에어리프트 관(27)으로 빨아들여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집수실(25)은 에어리프트 관(27)의 하방부에서 에어리프트 관(27)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집수실(25)은 개구부(25a)를 가지는 주발형상의 용기로 되어 있다.
이 집수실(25)은 단면을 다각형의 컵형의 용기로 할수도 있다. 처리수관(26)은 집수실(25)에서 정화탱크(23)의 하부(23a)를 관통하여 정화탱크(23)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집수실(25)에 모아진 처리수는, 수위차에 의하여 처리수 탱크(31)로 상승 하도록 되어 있다.
산기 장치(24)은 집수실(25)의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산소가 평균적으로 여과재(22)에 공급되어 여과재(22)의 표면에는 미생물이 달라붙어 생육하고 있다. 에어리프트 관(27)은 그의 하단(27a)을 정화탱크(23)의 하부(23a)에 위치 시킴과 동시에, 그의 상단(27b)을 정화탱크(23)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있다. 에어리프트 관(27)의 하단(27a)에는, 에어리프트용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장치(28a)가 에어리프트 관(27)과 "L"자 형상을 형성하여서 접속 되어 있다.
분리장치(29)는, 여과재(22)를 통과 시키지 않을 정도의 일정 구멍이 형성된 망을 가지는 예를들면, 슬릿, 펀치 구멍과 같은 철망 형상의 경사면(29c)을 갖춘 원추 형상의 중공 구조부(29a)와, 차폐판(29b)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폐판(29b)은 여과재(22)와 고형물을 중공 구조부(29a)의 경사면(29c)을 따라서 흘러 보내기 위한 것이다. 차폐판(29b)은, 보수점검을 고려하여 원통체로 되어 있다. 배출관(30)으로부터, 처리수의 일부와 함께 배출하는 고형물의 량은, 에어 장치(28a)의 공기량의 조절, 분리장치(29)의 철망의 면적이 대소, 배출관(30)의 밸브등의 형성등에 의하여 조절 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화탱크(23)내에 충전된 여과제(22)에는, 산기장치(24)에 의하여 폭기용 공기가 공급되고, 여과재(22)표면에는 미생물이 달라붙어 생육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정화탱크(23)의 상부에서 도시하지 않은 유입관에 의하여 공급된 원수는 여과층(22a)을 통과한다.
원수중에 함유된 SS 성분 및 BOD성분등은, 미생물의 호기성 생물처리에 의하여 산소분해 되어, 그 결과, 여과재(22) 표면에는 고형물이 달라붙어 축척된다.
그리고, 원수중의 고형물 및 생물처리에서 발생한 고형물은, 여과재(22) 표면 혹은 여과재(22) 사이에 포집되어 있고 포집된 상태대로, 여과층(22a)의 아래층으로 이동하여서, 에어리프트 관(27)에서 분리장치(29)로 인도된다.
그 때문에, 처리수중의 고형물 혼입이 적고, 통상의 접촉산화법, 활성오니법, 산수여상법등의 필요한 침전지가 필요치 않다. 원수는 여과층(22a)을 통과할 때에 정화되면서, 중력작용 및 에어리프트 장치(28)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리프트 관(27)의 하단(27a)으로의 흡입력에 의하여 정화탱크(23)의 위쪽에서 아래방향으로 흐른다.
여과층(22a)에 의하여 정화된 처리수는, 정화탱크(23)의 하부(23a)로 향해 흐르는데, 정화탱크(23)의 하부에는 집수실(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수의 일부는 에어리프트 관(27)의 하단(27a)으로 빨려 들어가나, 대부분은 공간부분으로 되어 있는 집수실(25)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에, 집수실(25)은, 적당한 길이의 측면부(25b)를 가지며, 또한 처리수관(26)의 취입구(26a)를 적당한 높이로 세트하여 놓으면, 여과재(22)가 처리수관(26)으로 들어가는 일은 없다. 집수실(25)에 모여진 처리수는, 처리수관(26)을 통하여 수위차에 의하여 처리수 탱크(31) 내로 유입된다.
한편, 고형물이 달라붙은 여과재(22)는, 에어 장치(28a)로부터 불어 넣어지는 에어리프트용 공기에 의하여, 에어리프트 관(27)의 하단(27a)에서 빨아 들여져서 에어리프트 관(27)내를 상승한다. 에어리프트 관 (27)내로 상승되는 여과재(22)와 처리수의 일부는, 공기가 상승하기 때문에, 여과재(22)에 달라붙은 고형물은, 뒤섞여 여과재(22)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고형물, 여과재(22), 처리수의 일부는 에어리프트 관(27)을 상승하여, 에어리프트 관(27) 의 상단(27b)에서 분리장치(29)로 배출된다.
이때에 고형물은, 여과재(22), 처리수의 일부 (통상 이 처리수는 역세정수라 부른다) 는 분리장치(29)의 차폐판(29b)에 의하여 차단되고, 중공 구조부(29a)의 경사면(29c)을 따라서 흐른다.
에이리프트 관(27)내에서 세정된 여과재(22)는, 분리장치(29)의 철망 형상의 경사면(29)에 의하여 걸려져, 정화탱크(23)내로 순환한다.
고형물은 분리장치(29)의 중공 구조부(29a)내에 역세정수와 함께 유입된다. 이 고형물은, 역세정수와 함께 역세정 배수로 된다.
이 역세정 배수는, 배출관(30)에 의하여 배출된다.
정화장치(21)에서 배수된 역세정 배수의 처리를 제 3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역세정배수는, 역세정 배수 침전지(33)로 유입된다.
역세정 배수 침전지(33)에서, 역세정 배수중에 침강된 오니는, 오니분으로서 역세정 배수 침전지(33)의 배출구(33a)로부터 빼내어 분리처리 한다.
역세정 배수 침전지(33)내의 상등수는, 원수탱크(34)로 공급된다. 이 상등수는, 원수탱크(34)로 공급된 배수와 함께 원수탱크(34)에서 정화탱크(23)로 원수로써 순환 공급된다.
이상의 구성에 관한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2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수의 정화처리와 에어리프트 관 내에서 여과재(22)의 세정처리를 동시에 연속하여 행할수가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에 의하여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21)의 가동율은 향상되고, 더우기 1대의 정화장치(21)로 정화 처리의 가동을 중지하지 않고,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화장치(21)를 대형으로 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둘째, 전술한 바와같이, 원수의 정화처리와 동시에 여과재(22)의 세정처리가 행하여 진다. 따라서, 세정된 여과재(22)에는 고형물이 달라붙는 량이 적고, 따라서, 생물처리에 의한 정화율이 향상한다.
예를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BOD 부하를 다음도표와 같이 장치한 것에 대하여, 원수의 수질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kpo00001
BOD 부하(Kg/m3·일) 4~5 5~6 3~4
원수수질(BOD)(mg/1) 100~120 2,000~2,500 90~120
BOD제거율 93~96% 87~90% 94~96%
COD제거율 85~87% 83~85% 65~70%
세째, 여과재(22)의 세정이, 에어리프트 관(27)내에서 행하여 지고, 여과재(22)는, 분리장치(29)에서 고형물과 분리되어, 세정된 여과재(22)가 정화탱크(23)내로 순환한다.
따라서, 종래에 필요로한 여과재(22)의 세정을 위한 역세정 블로우, 역세정 펌프, 대규모로된 처리수 탱크, 또한, 이들에 부속하는 자동 밸브류 등을 필요치 않게되었다.
네째, 상술한 바와같이 생물처리에 의한 정화율이 높아 처리하고자 하는 원수에 대하여 여과재(22)의 필요량이 적고, 또한 종래의 집수실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정화탱크도 작은 규모로 할수가 있는 것이다.
다섯째, 고형물과 여과제(22)와는 분리장치(29)의 철망형상등의 경사면(29a)에 의하여 망에 걸러지는 결과, 고형물은 역세정수와 함께 중공구조부(29a)의 내부로 유입되어 정화탱크(23) 내로 순환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정화탱크(23)내의 처리수 중에는 분리장치(29)에 의하여 고형물이 섞일 염려가 없다.
여섯째, 에어리프트 관(27)의 상단(27b)에서 배출된 여과재(22)는, 분리장치(29)의 경사면(29c)상에서 서로 마찰되면서, 정화탱크(23)로 순환한다.
따라서, 고형물은 분리장치(29)에서도 여과재(22)로 부터 박리된다.
일곱째, 분리장치(29)에서는 여과재(22)와 고형물이 철망형상등의 경사면(29c)을 통하여 물리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분리장치(29)에 진동장치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분리 속도를 가속 시킬 수 있다.
여덟째, 여과재(22)는 분리장치(29)의 망형상의 경사면(29c)에서 걸러지기 때문에, 중공구조부(29a)내로 고형물과 함께 혼입될 염려가 없어 정상적으로 정화탱크(23)내로 순환한다.
아홉째, 통상의 접촉산소법, 활성오니법, 산수 여상업등에서 필요한 침전지가 필요없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를 제 4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시에서와 같이,본 실시예의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21A)는 여과재(22A)를 충전한 정화탱크(23A)와, 정화탱크(23A)내에 설치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장치(24A)와, 생물 처리된 처리수를 모으는 집수실 (25A)(25A)(25A)(25A)(25A)과, 각 집수실(25A) 에 접속된 처리수관(26A)과, 정화탱크(23A)의 수직 방향에 5개의 에어리프트 관(27A)(27A)(27A)(27A)(27A)를 형성하고, 각 에어리프트 관(27A)의 각 하단(27a)에서 배수의 생물처리에 의하여 고형물이 달라붙은 여과재(22A)를 빨아 들임과 동시에 각 에어리프트 관(27A) 내에서 고형물은 여과재(22A)로 부터 박리시키면서 고형물과 여과재(22A)를 동시에 상승시키는 에어리프트 장치(28A)(28A)(28A)(28A)(28A)와, 각 에어리프트 관(27A)의 각 상단(27b)에 설치되어 여과재(22A)와 고형물을 분리하여 여과재(22A)를 정화탱크(23A)내로 순환하게 하는 분리장치(29A)(29A)(29A)(29A)(29A)와, 각 분리장치(29A)에서 고형물을 배출하는 배출관(3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대량의 원수와 정화가 가능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처리수관(26)의 취입구(26a)는 집수실(25)의 내측으로 안내되어 있지만, 제 5 도에서와 같이 처리수관(26)을 집수실(25)의 측면부(25b)에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집수실(25)(25A)과 에어리프트 관(27)(27A)은 일체로 되어있으나, 제 6 도에서와같이, 집수실(25B)를 대략 도너츠 형상의 공간으로 하여, 이 도너츠 형상 공간의 중심부(35)에 에어리프트 관(27)을 집수실(25B)과 별개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처리수관(26)은, 집수실(25B)의 측면부를 구성하는 정화탱크(23)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원수중에는 부상성물질이 많아, 스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정화탱크(23) 상부에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컴이 추출되는 노즐(32)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스컴을 배출할 수도 있다.
배출후의 스컴은 통상 역세정 배수와 혼합하여,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역세정배수 침전지(33)에서 처리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리프트 관(27)이, 정화 탱크(23)내에 설치되어 있지만, 그 흡입구를 정화탱크(23)내에 설치함과 동시에 "L"자 형상의 관체로 구성하여, 정화탱크(23)를 관통하여 정화탱크(23)밖에 배치하고, 또한, 분해장치(29)도 정화탱크(23)밖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에어리프트용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장치(28a)가, 에어리프트 관(27)(27A)의 하단(27a)에서 에어리프트 관(27)(27A)으로써 "L"자 형상을 형성하게 접속되어 있으나, 제 7 도에서와 같이 에어리프트 관(27)(27A)과 일체로 에어 장치(35A)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는 에어리프트 관(27)(27A)의 최상단(35a)에서 공급되고 있다. 또한, 에어 장치와 에어리프트 관을 일체로한 형태로서, 제 8 도, 제 9 도에 예시되어 있다.
즉, 제 8 도, 제 9 도에서와 같이, 에어리프트 관(27)(27A)의 외주에 동심원상으로 에어 장치(3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10도에서와 같이 에어 장치(35A)를 구성하는 수직관의 중간부(36)에 공기 공급구(37)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원수의 생물처리와 여과재의 세정을 동시에 연속하여 행할 수가 있고, 둘째, 원수의 생물처리에 의하는 정화율을 향상시킬수 있고, 세째, 역세정 블로우, 역세정 펌프, 대규모 처리 수탱크등이 필요치 않으며, 네째, 정화탱크를 작게 할 수가 있고, 다섯째, 처리수중에 고형물이 혼입할 염려를 해소 할수가 있고, 여섯째, 분리장치에 의하여서도 고형물을 여과재로부터 박리하는 힘을 부여할수가 있고, 일곱째, 분리장치에 진동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여덟째, 여과재를 정화탱크 내로 정상으로 순환 시킬수가 있고, 아홉째, 통상의접촉산화법등에서 필요한 침전지를 폐지 할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여과재를 충전한 정화탱크와, 정화탱크의 수직방향에 에어리프트 관을 형성하고, 이 에어리프트 관의 하단에서 원수의 생물 처리에 의하여 고형물이 달라붙은 여과재를 흡입함과 동시에, 에어리프트 관 내에서 고형물을 여과재에서 박리 시키면서 고형물과 여과재를 동시에 상승시키는 에어리프트 장치를 형성하고 있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정화탱크(23),(23A)내에 형성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장치(24),(24A)와, 생물 처리된 처리수를 모으는 집수실(25),(25A),(25B)과, 집수실(25),(25A),(25B)과 통하는 처리수관(26),(26A)과, 에어리프트 관(27),(27A)의 상단(27b) 에 형성되어 여과재(22),(22A)와 고형물을 분리하여 여과재(22),(22A)를 정화탱크(23),(23A)내로 순환하게 하는 분리장치(29),(29A)와, 이 분리장치(29),(29A)에서 고형물을 배출하는 배출관(30),(30A)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집수실(25),(25A)은, 개구부(25a)를 가지는 주발형 또는 단면이 다각형의 컵형의 용기이고, 개구부(25a)는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주발형 또는 단면 다각형의 컵 형상의 용기 내부에는 처리수관(26),(26A)의 취입구(26a)가 연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장치(29),(29A)에는, 여과재(22),(22A)를 통과 시키지 않을 정도의 구멍을 가지는 철망 형성의 경사면(29c)을 갖는 중공 구조부(29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장치(29),(29A)에는, 여과재(22)를 통과 시키지 않을 정도의 슬릿, 펀치 구멍을 가지는 경사면(29c)을 갖춘 중공 구조부(29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
KR1019850007706A 1985-06-17 1985-10-18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下向 流型 生物膜 淨化裝置) KR890004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1064 1985-06-17
JP60131064A JPS61291099A (ja) 1985-06-17 1985-06-17 下向流型生物膜浄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246A KR870000246A (ko) 1987-02-17
KR890004193B1 true KR890004193B1 (ko) 1989-10-27

Family

ID=1504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706A KR890004193B1 (ko) 1985-06-17 1985-10-18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下向 流型 生物膜 淨化裝置)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S61291099A (ko)
KR (1) KR890004193B1 (ko)
CH (1) CH667080A5 (ko)
FR (1) FR2583406B1 (ko)
SE (1) SE4672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3704B2 (ja) * 1986-06-19 1995-08-09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生物▲ろ▼過装置
FR2623794B1 (fr) * 1987-12-01 1991-07-26 Sogea Dispositif d'epuration biologique continu du type a circulation vers le haut d'eaux a traiter
FR2626868B1 (fr) * 1988-02-08 1990-06-08 Sogea Procede et dispositif de reduction de la pollution dissoute dans un liquide
FR2694209B1 (fr) * 1992-07-31 1994-10-28 Omnium Traitement Valorisa Dispositif de type goulotte pour le lavage de filtres dans le traitement biologique des eaux.
US5232586A (en) * 1992-09-25 1993-08-03 Malone Ronald F Floating media hourglass biofilter
SE502856C2 (sv) * 1993-06-23 1996-01-29 Nordic Water Prod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vid biologisk behandling av vatten
NL9302260A (nl) * 1993-12-24 1995-07-17 Stork Friesland Bv Membraan-bioreaktor met gas-lift systeem.
SE504447C2 (sv) * 1994-03-03 1997-02-10 Nordic Water Prod Ab Behandling av vatten i en biologiskt aktiverad och kontinuerligt arbetande granulär filterbädd
NL9401439A (nl) * 1994-05-27 1996-01-02 Shieer Globe Int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iochemisch reinigen van een vloeibaar medium.
DK0772571T3 (da) * 1994-07-21 2002-01-14 Knud Peter Brockdorff Reaktor til brug ved vandrensning og mikrofilmbærere til brug i forbindelse hermed samt en fremgangsmåde til drift af reaktoren
NL9401669A (nl) * 1994-10-10 1996-05-01 Boat Care Holland Bv Biologische afvalfluidumreiniger.
JP4814964B2 (ja) * 2009-02-13 2011-11-16 ベストプラント株式会社 生物濾過処理用浮上濾材層の自動洗浄装置
DE102011009067A1 (de) 2011-01-20 2012-07-26 Bruno Moo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s flüssigen Mediums mit einem Gehalt an Verunreinigungen
CN202297249U (zh) * 2011-10-12 2012-07-04 林长青 内循环流化床生物反应器
CN102923842B (zh) * 2012-11-14 2014-07-30 四川人福生物环保有限公司 曝气生物滤罐
CN103613188A (zh) * 2013-12-02 2014-03-05 上海理工大学 复合填料外循环连续曝气生物滤池
JP7077216B2 (ja) * 2018-12-27 2022-05-30 三機工業株式会社 水処理装置
JP7240912B2 (ja) * 2019-03-15 2023-03-16 三機工業株式会社 水処理装置
CN115432810B (zh) * 2022-09-15 2023-07-07 盐城工学院 水处理装置及水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58587C (ko) * 1938-11-24
CA948335A (en) * 1971-08-10 1974-05-28 Jerzy Tymoszczuk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s by a combined activated sludge and biological filter bed
JPS5614326B2 (ko) * 1975-01-17 1981-04-03
FR2446259A1 (fr) * 1979-01-12 1980-08-08 Degremont Procede et appareil pour l'elimination de la pollution azotee des eaux
DE3124451C2 (de) * 1981-06-22 1984-10-31 Hager & Elsässer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zum Abtrennen von fein verteilten und/oder gelösten Stoffen und/oder Partikeln aus Flüssigkeiten, insbesondere Wasser
JPS58114795A (ja) * 1981-12-28 1983-07-08 Miyoshi Shokai:Kk 流動床式汚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8602501L (sv) 1986-12-18
JPS61291099A (ja) 1986-12-20
FR2583406A1 (fr) 1986-12-19
JPH0232955B2 (ko) 1990-07-24
KR870000246A (ko) 1987-02-17
SE467253B (sv) 1992-06-22
CH667080A5 (fr) 1988-09-15
FR2583406B1 (fr) 1991-07-05
SE8602501D0 (sv) 198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193B1 (ko)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下向 流型 生物膜 淨化裝置)
US6426005B1 (en) Sequential descending bed filters with reject/washwater containing impurities being fed to a separate unit for elimination of impurities
US3587861A (en) Apparatus and method of filtering solids from a liquid effluent
JPH10504997A (ja) 液体から固体を分離する装置を備えたガス処理−/浮上分離式反応器
EA004018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ромышле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3281161B2 (ja) 浄水処理装置
JP3831661B2 (ja) 水処理装置の担体流出防止機構
JP3831660B2 (ja) 下降流式水処理装置の集水機構
JP3786869B2 (ja) 水処理装置の担体回収返送装置
JP4335193B2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4079800B2 (ja) 下向流型生物膜浄化装置及び上向流型濾過浄化装置
JP4124957B2 (ja) ろ過体の洗浄方法及び装置
JP4454825B2 (ja) 汚水浄化槽及び汚水浄化方法
JP3975393B2 (ja) 汚水浄化槽
JP4128316B2 (ja) 浄化槽
JP4346985B2 (ja) 中水装置、排水処理装置
JP4378144B2 (ja) 排水処理装置
JP4405130B2 (ja) 段差付き二床並置型好気処理槽及び汚水浄化槽
JP3687841B2 (ja) 通水性ろ過体モジュールを用いる汚泥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2572327B2 (ja) 有機性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H0910786A (ja) 汚水の処理装置
JPH0466194A (ja) 有機性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08257311A (ja) 有機性汚水の処理装置
JPH10225244A (ja) 養魚用汚水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